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841B1 -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제 - Google Patents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1841B1 KR101781841B1 KR1020127004785A KR20127004785A KR101781841B1 KR 101781841 B1 KR101781841 B1 KR 101781841B1 KR 1020127004785 A KR1020127004785 A KR 1020127004785A KR 20127004785 A KR20127004785 A KR 20127004785A KR 101781841 B1 KR101781841 B1 KR 101781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seq
- amino acid
- pth
- pept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 A61P3/14—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for calcium homeosta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rathyroid horm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rathyroid hormones
- A61P5/2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rathyroid hormones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PTH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05—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1013—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O or S as heteroatoms, e.g. Cys, S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besit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저하시키는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 설명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하위유닛의 연속 서열로 구성되고: X1-X2-X3-X4-X5-X6-X7, 이때 X1 하위유닛은 티올-함유 부분을 포함하고, X2 내지 X7 하위유닛의 전하 분포는 원하는 활성을 제공한다.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뼈 질병 및/또는 고칼슘혈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의 사용 방법 또한 본 발명에 기술되며, 특히 혈장 PTH 및 혈청 칼슘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차, 이차 또는 삼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악성 종양의 고칼슘혈증; 전이성 뼈 질병; 또는 골다공증을 나타내는 대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갑상선 호르몬 (PTH)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 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칼슘혈증 또는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또는 생체 내 PTH 수준의 조절을 포함하여 치료방법에 사용되는 그러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칼슘 항상성은 그것에 의해 신체가 적당한 칼슘 수준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다. 그 과정은 고도로 조절되며, 칼슘 흡수, 수송, 뼈에서의 저장, 다른 조직에서의 퇴적과 배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PTH는 순환하는 칼슘 수준의 조절자이고, 뼈 재흡수 과정을 통해 뼈로부터 칼슘의 방출을 증강시키고; 세뇨관으로부터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그리고 비타민 D의 활성 형태인 1,25-(OH)2 비타민 D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증강시킴으로써 혈액 내 칼슘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PTH는 또한 신장으로부터의 인 배설을 자극하고, 뼈로부터의 방출을 증가시킨다.
PTH 분비는 부갑상선 세포의 표면에서 여러 유형의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인 칼슘 감지 수용체 (CaSR)에 의해 조절되는데, 그것은 세포 밖에 있는 칼슘 이온 (Ca2 +)의 농도의 작은 변동을 감지하여 PTH의 분비를 변경함으로써 반응하는 기능을 한다. Ca2 +에 의한 CaSR의 활성화는 수초에서 수 분 사이에 소포 수송의 억제를 통해 PTH 분비를 억제하고, 이 과정은 수용체의 단백질 키나제 C (PKC) 인산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CaSR은 또한 골아세포상에서, 그리고 신장에서 발현되며, 그곳에서 CaSR은 신장의 Ca2 + 배설을 조절한다.
또한 PTH는 인 항상성을 조절한다. PTH는 GI 트랙의 세포의 정점 (융모막)과 기저측면 막 2곳에서 모두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1 (PTHR1)을 자극한다. PTHR1 자극은 융모막상의 신장 Na+/포스페이트(Pi) (NaPi-IIa) 공동-수송기의 내부화에 의한 감소 결과로서 포스페이트 (Pi)의 소변내 배설의 증가를 유도한다.
PTH는 또한 뼈의 골아세포 및 파골세포의 조절에 포함된다. PTH는 칼슘의 뼈 재흡수와 신장 재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순환하는 Ca2 +를 증가시킨다. PTH는 RANK 리간드 (RANKL)를 생성하기 위해 골아세포를 자극하는데, PANKL은 RANK 수용체에 결합하여 파골세포를 활성화시켜서 뼈 재흡수와 혈청 Ca2 +의 증가를 유도한다. 오스테오프로테게린(osteoprotegerin, OPG)은 뼈 재흡수를 차단하는 RANKL에 대한 유인(decoy) 수용체이다. 골다공증은 파골세포에 의한 뼈 재흡수 과정과 골아세포에 의한 뼈 형성 사이의 불균형에 의해 유발된다.
사람의 신체는 대략 1kg의 칼슘을 함유하는데, 그 중 99%는 뼈에 존재한다.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 순환하는 칼슘 이온 (Ca2 +)은 약 9 내지 10mg/dL (즉 2.25 내지 2.5 mmol/L; ~600mg)의 수준으로 엄격하게 유지된다. 대략 1g의 기본적인 칼슘 (Ca2+)이 매일 섭취된다. 이 양중에서 대략 200mg/일이 흡수되고, 800mg/일은 배설된다. 또한 대략 500mg/일이 뼈 재흡수에 의해 방출되거나 뼈 안에 퇴적된다. 약 10g의 Ca2 +가 매일 신장을 통해 걸러지며, 이때 약 200mg이 소변으로 나오며, 나머지는 재흡수된다.
고칼슘혈증은 혈액 중에 칼슘 수준이 상승된 것이다. 급성 고칼슘혈증은 위장 증상 (신경성 식욕부진증 (거식증), 오심, 구토); 신장 증상 (다뇨증, 조갈증), 신경근 증상 (우울증, 혼란, 무기력증, 혼수상태) 및 심장 증상 (서맥, 1도 심방실)을 유발할 수 있다. 만성 고칼슘혈증은 또한 위장 증상 (소화불량, 변비, 췌장염); 신장 증상 (신장결석, 신석회화증), 신경근 증상 (약함) 및 심장 증상 (고혈압, 디기탈리스 민감성)과도 관련된다.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이 유발될 수 있고, 짧은 QT 간격 및 확대된 T 파장의 EKG 발견은 고칼슘혈증을 시사한다. 고칼슘혈증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으나 더 많은 증상이 대체로 고칼슘 수준 (12.0mg/dL 또는 3mmol/l)에서 발생한다. 심각한 고칼슘혈증 (15 내지 16mg/dL 또는 3.75 내지 4mmol/l 이상)은 응급 의료상황으로 여겨진다: 이런 수준에서는 혼수상태와 심장마비가 일어날 수 있다.
고칼슘혈증은 자주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의해 유발되는데, 그것은 과잉 뼈 재흡수와 상승된 혈청 칼슘 수준을 유발한다. 일차 산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에서는 PTH는 단일 부갑상선 선종에 의해 과잉생성되며; 그것보다는 덜하지만 다발성 선종이나 확산성 부갑상선 샘 증식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증가된 PTH 분비는 뼈 재흡수의 전체적인 증가를 유발하며, 이때 Ca2 + 및 포스페이트 (Pi)가 방출된다. PTH는 또한 Ca2 +의 신장 재흡수를 증진시키고 포스페이트 (Pi)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그 결과 혈청 칼슘은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포스페이트는 감소한다.
이차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Ca2 + 수준의 순환하는 수준의 감소가 PTH 분비를 자극할 때 발생한다. 이차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한 원인은 만성 신장 기능부전 (또는 만성 신장 질병 또는 CKD로 불림), 예컨대 신장 다낭성 질병 또는 만성 신우신염, 또는 만성 신장 질환, 예컨대 혈액 투석 환자 (또는 말기 신장 질병 또는 ESRD로 불린다)의 만성 신장 기능부전이다. 과잉 PTH는 낮은 칼슘 섭취, GI 장애, 신장 기능부전, 비타민 D 결핍, 및 신장 과칼슘뇨증으로부터 유발되는 저칼슘혈증에 대한 반응으로 생성될 수 있다. 3차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장기간의 이차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고칼슘혈증이 있은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악성 종양은 비-PTH 중재된 고칼슘혈증의 통상적인 원인이다. 악성종양의 고칼슘혈증은 흔하지 않지만, 암의 심각한 합병증이고, 암 환자 중 10 내지 20%에 영향을 미치며, 고형종양 및 백혈병 둘 다를 수반하며 발생할 수 있다. 질환은 갑자기 시작되고 예후가 아주 불량하며, 평균적으로 단지 6주만 생존한다. 성장인자 (GF)는 종양 세포에서 부갑상선 호르몬-관련 단백질 (PTHrP)의 생성을 조절한다. 종양 세포는 PTHrP의 생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자가분비 GF에 의해 자극될 수 있고, 그것은 증강된 뼈 재흡수를 유발한다. 뼈에 전이될 수 있는 종양세포는 또한 PTHrP를 분비하고, 그것은 뼈를 재흡수하고 추가의 GF를 방출할 수 있으며, GF는 계속해서 PTHrP 생성을 추가로 증강시키기 위하여 파라크린(paracrine) 방식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PTH 수준 및/또는 칼슘 수준을 생체 내에서 조절하는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한 측면으로 다음 식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X1-X2-X3-X4-X5-X6-X7
상기 식에서, X1은 티올-함유기를 포함하는 하위유닛이고; X5는 양이온 하위유닛이며; X6은 비-양이온 하위유닛이고; X7은 양이온 하위유닛이며; X2, X3 및 X4 중 최소한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는 독립적으로 양이온 하위유닛이고, 화합물은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한 구체예에서,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의 감소는 처리 전 대상의 혈액 또는 혈장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와 관련하여 화합물로 처리된 대상에서 혈액 또는 혈장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의 감소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의 감소는 히스타민 반응의 부재시에 이루어진다.
다른 구체예에서, X3 및 X4는 비-양이온성인 한편, X1, X5, X6 및 X7은 양이온이다.
한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은 티올-함유 아미노산 잔기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의 티올기는 유기 티올-함유 부분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이 티올-함유 아미노산 잔기일 때 그것은 L-시스테인, D-시스테인, 글루타티온,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 및 페길화된 시스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기 티올-함유 부분은 티올-알킬, 또는 티오아실 부분, 예컨대 3-머캡토프로필 또는 3-머캡토프로피오닐, 머캡토프로피온산, 머캡토아세트산, 티오벤질, 또는 티오프로필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기-티올-함유 부분은 머캡토프로피온산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은 아세틸기, 벤조일기, 부틸기, 또는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아세틸화된 베타-알라닌을 포함하도록 화학적으로 변형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이 티올 부분을 포함할 때, X1 하위유닛은 두 번째 티올 부분에의 공유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식 X1-X2-X3-X4-X5-X6-X7은 아미노산의 인접한 서열 (본원에서는 (Xaa1)-(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로 표시됨) 또는 유기 화합물 하위유닛의 서열 (비-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연속 서열은 L-아미노산 잔기의 연속 서열, D-아미노산 잔기의 연속 서열, L-아미노산 잔기와 D-아미노산 잔기의 혼합물의 연속 서열, 또는 아미노산 잔기와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의 혼합물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연속 서열은 세포막을 가로질러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합물에 연결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연속 서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직 층으로 또는 그것을 가로질러 서열의 전달을 증강시키는 화합물에 연결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연속 서열은 8 내지 50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40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30 아미노산 잔기 또는 8 내지 20 아미노산 잔기 길이의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 내에 포함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연속 서열은 8 내지 19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8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7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6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5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4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3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2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1 아미노산 잔기, 8 내지 10 아미노산 잔기, 또는 8 내지 9 아미노산 잔기 길이의 아미노산 잔기 서열 내에 함유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X3 하위유닛은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X2 하위유닛은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고, 또 다른 구체예에서, X4 하위유닛은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다. 한 구체예에서,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는 D-아미노산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X3 및 X4는 양이온 D-아미노산 잔기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X5 하위유닛은 D-아미노산 잔기이다.
다른 측면으로, 설명된 화합물의 어떠한 것에서 연속 서열은 X1 하위유닛의 티올-함유 기를 통해 두 번째 연속 서열에 공유 결합된다. 예를 들어 두 번째 연속 서열은 세포막을 가로질러 연속 서열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부분에 부착될 때의 경우에서와 같이 연속 서열과 동일하거나 (이량체 형성을 위해)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펩티드 carrrar (SEQ ID NO:2)로 구성되는 결합체가 제공되는데, 이때 펩티드는 그것의 N-말단 잔기에서 Cys 잔기에 결합된다.
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C-말단, 또는 두 말단에서 모두 화학적으로 변형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펩티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되고, C-말단은 아미드화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결합체는 Ac-c(C)arrrar-NH2 (SEQ ID NO:3)이다.
다른 측면으로, 대상의 이차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SHPT)을 치료하는 방법이 고려되는데, 그 방법에서 본원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화합물이 대상에 제공된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대상은 만성 신장 질병 또는 다른 질환에 걸려 있을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대상의 부갑상선 호르몬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고려되는데, 그 방법에서 본원에 기술되는 것과 같은 화합물이 대상에 제공된다.
다른 측면으로, 치료 처방이 제공되는데, 처방은 본원에 기술된 것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화합물을 이차 제제와 함께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 구체예에서, 이차 치료제는 비타민 D, 비타민 D 유사체 또는 시나칼셋 (Cinacalcet) 염산염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측면들 또는 구체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열은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외되거나 제거될 것으로 고려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SEQ ID NO: 162 내지 182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확인된 펩티드는 개별적으로나 어떠한 조합으로나, 청구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으로부터 배제된다.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은 다음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과 본원에 포함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I. 정의
본 출원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본 출원의 용어 정의 및 기술 설명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여러 잘 알려져 있는 참조문헌들 중 어느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Goeddel, D., ed., Gene Expression Technology, Methods in Enzymology, 185,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991); Guide to Protein Purification" in Deutshcer, M.P.,ed.,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989); Innis, et al.,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990); Freshney, R.I., Culture of Animal Cells: A Manual of Basic Technique, 2nd Ed., Alan Liss, Inc. New York, NY (1987); Murray, E.J., ed., Gene Transfer and Expression Protocols, pp. 109-128, The Humana Press Inc., Clifton, NJ and Lewin, B., Genes VI,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7).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일 형태를 나타내는 표현은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 한 다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절자 펩티드"는 많은 조절자 펩티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화합물이 대상에게 투여될 때, 그 화합물의 투여 전 혈장 부갑상선 호르몬 (PTH) 농도와 비교하여 혈장 PTH를 저하시킬 때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 또는 "PTH-저하 활성"을 가진다. 한 구체예에서, PTH 수준의 감소는 화합물을 투여하고 1시간 후에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 PTH 수준보다 최소한 20%,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 더 낮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히스타민 반응의 부재" 또는 "히스타민 반응의 결핍"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분석으로 시험관 내에서 측정되는 바, 히스타민을 15배, 14배, 13배, 12배, 11배, 10배, 9배, 8배, 7배, 6배, 5배, 4배 또는 3배 증가보다 적게 생성하는 화합물의 용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배수 변화는 화합물과 함께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기 전과 후의 히스타민 수준을 토대로 측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은 천연 및 비-천연 아미노산을 말한다. 20개의 천연 발생 아미노산 (L-이성질체)은 앞에 "L-"을 붙인 3문자 코드로 표시되거나 (아키랄(achiral)인 글리신은 제외) 또는 다음과 같이 한 문자 코드로 표시된다: 알라닌 ("L-Ala" 또는 "A"), 아르기닌 ("L-Arg" 또는 "R"), 아스파라긴 ("L-Asn" 또는 "N"), 아스파르트산 ("L-Asp" 또는 "D"), 시스테인 ("L-Cys" 또는 "C"), 글루타민 ("L-Gln" 또는 "Q"), 글루탐산 ("L-Glu" 또는 "E"), 글리신 ("Gly" 또는 "G"), 히스티딘 ("L-His" 또는 "H"), 이소로이신 ("L-Ile" 또는 "I"), 로이신 ("L-Leu" 또는 "L"), 라이신 ("L-Lys" 또는 "K"), 메티오닌 ("L-Met" 또는 "M"), 페닐알라닌 ("L-Phe" 또는 "F"), 프롤린 ("L-Pro" 또는 "P"), 세린 ("L-Ser" 또는 "S"), 트레오닌 ("L-Thr" 또는 "T"), 트립토판 ("L-Trp" 또는 "W"), 티로신 ("L-Tyr" 또는 "Y") 및 발린 ("L-Val" 또는 "V"). L-노르로이신 및 L-노르발린은 각각 (NLeu) 및 (NVal)으로 표시될 수 있다. 키랄인 19개의 천연 발생 아미노산은 상응하는 D-이성질체를 가지고, 그것들은 앞에 "D-"을 붙인 3문자 코드로 표시되거나 또는 다음과 같이 한 문자 코드로 표시된다: 알라닌 ("D-Ala" 또는 "a"), 아르기닌 ("D-Arg" 또는 "r"), 아스파라긴 ("D-Asn" 또는 "n"), 아스파르트산 ("D-Asp" 또는 "d"), 시스테인 ("D-Cys" 또는 "c"), 글루타민 ("D-Gln" 또는 "q"), 글루탐산 ("D-Glu" 또는 "e"), 히스티딘 ("D-His" 또는 "h"), 이소로이신 ("D-Ile" 또는 "i"), 로이신 ("D-Leu" 또는 "l"), 라이신 ("D-Lys" 또는 "k"), 메티오닌 ("D-Met" 또는 "m"), 페닐알라닌 ("D-Phe" 또는 "f"), 프롤린 ("D-Pro" 또는 "p"), 세린 ("D-Ser" 또는 "s"), 트레오닌 ("D-Thr" 또는 "t"), 트립토판 ("D-Trp" 또는 "w"), 티로신 ("D-Tyr" 또는 "y") 및 발린 ("D-Val" 또는 "v"). D-노르로이신 및 D-노르발린은 각각 (dNLeu) 및 (dNVal)으로 표시될 수 있다. 비록 "아미노산 잔기"가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단량체 하위유닛을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되고, "아미노산"은 유리 분자를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되긴 하지만, 이 용어의 용도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중첩되고 달라지기도 한다. 용어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잔기"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맥락에 따라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유리 분자 또는 단량체 하위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2개 아미노산 서열의 % "상동성" 또는 % "동일성"을 측정하기 위해 서열들은 최적의 비교 목적을 위해 일렬배열된다 (예컨대 다른 폴리펩티드와 최적 배열을 위해 한 폴리펩티드의 서열에 갭이 도입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응하는 아미노산 위치에서 아미노산 잔기들이 비교된다. 한 서열에서의 위치가 다른 서열에서의 상응하는 위치에서와 같은 아미노산 잔기에 의해 채워져 있을 때 그 분자들은 그 위치에서 동일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아미노산 또는 핵산 "상동성"은 아미노산 또는 핵산 "동일성"과 동일한 의미이다. 따라서 두 서열 간의 % 서열 동일성은 서열들에 의해 공유되는 동일한 위치의 수의 함수이다 (즉 % 서열 동일성 = 동일한 위치의 수/위치의 총 수 × 100). 2 폴리펩티드 서열 사이의 % 서열 동일성은 Vector NTI 소프트웨어 패키지 (Invitrogen Corporation, 5791 Van Allen Way, Carlsbad, CA 92008)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10의 갭 개시 페널티 및 0.1의 갭 연장 페널티가 2개의 폴리펩티드의 % 동일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모든 매개변수는 디폴트 환경에서 설정된다.
