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630B1 -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630B1
KR101797630B1 KR1020110066808A KR20110066808A KR101797630B1 KR 101797630 B1 KR101797630 B1 KR 101797630B1 KR 1020110066808 A KR1020110066808 A KR 1020110066808A KR 20110066808 A KR20110066808 A KR 20110066808A KR 101797630 B1 KR101797630 B1 KR 10179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trenches
conductive
interlay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433A (ko
Inventor
신대규
이보미
이기홍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6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88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판 상에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을 교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을 식각하여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벽에 노출된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을 일부 두께 리세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이 리세스된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면을 따라 전하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의 리세스 영역이 매립되도록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면을 따라 제2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저면은 노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상부 내벽 및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 사이의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의 상부에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렌치의 개구부에 버퍼막을 형성한 후에 트렌치 저면의 전하차단막 및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을 제거하므로, 상부의 플로팅 게이트 및 전하차단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3D STRUCTURED NON-VOLATILE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그대로 유지되는 메모리 소자이다. 최근 실리콘 기판상에 단층으로 메모리 소자를 제조하는 2차원 구조의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 향상이 한계에 도달함에 따라, 실리콘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메모리 셀을 적층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제안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영역(미도시됨)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복수의 층간절연막들(11) 및 도전막(12)을 교대로 형성한 후, 이를 식각하여 기판(10)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어서, 트렌치 내벽에 게이트 절연막(13)을 형성한 후, 채널용 막을 매립하여 채널(CH)을 형성한다. 이로써, 하부 선택 트렌치스터(LST)가 형성된다.
이어서, 하부 선택 트랜지스트(LST)가 형성된 결과물 상에 복수의 층간절연막들(14) 및 복수의 도전막들(15)을 교대로 형성한다. 여기서, 적층되는 층간절연막(14) 및 도전막(15)의 개수는 적층하고자 하는 메모리 셀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어서, 복수의 층간절연막들(14) 및 복수의 도전막들(15)을 식각하여 하부 선택 트랜지스터(LST)의 채널(CH)을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어서, 트렌치 내벽에 전하차단막, 전하트랩막 및 터널절연막(16)을 차례로 형성한 후, 채널용 막을 매립하여 채널(CH)을 형성한다. 여기서, 전하트랩막은 전하를 트랩/방출하여 데이터를 저장/소거하기 위한 일종의 데이터 저장소로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질화막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복수의 메모리 셀(MC)들이 형성된다.
이어서, 복수의 메모리 셀(MC)들 상에 복수의 층간절연막들(17) 및 도전막(18)을 교대로 형성한 후, 이를 식각하여 메모리 셀(MC)의 채널(CH)을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어서, 트렌치 내벽에 게이트 절연막(19)을 형성한 후, 채널용 막을 매립하여 채널(CH)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부 선택 트랜지스터(UST)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메모리 셀(MC)들은 하부 선택 트랜지스터(LST) 및 상부 선택 트랜지스터(UST)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스트링(ST)을 구성하며, 각 채널(CH)은 비트라인(BL)과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3차원 구조의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에 전하를 주입/방출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로팅 게이트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비해 특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플로팅 게이트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비해 프로그램/소거 동작의 속도가 느리고, 데이터 보유 특성이 나쁘다. 더욱이,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구조적 특성상, 채널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의 전하트랩막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보유 특성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3차원 구조를 갖는 플로팅 게이트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판 상에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을 교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을 식각하여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벽에 노출된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을 일부 두께 리세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이 리세스된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면을 따라 전하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의 리세스 영역이 매립되도록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면을 따라 제2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저면은 노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상부 내벽 및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 사이의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의 상부에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구조의 플로팅 게이트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3차원 구조의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비해 메모리 소자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메모리 셀에 하나의 플로팅 게이트 전극 및 두 개의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포함시킴으로써, 저전압의 프로그램 전압 및 소거 전압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을 보다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하차단막이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간섭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렌치의 개구부를 덮는 버퍼막을 형성한 후에 트렌치의 저면의 전하차단막 및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을 제거하므로, 상부의 플로팅 게이트 및 전하차단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가 손상되어 상부 메모리 셀의 커플링 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형성된 전하차단막이 손상되어 플로팅 게이트와 콘트롤 게이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3차원 구조의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정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 상에 제1 층간절연막(21)을 형성한 후 제1 층간절연막(21) 상에 파이프 게이트(22)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층간절연막(21)은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파이프 게이트(22)는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파이프 게이트(22)를 식각하여 제1 트렌치(T1)를 형성한 후, 제1 트렌치(T1) 내에 희생막(23)을 매립한다. 여기서, 제1 트렌치(T1)는 파이프 채널의 형성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희생막(23)은 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희생막(23)이 매립된 결과물의 전체 구조 상에 복수의 제2 층간절연막들(24)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25)을 교대로 형성한다.
