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225B1 - 식재 용기 - Google Patents

식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225B1
KR101784225B1 KR1020127013606A KR20127013606A KR101784225B1 KR 101784225 B1 KR101784225 B1 KR 101784225B1 KR 1020127013606 A KR1020127013606 A KR 1020127013606A KR 20127013606 A KR20127013606 A KR 20127013606A KR 101784225 B1 KR101784225 B1 KR 10178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container body
container
wal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656A (ko
Inventor
마사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을 심기 위한 개구부(16)을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植栽用) 공간과, 이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를 저류(貯留)하는 저수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1)를 구비하고,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를, 그 일부가 저수부 내에 위치하도록 식재용 공간에 탑재하여 식재하는 식재 용기로서, 용기 본체의 앞면의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좌우 측벽 중 한쪽에 걸어맞춤부(7)를 형성하고, 또한 다른 쪽 측벽에 다른 용기 본체(1)의 걸어맞춤부(7)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8)를 형성하고, 용기 본체(1)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 인접하는 용기 본체(1)끼리 상대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재 용기.

Description

식재 용기{PLANTING CONTAINER}
본 발명은, 식물을 심기 위한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植栽用) 공간과, 이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를 저류(貯留)하는 저수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를, 그 일부가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식재용 공간에 탑재하여 식재하는 식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식재 용기는, 도시 지역에서의 열섬(heat island) 현상의 억제, 도시 경관의 향상, 및 직사 광선에 의한 외벽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외벽 주위의 열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건물의 벽면 녹화 구조 등에 적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9-4501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식재 용기에서는, 평면 형상의 벽을 형성할 수는 있어도, 곡면 형상의 벽을 형성하기가 곤란했다. 예를 들면, 건물 구석의 코너부 등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벽 부분에서는, 그 곡면을 따라 식재 용기를 배치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종래의 식재 용기를 배치하면 건물의 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 형상의 외벽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벽에도 설치 가능한 식재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용기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식물을 심기 위한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 공간과, 이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를 저류하는 저수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를, 그 일부가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식재용 공간에 탑재하여 식재하는 식재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앞면의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좌우 측벽 중 한쪽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또한 다른 쪽 측벽에 다른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 인접하는 용기 본체끼리 상대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용기 본체끼리의 상대 각도 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식재 용기를 가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 식재 용기를 직선적인 배치뿐만 아니라, 원하는 곡선을 따르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용기 본체를 세로 방향으로 중첩하여 쌓는 경우에는, 직선적 또는 곡선적으로 배치된 식재 용기 상에, 식재 용기를 적층해 나감으로써, 식재 용기로 이루어지는 벽의 형상을 평면 형상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의 식재 용기이면, 예를 들면, 건물의 구석 코너부 등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벽 부분에 있어서도, 그 곡면을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용기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좌우 측벽의 앞쪽 단부(端部) 중 한쪽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또한 다른 쪽의 앞쪽 단부에 다른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가 좌우 측벽의 중간부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는 달리, 인접하는 용기 본체의 앞면끼리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상대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용기 본체끼리의 측벽의 앞쪽 단부끼리가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가 좌우 측벽의 중간부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 각도를 변경할 때의 자유도가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용기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걸어맞춤부 및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를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하고 있으므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추면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할 때, 용기 본체끼리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아 외관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용기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상기 좌우 측벽의 간격이, 용기 본체의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설정되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부채형이 되므로, 인접하는 용기 본체의 앞면끼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의 자유도가, 좌우 측벽의 간격이 일정한 용기 본체에 비해 더욱 크게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용기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저수부에 상기 식재용수를 공급하는 제1 급수구와, 상기 용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 인접하는 용기 본체 중에 적어도 한쪽 저수부에 상기 식재용수를 공급하는 제2 급수구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식재 용기에 급수하는 것만으로, 그 식재 용기와 인접하는 식재 용기에도 급수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식재 용기에 양호한 효율로 급수할 수 있다.
