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067B1 - 플러그 핀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 핀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067B1
KR101782067B1 KR1020170088381A KR20170088381A KR101782067B1 KR 101782067 B1 KR101782067 B1 KR 101782067B1 KR 1020170088381 A KR1020170088381 A KR 1020170088381A KR 20170088381 A KR20170088381 A KR 20170088381A KR 101782067 B1 KR101782067 B1 KR 10178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aterial
mold
processing
metal mold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17008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2Use of a particular power source
    • B23C2270/022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크기 및 외측이 라운드 형태로 가공된 제품 소재를 커팅방식으로 절삭 가공함에 따라 정확하고 빠르게 플러그 핀을 가공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장비를 최소화 하여 생산 원가를 단축할 수 있게 되고, 재료의 정렬, 공급 및 가공이 완료된 제품의 배출까지 모두 자동화할 수 있어서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플러그 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는,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 소재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품 소재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정렬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바로 뒤쪽에 구비되어 공급된 제품 소재를 절삭 가공하는 가공부와, 가공부에서 가공되는 제품 소재의 규격에 따라 제품 소재가 가공되는 가공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공 폭 조절부 및 가공부에서 가공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핀 가공 장치{Plug pin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플러그 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크기 및 외측이 라운드 형태로 가공된 제품 소재를 커팅방식으로 절삭 가공함에 따라 정확하고 빠르게 플러그 핀을 가공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장비를 최소화 하여 생산 원가를 단축할 수 있게 되고, 재료의 정렬, 공급 및 가공이 완료된 제품의 배출까지 모두 자동화할 수 있어서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플러그 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가 설치되어있다.
이러한 콘센트를 이용해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해야 한다.
현대 생활에서 냉장고, TV, 조명, 휴대폰 등 거의 모든 분야 있어서 전기는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역시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플러그 핀에 의해 콘센트에서 전력을 인가받게 되는데 콘센트에 따라 여기에 끼워지는 플러그 핀의 형상도 다르게 사용해야 한다.
특히 콘센트는 사용 국가나 사용 전력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콘센트에 맞는 플러그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콘센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플러그 핀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콘센트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플러그 내측에 내장되면서 전원이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콘센트와 플러그의 크기나 형상에 맞게 정밀 가공해야 한다.
이러한 플러그 핀은 일반적으로 재료를 절단하고 이를 가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콘센트에 맞는 형태로 제작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선반을 이용해 가공하거나 금형에 의해 제작하는 방식 및 사출, 압출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 1(한국등록특허 10-0900523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110V 내지 220V용 플러그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러그핀)에서는 가공물을 일정 두께로 인발 성형시킨 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가공물을 냉간단조용 가공툴을 이용하여 압착시켜 매입부를 형성하는 제1가공단계와, 매입부가 형성된 가공물을 제2가공툴로 냉간 단조 가공하여 가공물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홈을 형성시키는 제2가공단계 및 홈이 형성된 가공물을 제3가공툴로 냉간단조 가공하여 홈이 내부공간으로 감춰지도록 가공물의 선단을 반구형상으로 가공하는 제3가공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 다수의 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제조 시간이 길어지고, 냉간 단조 공법의 특성상 제품에 여러번 변형을 주게 되어 가공 중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한국등록특허 10-0900523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110V 내지 220V용 플러그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러그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1차 가공에 의해 일정 크기로 절단 및 라운드 가공된 재료에서 가공이 필요한 부분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 사이로 통과시킴에 따라 절삭 가공이 완료되어 제조 속도가 단축되고, 가공에 필요한 장비의 수가 줄어들어 생산 원가를 절약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자동 정렬 장치를 통해 정렬된 상태로 커터 측으로 공급되고 가공이 완료되면 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어 인력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플러그 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는,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 소재(M)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품 소재(M)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정렬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00);, 상기 공급부(100)의 바로 뒤쪽에 구비되어 공급된 제품 소재(M)를 절삭 가공하는 가공부(200);, 상기 가공부(200)에서 가공되는 제품 소재(M)의 규격에 따라 제품 소재가 가공되는 가공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공 폭 조절부(300); 및 