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341B1 - 하우징형 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하우징형 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341B1
KR101788341B1 KR1020127013259A KR20127013259A KR101788341B1 KR 101788341 B1 KR101788341 B1 KR 101788341B1 KR 1020127013259 A KR1020127013259 A KR 1020127013259A KR 20127013259 A KR20127013259 A KR 20127013259A KR 101788341 B1 KR101788341 B1 KR 10178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tube
arc
arc portion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237A (ko
Inventor
신타로 이케다
유지 노다
Original Assignee
니혼 빅토릭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824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088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08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7269B1/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빅토릭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빅토릭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4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with longitudinally split or divided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조인트의 적당한 체결 상태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체결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와 탄성 씰 링과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와 원호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원호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씰 링이 끼워지는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양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켜서 상기 원호부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휘고, 그렇게 휘는 것에 의해 원호부의 둘레 가장자리가 연결해야 할 관 외면에 일치하는 것에 의해 관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시가 있고, 이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했을 때 관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Description

하우징형 관 조인트{HOUSING TYPE PIPE JOINT}
본 발명은 관 끝을 서로 씰링하면서 연결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100H)를 도 13에 나타낸다. 이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관 단부에 둘레방향 홈(151, 151)을 가지는 관(150, 150)의 관 끝을 서로 동심으로 맞대고 접합부에 환형의 탄성 씰 링(102)을 외부에서 끼우거나 한 뒤, 상기 탄성 씰 링(102)을 사이에 두고 관 단부에 한 쌍의 대략 반원형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를 그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113, 113)가 상기 둘레방향 홈(151, 151)에 들어오도록 해서 씌우고,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의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120, 120)에 형성된 볼트 삽입통과 구멍(121, 121)에 볼트(103, 103) 및 너트(104, 104)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나사식으로 결착시키는 것에 의해 2개의 관을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이 연결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03, 104)에 의해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의 대면하는 플랜지부(120, 120)를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휘게 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114, 114)가 각 관 외면(도시한 예에서는 둘레방향 홈(151)의 바닥이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52, 152)을 누르는 것에 의해 양 관의 관축 어긋남의 변위가 방지된다.
그리고 이렇게 연결할 때, 하우징형 관 조인트(100H)에서의 연결 완료 확인에 대해서는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의 둘레 가장자리(114, 114)의 모든 범위가 관 외면(152, 152)과 일치했을 때 혹은 미리 설정한 토크 렌치를 이용하여 지정된 조임 토크가 되었을 때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하우징형 관 조인트(100H)에 의한 관의 연결시에 예를 들어 각 관(150, 150)의 관축 어긋남의 움직임을 둘레 가장자리(114, 114)에 의해 방지한다고 해도 상기한 관 사이가 하우징형 관 조인트(100H)에 의해 그 움직임이 충분히 규제되고 있으면 되고, 둘레 가장자리(114, 114)의 모든 범위가 관 외주면(152, 152)에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종래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100H)에서는 적당한 체결 상태, 즉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를 어느 정도 휘게 하고 둘레 가장자리(114, 114)의 어느 정도의 범위까지가 관 외면(152, 152)에 일치했을 때 연결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는지를 이해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의 휨이 최대한 가능해지는 둘레 가장자리(114, 114)의 모든 범위가 관 외면(152, 152)에 일치할 때까지 대면하는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의 플랜지부(120, 120) 사이를 접근시킬 필요가 있어 매우 번잡하고 불필요한 조작을 요구하고 있다.
또 토크 렌치에 의한 조임 토크의 지정은 정확한 체결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토크 렌치를 준비해야 하는 등 번잡한 조작을 요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100H)를 장착할 때에는 일단 볼트(103, 103)와 너트(104, 104)를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의 플랜지부(120, 120)에서 분리하고 환형의 탄성 씰 링(102)을 접합부에 장착한 후, 이어서 계지편(113, 113)이 둘레방향 홈 안에 들어가도록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인트 세그먼트(101, 101)를 탄성 씰 링(102)에 외부에서 끼우고 다시 볼트(103, 103)를 대향하는 플랜지부(120, 120) 각각의 볼트 삽입통과 구멍(121, 121)에 삽입통과시켜서 너트(104, 104)를 나사식으로 결착시킨다고 하는 매우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24179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241794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8-019976호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8-019975호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원호부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휘어서 관 사이를 연결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 있어서, 체결작업의 경감 및 확실하게 관 사이가 연결되는 체결 종료 위치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고 하우징을 한번도 분해하지 않고 간단하게 관 끝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관의 연결작업을 매우 간단한 조작인 것으로 하고, 또한 연결해야 할 관의 둘레방향 홈의 깊이에 오차가 있어도 양 관을 확실하게 연결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 및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대면하는 관 사이를 연결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로서,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와 탄성 씰 링과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와 원호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원호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씰 링이 끼워지는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양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켜서 상기 원호부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휘고, 그렇게 휘는 것에 의해 원호부의 둘레 가장자리가 연결해야 할 관 외면에 일치하는 것에 의해 관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 있어서,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시가 있고, 이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했을 때 관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작용 효과)
종래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서는 적당한 체결 상태, 즉 원호부의 휨 양을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원호부의 휨이 최대한 가능한 원호부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 길이가 관 외면에 일치할 때까지 대면하는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켜야 할 필요가 있어 매우 번잡하고 불필요한 조작을 요구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표시가 있기 때문에 연결에 충분한 둘레 가장자리의 당접 범위를 미리 이해할 수 있어 필요 이상의 과도한 원호부의 휨이 필요없어져 적당한 체결작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체결작업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각 단측에 표시를 위치시키면 좌우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표시에 대응한다는 것은 표시 자체가 완전하게 관 외면에 접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표시가 화살표 등이고 그 화살표 등이 지시하는 위치가 관 외면에 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관 단부에 둘레방향 홈을 가지는 관 사이를 연결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의 내주면에 상기 둘레방향 홈 내에 위치되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대면 플랜지 사이의 접근에 따라 각 조인트 세그먼트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했을 때 상기 볼록부가 둘레방향 홈의 원위단 측벽에 눌려 접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
(작용 효과)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상기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했을 때, 즉 체결 완료시에 볼록부가 관의 둘레방향 홈의 원위단 측벽에 눌려 접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관 직경의 오차나 둘레방향 홈의 깊이 오차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볼록부에 의해 관 사이가 확실하게 연결고정된다.
