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25B1 -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25B1
KR101786825B1 KR1020167028139A KR20167028139A KR101786825B1 KR 101786825 B1 KR101786825 B1 KR 101786825B1 KR 1020167028139 A KR1020167028139 A KR 1020167028139A KR 20167028139 A KR20167028139 A KR 20167028139A KR 101786825 B1 KR101786825 B1 KR 10178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polylactic acid
acid res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869A (ko
Inventor
유키 세키도
모토노리 호치
토루 아라카네
요시카즈 야카케
테루히사 사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4Cellulosic plastic fibres, e.g. ray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6Water-soluble, water-disper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or cath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6/00Patches, e.g. medical patches, repair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적층체 B의 적어도 한면에, 두께가 10㎚~500㎚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1층 이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와, 섬유 구조체(B)와 폴리 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C의 접합면에 물 또는 수용액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유연하고 곡면인 피착체에 대하여 추종성, 말착성, 피복성이 뛰어나고, 또한 피부, 내장 등의 내장 등으로의 적합성이 뛰어나며,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으로부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를 수용액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창상피복재, 유착 방지재, 스킨케어 용품 등의 피부 외용재로서 최적이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창상피복막, 유착 방지막 등의 의료 용도에 최적인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적층체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부외과, 정형외과, 뇌신경외과 등으로 대표되는 절개 수술에서는, 수술 후의 합병증의 하나로 장기간의 유착 문제가 있다. 이것은 수술에 의해서 건조 및 산화에 의해 손상을 받은 정상인 조직끼리를 꿰매서 봉합하면, 창상 치유에 의해서 자기 치유해 가는 과정에서, 유착 현상, 즉 원래 접합해서는 안되는 장기 조직끼리가 접합될 경우가 있다. 절개 수술에서는 높은 확률로 유착이 발생한다고 말해지고 있고, 통증이나 장폐색, 불임증 등의 심각한 병상을 야기하는 합병증으로 이어질 경우가 있다.
한번 발생한 유착의 투약 치료는 어렵다. 또한, 수술 후 수년 경과하고나서 유착에 의한 장폐색을 일으킬 경우도 있다. 유착 치료는 다시 절개 수술을 행하여 유착 개소를 박리하는 유착 박리술밖에 없다고 되어 있어, 절개 수술에서는 유착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종래, 수술 후의 조직 유착, 치유의 지연을 피하기 위한 처치로서 생리식염액에 침지한 거즈로 노출된 장기 조직을 피복하여 건조 및 산화를 방지하는 방법이 채택되어져 왔다. 그러나, 장기는 복잡하고 유연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거즈로는 충분한 피복을 행할 수 없거나, 또한 거즈가 의사의 수술 작업의 장해가 되거나, 거즈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체내에 놔둔 채 잊을 확률을 높이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유착 방지 효과나 치유 지연 방지 효과를 갖는 재료로서, 장기 조직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실리콘, "테플론"(등록상표), 폴리우레탄, 산화셀룰로오스 등을 유착 방지막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이들 재료는 비생체 흡수성 재료이기 때문에 생체 조직면에 잔존하여 조직의 수복을 늦출뿐만 아니라, 감염, 염증의 발생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생체 흡수성을 기대할 수 있는 젤라틴이나 콜라겐을 사용한 유착 방지 재료가 보고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그러나, 젤라틴이나 콜라겐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항원성을 갖는 테로펩티드 부분의 제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프리온 혼입 등 동물 유래의 감염증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생체에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편이 좋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나 분해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가교제가 생체 내에서의 사용에 바람직하지 못할 경우가 많다고 여겨지고 있다.
한편, 천연 고분자는 피부에의 친화성은 높지만, 강도가 낮은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천연 고분자에서는 가교제에 의한 가교체나, 강도 보강재의 사용이나 거즈 등으로 감쌈으로써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강도 보강재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아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감염증의 위험이 낮은 트레할로오스 등의 다당류를 사용한 유착 방지재에 대해서도 보고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그러나, 다당류를 사용한 재료로는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봉합시에 강도 부족으로 봉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봉합할 수 있었다고 해도, 봉합 상태를 어느 정도 기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히알루론산을 사용한 유착 방지재에 대해서도 보고가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장기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막과 장기가 어긋나기 쉽고, 그것에 의해서 유착이 일어나는 등 반드시 충분한 성능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또한 대량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다는 과제가 있다. 유착 방지막을 장기 등에 강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서 혈액 제재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위생면, 안전면에서의 높은 관리가 필요하여 취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조직의 유착 방지에 관한 재료에 관한 보고는 많지만, 유착 방지재료로서 충분한 성능을 갖는 재료는 얻어져 있지 않다. 즉,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렵고, 조직이 수복될 때까지의 기간 유착을 방지하며, 조직이 수복될 때까지 강도가 유지되는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의료 용도에 최적인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의 적용도 생각되지만, 종래 방법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섬유 구조체(B)를 따로 제조하여,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섬유 구조체(B)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그러나, 유기 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부하의 관점에서 특별한 폐액 설비, 배기 설비 등이 필요하고, 또한 작업자에 대한 건강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마스크 등의 보호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등 생산 활동에 있어서 작업 효율성, 환경면에서 다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최종 제품의 성능에 기여가 낮은 유기 용제를 사용하고 있어, 제조 단계에서 증발하여 제품 밖으로 파기되게 되어 그 비용에의 기여는 전혀 낮지 않다.
또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조 방법으로서, 미리 제조한 섬유 구조체(B)의 표면에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용융한 수지를 흐르게 하여 굳히는 압출 라미네이트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 그러나, 가열 및 압착에 의해 섬유 구조가 무너져서 두께가 줄어드는 등의 외관 불량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품질 문제가 있다. 또한, 열분해 온도가 낮은 수지를 압출기에 흐르게 했을 경우, 수지의 열화를 발생시키거나, 수지를 용융하는데에 대량의 열 에너지를 요하거나, 또한 작업 환경이 고온이 되는 등의 과제가 있다.
또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수지의 용융에 사용하는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는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섬유 구조체(B)의 접촉 부분의 일부를 열융해시켜 압착하는 열 라미네이트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7). 그러나, 가열 및 압착에 의해 섬유 구조가 무너져서 두께가 줄어드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한다고 하는 품질 문제가 있다. 특히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박막인 경우에는, 열을 지나치게 가하면 용융해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자체가 붕괴된다고 하는 품질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섬유 구조체(B)를 가열하기 위해서 대량의 열 에너지를 요하고, 가열에 사용하는 금속제의 롤이나 판 등 열전도체를 생산 전에 미리 승온시킬 필요가 있어 여분의 시간이 걸리는 등의 작업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섬유 구조체(B)에 가하는 열이나 압력에 의한 부하를 저감하는 제조 방법으로서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8). 그러나, 점착층은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적층체의 굴곡성이 섬유 구조체(B) 단체에 비해서 떨어져서 유연성이 손상되거나, 섬유 구조체(B)와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밀착성이 떨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점착층을 형성하지 않는 제조 방법으로서는, 개별적으로 제조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포개고, 섬유 구조체(B) 또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면으로부터 복수 개소에 바늘을 대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얽히게 하여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니들 펀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9). 그러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액체, 기체 등의 통과를 층에 의해 차단하고 싶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얇은 경우에는 바늘을 관통시킬 때에 크게 파괴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06578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19233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53999호 공보 국제공개 제 2005/094915호 팸플릿 일본 특허공개 2005-22498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25174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3082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14565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94214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배경을 감안하여, 생체 적합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경제성이 뛰어난 창상피복막, 유착 방지막 등의 의료 용도에 최적인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접합할 때에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뛰어나고, 또한 환경 부하가 적으며,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파괴하지 않고 외관이 뛰어난, 특히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얇은 경우에 있어서도 외관의 품질(주름, 접합 불균일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적어도 한면에 두께가 10㎚~500㎚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1층 이상 갖는, 적층체.
(2)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두께가 0.01㎛~15㎛인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적어도 1층 갖는, (1) 기재의 적층체.
(3)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한쪽 면에 물을 부여하고나서, 섬유 구조체(B)의 다른쪽 면에 물이 도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10초~5분인, (1) 또는 (2) 기재의 적층체.
(4) 상기 수용성 수지(A)가 폴리비닐알콜 및/또는 풀루란을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5) 상기 수용성 수지(E)가 폴리비닐알콜 및/또는 풀루란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적층체.