상기 가공부(200)에서 가공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100)는 내부에 수용된 제품 소재(M)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나선 이송로(110)와, 상기 나선 이송로(110)를 따라 이송된 제품 소재(M)가 1열로 이송되도록 정렬하는 제1 정렬부(120)와, 상기 제1 정렬부(120)에서 정렬된 제품 소재(M)를 같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정렬하는 제2 정렬부(130)와, 상기 제2 정렬부(130)를 통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이송된 제품 소재(M)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공부(200)로 바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급관(140) 및 상기 나선 이송로(110)를 따라 제품 소재(M)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나선 이송로(11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된 중앙 피더(111)를 연속으로 회전시켜 제품 소재(M)가 나선을 따라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부 구동모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공부(200)는 제품 소재(M)를 유도 및 지지하는 유도 금형(210)과, 상기 유도 금형(210)의 바로 앞쪽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 금형(210)으로 유도된 제품 소재(M)가 진입되면 하강되면서 제품 소재(M)를 가공하는 가공 금형(220)과,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에 의해 제품 소재(M)를 절삭하는 커터(230) 및 상기 커터(230)와 벨트 풀리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커터(230)를 구동시키는 커터 구동 모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도 금형(210)은 제품 소재(M)를 유도하여 일시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 승강되면서 제품 소재(M)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금형(211)과, 상기 이송 금형(211)의 전후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금형(211)이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금형(212) 및 상기 이송 금형(211) 내부에 지지된 제품 소재(M)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진입 실린더(213)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금형(220)은 상기 유도 금형(210)으로부터 이동되어 삽입된 제품 소재(M)를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커터(230) 사이로 통과시켜 제품 소재(M)의 양측을 가공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기 가공 금형(220)을 상하 승강시키는 가공 실린더(223)가 구비되며, 상기 커터(230)는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터(230)는 각각 제품 소재(M)의 경사면을 가공하는 경사면 커터(231)와, 제품 소재(M)의 홈을 가공하는 홈 커터(232)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 커터(231)와 홈 커터(232)는 상기 커터 구동 모터(24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하나의 구동축(233)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 폭 조절부(300)는 상기 구동축(233)의 외측을 각각 감싸며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3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축 지지블록(310)과,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외측을 고정 지지하는 조절 블록(330)과, 상기 조절 블록(33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절 블록(330)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도록 동작시키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지지 플레이트(34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4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40)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 블록(330)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조작하는 조절 핸들(350) 및 상기 조절 핸들(350)과 조절 블록(3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 핸들(35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조절 블록(330)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조절 스크류(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플러그 핀을 가공함에 있어서 빠른 속도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플러그 핀을 가공함에 있어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플러그 핀을 가공함에 있어서 공급과 가공 및 배출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인력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설비 간소화로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공급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가공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유도 금형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가공 금형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커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후방 지지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소재 가압 지지부(260)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커터 폭 조절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배출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은 플러그 핀을 가공하기 위한 플러그 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 소재를 자동으로 정렬 및 공급하고, 공급된 제품 소제를 금형에 삽입 지지한 상태에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2개의 커터 사이로 통과시켜 제품 소재를 절삭 방식으로 자동 가공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가공이 완료된 제품 소재는 자동으로 배출됨에 따라 제픔 가공의 전 공정이 자동화 되어 인력 소비를 최소하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러그 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공급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공급부(100), 