또한 상기 표시에 따른 체결 완료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둘레방향 홈의 근위단 측벽 사이에 간극이 있게 하면, 관끼리 접근하려고 하는 이동을 규제하면서 관이 이간되려고 하는 약간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양 관 끝이 씰링되면서 연결된다. 또 일단 관 사이가 이간되었다면 그 후에는 관 사이가 가까워지는 이동도 가능하다. 그리고 관의 원위단측에 어느 정도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관끼리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 조인트는 관로의 신축가요성을 확보하면서 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와 탄성 씰 링과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관 단부에 둘레방향 홈을 가지는 관 사이를 연결고정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로서,
상기 체결수단은 각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키는 것이며,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 원호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 원호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씰 링이 끼워지는 오목홈, 상기 원호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 각각에 원호부의 반경방향을 향해 기립하는 볼록부, 상기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표시를 가지고,
대면하는 각 관의 둘레방향 홈 내에 볼록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각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켰을 때, 각 조인트 세그먼트의 원호부의 곡률반경이 작아지고 상기 원호부의 둘레 가장자리가 연결해야 할 관 외면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휘는 동시에 상기 원호부의 축심이 관축과 평행해지는 방향으로 또한 각 조인트 세그먼트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할 때까지 원호부가 휘었을 때 상기 볼록부가 둘레방향 홈의 원위단 측벽 및 근위단 측벽에 눌려 접하여, 상기 관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작용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서는 상기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했을 때 상기 볼록부가 둘레방향 홈의 원위단 측벽 및 근위단 측벽에 눌려 접하므로, 하우징형 관 조인트의 체결 후에는 연결해야 할 관이 가까워지는 방향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상기 표시는 상기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의 양 원호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상기 표시는 원호부의 원호 중심에서 원호부의 중앙을 향한 수선에 대하여 15∼60도의 위치에 있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
(작용 효과)
표시의 위치가 원호부의 중앙을 향한 수선에 대해 15∼60도의 위치에 있는 경우,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는 관 외면에 대해 그 둘레 가장자리의 원호부의 원호 중심으로부터 원호부의 중앙을 향한 수선에 대해 30∼120도의 범위에서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범위가 접하면 연결고정에 충분하고 체결작업 부담의 경감도 충분한 것이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가 양 플랜지부 측단을 기점으로 하여 원호 중심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 절결되어 있고, 그 절결부의 원호 중심방향 끝인 종단이 상기 표시로 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
(작용 효과)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가 양 플랜지부 측단을 기점으로 하여 소정 범위 절결되고 그 절결부의 종단이 상기 표시로 되어 있는 경우,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키기 위한 힘이 저감되고 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양 및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워져 체결작업의 부담경감이 확실해진다. 또 절결부에 의한 표시는 도장 등에 의한 표시와 비교하여 도장박리 등의 우려가 없어 내구성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상기 탄성 씰 링은 내주측으로 연장되며, 연결해야 할 관의 관 단면 사이에 위치되는 환형편을 가지고, 그 환형편의 축심이 조인트 세그먼트의 축심에 대해 비평행인 상태로 오목홈에 미리 끼워져 있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
(작용 효과)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탄성 씰 링이 환형편을 가진다. 이 환형편은 탄성 씰 링의 내주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편의 양 사이드(탄성 씰 링의 양 가장자리측)에서 관 단면을 당접시킬 수 있어,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하우징형 관 조인트를 원하는 위치에 탄성 씰 링을 확실히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 씰 링이 조인트 세그먼트의 오목홈 내에 미리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환형편의 양 사이드(탄성 씰 링의 양 가장자리측)에 관 단면을 당접시키면 조인트 세그먼트를 관 단부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간단하게 조임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환형편의 축심이 조인트 세그먼트의 축심에 대해 비평행인 상태, 다시 말해 상기 환형편의 축심이 조인트 세그먼트의 축심에 대해 경사져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편의 양 사이드에 관 단면을 당접시키기만 하면 조인트 세그먼트가 소정 회전 전의 상태가 되어 설치 준비가 완료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서는 탄성 씰 링이 오목홈 내에 지지되어 있어서 조인트 세그먼트를 회전시키는 경우 그 회전에 따라 탄성 씰 링이 오목홈 벽에 의해 눌리게 되지만, 탄성 씰 링의 변형성에 의해 조인트 세그먼트의 회전이 규제되는 일은 없으며 조인트 세그먼트의 회전에 의한 탄성 씰 링의 뒤틀림도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탄성 씰 링이 환형편과 양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홈부를 가지며 그 홈부에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홈 폭이 확장되는 립 씰 기구를 가지는 것으로 하면, 탄성 씰 링이 관에 대해 항상 가압에 의해 접촉되어 있지 않더라도 필요시에 환형편과 양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홈부의 폭이 확장되어 씰 기능이 발휘되기 때문에 탄성 씰 링의 경시적인 열화가 작고 내구성이 높은 하우징형 관 조인트가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원호부의 외주측 호 단면에 원호부의 축방향 일방 단측으로부터 L자형으로 연장되고 대면하는 조인트 세그먼트를 향해 볼록해지는 L자형 돌기와, 이 L자형 돌기에 연속되어 원호부의 축방향 타방 단에 상기 L자형으로 결손된 L자형 결손부와, 상기 L자형 돌기부와 L자형 결손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대면 플랜지 사이가 접근되고 세그먼트 조인트가 상기 회전될 때 한 쪽 조인트 세그먼트의 L자형 돌기와 다른 쪽 조인트 세그먼트의 L자형 결손부가 끼워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표시가 관 외면에 실질적으로 접했을 때 완전하게 끼워 맞춰져 서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소켓 결합을 형성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