도 1은 용기 본체와 그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용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용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용기 본체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용기 본체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7은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건물의 외벽을 따라 형성된 식재 용기의 벽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용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용기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1)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는, 저벽(低壁)(2), 우측 벽(3), 좌측 벽(4), 배면벽(5), 및 앞벽(6)을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우측 벽(3), 좌측 벽(4), 배면벽(5), 및 앞벽(6) 각각은, 저벽(2)의 사방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된다. 또한, 앞벽(6)의 상하 길이는, 우측 벽(3), 좌측 벽(4), 및 배면벽(5)의 어떤 상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저벽(2), 우측 벽(3), 좌측 벽(4), 배면벽(5), 앞벽(6), 및 커버 부재(22) 또는 바로 위에 배치되는 다른 용기 본체(1)의 저벽(2)에 의해, 식물 P를 식재하기 위한 식재용 공간(1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 본체(1)는, 평면에서 볼 때, 우측 벽(3)과 좌측 벽(4)과의 간격이, 용기 본체(1)의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벽(3)과 좌측 벽(4)의 입설(立設) 각도 β(도 7 참조)는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벽(3, 4)의 상단 전방에는, 커버 부재(22)의 제1 걸림편(28a, 28b) 각각이 걸리는 제1 피걸림부(9a, 9b)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 벽(3, 4)의 상단 중간에는, 요입부(凹入部)(11a, 11b)가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11a, 11b)에 대하여, 커버 부재(22)의 볼록부(29a, 29b), 및 바로 위에 배치되는 다른 용기 본체(1)의 볼록부(2a, 2b)가 끼워넣어질 수 있다.
우측 벽(3)의 상단 후방에는, T자관(13)의 제2 급수구(13b)(도 3 참조)를 삽입시키기 위한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벽(4)의 상단 후방에는, 좌측에 인접하는 다른 식재 용기의 급수용 튜브(34)(도 2 참조)를 삽입시키기 위한 오목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벽(5)의 좌우 중앙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리브(rib)(19)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벽(5)의 상부의 우측 및 좌측의 각각에, 커버 부재(22)의 제2 걸림편(30a, 30b)이 걸리는 제2 피걸림구멍(10a, 1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저벽(2)의 우측 및 좌후방측 각각에는, 중공(中空)의 장통체(長筒體)(17) 및 단통체(短筒體)(18)가 저벽(2)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태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장통체(17)는, 그 내부에 식재용수 W를 흐르게 하기 위한 급수관이다. 단통체(18)는, 저수부(14) 내에서의 식재용수 W를 일정량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용 배수구(18a)를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상면에 커버 부재(22) 또는 다른 용기 본체(1)를 장착하면 식재용 공간(15)이 형성되는 동시에, 개구부(16)가 용기 본체(1)의 앞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식재용 공간(15)의 하부 공간, 즉 용기 본체(1)의 저벽(2), 우측 벽(3), 좌측 벽(4), 배면벽(5), 및 앞벽(6)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이, 식재용수 W를 저수하기 위한 저수부(14)가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용 공간(15)에는, 식재 바닥재 A가 탑재된다. 식재 바닥재 A는, 스펀지 등의 흡수성 재료로 구성된다. 식재 바닥재 A의 형상은, 예를 들면, 입방체, 직육면체, 및 원기둥형 등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면벽(5)의 세로 리브(19)는, 식재 바닥재 A의 식재용 공간(15) 내에서의 전후 방향의 이동 규제 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식재 바닥재 A가, 세로 리브(19)에 맞닿게 되어, 그 이상 후방으로 배치되지 않으며, 이로써, 식재 바닥재 A에 의해 배수구(18a)가 폐색(閉塞)되는 것을 방지한다.