가공부(200), 가공 폭 조절부(300) 및 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00)는 다수의 제품 소재(M)를 수용한 상태에서 나선 형태의 이송로를 따라 제품 소재(M)가 상부로 이송 및 정렬되어 공급되는 것으로, 제품 소재(M)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나선 이송로(110)와, 상기 나선 이송로의 하부 중앙에서 회전되면서 제품 소재(M)를 나선 이송로(110)를 따라 이송되도록 밀어주는 중앙 피더(111)와, 상기 나선 이송로(110)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제품 소재(M)가 한 줄로 이송되도록 정렬하는 제1 정렬부(120)와, 상기 제1 정렬부(120)에서 정렬된 상태로 상기 제품 소재(M)가 상부로 이송되는 경로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한 줄로 이송되는 제품 소재(M)를 직경 및 무게에 의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여 동일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제2 정렬부(130)와, 상기 제2 정렬부(130)에서 정렬된 상태의 제품 소재(M)를 중력에 의해 하부 측으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곡률을 이루며 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정렬부(120)의 끝부분에서 상기 가공부(200) 까지 이어지게 구비되는 공급관(140) 및 상기 나선 이송로(110)를 따라 제품 소재(M)를 이송할 수 있도록 중앙 피더(111)를 회전시키는 공급부 구동모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품 소재(M)를 공급부(100)에 다량으로 투입하면 자동으로 정렬되며 상기 가공부(200) 측으로 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가공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공부(200)는 상기 공급부(100)의 공급관(140) 하부 끝부분에 구비되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제품 소재(M)를 유도하는 유도 금형(210)과, 상기 유도 금형(210)의 뒤쪽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 금형(210)으로부터 투입된 제품 소재(M)를 상하 이동시키며 가공하는 가공 금형(220)과,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 구비되어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가공 금형(220) 내부에 투입된 제품 소재(M)를 절삭 가공하는 커터(230)와, 상기 커터(230)의 앞쪽에 상기 가공 금형(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커터(230)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커터 구동 모터(240)와, 상기 가공 금형(220)에 제품 소재(M)가 투입됨에 있어서 투입된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품 소재(M)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 실린더(252) 및 상기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에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가공 금형(220) 측으로 압력을 가하여 제품 소재(M)를 지지하는 소재 가압 지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제품 소재(M)가 가공부(200) 측으로 자동으로 진입되고, 상기 가공부(200)는 진입된 제품 소재(M)를 지지한 상태에서 가공 금형(220)이 상하 승강되면서 커터(230) 사이로 제품 소재(M)를 통과시킴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완제품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유도 금형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도 금형(210)은 상하로 이송되면서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제품 소재(M)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금형(211)과, 상기 이송 금형(211)의 양측에서 상기 이송 금형(211)이 일정구간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금형(212) 및 상기 이송 금형(211)에서 가공 금형(220) 측으로 이송된 제품 소재(M)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밀어서 진입시키는 진입 실린더(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금형(211)은 상기 이송 금형(211)의 상부에 구비된 이송 금형 실린더(211a)에 이해 상기 지지 금형(212) 사이에서 일정구간 상하 승강되면서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제품 소재(M)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이송시켜 가공 금형(220)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 금형(212)의 앞쪽에는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제품 소재(M)를 정렬하여 상기 이송 금형(211)으로 진입시키는 진입부(212a)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진입 실린더(213)의 실린더 축 끝 부분에는 상기 제품 소재(M)를 이송 금형(211)에서 가공 금형(220) 측으로 밀어서 진입시키는 진입핀(213a)이 더 구비되어 진입 실린더(213)의 동작에 의해 이송 금형(211)에 투입된 제품 소재(M)를 가공 금형(220) 측으로 자동으로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제품 소재(M)를 가공 금형(220) 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 가공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최소화 하면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가공 금형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공 금형(220)은 제품 소재(M)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제품 소재(M)보다 조금 더 큰 크기로 벌어졌다가 제품 소재(M)가 진입된 후 제품 소재(M) 측으로 좁아지면서 제품 소재(M)의 상하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동작되는 상부 가공 금형(221)과 하부 가공 금형(2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공 금형(2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 금형(220)을 상하 승강시키면서 상기 커터(230) 사이로 통과시켜 제품 소재(M)를 가공하는 가공 실린더(223) 및 상기 커터(230)의 외측에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으로 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품 소재(M)가 가공을 위해 하강될 때 상기 제품 소재(M)가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정렬해주는 정렬부재(224) 및 가공 금형(220) 전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 승강되는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렬부재(224)는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품 소재(M)는 경사면을 따라 정위치로 정렬된다.
