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516B1 -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 Google Patents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516B1
KR101034516B1 KR1020100117899A KR20100117899A KR101034516B1 KR 101034516 B1 KR101034516 B1 KR 101034516B1 KR 1020100117899 A KR1020100117899 A KR 1020100117899A KR 20100117899 A KR20100117899 A KR 20100117899A KR 101034516 B1 KR101034516 B1 KR 101034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trong point
fairlead
reference surface
point fair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인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에 관한 것으로서, 가이드홀(13)이 형성되는 기준면(11)과 상기 기준면(11)에서 깔대기 모양으로 연장되는 연장면으로 이루어지는 페어리드 본체(10);
상기 기준면(11)에 설치되고, 견인 와이어(5)가 통과하는 관통홀(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준면(11)에 형성된 가이드홀(13)을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버팀쇠(20);
상기 버팀쇠(20)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부분이 기준면(11)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30)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리지 박스(40)를
포함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선미의 구조물을 줄여 공간을 확보하여 선미에서의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토리지 박스 내의 부표나 로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STORAGE BOX HAVING STRONG POINT FAIRLEAD}
본 발명은 선박용으로 사용되는 스토리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예인장치의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선박의 비상예인시 필요한 부표나 로프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스토리지 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1에는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비상예인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비상예인장치(ETS; Emergency Towing System)는 스토리지 드럼(4)과 견인 와이어(5)와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6) 및 스토리지 박스(7)로 구성되고 견인 와이어(5)의 걸고리(5a) 부분이 스트롱 포인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6) 내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견인 와이어(5)의 와이어 부분이 스토리지 드럼(4)에 감긴다.
이때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6)는 선박의 비상예인시 사용되는 견인 와이어(5)를 안내함과 아울러 견인 와이어 끝부분의 소켓(5b)을 지지하여 힘을 받는 부분이 된다.
또한 스토리지 박스(7)에는 부표, 픽업 로프, 메신저 로프가 차례로 연결되어 내장되고 상기 메신저 로프는 메신저 와이어(8)를 통해 견인 와이어(5)의 걸고리(5a) 부분과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비상예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토리지 박스를 개방하여 부표와 로프를 방출시키고 예인선이 상기 로프를 수거하여 견인 와이어(5)를 고정한 후 비상예인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선박에는 비상예인장치와 스토리지 박스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구조물이 많아짐에 따라 선미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기상이 좋지 않으면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박스가 육면체의 박스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장되어 있는 부표나 로프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토롱 포인트 페어리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25235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토롱 포인트 페어리드의 가이드홀을 부분적으로 막아서 견인 와이어(1) 끝단에 설치된 소켓(2)을 지지하는 버팀쇠(30)의 구성이 몸체에 볼트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있어서 견인 와이어(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볼트(51)를 풀고 버팀쇠(30)를 해체한 후 견인 와이어(1)의 걸고리(100)를 페어리드의 가이드홀(21)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버팀쇠(30)를 조립한 후 다시 고정볼트(51)를 고정하여야 하므로 비상견인장치의 설치 및 철수가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선미의 구조물을 줄여 공간을 확보하여 선미에서의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토리지 박스 내의 부표나 로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간단한 조작으로 버팀쇠를 개폐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미의 구조물을 줄여 공간을 확보하여 선미에서의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토리지 박스 내의 부표나 로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간단한 조작으로 버팀쇠를 개폐할 수 있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에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에서 깔대기 모양으로 연장되는 연장면으로 이루어지는 페어리드 본체;
상기 기준면에 설치되고, 견인 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준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버팀쇠;
상기 버팀쇠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부분이 기준면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리지 박스를 포함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양측면이 지지프레임의 상단 중앙에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는, 상기 지지프레임 중단에 가이드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덮개가 스토리지 박스의 후면부에 힌지 결합되고, 스토리지 박스의 후면부의 세로 길이가 전면부의 세로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에 따르면, 선미의 구조물을 줄여 공간을 확보하여 선미에서의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토리지 박스 내의 부표나 로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버팀쇠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의 설치나 철수가 간편하다.
