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336B1 - 차량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 - Google Patents

차량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336B1
KR101797336B1 KR1020157029750A KR20157029750A KR101797336B1 KR 101797336 B1 KR101797336 B1 KR 101797336B1 KR 1020157029750 A KR1020157029750 A KR 1020157029750A KR 20157029750 A KR20157029750 A KR 20157029750A KR 101797336 B1 KR101797336 B1 KR 10179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voltage
vehicle
sec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503A (ko
Inventor
무네노리 마츠모토
고오지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5013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10Comprising means for protocol conversion, i.e. format conver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차량 시스템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11a, 11b, 11c)로부터 다른 펄스 패턴 신호를 송신시키는 신호 송신부(11)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10)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 21a)를 구비하는 휴대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탑재 장치 또는 상기 휴대기는,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휴대기 위치 특정부(13, 26)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기는, 각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 전압 변환부(23b)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각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 변화 패턴을, 상기 차량의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1 기억부(23d)와,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의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위치 추정부(23e)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 {VEHICLE SYSTEM, IN-VEHICLE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본 개시는, 2013년 3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3-55245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전파에 응답해서 휴대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당해 휴대기의 위치 특정을 행하는 차량 시스템, 및 그 차량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전파에 응답해서 휴대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휴대기의 위치 특정을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송신 안테나 중 어떤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한 전파에 대하여 휴대기가 응답을 행했는지에 따라, 차량에 대한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휴대기의 위치 특정 정밀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송신 안테나의 개수 증가를 행함과 함께, 각 송신 안테나의 출력 강도의 조정을 세밀하게 실시해서 서로가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휴대기의 위치 특정 정밀도를 올리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비용도 높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84406호 공보
본 개시는, 비용을 보다 억제하면서도, 휴대기의 위치 특정 정밀도를 보다 쉽게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차량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와,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를 갖는다.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송신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킨 펄스 패턴 신호를, 중복되는 타이밍으로 송신시키는 펄스 패턴 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 탑재 장치 및 상기 휴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펄스 패턴 신호의 수신 합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휴대기 위치 특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 전압 변환부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1 기억부와,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위치 추정부를 갖는다.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서의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한다.
차량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송신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킨 펄스 패턴 신호를 중복되는 타이밍으로 수신할 경우, 그들 펄스 패턴 신호가 합성된 상태의 펄스 패턴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 합성된 상태의 펄스 패턴 신호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휴대기의 위치에 따라서 합성 상태가 상이하다. 또한, 펄스 패턴 신호는, 송신 안테나에 따라 송신 주파수가 상이하므로, 휴대기의 위치에 따라서 주파수 성분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도, 휴대기의 위치에 따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차량에 대한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고정밀도로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송신 안테나의 송신 주파수를 상이하게 하므로, 각 송신 안테나의 출력 강도의 조정을 세밀하게 실시해서 서로가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없다. 또한, 합성된 상태의 펄스 패턴 신호는, 송신 안테나의 수가 적어도 휴대기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므로, 송신 안테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휴대기의 위치 특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비용을 보다 억제하면서도, 휴대기의 위치 특정 정밀도를 보다 쉽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제2 형태에 있어서, 차량 탑재 장치는 제1 형태에 기재된 차량 시스템에 사용된다.
본 개시의 제2 형태에 있어서, 휴대기는 제1 형태에 기재된 차량 시스템에 사용된다.
상기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는, 상기 차량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에 따르면, 비용을 보다 억제하면서도, 휴대기의 위치 특정 정밀도를 보다 쉽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차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각 안테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각 안테나의 송신 주파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와 강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휴대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트리거 신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수신 신호 합성 시의 편차에 대한 설명을 행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의 (a) 내지 도 8의 (d)는, 차실내외의 각 부에 있어서 휴대기에서 얻어지는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a)는, RSSI 전압에 대한 수신 합성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의 (b)는, F-V 변환 전압에 대한 수신 합성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의 (a)와 도 10의 (b)는, 포인트 레벨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행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레벨 판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을 행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는, 레벨 판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을 행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차량 탑재 장치의 제어부에서의 휴대기의 위치 특정에 관련된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4는, 휴대기의 제어부에서의 휴대기의 위치 특정에 관련된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는, 본 개시의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을 행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의 (a) 및 도 16의 (b)는,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시스템(100)은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도 1은, 차량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차량 시스템(100)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0)와, 휴대기(20)를 포함한다.
차량 탑재 장치(10)는, 대조를 위한 전파(요구 신호)를 휴대기(20)로 송출하고, 이 전파의 수신에 따라서 휴대기(20)로부터 송출되는 전파(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휴대기(20)의 대조를 행함과 함께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휴대기(20)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도어의 시정(施錠) 제어 및 해정(解錠) 제어를 행한다. 차량 탑재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F 송신부(11), 튜너(12) 및 제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LF 송신부(11)에는, 운전석(이하, D석) 안테나(11a), 조수석(이하, P석) 안테나(11b) 및 트렁크 내 안테나(11c)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석 안테나(11a)는 운전석측의 전방부 좌석과 후방부 좌석 사이에 있는 센터 필러의 내측에 배치되고, P석 안테나(11a)는 조수석측의 전방부 좌석과 후방부 좌석 사이에 있는 센터 필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렁크 내 안테나(11c)는 트렁크 룸 내에 배치되어 있다.
LF 송신부(11)는 제어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LF대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에 따른 전파를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송출시킨다. 각 안테나(11a 내지 11c)가 송신 안테나에 상당한다.
