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385B1 -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385B1
KR101791385B1 KR1020170049932A KR20170049932A KR101791385B1 KR 101791385 B1 KR101791385 B1 KR 101791385B1 KR 1020170049932 A KR1020170049932 A KR 1020170049932A KR 20170049932 A KR20170049932 A KR 20170049932A KR 101791385 B1 KR101791385 B1 KR 10179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groove
ring
ring assembly
reduce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종혁
Original Assignee
지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종혁 filed Critical 지종혁
Priority to KR102017004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0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2Preliminary treatment of metal stock without particular shaping, e.g. salvaging segregated zones, forging or pressing in the 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소재(S)를 만드는 준비단계(S10); 상기 소재(S) 일단의 직경을 축소시켜 축경부(40)를 형성하는 축경단계(S20); 상기 축경부(40)의 외주면에 링조립홈(43)을, 그리고 끝면에 횡홈(4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소재(S)의 타단에 헤드부(3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경부(40)의 직경을 상기 축경단계(S20) 이전의 크기로 회복시키는 링홈 가공단계(S30); 및 상기 링조립홈(43)에 안착되도록 고정링(5)을 조립할 수 있는 위치에 링조립공(41)을 형성하는 링조립공 형성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원통형 소재의 핀샤프트 하단부 외주에 링조립홈을 가공하기 전에 링조립홈이 형성될 소재 하단부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축경작업을 선행하고 있으므로, 단조 시 링조립홈을 만들어내는 2차 단조금형 다이스의 공동에 돌출된 돌출부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다이스 등 단조금형의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하여, 단조금형의 가용수명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조공정을 단축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Integral Type Cotter Pin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 상에서 전선 등을 절연 상태로 연결하는 애자 등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일체형 코터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나 송전탑 등에 절연 애자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체형 코터핀은 현장에서의 열악한 조립작업의 여건을 감안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조립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성을 중시하는 바, 일체형 코터핀의 핀샤프트에 고정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애자 조립 시 이 고정링을 조작하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작업을 마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핀샤프트에 고정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핀샤프트 하단부를 고정링 안착에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코터핀 샤프트 제조 방법(등록특허 제10-1704932호)에서와 같이, 소재를 커팅하고, 1차 가공품을 성형하며, 다시 2차 가공품을 성형한 다음, 3차 가공품을 성형한 뒤, 고정링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 하나의 일체형 코터핀을 제조하여 왔다.
즉, 위 제조 방법은 도 1에 (a)로 도시된 것처럼 환봉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S)를 만드는 소재 커팅 단계, (b)로 도시된 것처럼 소재(S)의 하단부 끝면에 하단 그루브를 함몰시켜 형성함으로써 1차 가공품(S1)을 성형하는 단계, (c)로 도시된 것처럼 1차 가공품(S1)의 하부 외주에 한 쌍의 측면 그루브를 함몰 형성하여 하단 그루브와 연통시킴으로써 2차 가공품(S2)을 성형하는 단계, (d)로 도시된 것처럼 2차 가공품(S2)의 상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헤드(133)를 형성하여 3차 가공품(S3)을 성형하는 단계,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측면 그루브와 연통하도록 3차 가공품(S3)을 드릴 가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조금형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1차 가공품(S1)을 단조할 때는 도 1의 (b)와 같이, 방출핀(155) 위에 놓이도록 다이스(151) 공동에 소재(S)를 장전하고, 펀치핀(153)으로 소재(S)를 충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방출핀(155)의 상단 끝면에는 횡돌기(187)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소재(S) 하단 끝면에 하단 그루브가 형성된다.