이로 인해 유도 금형(210)으로부터 진입된 제품 소재(M)를 가공 금형(220)에서 정위치 시켜 고정한 상태로 상기 커터(230) 사이로 통과시킴에 따라 가공하고자 하는 부위가 커터(230)에 의해 절삭 가공되어 정밀하고 빠르게 제품 가공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커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터(230)는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제품 소재(M)를 경사면 형태로 가공하는 경사면 커터(231)와, 제품 소재(M)의 홈 부분을 가공하는 홈 커터(232) 및 상기 경사면 커터(231)와 홈 커터(232)가 함께 동일 축 상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된 구동축(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233)은 상기 커터 구동 모터(240)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 커터(231)와 홈 커터(232)가 구비된 다른 쪽 끝 부분에는 상기 커터 구동 모터(240)와 연결되어 상기 커터 구동 모터(2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축(233)을 회전시키는 종동 풀리(233a)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터 구동 모터(240)에는 상기 종동 풀리(233a)와 벨트 풀리 구조로 연결되어 커터 구동 모터(240)의 동력을 커터(230)가 일체로 결합된 구동축(233)으로 전달시켜 구동축(233)을 회전시키는 구동 풀리(24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터(230)는 경사면 커터(231)와 홈 커터(232)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커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커터 구동 모터(240)가 회전하면 구동 풀리(241)가 함께 회전하고, 구동 풀리(241)와 벨트(242)로 연결된 종동 풀리(233a)는 상기 구동 풀리(241)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233)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경사면 커터(231)와 홈 커터(232)가 함께 회전되면서 제품 소재(M)를 절삭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후방 지지부(250)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공 금형(220)의 뒤쪽에는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 지지되도록 막아주는 후방 지지부(2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방 지지부(250)는 선택적으로 전후진 되면서 가공 금형(220)에서 제품 소재(M)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공 금형(220)의 뒤쪽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251)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251)를 선택적으로 가공 금형(220) 측에 접하거나 멀어지게 동작시키는 후방 지지 실린더(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가공 금형(220)으로 제품 소재(M)가 진입될 때에는 가공 금형(220)의 제품 소재(M)가 진입되는 반대 방향을 막아주어 유도 금형(210)에서 가공 금형(220) 내부로 제품 소재(M)가 진입될 때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소재 가압 지지부(260)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소재 가압 지지부(260)는 한쪽 끝부분은 하부 가공 금형(2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은 상기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와 결합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 되면서 상기 하부 가공 금형(222)을 제품 소재(M) 측으로 이동시키며 가압하는 회동 바(261)와, 상기 회동 바(261)가 하부 가공 금형(222)과 연결된 다른 쪽 끝 부분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하 승강동작에 의해 상기 회동 바(261)를 회동시키는 가압 바(262) 및 상기 가압 바(26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 바(262)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압 실린더(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 바(261)에는 상기 하부 가공 금형(222)의 하부와 상기 회동 바(261)의 끝부분 사이에 상기 하부 가공 금형(222)과 상기 회동 바(261)를 서로 연결하여 가압 바(262)가 상기 회동 바(261)를 회동시키면 상기 회동 바(261)의 동작에 의해 하부 가공 금형(222)을 상승시키면서 가압하는 회동 블록(261a)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소재 가압 지지부(26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소재 가압 지지부(260)는 상기 가공 금형(220)이 설치된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와 함께 동작되는 것으로, 가공 금형(220)이 상승된 상태에서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으로 진입되면, 상기 가압 실린더(263)가 하강 동작되면서 가압 바(262)가 하강하고, 상기 가압 바(262)에 연결된 회동 바(261)가 시소 운동하면서 회동되어 하부 가공 금형(222)을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하부금형이 상승됨에 따라 제품 소재(M)가 가압되어 제품 소재(M)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로 인해 가공 중 유동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가공 폭 조절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공하고자 하는 규격에 따라 커터(23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공 폭 조절부(3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공 폭 조절부(300)는 상기 커터(230)의 구동축(233)이 회전 가능하도록 내장 설치되어 지지되는 구동축 지지블록(310)과,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바깥 쪽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을 이동시키는 조절 블록(330)과, 상기 조절 블록(330)의 외측에 상기 조절 블록(330)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조절 블록(330)이 특정폭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4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40)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상기지지 플레이트(340)에서 상기 조절 블록(330)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조절 핸들(350) 및 상기 조절 블록(330)과 조절 핸들(35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40)를 관통하며 설치되어 상기 조절 핸들(3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 블록(3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스크류(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 지지 블록(310)의 하부에는 제품 소재(M) 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직선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조절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에는 상기 조절홈(311)에 끼워지면서 조절홈(311)이 직선으로만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조절 레일(321)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며 플러그 핀을 가공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설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생산 원가를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배출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공이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400)는 제품 가공이 완료되면 제품을 밀어주어 가공 금형(220)에서 이탈됨에 따라 배출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전후 동작되는 배출 실린더(410) 및 상기 배출 실린더(410)의 축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 금형(220) 내측에 상기 제품이 위치된 곳까지 삽입되어 가공 금형(220)에서 가공 완료된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핀(4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가공이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배출하여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핀 가공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먼저 공급부에 수용된 제품 소재(M)는 중앙 피더(111)의 회전에 의해 공급부의 나선 이송로(110)를 따라 이송되다가 제1 정렬부(120)에 도착하면 외측으로 낮아지게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제품 소재(M)가 제1 졍렬부(120)의 외측으로 쏠리면서 1열로 정렬되어 이송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품 소재(M)가 제2 정렬부(130)로 진입되면 외측으로 낮게 기울어진 경사면과 제2 정렬부(130)의 외측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 홈에 의해 제품 소재(M)의 얇은 부위가 외측으로 쏠리도록 회전되면서 제품 소재(M)는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이송된다.
