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037B1 -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 Google Patents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037B1
KR101790037B1 KR1020170049599A KR20170049599A KR101790037B1 KR 101790037 B1 KR101790037 B1 KR 101790037B1 KR 1020170049599 A KR1020170049599 A KR 1020170049599A KR 20170049599 A KR20170049599 A KR 20170049599A KR 101790037 B1 KR101790037 B1 KR 10179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torage box
towing
roll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일도
황대철
서학명
김덕원
Original Assignee
탱크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탱크테크 (주) filed Critical 탱크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7004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PB(Escorting Pull Back) 전개시 메신저 로프를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로 안내할 때 별도의 가이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스토리지 박스 자체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원할한 안내가 가능하고, EPB(Escorting Pull Back) 베이스에 고강도 섬유로프를 견인줄로 활용함으로써 견인 혹은 접안에 필요한 장비갯수를 줄여 데크 상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Escorting pull back dedicated Storage box}
본 발명은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PB(Escorting Pull Back) 전개시 메신저 로프를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로 안내할 때 별도의 가이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스토리지 박스 자체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원할한 안내가 가능하고, EPB(Escorting Pull Back) 베이스에 고강도 섬유로프를 견인줄로 활용함으로써 견인 혹은 접안에 필요한 장비갯수를 줄여 데크 상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선박의 진수 혹은 선박 사고 등에 의해 자체 항해 능력을 상실할 경우 등의 비상시 다른 선박을 예인하기 위해 선미의 상부갑판 저부에 비상예인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비상예인장치는 견인되는 선박에 연결되는 견인줄, 견인하는 선박에 설치되어 견인줄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트롱 포인트(strong point) 및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어 견인줄을 안내하는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비상예인장치는 보통 견인장치(ETA:Emergency Towing Arrangement)와 접안장치(EPB:Escorting Pull Back)로 분리되어 있다.
그런데, 비상예인장치가 분리됨으로 인해 선미 갑판의 공간제약이 많이 따르고, 페어리드의 경우도 견인용 페어리드와 접안용 페어리드가 중복 설치되기 때문에 선미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은 물론 관리,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한 선행기술문헌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어리드는 공용화시키고 견인장치와 접안장치를 겸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EPB(Escorting Pull Back) 전개시 견인안내줄인 메신저 로프를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가이드 장비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 장비는 결국 데크 상부에 스토리지 박스와 간격을 두고 별개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차지하는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는 데크 상부의 공간활용 효율을 떨어뜨리며, 별개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16140호(2005.09.13.) '선박 예인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97961호(2005.06.20.) '선박 예인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66176호(2007.10.04.) '선박 예인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5075호(2016.06.29.) '선박용 비상 견인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EPB(Escorting Pull Back) 전개시 메신저 로프를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로 안내할 때 별도의 가이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스토리지 박스 자체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원할한 안내가 가능하고, EPB(Escorting Pull Back) 베이스에 고강도 섬유로프를 견인줄로 활용함으로써 견인 혹은 접안에 필요한 장비갯수를 줄여 데크 상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박의 데크(100) 상에 페어리드(110), 스트롱 포인트(120), 스토리지 박스(130), 무어링 윈치(140)가 간격을 두고 순차로 배열되어 EPB(Escorting Pull Back)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비상예인장치에서 견인로프인 토잉 페넌트(134)와 상기 토잉 페넌트(134)의 일단에 결속되어 비상 견인용 터그보트(200)를 견인하는 픽업로프(150)가 수납되는 스토리지 박스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면 모서리에는 페데스탈 롤(132)이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터그보트(200)로부터 인출된 메신저 로프(230)가 페어리드(110), 스트롱 포인트(120), 페데스탈 롤(132)을 순차 경유하여 무어링 윈치(140)에 연결될 때 메신저 로프(230)가 스트롱 포인트(12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페데스탈 롤(132)을 경유하여 무어링 윈치(140)에 연결되는 라인이 페데스탈 롤(132)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의 스트롱 포인트(120)을 향한 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박스도어(136)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박스도어(136)는 힌지가 하측에 배치되어 위에서 아래쪽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부면에는 개방시 유도판 기능을 수행하는 판형도어(138)가 더 설치되며;
