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459B1 -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 Google Patents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459B1
KR101784459B1 KR1020160069649A KR20160069649A KR101784459B1 KR 101784459 B1 KR101784459 B1 KR 101784459B1 KR 1020160069649 A KR1020160069649 A KR 1020160069649A KR 20160069649 A KR20160069649 A KR 20160069649A KR 101784459 B1 KR101784459 B1 KR 10178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body member
top cover
resin
cowl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6006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6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mounted on a turntable, i.e. on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arallel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66Feeding multip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소재의 수지계열 및 고무계열과 같은 이종소재를 턴테이블 방식을 적용한 밀폐 및 수밀을 위한 이종 소재 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SEALING STRUCTURE OF THE COWL TOP COVER FORMED TO DIFFERENT KIND MATERIALS APPLIED AT TURNTABLE DOUBLE INJECTION}
본 발명은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소재의 수지계열 및 고무계열과 같은 이종소재를 턴테이블 방식을 적용한 밀폐 및 수밀을 위한 이종 소재 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카울 탑 커버는, 자동차의 보닛(후드) 및 윈드쉴드 글라스 사이에 설치되어 카울의 상부를 덮는 커버인데, 자동차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게 하며, 우천시 윈드 쉴드 글라스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통과시켜 카울 탑 커버의 아래쪽에 있는 카울 배수구를 통해 자동차의 양측면을 배수될 수 있게 하는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카울 탑 커버를 제작시에는 수지계열과 고무계열을 별도로 사출하여, 사출한 성형품을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카울 탑 커버를 완성하는데, 이 경우 사출 후의 후 공정, 즉 조립 공정이 발생하여 성형품 간의 조립성을 조정하는 시간이 발생하여 작업 효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성형품의 디자인이 한정적이 되기 쉽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1418543 호의, 종래의 자동차 카울 탑 커버에 관한 것인데, 이와 같은 카울 탑 커버(40)는, 보닛과 윈드 쉴드 글라스 사이에 설치되어, 카울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공조장치와 연결된 통기공(41), 카울 결합부(50) 및 양측면 및 전방에 형성된 고무재의 돌기부(6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카울 탑 커버의 돌기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카울 탑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카울탑 커버의 소재 및 돌기부의 소재는 이종소재 간의 이중사출 시 각각의 소재간의 물성차이가 존재하는바 1차 성형 후, 2차 수지 유입 시 사출압력과 온도차로 인해 1차 성형품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8543호(2014.07.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계열 및 고무계열과 같은 1차 용융 수지 및 2차 용융 수지의 이종소재를 턴테이블 방식을 적용해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부품을 개별 사출한 후에 부품들을 조립하는 공정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중 사출 금형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것을 실현하고, 수지계열과 고무계열의 물성 차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이종소재 간의 밀림 현상과 눌림자국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의 상부를 덮는 카울탑 커버는 전체 외관을 이루는 본체 부재와 본체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고, 본체 부재 및 패킹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편 1차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1차측 노즐이 구비된 가동측 금형부, 2차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2차측 노즐이 구비된 고정측 금형부, 가동측 금형부와 고정측 금형부 사이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에 의해 180도 회전하는 회전 금형부를 구비한 턴테이블식 이중 사출 금형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되어 일체의 커버로 형성되며, 본체 부재에는 이중 사출 성형시 사출압력과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서 패킹 부재와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 근처에서 발생하는 밀림현상 및 눌림자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과 동시에 구배지도록 형성된 도피영역을 포함하는데, 도피영역은, 패킹 부재를 형성하는 2차 용융 수지가 연결부를 지나 본체 부재 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실링구간, 및 2차 용융 수지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본체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실링구간으로부터 구배지게 형성된 경사구간을 포함하며, 실링구간의 길이는 경사구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피영역은, 1차 성형되는 수지에 형성되며, 최대 10mm의 구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실링구간은, 1차 성형되는 수지에 형성되며, 약 0.5 내지 3mm의 구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경사구간은, 1차 성형되는 수지에 형성되며, 실링구간으로부터 구배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는, 수지계열 및 고무계열과 같은 1차 용융 수지 및 2차 용융 수지의 이종소재를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을 이용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기존의 부품을 개별 사출한 후에 부품들을 조립하는 공정을 