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877B1 -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 Google Patents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877B1
KR101674877B1 KR1020150096076A KR20150096076A KR101674877B1 KR 101674877 B1 KR101674877 B1 KR 101674877B1 KR 1020150096076 A KR1020150096076 A KR 1020150096076A KR 20150096076 A KR20150096076 A KR 20150096076A KR 101674877 B1 KR101674877 B1 KR 10167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upling
unmanned
winch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남선
김선영
김연규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9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877B1/ko
Priority to EP16821564.8A priority patent/EP3321162B1/en
Priority to US15/742,524 priority patent/US10252779B2/en
Priority to JP2018500680A priority patent/JP6608521B2/ja
Priority to PCT/KR2016/006830 priority patent/WO2017007158A1/ko
Priority to CN201680039977.1A priority patent/CN10773531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은 무인선의 선수 일측에 구비되는 히빙라인 발사장치, 상기 무인선의 무게 중심에 구비되어 모선에 구비된 크레인의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장치, 상기 무인선의 선수 또는 선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제1견인줄이 권취되는 제1윈치 및 상기 결합장치의 일측을 통과하는 제2견인줄이 권취되는 제2윈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Unmanned Boat Having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Retrieving the Same}
본 발명은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선 또는 부두에 구비된 크레인의 결합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진수 및 회수가 용이하고,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을 통해 무인선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회수에 최적화된 위치로 배치 및 회수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해상을 이용한 수출입 물동량의 증가로 해운, 항만 등의 산업이 급격히 증가 및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은 경제규모에 맞는 물동량을 감당하기 위해 대형화 및 고속화되면서 해상에서의 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사고로 인한, 해상에서의 조난은 여객 또는 물자를 실은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저해하는 각종 사고를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인근해역의 경우 조난 발생 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많은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으나, 인근해역이 아닌 먼 바다의 경우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희생자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사고해역의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조난 선박의 사고 원인규명을 위한 인양작업 시 사고 지역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암초 등으로 인하여 대형 선박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정착 및 구조 작업이 더욱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형선박 등의 모선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무인선을 배치하여 이를 작업수행 지역으로 이동 후,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인선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선은 작업을 완료 후 모선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모선에서 승무원이 갈고리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무인 잠수정에 체인을 체결하거나, 무인선에서 히빙라인을 모선으로 발사하여 승무원이 이를 전동윈치 등에 걸어서 무인선을 회수하게 된다.
하지만, 풍속 또는 파고가 높거나, 해당 지역 바다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갈고리 투척 또는 무인선에서 발사하는 히빙라인의 정확도가 감소하여 모선과 무인선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무인선을 모선 등에 구비된 크레인을 통해 회수 하기 위해서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를 무인선에 연결해야 하지만, 무인선에는 승무원이 탑승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선에서 승무원이 무인선으로 옮겨가 와이어를 연결하거나, 갈고리 등을 통해 무인선에 연결해야 하는데 바다에서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2는 모선(본선)으로 무인선을 견인하는 시스템을 게시한다. 즉, 선행문헌2에서와 같이 크레인의 와이어를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승무원이 무인선으로 넘어가 와이어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7186호 선행문헌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69660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선 또는 부두에 구비된 크레인의 결합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진수 및 회수가 용이하고,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을 통해 무인선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회수에 최적화된 위치로 배치 및 회수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은 무인선의 선수 일측에 구비되는 히빙라인 발사장치, 상기 무인선의 무게 중심에 구비되어 모선에 구비된 크레인의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장치, 상기 무인선의 선수 또는 선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제1견인줄이 권취되는 제1윈치 및 상기 결합장치의 일측을 통과하는 제2견인줄이 권취되는 제2윈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히빙라인 발사장치는 상기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의 일측이 동시에 연결된 히빙라인을 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무인선의 갑판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견인줄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판 일측에 구비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킹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고리의 회전 중심에는 상기 도킹고리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결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호 접촉하는 접촉부 일측에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을 센싱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도킹고리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판과 