제2 층간절연막(24)은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상호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최상부의 제2 층간절연막(24)은 후속 평탄화 공정시 식각 정지막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하부의 제2 층간절연막들(24)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막(25)은 워드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층간절연막들(24)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25)을 식각하여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을 형성한다. 이때, 한 쌍의 제2 트렌치들(T2)이 하나의 제1 트렌치(T1)에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트렌치(T2)의 내벽에 노출된 복수의 제2 층간절연막들(24)을 일부 두께 리세스하여 제2 트렌치(T2)의 내벽에 요철을 형성한다. 본 도면에서는 식각된 제2 층간절연막을 도면 부호 "24A"로 나타내고, 내벽에 요철이 형성된 제2 트렌치를 도면 부호 "T2'"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제1 층간절연막들(24A)의 리세스된 영역은 후속 공정에서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따라서, 플로팅 게이트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1 층간절연막(24A)을 식각하며, 예를 들어,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1 층간절연막(24A)을 250 내지 500Å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층간절연막들(24)이 일부 두께 리세스된 결과물의 전면을 따라 전하차단막(26)을 형성한다. 전하차단막(26)은 플로팅 게이트에 저장된 전하가 콘트롤 게이트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 유전상수 물질 또는 산화막, 질화막 및 산화막이 적층된 ONO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전하차단막(26)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을 따라 제2 도전막(27)을 형성한다. 제2 도전막(27)은 전하차단막(26)이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24A)의 리세스 영역에 매립된다. 제2 도전막(27)은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막(27)은 100 내지 5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2 트렌치(T2')의 개구부를 덮되 제2 트렌치(T2')의 저면을 노출시키는 버퍼막(28)을 형성한다. 여기서, 버퍼막(28)은 후속 전면 건식 식각 공정에서 일종의 보호막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2 트렌치(T2')의 내부가 중공이 되도록 형성된다.
후속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은 제2 트렌치(T2')의 저면에 형성된 제2 도전막(27) 및 전하차단막(26)을 제거하여 하부의 희생막(23)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인데, 식각 공정시 제2 트렌치(T2')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도전막(28) 및 전하차단막(26)이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제2 트렌치(T2')의 개구부 또는 최상부의 제1 도전막(25)이 돌출된 영역에서 제2 도전막(28)의 돌출된 모서리(A)가 전면 건식 식각 공정에서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버퍼막(28)은 제2트렌치(T2')의 요철에 의한 제2 도전막(27)의 모서리(A)를 덮도록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개구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1 도전막들(25) 중 최상부의 제1 도전막(25)이 형성된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퍼막(28)은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어깨(shoulder) 영역, 다시 말해,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상부 내벽 및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 사이의 복수의 제2 층간절연막들(24A)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25)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막(28)은 물질의 특성상 스텝 커버리지가 좋지 않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버퍼막(28)은 USG(Undoped Silicate Glass), 플라즈마 인핸스드(Plasma Enhanced) 방식으로 형성된 PE-TEOS막 및 실란(Silane) 가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HDP막 중 하나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퍼막(28)은 300 내지 10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28)은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가 50% 이하인 조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탑(top) 영역에 비해 사이드(side) 영역에 증착되는 양이 50% 이하인 조건에서 버퍼막(2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타입의 챔버에서 400 내지 600℃의 온도, 3 내지 5 Torr의 압력의 증착 속도가 빠른 조건을 이용하여 버퍼막(28)을 형성함으로써, 제2 트렌치(T2')의 상부에 한해 버퍼막(28)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저면에 형성된 제2 도전막(27) 및 전하차단막(26)을 제거한다.