(작용 효과)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L자형 돌기와 이 L자형 돌기에 연속하여 형성된 L자형 결손부가 완전하게 끼워 맞춰져 서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소켓 결합을 형성하므로, 조인트 세그먼트가 과회전하는 일이 없고 하우징형 관 조인트를 원하는 위치에서 확실하게 세팅할 수 있는 것 외에도 과회전에 따른 탄성 씰 링의 뒤틀림, 볼록부의 파손, 관의 파손이 방지된다.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 효과는 상기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공통적으로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원호부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휘어서 관끼리 연결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서의 체결작업 경감 및 확실한 체결 완료 위치의 확인이 가능해지고, 하우징을 한번도 분해하지 않고 간단하게 관 끝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관의 연결작업을 매우 간단한 조작인 것으로 하는 동시에, 연결해야 할 관의 둘레방향 홈의 깊이에 오차가 있어도 양 관을 확실하게 연결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하우징형 관 조인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연결해야 할 관의 둘레방향 홈의 깊이에 오차가 있어도 양 관을 확실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관끼리 접근하려고 하는 이동을 규제하면서 관이 이간되려고 하는 약간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양 관 끝을 씰링하면서 연결할 수 있다. 관 사이를 움직임이 있을 수 있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관로의 신축가요성을 확보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외력을 받을 기회가 많은 지중 매설관 사이의 연결에 적합하다.
또한 볼록부가 둘레방향 홈의 원위단 측벽 및 근위단 측벽의 누름압에 의한 고정에 의해 양 관을 확실하게 연결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하우징형 관 조인트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의 분해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를 조인 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인트 세그먼트의 체결 전후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조인트 세그먼트의 정면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조인트 세그먼트의 정면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인트 세그먼트의 내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인트 세그먼트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탄성 씰 링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의 체결전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의 체결후 볼록부와 둘레방향 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의 체결후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하우징형 관 조인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둘레방향 홈(51, 51)을 가지는 관(50, 50)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를 주로 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구조>
본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는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1, 1), 환형의 탄성 씰 링(2), 조인트 세그먼트(1, 1)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인 볼트(3) 및 너트(4)를 구비한다. 여기서 한 쌍의 각 조인트 세그먼트(1, 1)의 형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형상을 설명할 때 한 쪽 조인트 세그먼트(1)를 예로 한다.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1)는 대면하는 관(50, 50)의 단부가 수용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원호부(10)와 이 원호부(1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0, 20)를 가지며, 이 플랜지부(20, 20)에는 상기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통과 구멍(21, 21)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통과 구멍(21)은 조인트 세그먼트(1)의 원호부 축심 방향이 긴 축이 되는 타원형의 긴 구멍으로 형성되고, 짧은 축 방향도 삽입통과된 볼트의 나사부에 대해 적당히 여유가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볼트(3)는 그 볼트 삽입통과 구멍(21)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원호부(10)는 전체적으로 미리 대상이 되는 연결해야 할 관(50)의 관직경보다 약간 큰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며 연결해야 할 관(50)의 관 끝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원호부(10) 내에 위치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 원호부(10)는 상기 플랜지부(20)를 개재시킨 볼트(3)에 너트(4)를 조여서 휘어 그 곡률반경이 약간 작아지고, 이러한 휨에 의해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10E)가 원호부 내에 위치되어 있는 관의 외면에 당접되는 부위가 증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원호부 가장자리가 외면에 당접하는 것은 하우징형 조인트가 관으로 이동하는 것의 규제 및 확실한 체결을 그 본질적인 기능의 하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원호부의 내주면은 그 원호부 가장자리로부터 오목홈에 이를 때까지(볼록부를 가지는 경우는 그 볼록부까지) 매끄러운 원호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형태의 조인트 세그먼트(1, 1)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정면에서 보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상기 플랜지(20, 20)가 원호부(10, 10) 끝에 대해 약간 예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원호부(10, 10)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휘게 하는 힘이 더해지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인트 세그먼트(1)에서는 특징적으로 그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10e)의 양 원호단부에 표시(10M)가 형성되어 있고, 그 표시(10M)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10E)가 관(50)의 외면에 접했을 때 관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10e)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10E)의 근방이며, 적어도 하우징형 조인트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인할 수 있는 부위이다.