"양이온 아미노산"은 생리적 pH (7.4)에서 순(net) 포지티브 전하를 가지는 아미노산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측쇄 또는 "R 기"가 생리적 pH에서 양의 전하를 띠게 되는 양성자를 수용할 수 있는 아민 기능기 또는 다른 기능기, 예컨대 구아니딘 또는 이미다졸 부분을 함유하는 경우의 아미노산 잔기에서의 아미노산과 같다.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히스티딘, 2,3-디아미노프로피온산 (Dap), 2,4-디아미노부티르산 (Dab), 오르니틴, 및 호모아르기닌이 있다.
"양이온 하위유닛"은 생리적 pH (7.4)에서 순 포지티브 전하를 가지는 하위유닛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보존성 아미노산 치환"은 선택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활성 또는 3차 구조에 상당한 변화를 유발할 수 없는 치환이다. 그런 치환은 전형적으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를 유사한 생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잔기를 분류하는 것에 대해서는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천연 발생 아미노산 중에서, 유사한 측쇄를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의 패밀리가 해당 기술분야에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염기성 측쇄 (예컨대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산성 측쇄 (예컨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전하를 띠지 않는 극성 측쇄 (예컨대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시스테인), 비극성 측쇄 (예컨대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베타-분지된 측쇄 (예컨대 트레오닌, 발린, 이소로이신) 및 방향족 측쇄 (예컨대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가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화학적 교차결합"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분자의 공유 결합을 말한다.
펩티드 또는 펩티드 단편은 만약 그것이 원래의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5개의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8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최소한 연속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다면 원래의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일차, 이차 및 삼차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나타낸다.
용어 "피내(intradermal)"는 본원에 설명된 치료 방법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칼슘 유사작용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어 각질층 바로 아래의 피부층에 그 화합물이 전달됨으로써 원하는 치료효과를 이루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분리된" 또는 "정제된" 폴리펩티드 또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그것의 부분은 재조합 DNA 기법에 의해 생성될 때 어느 정도의 세포 물질이 없는 것이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될 때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이 없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세포 물질이 없는"이란 구절은 폴리펩티드가 천연적으로나 재조합적으로 생성된 세포의 일부의 세포 성분들로부터 분리되는 폴리펩티드의 제제를 포함한다. 폴리펩티드 또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그것의 부분이 재조합 생성되는 경우, 그것은 또한 실질적으로 배양 배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양 배지는 폴리펩티드 제제의 부피의 약 2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인 것이 좋다. "실질적으로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이 없는"이란 표현은 폴리펩티드가 폴리펩티드의 합성에 포함되는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로부터 분리되는 폴리펩티드의 제제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실질적으로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이 없는"이란 표현은 약 30% (건조 중량) 미만의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 바람직하게는 약 20% 미만의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미만의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의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의 화학적 전구체 또는 다른 화학물질을 가지는 폴리펩티드의 제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분리된 폴리펩티드, 또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그것의 부분은 주요 폴리펩티드가 유도되는 동일한 유기체로부터 오염되는 폴리펩티드가 없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거대분자"는 전형적으로 약 900 달톤보다 큰 분자량을 가지는 분자, 예컨대 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또는 핵산을 말한다.
"비-양이온 아미노산"은 생리적 pH (7.4)에서 전하가 없거나 순 네거티브 전하를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측쇄 또는 "R 기"가 중성 (중성 극성 및 중성 비극성) 및 산성인 경우의 아미노산 잔기에서의 아미노산과 같다. 비-양이온 아미노산으로는 R 기가 탄화수소 알킬 또는 방향족 부분인 아미노산 잔기 (예컨대 발린, 알라닌, 로이신, 이소로이신, 페닐알라닌); R 기가 중성이거나 극성인 아미노산 잔기 (아스파라긴, 시스테인,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또는 R 기가 중성, 비극성인 아미노산 잔기 (글리신, 메티오닌, 프롤린, 발린, 이소로이신)가 있다. 산성 R 기를 가지는 비-양이온 아미노산으로는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이 있다.
"중합체"는 공유 결합에 의해 결합된 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하위유닛으로 이루어진 선형 사슬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펩티드" 및 "폴리펩티드"는 그것의 크기와 관계없이 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 잔기의 사슬로 이루어진 어떠한 중합체를 말한다. "단백질"이 때로는 상대적으로 큰 폴리펩티드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고, "펩티드"는 때로 작은 폴리펩티드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긴 하지만, 이들 용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중첩되게 사용되고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러므로 간단하게, 용어 "펩티드"가 본원에서 사용될 것이고, 일부 경우에만 동일한 중합체를 "폴리펩티드"로서 언급하게 될 것이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펩티드에 대한 서열은 아미노 말단으로부터 카르복실 말단 쪽으로 제시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티올-함유기" 또는 "티올-함유 부분"은 황-수소 결합 (-SH)을 포함하고,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생리적 조건 하에서 다른 티올과 반응할 수 있는 기능기를 의미한다. 또 다른 티올과 이황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티올은 본원에서 "반응성 티올"로서 언급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기는 화합물의 골격으로부터 6개 원자 미만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기는 구조 (-SH-CH2-CH2-C(O)-O-)-를 가진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작은 분자"는 거대분자 이외의 분자, 예를 들면 유기 분자를 말하고, 전형적으로 1000달톤 미만의 분자량을 가진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대상"은 사람 대상 또는 동물 대상을 말한다.
"하위유닛"은 중합체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단량체 유닛에 결합되는 단량체 유닛을 말하며, 이때 하위유닛은 중합체 화합물의 요소의 가장 짧은 반복 패턴이다. 하위유닛의 예를 들면 아미노산인데, 그것은 연결될 때 중합체 화합물, 예컨대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로서 해당 기술분야에 언급된 것들을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원하는 치료효과를 생성하기에 필요한 양이다. 예를 들어 고칼슘혈증 대상의 혈청 칼슘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혈청 칼슘 수준을 최소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5%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양이다. 칼슘은 총 칼슘 또는 이온화된 칼슘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생체 내 PTH를 저하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PTH 수준을 최소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5%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경피"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치료 방법에서 칼슘 유사작용 제제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이 피부에 적용되어 그 화합물이 전신 순환계로 전달되고, 그로써 원하는 치료 효과를 이루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본원에서 언급되는 모든 문헌은 그것의 전체적인 내용이 참조로 삽입된 것이다.
II
. 화합물
본 발명의 한 측면으로, 하위유닛 X1-X2-X3-X4-X5-X6-X7의 서열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제공되는데, 이때 X1은 티올기를 포함하는 하위유닛이고; X5는 양이온 하위유닛이며; X6은 비-양이온 하위유닛이고; X7은 양이온 하위유닛이며; X2, X3 및 X4 중 최소한 2개는 독립적으로 양이온 하위유닛이다. 화합물은 대상의 혈액에서 부갑상선 호르몬 (PTH) 수준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칼슘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의 감소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화합물로 치료하기 전의 혈장 또는 혈액 PTH 농도와 비교하여 대상에서 혈장 또는 혈액 PTH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투약 전 혈장 PTH와 비교하여, 투약 후 1시간 이내에 혈장 PTH 농도를 최소한 50% 감소시킨다. 화합물의 예로는 펩티드를 들 수 있는데, 숙련자는 원하는 활성을 가지는 비-펩티드성 화합물도 본원에서 설명되는 구조-활성 관계를 토대로 디자인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PTH는 부갑상샘에서 생성되는 84 아미노산 펩티드 및 그것의 분해 생성물이다. 전체 길이의 PTH (잔기 1 내지 84로 구성되고, 때로 "무상" "생체 내 활성 PTH"로 언급된다) 외에도 단백질 가수분해 및 다른 대사 경로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PTH 단편이 혈액에 존재한다. 무상 PTH 분자의 아미노-말단 1 내지 34 영역은 생물학적으로 활성이다. 분자의 이 영역은 표적 조직의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에 PTH가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한다. 무상 PTH 분자의 중간 및 카르복시-말단의 35 내지 84 영역은 생물학적으로는 비활성이지만 면역학적 반응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PTH 7 내지 84는 1 내지 84 PTH의 효과와는 반대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분해 생성물을 포함하여 PTH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법이 개발되었고, 그것들은 문헌에서 개관되었다 (Souberbielle et al., Kidney International, 77:93-100 (2010)). 한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규정된 것과 같은 PTH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은 PTH(1-84)의 무상 생활성 형태를 검출하는 입증된 PTH 정량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되고,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키트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 3 참조).
첫 번째 연구에서 4 내지 7 양이온 (예컨대 아르기닌) 하위유닛을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이 생성되고, 그것들이 가지는, 기준선 PTH 값 및 식염수-처리된 동물과 비교하여 PTH를 저하시키는 능력에 대해 시험되었다. 구체적으로, 신장 기능장애 환경에서 PTH-저하 활성을 특성화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모델이 수립되었다. 1K1C 모델은 하기 실시예 1A에서 설명되고, 시험을 위해 합성된 화합물로는 (i) Ac-crrrr-NH2 (SEQ ID NO:4), (ii) Ac-crrrrr-NH2 (SEQ ID NO:5), (iii) Ac-crrrrrr-NH2 (SEQ ID NO:6), (iv) Ac-crrrrrrr-NH2 (SEQ ID NO:7)이 있고 (v) 식염수 대조표준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 1B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SEQ ID NO:4, SEQ ID NO:5, SEQ ID NO:6 및 SEQ ID NO:7로서 표시된 화합물은 각각 1K1C 모델 동물에 30-분 IV 주입에 의해 투여되었다. 도 1은 투약전 (기준선) 수준의 %로서 혈장 PTH 수준의 감소를 도시한다. 3mg/kg으로 투약된 4개의 화합물은 모두 혈장 PTH의 상당한 강하를 유발하였지만 PTH 감소의 효능과 기간의 차이는 순 포지티브 전하와 PTH-저하 활성 사이의 관계를 시사한다. 예를 들어 6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하위유닛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삼각형)는 각각 4개 및 5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하위유닛을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 Ac-crrrr-NH2 (SEQ ID NO:4; 다이아몬드) 및 Ac-crrrrr-NH2 (SEQ ID NO:5; 사각형)와 비교하여 작용 기간뿐 아니라 효능에 있어서 증가를 나타냈다. 놀랍게도, 6개의 양이온 하위유닛 (아르기닌)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삼각형)은 7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 Ac-crrrrrrr-NH2 (SEQ ID NO:7; 흰색 사각형)와 비교하여 증가된 작용 기간을 나타냈고, 그것은 화합물의 활성 또는 효능이 단순히 화합물의 양이온 전하를 증가시키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즉, 7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 Ac-crrrrrrr-NH2 (SEQ ID NO:7)은 더 적은 수의 양이온 잔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과 유사한 PTH의 초기 강하를 나타냈지만, 투약 후 24시간이 지난 후에는 Ac-crrrrrr-NH2 (SEQ ID NO:6) 및 Ac-crrrrr-NH2 (SEQ ID NO:5)보다 효능이 떨어졌다. 이들 후자의 2개의 화합물은 24시간 지점에서 각각 ~40% 및 60%의 평균 PTH 감소를 나타냈다. PTH 감소량 및 PTH의 지속기간은 둘 다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 최적의 치료적 유익을 얻기 위한 중요한 기준이다. 이 연구에서 화합물들은 동일한 mg/kg 용량으로 투여되었지만, 분자량의 차이로 인해 실제로는 상이한 몰 수의 각 화합물이 투약되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Ac-crrrrrr-NH2 (SEQ ID NO:6)이 몰당 기준으로 할 때 Ac-crrrr-NH2 (SEQ ID NO:4) 및 Ac-crrrrr-NH2 (SEQ ID NO:5)보다 더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화합물의 구조-활성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추가의 연구가 계속되었다.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은 하위유닛 위치 X2-X7의 각 위치에서 알라닌 잔기로 아르기닌 잔기를 순차적으로 대체함으로써 변형되었다.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2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시험관 내 사람 칼슘-감지 수용체 (CaSR) 분석으로 특성확인되었는데, 사람 칼슘-감지 수용체를 발현하는 HEK 293 세포가 예시된 화합물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어떠한 이론에 구속되기를 바라지는 않으나, 원하는 화합물이 생체 내에서 PTH를 저하시키게 되는 메커니즘은 CaSR의 활성화를 통해서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CaSR은 부갑상샘에서 발현되고, PTH 분비를 조절한다. CaSR의 활성화는 세포내 칼슘 및 이노시톨-3-포스페이트 (IP3)의 증가 및 계속해서 이노시톨-포스페이트-1 (IP1)의 축적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 시험관 내 분석에서, IP1 생성을 50%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절반의 최대 유효 농도가 측정되었다 (EC50). 동일한 화합물이 또한 하기 실시예 3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생체 내에서 그것의 PTH-저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되었다. 그 결과는 표 1에 제시된다. 아래의 표 1에서 "식염수 대조표준의 % PTH AUC (1-4시간)"이라는 제목의 열에 있는 숫자들은, 활성을 식염수-처리된 대조표준 쥐로부터 유도된 PTH AUC의 %로서 4시간에 걸친 PTH의 곡선 아래의 면적 (AUC)의 감소로서 규정한다. 예를 들어 0과 동등한 AUC (화합물 처리)/AUC (식염수 대조표준)×100은 이소플루란 (IF)-마취된 정상 쥐의 단일 IV 투여 후 4시간 동안 PTH를 완전하게 억제한 (검출할 수 없는 수준으로까지) 고도로 활성적인 PTH-저하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일 것이다. 대조적으로, 100과 같거나 그 이상인 AUC (화합물 처리)/AUC (식염수 대조표준)×100의 값은 비활성 화합물을 가리킬 것이다.