튜너(12)에는 수신 안테나(12a)가 접속되어 있다. 튜너(12)는 수신 안테나(12a)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한 증폭, 복조 등의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3)는, CPU, ROM, RAM, 백업 RAM, I/O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ROM에 기억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제어부(13)에는 LF 송신부(11), 튜너(12), 도어 스위치(31), 도어 개폐 검출부(32), 도어 시정 검출부(33) 및 도어 시해정부(34)가 접속되어 있다.
도어 스위치(31)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노브 부근에 설치된 터치 스위치나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도어 노브 부근에 설치된 터치 스위치이다. 유저의 도어 스위치(31)에 대한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13)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어 개폐 검출부(32)는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도어 개폐 검출부(32)로부터 제어부(13)로,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어 시정 검출부(33)는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시정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다. 도어 시정 검출부(33)로부터 제어부(13)로,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시정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어 시해정부(34)는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시해정을 행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갖고, 각 액추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여기서, 도 3을 사용하여,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송신 주파수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차량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송신 주파수가 조금씩 상이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안테나(11a 내지 11c)는, 주파수 대역이 넓은 페라이트 코어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송신 주파수를 상이하게 해도 출력 레벨은 동일 레벨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석 안테나(11a)의 송신 주파수는 124 킬로헤르츠(kHz), P석 안테나(11b)의 송신 주파수는 144 킬로헤르츠(kHz), 트렁크 내 안테나(11c)의 송신 주파수는 134 킬로헤르츠(kHz)로 되어 있다. 즉, D석 안테나(11a), 트렁크 내 안테나(11c), P석 안테나(11b)의 순으로 송신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송신되는 전파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송신 주파수를 상이하게 하고 있으므로,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동시에 전파가 송신되어도, 전파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휴대기(20)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의 전파를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송신 전파의 주파수를 상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켜서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전파를 송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켜서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전파를 송출시키는 것은, LF 송신부(11)가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서 행한다. 따라서, LF 송신부(11)가 펄스 패턴 신호 송신부에 상당한다.
일례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석 안테나(11a)(안테나 A), P석 안테나(11b)(안테나 B), 트렁크 내 안테나(11c)(안테나 C)로부터, 트리거 신호에 이어 각각 특정 다른 펄스 패턴 신호를 반복하여 송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안테나 A는,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고」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고,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중」으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고,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저」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킴으로써 펄스 패턴 신호를 송출한다.
안테나 B는, 반대로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저」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고,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중」으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고,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고」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킴으로써 펄스 패턴 신호를 송출한다.
안테나 C는,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고,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고」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키고, 다시 전파의 강도를 일정 기간 「고」로 한 후, 전파의 송출을 일정 기간 정지시킴으로써 펄스 패턴 신호를 송출한다.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송출되는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와 강도의 관계는, 일례로서 도 5와 같이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키도록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다른 주파수의 전파가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량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펄스 패턴 신호에 앞서 트리거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수신 신호 합성 시의 편차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트리거 신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수신 신호 합성 시의 편차 억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트리거 신호의 송신 강도는 최대 레벨로 하면 좋고, 트리거 신호로서는 수신 신호 합성 시에 발생하지 않는 패턴의 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도 6을 사용해서 휴대기(20)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휴대기(20)는 유저에게 휴대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유저에게 휴대되는」이라 함은, 유저가 실제로 휴대하고 있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가 휴대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20)는 LF 수신 안테나(21a), LF 수신부(21), 강도 판정부(22), 주파수차 판정부(23), 제어부(24), RF 송신부(25) 및 RF 송신 안테나(25a)를 구비하고 있다.
LF 수신 안테나(21a)는 차량 탑재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LF대의 전파를 수신한다. 이 LF 수신 안테나(21a)는, 수평 2방향(X축, Y축) 및 수직 방향(Z 방향)의 3축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LF 수신부(21)는 LF 수신 안테나(21a)로부터 입력되는 3축 합성 수신 신호를 강도 판정부(22) 및 주파수차 판정부(23)에 출력한다. 이 LF 수신 안테나(21a) 및 LF 수신부(21)가 수신부에 상당한다.
각 안테나(11a 내지 11c) 중 복수로부터의 신호를 중복된 타이밍에서 LF 수신 안테나(21a)가 수신할 경우, LF 수신부(21)는 이들 신호를 합성한 신호를 강도 판정부(22) 및 주파수차 판정부(23)에 출력한다. LF 수신부(21)에서의 신호 합성은, 전술한 트리거 신호의 상승을 동기점으로 하여 각 신호를 동기시켜서 행한다. 이에 의해, 수신 신호 합성 시의 편차를 억제한다.
이하에,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사용하여, 수신 신호 합성 시의 편차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트리거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수신 신호 합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가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각 신호의 동기점이 어긋나는 일이 없지만,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의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각 신호의 동기점이 어긋나 버려, 수신 신호 합성 시의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동기시킴으로써, 수신 신호 합성 시의 편차를 억제하고 있다.
도 6으로 돌아와, 강도 판정부(22)는 RSSI 회로(22a), 제2 샘플링 회로(22b), 제2 메모리(22c) 및 제2 패턴 비교부(22d)를 구비하고 있다.
RSSI 회로(22a)는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RSSI 회로(22a)는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가 높아질수록 레벨이 높아지는 RSSI 전압을 출력한다. RSSI 회로(22a)가 신호 강도 출력부에 상당한다. RSSI 회로(22a)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에 관계없이, 수신된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에 따른 RSSI 전압을 출력한다.