도1은 종래의 비상예인장치가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2a는 정면사시도, 도2b는 후면사시도, 도2c는 스토리지 박스 작동도
도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사용한 비상예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종래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와 지지프레임 및 스토리지 박스로 이루어진다.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는 페어리드 본체(10)와 버팀쇠(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는 비상예인장치로 사용할 때는 선박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견인 와이어(5)를 안내하고 접안장치로 사용할 때는 선박의 외측에서 들어오는 로프를 안내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는 일측에 기준면(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면(11)에는 가이드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홀(13)의 크기는 선박의 외측에서 들어오는 로프나 체인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임과 아울러 견인 와이어(5)의 걸고리(5a)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면(11)에서 일측면으로 깔대기 모양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연장면(15)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장면(15)은 상기 기준면(11)의 가이드홀(13)로부터 대략 기준면(1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기준면(11)과 멀어질수록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면(15)이 벌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연장면(15) 내측은 완만한 곡면이 되어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를 통과하는 로프 등과 접촉하는 경우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의 연장면(15)은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기준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면을 가지고 상기 기준면에서 벌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연장되도록 하는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연장면(15)에는 리브(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강성이 뛰어난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버팀쇠(20)는 비상예인장치로 사용할 경우 사용되며 접안장치로 사용할 경우는 개방하여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
상기 버팀쇠(20)가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부분이 본체(10)의 기준면(11)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버팀쇠(20)는 기준면(11)에 고정되지 않는 구조로 각각의 버팀쇠(20)가 기준면(1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뿐이다. 필요에 따라서 기준면(11)의 상측에 아이볼트 등에 의하여 간단히 고정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버팀쇠(20)는 선박의 비상예인시 견인 와이어(5)의 소켓(5b)이 걸림되기 위한 구성으로 인장력이 선미 방향에서 작용하므로 버팀쇠(20)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며, 견인 와이어(5)를 스토리지 드럼(4)에 감을 때는 견인 와이어(5)와 버팀쇠(20)의 마찰문제 때문에 버팀쇠(20)를 개방한 상태에서 감는다. 또한 접안이나 정박시에도 버팀쇠(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버팀쇠(20)는 기준면(11)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기준면(11)에 형성된 가이드홀(13)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버팀쇠(20)의 중간 부분에는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1)로 견인 와이어(5)의 와이어 부분이 통과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버팀쇠(20)를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가이드홀(13)을 개폐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버팀쇠(20)를 열고 견인 와이어(5)를 기준면(11)의 가이드홀(13)에 삽입한 후 버팀쇠(20)를 양측에서 닫아 관통홀(21)에 견인 와이어(5)의 와이어 부분을 지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욱 간편하게 견인 와이어(5)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버팀쇠(20)에 관통홀(21)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버팀쇠(20)는 결과적으로 기준면(11)에 형성된 가이드홀(13)을 부분적으로 개폐하게 되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에 버팀쇠(20)를 닫아 비상예인장치의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의 좌/우측에는 지지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전면지지프레임(31)과 후면지지프레임(33) 및 연결프레임(35)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면지지프레임(31)은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의 연장면(15)의 형상에 대응하여 2부분에서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후면지지프레임(33)은 상기 전면지지프레임(3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10)의 기준면(11) 부근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면지지프레임(31)과 후면지지프레임(33)은 연결프레임(35)으로 연결된다.
또한 좌/우측의 지지프레임(30)의 중단 사이에는 가이드프레임(39)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9)은 스토리지 박스의 덮개(43)가 개방되었을 경우 상기 덮개(43)가 바다쪽을 향하도록 가이드 해 준다.
도면에서는 가이드프레임(39)이 2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졌으나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지지프레임(30)의 형상을 설명하였으나 지지프레임(30)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프레임(30)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리지 박스(40)를 설치하고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스토리지 박스(40)는 양 측면이 지지프레임(30)의 상단 중앙에 축결합 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단의 연결프레임(35)의 중앙에 축(3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37)이 스토리지 박스(40)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스토리지 박스(40)가 축(3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스토리지 박스(40)에 축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30)에 홀이 형성되어 축결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스토리지 박스(40)는 비상예인시 필요한 로프(45)와 부표(47)가 수용되어 있고 비상예인시 스토리지 박스(40)를 개방하여 로프(45)와 부표(47)을 바다에 방출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토리지 박스(4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토리지 박스(40)의 후면부(42)의 세로 길이가 전면부(41)의 세로 길이보다 더 길며 덮개(43)가 스토리지 박스(40)의 후면부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덮개(43)는 경사면을 이룬다.
상기 스토리지 박스(40)는 전면부(41)가 선체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덮개(43)를 열어 로프(45)와 부표(47)를 넣은 후 잠금장치(49)를 잠그고 180도 회전시켜 전면부가 선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고정시키고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사용한 접안장치 겸용 비상예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버팀쇠(20)가 열리 상태에서 견인 와이어(5)의 걸고리(5a)를 기준면(11)의 가이드홀(13)에 삽입한 후 버팀쇠(20)를 양측에서 닫아 관통홀(21)에 견인 와이어(5)의 와이어 부분을 지지하게 하고, 걸고리(5a)를 스토로지 박스(7)에 설치된 메신저 와이어(8)에 연결하면 견인 와이어(5)가 버팀쇠(20)의 관통홀(21)에 지지되면서 스토리지 드럼(4)에 감겨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비상예인시의 경우에는 스토리지 박스(40)의 잠금장치(49)를 열어 로프(45)와 부표(47)를 배출하고 예인하는 선박이 이를 회수하여 견인 와이어(5)를 연결하여 예인을 한다.
이 때 스토리지 박스(40)의 덮개는 경사져 있으므로 경사진 쪽으로 로프(45)나 부표(47)가 쏠려 있다가 한 번에 방출이 가능하며 수평면에 비해 방출면적이 크므로 방출시 로프(45)나 부표(47)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39)이 구비되어 있어 덮개(43)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덮개(43)와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의 충돌을 방지한다.