대응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킹장치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도킹장치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일측이 크레인과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윈치 및 제2윈치 중 어느 하나는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고, 다른 하나는 간접적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회수 방법은 무인선에 구비된 발사장치를 통해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을 발사하는 견인줄 발사단계, 상기 제1견인줄을 상기 모선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제2견인줄을 모선에 구비된 크레인의 결합부재에 연결하는 견인줄 연결단계, 상기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선의 결합장치와 상기 크레인의 상기 결합부재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무인선을 견인하는 무인선 견인단계, 상기 무인선의 상기 결합장치와 상기 크레인의 상기 결합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 결합단계 및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선을 부양하여 상기 모선으로 회수하는 무인선 회수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견인줄 발사단계는 상기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의 일측이 동시에 연결된 히빙라인을 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선 견인단계는, 상기 제1견인줄을 권취하는 제1윈치 및 상기 제2견인줄을 권취하는 제2윈치를 구동하여 상기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을 권취시키며, 크레인을 하강시켜 상기 결합장치 및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선 견인단계에서 상기 제2견인줄은 상기 결합장치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크레인의 결합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무인선이 견인됨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장치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 결합단계는, 상기 결합장치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상태를 확인하는 결합상태 확인단계 및 상기 결합상태 확인 단계에서 상기 결합장치 및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이 확인되면 상기 결합장치의 도킹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결합장치 및 상기 결합부재를 도킹하는 도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 두 개의 견인줄을 사용하여 무인선 견인함으로써 무인선을 회수하기에 최적화된 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2견인줄이 무인선의 결합장치 및 무인선을 회수하기 위한 크레인의 결합부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유도장치 없이 크레인의 결합부재가 무인선의 결합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2견인줄을 권취하는 제2윈치의 회전력 및 결합장치의 도킹장치의 2중 도킹 공정을 통해 무인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무인선 회수 중 파도, 바람 등에 의해 무인선이 흔들리는 경우 제1견인줄을 권취하는 제1윈치를 조작하여 제1견인줄의 장력을 제어하여 무인선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무인선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크레인 및 무인선이 자동으로 체결됨에 따라 승무원이 직접 크레인의 와이어를 무인선에 결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을 모선으로 회수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 및 크레인의 결합부재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 및 크레인의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의 회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 결합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을 모선(600)으로 회수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10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히빙라인 발사장치(300), 결합장치(200), 제1윈치(400) 및 제2윈치(500)를 포함하는 무인선(1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실시예로 무인선(100)을 모선(600)으로 회수하기 위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무인선(100)은 모선(600)뿐만 아니라 부두 등과 같이 무인선(100)을 회수하여 보관하기 위한 곳이라면 어디에도 적용 가능하다.
히빙라인 발사장치(300)는 무인선(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무인선(100)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을 모선(600)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히빙라인을 발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무인선(100)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은 무인선(100) 견인 중 끊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고하게 제조되어 상당한 무게를 갖는다. 이와 같은 고중량의 견인선을 직접 모선(600)과 연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견인줄의 일단과 연결된 히빙라인을 전달하고, 히빙라인과 연결된 견인줄을 히빙라인을 통해 전달받는다. 이처럼, 히빙라인 발사장치(300)는 견인탄 등의 발사체에 히빙라인을 연결하여 모선(600) 등의 목표지점으로 발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히빙라인 발사장치(300)는 무인선(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갑판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갑판 선수의 일측에 구비된 포(Cannon) 형상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히빙라인 발사장치(300)는 그 내부에 히빙라인을 직접 삽입하여 발사할 수도 있지만, 히빙라인의 전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빙라인의 일단이 결합된 견인탄 등의 포탄을 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포탄 또는 히빙라인에는 제1윈치(400)에 권취된 제1견인줄(410) 및 제2윈치(500)에 권취된 제2견인줄(510)이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을 각각 발사하여도 무방하지만, 신속한 무인선(100)의 회수를 위하여 포탄 또는 포탄에 연결된 히빙라인에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이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장치(200)는 무인선(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갑판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인선(100)의 무게 중심에 대응되는 갑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선(600) 또는 부두 등에 무인선(100)을 회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장치(200)는 크레인(700)을 통해 무인선(1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무인선(100)과 크레인(700)을 결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결합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 및 크레인의 결합부재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 및 크레인의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210), 지지판(220) 및 도킹장치(230)로 구성된다.