이 표시(10M)는 도시한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조인트 세그먼트(1)의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10e)의 양 플랜지부 측단을 기점(11a)으로 하여 소정 범위 절결되고 그 절결부(11)의 종단(11b)이 상기 표시(10M)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결의 종단(11b)을 표시로 하면 절결부(11)의 존재에 의해 플랜지부 사이를 접근시키기 위한 힘이 저감되는 동시에 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10E)의 양(길이) 및 위치를 육안으로 매우 확인하기 쉬워져 체결작업의 부담경감이 확실해진다. 또 절결부(11)에 기초한 표시(10M)는 도장 등에 의한 표시와 비교하여 도장박리 등의 우려가 없어 내구성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결부(11)에 기초한 표시(10M)로 함으로써 손 등에 의한 촉각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이 표시(10M)는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이 절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4 및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 표시나 동그란 점 등 혹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주연부 전체둘레 혹은 일부에 눈금이나 문자를 그리는 등의 양태여도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장(인쇄), 돌기 등 육안 혹은 촉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표시(10M)의 보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위치는 원호부(10)의 원호 중심(10c)으로부터 원호부의 중앙을 향한 수선(L1)에 대해 15∼60도의 범위(이 범위를 도 3 중 α로 나타냄)의 위치이다. 이 위치이면 체결 완료시에 적어도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10E)의 30∼120도의 범위(이 범위를 도 중 β로 나타냄)가 접속해야 할 관(50)의 외면에 일치하여 당접하게 되어, 통상 이 범위 β 정도 일치하고 있으면 체결 완료 후에 관(50)과 조인트 세그먼트(1)가 어긋나는 일은 없다. 또 60도 이상의 위치라고 해도, 즉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10E)의 120도 이상의 범위에서 접속해야 할 관(50)의 외면에 일치해도 그 관(50)과 조인트 세그먼트(1)의 어긋남 방지 효과 상승은 작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결을 위한 힘이 과도하게 높아져 불필요한 작업량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본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는 상기 특징적인 표시(10M)를 가지면서 이하의 바람직한 구성을 채택한다.
먼저 상기 원호부(10)는, 그 내주면에 특히 도 6,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씰 링(2)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홈(13)이 한 쪽 원호단으로부터 다른 쪽 원호단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홈(13)의 폭은 탄성 씰 링(2)의 폭과 거의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넓고 탄성 씰 링(2)이 끼워지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오목홈(13)의 대면하는 각 측벽에는 점대칭으로 플랜지부측이 오목홈 내측을 향해 팽출되는 한 쌍의 팽출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대칭의 기준점은 기본적으로는 원호부(10)의 폭 방향 및 축심 방향의 중점이지만 설계상의 오차 및 오목홈의 구조, 다른 구성에 의해 적당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 팽출부(13A)의 존재에 의해 탄성 씰 링(2)은 그 축심이 조인트 세그먼트(1)의 원호부(10)의 축심과 소정 각도를 두고 상기 오목홈(13) 내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팽출부(13A)는 일반적인 조인트 세그먼트(1)가 주물로서 제조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오목홈(13) 부분의 주형에서 양호하게 빼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오목홈 측벽의 비팽출 부분(13B)으로부터 연속벽적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연속면으로 형성된다. 또 이와 같이 연속벽적으로, 혹은 매끄러운 연속면으로 형성하면 오목홈(13) 내에 탄성 씰 링(2)을 넣었을 때 그 오목홈(11)의 측벽을 따라 탄성변형하여 오목홈 벽 전체에서 탄성 씰 링(2)을 지지하는 양태가 된다. 따라서 탄성 씰 링(2)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어 불안정한 오목홈 내에 수납되거나 부분적인 지지에 의해 국소적으로 스트레스가 더해지는 것 같은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팽출부(13A)의 형태는 탄성 씰 링의 내구성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목홈(13)의 양측 각각에 원호부(10)의 반경 방향을 향해 기립된 볼록부(14, 14)를 가진다. 이들 볼록부(14, 14)는 상기 원호부(10)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원호부(10) 내에 접속해야 할 관(50, 50)의 관 끝을 수용했을 때 각 관의 둘레방향 홈(51, 51) 내에 각각 위치된다. 볼록부(14, 14)끼리의 이간거리는 둘레방향 홈(51)과 관 끝 간의 이간거리를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된다. 또한 이 볼록부(14, 14)는 둘레방향 홈을 갖지 않는 관끼리 접속하는 조인트 세그먼트로 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13) 내에 수용되는 탄성 씰 링(2)은 특히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신의 양 단면간의 대략 중앙에 내주측으로 연장된 환형편(2A)을 가진다. 이 환형편(2A)은 상기 오목홈(13)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원호부(10)의 내주면으로부터 축심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며, 관(50)의 연결시에는 그 관의 관 단면 사이에 위치된다. 또 상기 탄성 씰 링(2)은 환형편(2A)과 양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홈부(2B)를 가지며 이른바 립 씰 기능을 나타낸다. 특히 본 형태의 탄성 씰 링(2)에서는 홈부(2B)의 양단측 가장자리가 환형편 방향으로 약간 되돌아가도록 하여 형성된 설편부(2C)를 가지며, 상기 홈부(2B)에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홈 폭이 확장되었을 때 상기 설편부(2C)가 관 외면에 압접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다 적합한 씰 효과가 나타난다. 