(6)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단위중량이 1g/㎡~1,000g/㎡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7)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두께가 0.1㎛~5,000㎛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8)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가 폴리 D-락트산량이 4㏖%~50㏖%의 폴리락트산계 수지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9)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적층할 때, 상기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접합면에 물 또는 수용액을 부여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평판 상에 고정한 상태에서 적층하는, (9)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2개의 롤 사이에 끼워서 적층하는, (9)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적어도 한면에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1층 이상 적층된 적층체로, 유연하고 취급성이 뛰어나며, 또한 피착체에의 부착시에는 박막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으로부터 후막의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를 수용액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곡면인 피착체에 대한 추종성, 밀착성, 피복성이 뛰어나고, 또한 생분해성을 갖는 성분을 선택하면, 피부, 내장 등의 장기 등으로의 적합성에도 뛰어나, 창상피복재, 유착 방지재, 스킨케어 용품 등의 피부 외용재로서 최적이다.
또한,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적어도 1층 가짐으로써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층체로서 외부로부터의 응력에 대하여 보다 안정시킬 수 있어 적층체로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체의 구성 재료가 폴리락트산계 수지나 수용성 수지이기 때문에, 저렴하게 대량 제조 가능하여 경제성이 뛰어나다.
또한,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를 물 또는 수용액에 의해 제거한 후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은 투명하기 때문에 부착면이 눈에 띄지 않는 점에서 외과 수술뿐만 아니라 피부에의 부착도 가능해서, 반창고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기재로 해서 다양한 약제의 담지, 서방(徐放)이 가능해서, 드러그 딜리버리 시스템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적층할 때,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접합면에 물 또는 수용액을 부여(여기에서, 물 또는 수용액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무, 도포, 적하 등의 방법이 있고, 분무에 의해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함)하고,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포개는 점에서 종래의 제조 방법에 비하여 매우 간이하고, 또한 작업 효율성이 뛰어나며, 또한 환경 부하가 적은 제조 방법이다.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적어도 1층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제조 방법에 비하여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접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두께가 0.01㎛~15㎛일 경우, 종래의 제조 방법에 비하여 외관의 품질(접합 불균일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율이 높아져서 비용 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두께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외관의 품질(접합 불균일 등)이 떨어질 경우가 있고,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용 경쟁력이 떨어질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적층(접합) 방법으로서는,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각각의 평판 상에 고정한 상태에서 적층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2개 이상의 롤 사이에 끼워서 적층함으로써 더욱 외관 품위 및 비용 경쟁력이 뛰어난 적층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분무에 사용함으로써 수용액이 분무기로부터 분무 후,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 및/또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및/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표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의 액적 형상이 안정화되고, 외관 품위가 뛰어난 적층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특히 창상피복재, 유착 방지재 등의 의료 제품, 스킨케어 용품 등의 피부 외용재의 제조에 최적이고, 또한 수술복, 항균 매트, 파프제, 습포제, 인공 피부, 기저귀, 생리용품, 거즈, 구급 반창고, 청정용품, 마스크 등의 위생 용품 등의 제조에도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사용한 롤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접합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이란, 이차원적인 넓이를 갖는 구조물, 예를 들면, 시트, 플레이트, 불연속인 막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폴리락트산계 수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만 이상이 바람직하고, 5만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만~40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만~50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클로로포름 용매에 의해 측정을 행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산법에 의해 계산한 분자량을 말한다.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3만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기계 특성을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도막 도공액 작성시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 향상을 목적으로 해서, 결정성을 갖는 호모폴리락트산계 수지와 비결정성의 호모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혼합해도 좋다. 이 경우, 비결정성의 호모폴리락트산계 수지의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하면 좋다.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에 비교적 높은 내열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수지 중 적어도 1종의 광학 순도가 95% 이상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폴리 L-락트산(L체) 및/또는 폴리 D-락트산(D체)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성분이란, 락트산 유래의 성분이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성분 100㏖%에 있어서 7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말하고, 실질적으로 폴리 L-락트산 및/또는 폴리 D-락트산만으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락트산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폴리 D-락트산량은 바람직하게는 4㏖%~50㏖%, 보다 바람직하게는 6㏖%~13㏖%이다. 폴리 D-락트산량이 4㏖%보다 작아지면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하여 도포제화하는 것이 곤란해질 경우가 있고, 50㏖%보다 커지면 개인차는 있지만 대사되기 어려워질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L-락트산, D-락트산 외에 에스테르 형성능을 갖는 기타 단량체 성분을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락트산계 수지라도 좋다.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글리콜산, 3-히드록시부티르산, 4-히드록시부티르산, 4-히드록시발레르산, 6-히드록시카프론산 등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류 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분자 내에 복수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류 또는 그것들의 유도체,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푸마르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테트라부틸포스포늄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분자 내에 복수의 카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류 또는 그것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공중합 성분 중에서도, 용도에 따라 생분해성을 갖는 성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공중합 성분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성분 100㏖%에 있어서 40㏖%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락트산으로부터의 직접 중합법, 락티드를 개재하는 개환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가수분해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하여 양호한 내구성(장기 보관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폴리락트산계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 말단 농도가 30당량/1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당량/10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당량/103㎏ 이하이다. 폴리락트산계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 말단 농도가 30당량/103㎏ 이하이면, 가수분해의 자기 촉매가 되는 카르복실기 말단 농도가 충분히 낮기 때문에 실용적으로 양호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계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 말단 농도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제한 없이 0당량에 가까워도 문제없다.
폴리락트산계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 말단 농도를 30당량/103㎏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합성시의 촉매나 열이력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 층상으로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의 저하 또는 가열 시간의 단축에 의해 열이력을 저감하는 방법, 반응형 화합물을 사용하여 카르복실기 말단을 봉쇄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반응형 화합물을 사용하여 카르복실기 말단을 봉쇄하는 방법에서는, 폴리락트산계 수지 중의 카르복실기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봉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량이 봉쇄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알콜이나 아미드 화합물 등의 축합 반응형 화합물이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등의 부가 반응형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반응시에 여분인 부생성물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 부가 반응형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반응 효율의 점에서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에는 기계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전체 100질량%에 있어서 내충격성 개량제를 2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함유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상 15질량% 이하이다. 내충격성 개량제의 함유량이 많아질수록 내충격성의 개량 효과는 향상되지만, 20질량%를 초과해서 함유해도 기계 강도의 대폭적인 향상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내충격성의 향상에 사용하는 내충격성 개량제로서는 폴리락트산계 수지 중에 있어서 바람직한 분산성을 갖고, 소량으로 보다 높은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폴리락트산계 수지 이외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나 지방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계 수지 이외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나 지방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 3-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 4-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 4-히드록시발레르산, 폴리 3-히드록시헥산산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계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생분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폴리락트산계 수지 이외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계 강도 향상의 효과가 크고 폴리락트산계 수지와 상용성이 좋은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나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3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계 수지는 1,4부탄디올과 숙신산을 중축합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원료로서는 L-락트산 또는 D-락트산의 락트산 성분과, 상술한 락트산 성분 이외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환상 에스테르 중간체, 예를 들면 락티드, 글리콜리드 등을 원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류나 글리콜류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상기 원료를 직접 탈수 축합하는 방법 또는 상기 환상 에스테르 중간체를 개환 중합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접 탈수 축합해서 제조할 경우, 락트산류 또는 락트산류와 히드록시카르복실산류를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 특히 페닐에테르계 용매의 존재 하에서 공비 탈수 축합하고, 바람직하게는 공비에 의해 유출(留出)된 용매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실질적으로 무수의 상태로 한 용매를 반응계로 되돌리는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고분자량의 폴리머가 얻어진다.
또한, 락티드 등의 환상 에스테르 중간체를 옥틸산 주석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감압 하 개환 중합함으로써도 고분자량의 폴리머가 얻어지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때, 유기 용매 중에서의 가열 환류시의 수분 및 저분자 화합물을 제거하는 조건을 조정하는 방법이나, 중합 반응 종료 후에 촉매를 실활시켜 해중합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 제조한 폴리머를 열처리하는 방법 등을 사용함으로써 락티드양이 적은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는 피착체에의 형상 추종성의 관점에서 10㎚~500㎚로 되지만, 10㎚~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10㎚보다 얇아지면 형상의 유지가 곤란해질 경우가 있고, 500㎚를 초과하면 피착체에 부착했을 때에 주름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각종 첨가제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전체 100질량%에 대하여 30질량% 이하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각종 첨가제로서는 산화방지제, 내후제, 열안정제, 활제, 결정핵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 없고,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전체 100질량%에 대하여 0질량%라도 문제없다. 또한,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이면, 무기 또는 유기의 입자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전체 100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하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탄산 칼슘, 산화티탄, 산화규소, 불화칼슘, 불화리튬, 알루미나, 황산 바륨, 지르코니아, 인산 칼슘,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금속 나노입자 등이다. 무기 또는 유기의 입자의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 없고,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전체 100질량%에 대하여 0질량%라도 문제없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어도 한면에 젤라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키토산 및 합성 폴리펩티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생체 흡수성 재료층을 더 형성해도 좋다.
