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717A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717A
KR20070047717A KR1020060107366A KR20060107366A KR20070047717A KR 20070047717 A KR20070047717 A KR 20070047717A KR 1020060107366 A KR1020060107366 A KR 1020060107366A KR 20060107366 A KR20060107366 A KR 20060107366A KR 20070047717 A KR20070047717 A KR 20070047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ubmarine
towing
cov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395B1 (ko
Inventor
부르크하트 슈톨텐베르그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4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2Towed underwate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뱃머리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보조 밧줄에 연결된 비상 예인용 밧줄을 구비하는 잠수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조 밧줄은 뱃머리 영역으로부터 상갑판에 이르기까지 외피 안에서 또는 외피 상에서 가이드 된다.

Description

잠수함 {SUBMARINE BOAT}
본 발명은 예인용 밧줄을 구비한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조난 상황에 있거나 또는 자체 구동 장치가 고장 난 상황에 있는 잠수함을 격렬한 파도가 몰아치는 중에도 구조할 수 있기 위하여, 예인용 밧줄을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예인용 밧줄이 선박의 뱃머리로부터 시작하여 선체를 따라 진행하는, 상갑판에서 끝나는 외부로 폐쇄된 홈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상갑판에 있는 사람은 격렬한 파도가 몰아치는 중에도 상기 예인용 밧줄의 단부를 예인선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예인용 밧줄을 예인선까지 연결하는 보조 밧줄을 고정할 수 있다.
특별히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잠수함의 경우에는, 음향적인 기호를 가급적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외피가 최대한 유체 공학적으로 유리하도록 매끈하게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외피가 강철로 이루어진 잠수함의 경우에 판금(sheet metal)을 사용하여 상기 홈을 외부로 폐쇄하고 피복하는 것은 선행 기술에 속하며, 그 경우에는 예인용 밧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지하여 잠수함을 측면으로 구조하게 됨으로써, 예인용 밧줄이 상기 홈으로부터 빠질 가능성이 있고, 예인용 밧줄이 잠수함의 뱃머리 영역에 있는 고정 장소와 예인선에 있는 고장 장소 사이에서 팽창되어 예인시에 자신의 기능을 충족할 때까지 상기 예인용 밧줄은 노출된다.
현대의 잠수함에서는 외피가 강철로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대부분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현대의 잠수함에 상기와 같은 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 플라스틱 테이블에 설치될 그리고 예비 제작될 홈들이 추후에 이루어지는 조립 과정 후에는 서로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예인용 밧줄을 수용하기 위한 연속적인 관통 채널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인용 밧줄을 직접 상기 홈 내부에서 가이드 하지 않고, 오히려 소정의 부정확성을 보상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홈을 외부로 동일한 높이에서 폐쇄하는 탄성적인 중공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독일 실용신안 제 93 13 337 U1호에 기술되어 있지만, 상기 문서에 개시된 구조도 역시 제작 과정에서 이미 상기 홈을 플레이트 내부에 최종적으로 제조할 때에는 상당히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한 본 발명의 과제는, 한편으로는 예인용 밧줄이 상갑판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술한 제조 복잡성이 확연하게 줄어들 수 있는 잠수함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선체의 뱃머리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보조 밧줄과 연결된 예인용 밧줄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밧줄은 뱃머리 영역으로부터 상갑판까지 외피 안에서 또는 외피 상에서 가이드 된다.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아이디어는, 예인용 밧줄 자체를 뱃머리 영역에 있는 자신의 고정 장소로부터 상갑판까지 가이드 하지 않고, 오히려 단 하나의 보조 밧줄을 상기 영역으로 가이드 하고, 예인용 밧줄 자체를 뱃머리 영역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장점은, 상갑판에 이르기까지 외피를 따라 이루어지는 가이드 과정이 예인용 밧줄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보조 밧줄을 위해서 계획되고 실행되면 된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보조 밧줄은 단지 예인용 밧줄을 이어줄 목적으로만 이용되는 것으로 충분하며, 상기 보조 밧줄이 예인용 밧줄에 의해서 수용될 높은 인장력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계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보조 밧줄은 훨씬 더 작은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설계 가능성은 더욱 작은 치수 그리고 그와 더불어 경제적이고 단순한 구조를 유도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보조 밧줄이 강철 케이블로 형성되었다면, 홈은 플라스틱 테이블을 조립한 후에 밀링 공정에 의해서 외부에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정은 홈을 사전에 제작하는 것보다 훨씬 더 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은 홈은 보조 밧줄을 삽입한 후에 적절한 밀봉 재료로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영역에서는 매우 매끈하고 기호가 없는 외피가 형성된다.