회피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증진되고, 이중 사출 금형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부품들의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추가로 부품들을 별도로 사출할 때보다 금형의 수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피영역을 형성하여 수지계열과 고무계열, 즉 제품 상에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밀림 현상 및 눌림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울 탑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이중사출에 대한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그림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이용한 카울 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선을 따른 이중소재 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선을 따른 이중소재 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를 구현하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지계열 및 고무계열과 같은 1차 용융 수지 및 2차 용융 수지의 이종소재를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을 이용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기존의 부품을 개별 사출한 후에 부품들을 조립하는 공정을 회피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증진되고, 이중 사출 금형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부품들의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추가로 부품들을 별도로 사출할 때보다 금형의 수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피영역을 형성하여 수지계열과 고무계열, 즉 제품 상에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밀림 현상 및 눌림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울의 상부를 덮는 카울탑 커버(100)는 전체 외관을 이루는 본체 부재(110)와 본체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는 패킹 부재(120)를 포함하고, 본체 부재(110) 및 패킹 부재(12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편 1차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1차측 노즐이 구비된 가동측 금형부(1000), 2차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2차측 노즐이 구비된 고정측 금형부(2000), 가동측 금형부(1000)와 고정측 금형부(2000) 사이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에 의해 180도 회전하는 회전 금형부(3000)를 구비한 턴테이블식 이중 사출 금형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되어 일체의 커버로 형성되며, 본체 부재(110)에는 이중 사출 성형시 사출압력과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서 패킹 부재(120)와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 근처에서 발생하는 밀림현상 및 눌림자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과 동시에 구배지도록 형성된 도피영역(B)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도피영역(B)은, 패킹 부재(120)를 형성하는 2차 용융 수지가 연결부를 지나 본체 부재(110) 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실링구간(C), 및 2차 용융 수지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본체 부재(1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실링구간(C)으로부터 구배지게 형성된 경사구간(D)을 포함하며, 실링구간(C)의 길이는 경사구간(D)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10)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동측 금형부(1000), 회전 금형부(3000) 및 고정측 금형부(2000)로 구성되는데, 금형부들(1000, 2000, 3000)이 서로 밀착(형폐)되면 가동측 금형부(1000)와 회전 금형부(3000)의 제 1 금형 사이에는 1 차측 제품이 성형되는 1차측 캐비티가 형성된다. 더불어 회전 금형부(3000)의 제 2 금형과 고정측 금형부(2000) 사이에는 2차측 제품이 성형되는 2차측 캐비티가 형성된다. 이후 1차측 노즐을 통해 사출이 이루어지면, 가동측 금형부(1000)와 회전 금형부(3000)의 제 1 금형 사이의 1차측 캐비티에서 1차측 제품이 성형된다. 그 다음에, 가동측 금형부(1000), 회전 금형부(3000) 및 고정측 금형부(2000)가 서로 이격(형개)되면 1차측 제품이 회전 금형부(3000)의 제 1 금형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 금형부(300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제 1 금형이 고정측 금형부(2000)와 대응되고, 이때 회전 금형부(3000)의 제 2 금형은 가동측 금형부(1000)와 대응된다. 이후 가동측 금형부(10000), 회전 금형부(3000) 및 고정측 금형부(2000)가 다시 밀착 형폐되면, 가동측 금형부(1000)와 회전 금형부(3000)의 제 2 금형 사이에는 1차측 제품이 성형되는 1차측 캐비티가 형성되고, 회전 금형부(3000)의 제 1 금형과 고정측 금형부(2000) 사이에는 2 차측 제품이 성형되는 2 차측 캐비티가 형성된다. 그 다음에, 2차측 노즐을 통해 사출이 이루어지면, 고정측 금형부(2000)와 회전 금형부(3000)의 제 1 금형 사이의 2차측 캐비티에서 기 성형된 1 차측 제품에 부가하여 2 차측 제품이 성형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가동측 금형부(1000), 회전 금형부(3000) 및 고정측 금형부(2000)가 다시 이격 형개되고, 고정측 금형부(2000)로부터 1,2차 제품이 성형된 완제품을 취출할 수 있으며, 이후 회전 금형부(3000)가 다시 180도 회전하여 위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제품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턴테이블 방식을 이용한 이중사출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기술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술된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100)의 실링구조(1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카울탑 커버(100)의 실링구조(10)는 이중 사출 성형 시 사출압력과 이종 소재 간의 물성차이로 인한 밀림 현상 및 눌림 자국을 방지하도록 수지계열로 형성되는 본체 부재(110)의 내주연 또는 내면 양측에 돌출됨과 동시에 구배지게 형성되는 도피영역(B)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도피영역(B)은 패킹 부재(120)를 형성하는 2차 용융 수지가 주입될 때에, 1차 용융 수지로 형성된 본체 부재(110) 측으로 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는 