이후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는 제품 소재(M)는 공급관(140)으로 진입되어 가공부(200) 측으로 이송된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품 소재(M)는 공급관(140)을 따라 하부로 이송된 후 유도 금형(210)의 이송 금형(211) 측으로 진입되어 이송 금형(211) 내부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도 11d를 참조하면, 이송 금형(211) 내측으로 진입된 제품 소재(M)는 이송 금형(211)이 하부로 이송됨에 따라 함께 하부로 이송되어, 가공 금형(220)에 형성된 제품 소재 고정홀(226)의 바로 앞쪽에 위치된다.
도 11e를 참조하면, 가공 금형(220)의 제품 소재 고정홀(226)의 바로 앞쪽으로 이송된 제품 소재(M)는 진입 실린더(213)의 동작에 의해 진입핀(213a)이 제품 소재(M)를 밀어줌에 따라 이송 금형(211)에서 가공 금형(220)의 제품 소재 고정홀(226) 내측으로 이송되어 안착된다.
도 11f를 참조하면, 제품 소재(M)가 제품 소재 고정홀(226)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 실린더(263)가 동작됨에 따라 가압 실린더(263)와 연결된 가압 바(262)가 하강하게 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가압 바(262)의 하부에 연결되며 다른 쪽 끝부분은 하부 가공 금형(222)의 하부에 연결되고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바(261)가 회동되면서 상기 하부 가공 금형(222)을 상부로 밀어 올려줌에 따라 상부 가공 금형(221)과 하부 가공 금형(222) 사이에 위치된 제품 소재(M)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도 11g를 참조하면,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가공 실린더(223)가 하강 동작됨에 따라 가공 금형(220)이 하강되면서 양측에 구비된 커터(230) 사이로 통과하여 제품 소재(M)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1h를 참조하면, 제품 소재(M)가 가공되면서 하강될 때 배출부(400)의 배출핀(411)이 구비된 위치에 맞게 하강되어 정지된다.