뱃머리 영역에 고정된 예인용 밧줄은 바람직하게 그 단부가 잠수함측 예인용 후크(hook)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즉 예인 과정을 위해 선체와 충분히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선체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 밧줄은 바람직하게 견인용 밧줄에 비해 얇은 케이블, 특히 강철 케이블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보조 밧줄은 예를 들어 단 8 mm 두께의 강철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철 케이블은 외피의 홈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밧줄은 반드시 외피 내부에 놓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유동 조건 및 기호 조건이 허락된다면, 예를 들어 외피 쪽으로 가면서 점차 평탄해지는 채널 구조와 같은 상응하는 구조로 외피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보조 밧줄이 외피 내부에 배치된 홈 안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홈은 외피 조립 과정이 종료된 후에 예를 들어 밀링 공정에 의해서 경제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홈은 밀봉 수단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보조 밧줄을 조립한 후에는 상기 홈이 다시 나머지 외피와 동일한 높이에서 종료되면서 폐쇄되어 있다.
예인용 밧줄 자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획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류 형태로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구획은 바람직하게 상기 구획이 하나의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는 예인용 밧줄이 우선 상기 고정 구획의 앞면 가까이에서 측벽과 평행하게 단부까지 삽입되고, 그곳에서 90 °만큼 구부러져 상기 고정 구획의 다른 측 단부까지 이르게 된다. 그곳에서부터는 상기 예인용 밧줄이 각각 180 °방향 전환되어, 상기 구획이 채워질 때까지 매듭 상태로 놓여 있다. 이 경우 예인용 밧줄의 배열은 바람직하게 곡류 형태로 가이드 되는 부분에서는 고정 구획으로부터 앞으로 돌출하는 단부가 인장 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구획 내부에 매듭 상태로 놓여 있는 예인용 밧줄은 필요에 따라 상기 구획으로부터 앞으로 빼내지게 된다.
예인용 밧줄이 꼬아진 형태 또는 매듭진 형태로 된 바람직하게는 직물 밧줄로 형성되면, 이와 같은 밧줄은 강철로 이루어진 예인용 밧줄에 비해 더 탄력적이면서도 충격과 같은 하중에 더 잘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제한 기능을 하는 평탄한 벽들, 즉 상기 곡류 형태로 배치된 예인용 밧줄의 섹션이 인접하는 벽들 사이의 간격이 하중을 받지 않는 예인용 밧줄의 내부 폭보다 더 작도록 고정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예인용 밧줄의 횡단면이 실제로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내부 폭이 지름에 상응하고, 횡단면이 원형이 아니거나 비대칭인 경우에는, 상기 내부 폭이 와인딩 평면에 가로인 평면에서 중요하다. 고정 구획의 평탄한 벽들의 간격을 적절하게 설계하면, 상기 벽들과 예인용 밧줄 사이에 강제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강제 결합에 의해서는 한편으로는 상기 예인용 밧줄이 고정 구획 안에 견고하게 그리고 정해진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얻어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매듭이 인장 방향으로부터 시작하여 풀어지게 된다. 즉, 전체 예인용 밧줄 다발(packet)이 고정 구획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예인용 밧줄 배출구 앞에서 막힘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미 인장 상태에 있는 예인용 밧줄의 부분은 자신의 내부 폭을 줄이기 때문에, 인장 하중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목적한 바대로 고정 구획 벽들과의 강제 결합이 소멸한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선예에 따라, 고정 구획 안에서는 이웃하는 예인용 밧줄 섹션들이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커넥터의 형태로 된 연결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더욱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예인용 밧줄 또는 적어도 고정 구획 안에 배치될 예인용 밧줄 섹션이 상기 고정 구획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평탄한 벽들 중 하나의 벽이 간격을 두고 변경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결국 예인용 밧줄 섹션을 고정 구획 안으로 삽입한 후에는 상기 간격이 줄어듦으로써 강제 결합이 목적한 바대로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예인용 밧줄은 잠수함의 뱃머리 영역에 있는 외피 내부에 보호된 상태로 놓여있다. 