제2 샘플링 회로(22b)는, RSSI 회로(22a)로부터 출력되는 RSSI 전압을,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함으로써,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수치화해서 추출한다.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LF 수신 안테나(21a)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신호의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합성된 수신 합성 패턴이 된다.
제2 메모리(22c)에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가 설치된 차량의 차실내외의 각 부에 있어서 휴대기(20)에 의해 검출되는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검출 위치와 관련지어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제2 메모리(22c)가 제2 기억부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가 설치된 차량에 대한 휴대기(20)의 위치를 실제로 변화시켜서 얻어진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미리 제2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d)에, 각 안테나(11a 내지 11c)가 설치된 차량의 차실내외의 복수로 구분한 각 영역에 있어서 휴대기(20)에서 얻어지는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도 8의 (d) 중 안테나(11a)에서의 전압 변화 패턴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도 8의 (d) 중 안테나(11b)에서의 전압 변화 패턴을 나타내고, 도 8의 (c)는, 도 8의 (d) 중 안테나(11c)에서의 전압 변화 패턴을 나타낸다. 도 8의 (d)에서는, 차실내를 전후로 4개 좌우로 3개 구분한 12의 영역 및 차실외를 좌측, 우측, 후방으로 구분한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15의 영역에 있어서의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15의 영역과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관련지어져서 제2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이후의 설명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송신 주파수 및 펄스 패턴이 다른 전파가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안테나(11a 내지 11)로부터 송출되는 전파가 합성되어, 휴대기(20)의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되는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차실내외에 있어서의 휴대기(20)의 위치에 따른 패턴이 된다. 단, 도어 유리 부근에 있어서의 차실내외의 영역 사이에서는,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서로 비슷한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제2 패턴 비교부(22d)는,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된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제2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는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비교한다. 계속해서,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을, 제2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으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전압 변화 패턴에 관련지어진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추정하고, 복수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휴대기(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2 패턴 비교부(22d)가 제2 위치 추정부에 상당한다.
또한, 제2 패턴 비교부(22d)는 휴대기(20)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등, 휴대기(20)의 위치를 확정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휴대기(20)의 위치가 미확정인 것을 나타내는 1 비트의 「미확정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한다. 휴대기(20)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예로서는 이하의 것이 있다.
먼저,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이 제2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해당된다. 그 밖에는,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이 제2 메모리(22c)에 복수 기억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이 복수 존재하는 상황은, 휴대기(20)가 도어 유리 부근에 있어서의 차실내외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제2 패턴 비교부(22d)는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이 제2 메모리(22c)에 복수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치하는 복수의 전압 변화 패턴에 관련지어진 각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확정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제2 패턴 비교부(22d)는 제2 샘플링 회로(22b)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이 제2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가장 유사한 전압 변화 패턴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선택한 전압 변화 패턴에 관련지어진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확정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어서, 주파수차 판정부(23)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파수차 판정부(23)는 리미터 증폭기(23a),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이하, F-V 변환 회로)(23b), 제1 샘플링 회로(23c) 및 제1 메모리(23d) 및 제1 패턴 비교부(23e)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메모리(23d), 제1 패턴 비교부(23e), 제2 메모리(22c), 제2 패턴 비교부(22d) 및 제어부(24)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위치 특정부(26)로 한다. 위치 특정부(26)는 휴대기 위치 특정부에 상당한다.
리미터 증폭기(23a)는, LF 수신부(2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해서 F-V 변환 회로(23b)에 출력한다. F-V 변환 회로(23b)는,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을 그 주파수 성분에 따른 F-V 변환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1 패턴 비교부(23e)에 출력한다. F-V 변환 회로(23b)가 주파수 전압 변환부에 상당한다. F-V 변환 회로(23b)는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서 출력 전압이 높아지는 회로이다. 또한, F-V 변환 회로(23b)는 LF 수신 안테나(21a)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주파수가 다른 신호의 주파수차에 대응한 전압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제1 샘플링 회로(23c)는 F-V 변환 회로(23b)로부터 출력되는 F-V 변환 전압을,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함으로써,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수치화해서 추출한다.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LF 수신 안테나(21a)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신호의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합성된 수신 합성 패턴이 된다.
제1 메모리(23d)에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가 설치된 차량의 차실내외의 각 부에 있어서 휴대기(20)에 의해 검출되는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검출 위치와 관련지어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제1 메모리(23d)가 제1 기억부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가 설치된 차량에 대한 휴대기(20)의 위치를 실제로 변화시켜서 얻어진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미리 제1 메모리(23d)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 메모리(23d)와 제2 메모리(22c)는 동일한 기억 매체의 메모리 영역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실내를 전후로 4개 좌우로 3개로 구분한 12의 영역 및 차실외를 좌측, 우측, 후방으로 구분된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15의 영역과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 관련지어져서 제1 메모리(23d)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이후의 설명을 행한다.
제1 패턴 비교부(23e)는 제1 샘플링 회로(23c)에 의해 추출된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제1 메모리(23d)에 기억되어 있는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비교한다. 계속해서, 제1 샘플링 회로(23c)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을, 제1 메모리(23d)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으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전압 변화 패턴에 관련지어진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추정하고, 복수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휴대기(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1 패턴 비교부(23e)가 제1 위치 추정부에 상당한다.