이때, 버퍼막(28)에 의해 복수의 제2 트렌치들의 상부 내벽에 형성된 전하차단막(26) 및 제2 도전막(27)을 보호하면서,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저면에 형성된 제2 도전막(27) 및 전하차단막(26)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전면 건식 식각 공정에서 복수의 제2 트렌치들의 상부 내벽에 형성된 전하차단막(26) 및 제2 도전막(27)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저면에 형성된 제2 도전막(27) 및 전하차단막(26)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버퍼막(28)이 함께 제거된다. 즉, 전면 건식 식각 공정에서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상부 내벽에 형성된 제2 도전막(27) 및 전하차단막(26)이 식각되는 대신에 버퍼막(28)이 식각된다. 따라서, 전면 건식 식각 공정 이후에 버퍼막(28) 제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도면에서는 식각된 전하차단막을 도면 부호 "26A"로 나타내고, 식각된 제2 도전막을 도면 부호 "27A"로 나타내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복수의 제2 트렌치들(T2')의 내벽에 잔류하는 제2 도전막(27A)을 식각하여, 제2 층간절연막(24A)의 리세스 영역에 매립된 제2 도전막(27A)을 각각 분리시킨다. 이로써, 기판(20) 상에 적층된 복수의 플로팅 게이트들(27B)이 형성된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트렌치들(T2') 저면에 노출된 희생막(23)을 제거한 후, 제1 트렌치(T1) 및 한 쌍의 제2 트렌치들(T2')의 내면에 터널절연막(29)을 형성한다. 여기서, 터널절연막(29)은 전하의 F-N 터널링(Fowler-Nordheim tunneling)을 위한 에너지 장벽막으로 제공되며,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트렌치(T1) 및 한 쌍의 제2 트렌치(T2')가 완전히 매립되도록 터널절연막(29)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체 구조 상에 제1 채널막(30)을 형성한 후,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다. 이로써, 기판(20) 상에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메모리 셀은 하나의 플로팅 게이트(27B) 및 두 개의 콘트롤 게이트를 포함한다. 즉, 플로팅 게이트(27B)는 플로팅 게이트(27B)의 상, 하부에 형성된 콘트롤 게이트에 의해 제어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도전막(25)이 콘트롤 게이트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최상부 제2 층간절연막(24A)이 일부 두께 식각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평탄화 공정에서 식각된 최상부 제2 층간절연막을 도면 부호 "24B"로 나타내었다.
이어서, 평탄화 공정이 완료된 결과물의 전체 구조 상에 제3 도전막(31) 및 제3 층간절연막(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3 도전막(31)은 선택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층간절연막(32)은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층간절연막(32) 및 제3 도전막(31)을 식각하여 채널막(30)을 노출시키는 제3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어서, 제3 트렌치의 내벽에 게이트 절연막(33)을 형성한 후, 제3 트렌치 내에 제2 채널막(34)을 형성한다. 이로써, 기판(20) 상에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 상부에 선택 게이트가 형성된다.
이어서, 한 쌍의 제2 트렌치들(T2') 사이의 제3 층간절연막(32), 제3 도전막(31), 복수의 제1 도전막들(24A) 및 복수의 제2 층간절연막들(24A, 24B)을 식각하여 소스 사이드 워드라인과 드레인 사이드 워드라인을 분리시키는 슬릿을 형성한다. 이어서, 슬릿 내에 절연막(35)을 매립한다.
본 도면에서는 제3 트렌치 및 슬릿 형성 과정에서 식각된 제3 층간절연막을 도면 부호 "32A"로 나타내고, 식각된 제3 도전막을 도면 부호 "31A"로 나타내고, 식각된 제1 도전막을 도면 부호 "24B"로 나타내고, 식각된 제2 층간절연막을 도면 부호 "24B" 또는 "24C"로 나타내었다.
이어서, 선택 게이트의 상부에 소스 라인(SL) 및 비트 라인(BL)을 형성한다.