그 다음, 2차 가공품(S2)은 도 1의 (c)와 같이, 방출핀(175) 위에 1차 가공품(S1)을 장전하고, 펀치핀(153)으로 충격하여 방출핀(175)의 돌출부(183)에 의해 1차 가공품(S1) 하단 외주에 측면 그루브를 형성한다. 다만, 2차 가공품(S2) 장전 시 하단 그루브를 돌출부(183)에 정렬시킴으로써, 측면 그루브가 하단 그루브와 일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끝으로, 3차 가공품(S3)은 도 1의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금형(184)에 의해 측면 그루브를 지지한 상태로 다이스(151) 공동에 2차 가공품(S2)을 장전하고 펀치(173)로 충격하여 2차 가공품(S2) 상단에 헤드부(133)를 형성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은 1차 가공품(S1)을 그대로 다이스(151) 공동에 장전한 뒤, 펀치핀(153)으로 소재(S)를 충격하여 방출핀(175)의 돌출부(183)에 의해서 1차 가공품(S1) 하단 외주에 측면 그루브를 형성하는 바, 1차 가공품(S1) 충격 시 돌출부(183)에 큰 충격이 가해지므로, 돌출부(183)에 손상이나 마모가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방출핀(175) 더 나아가 단조금형 전체의 수명 단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차 가공품(S1) 충격 시 돌출부(183)에 의해 배제되는 소재가 공동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므로, 일체형 코터핀의 단조품질이 악화되는 한편, 다이스(151) 등 단조금형의 수명 단축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70493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체형 코터핀의 핀샤프트 외주에 측면 그루브 즉, 링조립홈을 형성함에 있어, 단조금형의 다이스 특히, 공동의 돌출부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조금형의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금형의 가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이스 공동의 돌출부에 의해 배제되는 소재가 다이스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단조품 즉, 일체형 코터핀의 단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단조 시 소재를 충격하는 펀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일체형 코터핀 제조시 헤드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의 소재를 만드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소재 일단의 직경을 축소시켜 축경부를 형성하는 축경단계; 상기 축경단계에서 직경이 축소된 상기 축경부의 외주면에 링조립홈을, 그리고 끝면에 횡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소재의 타단에 헤드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경부의 직경을 상기 축경단계 이전의 크기로 회복시키는 링홈 가공단계; 및 상기 링홈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링조립홈에 안착되도록 고정링을 조립할 수 있는 위치에 링조립공을 형성하는 링조립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축경단계는 1차 단조금형에 의한 냉간단조에 의해 상기 소재를 축경시켜 상기 축경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홈 가공단계는 2차 단조금형에 의한 냉간단조에 의해 상기 축경부가 형성된 상기 소재를 가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단조금형은, 상기 축경부에 상기 링조립홈을 형성하도록, 공동의 벽면 하단에 한 쌍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이스; 상기 소재 상단에 상기 헤드부를 형성하도록, 저면에 오목부가 함입된 펀치; 및 상기 축경부 끝면에 상기 횡홈을 형성하도록, 상면에 횡돌기가 돌출된 방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펀치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진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환봉 형태의 원재료를 절단하여 원통형 소재를 만드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상기 소재를, 축경턱이 형성된 1차 단조금형의 공동에 장전하고, 펀치핀으로 상기 소재의 상단을 충격하여, 상기 축경턱에 의해 상기 소재 하단에 축경부를 형성하는 축경단계; 및 상기 축경단계에서 직경이 축소된 상기 소재를, 벽면 하단에 한 쌍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2차 단조금형의 공동에 장전하고, 저면에 오목부가 함입된 펀치로 상기 소재의 상단을 충격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축경부의 외주면에 링조립홈을, 그리고 방출핀의 상면에 돌출된 횡돌기에 의해 끝면에 횡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소재의 상단에 헤드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경부의 직경을 상기 축경단계 이전의 크기로 회복시키는 링홈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체형 코터핀 핀샤프트 단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환봉 형태의 소재를 냉간 단조 등에 의해 가공하여 핀샤프트로 제조함에 있어, 원통형 소재의 핀샤프트 하단부 외주에 링조립홈을 가공하기 전에 링조립홈이 형성될 소재 하단부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축경작업을 선행하고 있으므로, 단조 시 링조립홈을 만들어내는 2차 단조금형 다이스의 공동에 돌출된 돌출부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다이스 등 단조금형의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하여, 단조금형의 가용수명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2차 단조금형에 의해 링조립홈을 형성할 때 돌출부에 의해 배제되는 소재가 전부 축경부의 직경을 축경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대 사용되므로, 배제되는 소재를 다이스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배제된 소재로 인해 일체형 코터핀의 단조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일체형 코터핀의 단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배제된 소재를 다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어려울 때 발생하는 단조금형의 손상이나 마모를 염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조금형의 장수명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축경부를 선행하여 가공함에 따라, 단조 시 2차 단조금형의 공동 돌출부 등 다이스와 펀치 또는 방출핀 등 2차 단조금형 전체에 걸리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2차 단조금형에서 링조립홈을 성형하는 펀칭 동작 하나로 소재 하단의 횡홈과 소재 상단의 헤드부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단조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단조 작업의 작업효율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2차 단조금형의 