KR101798512B1 -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12B1
KR101798512B1 KR1020160162858A KR20160162858A KR101798512B1 KR 101798512 B1 KR101798512 B1 KR 101798512B1 KR 1020160162858 A KR1020160162858 A KR 1020160162858A KR 20160162858 A KR20160162858 A KR 20160162858A KR 101798512 B1 KR101798512 B1 KR 10179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abric
roller
cas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to KR102016016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12B1/ko
Priority to EP17813606.5A priority patent/EP3473129A4/en
Priority to US16/310,347 priority patent/US20200093234A1/en
Priority to CN201780034741.3A priority patent/CN109310190A/zh
Priority to PCT/KR2017/006243 priority patent/WO20172177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2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0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using rollers or pressur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68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the inserts being meshes or latt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09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18Suitc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및 그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는,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이루는 멀티레이어시트로서, 탄성복원력을 갖는 멀티레이어시트이고,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과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는 제1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원단에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지와 결합되는 제2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에 의하면,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가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고 제1 원단의 관통공을 통하여 제1 수지와 제2 수지가 결합됨으로써, 제1 원단의 표면에 제1 수지 및 제2 수지가 골고루 흡수 및 코팅되고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가 서로 치밀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원단 고유의 색상이 제1 수지 또는/및 제2 수지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조밀도,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한 여행용 가방을 제조할 수 있고,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을 줄이더라도 우수한 품질의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리성과 가방의 조작성(이동성 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MULTI-LAYER SHEET COMPRISING FABRIC AND RESIN, CASE OF TRAVEL LUGGAGE USING THE MULTI-LAYER SHEET, AND MANUFACTURING MATHOD AND APPARATUS FOR THE CASE}
본 발명은 멀티레이어시트,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원재료를 이루는 멀티레이어시트, 이러한 멀티레이어시트가 프레스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스, 케이스 제조방법 및 케이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행용 가방은 여행용품을 보관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방으로서 바퀴 및 손잡이가 설치된 형태가 많이 사용되며, 가방몸체(케이스)의 재질에 따라 크게 하드 케이스와 소프트 케이스로 나뉜다.
소프트 케이스는 대부분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의 화학섬유로 형성되며,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가방몸체의 모서리를 따라 철사를 형성하고 있다. 소프트 케이스 여행가방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철사가 구부러진 경우 원래 상태로의 복원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하드 케이스는 현재 시장에서 가장 성행하고 있는 유형으로 철사와 같은 골격구조 없이도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하도록 가방몸체(케이스) 자체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가방몸체가 단단하면서도 동시에 탄성을 가지므로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보호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하드 케이스는 사용자의 짐이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중 또는 운반중 넘어지거나 떨어져 케이스가 탄성적으로 복원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귀퉁이나 모서리가 깨지거나 안쪽으로 함몰되어 사실상 복원이 불가능하며, 복원되더라도 백선 또는 구겨진 자국 등의 파손흔적이 영구적으로 남아 버려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행가방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189901호(등록일:2012.10.04)에는, 여행용 가방의 제조를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점이 기재되어 있으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하드 케이스 형태의 여행용 가방의 제조를 위하여, 새로운 구조의 여행용 가방에 대한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01882호(등록일: 2016.03.03)
본 발명의 목적은,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이루는 원단 및 원단과 적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층이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하여 탄성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원단의 직조 형태 및 색감이 외부에서 자연스럽게 노출되면서도 원단의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는 멀티레이어시트,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케이스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P(polypropylene) 등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여행용 가방과 비교하여,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멀티레이어시트,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케이스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이루는 멀티레이어시트에 있어서, 탄성복원력을 갖는 멀티레이어시트이고,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 원단; 용융되어 토출된 후 상기 제1 원단과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는 제1 수지; 및 용융되어 토출된 후 상기 제1 수지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원단에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지와 결합되는 제2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원단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수지에 적층되는 제2 원단; 및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원단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2 수지에 적층되는 제3 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에서, 상기 제1 원단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단, 제1 수지 및 제2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지 및 제2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은 폭이 0.5~20mm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술한 멀티레이어시트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멀티레이어시트가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로서,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 원단; 용융되어 토출된 후 상기 제1 원단과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는 제1 수지; 및 