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27Y1 -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127Y1 KR200487127Y1 KR2020160004241U KR20160004241U KR200487127Y1 KR 200487127 Y1 KR200487127 Y1 KR 200487127Y1 KR 2020160004241 U KR2020160004241 U KR 2020160004241U KR 20160004241 U KR20160004241 U KR 20160004241U KR 200487127 Y1 KR200487127 Y1 KR 2004871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gully
- frame
- fixed support
- suppor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0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whereby at least one side wall is made of two or more pie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chemical connection, e.g. glued, welded, sea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mechanical connection, e.g. snap-fit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7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corner posts to the pallet
- B65D2519/0067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이 용이하고 화물 적재 후 지게차에 의한 이동 시 순간 충격에 의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화물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는, 제1 고정지지부와 제2 고정지지부 및 상부고정지지부와 측방이탈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는, 제1 고정지지부와 제2 고정지지부 및 상부고정지지부와 측방이탈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이 용이하고 화물 적재 후 지게차에 의한 이동 시 순간 충격에 의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화물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선박이나 항공기를 이용하여 장거리로 수송할 때는 규격화된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화물은 통상 조립식 운반박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포장되며, 화물이 포장된 조립식 운반박스는 컨테이너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수송된다.
이러한 운반박스는 대개 지게차를 이용한 운반이 용이하도록 팔레트를 구비하며, 팔레트 상부에 측벽이 입설되도록 조립하여 박스 형상을 취한다.
보통의 조립식 운반박스는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화물 적재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부분 금속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재의 운반박스는, 대개 프로파일이나 판형의 재료에 드릴링, 볼팅, 리벳팅 작업 또는 필요에 따라 용접 작업을 통해 프레임을 조립하고 이러한 프레임을 이동시킨 후 다른 부가적 부품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운반박스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각각의 과정을 거치면서 조립함에 따라 그 제조과정이 너무 번거롭고, 작업자가 각 과정을 거칠 때 잦은 이동으로 볼트의 풀림 또는 드릴링한 부분, 볼트나 리벳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종래의 알려진 조립식 운반박스로는, (특허문헌 0001)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6-34436호 "포장 및 운반용 상자" 가 알려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0001)에서 보여지는 운반박스 상자(10)는, 상부에 지지앵글(11-1)을 구비한 팔레트(11)의 4면에 측벽(12a, 12b)을 세워 상자를 형성하고, 각 측면부재(12a, 12b)의 상측 모서리에는 연결부재(13)를 결합시켜 서로 고정시키고 있다.
이때, 상기 측벽(12a, 12b)은 프레임의 조립 생산 과정에 따라 전.후 측의 측판(12a)과 좌.우 측의 면판(12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지지앵글(11-1)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측방향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적재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장 및 운반용 상자(10)는, 팔레트(11)의 가장자리에 측벽(12a, 12b)을 세워 조립시킬 때 이들을 지지해주는 부분이 없어 조립시 측벽이 외측으로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을 받쳐 지지하면서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4개의 측벽을 4명의 작업자가 잡고 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조립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는 작업 능률이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물을 적재하고 이송시 지게차에 의한 외부 충격이나 컨테이너의 흔들림에 의한 외부 충격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고정지지구조가 없어, 도 1에서와 같이 측판(12a) 또는 면판(12b)이 팔레트(11)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이탈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구나, 상기 팔레트(11)의 상면이 필요에 따라 돌출부가 없는 평면의 형상일 경우, 상기 측판(12a) 또는 면판(12b)은 지게차에 의한 운반시 덜컹거림에 의한 순간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정위치를 이탈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부는 모서리 연결부재(13)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지지되지만 하부는 연결 지지되는 부분이 없어 적재되는 화물의 위치나 이동 중 외부 충격에 의해 측벽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작은 충격에도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운반박스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측벽을 이루는 측판(12a)과 면판(12b)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시켜 안전한 화물이송이 가능한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물이 적재되어 운반될 때 발생되는 외부 충격이나 내부 충격에 의해 측벽을 구성하는 측판과 면판이 팔레트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화물 적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는, 상부 테두리부를 가지는 팔레트와 상부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세워져 조립되는 측판 및 면판으로 구성된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제1 고정지지부와 제2 고정지지부 및 상부고정지지부를 구성한다.