SEQ ID NO. | 구조* | 정상 쥐에서의 생체 내 활성** | 시험관내 EC50 (uM) | |
0.5mg/kg 화합물의 IV 투여후 1시간 째의 기준선의 % PTH 감소 | 0.5 mg/kg IV 고용량 식염수 대조표준의 % PTH AUC |
|||
SEQ ID NO:6 | Ac-crrrrrr-NH2 | 4 | 0 | 0.5 |
SEQ ID NO:8 | Ac-carrrrr-NH2 | 0 | 0 | 1.1 |
SEQ ID NO:9 | Ac-crarrrr-NH2 | 0 | 7 | 1.0 |
SEQ ID NO:10 | Ac-crrarrr-NH2 | 0 | 0 | 1.1 |
SEQ ID NO:11 | Ac-crrrarr-NH2 | 9 | 45 | 5.9 |
SEQ ID NO:12 | Ac-crrrrar-NH2 | 3 | 3 | 0.45 |
SEQ ID NO:13 | Ac-crrrrra-NH2 | 4 | 28 | 1.1 |
식염수 | 128 | 100 | ND |
* 진한 글씨체는 양이온 아미노산의 D-알라닌 치환을 나타낸다 (SEQ ID NO:6의 D-아르기닌).
**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쥐에서 0.5mg/kg IV 투여후 PTH 감소 - PTH는 투여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측정되었고, 축적된 AUC가 계산되었다. PTH 데이터는 다음 식을 따라 계산되었다: AUC화합물 처리/AUC식염수 대조표준×100
상기 표 1에서,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Ac-carrrrr-NH2 (SEQ ID NO:8) 및 Ac-crrarrr-NH2 (SEQ ID NO:10)은, 정상 쥐에서 단일 IV 투여 후 생체 내에서 측정되는 바, 검출 한계 아래로 또는 본질적으로 0으로 %PTH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Ac-crrrrrr-NH2 (SEQ ID NO:6)의 위치 2, 3, 4 또는 7에서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의 치환은 시험관 내 효능에서 대략 2배 손실을 유발하였다. 화합물 Ac-crrrarr-NH2 (SEQ ID NO:11)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 5에서의 치환은 시험관 내 효능에서 5 내지 10배 감소를 유발하였고, 45%의 생체 내 %PTH AUC 감소는 임상적인 치료법에 대해서는 충분히 활성적이라고 볼 수 있다. 놀랍게도, 위치 6에서 비전하 (알라닌) 잔기로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치환하는 것은 실제로 효능을 개선하였다. 그 데이터는 상이한 위치에 있는 양이온 및 비전하 잔기가 전부 같지는 않으며, 화합물 구조의 변화의 결과로서 활성에 변화가 있음을 설명해준다.
화합물 구조의 변화의 함수로서 활성의 변화의 효과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하여, 이중 아미노산 치환을 함유하도록 Ac-crrrrrr-NH2 (SEQ ID NO:6)의 또 다른 일련의 유사체를 제조하였는데, 두 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가 비전하 (알라닌) 잔기로 대체되었고, 효능에 대해 시험되었다. 그 데이터는 표 2에 제시된다. 이 일련의 화합물들은 SEQ ID NO:4 (4개의 양이온 잔기)와 동일한 순 양이온 전하를 갖지만, 놀랍게도 어떤 것들은 식염수 대조표준의 %PTH AUC가 매우 낮음에도 매우 활성이었 (SEQ ID NO:26) 반면, 다른 것들은 비활성이었다 (예컨대 SEQ ID NO:14)는 것이 가치있다. 뜻밖에도 이것은 총 양이온 전하뿐 아니라 전하의 위치가 PTH의 감소에 대해 화합물의 효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기 표 2에 제시된 데이터는 표 1에 제시된 데이터와 함께, SEQ ID NO:6의 양이온 잔기는 PTH-저하 활성에 대해서 위치 5와 7에서 필수적이지만, 위치 6에서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SEQ ID NO. | 화합물 구조* |
정상
쥐에서의
생체 내 활성**
|
|
0.5mg/kg 화합물의 IV 투여 후 1시간째의 기준선의 %PTH 감소 | 0.5 mg/kg IV 고용량 식염수 대조표준의 % PTH AUC * |
||
식염수 | 식염수 | 128 | 100 |
SEQ ID NO:14 | Ac-crrarra-NH2 | 86 | 130 |
SEQ ID NO:15 | Ac-cararrr-NH2 | 75 | 116 |
SEQ ID NO:16 | Ac-carrarr-NH2 | 118 | 105 |
SEQ ID NO:17 | Ac-crraarr-NH2 | 39 | 102 |
SEQ ID NO:18 | Ac-crararr-NH2 | 72 | 87 |
SEQ ID NO:19 | Ac-carrrra-NH2 | 29 | 72 |
SEQ ID NO:20 | Ac-crarrra-NH2 | 45 | 69 |
SEQ ID NO:21 | Ac-crrraar-NH2 | 36 | 50 |
SEQ ID NO:22 | Ac-caarrrr-NH2 | 24 | 48 |
SEQ ID NO:23 | Ac-crarrar-NH2 | 0 | 43 |
SEQ ID NO:24 | Ac-craarrr-NH2 | 8 | 9 |
SEQ ID NO:25 | Ac-crrarar-NH2 | 4 | 6 |
SEQ ID NO:26 | Ac-carrrar-NH2 | 0 | 1 |
SEQ ID NO:27 | Ac-c(C)arrrar-NH2 | 2 | 8 |
SEQ ID NO:28 | Ac-c(C)rrarar-NH2 | 0 | 16 |
* 진한 글씨체는 Ac-crrrrrr-NH2 (SEQ ID NO:6)에서 양이온 아미노산 (D-아르기닌)의 대표적인 D-알라닌 치환을 나타낸다.
** 이소플루오린-마취된 정상 쥐에서 0.5mg/kg IV 투여후 PTH 감소 - PTH는 투여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측정되었고, 축적된 AUC가 계산되었다. PTH 데이터는 다음 식을 따라 계산되었다: AUC화합물 처리/AUC식염수 대조표준×100
상기 표 2의 데이터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변화를 예시한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Ac-caarrrr-NH2 (SEQ ID NO:22)이고, 다른 구체예에서는 화합물은 Ac-craarrr-NH2 (SEQ ID NO:24)이다.
추가의 구조-활성 관계 연구는 아래의 실시예 4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사람 칼슘-감지 수용체를 발현하는 HEK 293 세포에서 시험관 내 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사람 CaSR을 활성화하는 펩티드 Ac-carrrar-NH2 (SEQ ID NO:26) 및 Ac-arrrar-NH2 (SEQ ID NO:29)의 능력은 IP3 생성을 반영하는 이노시톨 모노포스페이트 (IP1)의 축적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되었다. IP3 생성은 중요한 세포 신호화 이차 메신저이고 그것의 생성은 CaSR 활성화의 직접적인 하류 결과 (downstream consequence)이다. IP3 생성에 이은 IP1의 누적은 IP1을 이노시톨로 전환시키는 효소를 억제하는 염화 리튬 (LiCl2)을 사용하여 분석에 사용되는 세포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연구에서 IP1의 축적은 예시된 화합물 Ac-carrrar-NH2 (SEQ ID NO:26) 및 Ac-arrrar-NH2 (SEQ ID NO:29)의 존재하에 측정되었다. 그 결과는 도 2a에 도시된다.
IP1의 농도는 Y-축을 따라 nM로서 기록되고, SEQ ID NO:26 또는 SEQ ID NO:29의 화합물 농도는 X-축을 따라 M로서 기록된다. SEQ ID NO:29로부터의 N-말단 D-시스테인 잔기의 부재는 SEQ ID NO:26과 비교하여 CaSR을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의 능력을 극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N-말단 시스테인 잔기를 제거하는 것은 화합물의 효능을 상당히 감소시켰는데, 펩티드 Ac-carrrar-NH2 (SEQ ID NO:26)와 Ac-arrrar-NH2 (SEQ ID NO:29)는 N-말단 D-시스테인의 존재 또는 부재만이 다르기 때문이다.
화합물의 X1 하위유닛에서 티올-함유기의 분포가 또한 생체 내 연구로 조사되었다 (예컨대 화합물이 N-말단 잔기에 있는 펩티드인 경우의 특정 구체예에서). SEQ ID NO:26 (Ac-carrrar-NH2) 및 SEQ ID NO:29 (Ac-arrrar-NH2)로서 확인된 펩티드의 PTH-저하 활성은 실시예 4의 과정을 따라 생체 내에서 평가되었다. 혈장 PTH 수준은 투약 전과 투약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는 도 2b에 도시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0.5mg/kg 용량의 펩티드 Ac-carrrar-NH2 (SEQ ID NO:26)(사각형)은 PTH 혈액 농도를, 투약 후 거의 4시간 동안 검출할 수 없는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대조적으로 티올-함유기가 있는 N-말단 잔기가 결핍된 펩티드인 Ac-arrrar-NH2 (SEQ ID NO:29)(다이아몬드)는 실질적으로 더 높은 용량 (즉 9mg/kg)에서도 PTH 농도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화합물의 X1 하위유닛에 있는 티올-함유기의 구조-활성 관계는 X1 하위유닛을 다르게 하면서 화합물을 제조함으로써 추가로 분석되었다. 아래의 표 3에 제시된 화합물이 PTH를 감소시키는 활성에 대해 정상 쥐에서 생체 내에서 시험되었다.
SEQ ID NO. | 화합물 구조 | 정상 쥐에서의 생체 내 활성* 0.mg/kg IV 고용량 식염수 대조표준의 % PTH AUC** |
식염수 | 식염수 | 100 |
SEQ ID NO:6 | Ac-crrrrrr-NH2 | 3 |
SEQ ID NO:30 | Ac-bAla-crrrrrr-NH2 | 0 |
SEQ ID NO:31 | Mpa-rrrrrr-NH2 | 2 |
SEQ ID NO:32 | Ac-dHcy-rrrrrr-NH2 | 21 |
SEQ ID NO:33 | Ac-dPen-rrrrrr-NH2 | 9 |
* 진한 글씨체는 Ac-crrrrrr-NH2 (SEQ ID NO:6)에서 티올-함유 잔기 (D-시스테인)의 대표적인 치환을 나타낸다.
**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쥐에서 0.5mg/kg IV 투여후 PTH 감소 - PTH는 투여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측정되었고, 축적된 AUC가 계산되었다. PTH 데이터는 다음 식을 따라 계산되었다: AUC화합물 처리/AUC식염수 대조표준×100
상기 표 3의 데이터는 티올-함유 X1 하위유닛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N-말단 잔기에 다음과 같은 것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들이 시험되었다 - D-시스테인 (cys), D-페니실아민 (dPen), d-호모시스테인 (dHcy) 및 머캡토프로피온산 (Mpa). 또한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예컨대 베타 알라닌이 N-말단 티올-함유 잔기에 결합될 수 있다. 데이터는 양이온 화합물, 예컨대 X1 하위유닛에 상이한 티올-함유기를 가지고 있는 Ac-crrrrrr-NH2 (SEQ ID NO:6)이 생체 내에서 PTH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음을 나타낸다. N-말단 시스테인 잔기를 티올기를 함유하지 않은 메티오닌으로 치환하는 것은 생체 내 PTH-저하 활성이 매우 빈약한 화합물을 유발하였다 (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음).
상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위유닛 X1-X2-X3-X4-X5-X6-X7 (X1은 티올-함유기를 포함하는 하위유닛이다)의 연속 서열을 가지는 화합물은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한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 상의 티올-함유기는 티올-함유 아미노산 잔기와 유기 티올-함유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티올-함유기는 생리적 pH 및 온도 하에서 다른 티올기와 반응할 수 있다. 티올-함유 잔기가 아미노산 잔기인 특정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은 시스테인, 글루타티온, 머캡토-프로피온산,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및 페길화된 시스테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티올-함유기가 비-아미노산 잔기 하위유닛, 예를 들어 티올-함유기를 포함한 작은 유기분자인 구체예에서, X1 하위유닛은 티오-알킬, 또는 티오아실 부분, 예컨대 3-머캡토프로필 또는 3-머캡토프로피오닐 잔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티올은 호모시스테인이 아니다.
따라서, 그리고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화합물은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는 임상적 활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은 화합물이 대상에 투여될 때, 상응하는 비히클로 처리된 대조 대상의 PTH AUC와 비교하여 투여 후 4시간에 걸친 곡선 아래의 축적된 PTH 면적 (PTH AUC)에 의해 측정되는 바, 혈장 부갑상선 호르몬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혈장 PTH 농도는 예를 들면 생체활성 무상 PTH 1 내지 84를 검출하는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인 키트에 대해서는 실시예 3 참조). 부갑상성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는 임상적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은 PTH AUC를, 상응하는 비히클로 처리된 대조 대상의 PTH AUC에 비교하여 최소한 20%, 30%, 40%, 50%, 60%, 70%, 80%, 90%, 95% 감소시킨다.
상기 연구 및 하기에 설명되는 다른 연구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화합물의 추가의 구체예를 보여주는데, 그런 화합물에서 X1 하위유닛은 일부 구체예에서 화학적으로, 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벤질기, 부틸기,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예컨대 아세틸화된-베타-알라닌을 포함하도록 화학적 변형에 의해 변형될 수 있거나,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다른 티올 부분에 결합된다. 펩티드 치료제는 펩티다제에 의한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엑소펩티다제는 전형적으로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말단으로부터 아미노산 잔기를 절단하는 비-특이적 효소이다.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절단하는 엔도펩티다제는 또한 비-특이적일 수 있지만, 그러나 엔도펩티다제는 자주 특별한 아미노 서열 (인지 부위)을 인지하고 그런 부위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펩티드를 절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단백질 가수분해성 분해로부터 펩티드를 보호하기 위해 화합물을 변형하는 것이 고려된다.
단백질 가수분해성 분해로부터 펩티드를 보호하는 한 가지 방법은 펩티드의 아미노 및/또는 카르복시 말단을 화학적으로 변형하는 것, 또는 "캡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용어 "화학적으로 변형된" 또는 "캡핑된"은 공유 변형을 통해 화합물의 한 쪽 말단에 또는 양 말단에 차단기를 도입하는 것을 언급하기 위해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적당한 차단기는 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펩티드의 말단을 캡핑하는 작용을 한다. 티올-함유 하위유닛을 포함하여, 기술된 화합물의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말단, 또는 양 말단에 모두 위치한 모든 잔기는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의 아미노 말단은 아세틸화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N-아세틸 펩티드 (이것은 본원의 구조 또는 식에서 "Ac-"로 표시될 수 있다)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기술된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은 아미드화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C-말단에서 일차 카르복시아미드가 제공된다 (이것은 본원의 펩티드 서열 구조 또는 식에서 "-NH2"로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아미노 말단과 카르복시 말단은 둘 다 각각 아세틸화 및 아미드화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된다. 그러나 다른 캡핑 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미노 말단은 예를 들어 아세틸기, 벤조일기와 같은 기를 사용하는 아실화에 의해, 또는 예컨대 아세틸기로 캡핑된 베타-알라닌과 같은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을 사용하는 아실화에 의해, 또는 벤질기 또는 부틸기와 같은 기를 사용하는 알킬화에 의해, 또는 술폰아미드를 형성하기 위한 술포닐화에 의해 캡핑될 수 있다. 유사하게, 카르복시 말단은 에스테르화되거나, 또는 이차 아미드, 및 아실 술폰아미드 등으로 전환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아미노 말단 또는 카르복시 말단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부분의 부착을 위한 부위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말단은 적당하게 기능화된 PEG와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엔도펩티다제로부터 펩티드를 보호하는 것은 전형적으로 펩티드로부터 엔도펩티다제 인지 부위를 확인하고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테아제 인지 부위는 당업자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잠재적인 엔도프로테아제 인지 부위를 확인한 다음 그 부위를 인지 부위 내에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함으로써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지 서열 내 잔기들은 인지 부위를 파괴하기 위해 이동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확인된 프로테아제 인지 부위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보존성 치환이 이루어진다.
A. 추가의 구조-활성 관계 연구
화합물의 치료 활성에 미치는 화합물의 각 하위유닛의 특성의 효과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구조 활성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실시예 5를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D-아미노산 잔기에 대해 치환된 L-아미노산 잔기를 가지고 있는 일련의 화합물이 PTH-저하 스캐폴드 Ac-c(C)arrrar-NH2 (SEQ ID NO:3)를 토대로 제조되었다. 화합물은 대상에게 투여되었고, 혈장 PTH 수준이 실시예 5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투약 전과 투약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평가되었으며, AUC가 1, 2, 3 및 4시간의 시간지점에서의 PTH 농도값의 합으로서 계산되고, 동일한 시간지점에서의 식염수 대조표준에 대한 AUC에 의해 표준화되고, 100으로 곱해졌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낸다.