상기 페데스탈 롤(132)은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면에 고정되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부(132a)와, 상기 고정부(132a)의 상단면 중심에서 일체로 돌출된 'ㅗ' 형상의 축베이스(132b)와, 상기 축베이스(132b)에 하단이 끼워지는 롤축(132c)과, 상기 롤축(132c)에 끼워져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새들형 롤러(132d)와, 상기 새들형 롤러(132d)의 상면 중심부와 접촉된 채 상기 롤축(132c)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새들형 롤러(132d)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원판형상의 롤고정플랜지(132e)와, 상기 롤고정플랜지(132e)와 롤축(132c)의 중심을 관통한 후 상기 축베이스(132b)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32f)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잉 페넌트(134)와 픽업로프(150)는 끝을 잡고 당기면 곧바로 인출되도록 다수회 접혀 적층된 상태로 스토리지 박스(130)에 수납되며;
상기 토잉 페넌트(134)의 일단에는 터그 스트롱 포인트(24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리(ROF)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ROF)에는 픽업로프(Pick Up Rope)(150)가 결속되고, 상기 픽업로프(150)의 단부에는 마커 부이(Marker Buoy)인 자기점화등(Self Igniting Light)(160)이 결속되며, 상기 토잉 페넌트(134)의 타단에는 상기 스트롱 포인트(12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고리 형태의 페넌트 아이(Pennant Eye)(PE)가 구비되고;
상기 토잉 페넌트(134)는 SWL200ton을 견딜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로프(P.P Rop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EPB(Escorting Pull Back) 전개시 메신저 로프를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로 안내할 때 별도의 가이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스토리지 박스 자체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원할한 안내가 가능하고, EPB(Escorting Pull Back) 베이스에 고강도 섬유로프를 견인줄로 활용함으로써 견인 혹은 접안에 필요한 장비갯수를 줄여 데크 상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비용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속한 비상예인장치의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PB의 전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지 박스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 평면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지 박스에 설치되는 페데스탈 롤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비상예인장치는 특히, EPB 전개를 위해 선체의 데크(100) 상에 설치되는 페어리드(110), 상기 페어리드(110)와 간격을 두고 고정된 스트롱 포인트(Strong Point)(120), 상기 스트롱 포인트(12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단면 모서리측에는 페데스탈 롤(Pedestal Roll)(132)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토잉 페넌트(Towing Pennant)(134)가 수납된 스토리지 박스(130) 및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와 간격을 두고 측방으로 예각을 갖도록 배치되어 권취력을 제공하는 무어링 윈치(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페데스탈 롤(132)은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즉,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구비되며, 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메신저 로프(Messenger Rope)(230)가 무어링 윈치(140) 쪽으로 원할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페어리드(110)의 중심과 스트롱 포인트(120)의 중심 및 페데스탈 롤(132)의 중심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최단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연결작업이 쉽고 편리하며, 장력이 걸렸을 때 장력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예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EPB를 포함하는 비상예인장치에서 사용되는 견인로프인 토잉 페넌트(134)는 폴리프로필렌 로프(P.P Rope)로서 SWL200ton 정도의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고강도 로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토잉 페넌트(134)는 일단에는 상기 스트롱 포인트(12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고리 형태의 페넌트 아이(Pennant Eye)(PE)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터그 스트롱 포인트(24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리(ROF)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ROF)에는 픽업로프(Pick Up Rope)(150)가 결속되고, 상기 픽업로프(150)의 단부에는 마커 부이(Marker Buoy)인 자기점화등(Self Igniting Light)(160)이 결속된다.