실링구간(C), 및 2차 용융 수지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본체 부재(1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실링구간(C)으로부터 구배지게 형성된 경사구간을 포함하며, 실링구간(C)의 길이는 경사구간(D)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 부재(110)는 수지계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킹 부재(120)는 고무계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들의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계열은, 일반적으로 카울탑에 적용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 없이, 예컨대, 폴리페닐렌-솔피드(polyphenilen-sulfide), 폴리페닐렌- 옥시드(polyphenilen-oxi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재질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고무계열은,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클로로프렌고무(chloroprene rubber), 부틸고무(butyl rubbe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하이파론고무(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Hypalon rubber),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 불소고무( fluorocarbon rubb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기술자들이 이해하는바 카울탑 커버에 적용되는 고무계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 5를 참조하여, 상술된 도피영역(B)은 수지계열로 형성되는 1차측 성형품의 본체 부재(110)에 형성되며, 최대 10mm의 폭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는, 도피영역(B)은, 1차 사출성형 시에 수지계열로 1차 사출성형된 카울탑 커버(100)의 본체 부재(110)의 내주연 또는 내면 양측에 2차 사출성형 되는 패킹 부재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도피영역(B)은 패킹 부재의 높이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출성형 시 사출압력과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서 성형제품에 발생되는 밀림 현상 및 눌림 자국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된 도 5를 참조하여, 실링구간(C)은, 1차측 성형품의 본체 부재(110)에 형성되며, 약 0.5 내지 3mm의 폭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는, 실링구간(C)은, 도피영역(B) 내에 형성된다. 더불어, 실링구간(C)은 1차 사출성형 시에 수지계열로 1차 사출성형된 본체 부재(110)의 내주연 또는 내면 양측에 2차 사출성형 되는 패킹 부재(120)와 결합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한편 패킹 부재(120)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서, 도피영역(B) 내에 약 0.5 내지 3mm의 폭을 실링구간(C)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출성형 시 사출압력과 이종소재(P, S)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서 발생되는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출 성형 시 1차 용융 수지의 종류와 2차 용융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사출압력과 물성차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실링구간(C)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시된 도 4를 참조하여, 경사구간(D)을 설명하면, 경사구간(D)은, 1차 성형되는 수지계열에 형성되며, 도피영역(B) 내에 실링구간(C)으로부터 구배지게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경사구간(D)은 1차 용융수지(수지계열)와 2차 용융수지(고무계열)의 물성차이로 인해 1차 성형 후 2차 수지 유입의 사출압력과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에 의해 1차 사출성형물(수지계열)에 변형이 발생되어 도피 적용이 불가할 경우를 대비하여 실링구간(C)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일정구간을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경사구간(D)은 실링구간(C)의 폭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2차 수지 유입 시에 발생되는 사출압력으로부터 실링구간(C)가 밀리는 것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출성형 시 1 차 용융 수지의 종류와 2 차 용융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사출압력과 물성차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1차로 성형되는 본체 부재(110)에 발생되는 눌림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구간(D)의 일정구간 경사진 각도는 통상적인 기술자들이 이해하는바 사출성형 시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패킹 부재(120)는 카울탑(100) 내부의 수밀성은 물론, 이물질 등의 유입에 따른 카울 내부 전장부품의 잔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카울탑 커버의 본체 부재(110)의 내주연 또는 내면 양측에 이중사출되는 고무계열이 완충기능을 함으로써, 그 탄성력에 의해 실링 효과를 가지게 되며, 카울탑(100) 내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종소재를 수지계열 및 고무계열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링구조(10)는 물성이 높은 용융수지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품에 따라 물성이 낮은 용융수지에도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을 이용하여 제작된 이종소재의 실링구조(10)는, 카울탑 커버(100)에 적용되는 수지계열의 본체 부재(110)와 고무계열의 패킹 부재(120) 간의 이종소재를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을 이용해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부품들의 조립 공정을 축소하거나 생략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증진되고, 부품들의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부품들을 별도로 사출할 때보다 금형의 수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실링구간(C) 및 도피구간(C)을 형성하여 수지계열 부품과 고무계열 부품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종소재 간의 밀림현상과 눌림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가동측 금형부 2000 : 고정측 금형부