지지부(210)는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와 실질적으로 결합하는 지지판(220) 및 도킹장치(2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판(220) 및 도킹장치(230)를 소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와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210)는 지지판(220) 및 도킹장치(230)를 소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견인줄(510)이 권취된 제2윈치(500)가 그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면 일측에는 제2견인줄(51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지지판(220)은 지지부(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결합부재(710)의 결합판(711)과 면결합을 통해 결합장치(200)와 결합부재(7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판(220)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지지부(210)의 상면이 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판(220)의 중심 일측에는 제2견인줄(510)이 관통되는 관통공(221)이 형성되고, 결합부재(710)의 결합판(711)과 대면하는 일면에는 결합부재(710)와의 결합을 센싱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220)은 무인선(100)의 크기 및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사용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지지부(210)의 크기 역시 이와 마찬가지 이다.
도킹장치(230)는 지지부(210) 또는 지지판(220) 일측에 구비되어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를 지지판(220)에 밀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즉,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을 압착하여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의 면접촉을 견고히 유지하여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도킹장치(230)는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일예로 액추에이터(232)에 의해 구동되는 도킹고리(231)를 사용할 수 있다.
도킹고리(231)는 지지부(210) 또는 지지판(2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도킹고리(2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구동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무인선(100)에는 승무원이 탑승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액추에이터(232)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232)는 도킹고리(231)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킹고리(231)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추에이터(232)는 도킹고리(231)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면 상에서는 도킹고리(231)의 회전 중심에 구비되어 도킹고리(231)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회전 액추에이터를 표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도킹고리(231)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킹고리(231)를 밀거나 당겨주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액추에이터(232)는 지지판(2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의 센싱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에서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의 결합을 인지하면 자동으로 도킹고리(231)가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을 압착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 이루어지는 결합장치(2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는 크레인(700)을 통해 무인선(100)을 회수하기 위하여 크레인(700)의 와이어를 무인선(100)의 결합장치(200)와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인선(100)의 결합장치(200)와 대응되는 형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재(710)는 크게 결합판(711) 및 체결부(712)로 구성된다.
결합판(711)은 결합장치(200)의 지지판(220)과 대응되는 평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면 중심 일측에는 지지판(220)에 형성된 관통공(221)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견인줄(510)이 체결되는 체결고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견인줄(510)이 지지판(220)의 관통공(221)을 관통하여 결합판(711)의 하면에 체결되기 때문에 제2견인줄(510)을 권취시키면 결합판(711)은 용이하게 지지판(220)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센서는 지지판(22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결합판(711)의 하면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판(711)의 일측에는 도킹고리(23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킹고리(231)의 일단부가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도킹고리(231)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712)는 결합판(71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크레인(700)의 와이어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도킹고리(23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체결부(712)는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크레인(700)의 와이어가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폐루프를 형성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도킹고리(231)가 체결부(712)를 원활하게 관통하여 결합판(711)을 지지판(220)으로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다.
