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298B1 -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 Google Patents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298B1
KR101788298B1 KR1020150138169A KR20150138169A KR101788298B1 KR 101788298 B1 KR101788298 B1 KR 101788298B1 KR 1020150138169 A KR1020150138169 A KR 1020150138169A KR 20150138169 A KR20150138169 A KR 20150138169A KR 101788298 B1 KR101788298 B1 KR 10178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pallet
side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575A (ko
Inventor
라민수
Original Assignee
라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2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0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whereby at least one side wall is made of two or more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 B65D2519/0096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when loaded
    • B65D2519/0097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when loaded through corn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이 용이하고 이동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고정지지부와 제2 고정지지부 그리고 제3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걸리돌기와 걸리홈에 의해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날개판과 꺽쇠 브래킷에 의해 외부 충격에도 측판과 면판이 팔레트에서 유동되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삽지구와 절첩판재에 의해 충격에 의한 이탈과 파손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고 다단 적층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Transporting prefabricated box structure}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용 운반박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이 용이하고 이동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화물 이송이 가능한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선박이나 항공기를 이용하여 장거리로 수송할 때는 규격화된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화물은 통상 조립식 운반박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포장되며, 화물이 포장된 조립식 운반박스는 컨테이너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수송된다.
이러한 조립식 운반박스는 대개 운반이 용이하도록 팔레트를 구비하며, 팔레트 상단 외곽에 복수개의 측벽이 입설되도록 조립하여 박스 형상을 취한다.
한편, 보통의 조립식 운반박스를 구성하는 팔레트 또는 측벽의 프레임과 판재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거나, 금속재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있다.
그러나, 목재의 경우 병해충 등의 외부 환경에 민감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며 외국으로 이동 시 검역을 받아야하는 단점이 있으며, 합성수지재는 내충격성이나 강도가 약하고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반복 사용되는 운반박스의 속성을 크게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알루미늄, 철재,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프레임을 조립하여 운반박스를 만들고 있다.
이러한 금속재의 운반박스를 조립할 때는, 대개 프로파일이나 판형의 재료에 드릴링, 볼팅, 리벳팅 작업 또는 필요에 따라 용접 작업을 통해 프레임을 조립하고 이러한 프레임을 이동시킨 후 다른 부가적 부품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운반박스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각각의 과정을 거치면서 조립함에 따라 그 제조과정이 너무 번거롭고, 작업자가 각 과정을 거칠때 잦은 이동으로 볼트의 풀림 또는 드릴링한 부분, 볼트나 리벳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종래의 알려진 조립식 운반박스로, (특허문헌 0001)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6-34436호 " 포장 및 운반용 상자" 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0001)은 고정목과 하부고정판이 저면에 고정된 고정판의 가장자리 4면에 지지앵글을 고정시키되, 지지앵글의 상측에는 측면부재를 세워 상자를 형성하고, 각 측면부재의 상측에는 상단프레임을 씌어주되 인접하는 상단프레임 중에서 일측 상단프레임의 단부에는 측면프레임을 덧붙여 타측 측면프레임의 일측을 삽입하며, 각 상단프레임의 인접하는 모서리에는 절곡형으로 된 모서리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상단프레임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장 및 운반용 상자는, 받침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앵글이 단순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 지지앵글의 내측으로 전면판과 배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여 조립시킬 때에 이들을 지지해주는 장치(기능)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면판과 배면판 및 측면판이 외측으로 넘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이들을 받쳐 지지하면서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4명의 작업자를 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조립(결합)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능률이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물을 적재하고 적층되어 이송시 지게차에 의한 외부 충격이나 컨테이너의 흔들림에 의한 외부 충격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고정지지구조가 없어, 조립된 운반 상자가 서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7246호(1998.02.03.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을 안전하게 단위포장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철재로 구성하고,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물이 적재되어 운반될 때 발생되는 외부 충격이나 내부 충격에 의해 측벽을 구성하는 측판과 면판이 팔레트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는, 상부 테두리부를 가지는 팔레트와, 상부 테두리부에 입설되어 조립되는 측판과, 상부 테두리부에 측판과 이웃하게 입설되어 조립되는 면판으로 구성된 적재용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제1 고정지지부와 제2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고정지지부는, 팔레트의 상부 테두리부 일측에 형성된 걸리돌기와, 측판에 걸리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리홈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지지부는, 측판 또는 면판의 수직 프레임의 측방향에 연장되게 형성된 날개판과, 측판의 수직 프레임 상단부에 절곡 형성된 꺽쇠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제1 고정지지부의 결합구조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고, 제2 고정지지부의 지지구조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팔레트와 측판 및 면판의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적재용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는, 면판의 상부측 수평 프레임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측판의 수직 프레임 상단부를 포함하여 끼워지는 삽지구와, 측판의 상부측 수평 프레임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면판의 수평 프레임 일측을 포함하여 끼워지는 절첩판재로 구성된 제3 고정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팔레트의 상부 테두리부는, 수직판재와 수평판재가 절곡된 'ㄴ'자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수직판재의 양 단부 측에 걸리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걸리돌기는, 수직판재의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내측으로 돌출시킨 제1 고리판부와, 제1 고리판부의 이웃하는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내측으로 돌출시킨 제2 고리판부로 구성되는데, 제1 고리판부와 제2 고리판부는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절곡됨에 따라 경사기울기를 가진다.
