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932B1 -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932B1
KR101792932B1 KR1020160002474A KR20160002474A KR101792932B1 KR 101792932 B1 KR101792932 B1 KR 101792932B1 KR 1020160002474 A KR1020160002474 A KR 1020160002474A KR 20160002474 A KR20160002474 A KR 20160002474A KR 101792932 B1 KR101792932 B1 KR 10179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inflow
block
manufacturing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251A (ko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16000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932B1/ko
Priority to PCT/KR2017/000175 priority patent/WO2017119751A1/ko
Publication of KR2017008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면; 상기 1면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1면과 평행한 2면; 및 상기 1면과 상기 2면을 연결하는 3면;을 포함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1면은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신속하고도 지속적인 유입이 가능한 복수의 유입골을 포함하고, 상기 2면은 상기 유입골을 통해 유입된 상기 빗물, 먼지 및 토사를 받아들여 저장하거나 지면으로 유출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골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골과 상기 저장골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내측에서 서로 접하여 연결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입골로 유입된 상기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상기 저장골로 신속하고도 지속적으로 유도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을 유입골, 저장골, 연결구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재료나 다양한 형상의 블록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투수, 저장, 통기, 및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Permeable and storage blocks by grooves of multi-face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도, 차도 또는 공원 등의 바닥에 포설되는 여러 재료 또는 여러 형상으로 제조되는 블록은 빗물의 신속한 유입, 저장 및 배출 능력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단순히 시멘트콘크리트블록을 투수가 잘 되는 굵은 골재를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블록의 상부는 규사와 같은 잔골재를 사용하고 하부는 굵은 골재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미세 공극이나 미세 간극을 많이 갖도록 하여 투수율을 높이는 경우, 미세 공극이나 미세 간극은 시간이 지나면서 먼지, 토사 등에 의해 점점 막혀 투수 지속성이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수성을 증가시키고자 굵은 골재를 많이 사용하고 동시에 블록의 휨강도 저하를 방지하고자 시멘트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제조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굵은 골재로만 블록을 형성하는 경우 블록의 표면이 거칠어 보도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투수성 블록의 경우 제조시에 블록의 상부와 하부가 특정되므로 포설시 정해진 방향으로만 블록을 포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빗물 등을 신속하고도 지속적으로 유입하고, 상당량 저장할 수 있으며, 적절한 속도로 지면으로 잘 배출하는 능력을 갖추고, 미끄럼 방지기능을 가지며, 블록을 뒤집거나 돌려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갖춘 블록을 저렴하고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목재나 석재 등과 같은 천연재료로 만들어지는 블록을 빗물 등의 신속한 유입 능력과 충분한 저장 능력을 갖도록 제조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문제이다.
상기의 문제들 중의 일부를 해결하는 다양한 블록들이 이미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5754호는 "투수(透水)용으로 고안된 보차도용 블록"을 개시하고 있다(도 21 참조). 이 종래기술은 보차도용 블록의 측면에 있는 여러 개의 임의의 형상과 크기를 지닌 홈으로 인해 원활한 투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블록은 빗물의 투수만 가능할 뿐 신속한 유입이 어렵고, 저장 기능이 부족할 뿐 아니라, 유입된 빗물을 지면으로 잘 배출하기가 어려우며, 표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없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1712호는 "다공성 필터가 설치된 보도블록"을 개시하고 있다(도 22 참조). 이 종래기술은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되는 필터홀이 형성된 보도블록과, 상기 필터홀과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도록 다공성물질의 압축/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필터홀내로 삽입되는 다공성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보도블록은 상부면에 필터홀 방향으로의 빗물흐름 및 일시 저장되도록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유도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도블록의 하부면에는 하부유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홀은 바닥면이 소정구배(θ)를 구비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 필터는 100∼400㎏/㎠ 의 압력으로 압축/사출성형되고, 다공도 10∼40%(부피비율)을 구비하며, 상기 보도블록은 상기 다공성 필터를 통과한 빗물이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에 하부유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블록은 별도로 다공성 필터를 제작하는 등의 공정 추가로 인해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이 증가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다공성 필터의 막힘 현상으로 인해 투수의 지속성이 떨어지고, 빗물의 유입구가 다공성필터에 한정되어 폭우 등의 경우에 빗물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으며, 블록을 뒤집거나 뉘어서 사용하기 어렵고, 특히 필터홀을 별개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5373호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을 개시하고 있다(도 23 참조). 이 종래기술은 보도블록의 하부에 포설되어 우수(雨水)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시키는 저류블록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은, 폭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중공부(中空部)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투수홈; 상기 본체의 하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수홈;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凹凸)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투수유도홈; 인접하여 포설되는 저류블록끼리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개구(開口)되도록 형성된 연결홈; 상기 본체의 하면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저류블록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밀림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수홈은 투수유도홈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의 구멍 크기와 개수는 투수홈의 구멍 크기 및 개수 보다 작고, 상기 연결홈에는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인접해서 포설된 저류블록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투수를 위한 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블록은 투수홈, 배수홈 등을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블록의 제작비용이 상승하며, 투수홈이 협소하여 투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쉽게 막히며, 본체의 내부에 중공부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므로 중공부의 형성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투수홈을 통해 침투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중공부에 퇴적되어 중공부의 저류 공간이 감소하고 배수홈이 막히며, 또한 블록의 제조시에 그 상부와 하부가 정해지므로 블록을 뒤집거나 뉘어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8-53808호는 "투수성 보도블록"을 개시하고 있다(도 24 참조). 