<수용성 수지(A), 수용성 수지(E)>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용성 수지(A) 및 수용성 수지(E)는 물, 온수나 생리식염수, 글루코오스 용액 등의 수용액에 용해 가능한 고분자 물질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공중합체, 덱스트란, 아가로오스, 풀루란, 키토산, 만난, 카라기난, 알긴산, 전분류(산화전분, 에테르화전분, 덱스트린 등),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펙틴, 렌티난, 히알루론산, 하이란, 셀룰로오스 유도체(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등의 다당류, 젤라틴, 콜라겐, 엘라스틴, 알부민, 헤모글로빈, 트랜스페린, 글로불린, 피브린, 피브리노겐, 케라틴황산 등의 폴리펩티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술포이소프탈산 등의 극성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그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중합체, 아크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각종 중합체를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메틸올기 등의 관능기로 변성한 중합체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 비용, 입수의 용의함 및 위생성의 관점에서 폴리비닐알콜 및 풀루란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콜은 폴리아세트산 비닐의 비누화물이며, 비누화도는 80㏖%~99.9㏖%가 바람직하고, 85㏖%~98㏖%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콜의 비누화도가 99.9㏖%를 초과할 경우에는 얻어지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물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지만, 섬유 구조체(B)의 용해 시간을 조정하는 등 목적에 따라서 수용성 수지(A), 수용성 수지(E)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콜에는 폴리비닐알콜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폴리비닐알콜 공중합체로서는 비닐 알콜 단위가 80㏖%~98㏖%가 바람직하고, 85㏖%~98㏖%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누화도란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공중합체가 갖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 알콜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와 비닐 알콜 단위의 합계 ㏖수에 대하여, 해당 비닐 알콜 단위의 ㏖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또한, 비누화도는 JIS K6726:1994에 준해서 측정할 수 있다.
풀루란은 통상, 입수의 용이함 및 가격의 점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전분 분해물을 함유하는 배지 중에서 오레오바시듐속 등의 효모를 배양함으로써 제조된 풀루란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하야시바라쇼지 판매의 풀루란(상품명 『풀루란 PI-20』 및 『풀루란 PF-20』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풀루란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치환도의 에스테르화 등의 수식을 실시하거나 하여 유도체화한 말토트리오스를 반복 단위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풀루란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통상, 5,000달톤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달톤 이상 1,000,000달톤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달톤 이상 500,000달톤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풀루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선택함으로써,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소망의 붕괴 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배합하는 다른 성분에도 의하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달톤 미만이면 시트상의 피막 형성이 어렵게 될 경우가 있고, 1,000,000달톤을 초과하면 수성 용매에의 용해 속도가 지나치게 작아질 경우가 있다.
수용성 수지(A) 또는 수용성 수지(E)를 구성하는 수용성 폴리머의 평균 중합도는 100~5,000이 바람직하고, 200~2,500이 보다 바람직하며, 400~1,8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평균 중합도란 수평균 중합도이다. 평균 중합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쉽고, 또한 도막으로서의 기계 강도가 높으며, 또한 수용액에 대한 재용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폴리비닐알콜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1994의 기재에 준해서 측정한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균 중합도가 다른 2종류 이상의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도막으로서의 높은 기계 강도와 수용액에 대한 재용해성에 추가해서, 기재 필름과의 밀착성 및 폴리락트산계 수지와의 밀착성도 양호한 도막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100~800인 저중합도의 수용성 폴리머와, 평균 중합도가 1,000~2,500인 고중합도의 수용성 폴리머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중합도의 수용성 폴리머는 평균 중합도가 300~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중합도의 수용성 폴리머는 평균 중합도가 1,300~1,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각종 첨가제가 수용성 수지(A)의 전체 100질량% 또는 수용성 수지(E)의 전체 100질량%에 대하여 30질량% 이하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하한값은 특별히 제한 없고, 0질량%라도 문제없다. 상기 각종 첨가제로서는 산화방지제, 내후제, 열안정제, 활제, 결정핵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무기 또는 유기 입자가 20질량% 이하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하한값은 특별히 제한 없고, 0질량%라도 문제없다. 예를 들면, 탄산 칼슘, 산화티탄, 산화규소, 불화칼슘, 불화리튬, 알루미나, 황산 바륨, 지르코니아, 인산 칼슘,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금속 나노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형성해도 좋다.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형성함으로써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적층체로서 외부로부터의 응력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이며, 적층체로서의 취급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두께는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에 대한 접착 강도나 적층체로서의 취급성, 피착체에의 형상 추종성의 관점에서 0.01㎛~15㎛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보다 얇아지면 섬유 구조체(B)와의 접착이 약해짐으로써 적층체로서 취급하기 어려워질 경우가 있고, 15㎛를 초과하면 피착체에 부착했을 때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물에의 재용해에 시간이 걸리고, 생분해성 수지와 분리하기 어려워져 피착체에의 밀착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다.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는 포백 상태는 물론, 띠 형상물, 끈 형상물, 실 형상물 등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포백으로서는, 직물, 편물,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복합 재료라도 좋다.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부직포라면 특별히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건식법, 습식법, 멜트블로법, 스펀본드법 등을 이용하여 플리스를 형성하고, 케미컬 본드법, 서멀 본드법, 니들 펀치법, 수류 낙합법 등을 이용하여 섬유간 결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에 사용되는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물에 대한 용해성, 섬유 강도의 관점에서 0.00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직경을 100㎛ 이하로 함으로써 충분한 유연성이나 형상 기억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한편, 평균 섬유 직경을 0.001㎛ 이상으로 함으로써 방사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제사할 수 있고, 0.1㎛ 이상이면 방사시의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에 사용되는 섬유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종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의 단위중량(후술하는 보강층을 제외한 부분)은 1g/㎡~1,0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중량을 바람직하게는 1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g/㎡ 이상으로 함으로써 섬유 구조체(B)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의 접합시의 신장에 의한 가공 불균일,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단위중량을 바람직하게는 40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g/㎡ 이하로 함으로써, 섬유 구조체(B)를 롤 형상으로 했을 때의 취급성이 용이해지고, 또한 섬유 구조체(B)의 쿠션성을 적절하게 억제하여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의 접합시에 있어서 압박압을 섬유 구조체(B) 표면에 적당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접합 가공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의 두께(후술하는 보강층을 제외한 두께)는 0.1㎛~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를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으로 함으로써 섬유 구조체(B)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의 접합시의 신장에 의한 가공 불균일,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두께를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로 함으로써 섬유 구조체(B)의 쿠션성을 적절하게 억제하고,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의 접합시에 있어서 압박압을 섬유 구조체(B) 표면에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접합 가공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는 수용성 수지를 포함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성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피착체에 부착한 후에 물 등의 수용액으로 섬유 구조체(B)를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수용성 수지(A)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는 한쪽 면에 물(약 0.04ml)을 적하시키고나서, 섬유 구조체(B)의 다른쪽 면에 물이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 10초~5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다른쪽 면에 물이 도달한다는 것은 섬유 구조체(B)의 다른쪽 면의 섬유가 용해되어, 섬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이 용해된 것을 말한다. 10초 이상이면 수분이나 혈액 등의 존재 하에서 있어서, 취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착 방지재의 지지체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조직에 부착할 때까지 일정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분 이상이다. 한편, 5분 이하이면 조직에 부착한 후에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장시간의 내수성을 부여시키기 위해서는 최외층 등의 수불용성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고단위중량화나 고밀도화하는 것 등의 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지만, 그 경우, 촉감이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3분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분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에는 섬유 구조체(B)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의 접합면의 다른쪽 면에 보강층을 갖는 구조로 해도 좋다. 보강층으로서는 직물, 편물, 부직포(종이를 포함함), 플라스틱 필름, 금속 박막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구조체(B)는 프레스 등의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프레스 처리는 부직포를 얻는 공정 후부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의 접합 후의 어느 공정 사이에서 처리해도 좋다. 프레스시의 세트성을 높이기 위해서, 열 프레스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후술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항에 있어서의 기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재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재, 또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재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재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6,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또는 그 비누화물,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콜,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및,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의 밀착성과 적층막으로서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기재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표면의 젖음 장력이 높기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또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도막층으로서 형성하기 전에, 기재 필름에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은 미연신 필름, 1축 연신 필름, 2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치수 안정성 및 기계 특성의 관점에서 2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필름에는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내후제, 열안정제, 활제, 결정핵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등이다. 또한, 현저하게 표면 평활성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이면, 무기 또는 유기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탈크, 카올리나이트, 탄산 칼슘, 산화티탄, 산화규소, 불화칼슘, 불화리튬, 알루미나, 황산 바륨, 지르코니아, 마이카, 인산 칼슘,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등이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0.0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5㎛이다. 또한, 여기에서 평균 입자 지름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10,000㎛~100,000배의 사진을 촬영하여, 수평균에 의해 구한 입자 지름이다.