식재 바닥재 A의 탑재면(20)으로서의 저벽(2), 바꾸어 말하면, 저수부(14)의 저벽(2)이, 식재용 공간(15)의 개구부(16)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위치하고, 개구부(16)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위치하도록 경사각 α만큼 경사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22)는, 천정면(23), 앞벽(24), 우측 벽(25), 좌측 벽(26), 및 배면벽(27)을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앞벽(24), 우측 벽(25), 좌측 벽(26), 및 배면벽(27) 각각은, 천정면(23)의 사방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된다. 커버 부재(22)의 우측 및 좌측 벽(25, 26)의 전방의 각각의 오목부에는 제1 걸림편(28a, 28b)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 벽(25, 26)의 중간부 각각에는 볼록부(29a, 29b)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벽(27)의 우측 및 좌측의 각각 의 오목부에는 제2 걸림편(30a, 3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22)의 천정면(23)의 후방의 좌우 중간부에는, 단면 H 형상의 안내부(31)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우측 벽(25), 좌측 벽(26), 및 배면벽(27)보다 내측의 천정면(23)에는, 이들 벽을 따라 내벽부(32)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22)를, 용기 본체(1)의 상면 개구에 탑재하여 위로부터 가압하면, 우측 벽(25)의 제1 걸림편(28a) 및 좌측 벽(26)의 제1 걸림편(28b) 각각이, 용기 본체(1)의 우측 벽(3)의 제1 피걸림부(9a) 및 좌측 벽(4)의 제1 피걸림부(9b)에 걸리고, 또한 우측 벽(25)의 볼록부(29a) 및 좌측 벽(26)의 볼록부(29b) 각각이, 용기 본체(1)의 우측 벽(3)의 요입부(11a) 및 좌측 벽(4)의 요입부(11b)에 끼워넣어지고, 또한 배면벽(27)의 우측의 제2 걸림편(30a) 및 좌측의 제2 걸림편(30b) 각각이, 용기 본체(1)의 배면벽(5)의 우측의 제2 피걸림구멍(10a) 및 좌측의 제2 피걸림구멍(10b)에 걸려서 고정된다.
커버 부재(22)의 내벽부(32)와 안내부(31)는, 용기 본체(1)의 우측 벽(3), 좌측 벽(4), 및 배면벽(5)에 의해 형성되는 상면 개구 중에 끼워넣어진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T자관(13)의 제1 급수구(13a)가, 안내부(31)의 우측면과 대치하는 상태가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벽(3)의 앞쪽 단부에는, 걸어맞춤부(7)가 용기 본체(1)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벽(4)의 앞쪽 단부에는, 다른 용기 본체(1)의 걸어맞춤부(7)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8)가, 용기 본체(1)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용기 본체(1)를, 식재용 공간(15)의 개구부(16)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했을 때, 용기 본체(1)의 걸어맞춤부(7)와 다른 용기 본체(1)의 피걸어맞춤부(8)를 걸어맞춤으로써, 인접하는 용기 본체(1)끼리 상대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용기 본체(1)에 있어서, 걸어맞춤부(7) 및 피걸어맞춤부(8) 각각이 우측 벽(3) 및 좌측 벽(4)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했을 때(이하, 이 경우를 가상 형태라고 칭함),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 본체(1)는, 이와 같은 가상 형태와는 달리, 인접하는 용기 본체(1)의 앞면끼리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대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용기 본체(1)끼리의 우측 벽(3) 및 좌측 벽(4)의 앞쪽 단부끼리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 본체(1)는, 상기 가상 형태에 비해, 상대 각도를 변경할 때의 자유도가 크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측 벽(3)과 좌측 벽(4)과의 간격이, 용기 본체(1)의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용기 본체(1)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부채형이 된다. 그러므로, 인접하는 용기 본체(1)의 앞면끼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의 자유도가, 우측 벽(3)과 좌측 벽(4)와의 간격이 일정한 용기 본체에 비해, 보다 크게 설정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피걸어맞춤부(8)는 원활하게 만곡되는 요철형의 단면을 가진다. 