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404A - 선박용 접안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접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404A
KR20130088404A KR1020120009620A KR20120009620A KR20130088404A KR 20130088404 A KR20130088404 A KR 20130088404A KR 1020120009620 A KR1020120009620 A KR 1020120009620A KR 20120009620 A KR20120009620 A KR 20120009620A KR 20130088404 A KR20130088404 A KR 20130088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ip
rotating
vessel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496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4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선박용 접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선박용 접안장치는: 부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외측에 권선되며 선박의 견인줄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선박으로 발사하는 발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접안장치{BERTHING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접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인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선박에서 연장된 견인줄을 부두의 고정지주에 연결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접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제철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이 부두에 접안하기 위해서는, 선박에서 연장된 견인줄을 부두에 고정된 고정지주에 연결하여, 선박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097586호(2010.09.13 공개, 발명의 명칭: 선박 접안 시스템, 선박 접안 장치 및 선박 접안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인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선박에서 연장된 견인줄을 부두의 고정지주에 연결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접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는: 부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외측에 권선되며 선박의 견인줄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선박으로 발사하는 발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부는,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지지축 및 회전지지축의 둘레를 따라 치형을 형성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회전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는, 회전부에 권선되는 와이어부재 및 와이어부재에 연결되며 발사부에 장전되어 선박으로 발사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사부는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는, 부두에 설치된 발사부에서 선박으로 연결부재를 발사하여 선박의 견인줄과 연결부재를 연결한 후, 회전부를 회전시켜 견인줄을 부두로 견인하므로, 견인줄의 이동작업에 소요되는 인원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부에서 연결부재를 발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으로 연결부재와 견인줄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에 견인줄이 권선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발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발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발사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부에서 연결부재를 발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으로 연결부재와 견인줄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에 견인줄이 권선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발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발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발사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1)는, 부두(1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0)와, 베이스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30)와, 회전부(30)의 외측에 권선되며 선박(70)의 견인줄(74)과 연결되는 연결부재(40) 및 연결부재(40)를 선박(70)으로 발사하는 발사부(50)를 포함한다.
선박(70)의 접안이 이루어지는 부두(10)를 따라 복수의 완충부재(12)가 설치되며, 선박(70)이 부두(10)에 접하기 전에 완충부재(12)에 접하므로, 선박(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부두(10)에 베이스부(20)가 고정되며, 이러한 베이스부(20)에 회전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부(20)는 평판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부(20)에 설치되는 회전부(3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는, 베이스부(20)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지지축(32) 및 회전지지축(32)의 하부 둘레를 따라 치형을 형성하는 회전기어(34)를 포함한다.
회전지지축(3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회전지지축(32)에는 연결부재(40)의 일측이 연결되는 고정고리(36)가 구비된다.
연결부재(40)의 일측은 고정고리(36)에 연결되며, 연결부재(40)의 타측은 발사부(50)로 삽입되어 선박(70)으로 발사된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는, 회전부(30)의 외측에 권선되며, 선박(70)으로 발사되어 선박(70)의 견인줄(74)과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0)는, 회전부(30)에 권선되는 와이어부재(42) 및 와이어부재(42)에 연결되며 발사부(50)에 장전되어 선박(70)으로 발사되는 이동부재(44)를 포함한다.
이동부재(44)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이동부재(44)에 와이어부재(42)가 연결되므로, 이동부재(44)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부재(42)도 이동된다.
베이스부(20)의 상측에 보관케이스(46)가 구비되며, 고정고리(36)와 이동부재(44)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부재(42)는 보관케이스(46)의 내측에 권선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연결부재(40)를 선박(70)으로 발사하는 발사부(50)는, 회전부(30)에 연결되어 회전부(30)와 같이 회전되거나, 발사부(50)와 회전부(30)가 별도로 설치되어 발사부(5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부(30)만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부(50)는 회전부(30)의 상측에 연결되어, 회전부(30)와 같이 회전한다.
이러한 발사부(50)는, 회전부(30)의 상측에 내측홈부(54)를 구비한 발사몸체(52)를 구비하며, 발사몸체(52)는 브라켓부재(56)에 의해 회전부(30)의 상측에 설치된다.
발사몸체(52)는 브라켓부재(56)에 힌지 연결되므로, 발사부(50)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동부재(44)가 발사되는 내측홈부(54)는 연결관로(58)와 연결되며, 공기 또는 가스 등을 사용하는 유압의 공급으로 이동부재(44)가 선박(70)을 향하여 발사된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60)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62)와, 구동모터(62)의 동력을 변속시키는 변속기(64)를 포함한다.
변속기(64)에 연결된 구동기어(66)는 회전기어(34)에 맞물려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구동부(60)는 베이스부(20)에 고정된다.
한편, 선박(70)에는 견인줄(74)을 권선하는 견인모터(72)가 구비되며, 이러한 견인모터(72)와 견인줄(74)은 선박(7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치개수가 가감된다.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70)에 설치된 거리측정센서(82)는, 선박(70)과 부두(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보낸다.
제어부(80)는, 거리측정센서(82)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회전부(3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2)와, 발사부(50)의 연결관로(58)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밸브(59) 및 견인모터(72)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70)은 부두(10)에 접안하기 위해 부두(10)와 이격된 곳에 위치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부(50)의 내측홈부(54)에 와이어부재(42)가 연결된 이동부재(44)를 장전한 후, 구동모터(62)가 동작되어 발사부(50)를 회전시켜 발사부(50)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제어부(80)가 유압밸브(59)를 제어하여 발사부(50)로 유압이 공급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4)와 와이어부재(42)가 선박(70)을 향하여 발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를 선박(70)의 견인줄(74)과 연결한 후, 회전구동부(60)가 동작되어 연결부재(40)가 연결된 회전부(3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30)에 와이어부재(42)가 권선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재(42)에 연결된 선박(70)의 견인줄(74)도 회전부(30)의 외측에 권선된다.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70)과 부두(10)의 이격 거리가 설정된 거리 미만으로 좁혀진 경우, 거리측정센서(82)가 이를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보낸다.
제어부(80)는 구동모터(62)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이로 인하여 견인줄(74)이 회전부(30)의 외측에 권선되는 동작이 중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접안장치(1)는, 부두(10)에 설치된 발사부(50)에서 선박(70)으로 연결부재(40)를 발사하여 선박(70)의 견인줄(74)과 연결부재(40)를 연결한 후, 회전부(30)를 회전시켜 견인줄(74)을 부두(10)로 견인하므로, 견인줄(74)의 이동작업에 소요되는 인원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선박용 접안장치
10: 부두 12: 완충부재
20: 베이스부 30: 회전부
32: 회전지지축 34: 회전기어
36: 고정고리 40: 연결부재
42: 와이어부재 44: 이동부재
46: 보관케이스 50: 발사부
52: 발사몸체 54: 내측홈부
56: 브라켓부재 58: 연결관로
59: 유압밸브 60: 회전구동부
62: 구동모터 64: 변속기
66: 구동기어 70: 선박
72: 견인모터 74: 견인줄
80: 제어부 82: 거리측정센서