이때, 상기 자기점화등(160)은 연속적인 점등상태 혹은 점멸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바다에 떨어졌을 때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며, 특히 해상의 수면 상에서 항상 수직하게 세워진 채 불빛이 물 위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역(逆) 원뿔대 형상을 상하 길이 중간에 형성하고 무게중심을 하단쪽에 두도록 설계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면, 물에 떨어졌을 때 오뚜기처럼 신속하게 세워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에는 상기 토잉 페넌트(134)를 수납하거나 꺼내기 위해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박스도어(136)가 설치되는데, 상기 박스도어(136)는 상기 스트롱 포인트(120)을 향한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힌지가 하측에 배치되게 하여 박스도어(136)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열리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것은 박스도어(136)를 개방한 후 신속한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전개 과정에서 간섭을 없애고 펼쳐진 박스도어(136)의 상측면이 일종의 꺼내기 쉽게 안내하는 유도판으로 기능케 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경우에 따라서는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부면을 통해 토잉 페넌트(134)를 넣고 꺼낼 수 있도록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판형도어(138)로 막아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박스도어(136)와 판형도어(138)가 병행설치되어 꺼내기 쉽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토잉 페넌트(132) 및 픽업로프(150)는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접혀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어 끝을 잡고 당기면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페데스탈 롤(132)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면에 고정되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부(132a)와, 상기 고정부(132a)의 상단면 중심에서 일체로 돌출된 'ㅗ' 형상의 축베이스(132b)와, 상기 축베이스(132b)에 하단이 끼워지는 롤축(132c)과, 상기 롤축(132c)에 끼워져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새들형 롤러(132d)와, 상기 새들형 롤러(132d)의 상면 중심부와 접촉된 채 상기 롤축(132c)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새들형 롤러(132d)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원판형상의 롤고정플랜지(132e)와, 상기 롤고정플랜지(132e)와 롤축(132c)의 중심을 관통한 후 상기 축베이스(132b)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32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페데스탈 롤(132)은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되면서 토잉 페넌트(132)를 무어링 윈치(140)로 구름접촉하면서 이송 안내하기 때문에 기존처럼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데크(100) 상부에 별도의 구조물이 생기지 않아 장치를 단순화,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크(100) 상부의 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그 만큼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EPB 전개를 위해 견인선인 터그보트(Tug Boat)(200)가 마련되며, 터그보트(200)에는 터그윈치(210)를 비롯하여 터그윈치(210)에 감겨 있는 토잉로프(220), 상기 토잉로프(220)의 단부에 일단이 결속된 메신저로프(230) 및 터그 스트롱 포인트(24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터그보트(200)의 토잉로프(220)에 결속된 메신저 로프(230)를 사용하여 EPB를 전개할 때 메신저 로프(230)의 끝단을 접안하고자 하는 선박, 즉 본선에 던지고, 본선에서는 메신저 로프(230)를 받아 페어리드(110), 스트롱 포인트(120), 페데스탈 롤(132)을 순차로 거친 후 무어링 윈치(140)에 연결한 후 무어링 윈치(140)를 감고, 토잉로프(220)를 스트롱 포인트(120)까지 당긴 후 토잉로프(220)의 단부를 스트롱 포인트(120)에 결속한 다음 토잉로프(220)의 단부에서 메신저 로프(230)를 분리하고, 터그윈치(210)를 감아 터그보트(210)를 본선에 접안하는 형태로 진행될 때 페데스탈 롤(132)이 메신저 로프(230)를 무어링 윈치(140)까지 원활하게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면 모서리에는 페데스탈 롤(132)이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견인선박으로부터 인출된 메신저 로프(230)가 페어리드(110), 스트롱 포인트(120), 페데스탈 롤(132)을 순차 경유하여 무어링 윈치(140)에 연결될 때 메신저 로프(230)가 스트롱 포인트(12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페데스탈 롤(132)을 경유하여 무어링 윈치(140)에 연결되는 라인이 페데스탈 롤(132)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하여야 상기 페데스탈 롤(132)이 큰 장력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다.
만약, 연결되는 라인이 직각을 이루게 되면 직각 지점에 설치된 페데스탈 롤(132)은 급격한 방향 전환롤로 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현저하게 큰 장력이 집중되므로 쉽게 파손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한편, 본선의 토잉 페넌트(134)를 사용하여 전개할 때는 스토리지 박스(130)를 열고 토잉 페넌트(134)를 꺼낸 다음 단부에 구비된 페넌트 아이(PE)를 스트롱 포인트(120)에 걸고, 반대단은 자기점화등(160)을 켠 상태로 픽업로프(150)와 함께 페어리드(110)를 통과시킨 후 바다에 던지며, 바다에 던져진 자기점화등(160)은 작동하여 불빛을 발하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어, 터그보트(200)에서 바다에 떠 있는 자기점화등(160) 및 픽업로프(150)를 건져 터그윈치(210)에 연결한 다음 터그윈치(210)로 감고, 토잉 페넌트(134)가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토잉 페넌트(134)의 고리(ROF)를 터그보트(200)의 터그 스트롱 포인트(240)에 결속한 후 터그보트(200)로 본선을 견인하면 된다.