용융되어 토출된 후 상기 제1 수지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원단에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지와 결합되는 제2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단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단, 제1 수지 및 제2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를 제조한 후,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이루도록,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를 프레스성형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제조하는 케이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 원단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1 원단공급부; 용융된 제1 수지를 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1 수지공급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사이로 상기 제1 원단과 제1 수지를 서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키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용융된 제2 수지를 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2 수지공급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사이로 상기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를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키되,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지와 제2 수지가 결합되도록 합지시키는 제3 롤러 및 제4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를 거친 후 상기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멀티레이어시트를 프레스가공하는 성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지공급부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1 수지의 두께를 t1, 상기 제1 원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 원단의 두께를 t2, 상기 제2 수지공급부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2 수지의 두께를 t4, 상기 제3 롤러와 제4 롤러가 이루는 틈을 t5라고 할 때, t5는 t1, t2 및 t4의 합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단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단, 제1 수지 및 제2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멀티레이어시트를 제조한 후,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이루도록,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를 프레스성형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고, 이러한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케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수지와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원단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제1 원단과 적층된 상기 제1 수지와 직접 적촉하고, 상기 제4 롤러는 상기 제2 수지와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제3 롤러 및 제4 롤러는 연속하여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는, 상기 제4 롤러와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4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온도는 상기 제1 롤러의 표면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의 표면온도는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5 롤러의 표면온도는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의 표면온도보다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2 원단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2 원단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그 사이로 상기 제2 원단, 제1 수지 및 제1 원단을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3 원단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3 원단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는, 그 사이로 상기 제2 원단, 제1 수지, 제1 원단, 제2 수지 및 제3 원단을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는,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를 거친 후 상기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레이어시트의 테두리를 고정시키는 시트클램프; 상기 시트클램프가 삽입되는 슬롯이 다수 개로 구비되고,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어 순환되도록 이루어지는 예열기; 및 상기 예열기를 통하여 예열된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를 프레스가공하는 성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레이어시트가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지 및/또는 제2 수지가 투명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1 원단과 제1 수지 및 제2 수지가 치밀하게 결합되고 멀티레이어시트의 조밀도 및 강도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제1 원단 고유의 색상(칼라)이 제1 수지 및/또는 제2 수지를 통하여 외부에서 나타남으로써, 일반적인 압출방식으로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혼합하거나 적용하여 칼라를 착색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원단이 멀티레이어시트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1 수지 및 제2 수지가 제1 원단의 양쪽에 코팅되어 위치함으로써, 멀티레이어시트 전체의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월등히 높아지고 유리해질 뿐만 아니라, 제1 수지 및/또는 제2 수지가 투명하게 이루어질 때 제1 원단 특유의 미려함(경사 및 위사의 교차재직에 따른 원단 특유의 조직형태와 패턴 등)과 자연스러움이 제조된 케이스에서 그대로 드러나고 묻어날 수 있으며,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을 줄이더라도 미려하고 우수한 품질의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가 모두 동일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여행용 가방과 비교할 때, 제품의 가격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 등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충격강화제 등을 첨가할 필요가 없고, 마스터배치 또한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량생산성 및 산업상이용가능성 측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과 가방의 조작성(이동성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레이어시트에서 제1 원단이 제1 수지 및 제2 수지 사이에 위치하면서 다층구조를 이룸으로써, 외부의 충격시 멀티레이어시트 또는 케이스의 찢어짐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하여 구겨지거나 함몰되는 경우에도 즉시 본래대로 복원될 수 있으며, 화이트닝마크의 형성 가능성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밀도,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등이 매우 우수한 멀티레이어시트 및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케이스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을 나타낸 사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여행용 가방에서 케이스의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는 멀티레이어시트(3)가 선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나, 멀티레이어시트(3)는 각 롤러(310, 320, 330, 340, 350)의 회전축(311, 321, 331, 341, 351)과 평행한 방향으로 폭을 가짐은 물론이다.
도 3은 멀티레이어시트(3)의 적층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원단(10),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는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된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1)의 케이스(2)(이하, '케이스(2)'라 함)는, 내부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에 손잡이(4), 바퀴(5) 등이 결합되면서 완성된 형태의 여행용 가방(1)을 이룰 수 있다.