제1 고정지지부는, 측판을 구성하는 하부측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걸리홈과, 제1 걸리홈에 결합되는 대응 위치로 팔레트의 상부 테두리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걸리돌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지지부는, 면판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걸리홈과, 제2 걸리홈에 결합되는 대응 위치로 측판의 수직프레임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2 걸리돌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고정지지부는, 면판의 상부측 수평프레임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측판의 수직프레임 상단부를 포함하여 끼워지는 삽지구와, 측판의 상부측 수평프레임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면판의 수평프레임 일측을 포함하여 끼워지는 절첩판재로 구성된다.
한편, 제1 걸리돌기와 제2 걸리돌기는, 위치된 일면의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돌출시킨 제1 고리판부와, 제1 고리판부의 이웃하는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돌출시킨 제2 고리판부로 구성되되, 제1 고리판부와 제2 고리판부는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며,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또한, 제1 걸리돌기는 제1 고리판부와 제2 고리판부가 좌측과 우측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제2 걸리돌기는 제1 고리판부와 제2 고리판부가 상부와 하부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걸리홈과 제2 걸리홈은 대응되는 걸리돌기가 내부로 인입되며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사각형의 개구부를 가진다.
한편, 필요에 따라 제1 걸리홈과 제2 걸리홈은 프레임의 일면을 눌러 내측으로 인입시켜 개구부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일단은 인입된 판에 의해 라운드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측방이탈지지부는 측판의 양측 수직프레임은 이웃하는 상기 면판의 수직프레임을 덮을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돌출된 날개판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 측판의 양측 수직프레임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날개판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날개판은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중첩되어 용접된 것으로 판재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부고정지지부는 측판의 수직프레임 상단부에 이웃하는 면판의 수직프레임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돌출되게 형성된 꺽쇠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부고정지지부의 삽지구는, 끼워지는 측판의 수직프레임 면을 눌러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내면 일측에 돌출된 가압돌부를 더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는, 제1 걸리돌기와 제1 걸림홈에 의한 제1 고정지지부를 이용해 팔레트와 측판의 지지력을 높이고 조립시 측판을 팔레트 상부에 세울 수 있어 적은 수의 작업자를 통해서도 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2 걸리돌기와 제2 걸리홈에 의한 제2 고정지지부를 이용해 측판과 면판이 서로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이나 내부 충격에도 서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화물 적재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제1 고정지지부와 제2 고정지지부 및 삽지구와 절첩판재로 구성된 상부고정지지부에 의해 팔레트와 측판 및 면판은 서로 안정적인 지지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물 적재가 가능하고 충격에 의한 이탈과 파손을 더욱더 방지하여 운반박스의 적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반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팔레트와 측판의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의 제2 걸림홈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팔레트와 측판의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제2 고정지지부의 제2 걸림홈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고정지지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가 적용된 운반박스(100)는, 필요에 따라 사각 또는 오각, 육각의 다각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원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후측의 측판(120)과 좌.우측의 면판(130)으로 4개의 측벽을 가지는 사각 박스 형상의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운반박스(100)는, 프레임부터 각재, 금속판까지 모두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구성하고 내부에 화물이 수용되어 적재되는데, 화물이 적재된 운반박스(100)는 지게차 등의 운반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수송된다.
그리고, 상기 운반박스(1)는, 크게 상부면에 바닥판(111)을 가지는 팔레트(110)의 각 변 위로 다수개의 측벽이 입설되도록 조립하여 상부로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팔레트(110)의 상부에 세워지는 측벽은 팔레트(110) 상부에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 및 이송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후술될 제1 고정지지부(A) 구조에 의해 상기 팔레트(110)의 상부에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사각 프레임 구조의 측판(120)과, 상기 측판(120)과 제2 고정지지부(B) 구조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웃하게 위치되어 상기 팔레트(110)의 상부에 세워져 조립되는 면판(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120)과 면판(130)의 상부를 연결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지구(C1)과 절첩판재(C2)로 구성된 제3 고정지지부(C)를 가진다.