펀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 정중앙에 통기공이 관통되어 있으므로, 펀치에 의해 소재 상단을 충격하여 오목부에 의해 헤드부를 형성할 때 헤드부 표면과 오목부 내주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외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고, 따라서 헤드 외관을 우그러짐 없이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코터핀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핀샤프트를 링조립공이 보이도록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중 준비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중 축경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4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중 링홈 가공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은 전신주에 사용되는 애자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일체형 코터핀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일체형 코터핀(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샤프트(3)와 고정링(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핀샤프트(3)는 일체형 코터핀(1)의 몸통을 이루는 부분으로,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몸체부(31)와, 이 몸체부(31) 일단 즉,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33), 그리고 몸체부(31) 타단 즉, 하단에 형성되는 링조립부(35)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링조립부(35)는 후술하는 트랙 형태의 고정링(5)이 일체형 코터핀(1)에 조립되는 부분으로, 다시 몸체부(31) 하부에 직경방향으로 관통되는 링조립공(41)과, 몸체부(31)의 끝면을 지나면서 링조립공(41)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오목하게 함입된 링조립홈(4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일체형 코터핀(1)은 고정링(5)을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핀샤프트(3)와 나란하게 돌려 세운 상태에서 전신주 등의 애자와 애자 사이에 관통된 삽공에 삽입 장착되며, 장착된 뒤에는 삽공 반대쪽으로 노출된 고정링(5)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핀샤프트(3)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회전시켜 삽공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일체형 코터핀(1)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준비단계(S10), 축경단계(S20), 링홈 가공단계(S30), 및 링조립공 형성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준비단계(S10)는 일체형 코터핀(1)의 핀샤프트(3)로 가공될 원통형의 소재(S)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강재의 환봉롤(R)에서 필요한 길이로 환봉을 핀샤프트(3)로 가공하기 적합한 길이로 절단하여 원통형의 소재(S)를 만든다.
상기 축경단계(S20)는 소재(S)의 일단 즉, 하단 부분의 직경을 축소하여 축경부(4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원통형의 소재(S)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1차 단조금형(10)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축경시키는 바, 링홈 가공단계(S30)에서 링조립홈(43)을 가공하기 전에 수행하는 일종의 사전작업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축경단계(S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축경부(40)를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단조금형(50)에 의한 냉간단조에 의해 소재(S)를 축경시켜 축경부(40)를 형성한다.
이때, 1차 단조금형(1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금형 본체로서 내부에 공동(61)이 형성된 다이스(51), 공동(61)에 장전된 소재(S)를 충격하는 펀치핀(53), 그리고 축경이 완료된 소재(S)를 외부로 발출시키는 방출핀(5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소재(S) 하부에 축경부(40)를 형성하도록 공동(61)의 하부에 축경턱(63)이 형성된다.
따라서, 1차 단조금형(10)에 의해 소재(S)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1차 단조금형(10)을 형개하고, 공동(61) 내에 소재(S)를 삽입, 장전한다. 이때, 소재(S)는 축경턱(63)에 걸려 공동(61) 위로 노출된다. 그리고 나서,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펀치핀(53)으로 소재(S)를 상단으로부터 충격하면, 소재(S)는 축경턱(63)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면서 축경부(40)를 형성한다.
상기 링홈 가공단계(S30)는 위 축경단계(S20)에서 소재(S) 하부에 형성된 축경부(40)에 링조립홈(43)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축경단계(S20)에서 소재(S) 하부에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된 축경부(40)에 도 7에 도시된 2차 단조금형(70)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링조립홈(43)을 형성하는 한편, 축경부(40) 즉, 소재(S)의 하단 끝면에 횡홈(45)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링홈 가공단계(S3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소재(S)의 타단 즉, 상단에 헤드부(3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링홈 가공단계(S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링조립홈(43) 및 횡홈(45)과 헤드부(33)를 형성할 수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2차 단조금형(70)에 의한 냉간단조에 의해 일거에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2차 단조금형(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스(71), 펀치(73), 및 방출핀(7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다이스(71)는 금형의 본체로서 내부에 공동(81)이 형성되는데, 특히 공동(81)의 벽면 하단에 한 쌍의 돌출부(8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축경된 소재(S)가 장전된 때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축경부(40) 하단이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부(83)는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소재(S)가 펀치(73)에 의해 충격된 때 축경부(40) 외면을 눌러 링조립홈(43)을 형성한다. 이때, 축경부(40)는 돌출부(83)에 의해 밀려난 만큼 반경방향으로 팽창하므로, 외면에 링조립홈(43)을 형성하는 동시에 직경 즉, 굵기가 축경단계(S20) 이전의 상태로 회복된다.