그리고, 걸리홈은, 측판의 하부 수평프레임의 일면 단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로 단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날개판이 형성된 측판 또는 면판의 수직 프레임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며, 날개판은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날개판은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중첩되어 용접된 것으로 판재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날개판은 이웃하는 수직 프레임을 덮을 수 있는 길이의 폭을 가진다.
그리고, 꺽쇠 브래킷은 상측과 하측이 절곡된 'ㄱ' 자 형상으로 측판의 수직 프레임 상단부에 결합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꺽쇠 브래킷은 이웃하는 면판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눌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의 폭 길이 절반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는, 철재로 구성되어 화물을 안전하게 단위포장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걸리돌기와 걸리홈에 의한 팔레트와 측판의 고정지지부 구조에 의해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판과 꺽쇠 브래킷의 고정지지부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화물이 적재되어 운반될 때 발생되는 외부 충격이나 내부 충격에도 측판과 면판이 팔레트에서 유동되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측판과 면판을 결합시켜 고정하는 삽지구와 절첩판재에 의해 충격에 의한 이탈과 파손을 더욱더 방지하고, 절첩판재를 이용해 운반박스의 적층이 용이해 이동이나 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
도 4(a)(b)는 도 3에 따른 제1 고정지지부에 의한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와 제3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와 제3 고정지지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이며, 도 4(a)(b)는 도 3에 따른 제1 고정지지부에 의한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와 제3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와 제3 고정지지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 구조는, 필요에 따라 사각 또는 오각, 육각의 다각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원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측벽을 가지는 사각 박스 형상의 운반박스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 구조는, 프레임부터 각재, 금속판까지 모두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구성하고 용접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화물이 수용되어 포장되는데, 화물이 포장된 조립식 운반박스(1)는 지게차 등의 운반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수송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는, 크게 바닥판이 구비된 팔레트(100)의 각 변 위로 다수개의 측벽이 입설되도록 조립하여 상부로 개방된 사각의 박스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에 입설되는 측벽은 팔레트(100) 상부에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 및 이송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고정지지부 구조에 의해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에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사각 프레임 구조의 측판(200)과, 상기 측판(200)과 이웃하게 위치되어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에 입설되는 면판(3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판(200)과 면판(300)은 수직 프레임(210, 310)과 수평 프레임(220, 320)이 상.하.좌.우에 필요에 따라 격자로 구성되어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격자의 프레임 구조에 금속판(P)이 용접되어 하나의 측벽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수직 프레임(210, 310)과 수평 프레임(220, 320)은 파이프 형상의 각재 프레임이 이용되거나 절곡된 'ㄴ'자 형상의 판재가 이용되며, 상기 격자의 프레임에는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 프레임이 필요에 따라 용접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00)는 실질적 그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것으로 바닥의 이물질이나 수분에 화물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고,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시 지게차의 포크를 상기 팔레트(100)와 지면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 넣어 들어올려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각재 프레임을 이용한 하부 테두리부(130)와, 상기 하부 테두리부(130)에 대응되는 크기로 프레임을 용접하여 구성된 상부 테두리부(110)와, 상기 상부 테두리부(110)와 하부 테두리부(130)를 연결하고 지지하며 상기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테두리부(110)에는 화물 적재를 위한 다양한 지지판(1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110, 130)에는 보강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의 구조는, 상부 테두리부(110)를 가지는 팔레트(100)와, 상기 팔레트(100)에 입설되어 조립되는 측벽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측벽은 상기 상부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입설되어 조립되는 측판(200)과, 상기 상부 테두리부(110)의 상부에 상기 측판(200)과 이웃하게 입설되어 조립되는 면판(300)으로 구분된다.