상기 밧줄의 기능을 충족하기 위하여, 뱃머리 측에서 외피 내부에는 예인용 밧줄 배출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는 해체 가능한 커버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보조 밧줄에 인장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예인용 밧줄 배출구가 자동으로 릴리스 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버의 배치 상태 및 형상은, 커버가 간극(gap)을 형성하면서 상기 예인용 밧줄 배출구 내부에 형성되고 배치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와 예인용 밧줄 배출구 사이의 상기 간극 내부에서는 보조 밧줄이 주변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가이드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장점은, 예인될 선박으로 넘겨진 다음에 정상적으로 보조 밧줄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서 우선 상기 보조 밧줄이 상갑판의 외피에 있는 자체 홈으로부터 선박을 따라 뱃머리까지 빼내지게 되고,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 커버 영역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커버가 보조 밧줄에 가해지는 상기 인장력에 의해서 제거된다는 것이다. 그 경우, 예인용 밧줄 배출구의 커버 뒤에 있는 적합한 장소에서는, 보조 밧줄의 단부가 예를 들어 U자 모양의 연결 고리를 통해서 예인용 밧줄의 자유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커버가 외피 내부에서 동일 평면에 일직선으로 연결된 상태로부터 상기 커버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는 주변을 둘러싸는 에지(edge)를 가지며, 상기 에지가 커버 영역에서 주변을 둘러싸는 보조 밧줄 섹션을 외부로 커버 함으로써, 상기 보조 밧줄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력이 밀봉 수단 및 플라스틱 박막에 의해 형성된 주변을 둘러싸는 접착 간극을 절단하게 되고, 그 결과 커버가 예인용 밧줄 배출구로부터 빼내진다.
한편으로는 예인용 밧줄의 필요한 길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잠수함 뱃머리 영역에서의 공간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특히 소형 및 중형 크기의 잠수함을 위해서는 예인용 밧줄을 단 하나의 고정 구획에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수의 고정 구역에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쌍으로 나란히 그리고 위·아래로 배치된 4개의 예인용 밧줄-고정 구획이 제공되며, 이 경우 예인용 밧줄은 예인용 후크에 있는 자신의 고정부로부터 보조 밧줄에 이르기까지 4개의 모든 고정 구획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고정 구획들이 바람직하게 전방 영역에서는 개방 상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폐쇄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예인용 밧줄은 보조 밧줄을 통하여 고정 구획 별로 차례로 빼내진다. 이 경우 배열 상태와 관련해서는, 예인용 밧줄이 고정되어 있는 예인용 후크를 나란히 배치된 고정 구획들 사이에 배치하고, 그밖에는 2개의 고정 구획들을 위·아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이 경우 예인용 밧줄의 가이드 과정은 바람직하게, 우선 위·아래로 배치된 예인용 밧줄-고정 구획들을 비우고, 그 다음에 예인용 후크의 다른 면에 배치된 2개의 예인용 밧줄-고정 구획들로부터 예인용 밧줄을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8 mm 두께의 강철 케이블의 형태로 된 보조 밧줄(1)은 잠수함(4)의 상갑판(3)에 있는 연결 장소(2)로부터 잠수함(4)의 외피(6)의 홈(5) 내부에서, 처음에는 상기 상갑판(3)의 상단부에 있는 연결 장소(2)로부터 아래로 가이드 되고, 그 다음에는 선체를 따라서 아래로 뱃머리 영역(7)으로 가이드 된다. 상기 홈(5)은 조립 후에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외피(6) 내부에 밀링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홈(5) 내부로 보조 밧줄(1)이 삽입되고, 그 다음에 상기 홈(5)이 밀봉 수단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밀봉 수단은 보조 밧줄(1)을 홈(5)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홈을 외피(6)와 동일한 높이에서 외부로 폐쇄한다.