이 종래기술은 도로의 일측부에 시공된 보도를 형성하는 사각형 블록체이며, 이 사각형 블록체 표면에 통수공이 형성되고, 또한 내부에 상기 통수공과 연통된 집수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블록은 통수공의 형성이 어려워 블록 제작에 따른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이 증가하며, 통수공을 통해 투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막히고, 통수공을 통해서 빗물이 유입되므로 폭우 등의 경우 유입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또한 블록을 뒤집거나 뉘어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035호는 "빗물 저류형 포장용 블록"을 개시하고 있으며(도 25 참조), 이 종래기술은 표면과, 저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피팅면과, 다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비피팅면으로부터 직사각형체로 형성된 블록이며, 일방의 상기 피팅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상기 피팅면에는 상기 볼록 형상부가 끼워맞춰지는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비피팅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조인트 유지 돌조가 상기 표면과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 조인트 유지 돌조가 상기 한 쌍의 피팅면과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져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직 조인트 유지 돌조는 그 돌출 높이가 상기 수평 조인트 유지 돌조의 돌출 높이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5389호는 "우수 유출을 조절하는 포장용 블록"을 개시하고 있으며(도 26 참조), 이 종래기술은 측면 및 전후면 방향으로 복수개가 결합되어 지반에 시공되는 포장용 블록으로서, ㅗ자 형태를 갖는 제 1 브릿지 및 제 2 브릿지와, 상기 제 1 브릿지 및 제 2 브릿지의 사이에 하측이 개방된 제 1 공동부와 각 외측 방향에 중심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상기 제 1 브릿지 및 제 2 브릿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제 1 브릿지, 제 2 브릿지 및 상판을 포함하는 구조물에서 전후면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이격돌기와, 상기 제 1 브릿지, 제 2 브릿지 및 상판을 포함하는 구조물에서 일측면의 돌출된 각 상단 및 각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제 1 브릿지, 제 2 브릿지 및 상판을 포함하는 구조물에서 타측면의 돌출된 각 상단 및 각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턱과, 상기 상판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이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용 블록이 측면 방향으로 복수개가 결합될 경우에는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복수의 제 2 이격돌기에 의해 생성된 공극으로 침투되는 우수를 저류하는 "0"자 형태의 제 2 공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브릿지, 제 2 브릿지 및 상판을 포함하는 구조물은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이 내부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블록들은 결합되는 블록들의 사이의 틈을 통해 빗물 등이 유도되어 투수되므로 틈이 막히는 경우 투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투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틈을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보행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블록 간의 결합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블록의 결합형상 및 결합방법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블록의 제조시 그 상부와 하부가 정해지므로 뒤집거나 뉘어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도된 빗물을 저류시키기 위해 블록에 별도로 빈 공간인 공동부를 형성하므로 블록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5754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1712 특허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5373 특허 4 :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8-53808 특허 5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8035 특허 6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5389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을 유입골, 저장골, 연결구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재료나 다양한 형상의 블록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투수, 저장, 통기, 미끄럼 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1면에 복수의 유입골을 형성함으로써, 길고 깊은 유입골에 의해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유입이 신속하고, 빗물 등의 일시적인 저장이 가능하며, 상기 블록의 사용기간 동안 투수성이 지속되고, 미끄럼이 방지되며, 또한 유입골에 의해 미감이 우수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2면에 하나 이상의 저장골을 형성함으로써, 길고 깊은 저장골에 의해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의 유입의 막힘이 방지되고, 유입된 빗물 등의 저장성이 향상되며, 빗물 등의 배출이 신속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입골과 저장골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의해 유입골로 유입된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이 저장골로 직접적으로 신속히 유도되며, 지면이나 저장골의 수분이 공기 중으로 쉽게 증산되어 열섬화가 방지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입골을 1면의 모서리 또는 연결구 쪽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신속하게 유출할 수 있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3면에 복수의 연결골을 형성함으로써, 유입골과 저장골의 연결기능과 빗물 등의 저장기능을 강화하며 동시에 상기 블록의 어느 면도 지면에 노출되는 상측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면적인 기능을 갖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은, 1면; 상기 1면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1면과 평행한 2면; 및 상기 1면과 상기 2면을 연결하는 3면;을 포함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1면은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신속하고도 지속적인 유입이 가능한 복수의 유입골을 포함하고, 상기 2면은 상기 유입골을 통해 유입된 상기 빗물, 먼지 및 토사를 받아들여 저장하거나 지면으로 유출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골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골과 상기 저장골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내측에서 서로 접하여 연결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입골로 유입된 상기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상기 저장골로 직접적이고, 신속하고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면의 유입골들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면은, 