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694B1 -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694B1
KR101793694B1 KR1020150175539A KR20150175539A KR101793694B1 KR 101793694 B1 KR101793694 B1 KR 101793694B1 KR 1020150175539 A KR1020150175539 A KR 1020150175539A KR 20150175539 A KR20150175539 A KR 20150175539A KR 101793694 B1 KR101793694 B1 KR 10179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weight
parts
jujube powd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727A (ko
Inventor
김신애
김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렌지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렌지피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렌지피플
Priority to KR102015017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6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62Sugar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3SUGAR INDUSTRY
    • C13BPRODUCTION OF SUCROS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13B50/00Sugar products, e.g. powdered, lump or liquid sugar; Working-up of su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23V2250/51082Carboxymethyl 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추 파우더에 관한 것으로써,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과, 세립당과, 덱스트린과, 정제염을 포함하되, 상기 대추분말은 25 중량부이며, 상기 대추분말향은 0.5 중량부이며, 상기 세립당은 58 중량부이며, 상기 덱스트린은 15.9 중량부이며, 상기 정제염은 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실온보관이 가능하며, 유통기한이 증대되는 대추 파우더가 제공된다. 또한, 대추의 영양성분은 그대로 살리면서, 대추 맛의 풍부함이 크게 향상되는 대추 파우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JUJUBE POWD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대추 파우더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실온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대추의 맛과 풍미가 향상되는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추란, 대추나무의 열매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다. 이러한 대추는 위장병, 빈혈, 불면증, 전신쇠약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근래에 웰빙 열풍으로 건강식품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대추는 건강에 대한 효능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요리, 차, 식초, 과자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대추는 생대추와 건대추로 구별할 수 있는데, 생대추는 보관중에 색상이 변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어려워, 특히 상술한 차류에는 건대추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대추의 경우에도 상온에서 그대로 보관하는 경우, 대추의 맛과 품질이 급속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건대추를 장기간동안 보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조건에서 냉장보관하거나 냉동시켜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에서 건대추를 이용하여 차 등을 제조하기에는 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온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대추의 맛과 풍미가 향상되는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과, 세립당과, 덱스트린과, 정제염을 포함하되, 상기 대추분말은 25 중량부이며, 상기 대추분말향은 0.5 중량부이며, 상기 세립당은 58 중량부이며, 상기 덱스트린은 15.9 중량부이며, 상기 정제염은 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파우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 세립당과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 및 상기 제1혼합물과 상기 제2혼합물과 정제염을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추분말은 25 중량부이며, 상기 대추분말향은 0.5 중량부이며, 상기 세립당은 58 중량부이며, 상기 덱스트린은 15.9 중량부이며, 상기 정제염은 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파우더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온보관이 가능하며, 유통기한이 증대되는 대추 파우더가 제공된다.
또한, 대추의 영양성분은 그대로 살리면서, 대추 맛의 풍부함이 크게 향상되는 대추 파우더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는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과, 세립당과, 덱스트린과, 정제염을 포함한다.
대추분말은 건대추를 분말형태로 분쇄시킨 것이다. 이러한 대추분말은 20 내지 3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으나, 2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추분말은 대추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대추분말을 이용하면, 대추 자체의 효능, 즉, 위장병, 불면증, 수족냉증, 노화, 항암 등에 이로운 각종 효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대추분말향은 대추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향으로써, 0.4 내지 0.6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으나, 0.5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립당은 일반적인 설탕을 분쇄하여 입도의 크키를 작게 줄인 것으로써, 커피믹스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세립당은 55 내지 61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으나, 58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덱스트린은 녹말을 산, 열, 효소 등으로 가수분해시킬 때 녹말에서 말토스에 이르는 중간단계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가수분해 산물으로써, 제과의 조합용, 약품의 부형제 등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덱스트린은 13 내지 19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으나, 15.9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염은 바닷물을 여과 및 침전 시킨 다음 이온수지막을 이용하여 분순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순도 높은 소금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제염은 0.2 내지 0.6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으나, 0.4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과, 세립당과, 덱스트린과, 정제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에 따르면, 분말형태의 대추 파우더가 제공되므로, 실온보관이 가능하며, 용기에 담아 밀봉하여 보관하는 경우, 유통기한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에 의하면, 대추의 영양성분은 그대로 살리면서, 대추 맛의 풍부함이 크게 향상되는 대추 파우더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는 대추 라떼, 대추 스무디, 대추 빙수, 대추 버블티, 대추 케익 등 많은 음료, 음식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의 제조방법은 제1혼합단계와 제2혼합단계와 제3혼합단계와 안정단계를 포함한다.