홈(5)은 뱃머리 영역(7)에서 간극(8) 내부와 연통되는데, 상기 간극은 외피에 제공된 예인용 밧줄 배출구(9)와 상기 배출구(9)를 폐쇄하는 커버(10) 사이에서 형성된다. 상기 커버(10)의 에지(11)는 한 섹션만큼 상기 배출구(9) 위로 돌출하며, 이 경우 상기 돌출 영역에서는 보조 밧줄(1)이 에지(11) 아래에서 커버(10) 주변을 둘러싸면서 가이드 된다. 상기 간극(8)의 나머지 공간이 밀봉 수단(12)으로 채워짐으로써, 커버(10)뿐만 아니라 밀봉 수단(12)도 주변을 둘러싸는 외피(6)와 동일한 높이로 폐쇄된다.
특히 도 3에 따른 개략도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서 보조 밧줄(1)이 가이드 되는 홈(5)이 - 나중에 이 홈이 전방으로부터 관찰할 때 시계 바늘 방향으로 커버 에지(11) 아래에서 주변을 감싸는 방식으로 간극(8) 내부에서 가이드 되도록 하기 위하여 - 아래로부터 비스듬하게 그리고 전방에서 간극(8)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홈(5)은 홈(9)의 삽입 장소 바로 앞에서는 내부로 가이드 되어(도 4 참조) U자형 고리(13)에 의해 예인용 밧줄(14)의 자유 단부에 고정된다.
커버(10)는 밀봉 수단(12)의 형태로 된 탄성 접착제에 의하여, 프레임과 비슷하게 형성된 예인용 밧줄 배출구(9) 내부에 접착된다. 프레임 형태의 커버 지지대 상에 커버가 고정 접착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플라스틱 박막(15)은 보조 밧줄(1) 및 상기 커버 지지대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박막(15)은 커버(15) 또는 보조 밧줄(1)이 예인용 밧줄 배출구(9)의 커버 지지대와 접착되지 않도록 보증해주며, 그 결과 커버(10)의 개방시에는 규정된 인출력이 보장된다. 커버(15)는 밀봉 수단(12)에 의해서 프레임과 접착되어 있다. 풀어내는 경우에는 보조 밧줄(1)이 상기 접착 간극을 통해 빼내지고, 그럼으로써 프레임과 커버(15) 사이의 접착이 파괴된다. 커버(15)는 보조 밧줄(1)에 의해서 벗겨지지 않고, 오히려 단지 접착 결합만 파괴된다. 그 경우 커버(15)는 후속하는 예인용 밧줄에 의해 외부로 빼내진 상태에서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예인용 밧줄(14) 자체는 뱃머리 영역(7)에서 전방으로부터 볼 때 커버(10) 뒤에서 총 4개의 고정 구획(16a 내지 16d)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구획(16a 내지 16b)은 정방형의 내부 공간을 갖고, 전체가 전방으로, 즉 커버(10) 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구획들의 공간은 좁은 후벽(17), 좁은 측벽(18) 그리고 평탄한 측벽(19)에 의해서 형성된다. 예인용 밧줄(14)을 고정 구획(16a 내지 16d) 안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평탄한 측벽(19)들이 각각 하나씩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탄한 측벽(19)들의 상호 간격은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도로 볼 때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략 원형인 예인용 밧줄(14)의 지름보다 작다. 따라서, 예인용 밧줄(14)과 평탄한 측벽(19) 사이에서는 강제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강제 결합은 서문에 언급된 효과, 즉 예인용 밧줄(14)이 계속해서 규정된 바대로 고정 구획(16)으로부터 빼내지게 되고, 패킷으로서 고정 구획(16)으로부터 빼내질 수는 없다.