또한, 이들 기재 필름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한은 제한 없이 100%에 가까워도 문제없다. 기재 필름의 헤이즈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20%를 초과하면, 적층된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및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에 포함되는 불순물에 대한 광학 검사기에 의한 검사 확인이 어렵게 될 경우가 있다. 헤이즈의 하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제한 없이 0%에 가까워도 문제없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1,000㎛가 바람직하고, 경제성의 관점에서 10㎛~5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이어서, 본 발명의 적층체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기재가 되는 기재 필름 상에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및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을 형성, 또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단막을 형성한다.
(2) 형성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이 있는 경우에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적층막]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한다.
(3) 형성·박리한 막과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를 접합하여 적층하고, 고정한다. 이 적층시에, 형성·박리한 막과 섬유 구조체(B) 사이에 물 또는 수용액을 부여(예를 들면, 분무에 의해 부여함)한다.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막의 작성 방법]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막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이 생각된다.
(1)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박리한 후,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수용액에 용해하여 제거함으로써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단막을 얻는 방법.
(2)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을 수용액에 침지하고,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용해하여 제거함으로써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단막을 얻는 방법. 여기에서 수용액으로서는 생리식염수, 글루코오스 용액 등 여러 가지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3) 평활한 기재 필름에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적층하고, 기재 필름으로부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기계적으로 박리함으로써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단막을 얻는 방법. 단,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얇아 가공이 곤란해질 경우나, 핀홀 등의 결점이 발생하기 쉬워질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에서의 작성이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적층막의 작성 방법]
1.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
기재의 편면에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및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순으로 적층한다.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라비아 코팅, 다이렉트립 코팅, 슬롯 코팅, 콤마 코팅, 잉크젯, 실크 스크린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리판, 금속판,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경제성의 관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표면평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기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의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2축 연신 필름 제막 공정 후에 코트하는 오프라인 코트, 2축 연신 필름 제막 공정 내에서 코트하는 인라인 코트의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인라인 코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름이 열고정되기 전에 코팅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이란, 연신된 필름을 연신 온도보다 높고, 또한 필름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필름을 결정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미연신 필름,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의 1축 연신 직후의 필름 또는 2축 연신 직후의 필름에 대한 코팅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축 연신 직후의 필름에 대한 코팅이며, 그 후 필름을 1축 이상으로 더 연신, 열고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막의 건조 방법은 열 롤 접촉법, 열매(공기, 오일 등) 접촉법, 적외선 가열법, 마이크로파 가열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 상에 오프라인 코트로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고속으로 박막 코트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도막의 구성 성분을 각종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스프레이 코트, 키스 코트, 콤마 코트, 다이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또는 메탈링바 코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은 도포 전에 접착 촉진 처리, 예를 들면, 공기 중, 질소 가스 중, 질소/탄산 가스의 혼합 가스, 기타 분위기 하에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 감압 하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앵커 처리제를 사용하여 앵커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도막의 건조는 오프라인 코트의 경우에는 60℃~180℃, 인라인 코트의 경우에는 80℃~250℃의 범위 내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6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3초~30초이다.
폴리락트산계 수지 도막의 건조는 오프라인 코트의 경우에는 60℃~110℃, 인라인 코트의 경우에는 80℃~180℃의 범위 내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6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3초~30초이다.
2.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기재의 단리
이어서, 기재와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계면을 기계적으로 박리하여,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을 얻는다.
3. 적층막의 지지체로의 고정
또한, 얻어진 단막 또는 적층막을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지지체가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리판, 금속판,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경제성의 관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표면 이형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4.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또는 섬유 구조체(B)의 표면의 용해
이어서,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또는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에 수용액을 도포하여, 표층의 일부를 용해시킨다. 또한,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은 이 공정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어도 상관없다.
수용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순수, 알콜 수용액, 미네랄 분산액, 약제 분산 수용액 등을 들 수 있지만, 경제면에서 순수가 바람직하다.
5.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고정
단막 또는 적층막과 섬유 구조체(B)의 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에 있어서의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표면, 또는 섬유 구조체(B)에 물 또는 수용액을 분사하여 용해시켜서, 용해시킨 면과 각각의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면측을 접촉시켜서 용착시키는 방법이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로 하고나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 표면에 물 또는 수용액을 분사한 후, 섬유 구조체(B)와 접촉시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에 접촉하는 섬유 구조체(B)의 표면을 녹여서 접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물 또는 수용액의 분무 방법]
상기 물 또는 수용액의 분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프레이나 샤워 등의 분무기를 이용하여 액체를 미세한 형상으로 광범위하게 균일 분산할 수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축압식 스프레이, 노즐 스프레이법(2류체 노즐, 3류체 노즐, 4류체 노즐), 잉크젯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합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하기 2종류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방법 A: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막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이 각각의 평판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접합하는 방법
접합 방법 B: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막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을 포개어 2개의 롤 사이에 끼워서 접합하는 방법.
[수용성 수지(A)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도포제]
수용성 수지(A)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도포제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포함하는 층의 적층막과,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를 접합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수지(A)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도포제로서는, 구성 성분이 균일하게 용해된 용액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물 또는 물과 저급 알콜의 혼합 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과 저급 알콜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수지(A)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도포제의 고형분 농도는 도포제의 점도, 건조 효율, 도포성 등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15질량%를 초과하는 고농도 도포제를 사용하면 용액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질 경우가 있다. 1.0질량% 미만의 저농도 도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포제의 용매에 물과의 친화성이 있는 휘발성이 높은 저비점 용매를 첨가하는 방법, 도막의 건조를 물의 비점 이상의 온도에서 행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또한, 도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수용성 수지(A)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도포제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이면, 혼합 용매 중에 제 3 성분으로서 다른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n-부틸셀로솔브 등의 글리콜 유도체, 글리세린, 왁스류 등의 다가 알콜류,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산 용액의 pH는 용액의 안정성의 점에서 2~11이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제로서는, 구성 성분이 균일하게 용해된 용액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부틸알콜,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아세트산 에틸, 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단일 용매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산성, 취급성의 관점에서 아세트산 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제의 고형분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제의 점도, 건조 효율, 도공성 등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제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이면, 용액 중에 제 3 성분으로서 다른 유기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포제의 조제 방법]
수용성 수지(A)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도포제 및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제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교제, 입자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도포제 중에서 수지와 상기 첨가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히터 등으로 용매의 온도를 높여서 수지의 용해도를 높이거나, 전단력,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호모믹서, 제트 아지터, 볼밀, 비드밀, 니더, 샌드밀, 3단 롤러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강제 분산 처리를 하거나 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적층체의 사용 방법]
복강 수술에 있어서는 복강에 작은 구멍을 뚫고, 내시경을 이용하여 행하는 편이 개복 수술보다 인체에 부담이 적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적층체는 트로카 등의 가는 통 형상 용기를 통해서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부착되게 된다. 그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적층체는 트로카의 통과성 및 트로카를 통과한 후의 적층체의 전개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내시경을 사용한 수술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여기에서 말하는 전개성이 양호하다란, 트로카 등에 일단 밀어넣어진 적층체가 트로카 등을 통과한 후, 용이하게 겸자 등으로 원래대로 펼쳐지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1)의 적어도 한면에, 소정 두께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2)을 1층 이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3)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사용 방법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즉, 통 형상 용기(5)의 한쪽의 개구부로부터 밀어넣음 지그(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3)를 용기(5) 내부로 밀어넣고, 다른쪽의 개구부로부터 적층체(3)를 송출하여 적층체(3)를 피착체(6)의 표면에 부착한 후, 적층체(3)에 액체를 도포하여 섬유 구조체(B)(1)(도 1에 도시)를 용해시킴으로써 섬유 구조체(B)를 제거하고,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2)(도 1에 도시)을 피착체(6)의 표면에 남도록 한 적층체의 사용 방법이다.