여기서 탄성 씰 링(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팽출부(13, 13)에 의해 적어도 그 환형편(2A)의 축심과 원호부(10)의 축심이 비평행인 어긋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원호부 끝의 축방향 한 쪽 끝에서 L자형으로 배치된 L자형 돌기(15)와 이 L자형 돌기(15)로부터 원호부(10)의 축방향 다른 쪽 끝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L자형 결손부(16)를 가진다. 이 L자형 결손부(16)는 상기 L자형 돌기(15)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결손되어 있으며, 한 쪽 조인트 세그먼트(1)에 형성된 L자형 돌기(15)와 다른 쪽 조인트 세그먼트에 형성된 L자형 결손부(16)를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소켓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본 형태에서 이 바람직한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는 대면하는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1, 1) 간의 볼트 삽입통과 구멍(21, 21)에 볼트(3, 3)를 가교시킨 상태로 그 볼트(3, 3)에 대해 너트(4, 4)를 장착하기만 한 가결합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 삽입통과 구멍(21, 21)이 볼트(3)의 나사부에 대해 여유가 있고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1, 1)끼리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틀리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에서는 상기한 팽출부(13, 13)에 의한 탄성 씰 링(2)의 오목홈 내로의 유지 양태에 의해 원호부(10)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환형편(2A)에 대해 연결해야 할 관(50, 50)의 관 단면을 당접시켰을 때 각 조인트 세그먼트(1, 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인트 세그먼트(1, 1)가 관축(L2)에 대해서 어긋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는 상기 바람직한 구성하에 전술 상기 볼트(3)에 대한 너트(4)의 조임에 의해 원호부(10)의 곡률반경이 소경화됨과 함께 도 9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인트 세그먼트(1, 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표시(10M)가 관 외면에 실질적으로 접했을 때, 상기 볼록부(14)가 관의 둘레방향 홈(51)의 원위단 측벽(51A)에 눌려 접하여 회전 완료 위치, 즉 체결 완료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관직경의 오차나 둘레방향 홈 깊이의 오차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볼록부(14)에 의해 관 사이가 확실하게 연결고정되고 그 체결 완료 위치에서 상기 볼록부(14)와 둘레방향 홈(51)의 근위단 측벽 사이에 간극이 있게 설계하면 관끼리 접근하려고 하는 이동을 규제하면서 관이 이간되려고 하는 약간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양 관 끝이 씰링되면서 연결된다. 또 일단 관끼리 이간되었다면 그 후에는 관끼리 가까워지는 이동도 가능하다. 그리고 관의 원위단측에 어느 정도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관 사이가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 조인트는 관로의 신축가요성을 확보하면서 관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는 상기 바람직한 구성하에 전술 상기 볼트(3)에 대한 너트(4)의 조임에 의한 원호부(10)의 곡률반경의 소경화와 함께 도 9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인트 세그먼트(1, 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표시(10M)가 관 외면에 실질적으로 접했을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14)가 관의 둘레방향 홈(51)의 원위단 측벽(51A) 및 근위단 측벽(51B)에 눌려 접하여 회전 완료 위치, 즉 체결 완료 위치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관직경의 오차나 둘레방향 홈 깊이의 오차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볼록부(14)에 의해 관 사이가 확실하게 연결고정되고 그 체결 완료 위치에 있어서 관끼리 접근 및 이간되려고 하는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양 관 끝이 씰링되면서 연결된다.
구체적인 조인트 세그먼트(1)의 회전량과 표시(10M)의 위치 관계는 접속해야 할 관의 관직경, 볼록부(14)의 형상, 회전기구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한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원호부(10)의 축심과 관축(L2)이 평행 혹은 동축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표시(10M)가 관(50)의 외면에 일치하여 체결이 완료되는 양태로 하고 있지만 예외도 있다.
여기서 본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에서의 조인트 세그먼트(1)의 회전기구를 예시하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19976호(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19975호(특허문헌 4)에 개시되는 회전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볼트(3)에 너트(4)를 조임으로써 각 볼트축끼리가 평행을 이루도록 각 볼트(3)가 볼트 삽입통과 구멍(21)에 가이드되어 이동됨과 함께 그 볼트(3) 및 너트(4)가 볼트 삽입통과 구멍(21)의 가장자리부 혹은 그 근방을 눌러 조인트 세그먼트(1, 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구, (2) 대면하는 플랜지부(20)에 회전을 유도하는 가이드 볼록부를 마련하고 볼트(3)에 대한 너트(4)의 조임에 의해 플랜지 사이가 접근함에 따라 그 가이드 볼록부가 기능하여 회전하도록 한 구성, (3) 상기 L자형 볼록부와 L자형 결손부가 서로 끼워짐에 따라 조인트 세그먼트가 회전되도록 L자형 볼록부와 L자형 결손부에 가이드 기능을 부여한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기타 기존의 회전기구를 채용할 수 있으며, 회전기구를 복수 개 병용할 수도 있다.
<사용 방법>
이어서 본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본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는 그 구조로 인해 오목홈(13) 내에 탄성 씰 링(2)을 유지하면서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1, 1)끼리를 볼트(3, 3) 및 너트(4, 4)로 가결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가결합 상태는 볼트(3, 3) 및 너트(4, 4)에 의해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1, 1)끼리가 연결되어 있지만 대면하는 플랜지부(20, 20) 사이가 원근이동 가능한 상태이다.