더불어, 필요에 따라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에 연장되게 형성된 날개판(D1)으로 구성된 측방이탈지지부(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판(120)과 면판(130)은 수직프레임(121, 131)과 수평프레임(122, 132)이 상.하.좌.우에 필요에 따라 격자로 구성되어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격자의 프레임 구조에 금속판(P)이 용접되어 하나의 측벽을 구성한다.
상기 금속판(P)은 적재되는 화물에 따라 필요에 따라 구성되며 제거된 상태로 격자의 프레임 구조가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21, 131)과 수평프레임(122, 132)은 파이프 형상의 각재 프레임이 이용되거나 절곡된 'ㄴ'자 형상의 판재가 이용되며, 상기 격자의 프레임에는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 프레임이 필요에 따라 용접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10)는 실질적으로 그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것으로 바닥의 이물질이나 수분에 화물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고,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시 지게차의 포크를 상기 팔레트(110)와 지면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 넣어 들어올려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팔레트(110)는 공지된 구조가 적용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개략적으로, 상기 팔레트(110)는,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바닥판(111)을 가지며 테두리를 따라 판재가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 테두리부(112)를 형성한다.
한편, 본원고안에 따른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작스 프레임 구조가 적용된 운반박스(100)는, 상기 팔레트(110)와 측판(120) 및 면판(130)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도 이탈 및 파손되지 않도록 제1 고정지지부(A)와 제2 고정지지부(B)의 구조를 가지며, 상부에 결합을 위한 상부고정지지부(C) 및 측방에 측벽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측방이탈지지부(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 고정지지부(A)와 제2 고정지지부(B) 및 상부고정지지부(C)와 측방이탈지지부(D)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재차, 도 2와 도 3과 함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고정지지부(A)를 설명한다.
상기 제1 고정지지부(A)는, 1인 또는 적은 수의 작업자라도 운반박스(100)를 조립할 수 있도록 측벽과 팔레트(110)의 고정 지지구조를 제시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측벽 중 측판(120)과 팔레트(110)의 고정 지지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고정지지부(A)는 제1 걸리돌기(A1)와 걸리홈(A2)의 끼움 고정에 의한 고정지지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팔레트(110)의 상부 테두리부(112)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리홈(A2)은 측판(200)에 형성되는데 제1 걸리돌기(A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고정지지부(A)는, 상기 측판(120)을 구성하는 하부측 수평프레임(12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걸리홈(A2)과, 상기 제1 걸리홈(A2)에 결합되는 대응 위치로 상기 팔레트(110)의 상부 테두리부(112)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걸리돌기(A1)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팔레트(110)의 상부 테두리부(112)는, 수직판재(112a)와 수평판재가 절곡된 'ㄴ'자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상기 수직판재(112a)의 양 단부 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제1 걸리홈(A2)에 걸려 입설되는 측판(120)이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고, 팔레트(110)와 측판(120) 및 면판(130)의 상호 간 조립이 완료되기 전에 작업자가 상기 측판(120)을 잡고 지지하지 않더라도 측판(120)이 팔레트(110)의 상부 테두리부(112)에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상부 테두리부(112)를 구성하는 수직판재(112a)의 일면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판재 외측으로 돌출시킨 제1 고리판부(A11)와, 상기 제1 고리판부(A11)의 이웃하는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판재 외측으로 돌출시킨 제2 고리판부(A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리판부(A11)와 제2 고리판부(A12)는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고리판부(A11, A12)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절곡됨에 의해 경사기울기(α)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상기 제1 고리판부(A11)와 제2 고리판부(A12)가 좌측과 우측으로 이웃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좌측과 우측으로 이웃하게 형성된 반지형상의 제1 걸리돌기(A1)는 작업자가 조립 및 해체 과정이나 프레임의 용접 과정시 발에 걸리거나 찌르는 등의 혹시 모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경사기울기(α)에 의해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제2 걸리홈(A2)에 유연하게 걸려 제2 걸리홈(A2)이 형성된 측판(120)을 안정되게 지지한다.