용기 본체(1)의 걸어맞춤부(7)의 원호형 내곡면(內曲面)(7a)에, 다른 용기 본체(1)의 피걸어맞춤부(8)의 원형의 볼록형부(8a)가 삽입됨으로써, 용기 본체(1)의 걸어맞춤부(7)와 다른 용기 본체(1)의 피걸어맞춤부(8)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1)와, 그 근처에 배치되는 다른 용기 본체(1)는, 용기 본체(1)의 좌측 벽(4)과 다른 용기 본체(1)의 우측 벽(3)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용기 본체(1)의 앞면과 다른 용기 본체(1)의 앞면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직교하는 위치까지, 상대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는, 식재용 공간(15)의 개구부(16)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중첩하여 쌓아서 배치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를 세로 방향으로 중첩하여 쌓았을 때, 상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저벽(2)의 하면이, 하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우측 벽(3)의 상측 둘레, 좌측 벽(4)의 상측 둘레, 및 배면벽(5)의 상측 둘레에 맞닿는다. 그리고, 상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저벽(2)의 단부(2c)가, 하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상면 개구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저벽(2)의 볼록부(2a, 2b) 각각이, 하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요입부(11a, 11b)에 끼워넣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식재 용기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용기 본체(1)를, 건물의 외벽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하여, 인접하는 용기 본체(1)끼리의 걸어맞춤부(7)와 피걸어맞춤부(8)를 걸어맞춘다. 이 때 용기 본체(1)는, 인접하는 용기 본체(1)끼리의 상대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직선적인 배치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벽 부분의 곡선을 따르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 중에 식재 바닥재 A를 설치하여, 식재 용기의 제1단째(가장 하단)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단째의 식재 용기는, 그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플로어(floor) 등에 탑재 가능한 직사각형의 부재이다. 제1단째의 식재 용기는, 그 용기 본체(1)의 단부(2c)가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부의 상면 개구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제1단째의 식재 용기 상에, 제2단째, 제3단째, 제4단째, ···와 같이 건물의 외벽을 덮도록 소정의 높이까지 용기 본체(1)를 쌓아올려 인접하는 용기 본체(1)끼리의 걸어맞춤부(7)와 피걸어맞춤부(8)를 걸어맞춤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벽 부분의 곡면 B를 따른 곡면 형상을 가지는 식재 용기의 벽이 형성된다.
이어서, 가장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본체(1)의 우측단으로부터 2번째, 4번째, ···, 2n번째(n은 자연수)의 용기 본체(1)의 각각의 장통체(17)의 상단으로부터, 장통체(17)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급수용 호스(33)를 삽입하여, 제1단째의 용기 본체(1)의 장통체(17)의 하단[저벽(2)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으로부터 나올 때까지 삽입하여, 도시하지 않은 급수 펌프에 접속한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T자관(13)을, 가장 상단의 용기 본체(1)의 장통체(17)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급수용 호스(33)의 선단 부분에 장착한다. 이 때, T자관(13)의 접속부(13c)의 내측으로, 급수용 호스(33)의 선단 부분을 끼워서 접속하고, 또한 T자관(13)의 제2 급수구(13b)를 우측 벽(3)의 오목부(12a)에 배치하여, 제2 급수구(13b)의 선단이 우측 벽(3)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만든다.
돌출된 T자관(13)의 제2 급수구(13b)의 내측으로 급수용 튜브(34)를 끼워서 접속하여, 급수용 튜브(34)를 우측에 인접하는 용기 본체(1)의 좌측 벽(4)의 오목부(12b)에 삽입한다. 이 때, 급수용 튜브(34)는, 그 선단이 우측에 인접하는 용기 본체(1)의 세로 리브(19)의 좌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상단의 모든 용기 본체(1) 중에 식재 바닥재 A를 설치하고, 또한 위로부터 각 용기 본체(1)의 상면 개구에 커버 부재(22)를 끼워넣어 조립을 완료한다.