3000 : 회전 금형부 100 : 카울탑 커버
10 : 실링구조 110 : 본체 부재
120 : 패킹 부재 B : 도피영역
C : 실링구간 D : 경사구간

Claims (4)

  1. 차량의 카울의 상부를 덮는 카울탑 커버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는 전체 외관을 이루는 본체 부재와 상치 본체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 및 패킹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1차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1 차측 노즐이 구비된 가동측 금형부, 2차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2 차측 노즐이 구비된 고정측 금형부, 상기 가동측 금형부와 고정측 금형부 사이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에 의해 180도 회전하는 회전 금형부를 구비한 턴테이블식 이중 사출 금형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되어 일체의 커버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부재에는, 이중 사출 성형시 사출압력과 이종소재 간의 물성차이로 인해서 상기 패킹 부재와 맞닿아 연결되는 연결부 근처에서 발생하는 밀림현상 및 눌림자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과 동시에 구배지도록 형성된 도피영역을 포함하는데,
    상기 도피영역은,
    상기 패킹 부재를 형성하는 2차 용융 수지가 상기 연결부를 지나 상기 본체 부재 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실링구간, 및
    상기 2차 용융 수지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본체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링구간으로부터 구배지게 형성된 경사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구간의 길이는 상기 경사구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영역은, 1차 성형되는 수지에 형성되며, 최대 10mm의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의 실링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구간은, 1차 성형되는 수지에 형성되며, 0.5 내지 3mm의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의 실링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간은, 1차 성형되는 수지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구간으로부터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의 실링구조.
KR1020160069649A 2016-06-03 2016-06-03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KR10178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49A KR101784459B1 (ko) 2016-06-03 2016-06-03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49A KR101784459B1 (ko) 2016-06-03 2016-06-03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459B1 true KR101784459B1 (ko) 2017-10-11

Family

ID=6013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649A KR101784459B1 (ko) 2016-06-03 2016-06-03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4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1598A (ja) 2013-09-09 2015-03-1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カウルルーバーにおける遮熱リブ成形方法
JP2016052729A (ja) 2014-09-03 2016-04-1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カウルルーバおよびシール材をアウトサート成形する金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1598A (ja) 2013-09-09 2015-03-1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カウルルーバーにおける遮熱リブ成形方法
JP2016052729A (ja) 2014-09-03 2016-04-1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カウルルーバおよびシール材をアウトサート成形する金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488B1 (ko) 등속 조인트용 부트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장치
CN106393572B (zh) 射出成形方法及模具
US11981061B2 (en) Preparation method of a passive horn
JP4131232B2 (ja) 型内塗装成形品、その製造方法及び型内塗装成形用金型
JP2011207157A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JP4585933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KR101339032B1 (ko)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를 갖는 이중사출금형
KR101784459B1 (ko) 턴테이블 이중사출을 적용한 이종소재로 형성된 카울탑 커버의 실링구조
KR101473233B1 (ko) 차량용 몰딩의 제조금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몰딩
US8113809B2 (en) Localized over-molding die structure
CN101262748B (zh) 嵌件成型品及其制备方法
CA2477532C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PL1621316T3 (pl) Forma wtryskowa do wytwarzania kształtek rurowych
JP200719851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ダスト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5958318A (en) Weather strip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sion-molding the same
JP2017077742A (ja) 非空気入りタイヤ、金型および非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1080007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section plastic component, and a multi-section plastic component
JP4252827B2 (ja) 樹脂製クリップ
JP4074326B2 (ja) 樹脂製ジョイントブーツの製造方法
JP2010030571A (ja) 芯材を有する自動車用の押出し成形品
JP5038021B2 (ja) 型内被覆成形用金型
JP5252065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7092976B2 (ja) 二色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061739A (ja) シール部を有する成形品の成形方法
KR20190046395A (ko) 패스너 일체형 범퍼 후드 스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