한편, 상기 제1 걸리홈(A2)은, 상기 제1 걸리돌기(A1)에 대응되게 측판(120)에 형성되는데, 대응되는 걸리돌기가 내부로 인입되며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사각형의 개구부를 가진다.
이러한 제1 고정지지부(A)의 구조는 측판(120)의 홀로서기가 가능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판(120)과 면판(130)은 철재구조로 그 하중이 무거우며, 조립되는 상기 측판(120)은 작업자가 잡지 않고 있다면 자중에 의해 전방이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측판(120)의 제1 걸리홈(A2)에 상기 팔레트(110)의 제1 걸리돌기(A1)가 걸리게 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측판(A2)은 팔레트(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이웃하는 면판(130)을 조립하여 상호 간의 조립이 완료되기 전까지 정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다수의 인원이 아니라 혼자 또는 적은 수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운반박스(100)를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과 함께 도 6(a)(b)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2 고정지지부(B)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제2 고정지지부(B)는 운반박스의 이송시 지게차 등에 의한 순간 충격등에 의해 측판(120)과 면판(130)이 서로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게 하고 더불어 상기 면판(130)이 팔레트(110)의 바닥판(111)에 미끄러져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고정지지부(B)는 상술한 제1 고정지지부(A)와 동일 구조를 가지는데, 바람직하게 제2 걸리돌기(B1)와 제2 걸리홈(B2)의 끼움 고정에 의한 고정지지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 고정지지부(B)는, 상기 면판(130)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프레임(131)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걸리홈(B2)과, 상기 제2 걸리홈(B2)에 결합되는 대응 위치로 상기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2 걸리돌기(B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면판(130)은 측판(120)과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2 걸리돌기(B1)는 제2 걸리홈(B2)에 걸려 상기 면판(130)의 조립시 측판(120)에 걸려 작업자가 잡지 않더라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외부 충격시 상기 측판(120)에서 분리됨이 방지되고 하부가 팔레트(110)의 바닥판(111)에 슬라이딩되어 이탈됨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 걸리돌기(B1)는 측판(120)의 양측 수직프레임(121)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측과 하부측에 2개가 형성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걸리돌기(B1)는 상기 수직프레임(121)의 상단부와 대략 100∼120㎜ 간격을 둔 위치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21)의 하단부와 대략 100∼120㎜ 간격을 둔 위치에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리돌기(A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데, 재차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걸리돌기(B1)는 위치된 수직프레임(121) 일면의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외측으로 돌출시킨 제1 고리판부(B11)와, 상기 제1 고리판부(B11)의 이웃하는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외측으로 돌출시킨 제2 고리판부(B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고리판부(B11)와 제2 고리판부(B12)는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고리판부(B11, B12)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경사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걸리돌기(B1)는 상기 제1 고리판부(B11)와 제2 고리판부(B12)가 상부와 하부로 이웃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와 하부로 이웃되게 형성된 반지형상의 제2 걸리돌기(B1)는 작업자가 조립 및 해체 과정시 돌출된 상기 제2 걸리돌기(B1)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걸리홈(B2)은 상기 제2 걸리돌기(B1)에 대응되게 면판(130)의 수직프레임(131)에 형성되는데, 대응되는 걸리돌기(B2)가 내부로 인입되며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사각형의 개구부를 가진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고정지지부(A)의 제1 걸리홈(A2)와 제2 고정지지부(B)의 제2 걸리홈(B2)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제1 걸리홈(A2)과 제2 걸리홈(B2)은 대응되는 걸리돌기가 내부로 인입되며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바람직하게 사각형의 개구부(B21)를 가지는데, 이러한 걸리홈을 형성하기 위해 작업자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각재의 수직프레임(131)의 일면에 홈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7의 (a)와 같이, 사각의 개구부(B21)를 형성하는 4개의 선분 을 절단기를 이용해 절단하여 절단된 부분을 제거하여 홈을 형성한다.