한편, 본원발명의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 구조는, 상기 팔레트(100)와 측판(200) 및 면판(300)의 조립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도 이탈 및 파손되지 않도록 제1 고정지지부(A)와 제2 고정지지부(B)의 구조가 포함되고, 필요에 따라 제3 고정지지부(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차,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지지부(A)는, 1인 또는 적은 수의 작업자라도 운반박스(1)를 조립할 수 있도록, 측벽과 팔레트(100)의 고정 지지구조를 제시하고 있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정지지부(A)는 걸리돌기(120)와 걸리홈(221)의 끼움 고정에 의한 고정지지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리돌기(120)는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부(110)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리홈(221)은 상기 측판(200)에 형성되는데 상기 걸리돌기(12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부(110)는, 수직판재(111)와 수평판재(112)가 절곡된 'ㄴ'자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걸리돌기(120)는 상기 수직판재(111)의 양 단부 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리돌기(120)는 상기 걸리홈(221)에 걸려 입설되는 측판(200)을 지지하고, 팔레트(100)와 측판(200) 및 면판(300)의 상호 간 조립이 완료되기 전에 작업자가 상기 측판(200)을 잡고 지지하지 않더라도 측판(200)이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부(110)에 입설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리돌기(120)는, 상부 테두리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판재(111)의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내측으로 돌출시킨 제1 고리판부(121)와, 상기 제1 고리판부(121)의 이웃하는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내측으로 돌출시킨 제2 고리판부(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리판부(121)와 제2 고리판부(122)는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고리판부(121, 122)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절곡됨에 의해 경사기울기(α)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반지형상의 걸리돌기(120)는 작업자가 조립 및 분해 과정이나 프레임의 용접 과정시 발에 걸리거나 찌르는 등의 혹시 모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경사기울기(α)에 의해 상기 걸리돌기(120)는 걸리홈(221)에 유연하게 걸려 걸리홈(221)이 형성된 측판(20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걸리홈(221)은, 상기 측판(200)에 상기 걸리돌기(1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측판(200)의 하부 수평프레임(220)의 일면 단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를 가지며 단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1 고정지지부(A)의 구조는 측판(200)의 홀로서기가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지지부(B)는,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부(110)에 위치되어 조립된 측판(200)과 면판(300)이 외부 충격에 유동되지 않고 측방향이나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측판(200) 또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210, 310) 부분이 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된 날개판(10)과, 상기 걸리홈(221)이 형성된 측판(200)의 상단부에 절곡 형성된 꺽쇠 브래킷(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날개판(10)은 팔레트(100)에 입설된 측판(200) 또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210, 3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데, 이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도 5에는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210)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고 이를 참조하여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210)은 파이프 형상의 각재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이웃하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310)을 덮어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날개판(10)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날개판(10)은 별도의 판재로 용접에 의해 상기 각재 프레임에 일체로 용접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측방향으로의 충격에 측판(200)과 면판(3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판재를 절곡하여 수직 프레임(210)을 구성하고 이와일체형으로 남은 부분이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날개판(10)이 형성된 상기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210)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가 절곡된 각형의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날개판(10)은 상기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210)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외부 충격을 보다 더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날개판(10)은 상기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중첩되고 이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날개판(10)은 판재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충격에 보다 더 강하게 견딜 수 있으며, 이웃하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310)을 지지하여 운반박스(1)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날개판(10)은 이웃하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3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310)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길이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2 고정지지부(B)의 꺽쇠 브래킷(20)은 외부 충격에 의한 측판(200)와 면판(300)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걸리홈(221)이 형성되어 걸리돌기(120)에 의해 지지되는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210)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꺽쇠 브래킷(20)은 상측과 하측이 절곡된 'ㄱ' 자 형상으로 상기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210) 상단부에 결합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310)의 상단부를 눌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면판(300) 수직 프레임(310)의 폭 길이 절반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지지부(B)의 날개판(10)과 꺽쇠 브래킷(20)은 측판(200)과 면판(300)이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측방향과 상방향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 구조는, 제1 고정지지부(A)와 제2 고정지지부(B)와 더불어 보다 안정되게 측판(200)과 면판(300)이 서로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제3 고정지지부(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3 고정지지부(C)는 직접적으로 프레임과 프레임이 끼워지고 구속부재에 의해 서로가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삽지구(30)와 절첩판재(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지구(30)는, 상기 입설된 면판(300)의 상부측 수평 프레임(320)에 힌지 볼트 등에 의해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립시 회동되어 이웃하는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 상단부를 포함하여 끼워져 상기 측판(200)과 면판(300)을 서로 결합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절첩판재(40)는, 상기 입설된 측판(200)의 상부측 수평 프레임(220)에 용접 등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시 회동되어 이웃하는 면판(300)의 수평 프레임(320) 일측을 포함하여 끼워져 상기 측판(200)과 면판(300)을 서로 결합 고정시키다.