식재용수 W의 급수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 펌프로 급수용 호스(33)에 송수(送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용수 W는, 펌프의 작용으로 급수용 호스(33)를 따라 상승한다. 급수용 호스(33)를 따라 상승한 식재용수 W는, 가장 상단의 식재 용기의 장통체(17)까지 도달하면, 그 상단에 있는 T자관(13)에서 제1 급수구(13a) 측과 제2 급수구(13b) 측의 2방향으로 분류(分流)한다.
T자관(13)의 제1 급수구(13a)로부터 배출된 식재용수 W는, 커버 부재(22)의 안내부(31)의 우측면에 닿아서, 그 아래의 저수부(14)에 급수된다. 또한, T자관(13)의 제2 급수구(13b)로부터 배출된 식재용수 W는, 급수용 튜브(34)를 통하여 우측에 인접한 식재 용기의 세로 리브(19)의 좌측면에 닿아서, 그 아래의 저수부(14)에 급수된다.
가장 상단의 식재 용기의 저수부(14)에서의 저수 레벨이 단통체(18)의 배수구(18a)의 높이까지 도달하면, 식재용수 W는 오버플로우하여 배수구(18a)에 흘러들어,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저수부(14)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차례로 하방의 식재 용기에서 오버플로우가 반복되어, 최종적으로는, 모든 식재 용기의 저수부(14)에 급수된다.
그리고, 제1단째의 식재 용기로부터 오버플로우한 식재용수 W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부 내나, 또는 베이스부의 외측에 배치된 저수용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에 저수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저수용 탱크 내에 저수된 식재용수 W를 펌프에 의해 급수용 호스(33)에 송수함으로써 식재용수 W를 순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식재 바닥재 A가, 그 일부를 저수부(14) 내의 식재용수 W에 침지(浸漬)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식재용수 W가 식재 바닥재 A에 흡수되어, 식재 바닥재 A 중에 존재하는 식물 P의 뿌리에 공급된다. 이로써, 식물 P의 뿌리가 식재용수 W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식물 P가 식재 용기에서 생육할 수 있다.
식재 바닥재 A를 탑재하는 탑재면(20)으로서의 저벽(2)이, 식재용 공간(15)의 개구부(16)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위치하고, 개구부(16)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져서 위치하도록 경사각 α만큼 경사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 바닥재 A는, 개구부(16)로부터 멀어질수록 식재용수 W에 깊게 침지되고, 개구부(16)에 가까울수록 식재용수 W에 대하여 얕게 침지되며, 저수부(14) 내에서의 식재용수 W의 양에 따라서는, 식재용수 W에 침지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식물 P의 뿌리가 생장하여 성장할 수 있는 근권(根圈)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장한 식물 P의 근권에 대하여 충분한 양의 식재용수 W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양호하게 식물을 생육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걸어맞춤부(7) 및 피걸어맞춤부(8) 각각을,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좌측 벽(4) 및 우측 벽(3)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걸어맞춤부(7) 및 피걸어맞춤부(8)를 설치하는 위치는, 우측 벽(3) 및 좌측 벽(4) 각각의 앞쪽 단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접하는 용기 본체(1)끼리 상대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어지는 위치이면, 우측 벽(3) 및 좌측 벽(4)의 어느 위치라도 된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T자관(13)의 제2 급수구(13b)를 더 분기시켜, 인접하는 좌우 양쪽의 용기 본체(1)에 식재용수 W를 급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식재 용기를 세로 방향으로 1단만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전술한 실시예의 용기 본체(1)에서의 우측 벽(3)과 좌측 벽(4)과의 간격이, 용기 본체(1)의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 녹화 구조뿐만 아니라, 옥상 녹화 구조 등에도 적용 가능하며, 특히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벽에 설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1: 용기 본체 3: 우측 벽
4: 좌측 벽 7: 걸어맞춤부
8: 피걸어맞춤부 13: T자관
13a: 제1 급수구 13b: 제2 급수구
14: 저수부 15: 식재용 공간
16: 개구부 W: 식재용수
A: 식재 바닥재

Claims (5)

  1. 식물을 심기 위한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植栽用) 공간과, 상기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를 저류(貯留)하는 저수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를, 그 일부가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식재용 공간에 탑재하여 식재하는 식재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앞면의 좌우 양단에 배치되는 좌우 측벽 중 한쪽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또한 다른 쪽 측벽에 다른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 인접하는 용기 본체 중 하나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인접하는 용기 본체가 서로 연결되고, 연결된 인접하는 용기 본체끼리의 상대 각도는 변경될 수 있는 상태인, 식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좌우 측벽의 앞쪽 단부(端部) 중 한쪽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또한 다른 쪽의 앞쪽 단부에 다른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재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 및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식재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벽의 간격이, 용기 본체의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설정되는, 식재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저수부에 상기 식재용수를 공급하는 제1 급수구와, 상기 용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했을 때, 인접하는 용기 본체 중에서 적어도 한쪽 저수부에 상기 식재용수를 공급하는 제2 급수구를 포함하는, 식재 용기.