제1혼합단계는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대추분말 20 내지 30 중량부를 계량하여 준비하고, 대추분말향 0.4 내지 0.6 중량부를 계량하여 준비한 다음, 양자를 혼합하면 제1혼합물이 제조된다.
제2혼합단계는 세립당과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세립당 55 내지 61 중량부를 계량하여 준비하고, 덱스트린 13 내지 19 중량부를 계량하여 준비한다. 이후, 준비된 세립당과 덱스트린을 혼합하면, 제2혼합물이 제조된다. 세립당은 입도가 비교적 크며 무게가 무겁고, 덱스트린은 입도가 비교적 작고 가벼워서 양자는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제3혼합단계는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2 내지 0.6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정제염 0.2 내지 0.6 중량부룰 계량하여 준비한 다음,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준비된 정제염 및 기타 첨가제를 순서대로 혼합기에 투입한다. 이후,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및 기타 첨가제를 합산한 중량 100Kg을 기준으로 13분 내지 17분 동안 혼합기를 가동시킨다.
삭제
안정단계는 제3혼합단계 이후, 혼합된 분말을 안정시키는 단계이다. 제3혼합단계 이후, 혼합기가 정지되면, 혼합기의 덮개를 그대로 덮어둔 체로 15분 내지 25분 동안 혼합기를 그대로 방치한다. 이러한 안정단계에 의해서, 혼합된 분말의 날림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안정단계 이후, 포장지를 준비하고, 기설정된 중량별로 혼합된 분말을 계량하여 포장지에 투입한 후, 포장지의 입구를 씰링하는 포장단계가 추가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포장지를 씰링하기 전에, 포장지에 포함된 공기를 제거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혼합단계와 제2혼합단계와 제3혼합단계와 안정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대추 파우더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의 최적의 배합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대추 파우더의 맛에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복수개의 대추 라때를 제조(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하고, 각각의 대추 라때에 대해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검사는 성인 20명에 의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관능검사는 식품분야 에서 관능검사 경력 3년 이상의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대추분말 25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8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4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대추분말 19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8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4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대추분말 31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8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4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대추분말 25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8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4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대추분말 25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7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8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4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대추분말 25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4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4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대추분말 25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61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4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대추분말 25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8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1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대추분말 25 중량부와 대추분말향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와, 세립당 58 중량부와 덱스트린 15.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과 정제염 0.7 중량부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를 30g을 제조한 다음, 200ml의 우유에 혼합하여 대추 라떼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맛에 대한 관능검사 수치는 패널수의 점수 총합을 패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각각의 항목에 대해서 적음을 나타내고, 수치가 높을수록 각각의 항목에 대해서 많음을 의미한다.
항목
관능검사(맛)
대추 단맛 대추 떫은맛 쓴맛 짠맛
실시예 1 8.5 2.5 2.0 1.0
비교예 1 6.5 2.0 2.0 1.0
비교예 2 9.0 4.5 2.0 1.0
비교예 3 7.5 2.0 2.0 1.0
비교예 4 8.5 3.0 2.0 1.0
비교예 5 6.5 6.0 3.0 1.0
비교예 6 9.5 0.5 1.0 1.0
비교예 7 8.5 4.5 2.0 0.5
비교예 8 8.5 1.5 2.0 3.5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대추분말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대추의 단맛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대추분말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 대추의 단맛은 상승 되었으나, 대추의 떫은 맛도 크게 증가 되었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대추분말향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대추의 단맛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추분말향이 맛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의 경우, 대추분말향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았지만, 대추의 단맛은 증가되지 않고, 대추의 떫은 맛이 소폭 증가 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추분말향이 맛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의 경우, 세립당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대추의 단맛이 저하되고, 대추의 떫은 맛이 증대되었으며, 쓴맛도 상승하였다.
또한, 비교예 6의 경우, 세립당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 대추의 단맛이 증가되고 대추의 떫은 맛도 크게 감소 되어 사실상 대추 고유의 맛이 상실되었다.