그러나, 도 7의 (a)과 같이 형성시 각재의 수직프레임(131) 상에 걸리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단된 부분이 수직프레임(131)의 내부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수직프레임(131)의 내부에서 자유 유동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7의 (b)와 (c)에서와 같이, 개구부를 형성하는 4개의 선분 중 3개의 선분을 절단기를 이용해 절단하고 프레스 등 가압도구를 이용해 눌러 절단된 판 부분이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인입된 판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단면이 아닌 라운드면(B22)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라운드면(B22)은 제2 고정지지부(B) 구조에 의한 측판(120)과 면판(130)의 조립이나 해체시 쉽게 끼워지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제1 걸리돌기(A1) 또는 제2 걸리돌기(B1)가 슬라이딩 되게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조립 및 해체가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라운드면(B22)의 형성은 제2 고정지지부(B) 구조에 있어 도 7의 (b)와 같이 하부에 형성되게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도 7의 (c)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재차 도 2와 도 3을 포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상부고정지지부(C)와 측방이탈지지부(D)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상부고정지지부(C)는 상술된 제1 고정지지부(A) 및 제2 고정지지부(B)와 더불어 보다 안정되게 측판(120)과 면판(130)이 서로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운반박스(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상부고정지지부(C)는 직접적으로 프레임과 프레임이 끼워지고 구속부재에 의해 서로가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삽지구(C1)와 절첩판재(C2)로 구성된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삽지구(C1)는, 면판(130)의 상부측 수평프레임(132)에 힌지 볼트 등에 의해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립시 회동되어 이웃하는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 상단부를 포함하여 끼워져 상기 측판(120)과 면판(130)을 서로 결합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삽지구(C1)는 끼워지는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 면을 눌러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내면 일측에 돌출된 가압돌부(C11a)를 더 형성한다.
상기 가압돌부(C11a)가 상기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을 누르면서 끌어당겨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절첩판재(C2)는, 측판(120)의 상부측 수평프레임(122)에 용접 등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시 회동되어 이웃하는 면판(130)의 수평프레임(132) 일측을 포함하여 끼워져 상기 측판(120)과 면판(130)을 서로 결합고정시키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절첩판재(C2)는, 소정 크기의 판부(C21)가 힌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수평프레임(122)에 용접되어 구성된 것으로 판부(C21)의 일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방절곡판부(C22)가 결합되는 면판(130)의 수평프레임(132)의 측부를 덮어 지지하게 되고 상기 판부(C21)는 상부를 덮어 지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절첩판재(C2)는 상기 판부(C21)의 일측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방절곡판부(C23)이 형성되고, 상기 상방절곡판부(C23)는 운반박스(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또다른 운반박스(100)를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한편, 재차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고정지지부(C)는 상기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 상단부에 이웃하는 면판(130)의 수직프레임(131)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돌출되게 형성된 꺽쇠브래킷(C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꺽쇠브래킷(C3)은 외부 충격에 의한 측판(120)와 면판(130)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꺽쇠브래킷(C3)은 바람직하게 상측과 하측이 절곡된 'ㄱ' 자 형상으로 상기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 상단부에 결합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면판(130)의 수직 프레임(131)의 상단부를 눌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면판(130) 수직프레임(131)의 폭 길이 절반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방이탈지지부(D)는 날개판(D1)으로 구성되는데, 면판(130)을 측방향에서 지지하여 상기 면판(130)이 측판(120)과 분리되어 측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측판(120)의 양측 수직프레임(121)은 이웃하는 상기 면판(130)의 수직프레임(131)을 덮을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날개판(D1)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날개판(D1)은 별도의 판재를 상기 수직프레임(121)에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해 일체형으로 연장시켜 형성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상기 날개판(D1)은 수직프레임(121)을 구성하는 절곡된 판재가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판(120)의 양측 수직프레임(121)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날개판(D1)을 형성한다.