KR1020127013606A 2009-11-10 2010-11-08 식재 용기 KR101784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7066A JP5319498B2 (ja) 2009-11-10 2009-11-10 植栽容器
JPJP-P-2009-257066 2009-11-10
PCT/JP2010/069846 WO2011058951A1 (ja) 2009-11-10 2010-11-08 植栽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656A KR20120102656A (ko) 2012-09-18
KR101784225B1 true KR101784225B1 (ko) 2017-10-11

Family

ID=4399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606A KR101784225B1 (ko) 2009-11-10 2010-11-08 식재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59834B2 (ko)
EP (1) EP2499901B1 (ko)
JP (1) JP5319498B2 (ko)
KR (1) KR101784225B1 (ko)
CN (1) CN102084790B (ko)
CA (1) CA2780261C (ko)
HK (1) HK1155038A1 (ko)
TW (1) TWI445496B (ko)
WO (1) WO2011058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2416B2 (ja) * 2011-06-30 2016-01-1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CN102550321B (zh) * 2011-11-02 2014-01-29 上海茵能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自渗灌可搭接斜插组合式多功能绿墙装置
CN102498972B (zh) * 2011-11-23 2013-10-30 彭灿银 一种鱼缸裸缸式水榕布景方法
JP5223025B1 (ja) * 2012-09-12 2013-06-26 孝己 伊藤 壁面花壇構造体、及び壁面花壇形成法
JP5968197B2 (ja) * 2012-11-08 2016-08-1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KR101531658B1 (ko) * 2012-12-20 2015-06-25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용기
JP2016513450A (ja) * 2013-03-04 2016-05-16 ポッピン ポッズ オーストラリア プロプライエタリ リミテッドPoppin Pods Australia Pty Ltd 生きた植物の展示及び保管システム、装置、並びに方法
WO2014145549A1 (en) * 2013-03-15 2014-09-18 Lacavera Maryrose Apparatus for maintaining plants on non-horizontal surfaces
GB2526750A (en) * 2013-03-22 2015-12-02 Modiwall Pty Ltd Modular wall system for vertical gardens
PL403291A1 (pl) * 2013-03-25 2014-09-29 Paweł Garbarek Zestaw do tworzenia ścian z roślinnością ozdobną
JP2015130848A (ja) * 2014-01-15 2015-07-2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ユニット及び植栽具
AU2015234236B2 (en) * 2014-03-18 2019-03-28 Heath William BAX Downpipe assembly
CN103918499A (zh) * 2014-04-17 2014-07-16 北京花儿朵朵花仙子农业有限公司 卧式竹质绿色植物架
NL2012702B1 (en) * 2014-04-28 2016-07-18 Waterwick B V A structure, assembly of a structure and at least one plant pot, building blocks for or of the structure, a method of building the structure and an inserting device.