상기 1면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내부에서 끝나거나, 또는 내부에서 시작하고 모서리에서 끝나거나 꼭지점에서 끝나는 유입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면은, 다른 유입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면은, 상기 1면의 내부에서 폐합된 형상의 유입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면은, 상기 저장골과 접하지 않는 유입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면의 저장골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저장골들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면은, 상기 2면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내부에서 끝나거나, 또는 내부에서 시작하고 모서리에서 끝나거나 꼭지점에서 끝나는 저장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면은, 다른 저장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저장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면은, 상기 2면의 내부에서 폐합된 형상의 저장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면은, 상기 유입골과 서로 접하지 않는 저장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면은, 상기 2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저장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면은 상기 1면의 유입골 또는 상기 2면의 저장골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는,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컨베어벨트; 상기 한 쌍의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어벨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절개홈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바닥판; 상기 컨베어벨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저장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하부실린더; 및 상기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장치는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3면을 형성하는 형틀과, 상기 유입골들에 대응하는 유입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상판과, 상기 형틀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1상부실린더와, 상기 상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2상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컨베어벨트; 상기 한 쌍의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어벨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절개홈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바닥판; 상기 컨베어벨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저장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하부실린더; 및 상기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장치는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3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골에 대응하는 연결돌부들이 형성된 형틀과, 상기 유입골들에 대응하는 유입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상판과, 상기 형틀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1상부실린더와, 상기 상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2상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은,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를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컨베어벨트를 작동시켜 상기 바닥판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2단계; 상기 하부실린더를 상측으로 작동시켜 상기 저장돌부들이 상기 절개홈들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3단계; 상기 1상부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형틀을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4단계; 상기 형틀 내에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충진하는 5단계; 상기 2상부실린더를 하측으로 작동시켜 상기 유입돌부들이 상기 충진된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에 상기 유입골들을 형성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을 유입골, 저장골, 연결구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재료나 다양한 형상의 블록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투수, 저장, 통기, 미끄럼 방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1면에 복수의 유입골을 형성함으로써, 길고 깊은 유입골에 의해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유입이 신속하고, 빗물 등의 일시적인 저장이 가능하며, 상기 블록의 사용기간 동안 투수성이 지속되고, 미끄럼이 방지되며, 또한 유입골에 의해 미감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2면에 하나 이상의 저장골을 형성함으로써, 길고 깊은 저장골에 의해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의 유입의 막힘이 방지되고, 유입된 빗물 등의 저장성이 향상되며, 빗물 등의 배출이 신속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입골과 저장골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의해 유입골로 유입된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이 저장골로 직접적으로 신속히 유도되며, 지면이나 저장골의 수분이 공기 중으로 쉽게 증산되어 열섬화가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입골을 1면의 모서리 또는 연결구 쪽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신속하게 유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3면에 복수의 연결골을 형성함으로써, 유입골과 저장골의 연결기능과 빗물 등의 저장기능을 강화하며 동시에 상기 블록의 어느 면도 지면에 노출되는 상측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면적인 기능을 갖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유입골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유입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유입골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저장골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저장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저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저장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저장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d 및 도 14e는, 도 14a를 연결하여 포설하는 모습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저장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에 형성된 연결골을 도시하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종래기술의 블록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은, 1면(110)과, 상기 1면(110)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1면(110)과 평행한 2면(120)과, 상기 1면(110)과 2면(120)을 연결하고 1면(110)과 2면(120)에 수직한 3면(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3면(130)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데, 3면(130)이 하나인 경우에는 원형블록이 되고(도 10 참조), 3면(130)이 3개인 경우에는 삼각블록이 되고(도면 미도시), 3면(130)이 4개인 경우에는 사각 또는 마름모블록이 되며(도 1, 도 18 참조), 4개 이상도 가능하다(도 17 참조).