한편, 상기 절첩판재(40)는, 소정 크기의 판부(41)가 힌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수평 프레임(220)에 용접되어 구성된 것으로 판부(41)의 일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방절곡판부(42)가 결합되는 면판(300)의 수평 프레임(320)의 측부를 덮어 지지하게 되고 상기 판부(41)는 상부를 덮어 지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절첩판재(40)는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판부(41)의 일측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방절곡판부(43)이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가 상기 판부(41)의 상면에 적층되어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게 하는데, 상기 상방절곡판부(43)는 적층되는 또다른 조립식 운반박스(1)의 팔레트(100) 하부 테두리부재(130) 또는 보강판에 끼워져 이를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는, 걸리돌기(120)와 걸리홈(221)에 의한 제1 고정지지부(A)와, 날개판(10)와 꺽쇠 브래킷(20)에 의한 제2 고정지지부(B)와, 삽지구(30)와 절첩판재(40)에 의한 제3 고정지지부(C)에 팔레트(100)와 측판(200) 그리고 면판(300)이 서로 결합되어 지지되고 하나의 운반박스(1)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재차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의 고정지지부에 의한 조립 및 분해 그리고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1)는, 팔레트(100)의 상부에 측판(200)과 면판(300)을 입설하고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측판(200)과 면판(300)은 상기 상부 테두리부(110)의 'ㄴ'자 프레임의 수직판재(111)에 하부 수평 프레임(220, 320)이 접면되게 조립된다.
먼저, 도 4(a)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운반박스(1)를 조립하기 위해, 팔레트(10)의 상부에 측판(200)을 먼저 위치시키는데, 이때, 상기 측판(200)의 걸리홈(221)에 상기 팔레트(10)의 걸리돌기(120)가 걸릴 수 있도록 위치를 맞추며 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측판(200)과 면판(300)은 철재구조로 그 하중이 무거우며, 조립되는 상기 측판(200)은 작업자가 잡지 않고 있다면 도 4(b)와 같이, 자중에 의해 전방이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측판(200)의 걸리홈(221)에 상기 팔레트(100)의 걸리돌기(120)가 걸리게 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측판(200)은 팔레트(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판(200)은 작업자가 이웃하는 면판(300)을 위치시켜 조립하여 상호 간의 조립이 완료되기 전까지 정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다수의 인원이 아니라 혼자 또는 적은 수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운반박스(1)를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한편, 측판(200)을 위치시키고 상기 측판(200)에 이웃하게 면판(300)을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부(110)의 수평판재(112) 상에 안착시켜 조립하는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삽지구(30)와 절첩판재(40)를 회동시켜 측판(200)과 면판(300)을 서로 고정하고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측판(200)의 꺽쇠 브래킷(20)은 상기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310)을 눌러 상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측판(200)의 날개판(10)은 상기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310)의 측면에 접하며 이를 지지하여 측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고 조립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적재용 조립식 운반 박스
10 : 날개판 20 : 꺽쇠 브래킷
30 : 삽지구 40 : 절첩판재
100 : 팔레트 110 : 상부 테두리부
111 : 수직판재 112 : 수평판재
120 : 걸리돌기 200 : 측판
210, 310 : 수직 프레임 220, 320 : 수평 프레임
221 : 걸리홈 300 : 면판
A : 제1 고정지지부 B : 제2 고정지지부
C : 제3 고정지지부

Claims (10)

  1. 금속 재질이 용접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가지되, 상부 테두리부(110)를 가지는 팔레트(100)와, 상기 상부 테두리부(110)에 입설되어 조립되는 측판(200)과, 상기 상부 테두리부(110)에 상기 측판(200)과 이웃하게 입설되어 조립되는 면판(300)으로 구성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부(110)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는 걸리돌기(120)와, 상기 측판(200)에 상기 걸리돌기(120)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리홈(221)으로 구성된 제1 고정지지부(A)와;
    상기 측판(200) 또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210, 310)의 측방향에 연장되게 형성된 날개판(10)과, 상측과 하측이 절곡된 'ㄱ' 자 형상으로 상기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210) 상단부에 용접되어 절곡 형성되되 이웃하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310) 상단부를 눌러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310)의 폭 길이 절반 이상으로 연장 형성된 꺽쇠 브래킷(20)으로 구성된 제2 고정지지부(B)와;
    상기 면판(300)의 상부측 수평 프레임(320)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측판(200)의 수직 프레임 상단부를 포함하여 끼워지는 삽지구(30)와, 상기 측판(200)의 상부측 수평 프레임(220)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면판(300)의 수평 프레임(320) 일측을 포함하여 끼워지는 절첩판재(40)로 구성된 제3 고정지지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100)의 상부 테두리부(110)는,