관(50, 50)끼리 연결할 때에는 먼저, 연결해야 할 관(50, 50)의 관 끝을 가결합 상태인 양 조인트 세그먼트(1, 1)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탄성 씰 링(2)의 환형편(2A)에 그 관 단면을 당접시키는 동시에 볼록부(14)를 관 단부에 형성된 둘레방향 홈(51) 내에 위치되게 하여 하우징형 관 조인트(H)를 가설치한다. 관 단면이 환형편(2A)에 당접된 것은 그 때의 감촉이나 소리 등 시각 이외의 감각으로 용이하게 그것을 알 수 있다.
관 끝에 하우징형 관 조인트(H)를 가설치했다면, 이어서 상기 볼트(3, 3)에 대해 너트(4, 4)를 조여 양 조인트 세그먼트(1, 1)의 플랜지(20, 20) 사이를 접근시킨다. 이 때, 도 3으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먼저 조인트 세그먼트(1, 1)끼리의 접근에 따라 원호부(10, 10)의 원호 중앙부(10s) 혹은 그 근방을 포함한 부분이 관(50)의 외면에 당접하고 그 후에 조인트 세그먼트(1, 1)의 상기 원호부 중앙부(10s) 등의 부위로부터 플랜지부(20) 측을 향해 그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10E)가 관(50)의 외면에 가까워지도록 휘어 그 원호부(10, 10)의 곡률반경이 작아진다.
그리고 그 너트(4, 4)의 조임에 따른 플랜지부(20, 20) 간의 접근에 따라 각 조인트 세그먼트(1, 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그것에 의해 L자형 돌기(15, 15)와 대면하는 L자형 결손부(16, 16)가 끼워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1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세그먼트(1, 1)에 형성한 상기 표시(10M)에 대응하는 부위가 관(50)의 외면에 접했을 때, 대면하는 L자형 돌기(15)와 L자형 결손부(16)가 완전하게 끼워 맞춰져 소켓 결합을 형성하고 대면하는 조인트 세그먼트(1, 1)끼리의 회전이 규제되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14)가 둘레방향 홈(51)의 원위단 측벽(51A)에 눌려 접하여 체결이 완료된다.
또한 조인트 세그먼트(1, 1)에 형성한 상기 표시(10M)에 대응하는 부위가 관(50)의 외면에 접하고, 대면하는 L자형 돌기(15)와 L자형 결손부(16)가 완전하게 끼워 맞춰져 소켓 결합을 형성하고 대면하는 조인트 세그먼트(1, 1)끼리의 회전이 규제되는 동시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14)가 둘레방향 홈(51)의 원위단 측벽(51A) 및 근위단 측벽(51B)에 눌려 접하여 체결이 완료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의 하우징형 관 조인트(H)는 하우징을 한번도 분해하지 않고 간단하게 관 끝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가설치할 수 있고, 게다가 체결작업의 경감 및 확실한 관끼리가 연결되는 표시(10M)가 관(50)의 외면에 일치되어 체결 종료 위치의 확인이 가능해지며, 또한 연결해야 할 관의 둘레방향 홈의 깊이에 오차가 있어도 양 관을 확실하게 연결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수도관, 가스관, 플랜트용 배관 등의 각종 유체관을 밀봉상태로 유지하면서 연결하는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1: 조인트 세그먼트 2: 탄성 씰 링
2A: 환형편 2B: 홈부
2C: 설편부 3: 볼트
4: 너트 10: 원호부
10E: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 10e: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
10M: 표시 10c: 원호 중심
10s: 원호 중앙부
L1: 원호 중심에서 원호부의 중앙(원호부 중앙)을 향한 수선
11: 절결부 11a: 절결의 기점
11b: 절결의 기점 13: 오목홈
13A: 팽출부 13B: 비팽출부분
14: 볼록부 15: L자형 볼록부
16: L자형 결손부 20: 플랜지부
21: 볼트 삽입통과 구멍 50: 관
51: 둘레방향 홈 51A: 둘레방향 홈 원위측벽
51B: 둘레방향 홈 근위측벽 L2: 관축
H: 하우징형 관 조인트

Claims (8)

  1. 대면하는 관 사이를 연결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로서,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와 탄성 씰 링과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와 원호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원호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씰 링이 끼워지는 오목홈을 가지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양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켜서 상기 원호부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휘고, 그렇게 휘는 것에 의해 원호부의 둘레 가장자리가 연결해야 할 관 외면에 일치하는 것에 의해 관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된 하우징형 관 조인트에 있어서,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시가 있고, 이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했을 때 관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가 양 플랜지부 측단을 기점으로 하여 원호 중심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 절결되어 있고, 그 절결부의 원호 중심방향 끝인 종단이 상기 표시로 되어 있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형 관 조인트는 관 단부에 둘레방향 홈을 가지는 관 사이를 연결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의 내주면에 상기 둘레방향 홈 내에 위치되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대면 플랜지 사이의 접근에 따라 각 조인트 세그먼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했을 때 상기 볼록부가 둘레방향 홈의 원위단 측벽에 눌려 접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3.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와 탄성 씰 링과 상기 한 쌍의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관 단부에 둘레방향 홈을 가지는 관 사이를 연결고정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로서,
    상기 체결수단은 각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키는 것이며,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 원호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 원호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씰 링이 끼워지는 오목홈, 상기 원호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 각각에 원호부의 반경방향을 향해 기립하는 볼록부, 상기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표시를 가지고,