1면(110)에는 유입골(111)이 1면(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깊고도 길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빗물, 먼지 및 토사가 매우 신속하고도 블록(100)의 사용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즉, 유입골(111)은 1면(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후술할 저장골(121)과 접할 정도로 깊고, 빗물 등을 충분히 유입할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빗물을 투수하기 위해 형성한 미세 간극, 미세 공극, 또는 작은 구멍에 비해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유입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블록(100)의 사용기간 동안 먼지, 토사 등에 의해 막히지 않고 투수의 지속성이 유지된다. 또한, 블록(100)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거나, 블록(100)을 특별히 제작하지 아니하여도 복수의 유입골(111)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며, 특히 눈이나 비가 오는 경우에도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유입골(111)은 그 하측에 저장골(121)과 접하여 후술할 연결구(141)가 형성되는데, 1면(110)에는 하측에 연결구(141)가 형성되지 않는, 즉 저장골(121)과 접하지 않는 유입골(111)을 형성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유입골(111)은 연결구(141)가 형성된 유입골(111)과 연결되어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유도하는 등의 보조 역할을 한다.
상기 유입골(111)들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골(111)들이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도 1, 도 2 참조), 꺾이거나(도 3 참조), 나란하지 않거나(도 7 참조), 서로 직교하거나(도 5 참조), 비스듬히 교차하거나(도 7) 할 수 있으며, 교차하는 경우에도 유입골(111)이 다른 유입골(111)과 1면(11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거나(도 5, 및 도 7 참조), 1면(110)의 모서리에서 교차하거나(도 8 참조) 할 수 있다. 또한, 유입골(111)들은 1면(110)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거나(도 1, 도 2 참조), 1면(110)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1면(110)의 내부에서 끝나거나(도 4 참조), 또는 1면(110)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1면(110)의 모서리나 꼭지점에서 끝나거나(도 6a, 도 7 참조) 할 수 있으며, 1면(110)의 내부에서 폐합, 즉 폐곡선 또는 폐곡면(도 10 참조)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도면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골(111)의 형상은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꺾인선 등의 불규칙적인 형상(도 9, 도 18a 내지 도 18c 참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시각적인 기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유입골(111)의 개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크기와 빗물의 양, 저장 용량, 미끄럼 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입골(111)을 많이 형성할수록 시간당 빗물 등의 유입 속도가 빨라지며, 미끄럼 저항이 증대된다.
또한, 유입골(111)의 폭, 길이, 깊이, 위치, 방향 등은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의 유입 및 유출 효과, 빗물의 임시 저장 효율, 연결구(141)의 수량, 미끄럼 저항성, 보행이나 주행의 기능, 미관,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휨강도, 압축강도 또는 전단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골(111)의 폭은 보행이나 차량, 자전거, 유모차, 손수레, 휠체어, 목발 등의 주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지나치게 넓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보행용이 아닌 경우에는 다소 넓게 형성하여 투수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유입골(111)은 길이가 길고 폭이 넓을수록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의 유입 및 유출 효과, 임시 저장 기능, 미끄럼 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입골(111)을 1면(110)의 중앙부를 피해서 형성하는 경우 블록(100)의 휨강도에 유리하다.