화합물 명칭 | 구조 | 정상 쥐에서의 생체 내 활성 0.5mg/kg IV 고용량 식염수 대조표준의 %PTH AUC* |
SEQ ID NO:3 | Ac-c(C)arrrar-NH2 | 8 |
SEQ ID NO:34 | Ac-C(C)arrrar-NH2 | 17 |
SEQ ID NO:35 | Ac-c(C)Arrrar-NH2 | 68 |
SEQ ID NO:36 | Ac-c(C)aRrrar-NH2 | 87 |
SEQ ID NO:37 | Ac-c(C)arRrar-NH2 | 182 |
SEQ ID NO:38 | Ac-c(C)arrRar-NH2 | 130 |
SEQ ID NO:39 | Ac-c(C)arrrAr-NH2 | 129 |
SEQ ID NO:40 | Ac-c(C)arrraR-NH2 | 142 |
식염수 | 100 |
*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쥐에서 0.5mg/kg IV 투여후 PTH 감소 - PTH는 투여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측정되었고, 축적된 AUC가 계산되었다. PTH 데이터는 다음 식을 따라 계산되었다: AUC화합물 처리/AUC식염수 대조표준×100
상기 표 4에 예시된 화합물은 Ac 및 NH2 표시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이 N-말단과 C-말단에서 모두 화학적으로 변형되었다. 7개의 하위유닛 carrrar의 서열 (SEQ ID NO:3)(이때 모든 하위유닛은 D-아미노산 잔기임)은 한 번에 한 하위유닛을 L-아미노산으로 대체함으로써 변형되었다. X1 하위유닛은 삽입된 문자 표시 (C)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L-Cys 잔기와의 이황화 연쇄를 통해 결합된 D-Cys 잔기 (또는 SEQ ID NO:34에서는 L-Cys 잔기)였다. 상기 표 4의 생체 내 PTH-저하 데이터는 Arg과 Ala의 분자 비대칭성이 화합물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한 구체예에서, 서열 X1-X2-X3-X4-X5-X6-X7의 화합물이 고려되는데, 이때 최소한 X4 및 X7로 표시된 하위유닛은 D-아미노산 잔기 하위유닛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X4, X5, X6 및 X7로 표시된 하위유닛은 D-아미노산 잔기 하위유닛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X3, X4, X5, X6 및 X7로 표시된 하위유닛은 D-아미노산 잔기 하위유닛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X2, X3, X4, X5, X6 및 X7로 표시된 하위유닛은 D-아미노산 잔기 하위유닛이며, 모든 하위유닛 X1, X2, X3, X4, X5, X6 및 X7은 D-아미노산 잔기 하위유닛이다.
다른 연구에서, 모두 L-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는 펩티드를 모두 D-아미노산으로 바꾸는 것은 시험된 펩티드의 시험관 내 활성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제로 전체가 D-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는 CaSR의 활성화에 대한 잠재력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떤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는 시스테인 잔기에 비해 특이한 위치에서 CaSR을 향한 활성에 최소한의 효과를 미치면서 비전하 (알라닌) 잔기로 치환될 수 있었다.
CaSR에 대한 구조와 활성 사이의 관계를 추가로 특성확인하기 위하여, 상이한 수 (4 내지 8)의 아르기닌 잔기 (그것들은 모두 N-말단 시스테인을 함유하였다)를 가지는 다양한 양이온 펩티드가 HEK-293 시험관 내 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시험되었다. 양이온 하위유닛의 수와 화합물의 효능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발견되었고, 이때 효능은 CaSR을 활성화시키는 능력에 의해 입증된다. 양이온 (예컨대 아르기닌) 하위유닛의 수를 5에서 4로 감소시키는 것은 효능의 가장 큰 변동 (>10배)을 초래하였고, 그것은 이들 순 전하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들 사이에 활성 변화 지점이 있을 수 있고, 하위유닛 X5에 있는 양이온 하위유닛이 활성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구조 X1-X2-X3-X4-X5-X6-X7의 화합물이 고려되는데, 이때 X5는 양이온 하위유닛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X1은 생리적 조건하에서 다른 티올기와 반응할 수 있는 티올기를 포함하는 하위유닛이다 ("반응성 티올", pH 7.4 및 체온의 생리적 조건하에서 다른 티올과 반응하는 티올 (예컨대 시스테인과 시스테인)을 의미한다).
뜻밖에도, 6개의 양이온 잔기를 가지고 있는 Ac-crrrrrr-NH2 (SEQ ID NO:6)은 생체 내에서 평가될 때, 8개의 양이온 잔기를 가지고 있는 Ac-crrrrrrrr-NH2 (SEQ ID NO:41)보다 훨씬 크고 더 연장된 활성을 나타냈다. 이것은 SEQ ID NO:41이 이 시험관 내 세포 분석에서 CaSR을 활성화시키는 데 더 강력하였다는 관찰과는 대조적이다. 어떠한 이론에 구속되기를 바라지는 않으나, 생체 내에서의 Ac-crrrrrr-NH2 (SEQ ID NO:6)의 월등한 성능은 Ac-crrrrrr-NH2 (SEQ ID NO:6)의 더 좋은 약물동력학적 특성으로부터 유발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왜냐하면 Ac-crrrrrrrr-NH2 (SEQ ID NO:41)이 그것의 세포-침투 특성에 의해 세포 안으로 흡수될 것으로 예상되고, 그로써 CaSR의 활성 부분 가까이에서는 제거되기 때문이다.
Ac-crrrrrr-NH2 (SEQ ID NO:6)의 구조-활성 관계를 추가로 탐구하기 위하여, 일부의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가 비전하 (알라닌) 잔기로 대체되었다.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하위유닛 위치 X2 및 X4에서 대체하는 것은, 시험관 내에서 CaSR을 활성화하는 효능이 상당히 감소된 화합물 (SEQ ID NO:15)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조적으로, 하위유닛 위치 X2 및 X6에서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대체하는 것은 Ac-crrrrrr-NH2 (SEQ ID NO:6)으로 볼 수 있는 효능의 대부분을 보유한 화합물 (SEQ ID NO:26)을 초래하였다. 이들 결과는 화합물의 전하 잔기의 위치가 효능에 기여하고, 어떤 구체예에서는 펩티드의 총 포지티브 전하의 기여보다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특정 위치, 예컨대 하위유닛 위치 X5에서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는 효능에 대해 불균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N-말단 시스테인의 존재는 CaSR을 활성화하기 위한 펩티드의 효능을 현저하게 증강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CaSR은 단일이량체 수용체로서 기능하는 커다란 세포외재성 도메인이 있는 7-경막 G-단백질-결합된 수용체이다. 세포외재성 도메인에는 18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있고, 그것들 중 일부는 다형태 또는 돌연변이 분석에 의해 수용체 활성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외재성 도메인의 루프 2 영역에는 시스테인 129 및 131이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시스테인 129 및 131은 수용체 복합체의 2개의 단량체 사이에 분자간 이황화 가교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그것은 폐쇄되거나 억제된 형태이다. 시스테인 129의 돌연변이는 루프2 영역의 전체 결실을 포함한 다른 많은 돌연변이와 같이 CaSR을 활성화한다. 기술된 화합물에서 N-말단 시스테인 잔기에 의해 제공된 증강된 효능은 CaSR의 세포외재성 도메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와의 특이한 상호작용으로부터 초래된 것일 수 있다.
추가로 시험관 내 CaSR 활성에 미치는 아미노산 치환의 분자 비대칭성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Ac-crrrrrr-NH2 (SEQ ID NO:6)의 일련의 유사체가 다양한 위치에서 L-아미노산 또는 아키랄 아미노산 (글리신) 치환을 함유하도록 제조되었고, CaSR에 대한 효능에 대해 시험되었다. 시험된 유사체는 Ac-cGrrrGr-NH2 (SEQ ID NO:42), (ii) Ac-cArrrAr-NH2 (SEQ ID NO:43), 및 (iii) Ac-CaRrRaR-NH2 (SEQ ID NO:44)였다. 전술한 유사체는 모두 Ac-crrrrrr-NH2 (SEQ ID NO:6)보다 상당히 더 낮은 효능을 가졌고, 그 범위는 SEQ ID NO:44 (세 개의 유사체 중에서 가장 강력한 효능)의 경우 10배 차이가 나고, SEQ ID NO:43 (세 개의 유사체 중에서 가장 약한 효능)의 경우 2000배 이상 차이가 난다. SEQ ID NO:6의 위치 2 및 6에서 양이온 D-아미노산 잔기 (D-아르기닌 잔기)가 비전하 D-아미노산 잔기 (D-아르기닌 잔기)로 대체된 Ac-carrrar-NH2 (SEQ ID NO:26)은 활성의 변화가 훨씬 적었다 (~ 3배 차이). 그러므로 놀랍게도, Ac-crrrrrr-NH2 (SEQ ID NO:6)의 모든 D-아미노산 잔기를 둘 또는 그 이상의 L-아미노산 잔기로 차단하는 것은 효능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놀라운 것은 차단하는 잔기가 비전하 L-아미노산 잔기 (L-알라닌 잔기)였던 것에 비교하여 비전하 아키랄 아미노산 잔기 (글리신 잔기)였을 때 효능은 80배 이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놀랍게도, Ac-carrrar-NH2 (SEQ ID NO:26)의 2개의 비전하 D-아미노산 잔기 (D-알라닌 잔기)를 그것들의 L- 대응물로 대체하는 것 (SEQ ID NO:43)은 효능의 600배 이상의 감소를 유발한 한편, 그것을 비전하 아키랄 아미노산 잔기 (글리신 잔기)로 대체하는 것 (SEQ ID NO:42)은 효능의 8배 감소를 유발하였고, Ac-carrrar-NH2 (SEQ ID NO:26)의 3개의 양이온 D-아미노산 잔기 (D-아르기닌 잔기)를 그것들의 L- 대응물로 대체하는 것 (SEQ ID NO:44)은 효능의 4배 미만의 차이를 초래하였다.
다양한 펩티드 및 결합체의 활성이 사람 CaSR에 대해 시험되었다. 이들 연구는 사람 CaSR을 발현하는 HEK 293 세포에서 IP1 생성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EC50 값은 표 5에 제시된다. 각 펩티드는 8가지의 상이한 농도에서 이중으로 시험되었고, 용량 반응 곡선이 수립되었다. 곡선 보정은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표 5에서, 그리고 명세서 전체를 통해서, 앞머리에 제공된 잔기는 L-아미노산이고, 아래에 제시된 문자는 D-아미노산을 나타낸다. "Ac"는 아세틸 캡핑기를 나타내고, "NH2"는 아미드 캡핑기를 나타내며, "Ac-bAla"는 아세틸화된 베타-알라닌이고, "GSH"는 환원된 글루타티온을 나타내며, "GS"는 산화된 글루타티온을 나타내고, "PEG"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나타내며, "PEG2" 및 "PEG5"는 각각 2kDa 및 5kDa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부분을 나타내고, "Mpa"는 머캡토프로피온산을 나타낸다. 괄호 안에 들어있는 기는 기 또는 부분이 선행하는 하위유닛 또는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에 부착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화합물 명칭 | 구조 | EC50 (μM) |
(SEQ ID NO:45) (SEQ ID NO:47) |
CHDAPIGYD | Ac-CYGRKKRRQRRR-NH2 |
21 |
(SEQ ID NO:46) (SEQ ID NO:47) |
CPDYHDAGI | Ac-CYGRKKRRQRRR-NH2 |
21 |
(SEQ ID NO:47) | Ac-CYGRKKRRQRRR-NH2 | 4.5 |
(SEQ ID NO:48) | Ac-YGRKKRRQRRR-NH2 | 16 |
(SEQ ID NO:41) | Ac-crrrrrrrr-NH2 | 0.3 |
(SEQ ID NO:6) | Ac-crrrrrr-NH2 | 0.5 |
(SEQ ID NO:15) | Ac-cararrr-NH2 | 13 |
(SEQ ID NO:26) | Ac-carrrar-NH2 | 1.6 |
(SEQ ID NO:4) | Ac-crrrr-NH2 | 16 |
(SEQ ID NO:5) | Ac-crrrrr-NH2 | 2.5 |
(SEQ ID NO:7) | Ac-crrrrrrr-NH2 | 0.6 |
(SEQ ID NO:49) | Ac-caraarrr-NH2 | 1000 |
(SEQ ID NO:8) | Ac-carrrrr-NH2 | 1.1 |
(SEQ ID NO:9) | Ac-crarrrr-NH2 | 1 |
(SEQ ID NO:10) | Ac-crrarrr-NH2 | 1.1 |
(SEQ ID NO:50) | Ac-cygrkkrrqrrr-NH2 | 2 |
(SEQ ID NO:51) | H2N-crrrrrr-NH2 | H2N-crrrrrr-NH2 |
0.44 |
(SEQ ID NO:3) | Ac-c(C)arrrar-NH2 | 10 |
(SEQ ID NO:52) | Ac-carrrar-NH2 | Ac-carrrar-NH2 |
0.7 |
(SEQ ID NO:30) | Ac-bAla-crrrrrr-NH2 | 1 |
(SEQ ID NO:53) | Ac-c(GS)rrrrrr-NH2 | 7.8 |
(SEQ ID NO:54) | GS-crrrrrr | - |
(SEQ ID NO:55) | Ac-c(Ac-C)arrrar-NH2 | 21 |
(SEQ ID NO:56) | Ac-c(Mpa)arrrar-NH2 | 21 |
(SEQ ID NO:57) | Ac-c(PEG2-C)arrrar-NH2 | 2.3 |
(SEQ ID NO:58) | Ac-c(PEG5-C)rrrrrr-NH2 | 0.58 |
(SEQ ID NO:59) | Ac-c(PEG2-C)rrrrrr-NH2 | 0.02 |
(SEQ ID NO:34) | Ac-C(C)arrrar-NH2 | 2.5 |
(SEQ ID NO:60) | c(C)arrrar-NH2 | 3.1 |
(SEQ ID NO:61) | Ac-bAla-c(C)arrrar-NH2 | 2.6 |
(SEQ ID NO:62) | bAla-c(C)arrrar | - |
(SEQ ID NO:42) | Ac-cGrrrGr-NH2 | 12 |
(SEQ ID NO:63) | Ac-cGrrrGr | - |
(SEQ ID NO:64) | Ac-cArrrAr | - |
(SEQ ID NO:43) | Ac-cArrrAr-NH2 | >1000 |
(SEQ ID NO:44) | Ac-CaRrRaR-NH2 | 5.6 |
(SEQ ID NO:65) | Ac-cvrrrvr-NH2 | 35 |
(SEQ ID NO:66) | Ac-cvrrrvr | - |
(SEQ ID NO:67) | Ac-Crrrrrr-NH2 | 6.2 |
(SEQ ID NO:68) | Ac-carrrer-NH2 | 62 |
(SEQ ID NO:69) | Ac-cerrrar-NH2 | 31 |
(SEQ ID NO:72) | Ac-cakrrar-NH2 | 35 |
(SEQ ID NO:73) | Ac-carkrar-NH2 | 31 |
(SEQ ID NO:74) | Ac-carrrar-OH | 31 |
(SEQ ID NO:11) | Ac-crrrarr-NH2 | 5.9 |
(SEQ ID NO:12) | Ac-crrrrar-NH2 | 0.45 |
(SEQ ID NO:13) | Ac-crrrrra-NH2 | 1.1 |
(SEQ ID NO:75) | Ac-CARRRAR-NH2 | 58 |
(SEQ ID NO:76) | Ac-caarrrrrr-NH2 | 4.5 |
(SEQ ID NO:77) | Ac-caaarrrrrr-NH2 | 4.6 |
(SEQ ID NO:78) | Ac-carararar-NH2 | 5.3 |
(SEQ ID NO:29) | Ac-arrrar-NH2 | >1000 |
(SEQ ID NO:79) | Ac-carrrarar-NH2 | 13 |
(SEQ ID NO:80) | crrrrrr-NH2 | 1.1 |
(SEQ ID NO:32) | Ac-dHcy rrrrrr-NH2 | 2 |
(SEQ ID NO:81) | Ac-c(벤조일)rrrrrr-NH2 | 3.6 |
(SEQ ID NO:82) | Ac-c(아세틸)rrrrrr-NH2 | 4.1 |
구조-활성 관계의 다른 연구에서, 펩티드의 효능에 대한 비-양이온 아미노산의 기여도가, 펩티드 Ac-carrrar-NH2 (SEQ ID NO:26) 및 펩티드 Ac-crrarar-NH2 (SEQ ID NO:153)의 다양한 위치에서 치환된 다양한 D-아미노산 잔기 또는 글리신 (표 6)을 포함하거나 입체적으로 방해된 비-천연 아미노산 (표 7)을 포함한 일련의 펩티드를 제조하여 평가되었다. 펩티드는 IV 고용량으로서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 0.5mg/kg의 용량으로 투여되었다. 식염수의 정맥내 (IV) 고용량이 대조표준으로서 사용되었다. 혈장 PTH 수준이 투약 전과 투약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에 나타내며, 결과는 1) Ac-carrrar-NH2 펩티드 (SEQ ID NO:26)의 위치 6에는 예컨대 알라닌, 글리신 또는 세린과 같은 작은 아미노산이 바람직하고, 2) Ac-carrrar-NH2 (SEQ ID NO:26)의 위치 2에 있는 알라닌은 치환에 대해 훨씬 더 허용적이고, 소수성 (예컨대 D-Val, D-Leu), 방향족 (예컨대 D-Phe), 또는 극성 (예컨대 D-Ser, D-Gln) 천연 아미노산뿐 아니라 비-천연 벌키 소수성 아미노산 (예컨대 dNle, dNva)이지만 산성은 아닌 아미노산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3) Ac-crrarar-NH2 (SEQ ID NO:25) 펩티드의 위치 4에 있는 알라닌 잔기는 또한 치환에 대해 매우 허용적이고, 대부분 유형의 천연 아미노산 (및 비-천연 벌키 소수성 아미노산 (예컨대 dNle, dNva))을 수용할 수 있지만, 이차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 즉 글리신 또는 프롤린 또는 산성 측쇄를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에 대해서는 허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 진한 글씨체는 Ac-carrrrar-NH2 (SEQ ID NO:6) 및 Ac-crrarar-NH2 (SEQ ID NO:25)의 알라닌 잔기의 대표적인 치환을 나타낸다.