고정 구획(16a 및 16c)은 나란히 그리고 그 아래에 있는 고정 구획(16b 및 16d) 위에 배치된다. 나란히 배치된 고정 구획 (16a, 16c)와 (16b, 16d)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 안에서 예인용 후크(20)는 상기 예인용 밧줄(14)의 한 단부가 매듭(21)에 의해서 종료된 장소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매듭(21)으로부터 출발하여 예인용 밧줄(14)은 우선 전방으로부터 볼 때 하부 좌측 고정 구획(16d) 내부로 측벽(18)을 따라 후벽(17)까지 진행하고, 이곳에서 90°만큼 구부러져 상기 후벽(17)을 따라 진행하며, 그 후에는 마주 놓인 측벽(18)에 도달할 때까지 자신의 방향을 180°만큼 변경하게 된다. 그때 고정 구획(16d) 안에서는 예인용 밧줄(14)이 곡류 형태로 가이드 되며, 이 경우 이웃하는 예인용 밧줄 섹션들은 추가로 케이블 커넥터 또는 다른 고정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다. 곡류 형태로 가이드 되는 상기 예인용 밧줄의 부분의 단부는 고정 구획(16d)으로부터 위쪽으로, 그 위에 있는 고정 구획(16c) 내부로 가이드 되며, 이곳에서 상기 예인용 밧줄(14)은 재차 측벽(18)을 따라 후벽(17)까지 가이드 되고, 그곳에서 90°만큼 방향 변경되어 마주 놓인 측벽까지 가이드 되며, 그곳에서부터는 곡류 형태로 각각 180° 방향을 바꾸어 위로 향하게 된다. 상기 고정 구획(16c)의 예인용 밧줄(16)의 곡류 형태로 위로 돌출된 부분의 단부는 아래쪽으로 상기 고정 구획(16c)에 대하여 대각으로 변위 배치된 고정 구획(16) 쪽으로 가이드 되며, 이곳에서 예인용 밧줄(14)은 재차 고정 구획(16c 및 16b)을 참조하여 기술된 내용에 상응하게 위로 돌출해 있다. 그 경우 상기 고정 구획(16b)으로부터 빼내지는 단부는 위로 고정 구획(16a)까지 가이드 되고, 이곳에서 예인용 밧줄(14)은 곡류 형태의 진행 후에 마지막으로 U자형 고리(13)에서 종료되며, 상기 고리는 예인용 밧줄(14)을 보조 밧줄(1)과 연결한다.
보조 밧줄(1)이 홈(5)으로부터 빼내지고, 커버(10)가 보조 밧줄(1)의 인장력에 의해 제거되자마자, 상기 인장력은 U자형 고리(13)에서 종료된 상기 예인용 밧줄(14)의 단부에 작용하게 되고, 그때 예인용 밧줄은 제일 먼저 고정 구획(16a)으로부터 빼내진다. 고정 구획(16a)이 비워진 후에 비로소, 다른 예인용 밧줄 섹션이 빼내지게 되는데, 상기 다른 섹션이란 그 아래에 있는 고정 구획(16b) 내에서 위로 돌출한 섹션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최종 고정 구획(16d)이 비워질 때까지 예인용 밧줄이 고정 구획(16c)으로부터 빼내진다. 예인용 밧줄(14)을 고정 구획(16a-d)들로부터 빼내는 동안에, U자형 고리(13)는 보조 밧줄(1)에 의해서 예인선에 도달하게 된다. 그곳에서 U자형 고리(13)는 개방되고, 예인용 밧줄(14)은 상기 고리(13)로부터 빼내져서 예인선의 예인용 고정부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잠수함과 견인선 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고, 인장력이 예인용 후크(2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한편으로는 예인용 밧줄이 상갑판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결될 수 있게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선행 기술에서의 제조 복잡성이 확연하게 줄어들었다.