또한, 제1 패턴 비교부(23e)는 휴대기(20)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등, 휴대기(20)의 위치를 확정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휴대기(20)의 위치가 미확정인 것을 나타내는 1 비트의 「미확정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한다. 휴대기(20)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예로서는 이하의 것이 있다.
제1 패턴 비교부(23e)는 제1 샘플링 회로(23c)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이 제1 메모리(23d)에 복수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치하는 복수의 전압 변화 패턴에 관련지어진 각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확정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제1 패턴 비교부(23e)는 제1 샘플링 회로(23c)에 의해 추출된 전압 변화 패턴과 일치하는 전압 변화 패턴이 제1 메모리(23d)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가장 유사한 전압 변화 패턴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선택한 전압 변화 패턴에 관련지어진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미확정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당연한 것이면서,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라 함은, 차실내외에서의 휴대기(20)가 위치하는 영역이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도 9의 (a)의 예와 같이,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의 펄스 패턴 신호에 있어서의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의 피크의 최대 레벨로 구성된 수신 합성 패턴이 된다. 한편,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도 9의 (b)의 예와 같이,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의 펄스 패턴 신호에 있어서의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의 피크의 평균 레벨로 구성된 수신 합성 패턴이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피크라 함은, 마루 피크 및 골 피크를 가리킨다. 또한, 도 9의 (a)와 도 9의 (b)에서는, 편의상, 안테나(11a)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패턴[도 9의 (a)와 도 9의 (b)의 점선 참조]과 안테나(11b)로부터의 신호의 패턴[도 9의 (a)와 도 9의 (b)의 파선 참조]에 대해서 나타낸다. 도 9의 (a)와 도 9의 (b)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합성된 수신 합성 패턴이다.
또한, 제1 패턴 비교부(23e) 및 제2 패턴 비교부(22d)에서의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는, 전압 변화 패턴의 형상을 공지된 패턴 매칭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부하 저감을 위해, 전압 변화 패턴의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레벨)이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의 결과에 따라, 전압 변화 패턴을 패턴 구분하여 비교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전압 변화 패턴의 마루 피크 및 골 피크를 포인트라 칭한다.
먼저, 각 포인트의 레벨 산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각 포인트의 레벨 산출 방법으로서는, 각 포인트에 있어서의 선두 및 말미의 소정수의 샘플을 제외한 샘플의 평균값을 각 포인트의 레벨값으로서 산출한다. 샘플이라 함은, 샘플링에 의해 추출된 수치를 가리킨다. 여기서, 도 10의 (a)와 도 10의 (b)를 사용해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X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의 (a)와 도 10의 (b)의 예에서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 포인트는, 각각 50 샘플이며, 소정수는 10인 것으로 한다. 도 10의 (a)와 도 10의 (b)의 예에서는, 각 포인트에 있어서의 선두 및 말미의 10 샘플을 제외한 30 샘플의 평균값을 각 포인트의 레벨값으로서 산출한다.
계속해서, 전압 변화 패턴의 각 포인트의 레벨 판정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전압 변화 패턴의 포인트는 선두부터 차례대로 1 내지 5의 5 포인트이며,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5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포인트의 수 및 레벨 분류의 수가 본 예 이외의 값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일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산출한 포인트의 레벨이, 포인트에 있어서 각각 5단계 레벨의 어떤 레벨에 해당되는지를 레벨 판정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 11의 예에서는, 포인트의 레벨을 선두로부터 차례대로, 4, 3, 4, 3, 3이라 레벨 판정한다. 그리고 레벨 판정한 포인트의 레벨을 배열한 문자열 「43433」을 전압 변화 패턴으로서 취급한다. 제1 메모리(23d) 및 제2 메모리(22c)에 기억해 두는 전압 변화 패턴도, 상술한 바와 같은 레벨 판정한 포인트의 레벨을 배열한 문자열로서 기억해 둔다.
이에 의하면,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비교적 적은 수의 문자열 비교에 의해 행할 수 있으므로, 형상끼리의 패턴 매칭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압 변화 패턴의 각 포인트의 레벨 판정에 대해서, 전압 변화 패턴의 복수의 포인트에 있어서의 선두 포인트를 제외하고, 레벨 판정을 행하는 포인트의 1개 전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한 포인트의 레벨 변화량에 따라,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가장 선두의 포인트에 대해서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5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전술한 레벨 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선두의 포인트 이외의 포인트에 대해서는, 1개 전의 포인트로부터의 레벨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변화량의 크기에 따라서 5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그리고 레벨 판정한 포인트의 레벨을 배열한 문자열을 전압 변화 패턴으로서 취급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에 의하면, 각 포인트의 레벨 판정에 대해서,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을 행하는 구성에 비해, 레벨의 단계 분류를 세분화하지 않아도, 보다 고정밀도로 전압 변화 패턴의 패턴 구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처리 부하를 저감하면서,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 시에 있어서의 일치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휴대기(20)의 위치 특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를 사용해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XIIB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12의 (d)는, 도 12의 (c)의 XIID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서는, 도어 유리 부근에 있어서의 차실내외의 각 영역에 휴대기(20)가 위치한 경우의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예로 들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전압 변화 패턴을 차실내의 전압 변화 패턴, 차실외의 전압 변화 패턴이라 칭한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실내의 전압 변화 패턴과 차실외의 전압 변화 패턴이라 함은, 포인트 1 내지 4의 레벨은 동일하며, 포인트 5의 레벨만이 상이하다. 그러나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5단계로 분류된 레벨에서는 양자 모두 「3」이 되고, 양자를 패턴 구분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반해, 1개 전의 포인트로부터의 레벨 변화량의 크기에 따라서 5단계로 분류하는 구성에 의하면,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의 레벨이 상이하게 레벨 판정되어, 패턴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실내의 전압 변화 패턴의 포인트 5는 레벨 「2」라고 레벨 판정되고, 차실외의 전압 변화 패턴의 포인트 5는 레벨 「4」라고 레벨 판정된다.