또한, 비교예 7의 경우, 정제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짠맛이 감소하였으나, 짠맛이 감소함에 따라 대추의 떫은 맛이 증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8의 경우, 정제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 짠맛이 증가하였다. 한편, 짠맛이 증가함에 따라 대추의 떫은 맛은 감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관능검사에서 알 수 있듯이, 대추 라떼에 사용되는 대추 파우더는, 대추의 단맛이 강하게 확보되면서 대추의 떫은 맛이 약하게 확보되어 대추의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너무 쓰지 않고 짜지도 않은 실시예 1과 같은 배합비율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실시예 1과 같은 배합비율로 제조되는, 즉, 하기의 표 2와 같은 배합비율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추 파우더에 의하면, 대추의 고유맛과 풍미를 살리면서도 달거나 짜지 않은 대추 라때가 제조될 수 있다.
성분명 배합비율(%)
1 대추분말 25
2 대추분말향 0.5
3 세립당 58
4 덱스트린 15.9
5 정제염 0.4
6 기타 0.2
합계 100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4)

  1.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과, 세립당과, 덱스트린과, 정제염을 포함하되,
    상기 대추분말은 25 중량부이며, 상기 대추분말향은 0.5 중량부이며, 상기 세립당은 58 중량부이며, 상기 덱스트린은 15.9 중량부이며, 상기 정제염은 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파우더.
  2. 삭제
  3. 대추분말과 대추분말향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단계;
    세립당과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단계; 및
    상기 제1혼합물과 상기 제2혼합물과 정제염을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추분말은 25 중량부이며, 상기 대추분말향은 0.5 중량부이며, 상기 세립당은 58 중량부이며, 상기 덱스트린은 15.9 중량부이며, 상기 정제염은 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파우더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50175539A 2015-12-10 2015-12-10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539A KR101793694B1 (ko) 2015-12-10 2015-12-10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539A KR101793694B1 (ko) 2015-12-10 2015-12-10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727A KR20170068727A (ko) 2017-06-20
KR101793694B1 true KR101793694B1 (ko) 2017-11-03

Family

ID=5928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539A KR101793694B1 (ko) 2015-12-10 2015-12-10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380A1 (ko) * 2017-12-15 2019-06-20 주식회사 오렌지피플 깔라만시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8222B1 (ko) * 2021-10-26 2024-02-20 주식회사 컵풀 샤인머스캣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89B1 (ko) * 2014-09-11 2015-10-06 주식회사 오렌지피플 마스카포네 치즈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89B1 (ko) * 2014-09-11 2015-10-06 주식회사 오렌지피플 마스카포네 치즈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727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520B2 (en) Flavor improving agent
EP2030512B1 (en) Flavor improving agent
KR101793694B1 (ko) 대추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28146B (zh) 天然椰糖风味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20170026307A (ko) 인삼, 홍삼, 도라지 또는 더덕을 이용한 조청 제조방법
KR20200062941A (ko) 떡볶이용 간편식 분말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60692B1 (ko) 대추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8222A (ko) 새싹보리분말을 포함하는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새싹보리음료의 제조방법
KR101759312B1 (ko) 표고버섯 가루의 제조방법, 표고버섯 가루를 이용한 영양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양바
EP3108753B1 (en) Dietary-fiber containing noodles and soup stock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same
KR20160004178A (ko)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89350B1 (ko) 토핑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토핑소금
KR19990000288A (ko) 무우즙 또는 과실, 야채즙을 함유한 냉면육수의 제조법
CN104222993A (zh) 反应型麦香香精及其制备方法
CN110089712A (zh) 一种采用复配原料品种制备的纯花生酱及其制备方法
KR20180022213A (ko) 한라봉 라떼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1958A (ko) 깔라만시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5597B1 (ko) 노지초벌부추 건조분말이 함유된 부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부추장
KR20150068178A (ko) 맛있게 매운 떡볶이소스 제조방법
WO2014008176A2 (en) Pearl sugar particl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a pearl sugar
KR102368263B1 (ko) 아라비아 검과 수크랄로스를 이용한 저열량 유자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50068202A (ko) 버섯을 이용한 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90168A (ko) 낙지 떡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371A (ko) 커피추출박을 이용한 커피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861258B1 (ko) 양파 유래 아르기닌-과당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