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387B1 -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387B1
KR101791387B1 KR1020170053792A KR20170053792A KR101791387B1 KR 101791387 B1 KR101791387 B1 KR 101791387B1 KR 1020170053792 A KR1020170053792 A KR 1020170053792A KR 20170053792 A KR20170053792 A KR 20170053792A KR 101791387 B1 KR101791387 B1 KR 10179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assembly
cavity
groove
work
forg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종혁
Original Assignee
지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종혁 filed Critical 지종혁
Priority to KR102017005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0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2Preliminary treatment of metal stock without particular shaping, e.g. salvaging segregated zones, forging or pressing in the 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소재(S)를 만드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상기 소재(S)의 상단에는 헤드부(33)를, 외주면 하부에는 링조립홈(43)을, 그리고 하단 끝면에는 횡홈(45)을 단조금형(50)에 의한 1회의 타격으로 동시에 형성하는 냉간압조단계(S20); 및 상기 냉간압조단계(S20)에서 형성된 상기 링조립홈(43)에 안착되도록 고정링(5)을 조립할 수 있는 위치에 링조립공(41)을 형성하는 링조립공 형성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원통형의 소재에 대하여 1회의 단조작업에 의해 링조립홈, 횡홈, 그리고 헤드부를 일거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일체형 코터핀의 생산효율성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Integral Type Cotter Pin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 상에서 연결부재의 절연용으로 사용되는 애자 등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체형 코터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나 송전탑 등에 절연 애자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체형 코터핀은 현장에서의 열악한 조립작업의 여건을 감안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조립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성을 중시하는 바, 일체형 코터핀의 핀샤프트에 고정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애자 조립 시 이 고정링을 조작하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작업을 마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핀샤프트에 고정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핀샤프트 하단부를 고정링 안착에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코터핀 샤프트 제조 방법(등록특허 제10-1704932호)에서와 같이, 소재를 커팅하고, 1차 가공품을 성형하며, 다시 2차 가공품을 성형한 다음, 3차 가공품을 성형한 뒤, 고정링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 하나의 일체형 코터핀을 제조하여 왔다.
즉, 위 제조 방법은 도 1에 (a)로 도시된 것처럼 환봉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소재(S)를 만드는 소재 커팅 단계, (b)로 도시된 것처럼 소재(S)의 하단부 끝면에 하단 그루브를 함몰시켜 형성함으로써 1차 가공품(S1)을 성형하는 단계, (c)로 도시된 것처럼 1차 가공품(S1)의 하부 외주에 한 쌍의 측면 그루브를 함몰 형성하여 하단 그루브와 연통시킴으로써 2차 가공품(S2)을 성형하는 단계, (d)로 도시된 것처럼 2차 가공품(S2)의 상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헤드(133)를 형성하여 3차 가공품(S3)을 성형하는 단계,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측면 그루브와 연통하도록 3차 가공품(S3)을 드릴 가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조금형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1차 가공품(S1)을 단조할 때는 도 1의 (b)와 같이, 방출핀(155) 위에 놓이도록 다이스(151) 공동에 소재(S)를 장전하고, 펀치핀(153)으로 소재(S)를 충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방출핀(155)의 상단 끝면에는 횡돌기(187)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소재(S) 하단 끝면에 하단 그루브가 형성된다.