계속해서, 도 13을 사용하여, 차량 탑재 장치(10)의 제어부(13)에서의 휴대기(20)의 위치 특정에 관련된 처리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 13의 흐름도는, 유저가 도어 스위치(31)를 조작하여, 도어 스위치(31)로부터 유저 조작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개시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먼저, 스텝 S1에서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의 전파 송출을 지시하고, 스텝 S2로 이행한다. 일례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리거 신호 및 펄스 패턴 신호, 및 휴대기(2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송출되도록, LF 송출부(11)에 지시를 행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킨 펄스 패턴 신호가, 중복되는 타이밍으로 송신된다. 또한, 휴대기(2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도 송출된다. 제어부(13)는 전파 송출을 지시한 후에는 응답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가 된다.
스텝 S2에서는, 응답 신호를 수신 안테나(12a) 및 튜너(12)를 통하여 수신한 경우(스텝 S2에서 "예")에는, 스텝 S4로 이행한다. 한편,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2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스텝 S1에서 전파 송출을 지시하고 난 후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에 달하고 있었을 경우(스텝 S3에서 "예")에는, 타임업으로서 흐름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에서 전파 송출을 지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2로 돌아와 흐름을 반복한다. 스텝 S1에서 전파 송출을 지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은,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 회로에서 카운트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소정 시간은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시간으로 하면 좋다.
스텝 S4에서는, 대조가 OK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스텝 S1에서 송출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대조가 OK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그리고 대조가 OK라 판정된 경우(스텝 S4에서 "예")에는, 스텝 S5로 이행한다. 한편, 대조가 OK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4에서 "아니오")에는, 흐름을 종료한다.
스텝 S5에서는, 차량에 대한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하고,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차량에 대한 휴대기(20)의 위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휴대기 위치 정보로부터 특정한다.
스텝 S6에서는, 도어 잠금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20)의 위치가 차실외인 경우에는 도어 잠금을 실시하고, 휴대기(20)의 위치가 차실내인 경우에는 도어 잠금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텝 S5에서 특정한 휴대기(20)의 위치가 차실외인 경우에는, 도어 잠금한다고 판정(스텝 S6에서 "예")하고, 스텝 S7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5에서 특정한 휴대기(20)의 위치가 차실내인 경우에는, 도어 잠금하지 않는다고 판정(스텝 S6에서 "아니오")하고, 흐름을 종료한다.
스텝 S7에서는, 도어 시해정부(34)에 대하여 도어 잠금을 지시하고, 흐름을 종료한다. 도어 시해정부(34)는, 이 도어 잠금의 지시에 따라서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시정을 행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고, 차량의 도어 시정을 행한다.
이어서, 도 14를 사용하여, 휴대기(20)의 제어부(24)에서의 휴대기(20)의 위치 특정에 관련된 처리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 14의 흐름도는, 차량 탑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LF대의 전파가 LF 수신 안테나(21a)에 의해 수신되고, LF 수신부(21)로부터 요구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먼저, 스텝 S21에서는, 위치 특정 판정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2로 이행한다. 위치 특정 판정 처리에서는 강도 판정부(22)로부터 입력되는, 휴대기(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휴대기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일례로서, 휴대기 위치 정보에 추가하여 전술한 미확정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 한편, 휴대기 위치 정보가 입력되었지만 전술한 미확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스텝 S22에서는,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고 위치 특정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경우(스텝 S22에서 "예")에는, 스텝 S26으로 이행한다. 한편,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다고 위치 특정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경우(스텝 S22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강도 판정부(22)로부터 입력된 휴대기 위치 정보가 복수의 영역에 대한 휴대기 위치 정보이며, 후보가 복수였던 경우(스텝 S23에서 "예")에는, 스텝 S24로 이행한다. 한편, 후보가 복수가 아니었을 경우(스텝 S23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25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제1 위치 특정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7로 이행한다. 제1 위치 특정 처리에서는, 주파수차 판정부(23)로부터 입력되는 휴대기 위치 정보를 사용해서 복수의 후보로부터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한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후보 중, 주파수차 판정부(23)에서의 추정 결과와 동일한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특정한다.
예를 들어, 강도 판정부(22)로부터 「D석 후방부, 차실내」와 「D석 후방부, 차실외」를 나타내는 휴대기 위치 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주파수차 판정부(23)로부터 「D석 후방부, 차실외」를 나타내는 휴대기 위치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차 판정부(23)의 추정 결과와 동일한 「D석 후방부, 차실외」를 휴대기(20)의 위치라 특정한다.
후보가 복수가 아니었을 경우의 스텝 S25에서는, 제2 위치 특정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7로 이행한다. 제2 위치 특정 처리에서는, 주파수차 판정부(23)로부터 입력되는 휴대기 위치 정보를 사용해서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한다. 일례로서, 주파수차 판정부(23)로부터 휴대기 위치 정보가 입력되었지만 전술한 미확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휴대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특정한다.