한편, 유입골(111)을 1면(110)의 모서리 또는 연결구(141) 쪽으로 하향경사 또는 단차지도록 형성하여 빗물, 먼지 및 토사를 더 신속하게 유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유입골(111)을 연결구(141)나 모서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경우, 유입골(111)의 전체적인 깊이를 얕게 형성하면서도 저장골(121)과 잘 접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블록(100)의 휨강도 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면(120)에는 저장골(121)이 2면(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깊고도 길게 하나 이상 형성되어, 유입골(111)을 통해 유입된 빗물, 먼지 및 토사를 매우 신속하게 유입하고, 블록(100)의 사용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유입하여 저장하거나 지면으로 유출한다. 상기 저장골(121)은 유입골(111)과 접하면서 교차되는 방향, 즉 직교하거나 비스듬하게 교차되게 형성됨으로써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이 나란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블록(10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저장골(121)이 유입골(111)과 교차하면서 서로 접함으로써 후술할 연결구(141)가 자동적으로 형성되어, 연결구(141)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도구, 작업 등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연결구(141)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아울러 블록(100) 자체의 제조방법도 용이하고 신속해진다.
상기 저장골(121)은 연결구(141)에 바로 연결되고, 또한 연결구(141)에 비해 매우 긴 형태이므로 연결구(141)를 통과하는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유출을 신속하게 하고, 블록(100)의 사용기간 내내 연결구(141)가 먼지 및 토사 등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투수 지속성이 유지되게 한다. 즉, 유입골(111)로 유입된 빗물, 먼지, 토사 등은 연결구(141)를 지나자마자 직접적으로 넓은 공간의 저장골(121)로 유출되므로 먼지, 토사 등에 의한 연결구(141)의 막힘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한다. 또한, 길고 깊게 형성된 저장골(121)은 유입된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을 충분히 저장하고, 지면과 접하는 긴 저장골(121)을 통해 지하로 빗물을 잘 배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길이가 길고 깊이가 깊은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은 빗물 등을 신속히 유입하고, 충분히 저장하며, 동시에 지면으로 잘 유출되게 한다. 이에 따라 토양 생태계가 건강해지고, 가로수 등 식생의 성장이 유리해진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에 별도의 빗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즉 저장골(121) 자체가 빗물 등을 유도한 후 저장하다가 지면으로 유출하는 것이므로 추가로 저장 공간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블록(100)의 두께를 특별히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블록(100)의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과정이나 운반과정 또는 사용 도중에 1면(110)이 일부 파손된다 하더라도, 새로운 블록을 사용하는 대신 상기 파손된 블록(100)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효과적이다. 이 경우 저장골(121)은 유입골(111)의 역할을 하게 되고, 유입골(111)은 저장골(121)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저장골(121)은 그 상측에서 유입골(111)과 접하여 연결구(141)가 형성되는데, 이와 달리 상측에서 유입골(111)과 접하지 않아 연결구(141)가 형성되지 않는 저장골(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도 13a 및 도 13b 참조). 이러한 저장골(121)은 독자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다른 저장골(121), 즉 유입골(111)과 연결된 저장골(121)과 연결될 수 있는데, 어느 경우이건 빗물 등을 저장하고, 지면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저장골(121)들은 유입골(111)과 마찬가지로 2면(120) 전체 길이에 형성되거나(도 1, 도 2 참조), 또는 2면(120)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2면(120)의 내부에서 끝나도록 형성되거나(도 11a, 도 11b 참조), 2면(120)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2면(120)의 모서리나 꼭지점에서 끝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골(121)들은 2면(120)의 모서리에 형성(도 14a, 도 15 참조)될 수도 있으며,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도 2 참조)될 수도 있지만, 전체 또는 일부가 서로 나란하지 않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도 12b 참조)될 수도 있고, 2면(120)의 내부에 폐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도면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골(121)의 형상은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 꺾인선 등의 불규칙적인 형상(도 18a 내지 도 18c 참조)이나 곡면(도 6a, 도 6b 참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골(121)의 폭, 길이, 깊이, 위치, 및 수량 등은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의 유입 및 유출의 양, 저장 효율, 연결구(141)의 수량,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휨강도, 압축강도 또는 전단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골(121)은 폭, 길이, 깊이, 수량 등이 증가할수록 빗물, 먼지 및 토사 등의 유입과 유출 효과, 저장 용량 등이 증대하나, 블록(100)의 휨강도, 압축강도 또는 전단강도 등이 감소한다. 또한, 저장골(121)을 2면(120)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휨강도에 불리하므로 상기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한편, 저장골(121)을 연결구(141) 쪽으로 상향경사 또는 단차지도록 형성하여 저장골(121)로 인한 블록(100)의 강도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도 빗물 등의 유입과 유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내측에는 연결구(141)가 형성되어 유입골(111)로 유입된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저장골(121)로 유도한다. 