케이스(2)는 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여행용 가방과 같이 2 부분으로 구분되고 지퍼(zipper) 등에 의하여 2 부분의 테두리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케이스(2)는, 서로 한 쌍을 이루는 2 부분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조립되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먼저 성형된 멀티레이어시트(3)가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지는 것인데, 멀티레이어시트(3)는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케이스(2)는 프레스성형의 금형에 따라 다양하게 굴곡지거나 굽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는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2)를 이루는 멀티레이어시트(3)로서, 기본적으로 제1 원단(10),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원단(10)은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13)이 구비된다. 즉 제1 원단(10)은 얇은 천의 형태를 이루고, 어느 한쪽 면에서 다른 한쪽 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3)이 구비되고, 이러한 관통공(13)은 제1 원단(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반복배열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 원단(10)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원단(10)이 직물로 이루어질 때, 제1 원단(10)을 이루는 섬유로서 경사(11)(경사(11) 자체가 다수의 섬유가닥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와 위사(12)(위사(12) 자체가 다수의 섬유가닥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가 서로 위아래로 반복하여 교차하여 짜여지며, 경사(11)와 위사(12)가 격자 형태를 이루면서 관통된 구멍인 관통공(13)이 반복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관통공(13)은 폭(제1 원단(10)이 격자를 이룰 때, 관통공의 한 변의 길이)이 0.5~20mm 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폭이 1~3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원단(10)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지(20)는 제1 원단(10)의 일측면에서 제1 원단(10)과 적층되고, 제1 원단(10)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제1 수지(20)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수지(20)가 제1 원단(1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원단(10)과 더욱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원단(10)은 다수의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수지(20)의 입자가 제1 원단(10)을 이루는 섬유가닥 사이로 침투하여 양자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수지(20)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지(30)는 제1 수지(20)의 반대쪽에서 제1 원단(10)에 적층되고, 제1 원단(10)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이때 제1 수지(20)와 제2 수지(30)는 제1 원단(10)의 관통공(13)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제2 수지(30)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수지(30)가 제1 원단(10) 및 제1 수지(2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원단(10) 및 제1 수지(20)와 더욱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원단(10)은 다수의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 수지(30)의 입자가 제1 원단(10)을 이루는 섬유가닥 사이로 침투하여 양자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 수지(30)는 제1 원단(10)의 관통공을 통하여 제1 수지(20)와 접촉 및 결합됨으로써,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 간에 매우 안정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2 수지(30)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는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지(20) 및/또는 제2 수지(30) 가 투명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1 원단(10)과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가 치밀하게 결합되고 멀티레이어시트(3)의 조밀도 및 강도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제1 원단(10) 고유의 색상(칼라)이 제1 수지(20) 및/또는 제2 수지(30)를 통하여 나타남으로써, 일반적인 압출방식으로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혼합하거나 적용하여 칼라를 착색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원단(10)이 멀티레이어시트(3)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가 제1 원단(10)의 양쪽에 코팅되어 위치함으로써, 멀티레이어시트(3) 전체의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월등히 높아지고 유리해질 뿐만 아니라, 제1 수지(20) 및/또는 제2 수지(30)가 투명하게 이루어질 때 제1 원단(10) 특유의 미려함(경사 및 위사의 교차재직에 따른 원단 특유의 조직형태와 패턴 등)과 자연스러움이 제조된 케이스에서 그대로 드러나고 묻어날 수 있으며,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을 줄이더라도 우수한 품질의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가 모두 동일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순히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여행용 가방과 비교할 때, 제품의 가격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 등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충격강화제 등을 첨가할 필요가 없고, 마스터배치 또한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량생산성 및 산업상이용가능성 측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과 가방의 조작성(이동성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 PC 등으로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경우 충격으로 인하여 구겨지거나 찢어지거나 함몰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였고, 이때 복원이 불가능하며, 복원되더라도 백선(백화) 또는 구겨진 자국 등의 파손흔적이 영구적으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멀티레이어시트(3)에서 제1 원단(10)이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 사이에 위치하면서 다층구조를 이룸으로써, 외부의 충격시 멀티레이어시트(3) 또는 케이스의 찢어짐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하여 구겨지거나 함몰되는 경우에도 즉시 본래대로 복원될 수 있으며, 화이트닝마크의 형성 가능성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단(10),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단(40) 및/또는 제3 원단(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수지층(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최종적으로 케이스(2)를 제조하는 장치이며, 케이스 제조장치(100)에 의한 케이스(2)의 제조과정에서 상술한 멀티레이어시트(3) 또한 만들어지게 된다.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제1 원단공급부(110), 제1 수지공급부(210),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2 수지공급부(220),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제5 롤러(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원단공급부(110)는 제1 원단(10)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제1 원단(10)은 원단의 형태로 제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로 공급되며, 제1 원단공급부(110) 이전에 제1 원단(10)이 권취되는 별도의 드럼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원단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제1 원단(10)은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로 연속하여 공급되며, 특히 제2 롤러(320) 외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공급된다.