또한, 주파수차 판정부(23)로부터 휴대기 위치 정보에 추가하여 미확정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강도 판정부(22)로부터 입력된 휴대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특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주파수차 판정부(23)로부터 입력된 휴대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영역을 휴대기(20)의 위치라 특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면 제1 위치 특정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경우의 스텝 S26에서는, 제3 위치 특정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7로 이행한다. 제3 위치 특정 처리에서는, 강도 판정부(22)로부터 입력된 휴대기 위치 정보를 사용해서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한다.
스텝 S27에서는, 직전의 스텝에서 특정된 휴대기(20)의 위치와 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RF 송신부(25) 및 RF 송신 안테나(25a)를 통하여 차량 탑재 장치(10)로 송출하고, 흐름을 종료한다. 직전의 스텝이 스텝 S24이었을 경우에는, 스텝 S24에서 특정한 휴대기(20)의 위치를 송출한다. 직전의 스텝이 스텝 S25이었을 경우에는, 스텝 S25에서 특정한 휴대기(20)의 위치를 송출하고, 직전의 스텝이 스텝 S26이었을 경우에는, 스텝 S26에서 특정한 휴대기(20)의 위치를 송출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송신 주파수를 상이하게 하므로,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출력 강도의 조정을 세밀하게 실시해서 서로가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합성된 상태의 펄스 패턴 신호는, 펄스 패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의 수가 적어도, 휴대기(20)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므로, 송신 안테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휴대기(20)의 위치 특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11a 내지 11c)와 같이 3개의 송신 안테나가 있으면 충분히 고정밀도로 휴대기(20)의 위치 특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사용해서 추정한 휴대기(20)의 위치뿐만 아니라,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사용해서 추정한 휴대기(20)의 위치도 고려해서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하므로, 보다 고정밀도로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작용 효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를 사용해서 설명을 행한다. 도 15의 (a)의 DI가 「D석 후방부, 차실내」에 해당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DO가 「D석 후방부, 차실외」에 해당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DI의 위치에서의 전압 변화 패턴을 나타내고, 도 15의 (c)는, 도 15의 (a)의 DO의 위치에서의 전압 변화 패턴을 나타낸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도어 유리 부근에 있어서의 차실내외의 영역 사이에서는, 서로 비슷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사용해도, 휴대기(20)가 「D석 후방부, 차실내와 「D석 후방부, 차실외」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는 없다. 이에 반해,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은, 도어 유리 부근에 있어서의 차실내외의 영역 사이에서 충분한 차가 발생한다[도 15의 (b) 내지 도 15의 (c)의 파선의 원 참조]. 따라서,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만으로는 특정할 수 없는 휴대기(20)의 위치 특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비용을 보다 억제하면서도, 휴대기의 위치 특정 정밀도를 보다 쉽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20)의 위치에 따라서 도어 시해정부(34)에 지시를 행하고, 차량의 도어 시정을 실시하는 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 해정, 차량의 엔진 등의 시동 허가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각 안테나(11a 내지 11c)로부터 주파수와 펄스 패턴이 다른 전파를 송신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안테나의 수, 안테나의 위치, 송신 주파수, 펄스 패턴 등,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펄스 패턴으로서는,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11a 내지 11c)의 펄스 패턴 신호의 마루 피크끼리가 겹치지 않는 펄스 패턴으로 해도 좋다. 그 밖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3단 가변이나 2단 가변의 펄스 패턴 신호를 송출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단 가변이나 4단 가변의 펄스 패턴 신호 등을 송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20)는, 강도 판정부(22)와 주파수차 판정부(23)를 구비하고, 강도 판정부(22)에 의해 추정된 휴대기(20)의 위치와, 주파수차 판정부(23)에 의해 추정된 휴대기(20)의 위치 양쪽을 고려해서 휴대기(20)의 위치를 특정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강도 판정부(22)를 구비하는 일 없이 주파수차 판정부(23)에서 추정한 휴대기(20)의 위치를 휴대기(20)의 위치라 특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밖에도, 위치 특정부(26)의 기능을 휴대기(20)가 구비하는 대신에, 차량 탑재 장치(10)의 제어부(13)가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휴대기(20)는 제1 샘플링 회로(23c)에서 추출된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나 제2 샘플링 회로(22b)에서 추출한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차량 탑재 장치(10)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차량 탑재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 수신한 F-V 변환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이나 RSSI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으로부터, 제어부(13)에서 휴대기(20)의 위치 특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따라서, 제어부(13)도 휴대기 위치 특정부에 상당한다.
여기서, 본 출원에 기재되는 흐름도, 또는 흐름도의 처리는, 복수의 섹션(또는 스텝이라고 언급됨)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은, 예를 들어 S1이라고 표현된다. 또한, 각 섹션은 복수의 서브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섹션이 합쳐져서 하나의 섹션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구성되는 각 섹션은, 디바이스, 모듈, 민즈로서 언급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해서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덧붙여서, 여러 가지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들에 하나의 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8)

  1.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0)와,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송신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11a, 11b, 11c)로부터,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킨 펄스 패턴 신호를, 중복되는 타이밍으로 송신시키는 펄스 패턴 신호 송신부(11)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21, 21a)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 장치 및 상기 휴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펄스 패턴 신호의 수신 합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휴대기 위치 특정부(13, 26)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 전압 변환부(23b)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으로서, 전압 변화 패턴의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레벨 판정한 레벨을 나열한 문자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1 기억부(23d)와,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위치 추정부(23e)를 갖고,
    상기 제1 위치 추정부는,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의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에 대해,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레벨 판정한 레벨을 배열한 문자열을 당해 전압 변화 패턴으로 하여, 비교를 행하며,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서의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추정부는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복수의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의 상기 피크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레벨 판정을 행하는 상기 피크 부분의 시간적으로 1개 전의 상기 피크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피크 부분의 값의 변화량에 따라, 복수 단계로 분류된 상기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는, 차량 시스템.