US9930841B2 (en) * 2014-08-11 2018-04-03 Second Nature Aquaponics, LLC Vertically oriented collapsible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JP6083073B2 (ja) * 2014-11-26 2017-02-22 グリーンストリート株式会社 プランター、プランターの製造方法、プランターを用いた植栽方法、プランター装置、および、プランター装置を用いた植栽方法
CN104365405A (zh) * 2014-12-12 2015-02-25 四川代代为本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采摘的寸冬种植盆
US10117389B2 (en) * 2015-05-23 2018-11-06 Danny A. Armstrong Agricultural growing structure
KR101975248B1 (ko) * 2015-06-26 2019-05-07 (주)대한콜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US10721882B2 (en) * 2016-05-23 2020-07-28 Danny A. Armstrong Agricultural growing structure
US9655309B1 (en) * 2016-05-31 2017-05-23 David R. Hall Rooftop greenhouse inside roof infrastructure
US10863679B2 (en) * 2016-09-08 2020-12-15 Fork Farms Holdings, Llc Modular plant growth apparatus
US10736285B2 (en) * 2017-01-27 2020-08-11 Mjnn, Llc Hydroponic plant display system
US10897855B2 (en) 2017-04-17 2021-01-26 Grostructures Llc Palletized kit for a reinforced earth wall structure
WO2018195057A1 (en) 2017-04-17 2018-10-25 Sj Hardscape Enterprises Llc Earth wall having pocket structure for receiving vegetation
US20180295800A1 (en) 2017-04-18 2018-10-18 Phidro Llc Vertically oriented modular aerohydroponic systems and methods of planting and horticulture
KR101856472B1 (ko) * 2017-06-15 2018-05-10 박요성 적층식 식물재배장치
KR101873200B1 (ko) * 2017-07-18 2018-07-31 박요성 배치가 자유로운 조립식 식물재배장치
US10701875B2 (en) * 2018-03-02 2020-07-07 Mjnn, Llc Multi-piece hydroponic tower with hinged tower face
US20200100435A1 (en) * 2018-10-02 2020-04-02 Darren J. Gebes Plant Growing System
CN110140552A (zh) * 2019-06-01 2019-08-20 天津弘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绿色植物建筑幕墙
TWI714474B (zh) * 2020-03-16 2020-12-21 新峰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新式水循環灌溉系統
JP6799309B1 (ja) * 2020-08-05 2020-12-16 川田工業株式会社 植栽用容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工法
ES2832578B2 (es) * 2020-11-20 2022-07-05 Univ Madrid Politecnica Sistema de jardinería vertical
PL4046477T3 (pl) * 2021-02-19 2024-02-19 4Naturesystem - Wertykalni Sp. Z O. O. Pojemnik na rośliny do zielonych ścian
CN218649392U (zh) * 2022-09-21 2023-03-21 王四平 种植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775A (ja) * 2004-08-03 2006-02-16 Yasutomo Kitada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7872B (en) * 1982-09-02 1985-10-16 William Mcmullan Hawthorne Paving or building block
CN85203216U (zh) * 1985-08-05 1986-07-09 黄金城 组合槽花盆
US4961284A (en) * 1988-09-09 1990-10-09 Bruce Williams Vertical garden
JPH0670857B2 (ja) 1989-07-05 1994-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37836U (ko) * 1989-08-25 1991-04-12
JPH10215687A (ja) * 1997-02-04 1998-08-18 C I Kasei Co Ltd プランターと植物栽培装置
DE19753749A1 (de) 1997-12-04 1999-06-10 Roth Reiner Betonformstein für die Landschaftsgestaltung
JP2000041491A (ja) * 1998-07-27 2000-02-15 Katsuya Isobe 連結鉢
JP2001327222A (ja) * 2000-05-22 2001-11-27 Prg:Kk 花壇システム
JP3802445B2 (ja) * 2002-05-10 2006-07-26 有限会社アスク 植栽ポット
GB2400119B (en) 2003-04-02 2005-05-18 Leo Kinsella Partition system
US7080482B1 (en) * 2004-03-12 2006-07-25 Treg Bradley Modular plant growing apparatus