제1 수지공급부(210)는 압출기(extruder)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열되어 용융된 제1 수지(20)를 직하방향으로 토출하며, 토출되는 제1 수지(20)가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1 수지공급부(210)의 노즐은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의 경계 바로 위쪽에 위치하며, 제1 수지공급부(210)의 노즐을 통하여 토출되는 제1 수지(20)가 중력에 의하여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에 제공되도록 한다.
제1 수지공급부(210)는 각 롤러(310, 320, 330, 340, 350)의 회전축(311, 321, 331, 341, 351)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수지공급부(210)의 노즐 또한 각 롤러(310, 320, 330, 340, 350)의 회전축(311, 321, 331, 341, 351)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롤러(310) 및 제2 롤러(320)는 통상의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롤러(310)의 회전축(311)과 제2 롤러(320)의 회전축(321)은 서로 평행을 이룬다. 도 2를 기준으로 제1 롤러(3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롤러(3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아니고, 양자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이격되며, 이러한 틈을 통하여 제1 원단(10)과 제1 수지(20)가 적층되어 통과하면서 서로 결합된다.
제1 수지공급부(210)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제1 수지(20)의 두께를 t1, 제1 원단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제1 원단(10)의 두께를 t2,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가 이루는 틈을 t3라고 할 때, t3는 t1과 t2의 합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제1 수지(20)는 제1 롤러(310)에 직접 접촉하고 제1 원단(10)은 제2 롤러(320)에 직접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가 이루는 틈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 수지(20)와 제1 원단(10)이 서로 결합되어 일정 구간에서 제2 롤러(320) 외주면 상에 밀착되게 된다.
제2 수지공급부(220)는 압출기(extruder)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열되어 용융된 제2 수지(30)를 직하방향으로 토출하며, 토출되는 제2 수지(30)가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 사이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2 수지공급부(220)의 노즐은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의 경계 바로 위쪽에 위치하며, 제2 수지공급부(220)의 노즐을 통하여 토출되는 제2 수지(30)가 중력에 의하여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 사이에 제공되도록 한다.
제2 수지공급부(220)는 각 롤러(310, 320, 330, 340, 350)의 회전축(311, 321, 331, 341, 351)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수지공급부(220)의 노즐 또한 각 롤러(310, 320, 330, 340, 350)의 회전축(311, 321, 331, 341, 351)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는 통상의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 롤러(330)의 회전축(331)과 제4 롤러(340)의 회전축(341)은 서로 평행을 이룬다. 도 2를 기준으로 제3 롤러(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4 롤러(3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아니고, 양자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이격되며, 이러한 틈을 통하여 서로 적층된 제1 수지(20)와 제1 원단(10)에 제2 수지(30)가 더 적층되어 통과하면서 서로 결합된다.