도 1은 잠수함의 전방부 그리고 보조 밧줄의 가이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잠수함의 평면도,
도 3은 예인용 밧줄 배출구에 있는 커버의 개략도,
도 4는 커버 영역에 있는 외피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특정 부분(V)을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평탄한 상부 벽이 빼내진 상태에서 2개의 상부 예인용 밧줄-고정 구획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평탄한 상부 벽이 빼내진 상태에서 2개의 하부 예인용 밧줄-고정 구획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측벽 없이 위·아래로 배치된 고정 구획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조 밧줄 2: 연결 장소
3: 상갑판 4: 잠수함
5: 홈 6: 외피
7: 뱃머리 영역 8: 간극
9: 예인용 밧줄 배출구 10: 커버
11: 커버 에지 12: 밀봉 수단
13: U자형 고리 14: 예인용 밧줄
15: 커버, 플라스틱 박막 16a - 16d: 고정 구획
17: 후방벽 18: 좁고 긴 측벽
19: 평탄한 측벽 20: 예인용 후크
21: 매듭

Claims (13)

  1. 예인용 밧줄(14)을 구비한 잠수함으로서,
    상기 예인용 밧줄(14)이 선체의 뱃머리 영역(7)에 고정되어 보조 밧줄(1)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밧줄이 뱃머리(7) 영역으로부터 상갑판(3)에 이르기까지 외피(6) 안에서 또는 외피 상에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용 밧줄(14)의 한 단부가 잠수함측 예인용 후크(2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밧줄(1)이 예인용 밧줄(14)에 비해 얇은 밧줄, 특히 강철 케이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밧줄(1)이 외피(6) 내에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밀봉 수단에 의해 폐쇄된 홈(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용 밧줄(14)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획(16)에서는 바람직하게 곡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용 밧줄(14)이 꼬아진 형태 또는 매듭진 형태로 된 바람직하게는 직물 밧줄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구획(16)을 제한하는 평탄한 벽(19)들의 간격은 상기 예인용 밧줄(14)이 상기 고정 구획(16) 내부에 강제 결합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의 예인용 밧줄(14)의 내부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획(16) 내부에서 이웃하여 배치된 예인용 밧줄 섹션들이 연결 부재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커넥터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뱃머리 측에서는 해체 가능한 커버(10)에 의해 폐쇄된 예인용 밧줄 배출구(9)가 외피(6) 내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예인용 밧줄 배출구(9)는 보조 밧줄(1)에 인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배출구가 자동으로 릴리스 되도록 형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간극을 형성하면서 예인용 밧줄 배출구(9)에 배치되고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커버(10)와 예인용 밧줄 배출구(9) 사이에 형성된 간극(8) 안에서는 상기 보조 밧줄(1)이 주변을 둘러싸면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가 주변을 둘러싸는 에지(11)를 가지며, 상기 에지가 커버(10) 영역에서 주변을 둘러싸는 보조 밧줄 섹션(1)을 외부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10)와 예인용 밧줄 배출구(9) 사이에 형성된 간극(8)은 외부로 동일한 높이에서 종결되도록 밀봉 수단(12)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쌍으로 나란히 그리고 위·아래로 배치된 4개의 예인용 밧줄 고정 구획(16a - 16d)이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예인용 밧줄(14)은 예인용 후크(20)에 있는 자신의 고정부로부터 보조 밧줄(1)에 이르기까지 4개의 모든 고정 구획(16a - 16d)을 차례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개의 모든 고정 구획(16a - 16d)이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예인용 후크(20)가 나란히 배치된 상기 고정 구획들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060107366A 2005-11-02 2006-11-01 예인용 밧줄을 구비한 잠수함 KR101043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2109.6 2005-11-02