100: 데크 110: 페어리드
120: 스트롱 포인트 130: 스토리지 박스
140: 무어링 윈치 200: 터그보트
210: 터그윈치 220: 토잉로프
230: 메신저 로프 240: 터그 스트롱 포인트

Claims (3)

  1. 선박의 데크(100) 상에 페어리드(110), 스트롱 포인트(120), 스토리지 박스(130), 무어링 윈치(140)가 간격을 두고 순차로 배열되어 EPB(Escorting Pull Back)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비상예인장치에서 견인로프인 토잉 페넌트(134)와 상기 토잉 페넌트(134)의 일단에 결속되어 비상 견인용 터그보트(200)를 견인하는 픽업로프(150)가 수납되는 스토리지 박스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면 모서리에는 페데스탈 롤(132)이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터그보트(200)로부터 인출된 메신저 로프(230)가 페어리드(110), 스트롱 포인트(120), 페데스탈 롤(132)을 순차 경유하여 무어링 윈치(140)에 연결될 때 메신저 로프(230)가 스트롱 포인트(12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페데스탈 롤(132)을 경유하여 무어링 윈치(140)에 연결되는 라인이 페데스탈 롤(132)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의 스트롱 포인트(120)을 향한 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박스도어(136)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박스도어(136)는 힌지가 하측에 배치되어 위에서 아래쪽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부면에는 개방시 유도판 기능을 수행하는 판형도어(138)가 더 설치되며;
    상기 페데스탈 롤(132)은 스토리지 박스(130)의 상면에 고정되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부(132a)와, 상기 고정부(132a)의 상단면 중심에서 일체로 돌출된 'ㅗ' 형상의 축베이스(132b)와, 상기 축베이스(132b)에 하단이 끼워지는 롤축(132c)과, 상기 롤축(132c)에 끼워져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새들형 롤러(132d)와, 상기 새들형 롤러(132d)의 상면 중심부와 접촉된 채 상기 롤축(132c)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새들형 롤러(132d)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원판형상의 롤고정플랜지(132e)와, 상기 롤고정플랜지(132e)와 롤축(132c)의 중심을 관통한 후 상기 축베이스(132b)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32f)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잉 페넌트(134)와 픽업로프(150)는 끝을 잡고 당기면 곧바로 인출되도록 다수회 접혀 적층된 상태로 스토리지 박스(130)에 수납되며;
    상기 토잉 페넌트(134)의 일단에는 터그 스트롱 포인트(24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리(ROF)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ROF)에는 픽업로프(Pick Up Rope)(150)가 결속되고, 상기 픽업로프(150)의 단부에는 마커 부이(Marker Buoy)인 자기점화등(Self Igniting Light)(160)이 결속되며, 상기 토잉 페넌트(134)의 타단에는 상기 스트롱 포인트(12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고리 형태의 페넌트 아이(Pennant Eye)(PE)가 구비되고;
    상기 토잉 페넌트(134)는 SWL200ton을 견딜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로프(P.P Rop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9599A 2017-04-18 2017-04-18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KR1017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99A KR101790037B1 (ko) 2017-04-18 2017-04-18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99A KR101790037B1 (ko) 2017-04-18 2017-04-18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037B1 true KR101790037B1 (ko) 2017-10-25

Family

ID=6029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99A KR101790037B1 (ko) 2017-04-18 2017-04-18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82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 토우라인 전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16B1 (ko) * 2010-02-26 2011-05-17 주식회사 세진인텍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16B1 (ko) * 2010-02-26 2011-05-17 주식회사 세진인텍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782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 토우라인 전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877B1 (ko)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FI101280B (fi) Ankkurinlaskualus ja menetelmä lautan ankkuroimiseksi
KR20120125719A (ko)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CN109311524A (zh) 紧急船舶牵引系统和方法
KR101790037B1 (ko)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KR101765059B1 (ko) Epb와 eta 겸용 비상예인장치 및 그 사용방법
US2716959A (en) Net gate for marine harbors
US6662741B1 (en) Emergency towing system for ships
US20220234693A1 (en) Underwater device and underwater system
KR102036976B1 (ko) 비상용 예항장치
US20230399078A1 (en) Marine moor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0500415A (ja) えい航索繰り出し装置
CN111746716B (zh) 船舶
US20220234692A1 (en) Sonar device and sonar system
KR100516140B1 (ko) 선박 예인장치
KR101034516B1 (ko)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KR20120132131A (ko) 비상견인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N212951033U (zh) 一种船用储缆便携机构
KR100516141B1 (ko) 선박 예인장치
KR20210047911A (ko) 계선 장력 장치 및 계선 시스템의 길이방향 교차 장력을 위한 방법
RU129074U1 (ru) Система проводки буксирного каната на буксирующем судне (варианты)
RU2619885C2 (ru) Способ буксировки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KR100497961B1 (ko) 선박 예인장치
KR200332003Y1 (ko) 선박 예인장치
KR200328378Y1 (ko) 선박 예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