제1 수지공급부(210)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제1 수지(20)의 두께를 t1, 제1 원단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제1 원단(10)의 두께를 t2, 제2 수지공급부(220)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제2 수지(30)의 두께를 t4,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가 이루는 틈을 t5라고 할 때, t5는 t1, t2 및 t4의 합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제1 원단(10)에 결합된 제1 수지(20)는 제3 롤러(330)에 직접 접촉하고 제2 수지(30)는 제4 롤러(340)에 직접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며,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가 이루는 틈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가 서로 결합되어 일정 구간에서 제4 롤러(340) 외주면 상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를 통과하면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는 순서대로 적층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제1 원단(10)의 관통공(13)을 통하여 제1 수지(20)와 제2 수지(30)가 서로 강하게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는 연속하여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제2 롤러(320)와 제3 롤러(330) 사이를 통하여 서로 적층된 제1 수지(20)와 제1 원단(10)이 통과하게 되는데, 제2 롤러(320)와 제3 롤러(330) 사이의 틈은,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의 틈보다 넓거나 같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롤러(350)는 통상의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4 롤러(340)와 인접하여 배열되며 제4 롤러(34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5 롤러(350)의 회전축(351)과 제4 롤러(340)의 회전축(341)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도 2를 기준으로 제4 롤러(3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5 롤러(3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제4 롤러(340) 및 제5 롤러(350)는 연속하여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5 롤러(350)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적층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는 제4 롤러(340)의 외주면에 충분히 밀착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용융된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와 제1 원단(10) 간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제4 롤러(340) 및 제5 롤러(350) 각 표면은 가열되어 각각 일정한 수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각 롤러(310, 320, 330, 340, 350) 내부에는 열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제2 롤러(320)의 표면온도는 제1 롤러(310)의 표면온도보다 높고,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의 표면온도는 제2 롤러(320)의 표면온도보다 높으며, 제5 롤러(350)의 표면온도는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의 표면온도보다 높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롤러(310)의 표면온도는 70℃ 내외, 제2 롤러(320)의 표면온도는 75℃ 내외,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의 표면온도는 80℃ 내외, 제5 롤러(350)의 표면온도는 90℃ 내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멀티레이어시트(3)가 제조되는 방향(제1 원단(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온도가 점차 높아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온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제4 롤러(340) 및 제5 롤러(350)를 거치면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의 온도가 크게 감소함이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할 수 있어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 간의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가 의도하지 않게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제1 롤러(310)의 표면온도보다 제2 롤러(320)의 표면온도가 다소 높게 이루어짐으로써 제1 원단(10)의 두께에 의하여 손실되는 온도를 보상하여 제1 수지(20)의 양쪽 표면에 균등한 범위의 온도가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수지(20)와 제2 수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원단(10)의 색상 및 질감 등이 제1 수지(20) 및/또는 제2 수지(30)를 통하여 외부에 보여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레이어시트(3)의 제조 후 별도의 도색 등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여행용 가방(1)의 색상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공정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제1 원단(10)의 모양(예컨대, 직조된 모양)이 자연스럽게 표현됨으로써 제품(여행용 가방(1))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는,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또한 제5 롤러(350))를 거치면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가 서로 결합되게 되며, 이에 따라 멀티레이어시트(3)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제4 롤러(340) 및 제5 롤러(350)를 거친 후 멀티레이어시트(3)는 이송되면서 냉각되고, 이후 각각의 케이스(2)의 제조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행용 가방(1)의 케이스(2)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가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고 제1 원단(10)의 관통공(13)을 통하여 제1 수지(20)와 제2 수지(30)가 결합됨으로써, 제1 원단(10)의 표면에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가 골고루 흡수 및 코팅되고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가 서로 치밀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원단(10) 고유의 색상이 제1 수지(20) 또는/및 제2 수지(30)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조밀도,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한 케이스(2)를 제조할 수 있으며, 멀티레이어시트(3) 및 케이스(2)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 원단(10)이 포함됨으로써 전체적인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더욱 우수한 멀티레이어시트(3) 및 케이스(2)를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멀티레이어시트(3)를 프레스가공하여 케이스(2)를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소성 변형시 파손율을 줄일 수 있으며, 케이스(2)의 제조시 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는 멀티레이어시트(3)가 선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나, 멀티레이어시트(3)는 각 롤러(310, 320, 330, 340, 350)의 회전축(311, 321, 331, 341, 351) 방향으로 폭을 가짐은 물론이다.