    대면하는 각 관의 둘레방향 홈 내에 볼록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각 조인트 세그먼트의 플랜지 사이를 접근시켰을 때, 각 조인트 세그먼트의 원호부의 곡률반경이 작아지고 상기 원호부의 둘레 가장자리가 연결해야 할 관 외면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휘는 동시에 상기 원호부의 축심이 관축과 평행해지는 방향으로 또한 각 조인트 세그먼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표시에 대응하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의 부위가 관 외면에 접할 때까지 원호부가 휘었을 때 상기 볼록부가 둘레방향 홈의 원위단 측벽 및 근위단 측벽에 눌려 접하여, 상기 관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세그먼트는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가 양 플랜지부 측단을 기점으로 하여 원호 중심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 절결되어 있고, 그 절결부의 원호 중심방향 끝인 종단이 상기 표시로 되어 있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원호부 둘레 가장자리부의 양 원호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원호부의 원호 중심에서 원호부의 중앙을 향한 수선에 대하여 15∼60도의 위치에 있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씰 링은 내주측으로 연장되며, 연결해야 할 관의 관 단면 사이에 위치되는 환형편을 가지고, 그 환형편의 축심이 조인트 세그먼트의 축심에 대해 비평행인 상태로 오목홈에 미리 끼워져 있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호부의 외주측 호 단면에 원호부의 축방향 일방 단측으로부터 L자형으로 연장되고 대면하는 조인트 세그먼트를 향해 볼록해지는 L자형 돌기와, 이 L자형 돌기에 연속되어 원호부의 축방향 타방 단에 상기 L자형으로 결손된 L자형 결손부와, 상기 L자형 돌기부와 L자형 결손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대면 플랜지 사이가 접근되고 세그먼트 조인트가 회전될 때 한 쪽 조인트 세그먼트의 L자형 돌기와 다른 쪽 조인트 세그먼트의 L자형 결손부가 끼워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표시가 관 외면에 실질적으로 접했을 때 완전하게 끼워 맞춰져 서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소켓 결합을 형성하는 하우징형 관 조인트.
KR1020127013259A 2009-12-14 2010-12-10 하우징형 관 조인트 KR101788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2464A JP4500882B1 (ja) 2009-12-14 2009-12-14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JP-P-2009-282464 2009-12-14
JP2010110830A JP4637269B1 (ja) 2010-05-13 2010-05-13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JP-P-2010-110830 2010-05-13
PCT/JP2010/072259 WO2011074498A1 (ja) 2009-12-14 2010-12-10 ハウジング形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237A KR20120099237A (ko) 2012-09-07
KR101788341B1 true KR101788341B1 (ko) 2017-11-15

Family

ID=4416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259A KR101788341B1 (ko) 2009-12-14 2010-12-10 하우징형 관 조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5061B2 (ko)
KR (1) KR101788341B1 (ko)
CN (1) CN102597591B (ko)
HK (1) HK1169477A1 (ko)
TW (1) TWI516704B (ko)
WO (1) WO2011074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2136B2 (en) 2008-06-30 2012-10-09 Mueller International, Llc Slip on groove coupling with multiple sealing gasket
US9038968B2 (en) * 2009-06-09 2015-05-26 John HENNON Attachable grommets for hanging pipes
US9395024B2 (en) * 2011-11-21 2016-07-19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gasket pocket of varying depth
TWI595938B (zh) * 2011-11-30 2017-08-21 日本維克多利克股份有限公司 管體接頭及螺釘收納蓋形螺帽
US9039046B2 (en) 2012-01-20 2015-05-26 Mueller International, Llc Coupling with tongue and groove
US9500307B2 (en) 2012-01-20 2016-11-22 Mueller International, Llc Slip-on coupling gasket
US9534715B2 (en) 2012-01-20 2017-01-03 Mueller International, Llc Coupling gasket with multiple sealing surfaces
US9194516B2 (en) 2012-01-20 2015-11-24 Mueller International, Llc Slip-on coupling
CN103322072A (zh) * 2012-03-21 2013-09-25 日扬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旋转件续接用的衔接单元
US9611959B2 (en) * 2012-07-06 2017-04-04 Pfw Aerospace Ag Coupling device
US9168585B2 (en) 2012-11-02 2015-10-27 Mueller International, Llc Coupling with extending parting line
EP2924329A4 (en) * 2012-11-26 2016-11-02 Hi Sten Co Ltd TUBE CONNECTION CLAMP AND TUBE COUPLING THEREWITH
GB2518220A (en) 2013-09-13 2015-03-18 Taylor Kerr Couplings Ltd Pipe coupling
BR112016012511B1 (pt) 2013-12-23 2020-12-15 Victaulic Company Acoplamento para unir elementos de tubos em relação de extremidade para extremidade
US20190331265A1 (en) 2013-12-23 2019-10-31 Victaulic Company Split Ring Coupling and Fitting
CN104344115A (zh) * 2014-10-21 2015-02-11 谷奕强 压缩锁紧卡箍式流体输送管路快速连接装置
JP6639423B2 (ja) * 2015-02-13 2020-02-05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伸縮可撓管継手の挙動探査装置及び挙動探査方法
CN106439303A (zh) * 2016-10-28 2017-02-22 安徽华星消防设备(集团)有限公司 消火栓连接结构
PE20240516A1 (es) * 2017-01-24 2024-03-18 Victaulic Co Of America Acoplamiento y forma de ranura circunferencial
NZ754084A (en) 2017-02-02 2023-06-30 Victaulic Co Of America Mechanical coupling for mechanical and structural tubing
KR101968589B1 (ko) * 2017-05-31 2019-08-13 강한표 그루브드 커플러
CN207029055U (zh) * 2017-08-11 2018-0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安装支架