GB0513036D0 (en) * 2005-06-28 2005-08-03 Evans Robert A Adjustable container
BRPI0621014B1 (pt) 2006-01-23 2014-12-30 Quizcamp Fabrico E Com De Produtos Alimentares S A Sistema de recipientes modulares
GB0710691D0 (en) 2007-06-05 2007-07-11 Churchman Christopher Self watering, cellular green wall system
JP5474285B2 (ja) * 2007-08-21 2014-04-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WO2010083549A1 (en) * 2008-07-01 2010-07-29 John Rodney Keats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WO2010031181A1 (en) * 2008-09-18 2010-03-25 Eco Innovations Inc. Plant propagation and display panel and assembly
CN102281753B (zh) * 2009-01-15 2014-10-29 曺兴烈 组合式培养箱和组合式景管架构系统
USD651937S1 (en) 2009-11-10 2012-01-10 Suntory Holdings Limited Indoor and outdoor decorative article
CA135325S (en) 2009-11-10 2011-08-08 Suntory Holdings Ltd Frame for holding natural or artificial plants
CA135326S (en) 2009-11-10 2011-08-08 Suntory Holdings Ltd Case for holding natural or artificial plants
CA135327S (en) * 2009-11-10 2011-08-08 Suntory Holdings Ltd Case for holding natural or artificial plants
US8250804B2 (en) * 2009-11-16 2012-08-28 Cheng Chung Chang Plant pot holding device
USD644561S1 (en) * 2010-03-31 2011-09-06 Suntory Holdings Limited Frame for holding decorative article
USD644560S1 (en) * 2010-03-31 2011-09-06 Suntory Holdings Limited Indoor and outdoor decorative article
USD650309S1 (en) * 2010-08-11 2011-12-13 Suntory Holdings Limited Frame for holding decorative article
US20130152467A1 (en) * 2011-12-20 2013-06-20 Cheng Chung Chang Watering system for planter combina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775A (ja) * 2004-08-03 2006-02-16 Yasutomo Kitada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9901A4 (en) 2014-07-30
TW201138614A (en) 2011-11-16
CN102084790A (zh) 2011-06-08
CA2780261A1 (en) 2011-05-19
US20120272573A1 (en) 2012-11-01
CA2780261C (en) 2018-01-23
JP2011101607A (ja) 2011-05-26
HK1155038A1 (en) 2012-05-11
EP2499901B1 (en) 2016-05-11
CN102084790B (zh) 2012-11-14
WO2011058951A1 (ja) 2011-05-19
US8959834B2 (en) 2015-02-24
KR20120102656A (ko) 2012-09-18
EP2499901A1 (en) 2012-09-19
TWI445496B (zh) 2014-07-21
JP5319498B2 (ja)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225B1 (ko) 식재 용기
EP2084957B1 (en) Planting container
US20110232183A1 (en) Water supply and wetness adjustment flowerpot assembly
JP6057288B2 (ja) 植栽装置
US20110108083A1 (en) Support for a solar panel
CA2576600A1 (en) Water drain tank or channel module
CN101554125A (zh) 立面绿化模块
KR20150082508A (ko) 식재 용기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JP7011514B2 (ja) 壁面緑化パネル
KR101433850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JP5842416B2 (ja) 植栽容器
JP3218972U (ja) 立体積み重ね機能を有するプランター
JP5557551B2 (ja) 緑化用パネル
JP2005304310A (ja) 植栽設備
KR20140050126A (ko) 연료탱크의 능동형 배플구조
CN218061212U (zh) 一种户外绿化地板组件
CN218042683U (zh) 一种潮汐托盘
CN218072596U (zh) 种植管及生态景观连接架
JP2010158224A (ja) 植物栽培箱体、植物栽培セット、および植物栽培容器
CN212278997U (zh) 一种立体绿化模块
JP2010246566A (ja) 屋根緑化設備
JP2007097402A (ja) 底面潅水トレー、カゴ型トレー、育苗システム
KR200449879Y1 (ko) 주방용품 케이스
CN203181703U (zh) 花盆供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