도 5는 멀티레이어시트(3)의 적층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원단(10), 제2 원단(40), 제3 원단(50),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도 5에 도시된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상술한 제1 원단공급부(110), 제1 수지공급부(210),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2 수지공급부(220), 제3 롤러(330), 제4 롤러(340) 및 제5 롤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제2 원단공급부(120) 및 제3 원단공급부(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설명되는 제1 원단공급부(110), 제1 수지공급부(210),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2 수지공급부(220), 제3 롤러(330), 제4 롤러(340), 제5 롤러(350), 제1 원단(10),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는,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원단공급부(120)는 제2 원단(40)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구성이고, 여기서 제2 원단(40)은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43)이 구비된다. 즉 제2 원단(40)은 얇은 천의 형태를 이루고, 어느 한쪽 면에서 다른 한쪽 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3)이 구비되고, 이러한 관통공(43)은 제2 원단(4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반복배열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2 원단(40)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원단(40)은 제1 원단(10)과 그 소재, 크기 및 모양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2 원단(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 원단(1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2 원단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제2 원단(40)은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로 연속하여 공급되고,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를 통과한 후 제2 롤러(320)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동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제2 원단(40)은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로 공급됨에 있어서, 제1 수지(20)를 기준으로 제1 원단(10)과 반대쪽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제2 원단(40)이 제1 롤러(310)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하고 제1 수지(20)는 제2 원단(40)과 제1 원단(1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제2 원단(40) 및 제1 원단(10)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수지공급부(210)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제1 수지(20)의 두께를 t1, 제1 원단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제1 원단(10)의 두께를 t2, 제2 원단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제2 원단(40)의 두께를 t6,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가 이루는 틈을 t3'라고 할 때, t3'는 t1, t2 및 t6의 합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원단(40)과 제1 수지(20) 간의 결합은, 상술한 제1 원단(10)과 제1 수지(20) 간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320) 사이의 틈을 통과하면서 제2 원단(40), 제1 수지(20) 및 제1 원단(10)은 순서대로 적층되어 결합되고, 이후 제2 롤러(3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일정 구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2 롤러(320)의 표면온도는 제1 롤러(310)의 표면온도보다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제1 롤러(310) 및 제2 롤러(320)의 표면온도 모두 70℃ 내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원단공급부(130)는 제3 원단(50)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구성이고, 여기서 제3 원단(50)은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53)이 구비된다. 즉 제3 원단(50)은 얇은 천의 형태를 이루고, 어느 한쪽 면에서 다른 한쪽 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53)이 구비되고, 이러한 관통공(53)은 제3 원단(5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반복배열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3 원단(50)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원단(50)은 제1 원단(10)과 그 소재, 크기 및 모양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3 원단(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 원단(1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3 원단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제3 원단(50)은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 사이로 연속하여 공급되고,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 사이를 통과한 후 제4 롤러(340)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 제3 원단(50)은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 사이로 공급됨에 있어서, 제2 수지(30)를 기준으로 제1 원단(10)과 반대쪽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제3 원단(50)이 제4 롤러(340)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하고 제2 수지(30)는 제1 원단(10)과 제3 원단(5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제1 원단(10) 및 제3 원단(50)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수지공급부(210)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제1 수지(20)의 두께를 t1, 제1 원단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제1 원단(10)의 두께를 t2, 제2 수지공급부(220)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제2 수지(30)의 두께를 t4, 제2 원단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제2 원단(40)의 두께를 t6, 제3 원단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제3 원단(50)의 두께를 t7,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가 이루는 틈을 t5'라고 할 때, t5'는 t1, t2, t4, t6 및 t7의 합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원단(50)과 제2 수지(30) 간의 결합은, 상술한 제1 원단(10)과 제2 수지(30) 간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3 롤러(330)와 제4 롤러(340) 사이의 틈을 통과하면서 제2 원단(40), 제1 수지(20), 제1 원단(10), 제2 수지(30) 및 제3 원단(50)은 순서대로 적층되어 결합되고, 이후 제4 롤러(34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일정 구간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에서는,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또한 제5 롤러(350))를 거치면서 제2 원단(40), 제1 수지(20), 제1 원단(10) 및 제2 수지(30)가 서로 결합되게 되며, 이에 따라 멀티레이어시트(3)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또한 제5 롤러(350))를 거치면서 제1 수지(20), 제1 원단(10), 제2 수지(30) 및 제3 원단(50)이 서로 결합되게 되며, 이에 따라 멀티레이어시트(3)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롤러(310), 제2 롤러(320), 제3 롤러(330) 및 제4 롤러(340)(또한 제5 롤러(350))를 거치면서 제2 원단(40), 제1 수지(20), 제1 원단(10), 제2 수지(30) 및 제3 원단(50)이 서로 결합되게 되며, 이에 따라 멀티레이어시트(3)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레이어시트(3)는 제2 원단(40) 및/또는 제3 원단(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견고한 멀티레이어시트(3), 케이스(2) 및 여행용 가방(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제품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수지(20) 및 제2 수지(30)가 투명하게 이루어질 때, 제2 원단(40) 및/또는 제3 원단(50)이 제1 원단(10)과 중첩되면서 독특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미려한 멀티레이어시트(3), 케이스(2) 및 여행용 가방(1)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4 롤러(340) 및 제5 롤러(350)를 거친 후 멀티레이어시트(3)는 이송되면서 냉각되고, 이후 각각의 케이스(2)의 제조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제1 수지공급부(210) 및 제2 수지공급부(220) 이외에 별도의 수지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되는 멀티레이어시트(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수지층(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시트클램프(400), 예열기(500) 및 성형기(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레이어시트(3)의 제조가 이루어진 후 일련의 연속된 멀티레이어시트(3)는 냉각된 후 각각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멀티레이어시트(3)는 각각 케이스(2)로 성형된다. 멀티레이어시트(3)는 사각판 형태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클램프(400)는 멀티레이어시트(3)의 테두리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진다.