    수직판재(111)와 수평판재(112)가 절곡된 'ㄴ'자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재(111)의 양 단부 측에 상기 걸리돌기(120)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리돌기(120)는,
    상기 수직판재(111)의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내측으로 돌출시킨 제1 고리판부(121)와, 상기 제1 고리판부(121)의 이웃하는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내측으로 돌출시킨 제2 고리판부(122)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고리판부(121)와 제2 고리판부(122)는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고, 상기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절곡됨에 의해 경사기울기(α)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리홈(221)은,
    상기 측판(200)의 하부 수평프레임(220)의 일면 단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로 단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10)이 형성된 상기 측판(200) 또는 면판(300)의 수직 프레임(210, 310)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날개판(10)은 상기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10)은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중첩되어 용접된 것으로 상기 판재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10)은 이웃하는 수직 프레임(210, 310)을 덮을 수 있는 길이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38169A 2015-09-30 2015-09-30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KR10178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69A KR101788298B1 (ko) 2015-09-30 2015-09-30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69A KR101788298B1 (ko) 2015-09-30 2015-09-30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75A KR20170038575A (ko) 2017-04-07
KR101788298B1 true KR101788298B1 (ko) 2017-10-19

Family

ID=5858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69A KR101788298B1 (ko) 2015-09-30 2015-09-30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036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파세로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20Y1 (ko) * 2017-06-07 2018-01-30 강명완 롤 타입 화물 운송용 거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31Y1 (ko) * 2010-02-27 2010-06-09 범진산업(주) 포장운반상자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246Y1 (ko) 1995-04-18 1998-04-27 라민수 포장 및 운반용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31Y1 (ko) * 2010-02-27 2010-06-09 범진산업(주) 포장운반상자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036A (ko) * 2019-08-06 2021-02-17 주식회사 파세로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KR102248198B1 (ko) * 2019-08-06 2021-05-04 주식회사 파세로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75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25469A (ru) Поддо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оваров
US3306487A (en) Knocked-down cargo shipping container
JP2020531374A (ja) 再使用可能な容器アセンブリ
KR101788298B1 (ko)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US20060076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lletizing a product
CN1118151A (zh) 运输和存储系统
KR101976485B1 (ko)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GB2277923A (en) Returnable case
US20080295747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odular pallet and the modular pallet made therewith
EP2817235B1 (en) Collapsible superstructure
KR200487127Y1 (ko)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JPH02205553A (ja) 液体及び細かく分散したばら積み材料を運搬及び/又は貯蔵する容器
JP5034833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3993934B2 (ja) コンテナ
JP6594657B2 (ja) パレット
KR20210019939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102340948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EP3052392B1 (en) A pallet collar for a pallet, a goods support comprising such a pallet colla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uch a pallet collar
MX2008015565A (es) Paleta para almacenar y transportar productos.
KR102248198B1 (ko)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WO2019207491A1 (en) Stillage box
JP3164705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0117246Y1 (ko) 포장 및 운반용 상자
ITTO20030143U1 (it) Contenitore modificato per spedizione maritti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