[용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체는 생체 내나 수분이 부착되는 환경 하에서도 사용 가능한 창상피복막, 유착 방지막 등의 의료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에 대한 실시예, 비교예(실시예 1~12, 비교예 1~8)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한 실시예, 비교예(실시예 13~16, 비교예 9~13)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한 특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섬유 구조체(B)의 단위중량
단위중량은 JIS L 1096 8.3.2(1999)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했다.
(2) 적층체, 섬유 구조체(B),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
적층체의 상태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는, 우선 다이얼 티크니스 게이지((주)오자키세이사쿠쇼제, 상품명: 피콕크 H, 눈금 간격 0.01㎜, 측정력 1.8N 이하)를 사용하여 각 샘플을 10점 측정한 평균값을 적층체의 총 두께로 했다. 단, 총 두께가 0.05㎜ 미만인 경우에는, 보다 정밀도가 높은 다이얼 티크니스 게이지(테크록사제 SM-1201L, 눈량 0.001㎜, 측정력 1.5N 이하)를 사용했다.
이어서,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서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마이크로톰으로 작성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키엔스사제 VE-7800형)을 사용하여 각 관찰층이 시야각의 10%~90%로 제한되도록 배율을 2,500배~100,000배의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정하여 관찰했다. 각 층의 두께는 동일 샘플의 다른 10점의 단면을 측정한 평균값으로 했다. 각 층의 두께가 0.1㎛ 이하로 되어 상기 방법으로 관찰이 어려운 경우에는,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니폰덴시사제, JEM-2100)을 사용해서 배율을 500,000배~1,000,000배로 하여 마찬가지로 관찰했다. 그래도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관찰 화상을 보존하고, 그 화상을 적당하게 확대(예를 들면, A3 사이즈로 인쇄하는 등)하여 두께를 판단했다. 섬유 구조체(B)의 두께는 적층체 총 두께로부터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및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뺀 것으로 했다. 또한, 보강층을 갖는 경우의 섬유 구조체(B)의 두께는 적층체 총 두께로부터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및 보강층의 두께를 뺀 것으로 했다. 즉, 보강층을 갖는 경우의 섬유 구조체(B)의 두께는, 보강층의 두께를 포함하지 않는 섬유 구조체(B)만의 두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3) 섬유 구조체(B)의 용해성 평가
시험편의 표면으로부터 뷰렛의 선단까지가 10㎜의 높이가 되도록 조정했다. 뷰렛으로부터 물을 1방울(약 0.04ml), 섬유 구조체(B)의 시험편의 한쪽 면에 적하시켰을 때를 개시 시간으로 하고, 물이 다른쪽 면까지 침투해서 용해되었을 때를 종료 시간으로 하여, 개시 시간으로부터 종료 시간까지 요하는 시간을 측정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용해란, 섬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이 무너지는 것으로 하고, 다방면에서 육안 확인해서 판단한다. 용해 종료까지 요한 시간이 10초 이상 5분 미만의 경우에는 A, 5분 이상의 경우에는 B, 10초 미만의 경우에는 C라고 했다.
(4) 작업성
(a) 끈적임
Si 고무(쿄와코교제, 경도 20도, 3㎝×1㎝)를 2매 준비하고, 온도 23±5℃, 상대습도 65±20% 환경 하에서 2매의 Si 고무 표면에 순수가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각각 1매당 5㎎이 되도록 분사했다.
그 후, 5㎝×5㎝의 시험편을 2매의 습한 Si 고무로 1초간, 5N의 힘으로 집어 Si 고무의 장척측이 지면에 직교하도록 공중에 유지하여 한쪽의 Si 고무를 고정하고, 다른쪽의 Si 고무를 지면과 수평으로 1.5m/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에, 시험편이 Si 고무에 부착되지 않고 낙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했다. Si 고무로부터 떨어져서 낙하한 경우에는 A, Si 고무에 부착되어 낙하하지 않고 시험편에 파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B, Si 고무에 부착되어 낙하하지 않고 시험편에 파괴가 일어난 경우에는 C라고 했다.
(b) 트로카 통과성
9㎝×12㎝의 시험편과 일반적인 복강경 수술에서 사용되는 트로카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유연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트로카 및 송출봉은 하기 (i), (ii)를 사용했다. 송출은 트로카 구멍 부분에 시험편인 폴리락트산 수지를 포함하는 층(C)측이 닿도록 설치하고, 밀어넣기, 트로카를 통과하는지의 여부, 또한 통과한 후, 손으로 시험편을 펼쳐서 원래대로 전개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했다. 또한, 수술 중의 사용도 상정하여 트로카 내를 적시는 시험도 실시했다. 또한, 트로카를 통과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는 전개성의 평가는 할 수 없었다.
(i) 트로카: 코비엔사제 바 서포트TM V2, 5㎜ 쇼트(구멍: φ5㎜, 통 길이 9㎝)
송출봉: 선단에 반구상(φ2㎜)의 Si 고무(쿄와코교제, 경도 20도, 3㎝×1㎝)를 접착한 φ2㎜의 아크릴 봉
(ii) 트로카: 코비엔사제 VERSASEAL*PLUS 12㎜(구멍: 12㎜, 통 길이 13㎝)
송출봉: 선단에 반구상(φ3㎜)의 Si 고무(쿄와코교제, 경도 20도, 3㎝×1㎝)를 접착한 φ3㎜의 아크릴 봉
평가는 표 1과 같이 했다.
평가 A: 조건 1을 충족시킨 것(조건 2 이후의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평가 B: 조건 1은 충족시키지 않았지만, 조건 2를 충족시킨 것(조건 3 이후의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평가 C: 조건 1, 2는 충족시키지 않았지만, 조건 3을 충족시킨 것(조건 4 이후의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평가 D: 조건 1~3은 충족시키지 않았지만, 조건 4를 충족시킨 것(조건 5의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평가 E: 조건 1~4를 충족시키지 않았지만, 조건 5를 충족시킨 것.
Figure 112016097982826-pct00001
(c) 재부착성
100㎎의 순수를 분무하여 적신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라"(등록상표) #100T60, 사이즈 5㎝×5㎝)에 시험편(사이즈 10㎝×10㎝)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측을 부착하고, 5초간 그 상태를 유지했다.
그 후, 접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고, 시험편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을 A, 박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한가운데에 시험편 내에서 박리나 30% 이상 면적이 수축해버린 경우에는 B로 하고, 끊어지고 떨어지는 등의 파괴가 있어 박리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C라고 했다.
(5) 밀착성-1(실시예 1~12, 비교예 1~8)
100㎎의 순수를 분무하고, 적신 PET 필름(토레이(주)제, "루미라"(등록상표) #100T60, 사이즈 5㎝×5㎝)의 중앙에 시험편(사이즈 3㎝×3㎝)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측을 부착하고, 10초간 건조한 Si 고무(쿄와코교제, 경도 20°, 3㎝×1㎝)로 압박해서 밀착시켰다. 그 후, PET 필름과 함께 시험편을 저면이 12㎝×5㎝인 용기에 옮기고, 시험편 상부로부터 12g의 순수를 살짝 투입하여 섬유 구조체(B)를 용해, 제거했다. 이어서, PET 필름과 함께 시험편을 용액 중에서 인출하여 온도 25℃, 상대습도 90% 환경의 항온 항습조(에스팩(주)사제 LHU-113) 내에서 세로 배치한 상태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여분의 수분을 시험편으로부터 제거했다.
계속해서, PET 필름과 함께 시험편을 항온 항습기로부터 인출하고, 맨손으로 PET 필름과 시험편이 박리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어긋나지 않은 것을 A, 어긋난 것을 B, 팽윤하여 시험편이 어긋나 있거나, 신장되어 있는지 확인이 되지 않은 것을 C라고 했다.
(6) 외관
적층체를 육안 평가했다. 평가 지표는 하기와 같다.
평가 A: 평면성이 양호하여 처짐, 주름, 용해 부분은 보이지 않는다.