제1윈치(400)는 제1견인줄(410)이 권취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윈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윈치(400)는 무인선(100) 회수 시 무인선(100)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무인선(100)의 선수 또는 선미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무인선(100)의 선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제2윈치(500)는 제2견인줄(510)이 권취되는 것으로서, 제1윈치(400)와 마찬가지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윈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2윈치(500)는 무인선(100)의 무게중심 일측, 바람직하게는 결합장치(200)의 지지부(210)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제2윈치(500) 및 제2윈치(500)는 각각 윈치를 정, 역회전시켜 각각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독립적인 동력전달 수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1윈치(400) 및 제2윈치(500) 중 어느 하나에만 동력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벨트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 받아 동시에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의 회수 방법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100)을 모선(600) 또는 부두 등에서 회수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무인선(100)을 모선(600)으로 회수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모선(600)이 아닌 부두 등의 육지에서 무인선(100)을 회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의 회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무인선(100)에 구비된 발사장치(300)를 통해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을 발사하여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 각각을 모선(600)으로 전달한다(S100). 이때,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은 발사장치(3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발사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하게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을 모선(600)으로 발사하기 위하여 발사장치(300)에서 발사되는 견인탄 등의 발사체 또는 발사체에 연결된 히빙라인에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의 일단부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이 한번에 모선(60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을 각각 모선(600) 및 크레인(700)의 일측에 결합시킨다(S200). 제1견인줄(410)은 무인선(100)을 회수에 최적화된 위치, 즉, 크레인(700)의 도르래(720)에서 하강하는 와이어와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견인하는 것으로서, 제1견인줄(410)은 모선(600)의 일측에 구비된 토잉 붐(610) 등에 연결한다.
또한, 제2견인줄(510)은 크레인(700)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결합부재(710)를 무인선(100)의 결합장치(200)와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견인줄(510)은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 일측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제1견인줄(410) 및 제2견인줄(510)을 이용하여 무인선(100)의 결합장치(200)와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가 대응되는 무인선(100) 회수의 최적 위치로 무인선(100)을 견인한다(S3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600)의 토잉 붐(610)에 연결된 제1견인줄(410)을 제1윈치(400)를 구동시켜 권취시키며 무인선(100)을 견인하는 동시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와 연결된 제2견인줄(510)을 제2윈치(500)를 구동시켜 권취시킨다. 이때, 제2견인줄(510)이 권취되는 길이만큼 크레인(700)의 와이어를 연장시켜 제2견인줄(510)은 최대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권취되도록 크레인(700)의 와이어를 조작한다. 이와 같이, 제1견인줄(410)을 통해 무인선(100)을 회수에 최적화된 위치로 배치하는 동시에, 제2견인줄(510)을 통해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를 유도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유도 장치 등이 없더라도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를 결합장치(200)와 대응 되는 위치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 결합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무인선(100)의 결합장치(200)와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를 결합한다(S400). 이러한 결합부 결합단계(S4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장치(200)와 결합부재(710)의 결합상태를 확인한다(S410). 즉, 지지판(220) 또는 결합판(711)의 일측에 구비된 센서(미도시)를 통해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이 밀착되도록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센서에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견인줄(510)을 보다 권취시켜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을 밀착시켜 최대한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이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계에서 센서(미도시)가 지지판(220) 및 결합판(711)이 밀착되도록 결합되었다고 판단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장치(230)를 구동시켜 결합장치(200) 및 결합부재(710)를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도킹한다(S420). 즉, 액추에이터(232)를 구동시켜 도킹고리(231)가 결합판(711)을 상부에서 하방으로 압착하여 결합판(711)이 지지판(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크레인(700)의 결합부재(710)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시키며 무인선(100)을 회수한다(S500). 이때, 제2윈치(500)에서는 제2견인줄(510)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제2견인줄(51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여 무인선(100)의 회수 시 결합부재(710)가 결합장치(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장치(200)가 무인선(100)의 무게 중심에 위치하여 있다 하더라도, 바람, 파도 등의 주변 환경에 의해 무인선(100)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윈치(400)를 통해 제1견인줄(410)의 인장력을 제어하여 무인선(100)의 중심을 잡아주어 보다 안정적으로 무인선(100)을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무인선