DE102005052109A DE102005052109B3 (de) 2005-11-02 2005-11-02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717A true KR20070047717A (ko) 2007-05-07
KR101043395B1 KR101043395B1 (ko) 2011-06-22

Family

ID=3772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366A KR101043395B1 (ko) 2005-11-02 2006-11-01 예인용 밧줄을 구비한 잠수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83047B1 (ko)
KR (1) KR101043395B1 (ko)
AT (1) ATE462643T1 (ko)
DE (2) DE102005052109B3 (ko)
ES (1) ES2342724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60B1 (ko) * 2009-06-24 2013-09-05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50092107A (ko) * 2012-12-05 2015-08-12 데쎄엔에스 예인 시스템이 구비된 수중 이동체
KR20220063929A (ko) 2020-11-11 2022-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핸드로프 설치용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8864B1 (fr) * 2012-12-05 2015-02-13 Dcns Engin sous marin muni d un systeme de remorquage
FR3030437B1 (fr) * 2014-12-19 2017-01-27 Dcns Engin sous-marin muni d'une aussiere de remorqu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97A (en) * 1885-02-17 Apparatus for circulating and attempering air in malt
US3897746A (en) * 1974-01-16 1975-08-05 Us Navy Submarine emergency towing rigging system
DE9313337U1 (de) * 1993-09-04 1993-11-18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Schleppseilhalterung auf Unterwasserschiff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60B1 (ko) * 2009-06-24 2013-09-05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50092107A (ko) * 2012-12-05 2015-08-12 데쎄엔에스 예인 시스템이 구비된 수중 이동체
KR20220063929A (ko) 2020-11-11 2022-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핸드로프 설치용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62643T1 (de) 2010-04-15
DE502006006564D1 (de) 2010-05-12
ES2342724T3 (es) 2010-07-13
EP1783047B1 (de) 2010-03-31
KR101043395B1 (ko) 2011-06-22
EP1783047A3 (de) 2009-06-03
EP1783047A2 (de) 2007-05-09
DE102005052109B3 (de)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7717A (ko) 잠수함
US7644673B2 (en) Emergency encapsulated lift system
US20090260559A1 (en) Traction system for operating lines, in particular mooring and/or production lines, of a floating production unit
JP2009241861A (ja) 船舶
DK2348825T3 (en) Device for processing fish in net cages
JPH07187057A (ja) 投揚錨装置
CA3142178A1 (en) Underwater device and underwater system
CN107933829A (zh) 起锚机
JP2005132179A (ja) アンカーの格納構造
KR101613216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앵커링 시스템
KR101034516B1 (ko)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가 부설된 스토리지 박스
KR101034515B1 (ko) 스트롱 포인트 페어리드
KR20210047911A (ko) 계선 장력 장치 및 계선 시스템의 길이방향 교차 장력을 위한 방법
CN109866873B (zh) 一种封闭式艏楼锚链的进舱方法
KR101790037B1 (ko) Epb 전용 스토리지 박스
CN219227098U (zh) 一种船用电缆保护装置及船舶
KR100766176B1 (ko) 선박 예인장치
JPH0958573A (ja) 船舶の非常用曳航装置
US11846080B2 (en) Hose arrangement for creating a bubble curtain in bodies of water
KR20150055724A (ko) 멤브레인 에어스포일러
KR20110039648A (ko) 수밀부가 구비된 선박 예인장치
KR200332003Y1 (ko) 선박 예인장치
JPS5855951B2 (ja) 舶用弾性扉開閉装置
WO1995018039A1 (en) A floating device for a ship
DE19928792A1 (de) Schlauchboot, insbesondere Rettungsin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