평가 B: 평면성이 나쁘고, 경미한 처짐, 주름, 용해 부분이 보인다.
평가 C: 평면성이 나쁘고, 대부분에 처짐, 주름, 용해 부분이나 구멍이 보인다.
(7) 밀착성-2(실시예 13~16, 비교예 9~13)
양손을 사용해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단막 또는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과 섬유 구조체(B)를 분리해 감응 평가했다. 평가 지표는 하기와 같다.
평가 A: 단막 또는 적층막과 섬유 구조체(B)의 분리가 곤란하며, 단막 또는 적층막, 섬유 구조체(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전면적으로 재료 파괴를 발생시킨다.
평가 B: 단막 또는 적층막과 섬유 구조체(B)의 분리가 약간 곤란하며, 단막 또는 적층막, 섬유 구조체(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분적으로 경미한 재료 파괴를 발생시킨다.
평가 C: 단막 또는 적층막과 섬유 구조체(B)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단막 또는 적층막, 섬유 구조체(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분적으로 경미한 재료 파괴를 발생시킨다, 또는 재료 파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8) 환경 부하(유기 용제 사용량)(실시예 13~16, 비교예 9~13)
평가 지표는 하기와 같다.
평가 A: 접합 작업시의 유기 용제 사용량이 5g/㎡ 미만
평가 B: 접합 작업시의 유기 용제 사용량이 5g/㎡ 이상 100g/㎡ 미만
평가 C: 접합 작업시의 유기 용제 사용량이 100g/㎡ 이상.
(9) 접합 작업성(가열 온도)(실시예 13~16, 비교예 9~13)
평가 지표는 하기와 같다.
A: 접합 작업시에 50℃ 이상의 가열체를 사용하지 않는다.
B: 접합 작업시에 50℃ 이상 100℃ 미만의 가열체를 사용한다.
C: 접합 작업시에 100℃ 이상의 가열체를 사용한다.
실시예 1~12, 비교예 1~8에 사용한 재료와, 실시예 13~16, 비교예 9~13에 사용한 재료 및 장치의 각각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12, 비교예 1~8에 사용한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한 기재 필름]
(PET-1):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라"(등록상표) 타입: T60, 두께 100㎛).
[사용한 폴리락트산계 수지]
(PLA-1):
폴리 D-락트산량 50㏖%, 융점 없음(비정질), PMMA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40만의 폴리 L-락트산-D-락트산 공중합계 수지.(PURAC사제 PURASORB PDL20).
(PLA-2):
폴리 D-락트산량 1.4㏖%, 융점 150℃, PMMA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22만의 폴리 L-락트산계 수지.(Nature Works사제 4032D).
[사용한 수용성 수지(A), 수용성 수지(E)]
(풀루란-1)
수평균 분자량 약 200,000달톤, 점도 100~180㎟/초(온도 30℃, 고형분 농도 10질량% 수용액)의 풀루란(가부시키가이샤 하야시바라쇼지 판매 풀루란 PI-20).
(PVA-1)
비누화도 96.5㏖%, 점도 27.5mPa·s(4질량% 수용액, 20℃)의 폴리비닐알콜(니혼사쿠비·포발(주)사제 JM-17).
(젤라틴-1)
젤라틴 분말(니타젤라틴(주)사제, 의료용).
(콜라겐-1)
돼지 유래 콜라겐 분말(니혼햄(주)사제, SOFD 타입).
[사용한 섬유 구조체(B)]
(구조체-1)
수용성 수지(A)로서 풀루란-1을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50g/㎡, 두께 30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구조체-2)
수용성 수지(A)로서 풀루란-1을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1g/㎡, 두께 1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구조체-3)
수용성 수지(A)로서 PVA-1을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30g/㎡, 두께 30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구조체-4)
수용성 수지(A)로서 풀루란-1을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200g/㎡, 두께 1,00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구조체-5)
수용성 수지(A)로서 풀루란-1을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1,000g/㎡, 두께 5,00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구조체-6)
수용성 수지(A)로서 풀루란-1을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1,500g/㎡, 두께 6,00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구조체-7)
수용성 수지(A)로서 콜라겐-1을 사용해서 습식 방사 방식으로 단위중량 10g/㎡, 두께 8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구조체-8)
수용성 수지(A)로서 풀루란-1을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300g/㎡, 두께 1,70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이어서, 실시예 13~16, 비교예 9~13에 사용한 재료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한 기재 필름]
(PET-1)(상술과 같은 기재 필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라"(등록상표) 타입: T60, 두께 100㎛).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에 사용한 수지]
(PLA-3)
폴리 D-락트산량 12㏖%, 융점 150℃, PMMA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22만의 폴리 L-락트산계 수지(NatureWorks사제 4060D).
[사용한 수용성 수지(A)]
(PVA-2)
비누화도 88㏖%, 점도 5mPa·s(4질량% 수용액, 20℃)의 폴리비닐알콜(니혼고세이가가쿠코교(주)사제 "고세놀"(등록상표)EG-05P).
[사용한 섬유 구조체(B)]
PVA-2를 사용해서 멜트 블로 방식으로 단위중량 30g/㎡, 두께 300㎛의 부직포를 작성했다. 사이즈 100㎜×100㎜가 되도록 샘플링했다.
[부여되는 수용액으로서의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F)]
가온식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하여 PVA-2를 물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1질량%의 수용성 수지 에멀젼액을 작성했다.
[접합 방법 A에 사용한 평판]
(평판-1)
두께 5㎜, 사이즈 300㎜×300㎜, 표면 처리 2B의 SUS304판을 사용했다.
[접합 방법 B에 사용한 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심재가 알루미늄, 표면 재질이 니트릴고무(NBR, 경도 30도)인 직경 5㎝, 폭 30㎝, 질량 1㎏의 고무롤 2개(11, 12)를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회전 방향(13)) 축을 고정했다. 상방의 롤(11)은 하방의 롤(12)에 대하여 자체 중량만이 가해지도록 축이 상하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했다.
[접합에 사용한 분무기]
축압식 스프레이(마루하치산교사제)를 사용했다.
(실시예 1)
가온식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하여 수용성 수지로서 풀루란-1을 물에 용해하고, 수용성 수지 에멀젼액을 작성하여 기재 필름 PET-1의 편면에 애플리케이터법으로 건조 후의 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포하고, 열풍 건조식 드라이어 내에서 90℃에서 20초간 건조하여 기재 필름 상에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작성했다.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으로서 PLA-1을 아세트산 에틸에 용해한 용액을, 메탈링바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50㎚가 되도록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 상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식 드라이어 내에서 80℃에서 20초간 건조하여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형성하여 적층막을 작성했다.
수용성 수지(E)와 폴리락트산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하고,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에 분무로 순수를 5g/㎡가 되도록 도포한 후, 신속하게 구조체-1과 접합했다. 얻어진 구조체와 적층막이 적층된 적층체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3)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10㎚,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가 되도록 작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4)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500㎚,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가 되도록 작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5)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막 두께가 0.01㎛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6)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7)
섬유 구조체(B)를 구조체-1이 아닌 구조체-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8)
섬유 구조체(B)를 구조체-1이 아닌 구조체-3으로 하고,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에 PVA-1을 사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3㎛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9)
섬유 구조체(B)를 구조체-1이 아닌 구조체-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10)
섬유 구조체(B)를 구조체-1이 아닌 구조체-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11)
섬유 구조체(B)를 구조체-1이 아닌 구조체-8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실시예 12)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500㎚,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가 되도록 작성하고, 얻어진 적층막을 수세하여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제거했다. 또한, 순수를 도포하는 개소를 구조체-1의 4모서리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1)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1,0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형성하고, 적층막을 작성했다. 그 후,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에 PLA-2를 사용하기 위해서 PLA-2를 가온한 아세트산 에틸(60℃-90℃)에 용해하려고 했지만, PLA-2가 아세트산 에틸에 용해되지 않아 도공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대신에 젤라틴-1 층을 형성하고 그 두께를 1,0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젤라틴층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4)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1,000㎚로 하고,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의 두께를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5)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1,000㎚로 하고, 섬유 구조체(B)를 구조체-1이 아닌 구조체-6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6)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두께를 1,000㎚로 하고,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콜라겐-1로 하며, 섬유 구조체(B)를 구조체-1이 아닌 구조체-7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7)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대신에 풀루란층을 형성하고 그 두께를 3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섬유 구조체(B)와 풀루란층이 적층된 적층체를 작성했다.