그 다음, 2차 가공품(S2)은 도 1의 (c)와 같이, 방출핀(175) 위에 1차 가공품(S1)을 장전하고, 펀치핀(153)으로 충격하여 방출핀(175)의 돌출부(183)에 의해 1차 가공품(S1) 하단 외주에 측면 그루브를 형성한다. 다만, 2차 가공품(S2) 장전 시 하단 그루브를 돌출부(183)에 정렬시킴으로써, 측면 그루브가 하단 그루브와 일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끝으로, 3차 가공품(S3)은 도 1의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금형(184)에 의해 측면 그루브를 지지한 상태로 다이스(151) 공동에 2차 가공품(S2)을 장전하고 펀치(173)로 충격하여 2차 가공품(S2) 상단에 헤드부(133)를 형성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은 1차 가공품(S1)을 그대로 다이스(151) 공동에 장전한 뒤, 펀치핀(153)으로 소재(S)를 충격하여 방출핀(175)의 돌출부(183)에 의해서 1차 가공품(S1) 하단 외주에 측면 그루브를 형성하는 바, 1차 가공품(S1) 충격 시 돌출부(183)에 큰 충격이 가해지므로, 돌출부(183)에 손상이나 마모가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방출핀(175) 더 나아가 단조금형 전체의 수명 단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차 가공품(S1) 충격 시 돌출부(183)에 의해 배제되는 소재가 공동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므로, 일체형 코터핀의 단조품질이 악화되는 한편, 다이스(151) 등 단조금형의 수명 단축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단조공정이 1차 가공품(S1), 2차 가공품(S2), 및 3차 가공품(S3)을 형성하는 3단계로 이루어지므로 단조작업의 작업시간이나 작업효율성이 저하되고, 단조금형이 3벌로 이루어지므로 장비 단계가 상승하는 등 단조품의 품질이 떨어지고 단조금형의 가용수명이 단축되며, 단조작업의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70493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단조에 의해 일체형 코터핀 특히, 핀샤프트를 제조하는 과정 중, 일체형 코터핀의 핀샤프트 외주에 고정링을 움직일 수 있게 결합하기 위한 링조립홈과 횡홈을 형성함에 있어, 소재로부터 하나의 단조금형을 통해 한 차례의 단조작업을 거쳐 핀샤프트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체형 코터핀의 생산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제조단가를 크게 낮추고자 하는 대 그 목적이 있다.
또한, 1회의 단조작업에 의해 핀샤프트를 제조함에 있어, 소재를 다이스 공동의 내경보다 가늘게 준비함으로써, 단조작업 시 다이스 특히, 공동의 돌출부에 걸리는 충격을 완화시켜 단조금형의 손상이나 마모를 줄이고, 그에 따라 금형의 가용수명을 증대시키는 한편, 단조품 즉, 핀샤프트의 품질을 향상시고자 하는 대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단조 시 소재를 충격하는 펀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일체형 코터핀의 핀샤프트 헤드부의 미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대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의 소재를 만드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소재의 상단에는 헤드부를, 외주면 하부에는 링조립홈을, 그리고 하단 끝면에는 횡홈을 단조금형에 의한 1회의 타격으로 동시에 형성하는 냉간압조단계; 및 상기 냉간압조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링조립홈에 안착되도록 고정링을 조립할 수 있는 위치에 링조립공을 형성하는 링조립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조금형은, 상기 소재의 외주면 하단에 상기 링조립홈을 형성하도록, 공동의 내벽면 하부에 한 쌍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이스; 상기 소재의 상단에 상기 헤드부를 형성하도록, 저면에 오목부가 함입된 펀치; 및 상기 소재의 하단 끝면에 상기 횡홈을 형성하도록, 상면에 횡돌기가 돌출된 방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재의 외경은 상기 공동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펀치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진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환봉 형태의 원재료를 절단하여 원통형 소재를 만드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상기 소재를, 내벽면 하단에 한 쌍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단조금형의 공동에 장전하고, 저면에 오목부가 함입된 펀치로 상기 소재의 상단을 충격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소재의 외주면에 링조립홈을, 그리고 방출핀의 상면에 돌출된 횡돌기에 의해 상기 소재의 하단 끝면에 횡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소재의 상단에 헤드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소재의 직경을 상기 공동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증대시키는 냉간압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체형 코터핀 핀샤프트 단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환봉 형태의 소재를 냉간 단조 등에 의해 핀샤프트를 성형함에 있어, 소재의 하부 외주면에 링조립홈을, 하단 끝면에 횡홈을, 그리고 상단에 헤드부를 1회의 단조작업을 통해 일거에 형성하므로, 핀샤프트 더 나아가 일체형 코터핀의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1회의 단조작업에 의해 핀샤프트를 제조하면서도 단조금형의 다이스 공동에 장전되는 소재를 공동의 내경보다 작게 준비하고 있으므로, 단조작업 시 다이스 공동 특히, 돌출부에 걸리는 부하를 크게 줄여, 단조금형의 마모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단조금형의 가용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조작업 시 돌출부에 의해 링조립홈이 형성될 때 밀려나는 소재 부분이 장전 시 소재와 공동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채우게 되므로, 소재 표면과 공동 내주면이 강하게 압착되지 않게 되어, 공동의 내구성을 