즉, 상기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이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블록(100)의 내측에서 서로 접함으로써, 이 접하는 교차지점에 연결구(1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을 형성함과 동시에 연결구(141)가 자동적으로 형성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141)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나 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다. 상기 연결구(141)는 유입골(111)로 유입된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저장골(121)로 직접적이고, 신속하고도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고, 연결구(141)보다 길이가 길고, 깊이가 깊은 저장골(121)에 의해 막힘이 방지되어 투수 지속성이 잘 유지된다. 또한, 연결구(141)에 의해 저장골 내 빗물 또는 지면의 수분을 공기 중으로 증산시킬 수 있어 열섬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열섬화는 유입골(111) 또는 후술할 연결골(131)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 등에 의해서도 방지된다.
상기 연결구(141)는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이 많을수록 그 개수도 많아질 수 있으므로 연결구(141)의 수량은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의 수량과 관련이 있으며, 이 외에도 연결구(141)의 형상, 위치 등은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의 형상, 위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3면(130)에는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면(110)의 유입골(111) 또는 2면(120)의 저장골(121)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골(13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연결골(13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골(1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연결골(131)은 저장골(121)과 블록(100)의 내측에서 접하지 않는 유입골(1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연결골(131)은 유입골(1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유입골(111)과 블록(100)의 내측에서 접하지 않는 저장골(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3면(130)에 형성된 연결골(131)은 연결구(141)의 역할을 보완하고, 유입골(111)과 저장골(121)의 통수, 통기, 저장 등의 기능을 보강한다. 또한, 연결골(131)을 형성함에 따라 연결구(141)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블록(10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3면(130)을 블록(100)의 상면(노출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100)의 제조과정이나 운반과정 또는 사용 도중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블록(100)을 용이하게 뒤집거나 뉘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은 불투수성, 비통기성인 점토, 목재, 석재, 세라믹, 고무, 플라스틱, 시멘트콘크리트 등의 재료에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든 복잡한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종래의 간단한 절단용 공구 또는 기계장치 등을 사용하여 투수, 통기, 저장 등의 기능이 증대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블록(100)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 외에도 다양한 형상(도 17 내지 도 18c 참조)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100)을 다면체 뿐 아니라 회전체(도 10 참조)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3면(130)에 연결골(13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블록(100)은 특정한 면만이 아닌 어느 면을 상측으로 사용하여도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지속적인 유입, 저장 및 유출이나 통기, 미끄럼 저항이 가능한 다면적인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1면(110), 2면(120), 3면(130) 등 어느 면도 블록(100)의 상측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블록(100)의 일부가 파손되어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거나, 또는 단순히 지면에 노출되는 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매우 용이하게 그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는, 한 쌍의 컨베어벨트(210), 바닥판(220), 하판(230), 하부실린더(240), 상측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구성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한 쌍의 컨베어벨트(210)는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컨베어벨트(210)가 이동과 정지를 반복적으로 하면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이 제조된다.
바닥판(220)은 상기 한 쌍의 컨베어벨트(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컨베어벨트(2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바닥판(220)은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단면 크기, 형상, 및 한 번에 제조하는 블록(100)의 개수에 따라 그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9의 경우 한 번에 6개의 블록(100)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조할 블록(100)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판(220)에는 블록(100)의 저장골(121)들에 대응하는 절개홈(221)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다.
하판(230)은 상기 컨베어벨트(210)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판(230)에는 상기 바닥판(220)의 절개홈(221)들에 대응하는 저장돌부(231)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되고, 이 저장돌부(231)들이 바닥판(220)의 절개홈(221)들에 삽입되어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에 저장골(121)들이 형성된다.