  3.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0)와,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송신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11a, 11b, 11c)로부터,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킨 펄스 패턴 신호를, 중복되는 타이밍으로 송신시키는 펄스 패턴 신호 송신부(11)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21, 21a)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 장치 및 상기 휴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펄스 패턴 신호의 수신 합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휴대기 위치 특정부(13, 26)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 전압 변환부(23b)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1 기억부(23d)와,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위치 추정부(23e)를 갖고,
    상기 제1 위치 추정부는,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에 대해서,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이,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의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을 패턴 구분하여, 비교를 행하고,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복수의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의 상기 피크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레벨 판정을 행하는 상기 피크 부분의 시간적으로 1개 전의 상기 피크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피크 부분의 값의 변화량에 따라, 복수 단계로 분류된 상기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서의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량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은, 당해 전압 변화 패턴의 데이터 요소인 복수의 샘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위치 추정부는,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상기 각 피크 부분의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 부분 및 말미 부분의 소정수의 샘플을 제외한 샘플의 평균값을 당해 피크 부분의 값으로서 사용하는, 차량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는, 또한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강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강도 출력부(22a)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또한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강도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2 기억부(22c)와,
    상기 신호 강도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위치 추정부(22d)를 갖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휴대기의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휴대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차량의 차실내외에 걸쳐 복수로 구분된 영역 중 어떤 영역에 상기 휴대기가 위치하는지를 특정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위치 추정부에서의 추정 결과에서는, 상기 휴대기가 위치하는 상기 영역을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서의 추정 결과에 의해, 상기 휴대기가 위치하는 상기 영역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차량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추정부는, 상기 신호 강도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에 대해서,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이,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의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을 패턴 구분하여, 비교를 행하는, 차량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추정부는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복수의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의 상기 피크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레벨 판정을 행하는 상기 피크 부분의 시간적으로 1개 전의 상기 피크 부분을 기준으로 한 상기 피크 부분의 값의 변화량에 따라, 복수 단계로 분류된 상기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는, 차량 시스템.
  9.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0)와,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송신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11a, 11b, 11c)로부터,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킨 펄스 패턴 신호를, 중복되는 타이밍으로 송신시키는 펄스 패턴 신호 송신부(11)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21, 21a)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 장치 및 상기 휴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펄스 패턴 신호의 수신 합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휴대기 위치 특정부(13, 26)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 전압 변환부(23b)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강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강도 출력부(22a)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1 기억부(23d)와,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위치 추정부(23e)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강도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으로서, 전압 변화 패턴의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레벨 판정한 레벨을 나열한 문자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2 기억부(22c)와,
    상기 신호 강도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위치 추정부(22d)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 추정부는, 상기 신호 강도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의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에 대해,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레벨 판정한 레벨을 배열한 문자열을 당해 전압 변화 패턴으로 하여, 비교를 실시하는 것이며,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휴대기의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휴대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추정부는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복수의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의 상기 피크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레벨 판정을 행하는 상기 피크 부분의 시간적으로 1개 전의 상기 피크 부분을 기준으로 한 상기 피크 부분의 값의 변화량에 따라, 복수 단계로 분류된 상기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는, 차량 시스템.
  11.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0)와,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송신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11a, 11b, 11c)로부터,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서 전파의 강도를 변화시킨 펄스 패턴 신호를, 중복되는 타이밍으로 송신시키는 펄스 패턴 신호 송신부(11)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21, 21a)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 장치 및 상기 휴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펄스 패턴 신호의 수신 합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휴대기 위치 특정부(13, 26)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 전압 변환부(23b)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한,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강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강도 출력부(22a)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1 기억부(23d)와,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위치 추정부(23e)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중복된 타이밍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각 펄스 패턴 신호의 강도에 따른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을 상기 차량에 대한 각 위치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2 기억부(22c)와,
    상기 신호 강도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비교를 행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위치 추정부(22d)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 추정부는, 상기 신호 강도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에 대해서,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이,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의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을 패턴 구분하여,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2 위치 추정부는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복수의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의 상기 피크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레벨 판정을 행하는 상기 피크 부분의 시간적으로 1개 전의 상기 피크 부분을 기준으로 한 상기 피크 부분의 값의 변화량에 따라, 복수 단계로 분류된 상기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휴대기의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휴대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휴대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량 시스템.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차량의 차실내외에 걸쳐 복수로 구분된 영역 중 어떤 영역에 상기 휴대기가 위치하는지를 특정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위치 추정부에서의 추정 결과에서는, 상기 휴대기가 위치하는 상기 영역을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휴대기 위치 특정부는, 상기 제1 위치 추정부에서의 추정 결과에 의해, 상기 휴대기가 위치하는 상기 영역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차량 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추정부는,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에 대해서, 마루 및 골의 각 피크 부분의 값이, 복수 단계로 분류된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의 레벨 판정의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을 패턴 구분하여, 비교를 행하는, 차량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추정부는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복수의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의 상기 피크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레벨 판정을 행하는 상기 피크 부분의 시간적으로 1개 전의 상기 피크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피크 부분의 값의 변화량에 따라, 복수 단계로 분류된 상기 레벨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판정하는, 차량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전압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은, 당해 전압 변화 패턴의 데이터 요소인 복수의 샘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위치 추정부는,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상기 각 피크 부분의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 부분 및 말미 부분의 소정수의 샘플을 제외한 샘플의 평균값을 당해 피크 부분의 값으로서 사용하는, 차량 시스템.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 패턴과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압 변화 패턴의 각각은, 당해 전압 변화 패턴의 데이터 요소인 복수의 샘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위치 추정부는, 각각의 전압 변화 패턴의 상기 각 피크 부분의 상기 레벨 판정에 있어서, 상기 피크 부분에 있어서의 선두 부분 및 말미 부분의 소정수의 샘플을 제외한 샘플의 평균값을 당해 피크 부분의 값으로서 사용하는, 차량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장치.