접안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신저 와이어(8)를 견인 와이어(5)의 걸고리(5a) 부분에서 분리하여 스토리지 박스(7)로 수거하고 버팀쇠(20)를 개방하여 견인 와이어(5)의 걸고리(5a)를 가이드홀(13)로 부터 분리하여 스토로지드럼(4)에 장착하여 비상예인장치를 철수한다.
비상예인장치가 철수되고 페어리드 본체(10)의 가이드홀(13)이 완전히 개방된 상테에서 페어리드 본체(10)의 가이드홀(13)을 통하여 선박 외부로부터 로프나 체인을 받아 블러드(2)와 같은 고정 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서 접안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안장치로 사용될 경우 버팀쇠(2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비상예인장치의 설치 및 철수가 가능하고, 비상예인장치에서 접안장치로의 전환 또는 그 반대 기능으로의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미의 구조물을 줄여 공간을 확보하여 선미에서의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토리지 박스 내의 부표나 로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본체 11 : 기준면
13 : 가이드홀 15 : 연장면
17 : 리브 20 : 버팀쇠
21 : 관통홀
30 : 지지프레임 31 : 전면지지프레임
33 : 후면지지프레임 35 : 연결프레임
37 : 가이드프레임 40 : 스토리지 박스
41 : 전면부 42 : 후면부
43 : 덮개 45 : 로프
47 : 부표 49 : 잠금장치

Claims (4)

  1. 선박의 스토리지 박스에 있어서,
    가이드홀(13)이 형성되는 기준면(11)과 상기 기준면(11)에서 깔대기 모양으로 연장되는 연장면으로 이루어지는 페어리드 본체(10);
    상기 기준면(11)에 설치되고, 견인 와이어(5)가 통과하는 관통홀(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준면(11)에 형성된 가이드홀(13)을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버팀쇠(20);
    상기 버팀쇠(20)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부분이 기준면(11)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상기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30)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리지 박스(40)를
    포함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박스(40)는 양측면이 지지프레임(30)의 상단 중앙에 축(37)결합되어 상기 축(3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 중단에는 가이드프레임(39)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덮개(43)는 스토리지 박스(40)의 후면부에 힌지 결합되고, 스토리지 박스의 후면부(42)의 세로 길이가 전면부(41)의 세로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KR1020100117899A 2010-02-26 2010-11-25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KR101034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761 2010-02-26
KR20100017761 2010-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516B1 true KR101034516B1 (ko) 2011-05-17

Family

ID=4436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899A KR101034516B1 (ko) 2010-02-26 2010-11-25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87B1 (ko) * 2013-04-18 2014-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임시적 앵커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운전 방법
KR101790037B1 (ko) * 2017-04-18 2017-10-25 탱크테크 (주)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32A (ko) * 1990-10-19 1992-05-27 요시타카 아오야마 프로젝션용접방법 및 그 장치
JPH0958573A (ja) * 1995-08-16 1997-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非常用曳航装置
KR19980025235U (ko) * 1998-05-04 1998-07-25 주광일 선박용 견인로프 지지쇠
KR20060089730A (ko) * 2003-10-03 2006-08-09 하이드라리프트 암클라이드 인크. 일체형 체인 스토퍼를 갖는 페어리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32A (ko) * 1990-10-19 1992-05-27 요시타카 아오야마 프로젝션용접방법 및 그 장치
JPH0958573A (ja) * 1995-08-16 1997-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非常用曳航装置
KR19980025235U (ko) * 1998-05-04 1998-07-25 주광일 선박용 견인로프 지지쇠
KR20060089730A (ko) * 2003-10-03 2006-08-09 하이드라리프트 암클라이드 인크. 일체형 체인 스토퍼를 갖는 페어리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87B1 (ko) * 2013-04-18 2014-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임시적 앵커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운전 방법
KR101790037B1 (ko) * 2017-04-18 2017-10-25 탱크테크 (주)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248B1 (ko)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KR20120125719A (ko)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101034516B1 (ko)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JP6039989B2 (ja) 遮蔽蓋開閉装置及び船舶
US2889171A (en) Detachable tarpaulin arrangement
KR101034515B1 (ko)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KR101224909B1 (ko) 중간고리를 이용한 선박 예인장치 및 예인방법
US20150113774A1 (en) Snap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EP0761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ying out, securing and hauling in a flexible elongate tensile member
KR20070047717A (ko) 잠수함
KR102036976B1 (ko) 비상용 예항장치
KR101765059B1 (ko) Epb와 eta 겸용 비상예인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1790037B1 (ko)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KR20040016957A (ko) 데빗시스템
KR101291136B1 (ko) 선박 예인장치의 페어리드
KR20120132131A (ko) 비상견인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JP2902331B2 (ja) 船舶の曳航装置
JPH09301267A (ja) フェアリーダ
JP2011502860A (ja) 特に流線形のスケールを備える、流線形牽引ロープ用のスケール回転装置
JP3667451B2 (ja) 艇吊り下げ装置
KR101884526B1 (ko) 간편 설치가 가능한 안전줄 어셈블리
US7104213B2 (en) Hawser guidance system for quick release mooring hooks
KR200332003Y1 (ko) 선박 예인장치
KR100516140B1 (ko) 선박 예인장치
KR100497961B1 (ko) 선박 예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