(비교예 8)
수용성 수지(E)와 폴리락트산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한 때에 작업을 종료하고, 섬유 구조체(B)와 접합 작업을 미실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적층막을 작성했다.
실시예 1~12, 비교예 1~8의 특성 결과를 표 2~5에 기재한다.
Figure 112016097982826-pct00002
Figure 112016097982826-pct00003
Figure 112016097982826-pct00004
Figure 112016097982826-pct00005
실시예 1~12에서는 섬유 구조체(B)의 용해성, 끈적임, 트로카 통과성, 재부착성, 밀착성의 평가는 양호했다. 비교예 1~8의 어느 하나의 항목에서 불량한 점이 있었다. 특기해야 할 점에 대해서 기재한다.
트로카 통과성에 관해서, 비교예 3, 7에서는 트로카 구멍 설치면이 비수용성 수지(폴리락트산 수지)가 아닌 수용성 수지(젤라틴, 풀루란)로 되었기 때문에, 트로카 내에 수분이 있던 경우에는 수지층이 팽윤하고, 찢어져서 통과 불가가 되었다. 또한, 비교예 8에서는 막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찢어져 버려 통과 불가였다.
밀착성에 관해서, 비교예 3, 7에서는 적층체 전체가 수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팽윤하여 밀착성은 C 판정이 되었다. 또한, 비교예 4, 5에서는 각각 청구범위 외의 구성 두께가 되고, 수용성 수지가 전부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밀착성은 B 판정이 되었다.
(실시예 13)
가온식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하여 PVA-2를 물에 용해하고, 수용성 수지 에멀젼액을 작성하여 PET-1의 편측에 메탈링바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포하고, 열풍 건조식 드라이어 내에서 90℃에서 20초간 건조하여 PET-1 상에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D)을 작성했다.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으로서 PLA-3을 아세트산 에틸에 용해한 용액을, 메탈링바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500㎚가 되도록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D) 상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식 드라이어 내에서 70℃에서 20초간 건조하여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형성했다.
PET-1,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D),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적층된 평면 구조체를 사이즈 100㎜×100㎜가 되도록 샘플링하고, 순수에 침지하여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D)을 용해시켜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를 얻었다.
이하의 작업은 상온 상습(20℃±15℃, 65%RH±20%RH) 환경에서 실시했다.
평판-1을 2매 사용하여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각각의 평판의 표면에 고정하고, 섬유 구조체(B)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100㎜×100㎜의 기재 표면 전체에 순수를 5g/㎡가 되도록 분무했다. 그 후,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네개의 모서리의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신속하게 접합했다. 평가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았다.
(실시예 14)
이하의 작업은 상온 상습(20℃±15℃, 65%RH±20%RH) 환경에서 실시했다.
PET-1(300㎜×300㎜)을 2매 사용하여, 섬유 구조체(B)와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얻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를 각각 PET-1의 표면에 고정했다. 이어서, PET-1에 고정한 섬유 구조체(B)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100㎜×100㎜의 섬유 구조체(B)의 표면 전체에 순수를 5g/㎡가 되도록 분무했다. 그 후,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네개의 모서리의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신속하게 2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접합했다(도 4).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11은 상방 롤, 12는 하방 롤, 13은 회전 방향, 14는 PET-1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평가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았다.
(실시예 15)
이하의 작업은 상온 상습(20℃±15℃, 65%RH±20%RH) 환경에서 실시했다.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건조 후의 두께를 1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얻은 평면 구조체를 이용하여,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과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D)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을 PET-1로부터 물리적으로 박리했다. 이어서, 박리한 적층막을 사이즈 100㎜×100㎜가 되도록 샘플링하고, 적층막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평판-1측이 되도록 고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합했다. 평가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았다.
(실시예 16)
이하의 작업은 상온 상습(20℃±15℃, 65%RH±20%RH) 환경에서 실시했다.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해서 얻은 적층막을 사이즈 100㎜×100㎜가 되도록 샘플링하고, 적층막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PET-1측이 되도록 고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접합했다. 평가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았다.
(참고 실시예 17)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얻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를 얻었다. 이어서, 메탈링바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막 두께가 3㎛가 되도록 우레탄계 접착제(미츠이카가쿠(주)제, 주제: "타케락"(등록상표) A3210, 경화제: "타케네트"(등록상표) A3070)를 아세트산 에틸로 희석해서 고형분 농도 30질량%로 한 용액을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일면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식 드라이어 내에서 70℃에서 20초간 건조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했다.
그 후,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네개의 모서리의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또한 접착제층이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로 해서 신속하게 2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접합했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이상 에이징했다. 평가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았다.
열풍 건조식 드라이어 내에서의 접착제층의 건조시에 수축이 발생하여 적층체의 외관은 나빴다. 또한, 유기 용제 사용량은 5g/㎡를 초과하고 있었다.
(참고 실시예 18)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해 40℃로 냉각시킨 한쌍의 캐스팅 드럼과 폴리싱 롤 및 용융 압출기를 이용하여 PLA-3을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고 구금 온도를 210℃로 설정한 T다이 구금으로부터 토출해서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킨 후, 즉시 폴리싱 롤의 표면에 얹은 섬유 구조체(B)와 접합하고 냉각시켜 와인더로 권취했다. 평가 결과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얻어진 적층체는 섬유 구조체(B)의 섬유가 열에 의해 밀착되어 형상이 악화되어 있었다.
(참고 실시예 19)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를 얻었다. 이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포갠 후,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180℃(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융점+ 약 10℃에 상당)로 가열한 한쌍의 가열 드럼과 닙롤 사이를 통과시켰다. 평가 결과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얻어진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융해하여 층 구조를 이룰 수 없었다.
(참고 실시예 20)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를 얻었다. 이어서, 2매의 이형 필름에 끼워진 두께 50㎛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이형 필름으로부터 박리하고,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끼워,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2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접합했다. 평가 결과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구조체(B)가 점착제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됐다.
(참고 실시예 21)
이하의 작업은 상온 상습(20℃±15℃, 65%RH±20%RH) 환경에서 실시했다.
참고 실시예 17과 마찬가지로 해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단체를 얻었다. 이어서,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각각 단체를 포개고, 금속 바늘의 선단을 향해서 하향으로 넓어지는 복수의 가시가 있는 직경 1㎜의 가시가 있는 바늘을 섬유 구조체(B)의 섬유의 일부를 가시에 긁혀서 밀어넣도록 섬유 구조체(B)측에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측으로 일단 관통시키고, 그 후에 바늘을 살짝 뽑아서 뚫린 구멍으로부터 섬유 구조체(B)의 일부를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면에 노출시켰다. 마찬가지로 작업을 구멍의 중심간 거리가 균일해지도록 5㎜ 간격으로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 및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Figure 112016097982826-pct00006
Figure 112017013101514-pct00012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의 적어도 한면에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이 1층 이상 적층된 적층체로, 유연하고 곡면인 피착체에 대한 추종성, 밀착성, 피복성이 뛰어나고, 또한 피부, 내장 등의 장기 등으로의 적합성이 뛰어나며, 또한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으로부터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를 수용액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창상피복재, 유착 방지재, 스킨케어 용품 등의 피부 외용재로서 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섬유 구조체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접합해서 고기능화를 도모한 제품, 예를 들면 수술복, 습포제, 인공 피부 등의 의료 제품, 기저귀, 거즈, 반창고 등의 위생용품 등의 제조에 최적이다.
1 : 수용성 수지(A)를 포함하는 섬유 구조체(B)
2 :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3 : 적층체 4 : 밀어넣음 지그
5 : 통 형상 용기 6 : 피착체
11 : 상방 롤 12 : 하방 롤
13 : 회전 방향 14 : PET-1

Claims (11)

  1.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의 적어도 한면에, 두께가 10㎚~500㎚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1층 이상 갖는,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 사이에, 두께가 0.01㎛~15㎛인 수용성 수지(E)를 포함하는 층(D)을 적어도 1층 갖는,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의 한쪽 면에 물을 부여하고나서, 섬유 구조체(B)의 다른쪽 면에 물이 도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10초~5분인,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A)가 폴리비닐알콜 및/또는 풀루란을 포함하는, 적층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E)가 폴리비닐알콜 및/또는 풀루란을 포함하는, 적층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의 단위중량이 1g/㎡~1,000g/㎡인, 적층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의 두께가 0.1㎛~5,000㎛인, 적층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폴리 D-락트산량이 4㏖%~50㏖%의 폴리락트산계 수지인, 적층체.