하부실린더(240)는 상기 하판(230)의 하측에 결합되어 하판(230)을 상하로 작동시켜 상기 저장돌부(231)들을 상기 절개홈(221)들에 삽입시킨다.
상측장치(250)는 상기 컨베어벨트(210)의 상측, 즉 상기 바닥판(2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측장치(250)는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3면(130)을 형성하는 형틀(251)과, 상기 형틀(251)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판(253)과, 상기 형틀(251)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1상부실린더(256)와, 상기 상판(253)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2상부실린더(2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형틀(251)은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크기, 높이,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100)의 3면(130)에 연결골(131)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골(131)에 대응하는 연결돌부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53)에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의 유입골(111)에 대응하는 유입돌부(254)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은,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200)를 준비하는 1단계와, 바닥판(220)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2단계와, 하부실린더(24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는 3단계와, 1상부실린더(256)를 작동시키는 4단계와,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플라스틱 등을 충진하는 5단계와, 2상부실린더(258)를 하측으로 작동시키는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100) 및 그 제조장치(200)의 구성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200)를 준비하는 1단계는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20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바닥판(220)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2단계는 상기 컨베어벨트(210)를 작동시켜 바닥판(220)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정확한 위치는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200)의 상측장치(250)와 하판(230)이 배치된 위치를 의미한다.
하부실린더(24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는 3단계는 상기 하부실린더(240)를 상측으로 작동하여 하판(230)의 저장돌부(231)들이 바닥판(220)의 절개홈(221)들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판(23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1상부실린더(256)를 작동시키는 4단계는 상기 1상부실린더(256)를 하측으로 작동하여 형틀(251)을 바닥판(2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플라스틱 등을 충진하는 5단계는 전술한 4단계에서 바닥판(220)의 상측에 위치시킨 형틀(251) 내에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플라스틱 등을 충진하는 단계이다. 이때, 형틀(251) 내에는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 뿐 아니라, 그 외의 재료를 충진할 수도 있다.
2상부실린더(258)를 하측으로 작동시키는 6단계는 상기 2상부실린더(258)를 하측으로 작동하여 상판(253)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판(253)의 유입돌부(254)들이 전술한 5단계에서 충진된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플라스틱 등에 유입골(111)들을 형성하도록 상판(253)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판(253)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진동 및 다짐을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6단계 이후에는 1상부실린더(256)와 2상부실린더(258)를 작동하여 각각 형틀(251)과 상판(253)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하부실린더(240)를 작동하여 하판(23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컨베어벨트(210)를 작동하여 바닥판(22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110 : 1면
111 : 유입골
120 : 2면
121 : 저장골
130 : 3면
131 : 연결골
141 : 연결구
200 :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
210 : 컨베어벨트
220 : 바닥판
221 : 절개홈
230 : 하판
231 : 저장돌부
240 : 하부실린더
250 : 상측장치
251 : 형틀
253 : 상판
254 : 유입돌부
256 : 1상부실린더
258 : 2상부실린더

Claims (17)

1면;
상기 1면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1면과 평행한 2면; 및
상기 1면과 상기 2면을 연결하는 3면;을 포함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1면은 빗물, 먼지 및 토사의 신속하고도 지속적인 유입이 가능한 복수의 유입골을 포함하고,
상기 2면은 상기 유입골을 통해 유입된 상기 빗물, 먼지 및 토사를 받아들여 저장하거나 지면으로 유출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골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골과 상기 저장골은 서로 직교하거나 비스듬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내측에서 서로 접하여 연결구가 형성됨으로써, 연결구의 형성이 용이하고 상기 유입골로 유입된 상기 빗물, 먼지 및 토사를 상기 저장골로 신속하고도 지속적으로 유도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면의 유입골들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면은, 상기 1면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내부에서 끝나거나, 또는 내부에서 시작하고 모서리에서 끝나거나 꼭지점에서 끝나는 유입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면은, 다른 유입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면은, 상기 1면의 내부에서 폐합된 형상의 유입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면은, 상기 저장골과 접하지 않는 유입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면의 저장골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저장골들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면은, 상기 2면의 내부에서 시작하고 내부에서 끝나거나, 또는 내부에서 시작하고 모서리에서 끝나거나 꼭지점에서 끝나는 저장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면은, 다른 저장골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저장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면은, 상기 2면의 내부에서 폐합된 형상의 저장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면은, 상기 유입골과 서로 접하지 않는 저장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면은, 상기 2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저장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면은 상기 1면의 유입골 또는 상기 2면의 저장골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골을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컨베어벨트;
상기 한 쌍의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어벨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절개홈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바닥판;
상기 컨베어벨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저장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하부실린더; 및