  1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KR1020157029750A 2013-03-18 2014-02-12 차량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 KR101797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5245 2013-03-18
JP2013055245A JP6107267B2 (ja) 2013-03-18 2013-03-18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PCT/JP2014/000709 WO2014147947A1 (ja) 2013-03-18 2014-02-12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503A KR20150132503A (ko) 2015-11-25
KR101797336B1 true KR101797336B1 (ko) 2017-11-13

Family

ID=5157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750A KR101797336B1 (ko) 2013-03-18 2014-02-12 차량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3335B2 (ko)
JP (1) JP6107267B2 (ko)
KR (1) KR101797336B1 (ko)
CA (1) CA2907587C (ko)
DE (1) DE112014001507B4 (ko)
WO (1) WO2014147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3717A1 (ja) * 2014-10-22 2016-04-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9384607B1 (en) * 2014-12-03 2016-07-05 Tyco Fire & Security Gmbh Access control system
KR102517260B1 (ko) * 2014-12-02 2023-03-31 타이코 파이어 앤 시큐리티 게엠베하 이중 레벨 인간 식별 및 로케이션 시스템
JP6483436B2 (ja) * 2014-12-26 2019-03-13 株式会社Soken 位置推定装置
FR3041491B1 (fr) * 2015-09-18 2017-11-03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Procede d'aide a la determination d'un positionnement d'un identifiant par rapport a un vehicule
WO2017078040A1 (ja) * 2015-11-06 2017-05-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機及び車両用通信システム
KR101856936B1 (ko) 2016-07-25 2018-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키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키 제어 방법
JP6697783B2 (ja) * 2017-03-15 2020-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端末位置検出装置
JP2019103003A (ja) * 2017-12-04 2019-06-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載通信装置及び車両用通信方法
US11189117B2 (en) * 2019-01-30 2021-11-30 Zhuhai Unitech Power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mart lock
JP7433546B2 (ja) * 2021-10-20 202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端末位置推定装置、端末位置推定方法、及び車両無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5147A (ja) * 2011-04-05 2012-11-15 Nippon Soken Inc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8981B2 (ja) 2001-09-28 2006-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遠隔操作システム
JP3668729B2 (ja) * 2002-08-29 2005-07-0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JP5186465B2 (ja) * 2008-12-09 2013-04-17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及びワイパ制御方法
JP5795468B2 (ja) 2010-09-22 2015-10-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位置教示システム
JP2012107377A (ja) 2010-11-15 2012-06-07 Denso Corp 車両用スマートキーの携帯機探索装置、及び携帯機探索方法
JP5843527B2 (ja) 2011-09-05 2016-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5147A (ja) * 2011-04-05 2012-11-15 Nippon Soken Inc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3335B2 (en) 2017-11-21
CA2907587C (en) 2017-08-08
DE112014001507T5 (de) 2016-01-14
JP6107267B2 (ja) 2017-04-05
US20160154086A1 (en) 2016-06-02
DE112014001507B4 (de) 2019-08-22
KR20150132503A (ko) 2015-11-25
CA2907587A1 (en) 2014-09-25
JP2014180900A (ja) 2014-09-29
WO2014147947A1 (ja)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336B1 (ko) 차량 시스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기
US10168415B2 (en) Position determining device and method, and keyless entry system
US10336297B2 (en) Vehicle-use communication system, in-vehicle device, portable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536364B2 (en) Vehicle integration of BLE nodes to enable passive entry and passive start features
US20210011143A1 (en) Distance measurement system
JP6359359B2 (ja) 電子キー装置
JP5596927B2 (ja) 車両用携帯機
US9811961B2 (en) Vehicular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portable device, and on-board instrument
JP5391211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5260430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WO2018003345A1 (ja) 乗員検知システム及び乗員検知装置
EP2843172A1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runk or power tailgate
US201202448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detection
EP2942760A1 (en) Field measurement compensation
US8976004B2 (en) In-vehicle apparatus control system
CN109996705B (zh) 用于车辆的进入装置
US9199610B2 (en) I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JP6971156B2 (ja) 通信システム
JP6196814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5918101B2 (ja) キー位置判定装置
JP7081873B2 (ja) 自動車の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JP2021116525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開錠制御装置、携帯機およびスマートエントリー方法
JP6191475B2 (ja) ドアロック制御用の車載機
JP2009264056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2496702B1 (ko) 차량 주변 노이즈를 고려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제어 장치 및 스마트키 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