높일 뿐 아니라, 단조품 즉, 핀샤프트 표면의 단조품질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단조금형의 펀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 정중앙에 통기공이 관통되어 있으므로, 단조작업 시 오목부에 의해 헤드부를 형성할 때 헤드부 표면과 오목부 내주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외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고, 따라서 헤드 외관을 우그러짐 없이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코터핀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핀샤프트를 링조립공이 보이도록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중 준비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중 냉간압조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은 전신주 등에서 애자를 연결하는 대 사용되는 일체형 코터핀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일체형 코터핀(1)은 상기 일체형 코터핀(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샤프트(3)와 고정링(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핀샤프트(3)는 일체형 코터핀(1)의 몸통을 이루는 부분으로,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몸체부(31)와, 이 몸체부(31) 일단 즉,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33), 그리고 몸체부(31) 타단 즉, 하단에 형성되는 링조립부(35)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링조립부(35)는 후술하는 트랙 형태의 고정링(5)이 일체형 코터핀(1)에 조립되는 부분으로, 다시 몸체부(31) 하부에 직경방향으로 관통되는 링조립공(41)과, 몸체부(31)의 하단 끝면을 지나면서 링조립공(41)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오목하게 함입된 링조립홈(4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일체형 코터핀(1)은 고정링(5)을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핀샤프트(3)와 나란하게 돌려 세운 상태에서 전신주 등의 애자와 애자 사이에 관통된 삽공에 삽입 장착되며, 장착된 뒤에는 삽공 반대쪽으로 노출된 고정링(5)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핀샤프트(3)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회전시켜 삽공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위와 같은 일체형 코터핀(1)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준비단계(S10), 냉간압조단계(S20), 및 링조립공 형성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준비단계(S10)는 일체형 코터핀(1)의 핀샤프트(3)로 가공될 원통형의 소재(S)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강재의 환봉롤(R)에서 핀샤프트(3)로 가공하기 적합한 길이로 환봉을 절단하여 원통형의 소재(S)를 만든다.
상기 냉간압조단계(S20)는 소재(S)를 1회의 단조작업을 통해 핀샤프트(3)로 완성하는 공정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원통형의 소재(S)를 도 6에 도시된 단조금형(50)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핀샤프트(3)로 가공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단조금형(50)에 의한 1회의 단조작업에 의해 소재(S)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33)를, 외주면 하부에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링조립홈(43)을, 그리고 하단 끝면에는 횡홈(45)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를 위해, 단조금형(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스(51), 펀치(53), 및 방출핀(5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먼저 상기 다이스(51)는 단조금형(50)의 본체로서 내부에 공동(61)이 형성된다. 특히, 다이스(51)는 공동(61)의 벽면 하단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돌출부(6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소재(S)가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공동(61)에 장전된 때, 돌출부(6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63)는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소재(S)가 펀치(53)에 의해 충격된 때 소재(S)의 외면 하단부분을 눌러 링조립홈(43)을 형성한다. 이때, 소재(S)는 공동(61)의 내경보다는 작고, 쌍을 이룬 돌출부(63) 사이의 간격보다는 큰 몸체부(31) 외경을 가지므로, 돌출부(63)에 의해 밀려난 만큼 몸체부(31) 전체가 반경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링조립홈(43)을 형성할 때 돌출부(63)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또, 상기 펀치(53)는 단조작업 시 소재(S)에 대해 충격을 가하는 수단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61)과 동축 상으로 다이스(51) 상측에 설치되는 바, 저면에 예컨대 돔 형태의 오목부(65)를 형성하므로, 단조작업 시 소재(S) 상단을 펀칭하여 헤드부(33)를 형성한다. 이때, 펀치(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S) 상단을 충격하여 헤드부(33)를 형성할 때 오목부(65) 첨부에서 공기가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부(65)의 중심에 통기공(66)이 연결되어 외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통기공(66)은 펀칭 시 오목부(65) 첨부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외기 중으로 방출함으로써, 헤드부(33) 상단의 형상이 압축공기로 인해 으그러지지 않도록 한다.