이로써, 하나의 메모리 셀이 하나의 플로팅 게이트 전극 및 두 개의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콘트롤 게이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메모리 셀을 구동시키는 경우, 저전압의 프로그램 전압 및 소거 전압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을 보다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하차단막이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간섭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트렌치의 상부에 버퍼막을 형성함으로써, 제2 트렌치 저면의 제2 도전막 및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2 트렌치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도전막 및 전하차단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소자의 커플링 비(coupling ratio)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셀 분포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중심 영역이 오픈된 관통형 타입의 채널을 구비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채널 외의 구성들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널막(36) 및 제2 채널막(38)은 중심 영역이 오픈되도록 형성된다. 오픈된 제1 채널막(36)의 중심 영역에는 제1 절연막(37)이 매립되고, 오픈된 제2 채널막(38) 내에는 제2 절연막(39)이 매립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메모리 셀의 채널은 중심 영역이 오픈된 형태로 형성되고, 선택 게이트의 채널은 중심영역이 매립된 형태로 형성된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채널 외의 구성들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널막(40)은 중심 영역이 오픈되도록 형성되며, 오픈된 제1 채널막(40)의 중심 영역에는 제1 절연막(41)이 매립된다. 또한, 제2 채널막(42)은 중심영역까지 완전히 매립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선택 게이트의 제2 채널막(42)이 중심영역까지 완전히 매립되도록 형성하는 경우, 소스 라인(SL) 및 비트라인(BL)의 콘택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기판 11, 14, 17: 층간절연막
12, 15, 18: 도전막 13, 19: 게이트 절연막
16: 전하차단막, 전하트랩막 및 터널절연막
20: 기판 21: 제1 층간절연막
22: 파이프 게이트 23: 희생막
24: 제2 층간절연막 25: 제1 도전막
26: 전하차단막 27: 제2 도전막
28: 버퍼막 29: 터널저연막
30, 36, 40: 제1 채널막 31: 제3 층간절연막
32: 제3 도전막 33: 게이트 절연막
34, 38, 42: 제2 채널막 35: 절연막
37, 41: 제1 절연막 39: 제2 절연막
BL: 비트 라인 SL: 소스 라인

Claims (14)

  1. 기판 상에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을 교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을 식각하여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벽에 노출된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을 일부 두께 리세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이 리세스된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면을 따라 전하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의 리세스 영역이 매립되도록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면을 따라 제2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저면은 노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상부에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상부 내벽 및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 사이의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의 상부에 상기 버퍼막을 형성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상기 복수의 제1 도전막들 중 최상부의 제1 도전막이 형성된 높이까지 형성된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가 50% 이하인 조건에서 형성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USG(Undoped Silicate Glass)로 형성된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상부 내벽에 형성된 상기 전하차단막 및 상기 제2 도전막을 보호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함께 제거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단계 후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들의 내벽에 잔류하는 상기 제2 도전막을 식각하여, 상기 리세스된 영역에 매립된 상기 제2 도전막을 각각 분리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막은 콘트롤 게이트이고 상기 제2 도전막은 플로팅 게이트인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층간절연막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도전막들을 교대로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판 상에 제2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층간절연막 상에 파이프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 게이트를 식각하여 한 쌍의 상기 제1 트렌치들과 연결되는 제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트렌치 내에 희생막을 매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 및 상기 전하차단막을 제거하는 단계 후에,
    상기 희생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제1 트렌치들 및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면에 터널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널절연막 상에 제1 채널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채널막이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제1 트렌치들 및 상기 제2 트렌치 내에 절연막을 매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채널막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제3 도전막 및 제3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3 도전막을 식각하여 제3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3 트렌치의 내벽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2 채널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채널막이 형성된 상기 제3 트렌치 내에 절연막을 매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20110066808A 2011-07-06 2011-07-06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1797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808A KR101797630B1 (ko) 2011-07-06 2011-07-06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808A KR101797630B1 (ko) 2011-07-06 2011-07-06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33A KR20130005433A (ko) 2013-01-16
KR101797630B1 true KR101797630B1 (ko) 2017-11-15

Family

ID=4783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808A KR101797630B1 (ko) 2011-07-06 2011-07-06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1204B (zh) * 2014-09-23 2017-09-29 武汉新芯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3d nand闪存的形成方法
KR102332359B1 (ko) 2015-05-19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33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7527B2 (en) Memory including blocking dielectric in etch stop tier
US1036700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748966B2 (en) Three 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36230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pipe gate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1206508B1 (ko) 3차원 구조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제조방법
US8786004B2 (en) 3D stacked array having cut-off gate lin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10062510A1 (en) 3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49375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66331A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9712980B (zh) 3d存储器件的制造方法及3d存储器件
JP201401138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20130045041A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9243A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778825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vertical semiconductor device
KR10194242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059204B2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103835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00487A (ko) 수직채널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33735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797630B1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1863367B1 (ko) 3차원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130005436A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355006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13360A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US2016017220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