시트클램프(400)는 제1 클램프(410)와 제2 클램프(42)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클램프(410)와 제2 클램프(420)는 각각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각형으로 절단된 멀티레이어시트(3)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제1 클램프(410)와 제2 클램프(420) 사이에 사각형의 멀티레이어시트(3)의 테두리가 개재됨)
제1 클램프(410)와 제2 클램프(420)는 어느 한 쪽 모서리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예열기(500)는 시트클램프(400)가 삽입되는 슬롯(510)이 다수 개로 구비되고,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어 순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예열기(500)는 시트클램프(400)에 고정된 멀티레이어시트(3)가 다수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예열기(500)에서 다수의 슬롯(510)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이루어지고, 각 슬롯(510)은 연직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예열기(500) 내부에서 열풍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열기(500) 내부에서 열풍의 순환을 위하여, 보일러 및 송풍기가 예열기(5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예열기(500)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시트클램프(400)가 일정하게 가열되게 된다.
예열기(500) 내부에서 가열된 멀티레이어시트(3)는 시트클램프(400)에 고정된 상태로 다시 예열기(500)에서 인출되며, 이후 성형기(600)를 통하여 케이스(2) 모양으로 성형된다.
성형기(600)는 통상의 프레스성형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멀티레이어시트(3)를 중간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서로 조합되는 제1 금형(610)과 제2 금형(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여행용 가방 2 : 케이스
3 : 멀티레이어시트 4 : 손잡이
5 : 바퀴
10 : 제1 원단 20 : 제1 수지
30 : 제2 수지 40 : 제2 원단
50 : 제3 원단
100 : 케이스 제조장치
110 : 제1 원단공급부 120 : 제2 원단공급부
130 : 제3 원단공급부
210 : 제1 수지공급부 220 : 제2 수지공급부
310 : 제1 롤러 320 : 제2 롤러
330 : 제3 롤러 340 : 제4 롤러
350 : 제5 롤러 400 : 시트클램프
500 : 예열기 600 : 성형기

Claims (9)

  1. 멀티레이어시트를 제조한 후,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이루도록,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를 프레스성형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 원단;
    용융되어 토출된 후 상기 제1 원단과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는 제1 수지; 및
    용융되어 토출된 후 상기 제1 수지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원단에 적층되고 상기 제1 원단의 표면에 흡수 및 코팅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지와 결합되는 제2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단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단, 제1 수지 및 제2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원단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수지에 적층되는 제2 원단; 및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원단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2 수지에 적층되는 제3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및 제2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4. 삭제
  5. 멀티레이어시트를 제조한 후,
    소성가공되면서 그 형태가 만들어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를 이루도록, 상기 멀티레이어시트를 프레스성형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케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제조장치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1 원단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1 원단공급부;
    용융된 제1 수지를 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1 수지공급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사이로 상기 제1 원단과 제1 수지를 서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키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용융된 제2 수지를 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2 수지공급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사이로 상기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를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키되,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지와 제2 수지가 결합되도록 합지시키는 제3 롤러 및 제4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를 거친 후 상기 제1 수지, 제1 원단 및 제2 수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멀티레이어시트를 프레스가공하는 성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지공급부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1 수지의 두께를 t1, 상기 제1 원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 원단의 두께를 t2, 상기 제2 수지공급부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2 수지의 두께를 t4, 상기 제3 롤러와 제4 롤러가 이루는 틈을 t5라고 할 때, t5는 t1, t2 및 t4의 합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단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단, 제1 수지 및 제2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수지와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원단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제1 원단과 적층된 상기 제1 수지와 직접 적촉하고,