**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쥐에서 0.5mg/kg IV 투여후 PTH 감소 - PTH는 투여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측정되었고, 축적된 AUC가 계산되었다. PTH 데이터는 다음 식을 따라 계산되었다: AUC화합물 처리/AUC식염수 대조표준×100
* 진한 글씨체는 Ac-carrrar-NH2 (SEQ ID NO:26) 또는 Ac-crrarar-NH2 (SEQ ID NO:25)의 알라닌 잔기의 대표적인 치환을 나타낸다. Sar=비-천연 아미노산 사르코신; Nma=N-메틸 알라닌; AiB=아미노 이소부티르산; dNva=D-노르발린; dNle=D-노르로이신.
**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쥐에서 0.5mg/kg IV 투여후 PTH 감소 - PTH는 투여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측정되었고, 축적된 AUC가 계산되었다. PTH 데이터는 다음 식을 따라 계산되었다: AUC화합물 처리/AUC식염수 대조표준×100
* 괄호 안의 진한 글씨체는 대표적인 티올-함유기를 나타낸다. GS=산화된 글루타티온; dHcy=D-호모시스테인; Mpa=머캡토프로피온산; PEG=폴리에틸렌 글리콜.
**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쥐에서 0.5mg/kg IV 투여후 PTH 감소 - PTH는 투여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측정되었고, 축적된 AUC가 계산되었다. PTH 데이터는 다음 식을 따라 계산되었다: AUC화합물 처리/AUC식염수 대조표준×100
*** 화합물은 10mg/kg으로 투약되었다 (0.5mg/kg 비-페길화 펩티드에 대해 거의 동일한 몰농도).
**** 화합물은 20mg/kg으로 투약되었다 (0.5mg/kg 비-페길화 펩티드에 대해 거의 동일한 몰농도).
B. 히스타민 반응 및 구조-활성 관계 연구
다중-양이온 화합물은 활성 생물기원의 아민 히스타민의 방출을 촉발하는 것으로 문헌에 보고되었다 (Church et al., J. Immunol ., 128(5):2116-2121 (1982); Lagunoff et al., Ann . Rev . Pharmacol . Toxicol ., 23:331-51 (1983)). 히스타민 방출은 Gαi 의존성 방식으로 발생하는 비만 세포 및 호염기성 세포 활성화의 결과로 여겨진다 (Aridor et al., J. Cell Biol., 111(3):909-17 (1990)). SHPT의 치료를 위해서 양이온 펩티드 칼슘 유사작용제의 치료적 영역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 생리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생체 내 투여시 유도된 히스타민 방출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시예 6에서 설명되는 첫 번째 연구에서는,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 IV 고용량 또는 주입에 의해 다양한 화합물이 투약되어 그것과 관련된 히스타민 방출이 평가되었다. 화합물과 관련된 히스타민 방출에 미치는 순 포지티브 전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4 내지 7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함유하는 펩티드가 제조되어 실시예 6에서 설명되는 과정을 따라, 생체 내 히스타민 방출을 촉발하는 화합물의 능력에 대해 시험되었다. 시험된 펩티드는 다음과 같다: (i) Ac-crrrr-NH2 (SEQ ID NO:4), (ii) Ac-crrrrr-NH2 (SEQ ID NO:5), (iii) Ac-crrrrrr-NH2 (SEQ ID NO:6) 및 (iv) Ac-crrrrrrrr-NH2 (SEQ ID NO:41).
도 3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몰 수의 각 펩티드가 정상 쥐에 IV 고용량으로 투여될 때, SEQ ID NO:41 (8개의 아르기닌 잔기)이 가장 많은 히스타민 유도를 나타냈다. 더 적은 Arg 잔기를 가지고 있는 다른 화합물, 이를테면 SEQ ID NO:6 (6개의 아르기닌 잔기), SEQ ID NO:5 (5개의 아르기닌 잔기) 및 SEQ ID NO:4 (4개의 아르기닌 잔기)도 또한 히스타민 수준에서 폭발적인 증가를 보이긴 했지만 그 정도는 SEQ ID NO:41에 비교하면 더 적었다. SEQ ID NO:6, SEQ ID NO:5 및 SEQ ID NO:4는 그것들의 히스타민 방출 활성에서 더 약한 반응을 나타냈다 (기준선보다 약 2 내지 3배 아래). 그러나 SEQ ID NO:5 및 SEQ ID NO:4는 혈장 PTH를 저하시키는 것과 관련해서는 SEQ ID NO:6보다 효능이 적었다.
Ac-crrrrrr-NH2 (SEQ ID NO:6)의 PTH-감소 활성이 히스타민 반응의 결핍을 수반하였기 때문에, PTH-저하 활성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여전히 히스타민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Ac-crrrrrr-NH2 (SEQ ID NO:6)을 토대로 한 추가의 평가가 수행되었다. 아래에 제시하는 데이터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Ac-crrrrrr-NH2 (SEQ ID NO:6)에 있는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비-양이온 (알라닌) 잔기로 치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감소된 순 전하 및 감소된 전하 밀도를 가지는 일련의 유사체가 제조되었다. 이들 유사체 중에서 Ac-cararrr-NH2 (SEQ ID NO:15) 및 Ac-carrrar-NH2 (SEQ ID NO:26)이 IV 고용량에 의해 쥐에게 투여되었을 때 히스타민 반응의 결핍과 관련이 있었다. 중요한 것은 이들 두 개의 펩티드가 강력한 칼슘 유사작용 특성을 보유하였고, 정상적인 쥐에서나 신장 기능부전인 쥐에서 감소된 PTH를 분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SEQ ID NO:6으로 확인된 화합물 Ac-crrrrrr-NH2 (2.1μmole/kg = 2.3mg/kg)가 정상 쥐에 IV 고용량으로 투약되었을 때 (1분 이내에 투약됨) SEQ ID NO:41로 이루어진 6 내지 9배에 비해 기준선보다 약 2 내지 3배 높은, 식별할 수 있는 히스타민 반응을 촉발시켰다. Ac-crrrrrr-NH2 (SEQ ID NO:6)에 의해 촉발된 히스타민 방출은 투약 후 5분 후에 정점을 이루었고, 15분 후에 기준선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도 3). 펩티드 당 전하 하위유닛의 수를 5 및 4 아르기닌 잔기로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은 (각각 SEQ ID NO:5 및 SEQ ID NO:4), 더 긴 올리고-아르기닌 펩티드와 비교하여 히스타민 반응을 추가로 감소시켰지만, IV 고용량 투약 후 5분 후에도 여전히 기준선보다 2 내지 3배 더 증가한 히스타민이 관찰되었다 (도 3). 이들 결과는 펩티드의 순 전하와 히스타민의 관련된 방출 사이의 관계를 시사한다. 또한 7개의 아르기닌보다 더 적은 아르기닌-풍부 펩티드가 세포를 들어가는 능력이 꽤 제한되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하고, 그것은 세포 침투가 히스타민 방출을 촉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PTH-저하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및 Ac-c(C)arrrar-NH2 (SEQ ID NO:3)와 관련된 히스타민 방출이 생체 내에서 평가되었다.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은 다음의 구조를 가진다:
C
|
Ac-carrrar-NH2 (SEQ ID NO:3)
이 결합체 구조는 본원에서 Ac-c(C)arrrar-NH2 (SEQ ID NO:273)으로 표시하고, 이때 Cys-Cys 이황화 결합을 통해 화합물의 X1 하위유닛에 있는 티올-함유 잔기 (여기서는 D-Cys 잔기)에 연결된 L-Cys 잔기는 식에서 괄호 안에 위치한다. 이런 표시는 괄호 부분이 두 번째 티올-함유 기에 연결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명세서 전체를 통해 사용된다. Ac-crrrrrr-NH2 (SEQ ID NO:6)과 관련하여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은 하위유닛 위치 X2 및 X6에서 비전하 (알라닌) 잔기로 치환된 2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가진다. 또한 X1 위치에 있는 D-Cys 잔기는 L-Cys 잔기에 결합된다.
이들 두 개의 화합물은 3mg/kg으로 정맥내 (IV) 고용량에 의해 이소플루란-마취된 쥐 (스프라그 도울리)에게 투여되었다 (1분 이내에 투여됨). 투약전과 투약 후 5, 15 및 30분에 혈액이 채취되었다. 히스타민 농도가 측정되었고, 투약전 혈액 히스타민 농도와 비교하여 혈액 히스타민 농도의 배수 변화는 도 4에 도시된다.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흰색 막대)는 히스타민 반응을 유도하였고, 투약 후 5분 지점에서 관찰되었는데, 그때 히스타민 수준은 7배 증가한 것이 관찰되었다.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 격자무늬 막대)은 투약 후 5, 10 및 15분 지점에서의 데이터에 의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외관상 히스타민 반응을 유도하지 않았는데, 이때 히스타민 수준은 투약전 (시간 0) 히스타민 수준과 비교하여 증가하지 않았다.
추가로 화합물 구조와 히스타민 방출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화합물이 제조되었고, 쥐 복막 비만세포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 분석으로 히스타민의 유도를 촉발하는 능력에 대해 시험되었다. 이 분석에서 화합물은 SD 쥐의 복막 세척물로부터 분리된 세포와 함께 37℃에서 15분 동안 10μM에서 인큐베이션된다. 인큐베이션 후에 세포 배지가 수집되고 히스타민이 측정된다. 그 데이터는 하기 표 9에 제시된다.
SEQ ID NO. | 화합물 서열 | *시험관 내 히스타민 10uM에서 비처리의 배수 변화* |
식염수 | 식염수 | 1.0 |
SEQ ID NO: 6 | Ac-crrrrrr-NH2 | 11.5 |
SEQ ID NO: 8 | Ac-carrrrr-NH2 | 6.6 |
SEQ ID NO:9 | Ac-crarrrr-NH2 | 6.8 |
SEQ ID NO:10 | Ac-crrarrr-NH2 | 5.3 |
SEQ ID NO:11 | Ac-crrrarr-NH2 | 5.0 |
SEQ ID NO:12 | Ac-crrrrar-NH2 | 5.0 |
SEQ ID NO:13 | Ac-crrrrra-NH2 | 4.1 |
SEQ ID NO:15 | Ac-cararrr-NH2 | 2.5 |
SEQ ID NO:22 | Ac-caarrrr-NH2 | 1.2 |
SEQ ID NO:17 | Ac-crraarr-NH2 | 1.3 |
SEQ ID NO:146 | Ac-crrrraa-NH2 | 1.9 |
SEQ ID NO:26 | Ac-carrrar-NH2 | 1.4 |
SEQ ID NO:3 | Ac-c(C)arrrar-NH2 | 0.6 |
SEQ ID NO:16 | Ac-carrarr-NH2 | 1.4 |
SEQ ID NO:19 | Ac-carrrra-NH2 | 1.3 |
SEQ ID NO:23 | Ac-crarrar-NH2 | 1.5 |
SEQ ID NO:18 | Ac-crararr-NH2 | 1.4 |
SEQ ID NO:20 | Ac-crarrra-NH2 | 1.1 |
SEQ ID NO:25 | Ac-crrarar-NH2 | 1.2 |
SEQ ID NO:14 | Ac-crrarra-NH2 | 1.6 |
SEQ ID NO:130 | Ac-c-dNle-rrr-dNle-r-NH2 | 9.2 |
SEQ ID NO:132 | Ac-c-dNva-rrr-dNva-r-NH2 | 4.1 |
SEQ ID NO:28 | Ac-c(C)rrarar-NH2 | 0.7 |
SEQ ID NO:24 | Ac-craarrr-NH2 | 1.0 |
SEQ ID NO:21 | Ac-crrraar-NH2 | 1.0 |
SEQ ID NO:134 | Ac-c-dNle-rrrar-NH2 | 2.2 |
SEQ ID NO:129 | Ac-carrr-dNle-r-NH2 | 2.6 |
SEQ ID NO:136 | Ac-c-dNva-rrrar-NH2 | 2.1 |
SEQ ID NO:131 | Ac-carrr-dNva-r-NH2 | 1.8 |
SEQ ID NO:133 | Ac-crrar-dNle-r-NH2 | 4.3 |
SEQ ID NO:135 | Ac-crrar-dNva-r-NH2 | 1.1 |
SEQ ID NO:95 | Ac-cGrrrar-NH2 | 1.5 |
SEQ ID NO:99 | Ac-cqrrrar-NH2 | 1.9 |
SEQ ID NO:103 | Ac-chrrrar-NH2 | 1.6 |
SEQ ID NO:96 | Ac-cirrrar-NH2 | 3.0 |
SEQ ID NO:98 | Ac-clrrrar-NH2 | 2.2 |
SEQ ID NO:97 | Ac-cprrrar-NH2 | 0.8 |
SEQ ID NO:102 | Ac-csrrrar-NH2 | 0.9 |
SEQ ID NO:100 | Ac-ctrrrar-NH2 | 1.1 |
SEQ ID NO:101 | Ac-cvrrrar-NH2 | 1.5 |
SEQ ID NO:93 | Ac-carrrGr-NH2 | 0.9 |
SEQ ID NO:90 | Ac-carrrqr-NH2 | 0.9 |
SEQ ID NO:89 | Ac-carrrhr-NH2 | 2.0 |
SEQ ID NO:84 | Ac-carrrir-NH2 | 1.8 |
SEQ ID NO:85 | Ac-carrrlr-NH2 | 2.5 |
SEQ ID NO:88 | Ac-carrrpr-NH2 | 1.0 |
SEQ ID NO:92 | Ac-carrrsr-NH2 | 1.2 |
SEQ ID NO:91 | Ac-carrrtr-NH2 | 1.7 |
SEQ ID NO:87 | Ac-carrrvr-NH2 | 1.2 |
SEQ ID NO:147 | Ac-cakkkak-NH2 | 1.1 |
SEQ ID NO:72 | Ac-cakrrar-NH2 | 1.1 |
SEQ ID NO:73 | Ac-carkrar-NH2 | 1.4 |
SEQ ID NO:105 | Ac-crrGrar-NH2 | 1.8 |
SEQ ID NO:112 | Ac-crrqrar-NH2 | 1.2 |
SEQ ID NO:109 | Ac-crrhrar-NH2 | 2.3 |
SEQ ID NO:115 | Ac-crrirar-NH2 | 3.4 |
SEQ ID NO:114 | Ac-crrlrar-NH2 | 4.5 |
SEQ ID NO:106 | Ac-crrprar-NH2 | 1.1 |
SEQ ID NO:111 | Ac-crrsrar-NH2 | 2.0 |
SEQ ID NO:108 | Ac-crrtrar-NH2 | 1.2 |
SEQ ID NO:113 | Ac-crrvrar-NH2 | 1.9 |
SEQ ID NO:104 | Ac-cfrrrar-NH2 | 6.8 |
SEQ ID NO:83 | Ac-carrrfr-NH2 | 4.0 |
SEQ ID NO:68 | Ac-carrrer-NH2 | 1.3 |
SEQ ID NO:110 | Ac-crrfrar-NH2 | 6.2 |
SEQ ID NO:107 | Ac-crrerar-NH2 | 0.6 |
SEQ ID NO:86 | Ac-carrkar-NH2 | 1.0 |
SEQ ID NO:70 | Ac-carrrak-NH2 | 0.9 |
SEQ ID NO:148 | Ac-cararar-NH2 | 0.6 |
SEQ ID NO:25 |
Ac-crrarar-NH2 | Ac-carrrar-NH2 |
9.3 |
SEQ ID NO:149 | Ac-crrarGr-NH2 | 1.6 |
SEQ ID NO:150 | Ac-crrarqr-NH2 | 1.6 |
SQ ID NO:151 | Ac-crrarhr-NH2 | 2.5 |
SEQ ID NO:152 | Ac-crrarir-NH2 | 4.1 |
SEQ ID NO:153 | Ac-ca(DAP)rrar-NH2 | 1.6 |
SEQ ID NO:154 | Ac-ca(dHar)(dHar)(dHar)ar-NH2 | 2.7 |
* 방법은 실시예 7에서 설명된다.