200 : 결합장치
210 : 지지부
220 : 지지판
221 : 관통공
230 : 도킹장치
231 : 도킹고리
232 : 액추에이터
300 : 히빙라인 발사장치
400 : 제1윈치
410 : 제1견인줄
500 : 제2윈치
510 : 제2견인줄
600 : 모선
610 : 토잉 붐
700 : 크레인
710 : 결합부재
711 : 결합판
712 : 체결부
720 : 크레인 도르래

Claims (13)

  1. 무인선의 선수 일측에 구비되는 히빙라인 발사장치;
    상기 무인선의 무게 중심에 구비되어 모선에 구비된 크레인의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장치;
    상기 무인선의 선수 또는 선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제1견인줄이 권취되는 제1윈치; 및
    상기 결합장치의 일측을 통과하는 제2견인줄이 권취되는 제2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무인선의 갑판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어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윈치가 수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견인줄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판 일측에 구비되는 도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견인줄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채로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2윈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견인줄이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결합장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유도하고,
    상기 히빙라인 발사장치는 상기 제1견인줄 및 제2견인줄의 일측이 동시에 연결된 히빙라인을 발사하는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킹고리인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고리의 회전 중심에는 상기 도킹고리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는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결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호 접촉하는 접촉부 일측에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을 센싱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도킹고리를 구동시키는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판과 대응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킹장치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도킹장치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일측이 크레인과 연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윈치 및 제2윈치 중 어느 하나는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고, 다른 하나는 간접적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96076A 2015-07-06 2015-07-06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KR10167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76A KR101674877B1 (ko) 2015-07-06 2015-07-06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EP16821564.8A EP3321162B1 (en) 2015-07-06 2016-06-27 Unmanned vessel having coupling apparatus and recovery method therefor
US15/742,524 US10252779B2 (en) 2015-07-06 2016-06-27 Unmanned vessel having coupling apparatus and recovery method therefor
JP2018500680A JP6608521B2 (ja) 2015-07-06 2016-06-27 結合装置を備えた無人船及びその回収方法
PCT/KR2016/006830 WO2017007158A1 (ko) 2015-07-06 2016-06-27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
CN201680039977.1A CN107735314B (zh) 2015-07-06 2016-06-27 配有连接装置的无人艇及其回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76A KR101674877B1 (ko) 2015-07-06 2015-07-06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877B1 true KR101674877B1 (ko) 2016-11-14

Family

ID=5752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76A KR101674877B1 (ko) 2015-07-06 2015-07-06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52779B2 (ko)
EP (1) EP3321162B1 (ko)
JP (1) JP6608521B2 (ko)
KR (1) KR101674877B1 (ko)
CN (1) CN107735314B (ko)
WO (1) WO2017007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3022A (zh) * 2019-10-28 2020-01-14 中船华南船舶机械有限公司 一种无铠装电缆深潜器单绳回收装置及回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136B (zh) * 2018-05-29 2020-07-31 上海大学 一种基于遥控器的无人艇布放回收控制系统及方法
CN108995769B (zh) * 2018-07-30 2019-08-02 上海大学 一种用于无人艇回收阶段的抛射装置
WO2021053613A1 (en) * 2019-09-18 2021-03-25 Rats Marine Limited Marine towing system