또, 상기 펀치(73)는 단조 시 위와 같이 소재(S)에 충격을 가하는 수단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스(71) 상측에 설치되는 바, 저면에 예컨대 돔 형태의 오목부(85)가 형성되므로, 소재(S)를 펀칭할 때 소재(S) 상단에 헤드부(33)를 형성한다. 이때, 펀치(7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S) 상단을 충격하여 헤드부(33)를 형성할 때 오목부(85) 첨부에서 공기가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부(85)의 중심에 통기공(86)이 연결되어 외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통기공(86)은 펀칭 시 오목부(85) 첨부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외기 중으로 방출함으로써, 헤드부(33) 상단의 형상이 압축공기로 인해 으그러지지 않도록 한다.
끝으로, 상기 방출핀(75)은 단조가 종료된 후 완성된 단조품을 다이스(71) 밖으로 빼내는 수단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직경방향으로 횡돌기(87)가 돌출된다. 따라서, 방출핀(75)은 소재(S)가 펀치(73)에 의해 충격될 때 횡돌기(87)에 의해 축경부(40) 하측 끝면에 횡홈(45)을 형성한다. 다만, 방출핀(75)은 횡돌기(87)가 돌출부(83)와 연속되도록 배치되고, 단면 형상도 돌출부(83)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횡홈(45)은 링조립홈(43)과 함께 축경부(40) 하단에 U자 모양의 홈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링홈 가공단계(S30)에서는 위 축경단계(S20)에서 직경이 축소된 소재(S)를 2차 단조금형(70)의 공동(81)에 장전하고, 다이스(71) 위로 노출된 소재(S)의 상단을 펀치(73)로 충격한다. 이에 따라, 공동(81)의 돌출부(83)에 의해 축경부(40)의 외주면에 링조립홈(43)이 형성되는 동시에. 축경부(40)의 직경이 축경단계(S20) 수행 이전의 크기로 회복된다. 또한, 방출핀(75)의 상면에 돌출된 횡돌기(87)에 의해 축경부(40) 끝면에 횡홈(45)이 형성되며, 펀치(73)에 의해 충격된 소재(S) 상단에는 오목부(85)에 의해 헤드부(33)가 형성된다.
상기 링조립공 형성단계(S40)는 링조립홈(43)에 고정링(5)을 조립하기 위한 링조립공(41)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도 4의 최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링홈 가공단계(S30)에서 소재(S) 하부에 형성된 링조립홈(43)의 상단에 링조립공(41)을 드릴링 등에 의해 관통하여 형성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링조립홈(43)에 안착되는 상태로 고정링(5)을 끼워 넣어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나, 일체형 코터핀(1)의 핀샤프트를 단조하는 방법으로 한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조방법은 절단단계(SS10), 축경단계(SS20), 및 링홈 가공단계(S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단계(SS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 형태의 원재료를 절단하여 원통형 소재(S)를 만드는 공정으로, 위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의 준비단계(S10)에 해당하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축경단계(SS20)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절단단계(SS10)에서 절단된 소재(S)의 하단에 축경부(4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축경턱(63)이 형성된 1차 단조금형(10)에 의해 소재(S)를 직경을 축소시키는 위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의 축경단계(S20)에 해당하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링홈 가공단계(SS30)도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축경단계(SS20)에서 소재(S) 하부에 형성된 충격부(40)에 링조립홈(43)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위 링홈 가공단계(S30)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 일체형 코터핀 3 : 핀샤프트
5 : 고정링 10 : 1차 단조금형
41 : 링조립공 43 : 링조립홈
45 : 횡홈 50 : 1차 단조금형
51, 71 : 다이스 53 : 펀치핀
55, 75 : 방출핀 61, 81 : 공동
63 : 축경턱 70 : 2차 단조금형
73 : 펀치 83 : 돌출부
85 : 오목부 86 : 통기공
87 : 횡돌기 S : 소재

Claims (6)

  1. 원통형의 소재(S)를 만드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상기 소재(S) 일단의 직경을 축소시켜 축경부(40)를 형성하는 축경단계(S20);
    상기 축경단계(S20)에서 직경이 축소된 상기 축경부(40)의 외주면에 링조립홈(43)을, 그리고 끝면에 횡홈(4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소재(S)의 타단에 헤드부(3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경부(40)의 직경을 상기 축경단계(S20) 이전의 크기로 회복시키는 링홈 가공단계(S30); 및
    상기 링홈 가공단계(S30)에서 형성된 상기 링조립홈(43)에 안착되도록 고정링(5)을 조립할 수 있는 위치에 링조립공(41)을 형성하는 링조립공 형성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링홈 가공단계(S30)는 2차 단조금형(70)에 의한 냉간단조에 의해 상기 축경부(40)가 형성된 상기 소재(S)를 가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경단계(S20)는 1차 단조금형(10)에 의한 냉간단조에 의해 상기 소재(S)를 축경시켜 상기 축경부(40)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단조금형(70)은,