이후, 배출 실린더(410)가 동작됨에 따라 배출핀(411)이 가공 완료된 제품을 밀어주어 가공 금형(220)에서 제품이 배출 되어 하부에 위치된 배출 트레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플러그 핀을 가공함에 있어서 최초 제품 소재를 공급부에 투입하는 동작만으로 제품 소재의 공급 및 가공, 배출 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생산 속도를 증가시켜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커터를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제품의 규격에 따라 커터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며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설비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생산 원가를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 공급부 110 : 나선 이송로
120 : 제1 정렬부 130 : 제2 정렬부
140 : 공급관 150 : 공급부 구동모터
200 : 가공부 210 : 유도 금형
211 : 이송 금형 211a : 이송 금형 실린더
212 : 지지 금형 212a : 진입부
213 : 진입 실린더 213a : 진입핀
220 : 가공 금형 221 : 상부 가공 금형
222 : 하부 가공 금형 223 : 가공 실린더
224 : 정렬부재 225 : 가공 금형 플레이트
226 : 제품 소재 고정홀 230 : 커터
231 : 경사면 커터 232 : 홈 커터
233 : 구동축 233a : 종동 풀리
240 : 구동 모터 241 : 구동 풀리
242 : 벨트 250 : 후방 지지부
251 : 후방 지지부재 252 : 후방지지 실린더
260 : 소재 가압 지지부 261 : 회동 바
261a : 회동 블록 262 : 가압 바
263 : 가압 실린더 300 : 가공 폭 조절부
310 : 구동축 지지블록 311 : 조절홈
320 : 베이스 플레이트 321 : 조절 레일
330 : 조절 블록 340 : 지지 플레이트
350 : 조절 핸들 360 : 조절 스크류
400 : 배출부 410 : 배출 실린더
411 : 배출핀 M : 제품 소재

Claims (5)

  1.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 소재(M)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품 소재(M)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정렬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00);
    상기 공급부(100)의 바로 뒤쪽에 구비되어 공급된 제품 소재(M)를 절삭 가공하는 가공부(200);
    상기 가공부(200)에서 가공되는 제품 소재(M)의 규격에 따라 제품 소재가 가공되는 가공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공 폭 조절부(300); 및
    상기 가공부(200)에서 가공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부(100)는 내부에 수용된 제품 소재(M)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나선 이송로(110)와, 상기 나선 이송로(110)를 따라 이송된 제품 소재(M)가 1열로 이송되도록 정렬하는 제1 정렬부(120)와, 상기 제1 정렬부(120)에서 정렬된 제품 소재(M)를 같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정렬하는 제2 정렬부(130)와, 상기 제2 정렬부(130)를 통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이송된 제품 소재(M)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공부(200)로 바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급관(140) 및 상기 나선 이송로(110)를 따라 제품 소재(M)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나선 이송로(11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된 중앙 피더(111)를 연속으로 회전시켜 제품 소재(M)가 나선을 따라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부 구동모터(150)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200)는 제품 소재(M)를 유도 및 지지하는 유도 금형(210)과, 상기 유도 금형(210)의 바로 앞쪽에 구비되고, 제품 소재(M)를 지지하는 상부 가공 금형(221)과 상기 상부 가공 금형(221)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가공 금형(221) 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면서 제품 소재(M)를 고정 지지하는 하부 가공 금형(222)으로 분할 구비되며, 상기 유도 금형(210)으로 유도된 제품 소재(M)가 진입되면 하강하면서 제품 소재(M)가 가공되도록 이송시키는 가공 금형(220)과, 상기 가공 금형(220)의 상부에서 상기 가공 금형(220)을 지지하면서 가공 금형(220)을 상하 승강시키는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와,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에 의해 제품 소재(M)를 절삭하는 커터(230)와 상기 커터(230)와 벨트 풀리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커터(230)를 구동시키는 커터 구동 모터(240)와, 상기 가공 금형(220)의 뒤쪽에 구비되어 가공 금형(220) 측으로 제품 소재(M)가 진입될 때 제품 소재(M)가 가공 금형(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251)와 상기 후방 지지부재(251)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후방 지지실린더(252)로 이루어진 후방 지지부(250) 및
    상기 하부 가공 금형(222)의 아래쪽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가공 금형(222)을 상부 가공 금형(221)측으로 밀어주면서 제품 소재(M) 측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이격시켜 압력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진입된 제품 소재(M)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거나 가공이 완료된 제품 소재(M)를 배출하기 위해 제품 소재(M)를 고정 해제하는 소재 가압 지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소재 가압 지지부(260)는 한쪽 끝부분은 하부 가공 금형(22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은 상기 가공 금형 플레이트(225)와 결합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 되면서 상기 하부 가공 금형(222)을 제품 소재(M) 측으로 이동시키며 가압하는 회동바(261)와, 상기 회동바(261)가 하부 가공 금형(222)과 연결된 다른 쪽 끝 부분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하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회동바(261)를 회동시키는 가압 바(262) 및 상기 가압 바(26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 바(262)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압 실린더(263)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 금형(210)은 제품 소재(M)를 유도하여 일시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 승강되면서 제품 