KR102054436B1 (ko) * 2017-12-22 2019-12-10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배관용 조인트
CN109058656A (zh) * 2018-08-15 2018-12-21 贵州大学 一种页岩气输送管道
KR102033757B1 (ko) * 2018-12-13 2019-10-17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788654B2 (en) 2019-03-14 2023-10-17 Modgal Metal (99) Ltd. Grooved pipe coupling with improved sealing
KR102098328B1 (ko) * 2019-05-17 2020-04-07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711929B1 (en) * 2019-06-29 2020-07-14 Shanghai Vision Mechanical Joint Co., Ltd. Pipe element coupler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11781683B2 (en) * 2019-11-15 2023-10-10 Victaulic Company Shrouded coupling
KR102140703B1 (ko) * 2019-11-15 2020-08-03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CN111188955B (zh) * 2020-02-27 2021-08-03 玫德集团有限公司 一种可实现快速连接的管卡及管卡组件
CN113738983B (zh) * 2020-12-11 2023-03-24 上海威逊机械连接件有限公司 快装式管件组件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418A (ja) 1999-08-14 2001-03-27 Rasmussen Gmbh 締め可能なクランプの締付け力が設定値に達したときを指示するための装置
JP2003042360A (ja) * 2001-07-31 2003-02-13 Victaulic Co Of Japan Ltd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06161906A (ja) * 2004-12-06 2006-06-22 Hitachi Metals Ltd ハウジング型管継手
JP2008019975A (ja) * 2006-07-12 2008-01-31 Victaulic Co Of Japan Ltd ハウジング形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979A (en) * 1982-03-15 1984-09-18 Victaulic Company Of Canada Limited Quick-connect coupling for thin-walled pipes
US6076861A (en) * 1997-12-25 2000-06-20 The Victaulic Co., Of Japan, Ltd. Housing type pipe coupling
TW460667B (en) * 1997-12-25 2001-10-21 Victaulic Japan Housing type pipe coupling
JP3907841B2 (ja) 1997-12-25 2007-04-18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3953642B2 (ja) * 1997-12-25 2007-08-08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US7194817B2 (en) * 1999-09-13 2007-03-27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JP3878780B2 (ja) * 1999-12-07 2007-02-07 ジャパン・エンヂニアリング株式会社 管継手の締付け表示装置
US20050242585A1 (en) * 2004-03-26 2005-11-03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Pipe coupling having keys with camming surfaces
US7086131B2 (en) 2004-05-14 2006-08-08 Victaulic Company Deformable mechanical pipe coupling
JP5030494B2 (ja) * 2006-07-12 2012-09-19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WO2008012893A1 (fr) * 2006-07-27 2008-01-31 Hiroshi Hagiya Joint de tuyau de type logement
US7540540B2 (en) * 2007-01-11 2009-06-02 Younwoo Engineering Co., Ltd. Pipe coupling
US7950701B2 (en) * 2007-05-15 2011-05-31 Victaulic Company Pipe coupling having movable gripping bodies
JP5196550B2 (ja) 2008-05-26 2013-05-15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コード検出装置およびコード検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418A (ja) 1999-08-14 2001-03-27 Rasmussen Gmbh 締め可能なクランプの締付け力が設定値に達したときを指示するための装置
JP2003042360A (ja) * 2001-07-31 2003-02-13 Victaulic Co Of Japan Ltd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06161906A (ja) * 2004-12-06 2006-06-22 Hitachi Metals Ltd ハウジング型管継手
JP2008019975A (ja) * 2006-07-12 2008-01-31 Victaulic Co Of Japan Ltd ハウジング形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85061B2 (en) 2016-03-15
WO2011074498A1 (ja) 2011-06-23
US20120256416A1 (en) 2012-10-11
TWI516704B (zh) 2016-01-11
KR20120099237A (ko) 2012-09-07
TW201139907A (en) 2011-11-16
HK1169477A1 (en) 2013-01-25
CN102597591A (zh) 2012-07-18
CN102597591B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341B1 (ko) 하우징형 관 조인트
JP5030494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20024045A (ja) 管継手
JP2013210043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WO2012128152A1 (ja) 管継手
JP3032200B1 (ja) 管体の継手構造
JP5030493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4500882B1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08038924A (ja) 管継手
JP4636963B2 (ja) 継手
JP2010019298A (ja) 継手
JP2011106538A (ja) 配管用継手
JP2009052571A (ja) 配管接続構造
JP4637269B1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5507321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03042360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11122716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4490750B2 (ja) 管継手
JP5433157B2 (ja) 管継手
KR20230100265A (ko) 관 이음 장치
JPH11241794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07255684A (ja) 管継手
JP4637713B2 (ja) 管継手装置
JP7481013B2 (ja) 管継手
KR200251681Y1 (ko) 강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