이때, 외부 충격을 보다 더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날개판(D1)은 상기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중첩되고 이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날개판(D1)은 판재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충격에 보다 더 강하게 견딜 수 있고 이웃하는 면판(130)의 수직프레임(131)을 지지하여 운반박스(100)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날개판(D1)은 이웃하는 면판(130)의 수직프레임(13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31)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길이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운반박스
A : 제1 고정지지부 B : 제2 고정지지부
C : 상부고정지지부 D : 측방이탈지지부
110 : 팔레트 111 : 바닥판
112 : 상부테두리부 120 : 측판
130 : 면판 121, 121 : 수직프레임
131, 131 : 수평프레임 A1 : 제1 걸리돌기
A2 : 제1 걸리홈 B1 : 제2 걸리돌기
B2 : 제2 걸리홈 C1 : 삽지구
C11a : 가압돌부 C2 : 절첩판재
C3 : 꺽쇠브래킷 D1 : 날개판
A : 제1 고정지지부 B : 제2 고정지지부
C : 상부고정지지부 D : 측방이탈지지부
110 : 팔레트 111 : 바닥판
112 : 상부테두리부 120 : 측판
130 : 면판 121, 121 : 수직프레임
131, 131 : 수평프레임 A1 : 제1 걸리돌기
A2 : 제1 걸리홈 B1 : 제2 걸리돌기
B2 : 제2 걸리홈 C1 : 삽지구
C11a : 가압돌부 C2 : 절첩판재
C3 : 꺽쇠브래킷 D1 : 날개판
Claims (10)
- 상부 테두리부(112)를 가지는 팔레트(110)와, 상기 상부 테두리부(112)의 내측으로 세워져 조립되는 측판(120) 및 면판(130)으로 구성된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판(120)을 구성하는 하부측 수평프레임(12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걸리홈(A2)과, 상기 제1 걸리홈(A2)에 결합되는 대응 위치로 상기 팔레트(110)의 상부 테두리부(112)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걸리돌기(A1)로 구성된 제1 고정지지부(A)와; 상기 면판(130)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프레임(131)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걸리홈(B2)과, 상기 제2 걸리홈(B2)에 결합되는 대응 위치로 상기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2 걸리돌기(B1)로 구성된 제2 고정지지부(B)와; 상기 면판(130)의 상부측 수평프레임(132)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 상단부를 포함하여 끼워지는 삽지구(C1)와, 상기 측판(120)의 상부측 수평프레임(122)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하여 이웃하는 면판(130)의 수평프레임(132) 일측을 포함하여 끼워지는 절첩판재(C2)로 구성된 상부고정지지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 걸리돌기(A1)와 제2 걸리돌기(B1)는,
위치된 일면의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돌출시킨 제1 고리판부(A11, B11)와, 상기 제1 고리판부(A11, B11)의 이웃하는 일측을 절개하고 절곡시켜 돌출시킨 제2 고리판부(A12, B12)의 단부가 마주보는 반지형상을 가지며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상부고정지지부(C)는,
상측과 하측이 절곡된 'ㄱ'자 형상으로 상기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 상단부에 용접되어 절곡 형성되되 이웃하는 면판(130)의 수직프레임(131) 상단부를 눌러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폭 길이 절반 이상으로 연장 형성된 꺽쇠브래킷(C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리돌기(A1)는, 상기 제1 고리판부(A11)와 제2 고리판부(A12)가 좌측과 우측으로 이웃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리돌기(B1)는, 상기 제1 고리판부(B11)와 제2 고리판부(B12)가 상부와 하부로 이웃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리홈(A2)과 제2 걸리홈(B2)은,
대응되는 걸리돌기가 내부로 인입되며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사각형의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리홈(A2)과 제2 걸리홈(B2)은,