소재(M)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금형(211)과, 상기 이송 금형(211)의 전후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금형(211)이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금형(212) 및 상기 이송 금형(211) 내부에 지지된 제품 소재(M)를 상기 가공 금형(220) 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진입 실린더(213)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 금형(220)은 상기 유도 금형(210)으로부터 이동되어 삽입된 제품 소재(M)를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커터(230) 사이로 통과시켜 제품 소재(M)의 양측을 가공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기 가공 금형(220)을 상하 승강시키는 가공 실린더(223)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 제품 소재(M) 측을 향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품 소재(M)를 정렬하면서 상기 커터(230) 사이로 통과시키는 정렬 부재(224)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230)는 상기 가공 금형(2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터(230)는 각각 제품 소재(M)의 경사면을 가공하는 경사면 커터(231)와, 제품 소재(M)의 홈을 가공하는 홈 커터(232)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 커터(231)와 홈 커터(232)는 상기 커터 구동 모터(24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하나의 구동축(233)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공 폭 조절부(300)는 상기 구동축(233)의 외측을 각각 감싸며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3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축 지지블록(310)과,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 지지블록(310)의 외측을 고정 지지하는 조절 블록(330)과, 상기 조절 블록(33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절 블록(330)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도록 동작시키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지지 플레이트(34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4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40)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 블록(330)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조작하는 조절 핸들(350) 및 상기 조절 핸들(350)과 조절 블록(3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 핸들(35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조절 블록(330)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조절 스크류(360)를 포함 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지지 블록(310)의 하부에는 제품 소재(M) 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직선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조절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에는 상기 조절홈(311)에 끼워지면서 조절홈(311)이 직선으로만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조절 레일(32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핀 가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88381A 2017-07-12 2017-07-12 플러그 핀 가공 장치 KR10178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81A KR101782067B1 (ko) 2017-07-12 2017-07-12 플러그 핀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81A KR101782067B1 (ko) 2017-07-12 2017-07-12 플러그 핀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067B1 true KR101782067B1 (ko) 2017-09-26

Family

ID=6003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381A KR101782067B1 (ko) 2017-07-12 2017-07-12 플러그 핀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610B1 (ko) 2018-12-21 2019-05-21 김수진 커넥터 핀 가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972B1 (ko) 2014-11-11 2015-09-17 원진테크 주식회사 샤프트의 전조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972B1 (ko) 2014-11-11 2015-09-17 원진테크 주식회사 샤프트의 전조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610B1 (ko) 2018-12-21 2019-05-21 김수진 커넥터 핀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405B1 (ko) 자재 절단 공급 장치가 구비된 알루미늄 압출기
KR101121449B1 (ko) 곡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윈도우글라스 밴딩성형방법과 이를 위한 윈도우글라스 밴딩 성형장치
KR101084336B1 (ko)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KR101621064B1 (ko) 프로파일의 펀칭 및 노칭 자동가공장치
CN109128831B (zh) 一种头枕杆加工用设备
KR100823136B1 (ko) 환봉의 외경 연삭을 위한 무인가공장치
CN203592350U (zh) 一种用于管类、杆类工件的加工控制装置
KR101929741B1 (ko) 원슈 파킹브레이크용 라이닝의 v형 면취장치
KR100928958B1 (ko) 펨 너트의 내경이 용이하게 가공되는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JP5371618B2 (ja) 金属パイプ自動溝・穴明け加工装置
KR101638458B1 (ko) 소재 공급 및 가공품 배출시스템
KR100727597B1 (ko) 공작기계용 소재 공급/배출장치
KR101782067B1 (ko) 플러그 핀 가공 장치
CN210668217U (zh) 一种全自动继电器端子焊线机
KR101086267B1 (ko) 윈도우글라스 밴딩 성형장치의 금형 이송장치
KR100714764B1 (ko) 튜브의 축경장치
KR101335352B1 (ko) 와이어 자동 압접기
CN103464477B (zh) 全自动横轧延机的进料夹持加工装置
CN209465535U (zh) 一种新型全自动冲孔装置
KR100457014B1 (ko) 금속파이프의 단부 가공장치
KR101147485B1 (ko) 단자 밴딩기
KR101915600B1 (ko) 단조성형기의 원재료 공급장치
CN103394608A (zh) 高速冲落片级进装置
CN209867090U (zh) 一种多工位液压拉伸装置
CN203691186U (zh) 一种电机端盖自动质检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