약어: 실시예 7 참조
추가로 화합물 구조와 히스타민 방출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화합물이 제조되었고, 생체 내 분석으로 히스타민의 유도를 촉발하는 능력에 대해 시험되었다. 그 데이터는 하기 표 10에 제시된다.
SEQ ID NO. | 화합물 구조 | * 생체 내 히스타민 방출 투약전 수준으로부터 주입 후 5'후의 배수 변화 |
2 mg/kg IV 고용량 | ||
식염수 | 식염수 | 1.0 |
SEQ ID NO:6 | Ac-crrrrrr-NH2 | 2.7 |
SEQ ID NO:26 | Ac-carrrar-NH2 | 1.0 |
SEQ ID NO:25 | Ac-crrarar-NH2 | 0.9 |
SEQ ID NO:15 | Ac-cararrr-NH2 | 1.0 |
SEQ ID NO:18 | Ac-crararr-NH2 | 1.1 |
SEQ ID NO:20 | Ac-crarrra-NH2 | 1.0 |
SEQ ID NO:19 | Ac-carrrra-NH2 | 0.9 |
SEQ ID NO:23 | Ac-crarrar-NH2 | 0.8 |
SEQ ID NO:18 | Ac-crararr-NH2 | 1.0 |
SEQ ID NO:27 | Ac-c(C)arrrar-NH2 | 0.9 |
SEQ ID NO:28 | Ac-c(C)rrarar-NH2 | 0.9 |
* 방법은 실시예 7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된 PTH 데이터 및 히스타민 데이터의 관점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한 구체예에서 히스타민 반응의 부재시 대상의 PTH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 고려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히스타민 반응의 부재는 본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분석으로 시험관 내 측정되는 바, 히스타민의 10배 미만의 증가, 바람직하게는 8배 미만의 증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 미만의 증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배 미만의 증가를 유발하는 화합물의 용량을 의미하고, 이때 배수 변화는 화합물과의 인큐베이션 전 및 화합물과의 15분 인큐베이션 후의 히스타민 수준을 토대로 측정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히스타민 반응은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의 복막 세척물로부터 분리된 쥐 복막 비만세포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 분석으로 측정되고, 이때 배수 변화는 화합물과의 인큐베이션 전 및 화합물과의 15분 인큐베이션 후의 히스타민 수준을 토대로 측정된다. 본원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히스타민 방출의 시험관 내 평가는 헤파린 (5u/mL)을 함유하는 저온 HBSS +25 mM HEPES pH 7.4를 사용하여 복막 세척물에 의해 분리된 분리된 쥐 복막 비만세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세포는 자극 완충액 (HBSS+25mM HEPES pH 7.4)으로 2회 세척되었고, 자극 완충액 (HBSS+25mM HEPES pH 7.4) 중에서 10μM의 화합물과 15분 동안 96-웰 플레이트 (106/웰)에서 37℃에서 인큐베이션되었다. 세포 상층액이 히스타민 EIA 키트 (Cayman #589651)를 사용하여 히스타민에 대해 분석되었다.
다른 구체예에서, 임상적인 히스타민 반응의 부재시에 대상의 PTH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 고려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임상적인 히스타민 반응"의 부재가 의도하는 것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화합물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이 투약이 완료된 후 5 내지 10분 후에 또는 치료과정 중에 측정되는 바, 혈장 또는 혈액 히스타민의 임상적으로 해로운 증가를 유발하는 일 없이 대상에게 투여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하는 치료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 필요한 화합물은 고용량으로 대상에게 투여될 때 (본원에서 사용되는 "고용량"은 1분 또는 그것보다 짧은 시간에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투약이 완료된 후 5 내지 10분에 투약전 수준보다 15배 미만의 증가, 10배 미만의 증가, 9배 미만의 증가, 8배 미만의 증가, 7배 미만의 증가, 6배 미만의 증가, 5배 미만의 증가, 4배 미만의 증가, 3배 미만의 증가, 2배 미만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상기에서 설명된 연구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한 구체에에서, 화합물을 3 내지 35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을 포함하며, 이때 다수의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 하위유닛이 서열에 존재한다. 어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5 내지 25개의 하위유닛을 포함하고,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각 하위유닛은 아미노산 잔기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기술된 화합물은 6 내지 12개의 하위유닛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기술된 화합물은 3 내지 9개의 아미노산 하위유닛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기술된 화합물은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또는 35개의 하위유닛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기술된 화합물의 하위유닛은 독립적으로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또는 그것들의 유사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L- 또는 D- 형태 중 어느 것이든지 가질 수 있다 (아키랄인 글리신은 제외됨). 글리신, 지방족 잔기 알라닌, 발린, 로이신, 또는 이소로이신, 프롤린, 히드록실 잔기 세린 및 트레오닌, 산성 잔기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 아미드 잔기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 염기성 잔기 라이신 및 아르기닌, 히스티딘, 방향족 잔기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 및 황-함유 잔기인 메티오닌과 시스테인은 모두 본 발명의 화합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포지티브 전하를 띤 하위유닛의 수, 및 그것들의 밀도는 PTH를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포지티브 전하를 띤 하위유닛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하위유닛 ("분리 하위유닛")에 의해 분리된다. 한 구체예에서 분리 하위유닛은 알라닌 잔기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분리 하위유닛의 분자 비대칭성은 화합물의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들은 서열에서 반복되며 L- 또는 D- 형태 중 어느 것을 가지는 특정 천연 또는 비천연 잔기, 또는 그것의 유사체일 수 있고 (예컨대 L-아르기닌), 또는 L- 또는 D- 형태 중 어느 것을 가지는 다양한 천연 또는 비천연 잔기, 또는 그것들의 유사체일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3 내지 20개의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 6 내지 12개의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 3 내지 9개의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펩티드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개의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어떤 구체예에서,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는 천연 아미노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는 독립적으로 천연 및/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는 독립적으로 아르기닌, 라이신, 히스티딘, 2,3-디아미노프로피온산 (Dap), 2,4-디아미노부티르산 (Dab), 오르니틴, 및 호모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포지티브 전하를 띤 아미노산 잔기는 아르기닌 잔기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펩티드이고 단일한 연속 펩티드 사슬 또는 가닥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분지된 펩티드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티올-함유 부분에 결합된다 (각각 "티올-함유 결합기" 또는 "결합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그리고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펩티드 화합물은 Cys 결합기에, (-S-S-) 이황화 결합을 통해 (예컨대 -Cys-Cys-) 결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합물"은 그러한 펩티드와 그러한 결합체를 둘 다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티올 부분,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응성 티올 부분을 포함한다. 티올기를 가지는 하위유닛은 티올기를 가지는 비-아미노산 화합물 및 티올기를 가지는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티올-함유 하위유닛의 티올기는 결합된 형태이거나 (예컨대 결합기에 대한 이황화 결합을 통해), 또는 비결합 형태일 수 있다 (즉 환원된 티올로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기가 비결합 형태이거나 결합된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일 때, 그것은 티올-함유기와 이황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티올-함유 잔기는 펩티드 사슬을 따라 어떠한 위치에서든지, 이를테면 아미노 말단, 카르복시 말단, 또는 어떤 다른 위치에서도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잔기 또는 하위유닛은 아미노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잔기 또는 하위유닛은 카르복시 말단에 또는 펩티드 서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티올-함유 잔기의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로는, 시스테인, 머캡토프로피온산, 호모-시스테인, 및 페니실아민이 있으며,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티올-함유 잔기가 키랄 중심을 포함할 때, 그것은 L- 또는 D-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잔기는 시스테인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화합물의 X1 위치에 있는 티올 함유 하위유닛과 티올-함유 결합기 사이의 교차연쇄는 절단가능하며 및/또는 다른 티올-함유 결합기, 예를 들어 시스테인과 생체 내에서 상호교환적이어서 (예컨대 이황화 연쇄의 환원에 의해) 화합물의 생물학적으로 활성 형태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결합체는 화합물의 선구약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결합기는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리화학적, 약물 동력학적 및/또는 약역학적 특성을 변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약물 동력학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커다란 페길화된 부분에의 이황화 결합을 통한 결합).
어떤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아미노산 서열 (Xaa1)-(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55)로 구성되는 펩티드이고, 이때 (Xaa1)은 티올-함유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2)는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3)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4)는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5)는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6)은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7)은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C-말단, 또는 2곳 모두에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및 C-말단에서 모두 각각 아세틸화 및 아미드화에 의해 변형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d-Cys)-(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56)을 포함하고, 이때 (Xaa2)는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3)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4)는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5)는 D-Arg, L-Arg, D-Lys 및 L-Ly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aa6)은 비-양이온 잔기이며, (Xaa7)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d-Cys)-(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57)을 포함하고, 이때 (Xaa2), (Xaa3) 및 (Xaa4)는 독립적으로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그러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독립적으로 D-Ala, D-Val, D-Leu, D-NorVal, 및 D-NorLeu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Xaa5) 및 (Xaa7)은 독립적으로 어떠한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고 (그러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독립적으로 D-Arg, L-Arg, D-Lys 및 L-Ly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Xaa6)은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D-Ala, D-Val, D-Leu, D-NorVal 및 D-NorLeu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D-Cys)-(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58)을 포함하고, 이때 (Xaa2)는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3)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4)는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5)는 D-Arg, L-Arg, D-Lys 및 L-Ly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aa6)은 비-양이온 잔기이며, (Xaa7)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D-Cys)-(D-Ala)-(Xaa3)-(Xaa4)-( D-Arg)-(D-Ala)-(Xaa7) (SEQ ID NO:159)을 포함하고, 이때 (Xaa3)은 어떠한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4)는 어떠한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7)은 어떠한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D-Cys)-(Xaa2)-(Xaa3)-(D-Ala)-(D-Arg)-(D-Ala)-(Xaa7) (SEQ ID NO:160)을 포함하고, 이때 (Xaa2), (Xaa3) 및 (Xaa7) 은 독립적으로 어떠한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다른 구체예는 칼슘 유사작용 펩티드로, 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서열은 5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고, 서열은 아미노 말단, 카르복시 말단, 최소한 하나의 티올-함유 잔기, 및 3 내지 9개의 포지티브 전하를 띤 잔기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최소한 하나의 티올-함유 잔기는 시스테인 잔기다. 다른 측면으로 시스테인 잔기는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에 위치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시스테인 잔기는 L-Cys 잔기, D-Cys 잔기, 또는 L- 또는 D-호모Cys 잔기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펩티드의 아미노산 잔기는 D-아미노산 또는 L-아미노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화합물의 범주에는 대략 7개의 하위유닛을 포함하는 펩티드 유사 분자가 포함되는데, 그 화합물에서 최소한 하나의 하위유닛은 티올 부분,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티올 부분을 함유하고, 다른 하위유닛은 다수의 비-양이온 하위유닛이고 1 내지 4개의 포지티브 전하의 하위유닛을 포함한다. 그런 펩티드 유사 분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하위유닛 사이에 비-펩티드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된 화합물의 다양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펩티드 유사 분자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분자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하위유닛은 천연 발생 아미노산 또는 비-천연 측쇄를 가지는 잔기일 수 있고, 분자의 말단은 상기에서 논의된 방식으로 캡핑되거나 캡핑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분자의 아미노산 잔기는 L- 또는 D-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티올-함유 잔기는 상기에서 논의된 티올-함유 부분 중 어느 것과의 환원 또는 산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많은 펩티드 유사 프레임워크 및 그것의 합성방법은 이미 개발되었다 (Babine, R. E.; Bender, S. L., Chem. Rev., 97:1359, 1997; Hanessian, S.; et al., Tetrahedron, 53:12789, 1997; Fletcher, M. D.; Cambell, M. C., Chem. Rev., 98:763, 1998); Peptidomimetics Protocols; Kazmierski W.M., Ed.; Methods in Molecular Medicine Series, Vol. 23; Humana Press, Inc.; Totowa, N.J. (1999)).
결합체
어떤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티올-함유 결합기에, 화합물의 티올과 결합기로부터의 티올 사이의 이황화 결합을 경유하여 화학적으로 교차결합된다. 티올-함유 결합기는 작은 분자, 예컨대 시스테인, 또는 거대분자, 예컨대 시스테인 잔기를 함유하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적당한 티올-함유 결합기의 실례로는, 시스테인, 글루타티온, 티오알킬, 티오벤질과 같은 부분, 머캡토프로피온산,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시스테아미드, N-아세틸시스테아미드, 호모시스테인, 페니실아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변형된 ("페길화된"으로 언급됨) 티올, 예컨대 페길화된 시스테인 또는 화합물의 복제품 (즉 이황화 결합에 의해 연결된 단일이량체를 형성하기 위한)이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시스테인이다. 다른 시스테인 상동체가 또한 단독으로 또는 더 큰 결합기에 포함된 상태로 티올-함유 결합기로서 사용되도록 고려된다. 유사하게,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 및 시스테아미드의 입체 이성질체가 티올-함유 부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결합기는 약제학적 산물의 화학적 안정성 및 그로써 저장수명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 및 펩티드는 동일하고 (즉 결합체는 이량체이다), 그것은 기대하지 않았지만 시스테인과 같은 이종성 결합기와 비교하여 매우 양호한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 구속되기를 바라지는 않으나, 아마도 티올-함유 결합기와 펩티드가 동일할 경우에는 어떠한 불균등반응 (disproportionation)(예컨대 결합기의 스크램블링)이 원래의 이량체 화합물을 재구성할 것이다. 대조적으로, 화합물과 이종 결합기, 예컨대 시스테인과의 불균등 반응은 펩티드와 시스틴 (시스테인-시스테인 단일이량체)과 잔류하는 원래의 화합물의 단일-이량체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펩티드의 단일-이량체 (즉 결합기와 펩티드가 동일함)는 전신성 순환에서 환원된 시스테인의 고농도로 인해 생체 내에서 펩티드의 시스테인 결합 형태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티올-함유 결합기와 아미노산 서열 (Xaa1)-(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55)을 포함하는 펩티드와의 이황화물 결합체를 포함하며, 이때 (Xaa1)은 티올-함유 부분을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2)는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3)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4)는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5)는 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6)은 비-양이온 잔기이며, (Xaa7)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D-Cys, L-Cys, D-Cys를 함유하는 펩티드, 및 L-Cys를 함유하는 펩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티올-함유 결합기가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인 경우 그것은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N-말단 캡 및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그 자체가 SEQ ID NO:1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와 펩티드는 동일하다 (즉 결합체는 이량체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티올-함유 결합기와 아미노산 서열 (D-Cys)-(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56)을 포함하는 펩티드와의 결합체를 포함하고, 이때 (Xaa2)는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3)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4)는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5)는 D-Arg, L-Arg, D-Lys 및 L-Ly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aa6)은 비-양이온 잔기이며, (Xaa7)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D-Cys, L-Cys, D-Cys를 함유하는 펩티드, 및 L-Cys를 함유하는 펩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티올-함유 결합기가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인 경우 그것은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N-말단 캡 및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그 자체가 SEQ ID NO:15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와 펩티드는 동일하다 (즉 결합체는 이량체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티올-함유 결합기와 아미노산 서열 (L-Cys)-(Xaa2)-(Xaa3)-(Xaa4)-(Xaa5)-(Xaa6)-(Xaa7) (SEQ ID NO:183)을 포함하는 펩티드와의 결합체를 포함하고, 이때 (Xaa2)는 비-양이온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3)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4)는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5)는 D-Arg, L-Arg, D-Lys 및 L-Ly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aa6)은 비-양이온 잔기이며, (Xaa7)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D-Cys, L-Cys, D-Cys를 함유하는 펩티드, 및 L-Cys를 함유하는 펩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티올-함유 결합기가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인 경우 그것은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N-말단 캡 및 C-말단 캡 둘 다를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그 자체가 SEQ ID NO:1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와 펩티드는 동일하다 (즉 결합체는 이량체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티올-함유 결합기와 아미노산 서열 (D-Cys)-(D-Ala)-(Xaa3)-(Xaa4)-(D-Arg)-(D-Ala)-(Xaa7) (SEQ ID NO:161)을 포함하는 펩티드와의 결합체를 포함하고, 이때 (Xaa3)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며, (Xaa4)는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고, (Xaa7)은 어떠한 아미노산 잔기이다. 펩티드는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N-말단 캡과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D-Cys, L-Cys, D-Cys를 함유하는 펩티드, 및 L-Cys를 함유하는 펩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티올-함유 결합기가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인 경우 그것은 N-말단 캡, C-말단 캡,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N-말단 캡 및 C-말단 캡을 모두 가진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는 그 자체가 SEQ ID NO:16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이다. 어떤 구체예에서, 티올-함유 결합기와 펩티드는 동일하다 (즉 결합체는 이량체이다).