AU2020372478A1 (en) 2019-10-23 2022-06-02 Checkmate Pharmaceuticals, Inc. Synthetic RIG-I-like receptor agonists
CN111572716A (zh) * 2020-05-21 2020-08-25 珠海云洲智能科技有限公司 无人船回收方法及用于其的无人船回收系统
CN112093688A (zh) * 2020-09-15 2020-12-18 江苏云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动平台布放回收系统及机动平台布放方法
KR102418799B1 (ko) * 2021-04-09 2022-07-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운동체 회수 장치와 진수 장치
CN113581380B (zh) * 2021-06-25 2023-09-0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三研究所 一种用于无人艇回收的自动捕获牵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578A (ja) * 1995-04-13 1996-10-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ーム式船舶係留・離接岸支援装置におけるアーム先端把持機構
JP2005069660A (ja) 2003-08-28 2005-03-17 Nishiefu:Kk 無人曳航標的システム
KR20130047186A (ko) 2011-10-31 2013-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시스템 및 그의 회수 방법
KR20130088404A (ko) * 2012-01-31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접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035A (en) * 1986-11-24 1988-11-15 Fishfader Stanley S Remotely actuated tow line throwing device
NO930775L (no) * 1993-03-03 1994-09-05 Andersen Stein Petter Bergingssystem for ubemannede fartöyer
FR2787414B1 (fr) * 1998-12-16 2001-02-23 Plastilim Dispositif de sauvetage en mer
KR101566821B1 (ko) * 2009-05-08 2015-1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정의 도킹 스테이션 장치
CN201647085U (zh) * 2010-02-05 2010-11-24 射阳远洋船舶辅机有限公司 小艇快速收放装置
US8578872B1 (en) * 2010-04-05 2013-11-12 Offshore Marine Rescue Corporation Life vessel retrieval system
CN203246567U (zh) * 2013-01-22 2013-10-23 黎明南 一种在母船上收放小艇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578A (ja) * 1995-04-13 1996-10-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ーム式船舶係留・離接岸支援装置におけるアーム先端把持機構
JP2005069660A (ja) 2003-08-28 2005-03-17 Nishiefu:Kk 無人曳航標的システム
KR20130047186A (ko) 2011-10-31 2013-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시스템 및 그의 회수 방법
KR20130088404A (ko) * 2012-01-31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접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3022A (zh) * 2019-10-28 2020-01-14 中船华南船舶机械有限公司 一种无铠装电缆深潜器单绳回收装置及回收方法
CN110683022B (zh) * 2019-10-28 2023-07-21 中船华南船舶机械有限公司 一种无铠装电缆深潜器单绳回收装置及回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01344A1 (en) 2018-07-19
EP3321162B1 (en) 2019-10-02
CN107735314B (zh) 2019-06-28
JP2019511973A (ja) 2019-05-09
WO2017007158A1 (ko) 2017-01-12
US10252779B2 (en) 2019-04-09
CN107735314A (zh) 2018-02-23
JP6608521B2 (ja) 2019-11-20
EP3321162A1 (en) 2018-05-16
EP3321162A4 (en)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877B1 (ko)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US9340261B2 (en) Anchor line tensioning method
CN107848613B (zh) 无人艇回收用连接装置及使用其的连接控制方法
US9751596B2 (en) Device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a towed sonar
US11772751B2 (en) System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craft from a carrier ship
AU2010287061B2 (en) Marine housing for a submersible instrument
US3927636A (en) Method of retrieving anchors
US20220227467A1 (en) Deployment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S3929087A (en) Method of retrieving anchors
KR101759195B1 (ko) 무인선 회수용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합 제어방법
EP3841007B1 (en) Mooring tension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longitudinal cross tension of a mooring system
US4246860A (en) Method for anchor retrieval
NO332343B1 (no) System og fremgangsmate for ankerovervaking og -verifisering
CN111936383A (zh) 具有半自动或自动系泊系统的船舶和方法
RU540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судов)
WO2022105974A1 (en) Line handling device and vessel comprising the line handling device
JP2022175897A (ja) 係留システム及び係留方法
RU2134211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судна с донного грунта и е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JPS59128087A (ja) フロ−テイングホ−スおよび係船索の連結装置
Carroll Use of a Mobile Diving Support Vessel, Offshore California
JPS59128089A (ja) フロ−テイングホ−スおよび係船索の連結装置
JPS59128088A (ja) フロ−テイングホ−スおよび係船索の連結装置
NO177929B (no) Fremgangsmåte for etablering av en slepelineforbindelse mellom et hjelpefartöy og et skip
JPS60240591A (ja) ブイ係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