    상기 제4 롤러는 상기 제2 수지와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제3 롤러 및 제4 롤러는 연속하여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제조장치는, 상기 제4 롤러와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4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온도는 상기 제1 롤러의 표면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의 표면온도는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5 롤러의 표면온도는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의 표면온도보다 높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제조장치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2 원단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2 원단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그 사이로 상기 제2 원단, 제1 수지 및 제1 원단을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제조장치는, 섬유의 결합으로 원단을 이루되 원단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제3 원단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제3 원단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롤러 및 제4 롤러는, 그 사이로 상기 제2 원단, 제1 수지, 제1 원단, 제2 수지 및 제3 원단을 순서대로 적층되도록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0160162858A 2016-06-16 2016-12-01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798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58A KR101798512B1 (ko) 2016-12-01 2016-12-01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EP17813606.5A EP3473129A4 (en) 2016-06-16 2017-06-15 MULTILAYER FILM WITH FABRIC AND RESIN, TRAVEL BAG THEREOF AND DEVICE FOR PRODUCING IT
US16/310,347 US20200093234A1 (en) 2016-06-16 2017-06-15 Multilayer sheet comprising fabric and resin, travel bag case made therefrom,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CN201780034741.3A CN109310190A (zh) 2016-06-16 2017-06-15 含纤维和树脂的多层片材、由此制成的旅行箱、制造设备
PCT/KR2017/006243 WO2017217783A1 (ko) 2016-06-16 2017-06-15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58A KR101798512B1 (ko) 2016-12-01 2016-12-01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037A Division KR101691178B1 (ko) 2016-06-16 2016-06-16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512B1 true KR101798512B1 (ko) 2017-11-16

Family

ID=6080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858A KR101798512B1 (ko) 2016-06-16 2016-12-01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5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5178A (ja) * 1999-01-29 2002-10-22 エイティーオー・フィンドレ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ラストマー系積層品の高強度貫通結合法
JP3191994U (ja) 2014-03-06 2014-07-24 美麗 王 プラスチック生地縫製結合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5178A (ja) * 1999-01-29 2002-10-22 エイティーオー・フィンドレ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ラストマー系積層品の高強度貫通結合法
JP3191994U (ja) 2014-03-06 2014-07-24 美麗 王 プラスチック生地縫製結合部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만특허공보대만 실용신안공보 TWM522610U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3234A1 (en) Multilayer sheet comprising fabric and resin, travel bag case made therefrom,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CN102107528B (zh) 由自增强热塑材料制造塑性元件的方法和装置及其生产的塑性元件
JP7037200B2 (ja) ニードルパンチ不織布の製造方法
JP3035555B2 (ja) かばんのための熱成形シェルを作成する方法
US3442736A (en) Process for laminating thermoplastic particles to a surface
JPS58500488A (ja) 成形可能なファイバ−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ァイバ−マットから成形した製品
US11046041B2 (en) Decorative sheet, emboss processing method and emboss processing mold
KR101691178B1 (ko)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및 그 제조장치
JP2014166702A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KR101798512B1 (ko) 원단과 수지를 포함하는 멀티레이어시트, 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70074903A (ko) 인조 가죽 폴리우레탄 복합재의 치수 강화
TWI801367B (zh) 用於行李物件之雙軸取向熱塑性聚合物積層膜及其製造方法
KR101527375B1 (ko) 장식문양을 갖는 인조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제품
KR101228132B1 (ko) 리본형 직물 및 리본형 직물의 제조방법
JP3223851U (ja) 積層熱成形品
JP5674559B2 (ja) 網状体、網状体の製造方法、及び包装袋
US10618347B2 (en) Film three-dimensional mesh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7104987A (ja) 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強化樹脂積層シート
JPH0796792A (ja) 成形敷設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1684A (ja) 樹脂中空成形品のブロー成形方法
TW201825738A (zh) 網布布料之製法及網布布料
KR20170078298A (ko) 합성피혁용 복합시트
CN114851674A (zh) 一种复合型再生防水布料制造方法、再生防水布料及制品
JP2001259264A (ja) 皮革類の賦形方法
JPH04216928A (ja) 熱成形用合成樹脂製ダンボール板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