Claims (5)

  1. 부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외측에 권선되며, 선박의 견인줄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선박으로 발사하는 발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지지축; 및
    상기 회전지지축의 둘레를 따라 치형을 형성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부에 권선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발사부에 장전되어 상기 선박으로 발사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는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접안장치.
KR1020120009620A 2012-01-31 2012-01-31 선박용 접안장치 KR10137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620A KR101377496B1 (ko) 2012-01-31 2012-01-31 선박용 접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620A KR101377496B1 (ko) 2012-01-31 2012-01-31 선박용 접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404A true KR20130088404A (ko) 2013-08-08
KR101377496B1 KR101377496B1 (ko) 2014-03-25

Family

ID=4921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620A KR101377496B1 (ko) 2012-01-31 2012-01-31 선박용 접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77B1 (ko) * 2015-07-06 2016-11-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33B1 (ko) * 2015-07-13 2016-07-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인선회수용 히빙라인 발사시스템
KR20200095289A (ko) 2019-01-31 2020-08-10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접안이 용이한 계류 부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836Y1 (ko) * 2002-07-09 2003-02-12 (주)아카데미과학교재사 과학교재용 로켓트 발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77B1 (ko) * 2015-07-06 2016-11-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WO2017007158A1 (ko) * 2015-07-06 2017-01-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
CN107735314A (zh) * 2015-07-06 2018-02-23 韩国海洋科学技术院 配有连接装置的无人艇及其回收方法
US10252779B2 (en) 2015-07-06 2019-04-09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Unmanned vessel having coupling apparatus and recovery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496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2408T3 (es) Mejoras relativas al tendido de tuberias submarinas..
CN105209336B (zh) 一机动的支撑设备、模块化的支架及搬运系统
US7503606B2 (en) Lifting assembly
JP5778300B2 (ja) 電力供給装置
KR101377496B1 (ko) 선박용 접안장치
US10252779B2 (en) Unmanned vessel having coupling apparatus and recovery method therefor
CN108049874A (zh) 一种用于深海采矿工程的水面支持布放回收系统
US8764345B2 (en) Method of abandoning an underwater pipeline on the bed of a body of water
KR101320124B1 (ko) 부두용 선박 이송장치
KR20150123371A (ko) 등선로봇
KR20150066744A (ko) 액상화물 하역 시스템의 로딩암 자동 타게팅 장치 및 로딩암 자동 타게팅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액상화물 하역 시스템
CN107002910A (zh) 海洋管道铺设系统中的端头配件操作
KR101310836B1 (ko) 선박용 접안장치
US10934109B2 (en) Sweep conveyor assembly for use in a silo or granary
CN110749414B (zh) 一种用于水下投放的滑道型可控翻转轨道
CN109540412A (zh) 内防喷工具压力检测设备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US20130248790A1 (en) Apparatus for Spooling An Anchor Line
KR101735322B1 (ko) 선체면 청소로봇 결속장치 및 이를 갖춘 선체면 청소로봇의 진수 및 회수장치
CN107795751B (zh) 一种形态检测器回收舱
CN208561486U (zh) 一种吊车回收系统
JP2018069880A (ja) 作業装置及び作業方法
KR101368933B1 (ko) 이동형 펜더장치
KR101277497B1 (ko) 선박용 살수장치
CN205257848U (zh) 一种海上联锁排铺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