상기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장치는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3면을 형성하는 형틀과, 상기 유입골들에 대응하는 유입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상판과, 상기 형틀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1상부실린더와, 상기 상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2상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
청구항 14의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를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컨베어벨트를 작동시켜 상기 바닥판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2단계;
상기 하부실린더를 상측으로 작동시켜 상기 저장돌부들이 상기 절개홈들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3단계;
상기 1상부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형틀을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4단계;
상기 형틀 내에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충진하는 5단계;
상기 2상부실린더를 하측으로 작동시켜 상기 유입돌부들이 상기 충진된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에 상기 유입골들을 형성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
청구항 13의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컨베어벨트;
상기 한 쌍의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어벨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절개홈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바닥판;
상기 컨베어벨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골들에 대응하는 저장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하부실린더; 및
상기 컨베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장치는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3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골에 대응하는 연결돌부들이 형성된 형틀과, 상기 유입골들에 대응하는 유입돌부들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상판과, 상기 형틀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1상부실린더와, 상기 상판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2상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인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
청구항 16의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장치를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컨베어벨트를 작동시켜 상기 바닥판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2단계;
상기 하부실린더를 상측으로 작동시켜 상기 저장돌부들이 상기 절개홈들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3단계;
상기 1상부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형틀을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4단계;
상기 형틀 내에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충진하는 5단계;
상기 2상부실린더를 하측으로 작동시켜 상기 유입돌부들이 상기 충진된 점토, 시멘트콘크리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에 상기 유입골들을 형성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60002474A 2016-01-08 2016-01-08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9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74A KR101792932B1 (ko) 2016-01-08 2016-01-08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00175 WO2017119751A1 (ko) 2016-01-08 2017-01-06 골 채널 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74A KR101792932B1 (ko) 2016-01-08 2016-01-08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51A KR20170083251A (ko) 2017-07-18
KR101792932B1 true KR101792932B1 (ko) 2017-11-02

Family

ID=5927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474A KR101792932B1 (ko) 2016-01-08 2016-01-08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2932B1 (ko)
WO (1) WO2017119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6907A1 (it) * 2018-07-04 2020-01-04 Elemento di copertura per pavimentazioni
CN111719369A (zh) * 2020-05-15 2020-09-29 龙德建设有限公司 一种城市风景园林路面施工结构
KR102525880B1 (ko) * 2023-02-15 2023-04-26 주식회사에코블럭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406A (ja) * 2001-07-13 2003-01-29 Ito Yogyo Co Ltd 透水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836U1 (de) * 1996-06-12 1997-12-29 Fleischhacker Gerhard Flüssigkeitsdurchlässiger belag
KR200228200Y1 (ko) * 2000-07-27 2001-06-15 한상관 투수(透水)경계 불럭
KR20120030642A (ko) * 2010-09-20 2012-03-29 한숙희 배수기능을 가진 보도블럭
KR20120103266A (ko) * 2011-03-10 2012-09-1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406A (ja) * 2001-07-13 2003-01-29 Ito Yogyo Co Ltd 透水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51A (ko) 2017-07-18
WO2017119751A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932B1 (ko)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6464A (ko)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JP2008169571A (ja) 透水性、保水性、排水性を具えた舗装構造とこれに用いる煉瓦
CN204875442U (zh) 人行道地砖及人行道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KR102140338B1 (ko) 합성투수블럭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KR101598148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120133802A (ko)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JP2684974B2 (ja) 舗装材の製造方法
KR200370304Y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JP3791692B1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0718206B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CN206721600U (zh) 一种对位连锁缝隙透水路面砖
KR200413509Y1 (ko) 수로용 식생 블록
KR200420360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988940B1 (ko) 포러스 식생블럭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JP2005126974A (ja) 地面敷設用装飾体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20170119832A (ko)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019180B1 (ko) 줄눈 일체형 블록
JP2005030028A (ja) 舗装用ブロック
JP3796383B2 (ja) 舗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