끝으로, 상기 방출핀(55)은 단조가 종료된 후 완성된 핀샤프트(3)를 다이스(51) 밖으로 빼내는 수단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끝면에 직경방향으로 횡돌기(67)가 돌출된다. 따라서, 방출핀(55)은 소재(S)가 펀치(53)에 의해 충격될 때 횡돌기(67)에 의해 소재(S)의 하단 끝면에 횡홈(45)을 형성한다. 이때, 방출핀(55)은 횡돌기(67)가 돌출부(63)와 연속되도록 배치되고, 단면 형상도 돌출부(63)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횡홈(45)이 링조립홈(43)과 함께 소재(S) 하단에 U자 모양의 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냉간압조단계(S2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이스(51)의 공동(61)에 소재(S)를 장전한다. 이때, 소재(S)는 공동(61) 보다 직경이 작으므로,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장전 상태에서 바로 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소재(S) 절단 시 하단 끝면 모서리를 역원뿔대 모양으로 모따기하고, 돌출부(63)의 상단 모서리를 깔대기 모양으로 모따기한 경우, 소재(S)의 하단 끝면과 돌출부(63) 상단면이 정합됨으로써, 장전 시 소재(S)가 공동(61) 내에서 바로 서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재(S)의 장전이 완료되면,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단조금형(50)을 동작시켜 다이스(51) 위로 노출된 소재(S)의 상단을 펀치(53)로 충격한다. 이에 따라, 돌출부(63)에 의해 소재(S) 외주면에 링조립홈(43)이 형성되는 동시에. 횡돌기(67)에 의해 소재(S) 하단 끝면에 횡홈(45)이 형성되며, 펀치(53)에 의해 충격된 소재(S) 상단에는 오목부(65)에 의해 헤드부(33)가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소재(S)는 몸체부(31)의 직경이 공동(61)과 동일한 크기로 확대된다.
이때, 소재(S)는 위와 같이 냉간압조단계(S20)에서 1회의 단조작업에 의해 헤드부(33), 링조립홈(43), 횡홈(45)을 일거에 형성하는 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핀샤프트(3)의 표면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공성이 우수한 재료를 채용하는 바, 예컨대, 알루미늄킬드강과 같은 냉간압조용탄소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나, 일체형 코터핀(1)의 핀샤프트를 단조하는 방법으로 한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조방법은 절단단계(SS10), 및 냉간압조단계(SS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단계(SS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 형태의 원재료를 절단하여 원통형 소재(S)를 만드는 공정으로, 위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의 준비단계(S10)에 해당하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냉간압조단계(SS20)도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절단단계(SS10)에서 절단된 소재(S)에 헤드부(33), 링조립홈(43), 횡홈(45)을 일거에 형성하여 핀샤프트(3)를 제작하는 공정으로, 위 냉간압조단계(S30)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 일체형 코터핀 3 : 핀샤프트
5 : 고정링 10 : 1차 단조금형
31 : 몸체부 33 : 헤드부
35 : 링조립부 41 : 링조립공
43 : 링조립홈 45 : 횡홈
50 : 단조금형 51 : 다이스
53 : 펀치 55 : 방출핀
61 : 공동 63 : 돌출부
65 : 오목부 66 : 통기공
67 : 횡돌기 S : 소재

Claims (5)

  1. 원통형의 소재(S)를 만드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상기 소재(S)의 상단에는 헤드부(33)를, 외주면 하부에는 링조립홈(43)을, 그리고 하단 끝면에는 횡홈(45)을 단조금형(50)에 의한 1회의 타격으로 동시에 형성하는 냉간압조단계(S20); 및
    상기 냉간압조단계(S20)에서 형성된 상기 링조립홈(43)에 안착되도록 고정링(5)을 조립할 수 있는 위치에 링조립공(41)을 형성하는 링조립공 형성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재(S)의 외경은 상기 단조금형(50)의 공동(61)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공동(61)의 내벽면 하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63) 사이의 간격보다는 큰 몸체부(31) 외경을 가지며,
    상기 냉간압조단계(S20)는 상기 소재(S)를 상기 단조금형(50)에 의해 타격한 때, 상기 한 쌍의 돌출부(63)에 의해 상기 소재(S) 외주면에 상기 링조립홈(43)을 형성하고, 상기 단조금형(50)의 횡돌기(67)에 의해 상기 소재(S) 하단 끝면에 상기 횡홈(45)을 형성하며, 상기 단조금형(50)의 오목부(65)에 의해 상기 소재(S)의 상단에 상기 헤드부(3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소재(S)의 상기 몸체부(31) 직경이 상기 공동(61)과 동일한 크기로 확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조금형(50)은,