III
. 사용 방법
본 발명에는 한 측면으로, 본원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뼈 질병 및/또는 다른 고칼슘혈증 질환을 방지, 치료 또는 개선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화합물은 표적 조직 또는 조직들에서, 또는 대상에서 PTH 및/또는 칼슘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나타낸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화합물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되는 경우 PTH 및/또는 칼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방법은 하기 실시예 3 및 8 내지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3을 참조하고, 상기 표 1과 관련하여 논의된 것과 같이,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가 차례로 비-양이온 잔기 (알라닌)으로 대체된 일련의 화합물들이 쥐에게 투여되었다. 도 5는 혈액 PTH를 감소시키는 각각의 화합물의 능력의 시간 프로필 및 달라지는 화합물의 작용 기간을 도시한다. 도 5에서,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다이아몬드), Ac-carrrrr-NH2 (SEQ ID NO:8, 사각형), 및 Ac-crrarrr-NH2 (SEQ ID NO:10, x 기호) 및 Ac-crrrrar-NH2 (SEQ ID NO:12, 원형)이 투약전 기준선의 % PTH가 본질적으로 0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그리고 제시된 효능 기간으로 보아 생체 내에서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PTH 혈액 농도는 최소한 4시간 동안 감소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화합물 Ac-crarrrr-NH2 (SEQ ID NO:9, 삼각형), Ac-crrrarr-NH2 (SEQ ID NO:11, * 기호) 및 Ac-crrrrra-NH2 (SEQ ID NO:13, + 기호)는 기준선의 %PTH를 약 2, 3시간 동안 감소시켰고, 그런 다음 PTH의 혈액 농도는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Ac-crrrrrr-NH2 (SEQ ID NO:6)의 하위유닛 위치 5 또는 7에서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의 치환은 PTH 저하 활성의 기간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이중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일련의 화합물에 대한 PTH 감소 프로필이 또한 평가되었다. 상기 표 2에 예시되는 선택된 화합물이 0.5mg/kg의 용량으로 IV 고용량에 의해 정상 쥐에 투여되었고, PTH의 감소가 투약전 PTH 혈액 수준과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데이터는 도 6a 및 6b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Ac-carrrar-NH2 (SEQ ID NO:26, 흰 다이아몬드), Ac-crrarar-NH2 (SEQ ID NO:25, 흰 사각형), Ac-caarrrr-NH2 (SEQ ID NO:22, 삼각형), Ac-crraarr-NH2 (SEQ ID NO:17, 원형), Ac-c(C)arrrar-NH2 (SEQ ID NO:3, 다이아몬드 도 6b), Ac-c(C)rrarar-NH2 (SEQ ID NO:28, x 기호, 도 6b).
추가로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른 연구가 수행되었다.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2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정상 쥐에게 1mg/kg, 0.5mg/kg, 0.3mg/kg, 및 0.1mg/kg의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되었다. 혈장 수준이 투약 전과 투약 후 4시간 후에 평가되었다. 도 7은 그 결과를 도시하는데, PTH 혈액 농도는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표시된다. 용량-관련 PTH 감소가 관찰되었는데, 가장 높은 용량인 1mg/kg (다이아몬드)를 단일 IV 고용량 투여한 후에 가장 큰 PTH 감소를 나타냈고, 차례로 0.5mg/kg (사각형), 0.3mg/kg (삼각형), 및 0.1mg/kg (x 기호)으로의 감소가 나타났다. 식염수 대조표준은 원형 기호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펩티드는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용량으로 투여될 때 투약전 ("기준선") PTH의 농도와 비교하여 50% 이상의 PTH 감소를 달성한다. 구체적으로 펩티드는 0.1mg/kg 이상의 용량으로 투여될 때 IV 투여 후 1시간 후에 기준선 PTH 농도의 90% 미만으로 PTH 농도를 감소시켰다. SEQ ID NO:3로 표시된 펩티드의 이런 용량은 또한 50% 미만의 곡선 아래의 면적 (AUC)을 유발하였는데, AUC는 1, 2, 3 및 4시간의 시간 지점에서 PTH 농도값의 합으로 계산되었고, 식염수 대조표준에 대한 동일한 시간 지점에서의 AUC에 의해 표준화되고, 100이 곱해졌다.
동일한 화합물이 또한 신장 기능부전인 대상 (쥐)에서 시험되었다. 이 연구에서, 급성 신장 기능부전증의 1K1C 모델이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의 신장 기능부전 환경에서의 PTH-저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모델은 실시예 1A에서 설명된다. 화합물은 고용량으로서 신장 손상된 동물(쥐)에게 3mg/kg (n=2), 1mg/kg (n=5), 0.5mg/kg (n=6) 및 0.3mg/kg (n=5)의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되었다. 대조 동물군에게는 식염수가 투여되었다. 혈장 PTH 수준은 투약전과 투약 후 여러 시간대에 평가되었다. 도 8은 그 결과를 도시하는데, 식염수로 처리된 동물 (사각형)은 시작할 때의 PTH 수준과 비교하여 증가된 PTH 농도를 나타냈다. 다양한 용량의 SEQ ID NO:3에서 PTH 감소의 기간과 정도에 대한 용량-의존성 효과가 관찰되었다. 가장 낮은 용량인 0.3mg/kg (x 기호)으로 처리된 동물은 가장 초기 시간점에서는 감소된 PTH를 나타냈고, 투약 후 1 내지 24시간에는 PTH 증가를 나타냈다. 3mg/kg (다이아몬드), 1mg/kg (삼각형) 및 0.5mg/kg (사각형)의 용량 수준은 15시간 이상, 그리고 가장 많은 용량에 대해서는 24시간 이상 감소된 PTH 혈중 농도를 유발하였다.
다른 연구에서, 알라닌 아미노산 잔기에 의해 예시된 것과 같이, 신장 기능부전을 보이는 대상과 관련하여, 비전하 하위유닛으로 양이온 하위유닛을 치환할 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Ac-crrrrrr-NH2 (SEQ ID NO:6)의 유사체가 제조되었고, 1mg/kg의 단일 정맥내 투여 후 1K1C 모델 동물에서 PTH를 저하시키는 능력에 대해 시험되었다. 시험된 유사체 Ac-carrrar-NH2 (SEQ ID NO:26)에서, Ac-crrrrrr-NH2 (SEQ ID NO:6)의 위치 X2 및 X6에 있는 양이온 하위유닛이 비전하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Ac-carrrar-NH2 (SEQ ID NO:26, 흰 사각형)은 Ac-crrrrrr-NH2 (SEQ ID NO:6, 흰 다이아몬드)와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는데, 시험된 용량 (1mg/kg)에서 24시간에 걸친, 유사하게 연장된 작용 기간을 나타냈다. 비전하 하위유닛 치환이 일어난 Ac-crrrrrr-NH2 (SEQ ID NO:6)의 유사체는 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실제로 SEQ ID NO:6으로 표시된 화합물보다 월등한 생체 내 작용 효능 및 기간을 가질 수 있다. 화합물 Ac-carrrar-NH2 (SEQ ID NO:26)에서 위치 X2 및 X6에 있는 D-Arg 잔기는 SEQ ID NO:6으로 표시된 화합물과 관련하여 D-Ala 잔기로 치환되었다.
중요한 것은, 상기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화합물 Ac-carrrar-NH2 (SEQ ID NO:26)의 투여는, IV 고용량에 의해 보다 많은 양 (>1mg/kg)으로 투여될 때 Ac-crrrrrr-NH2 (SEQ ID NO:6)과 다른 유사한 화합물에서 볼 수 있었던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인 히스타민 방출을 수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SEQ ID NO:26로 확인된 화합물로 유발된 현저한 히스타민 방출의 감쇠는 원하는 PTH-저하 활성과 IV 고용량에 의한 투여 후 원하지 않는 히스타민-유도 활성 사이의 치료영역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생체 내에서 히스타민 반응이 없으면서 PTH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한 구체예에서, 대상, 사람 또는 다른 대상에게 투여될 때 화합물이 투약 후 1시간 이내에 투약전 수준의 50% 아래로 PTH 수준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PTH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란 정상 쥐에 투여될 때 IV 고용량에 의한 투약 후 1시간 이내에 투약전 수준의 50% 아래로 PTH 수준을 감소시키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하기 실시예 8에서 설명되는 또 다른 연구에서, 위치 X1에 있는 티올-함유 하위유닛이 이황화 연쇄를 통해 L-Cys 잔기에 결합되는 결합체 형태의 화합물이 제공되었다. 이들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를 가진다:
C Ac-C
│ │
Ac-carrrar-NH2 (SEQ ID NO:3) 및 Ac-carrrar-NH2 (SEQ ID NO:141)
본원에 사용된 표기법에서, X1 하위유닛에서 티올-함유 부분에 연결된 화합물은 괄호 안에 표시되는데, 상기 예시된 결합체에서 (C)로 표시된 화합물 L-Cys는 X1 하위유닛에서 티올-함유 부분에 연결된다: Ac-c(C)arrrar-NH2 (SEQ ID NO:3) 및 Ac-c(Ac-C)arrrar-NH2 (SEQ ID NO:141). 이들 화합물은 IV 고용량을 통해 급성 신장 기능부전 동물 (1K1C 모델)에 0.3 및 0.5mg/kg의 용량으로 투여되었고, 그 결과는 도 10에 도시된다.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은 사각형 (0.3mg/kg, n=5) 및 * 기호 (0.5mg/kg, n=6)으로 표시되고, 화합물 Ac-c(Ac-C)arrrar-NH2 (SEQ ID NO:141)은 삼각형 (0.3mg/kg, n=8) 및 다이아몬드 (0.5mg/kg, n=7)로 표시되었다. SEQ ID NO:3으로 나타난 이런 생체 내 용량 반응은 Ac-crrrrrr-NH2 (SEQ ID NO:6)과 매우 유사한 PTH의 용량-의존성 감소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설명된 생체 내 연구 중 일부에서 X1 하위유닛에 있는 티올이 이황화 결합을 통해 다른 하위유닛에 교차결합되어 있는 결합체 형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합물들이 30-분 IV 주입으로서 투여되었다. 그러나 더 짧은 시간의 주입 (예컨대 <5분) 또는 IV 고용량에 의한 전달은 전형적으로 더 긴 30-분 주입으로서 비교할만한 PTH의 약역학적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피하 고용량 투여는 또한 초기에는 약간 더 적은 PTH 감소를 나타냈지만, IV 경로에 의해 볼 수 있었던 프로필과 유사한 PTH의 지속된 감소를 나타낸 효과적인 전달 경로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은 또한 미소기공-촉진된 (예컨대 각질층의 마이크로포레이션) 경피 전달에 의해 투여되었고, 그 결과 그것이 모니터된 여러 시간 동안 혈장 PTH가 감소된 것이 입증되었다.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은 또한 마이크로포레이션 후에 경피 경로에 의해 투여되었고, 그 결과 여러 시간 동안 혈장 PTH가 감소되었다. Ac-crrrrrr-NH2 (SEQ ID NO:6)의 경피 전달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추가의 선택사항을 제공한다.
신장 기능부전을 나타내는 대상과 관련하여, Ac-crrrrrr-NH2 (SEQ ID NO:6)의 활성에 미치는 투여 경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1K1C 모델의 쥐에게 1mg/kg의 펩티드가 피하 (SC) 고용량 또는 30-분 IV 주입 중 어느 하나로서 투여되었다. 두 가지 투여 경로는 모두 24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혈장 PTH 수준을 감소시켰다. Ac-crrrrrr-NH2 (SEQ ID NO:6)이 IV 주입에 의해 전달되었을 때, PTH 수준은 기준선으로부터 신속하게 80 내지 90% 감소되었다. 투약 후 16시간 후에, PTH 수준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지만, 여전히 기준선으로부터 약 80% 감소된 수준이었다. Ac-crrrrrr-NH2 (SEQ ID NO:6)이 SC 고용량에 의해 전달되었을 때, PTH 수준은 초기에는 기준선의 약 40% 정도로 중간 정도의 감소를 나타냈지만, 펩티드가 IV 경로에 의해 전달되었을 때와 유사한 감소 기간을 나타냈다. 투약 후 24시간이 지난 후, 어느 한 경로에 의해 투약된 동물에서의 PTH 수준은 부분적으로 다시 증가하였지만, 두 경로 모두 여전히 감소된 PTH 수준을 나타냈고, 그 수준은 기준선으로부터 약 40 내지 60%였다. 그 결과는 이런 투여 경로가 효능 및 PTH 감소 기간과 관련하여 IV투여와 유사한 프로필을 제공하고, 그로써 임상적 투약에 대한 대체 경로를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데이터는 제시하지 않음).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SHPT)을 보이는 대상은 혈장 PTH 수준 및/또는 칼슘을 감소시키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치료된다. 중간 정도로 심각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걸렸으나 미치료된 SHPT 환자들은 자주 300pg/ml보다 큰 기준선 순환 무상 PTH 수준을 나타내는데, 그 수준은 600pg/mL을 초과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PTH 수준의 감소는 사전측정 기준선 수준 아래의 무상 PTH의 감소로서 측정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PTH의 원하는 감소는 신장 장애 및 신장 기능부전의 치료에서 미국 국립신장재단 또는 다른 전문가에 의해 수립된 일반적으로 인지된 지침 안으로 혈장 PTH 수준을 가져오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에는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고칼슘혈증 및/또는 뼈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그 방법은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대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제제와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PTH 또는 PTH 효과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혈장 PTH의 감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후 최소한 10시간 동안 사전처리 기준선 수준보다 최소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5%, 또는 30% 아래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혈장 PTH의 감소는 투여 후 10시간째에 최소한 20%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혈장 PTH의 감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후 최소한 48시간 동안 사전처리 기준선 수준보다 1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더 아래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청 칼슘 또는 칼슘 효과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혈청 칼슘의 감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후 최소한 10시간 동안 사전처리 수준보다 최소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5% 아래이다. 어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혈청 칼슘의 감소는 투여 후 10시간째에 최소한 5%이다. 어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혈청 칼슘의 감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후 최소한 48시간 동안 사전처리 수준보다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더 아래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및/또는 고칼슘혈증을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에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및/또는 고칼슘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그 방법은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그로써 PTH 및/또는 칼슘이 감소된다.
혈청 칼슘, 뼈 대사 및 PTH 사이의 관계를 토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외에 다양한 형태의 뼈 질병 및/또는 고칼슘혈증을 치료하는 데 유익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현재 사용되는 치료제와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위장의 부작용과 관련되지 않을 것이며, 시토크롬 P450에 의해 대사되지 않고, 혈장 PTH나 칼슘에서 보다 효과적인 감소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들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제제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그런 제제로는,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스포스포네이트 골흡수 억제제, 예컨대 알렌드로네이트 및 리세드로네이트; 인테그린 차단제, 예컨대 αvβ3 길항제; 호르몬 대체 요법에 사용된 결합 에스트로겐, 예컨대 PREMPROTM, PREMARINTM 및 ENDOMETRIONTM;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 예컨대 랄록시펜, 드롤록시펜, CP-336, 156 (Pfizer) 및 라소폭시펜; 카테스핀 K 억제제; 비타민 D 치료법; 비타민 D 유사체, 예컨대 ZEMPLARTM (파리칼시톨); CALCIJEX® (칼시트리올), HECTOROL® (독세르칼시페롤), ONE-ALPHA® (알파칼시돌) 및 CTA-018, CTAP201 및 CTAP101로 알려져 있는, Cytochroma사가 개발하는 유사체; 다른 칼슘 유사작용제, 예컨대 Sensipar® (시나칼셋); 유형 II 나트륨-의존성 포스페이트 수송자 패밀리의 억제제, SLC34 (2 개의 신장 이소형태 NaPi-IIa 및 NaPi-IIc, 및 장의 NaPi-IIB 수송자 포함함); 포스파토닌 (FGF-23, sFRP4, MEPE 또는 FGF-7 포함함); 저용량 PTH 치료 (에스트로겐이 있거나 없음); 칼시토닌; RANK 리간드의 억제제; RANK 리간드에 대한 항체, 오스테로프로테그린; 아데노신 길항제; 및 ATP 양성자 펌프 억제제가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PTH 및 혈청 칼슘 수준 두 가지를 모두 감소시키에 충분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청 칼슘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PTH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청 칼슘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PTH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으로 투여된다.