  9.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적층할 때, 상기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의 접합면에 물 또는 수용액을 부여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평판 상에 고정한 상태에서 적층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A)만으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B)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C)을, 2개의 롤 사이에 끼워서 적층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67028139A 2014-06-18 2015-06-18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6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4935 2014-06-18
JPJP-P-2014-124935 2014-06-18
JPJP-P-2014-128864 2014-06-24
JP2014128864 2014-06-24
PCT/JP2015/067553 WO2015194616A1 (ja) 2014-06-18 2015-06-18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69A KR20170017869A (ko) 2017-02-15
KR101786825B1 true KR101786825B1 (ko) 2017-10-18

Family

ID=5493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139A KR101786825B1 (ko) 2014-06-18 2015-06-18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86980B2 (ko)
EP (1) EP3159164B1 (ko)
JP (1) JP6119863B2 (ko)
KR (1) KR101786825B1 (ko)
CN (1) CN106457811A (ko)
CA (1) CA2952604C (ko)
ES (1) ES2790800T3 (ko)
WO (1) WO2015194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8376D0 (en) 2008-05-08 2008-06-18 Bristol Myers Squibb Co Wound dressing
GB0817796D0 (en) 2008-09-29 2008-11-05 Convatec Inc wound dressing
GB201020236D0 (en) 2010-11-30 2011-0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 composition for detecting biofilms on viable tissues
EP2648795B1 (en) 2010-12-08 2023-01-25 ConvaTec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emoving exudates from a wound site
WO2012078781A1 (en) 2010-12-08 2012-06-14 Convatec Technologies Inc. Integrated system for assessing wound exudates
CN103347562B (zh) 2010-12-08 2016-08-10 康沃特克科技公司 伤口分泌液系统附件
GB201115182D0 (en) 2011-09-02 2011-10-19 Trio Healthcare Ltd Skin contact material
GB2497406A (en) 2011-11-29 2013-06-12 Webtec Converting Llc Dressing with a perforated binder layer
JP2016507663A (ja) 2012-12-20 2016-03-10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化学修飾セルロース系繊維の加工
WO2017149584A1 (ja) * 2016-02-29 2017-09-08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癒着防止材
KR102157057B1 (ko) 2016-03-23 2020-09-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체
WO2017173069A1 (en) 2016-03-30 2017-10-05 Convatec Technologies Inc. Detecting microbial infections in wounds
KR20190008199A (ko) 2016-03-30 2019-01-23 시노보 게엠베하 상처에서 미생물 감염의 검출 방법
CN105926202A (zh) * 2016-06-12 2016-09-07 中山伟立纺织品有限公司 一种织片的制作工艺
US11452808B2 (en) 2016-07-08 2022-09-27 Convatec Technologies Inc. Fluid flow sensing
CN109640904A (zh) 2016-07-08 2019-04-16 康沃特克科技公司 流体收集设备
BR112019000301A2 (pt) 2016-07-08 2019-04-16 Convatec Technologies Inc. sistema de pressão negativa flexível
CN114681683A (zh) 2016-09-30 2022-07-01 东丽株式会社 防粘连材料
KR102030496B1 (ko) * 2017-09-27 2019-10-10 (주)진우바이오 자동 도포기에 의한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CN107617122B (zh) * 2017-08-10 2020-11-24 北京大清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的止血膜及其制备方法
KR20210038426A (ko) * 2018-07-25 2021-04-0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첩부용 필름, 및 전사 시트
EP4295869A3 (en) 2019-06-03 2024-03-20 Convatec Limited Methods and devices to disrupt and contain pathogens
CN110556331B (zh) * 2019-09-19 2023-03-14 苏州芯慧联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及使用该材料的静电卡盘的制造方法
CA3238698A1 (en) * 2019-09-30 2021-04-08 Monosol, Llc Nonwoven water-soluble composite structure
US11771819B2 (en) 2019-12-27 2023-10-03 Convatec Limited Low profile filter devices suitable for use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US11331221B2 (en) 2019-12-27 2022-05-17 Convatec Limited Negative pressure wound dress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162A1 (ja) * 2009-12-28 2011-07-07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癒着防止材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204B2 (ja) * 1987-04-21 1995-08-30 株式会社バイオマテリアルユニバ−ス ポリ乳酸繊維
US5472518A (en) * 1994-12-30 1995-12-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disposal for dispersible compositions and articles
JP3610780B2 (ja) * 1998-06-30 2005-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ポリ乳酸ステレオコンプレックスポリマー成型物の製造方法
JP4378442B2 (ja) 2000-01-11 2009-12-09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癒着防止材料
JP2001145650A (ja) 1999-11-22 2001-05-29 Nitto Denko Corp カイロ用粘着シート、その収容袋及びその使捨てカイロ
ES2228648T3 (es) * 1999-12-17 2005-04-16 Genzyme Corporation Protesis ortopedica.
JP3796165B2 (ja) 2001-11-20 2006-07-12 株式会社クラレ 癒着防止材
JP2003251749A (ja) 2002-03-04 2003-09-09 Sekisui Film Kk 水解性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195611A1 (en) * 2002-04-11 2003-10-16 Greenhalgh Skott E. Covering and method using electrospinning of very small fibers
DE60327525D1 (de) * 2002-06-20 2009-06-18 Toray Industries Auf polymilchsäure basierende polymerzsuammensetzung, formkörper daraus und folie
JP4295482B2 (ja) 2002-08-08 2009-07-15 グンゼ株式会社 癒着防止材
JP2005224981A (ja) 2004-02-10 2005-08-25 Bando Chem Ind Ltd 積層支持体及び皮膚貼付薬シート
CN1985032A (zh) * 2004-03-16 2007-06-20 帝人株式会社 超细聚乳酸系纤维、纤维结构体以及它们的制备方法
EP1731180B1 (en) 2004-03-31 2017-10-11 Nipro Corporation Antiadhesive ki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adhesion prevention
WO2007109353A1 (en) * 2006-03-20 2007-09-27 Global Resources International, Inc. Articles, operating room drap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TW200838902A (en) * 2007-02-09 2008-10-01 Teijin Ltd Method for producing polylactic acid
JP5608323B2 (ja) 2007-11-14 2014-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タ濾材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フィルタユニット
JP5295943B2 (ja) * 2008-12-26 2013-09-18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シート
WO2011084670A1 (en) * 2009-12-17 2011-07-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651076B2 (ja) * 2010-06-29 2015-01-07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積層シート
WO2012002390A1 (ja) * 2010-06-29 2012-01-05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積層シート
KR101256550B1 (ko) * 2010-12-30 2013-04-19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EP2836187B1 (en) * 2012-04-11 2021-12-08 L'Oréal Self-standing cosmetic sheet
KR20150067203A (ko) * 2012-10-12 2015-06-1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미용방법
JP5685238B2 (ja) 2012-11-12 2015-03-1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929886B1 (ko) * 2013-03-15 2018-12-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사용한 적층 필름
ES2910435T3 (es) * 2013-06-04 2022-05-12 Monosol Llc Soluciones de sellado de películas solubles en agua, métodos relacionados y artículos relacionados
CN104921959B (zh) * 2014-03-18 2020-03-0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皮肤贴附用片材制作方法、美容方法及皮肤贴附用片材
CA2940435C (en) * 2014-03-31 2022-04-12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 sheet, integrated sheet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162A1 (ja) * 2009-12-28 2011-07-07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癒着防止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7811A (zh) 2017-02-22
CA2952604C (en) 2019-01-29
ES2790800T3 (es) 2020-10-29
US10786980B2 (en) 2020-09-29
EP3159164B1 (en) 2020-04-29
JP6119863B2 (ja) 2017-04-26
JPWO2015194616A1 (ja) 2017-04-20
EP3159164A1 (en) 2017-04-26
WO2015194616A1 (ja) 2015-12-23
EP3159164A4 (en) 2018-01-24
KR20170017869A (ko) 2017-02-15
US20170072669A1 (en) 2017-03-16
CA2952604A1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25B1 (ko)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9886B1 (ko)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사용한 적층 필름
JP6555125B2 (ja) 多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一体化シ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2157057B1 (ko) 적층체
JP6550340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医療用シート
WO2015163289A1 (ja) 高分子積層体
JP2018171725A (ja) 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癒着防止材
WO2024024765A1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