    상기 소재(S)의 외주면 하단에 상기 링조립홈(43)을 형성하도록, 공동(61)의 내벽면 하부에 한 쌍의 돌출부(6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이스(51);
    상기 소재(S)의 상단에 상기 헤드부(33)를 형성하도록, 저면에 오목부(65)가 함입된 펀치(53); 및
    상기 소재(S)의 하단 끝면에 상기 횡홈(45)을 형성하도록, 상면에 횡돌기(67)가 돌출된 방출핀(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펀치(53)는 상기 오목부(65)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진 통기공(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5. 환봉 형태의 원재료를 절단하여 원통형 소재(S)를 만드는 절단단계(SS10); 및
    상기 절단단계(SS10)에서 절단된 상기 소재(S)를, 내벽면 하단에 한 쌍의 돌출부(6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단조금형(50)의 공동(61)에 장전하고, 저면에 오목부(65)가 함입된 펀치(53)로 상기 소재(S)의 상단을 충격함으로써, 상기 돌출부(63)에 의해 상기 소재(S)의 외주면에 링조립홈(43)을, 그리고 방출핀(55)의 상면에 돌출된 횡돌기(67)에 의해 상기 소재(S)의 하단 끝면에 횡홈(4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소재(S)의 상단에 헤드부(3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소재(S)의 직경을 상기 공동(61)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증대시키는 냉간압조단계(S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재(S)의 외경은 상기 공동(61)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63) 사이의 간격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터핀 핀샤프트 단조방법.
KR1020170053792A 2017-04-26 2017-04-26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KR10179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92A KR101791387B1 (ko) 2017-04-26 2017-04-26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92A KR101791387B1 (ko) 2017-04-26 2017-04-26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387B1 true KR101791387B1 (ko) 2017-11-20

Family

ID=6080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792A KR101791387B1 (ko) 2017-04-26 2017-04-26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3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32B1 (ko) * 2015-11-10 2017-02-08 장희복 코터핀 샤프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32B1 (ko) * 2015-11-10 2017-02-08 장희복 코터핀 샤프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274B1 (en) Sparkplug manufacturing method
CN104551552B (zh) 热成形车轮制作方法
JP2008101665A (ja) 球継ぎ手部材とその製造方法
EP15344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plined clutch hub
KR101791387B1 (ko)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JPH0914282A (ja) 弾性自在継手用ヨークの製造方法
KR100647512B1 (ko) 디스크 부재의 제조방법
US7530284B2 (en) Multiplate clutch outer part
KR100682475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US8087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egged annular member
CN102844556A (zh) 内燃机用活塞的制造方法以及可用该方法制成的活塞
KR101791385B1 (ko) 일체형 코터핀 제조방법
JP2004516942A (ja) ボールジョイントケーシングを製作する方法
US20040099037A1 (en) Method for shaping a seamless aluminum wheel rim
JPH1177218A (ja) 鍛造用金型装置
CN212634170U (zh) 一种带法兰整体型关节轴承精锻成型装置
US7552535B2 (en) Method of forming hydroformed member with opening
US5842580A (en) Method of producing socket plate for wobble plate compressors
JPH04351242A (ja) アウタジョイント製造方法
JP3497368B2 (ja) ロッカーアー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637249B2 (ja) 外径側球面形状リングの製造方法
CN113458304B (zh) 一种轨道交通用推力杆球壳的锻造方法
KR101720035B1 (ko) 냉간단조금형용 다이스
JP2003053472A (ja) 溝付き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453238B (zh) 整体桥壳桥包的冲压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