프레임의 일면을 눌러 내측으로 인입시켜 개구부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일단은 인입된 판에 의해 라운드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20)의 양측 수직프레임(121)은 이웃하는 상기 면판(130)의 수직프레임(131)을 덮을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돌출된 날개판(D1)으로 구성된 측방이탈지지부(D)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20)의 양측 수직프레임(121)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날개판(D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D1)은 절곡된 판재의 남은 부분이 중첩되어 용접된 것으로 상기 판재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지지부(C)의 삽지구(C1)는, 끼워지는 측판(120)의 수직프레임(121) 면을 눌러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내면 일측에 돌출된 가압돌부(C11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241U KR200487127Y1 (ko) | 2016-07-22 | 2016-07-22 |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241U KR200487127Y1 (ko) | 2016-07-22 | 2016-07-22 |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321U KR20180000321U (ko) | 2018-01-31 |
KR200487127Y1 true KR200487127Y1 (ko) | 2018-08-09 |
Family
ID=6128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241U KR200487127Y1 (ko) | 2016-07-22 | 2016-07-22 |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127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02083B (zh) * | 2019-12-10 | 2024-07-19 | 安捷包装(苏州)股份有限公司 | 一种拼装式木塑箱 |
CN117775451B (zh) * | 2024-02-28 | 2024-05-28 | 泰州德丰塑胶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空间可调的塑料托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2376B2 (ja) * | 1990-07-24 | 2001-04-25 | ファイソンズ ピーエルシー | 分析装置 |
JP2001122256A (ja) * | 1999-10-27 | 2001-05-08 | Zeon Kasei Co Ltd | 組立式コンテナ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2635Y2 (ko) * | 1985-07-16 | 1990-11-14 | ||
KR0117246Y1 (ko) | 1995-04-18 | 1998-04-27 | 라민수 | 포장 및 운반용 상자 |
KR20000005957U (ko) * | 1998-09-04 | 2000-04-06 | 김정식 | 파렛트용 지지틀 |
KR200214418Y1 (ko) * | 1999-02-04 | 2001-02-15 | 라민수 | 컨테이너용 포장 운반상자 |
JP3162376U (ja) * | 2010-04-20 | 2010-09-02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制振コンテナ |
-
2016
- 2016-07-22 KR KR2020160004241U patent/KR20048712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2376B2 (ja) * | 1990-07-24 | 2001-04-25 | ファイソンズ ピーエルシー | 分析装置 |
JP2001122256A (ja) * | 1999-10-27 | 2001-05-08 | Zeon Kasei Co Ltd | 組立式コンテ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321U (ko) | 2018-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7812B1 (ko) | 화물적재용 팔레트 | |
KR101591857B1 (ko) | 운반용 조립 박스 | |
KR100661338B1 (ko) |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 | |
US3306487A (en) | Knocked-down cargo shipping container | |
KR200487127Y1 (ko) | 지지력을 증대시킨 운반박스 프레임 구조 | |
KR101788298B1 (ko) | 적재용 조립식 운반박스 구조 | |
KR101976485B1 (ko) |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 |
GB2277923A (en) | Returnable case | |
EP2817235B1 (en) | Collapsible superstructure | |
KR200399805Y1 (ko) |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 |
JP5034833B2 (ja) | 組み立て式コンテナ | |
KR200485420Y1 (ko) | 롤 타입 화물 운송용 거치장치 | |
JP2009023692A (ja) | 折りたゝみ式通函 | |
KR102248198B1 (ko) | 적재용 조립식 종이박스 | |
JP6594657B2 (ja) | パレット | |
JP5934474B2 (ja) | ドラム缶搬送用のパレット | |
KR101572004B1 (ko) | 분해 가능한 철재 컨테이너 | |
US20180105351A1 (en) | Welding wire container | |
KR102340948B1 (ko)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
KR101511165B1 (ko) | 재사용이 가능한 패널제품 포장박스를 가진 팔레트 | |
EP3000741B1 (en) | Pallet with upper fixing surface | |
KR200465192Y1 (ko) |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 |
JP3149800U (ja) | ダンボールパレット | |
JP3164705U (ja) | 組み立て式コンテナ | |
WO2019207491A1 (en) | Stillage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