    상기 축경부(40)에 상기 링조립홈(43)을 형성하도록, 공동(81)의 벽면 하단에 한 쌍의 돌출부(8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이스(71);
    상기 소재(S) 상단에 상기 헤드부(33)를 형성하도록, 저면에 오목부(85)가 함입된 펀치(73); 및
    상기 축경부(40) 끝면에 상기 횡홈(45)을 형성하도록, 상면에 횡돌기(87)가 돌출된 방출핀(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펀치(73)는 상기 오목부(85)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진 통기공(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6. 환봉 형태의 원재료를 절단하여 원통형 소재(S)를 만드는 절단단계(SS10);
    상기 절단단계(SS10)에서 절단된 상기 소재(S)를, 축경턱(63)이 형성된 1차 단조금형(10)의 공동(61)에 장전하고, 펀치핀(53)으로 상기 소재(S)의 상단을 충격하여, 상기 축경턱(63)에 의해 상기 소재(S) 하단에 축경부(40)를 형성하는 축경단계(SS20); 및
    상기 축경단계(SS20)에서 직경이 축소된 상기 소재(S)를, 벽면 하단에 한 쌍의 돌출부(8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2차 단조금형(70)의 공동(81)에 장전하고, 저면에 오목부(85)가 함입된 펀치(73)로 상기 소재(S)의 상단을 충격함으로써, 상기 돌출부(83)에 의해 상기 축경부(40)의 외주면에 링조립홈(43)을, 그리고 방출핀(75)의 상면에 돌출된 횡돌기(87)에 의해 끝면에 횡홈(4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소재(S)의 상단에 헤드부(3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경부(40)의 직경을 상기 축경단계(SS20) 이전의 크기로 회복시키는 링홈 가공단계(S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핀샤프트 단조방법.
KR1020170049932A 2017-04-18 2017-04-18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KR10179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32A KR101791385B1 (ko) 2017-04-18 2017-04-18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32A KR101791385B1 (ko) 2017-04-18 2017-04-18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385B1 true KR101791385B1 (ko) 2017-10-27

Family

ID=6030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932A KR101791385B1 (ko) 2017-04-18 2017-04-18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279A (ko)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에이치엠 분리방지수단이 결합된 코터핀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32B1 (ko) * 2015-11-10 2017-02-08 장희복 코터핀 샤프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32B1 (ko) * 2015-11-10 2017-02-08 장희복 코터핀 샤프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279A (ko)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에이치엠 분리방지수단이 결합된 코터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274B1 (en) Sparkplug manufacturing method
KR101791385B1 (ko)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US6935482B2 (en) Clutch gear having boss part with spl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087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egged annular member
JP4826904B2 (ja) 溝付きプラグの製造方法
KR101791387B1 (ko)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JPH0569616B2 (ko)
JP2777997B2 (ja) 球状頭部を有する軸状部品の製造方法
JP4217691B2 (ja) 円筒状部品の製造方法
JP3550492B2 (ja) 鍛造加工用押込みポンチ
JP2003053472A (ja) 溝付き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720314B2 (ja) 止めリング付き座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3497368B2 (ja) ロッカーアー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637249B2 (ja) 外径側球面形状リングの製造方法
JPH0688097B2 (ja) ボ−ルスタツドの製造方法
JPH0976029A (ja) ころ軸受のころ製造方法
JP4577973B2 (ja) 球面スパイダーの製造方法
KR100617362B1 (ko) 스트롱앵커 가공장치
JPH06210389A (ja) 有底筒状部品の製造方法
JP2775684B2 (ja) 圧造成形方法
JP3598465B2 (ja) ダイス型
JP2620162B2 (ja) 鍛造金型の成形方法
JPH0534831Y2 (ko)
JP2005238243A (ja) スパークプラグ用主体金具の製造方法
JP2543827B2 (ja) プ―リ―板へのボス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