제형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최소한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그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담체, 및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속 성분들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종래의 방법들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단위용량 형태로 제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액체 담체, 또는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담체, 또는 두 가지 모두와 함께 균질하고 친밀하게 섞은 후 필요에 따라 제품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제조된다.
비경구 투여에 적당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멸균 등장성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에멀션, 또는 사용 직전에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 멸균 분말과 함께 포함하고, 조성물은 또한 당, 알코올, 아미노산, 항산화제, 완충제, 세균 발육 억제제, 의도된 수용체의 혈액으로 제형을 등장성으로 만드는 용질 또는 현탁 또는 농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의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폴리올 (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그것들의 적당한 혼합물, 식물유, 예컨대 올리브유, 및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테르, 예컨대 올레산 에틸이 있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면 코팅 물질, 예컨대 레시틴을 사용함으로써, 분산액의 경우에 필요한 입자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그리고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보존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미생물의 작용을 방지하는 것은 다양한 항박테리아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등을 주입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당, 염화나트륨, 등과 같은 등장성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를 조성물 안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주사가능한 약제학적 형태의 연장된 흡수는 모노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및 젤라틴과 같은 흡수를 지연시키는 제제를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약물의 효과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피하 또는 근육 내 주사로부터 약물의 흡수를 느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낮은 수용성을 가지는 결정성 또는 비정질 물질의 액체 현탁액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약물의 흡수율은 그것의 분해속도에 따라 좌우되고, 따라서 결정 크기 및 결정 형태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또는 달리 비경구로 투여된 약물 형태의 지연된 흡수는 약물을 오일 비히클에 녹이거나 현탁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체 형태의 약물을 액체로 재구성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용액 형태로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 용액은 추가로 주입액, 예를 들면 주입용 물,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5% 덱스트로오스 주사액 및 유산첨가 링거액으로 희석될 수 있다. 재구성되거나 희석된 용액은 최대 효능의 전달을 위해 4 내지 6시간 이내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달리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람에게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주사용 데포 형태 (depot form)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생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중합체, 예컨대 폴리락티드-폴리글로콜리드안에 넣어 미소캡슐화된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약물의 중합체에 대한 비율과 사용된 특정 중합체의 성질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생체 내 분해가능한 중합체의 예를 들면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다가(무수물)이 있다. 데포 주사용 제형은 또한 신체 조직과 부합하는 미소에멀션 또는 리포솜에 약물을 넣어 가둠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약으로서 사람과 동물에게 투여될 때, 그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예를 들면 0.1 내지 99%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활성 성분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0.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또는 0.5 내지 2%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사람 및 다른 동물에게 어떠한 적당한 투여 경로, 이를테면 예컨대 피하 주사, 피하 데포, 정맥 내 주사, 정맥 내 또는 피하 주입에 의해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고용량으로서 신속하게 (<1분 이내) 또는 보다 느리게 연장된 시간 기간에 걸쳐 (수분, 수시간 또는 수일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매일 또는 여러 날에 걸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경피적으로 (예컨대 패치, 마이크로니들, 미소기공, 연고, 마이크로젯(microjet) 또는 나노젯(nanojet)을 사용함) 투여될 수 있다.
선택된 투여 경로와 관계없이, 적당한 수화형태로,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종래 방법들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단위용량 형태로 제형된다.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활성 성분의 실제 단위용량 수준은 특정 환자에 대해 환자에게 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치료적 반응을 얻기에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 조성, 및 투여 방식을 얻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선택된 단위용량 수준은 사용된 특별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염 또는 아미드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배설 속도 또는 대사 속도, 흡수 속도 및 정도, 치료 기간, 사용된 특정 화합물과 함께 사용된 다른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연령, 성별, 체중, 컨디션, 치료받고 있는 환자의 일반적인 건강 및 이전의 병력, 및 의료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유사한 요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해당 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의사 또는 수의사는 필요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효과적인 양을 쉽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량을, 원하는 치료 효과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양보다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점차로 증가시켜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적당한 매일 용량은 치료적 효과를 생성하기에 효과적인 가장 낮은 양인 화합물의 양이 될 것이다. 그런 효과적인 용량은 일반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요인들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환자에 대한 정맥 내, 근육 내, 경피, 뇌실 내 및 피하 용량은 지시된 효과를 위해 사용될 때 시간당 체중의 kg당 약 1㎍ 내지 약 5mg의 범위일 것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용량은 시간당 체중의 kg당 약 5㎍ 내지 약 2.5mg의 범위일 것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용량은 시간당 체중의 kg당 약 5㎍ 내지 약 1mg의 범위일 것이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적인 매일 용량은 하루에 2, 3, 4, 5, 6 또는 그 이상의 하위-용량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임의로 단위용량 형태로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루에 1회 용량으로서 투여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연속적으로, 정맥 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매일보다는 덜 자주, 예를 들면 매 2 내지 3일마다, 투석 치료와 함께, 매주 1회 또는 그것보다 뜸하게 투여된다.
이런 치료를 받는 대상은 치료의 필요가 있는 어떠한 동물, 이를테면 영장류, 특히 사람, 및 다른 포유류, 예컨대 말, 소, 돼지 및 양; 및 일반적인 가금류 및 애완동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 자체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된 상태로 투여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아미노글리코시드 및 당펩티드와 같은 항미생물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합 치료는 상기 화합물을, 첫 번째로 투여된 활성 화합물의 치료 효과가 그 다음 활성 화합물이 투여될 때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방식으로 활성 화합물이 순차적으로, 동시에 및 별도로 투여되는 것을 포함한다.
개시된 화합물에 대한 투여 경로
이들 화합물은 어떠한 적당한 투여 경로에 의해 사람 및 다른 동물에게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 "경로"는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하 주사, 피하 데포, 정맥 내 주사, 정맥 내 또는 피하 주입, 안 내(intraocular) 주사, 피내 주사, 근육 내 주사, 복막 내 주사, 기관지 내 투여, 지방질 내 투여, 관절 내 투여, 척추 강 내 투여, 경막 외 마취 투여, 흡입, 비강 내 투여, 혀밑 투여, 볼 투여, 직장 투여, 질 내 투여, 낭내(intracisternal) 투여 및 국소 투여, 경피 투여, 또는 국소 전달 (예컨대 카테테르 또는 스텐트)을 통한 투여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체로의 경피 약물 전달이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대상에게 전신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특히 단백질 및 펩티드와 같이 경구를 통한 생체 내 활용성이 낮은 물질의 전달을 위해서 바람직하고 편리한 방법이다. 경피 전달 경로는 특히 작은 (예컨대 약 1,000 달톤 미만) 친유성 화합물, 예컨대 물질을 신체로 유입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장벽으로서 작용하는 피부의 각질 외층을 관통할 수 있는 스코폴아민 및 니코틴을 사용할 때 특히 성공적이었다. 각질층 아래에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표피가 있는데, 그곳에 혈관은 없지만, 가끔 신경이 지나간다. 그 아래에는 진피가 있고, 그곳에는 혈관, 림프관 및 신경이 있다. 각질층 장벽을 통과하는 약물은 일반적으로 흡수 및 전신적 분포를 위해서 진피에 있는 모세관으로 확산될 수 있다.
경피 전달에 있어 기술적 진보는 친유성의 고분자량 화합물, 예컨대 단백질 및 펩티드를 피부를 가로질러 전달하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그런 필요를 해결하는 데 집중되었다. 한 가지 접근법은 각질층이 작용하는 장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여 각질층을 파괴하는 것을 포함한다. 피부 마이크로포레이션 기술은 보다 최근의 접근법인데, 그것은 최소한으로 침습성인 기술을 사용하여 피부에 미크론 크기의 수송 경로 (미소기공)(특히 각질층에 미소기공)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피부 (각질층)에 미소기공을 생성시키는 기술은 열 마이크로포레이션 또는 절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음파영동, 레이저 절제 및 고주파 열치료를 포함한다 (Prausnitz and Langer (2008) Nat . Biotechnology 11:1261-68; Arora et al., Int . J. Pharmaceutics, 364:227 (2008); Nanda et al., Current Drug Delivery, 3:233 (2006); Meidan et al., American J. Therapeutics, 11:312 (2004)).
상기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PTH 분비는 부갑상선 세포의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CaSR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므로 CaSR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제제 또는 화합물이 부갑상선 세포에 전달되어야 한다. 칼슘 유사작용 제제의 경피 전달은 각질층을 가로질러 전달됨으로써 부갑상선 세포에 도달하도록 체계적 노출을 제공해야 한다. 지금까지 당해 기술분야에서 칼슘 유사작용 화합물이 치료적 유익을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 특히 PTH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및/또는 고칼슘혈증을 치료, 감쇠, 감소 및/또는 완화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경피 전달될 수 있는지 여부를 증명한 것은 없었다.
칼슘 유사작용제 외에, 1,25-(OH)2 비타민 D3 유사체는 만성 신장 질병 및 말기 신장 질병과 관련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있는 환자에 대해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료제이다. 비타민 D 유사체는 음식물의 칼슘을 장이 흡수하도록 촉진함으로써 작용하고, PTH 합성 및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PTH 수준을 감소시킨다. 지금까지 비타민 D의 정맥 내 및 경구 전달은 치료적으로 사용되어 온 반면, 해당 기술분야에서 비타민 D 유사체, 예컨대 ZEMPLARTM (파리칼시톨); CALCIJEX® (칼시트리올), ONE-ALPHA® (알카칼시돌) 및 HECTOROL® (독세르칼시페롤)이 치료적 유익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특히 부갑상선 호르몬 (PTH)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경피 전달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증명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는 칼슘 유사작용제를 비타민 D 유사체와 함께 (별도의 제형으로서 또는 공동 제형으로서), 치료적 유익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특히 PTH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경피 전달에 의해 공동 투여하는 것이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으로 고생하는 환자를 위해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대해 증명된 것이 없다.
칼슘 유사작용제는 부갑상선 호르몬 (PTH)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고칼슘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국소 또는 전신적 전달을 위해, 각질층 및/또는 표피의 다른 층을 가로질러 투여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칼슘 유사작용제는 마이크로포레이션을 통해 전달된다. 마이크로포레이션을 위한 많은 기법들 중 하나가 사용되며, 그 중 몇 개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마이크로포레이션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칼슘 유사작용제를 피부의 표면을 통해 피부층 아래 및/또는 혈류 안으로 전달하기 위해 각질층을 가로지르기 위해 기계적 수단 및/또는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 구체예에서, 마이크로포레이션 기법은 피부의 특수한 영역에서, 그 밑에 놓여있는 표피를 유의미하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각질층을 절제하기에 충분한 파장, 맥동 길이, 맥동 에너지, 맥동 수, 및 맥동 반복률의 펄스 광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질층을 절제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칼슘 유사작용제가 절제 영역에 적용된다. 또 다른 레이저 절제 마이크로포레이션 기법은 레이저-유도 스트레스파 (LISW)로 언급되며, 고압 펄스된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 광역의 단일극성 및 압축성 파를 포함한다. LISW는 조직과 상호작용하여 각질층에 있는 지질을 파괴하여 일시적으로 각질층 내에 세포간 채널을 생성한다. 각질층의 이런 채널, 또는 미소기공은 칼슘 유사작용제의 유입을 허용하게 된다.
음파영동 (sonophoresis 또는 phonophoresis)은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하는 또 다른 마이크로포레이션 기법이다. 초음파는 20K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이다. 초음파는 연속적으로 또는 맥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주파수 및 세기 범위에서 적용된다 (Nanda et al., Current Drug Delivery, 3:233 (2006)).
또 다른 마이크로포레이션 기법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사용한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대상의 피부 영역에 적용될 때 각질층을 뚫지만 신경을 유의미하게 자극하거나 모세관에 구멍을 뚫을 정도의 깊이까지는 침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환자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그것을 통해 칼슘 유사작용제가 전달될 미소기공의 생성을 위해 적용될 때 불편함 또는 통증을 전혀 느끼지 못하거나 최소한으로 느낀다.
중공 또는 고체 마이크로니들로 구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본원에 포함되는데, 어레이에서 칼슘 유사작용제는 니들의 외면에 코팅되거나 중공 니들의 내부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실례는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Nanda et al., Current Drug Delivery, 3:233 (2006) 및 Meidan et al., American J. Therapeutics, 11:312 (2004)). 제 1세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치료제가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고체 실리콘 마이크로니들로 구성되었다. 니들의 미소배열이 피부에 대해 가압되고 약 10초 후에 제거되었을 때, 니들에 있는 제제가 신체 안으로 빠르게 투과되었다. 제 2세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고체 또는 중공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티탄 또는 다른 적당한 중합체로 만들어진 마이크로니들로 구성되었고, 치료 화합물 용액으로 채워지거나 코팅되었다. 신세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생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중합체로부터 제조되고, 이때 치료제가 코팅되어 있는 니들의 끝은 각질층에 보유되어 서서히 분해된다.
마이크로니들은 다양한 물질, 이를테면 금속, 세라믹, 반도체, 유기물질, 중합체, 및 합성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구성물질의 예를 들면 약제학적 등급의 스테인레스 스틸, 금, 티탄, 니켈, 철, 주석, 크롬, 구리, 팔라듐, 백금, 이들 또는 다른 금속의 합금, 실리콘, 이산화 규소, 및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생체 내 분해가능한 중합체로는 히드록시산의 중합체, 예를 들면 락트산 및 글리콜산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가 무수물,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부티르산), 폴리(발레르산), 및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과의 공중합체가 있다. 대표적인 비-생체 내 분해성 중합체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크릴아미드가 있다.
마이크로니들은 일직선의 또는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마이크로니들의 직경은 마이크로니들의 기저단 (base end)에서 가장 크고 기저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말단에서는 점이 될 정도로 점점 가늘어진다. 마이크로니들은 또한 일직선 (가늘어지지 않는) 부분과 가늘어지는 부분을 둘 다 포함하는 샤프트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니들은 또한 끝이 전혀 가늘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그것은 끝이 단순히 뭉툭하거나 평평한 원통형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가지며 점으로 끝이 가늘어지지 않는 중공 마이크로니들은 본원에서 "마이크로튜브"로 언급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마이크로니들"은 다른 표시가 없는 한 마이크로튜브와 끝이 가늘어지는 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일렉트로포레이션은 피부에 미소기공을 생성하기 위한 또 다른 기법이다. 이 접근법은 각질층 내에 생성된 일시적이고 투과가능한 기공에 마이크로초 또는 밀리초 길이의 고압 전기 충격을 적용하는 것을 사용한다.
다른 마이크로포레이션 기법은 피부에 마이크로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전파를 사용한다. 열적 절제 또한 보다 큰 분자량의 화합물을 경피 전달하기 위해 이루어진 또 하나의 접근법이다.
본 출원인들은 저용량의 칼슘 유사작용제가 연장된 시간 기간에 걸쳐 SHPT를 치료하기 위해 치료적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다른 칼슘 유사작용제 (예컨대 시나칼셋 염산염)의 현재의 용량 요구와는 뚜렷하게 구별된다.
본원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피 전달은 아래의 실시예 9 내지 10에서 설명되는 연구들에서 증명되었다. 첫 번째 연구에서,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은 피부의 작은 영역이 중간 정도의 압력 하에서 1.0mm 더마 롤러(derma roller)를 5회 통과시킴으로써 마이크로포레이션되어 있는 쥐에 경피 전달되었다. Ac-crrrrrr-NH2 (SEQ ID NO:6) 또는 식염수 중 어느 하나의 용액이 마이크로포레이션된 피부 영역에 도포되었다. 4시간 주기에 걸쳐 혈액이 채취되고 ELISA에 의해 PTH에 대해 혈장이 분석되었다. 그 결과는 도 11에 도시되는데, 혈장 PTH는 식염수 처리된 동물에 대해서는 투약전 기준선의 %로서 표시되고 (다이아몬드), 2마리 동물은 시험 화합물로 처리되었다 (사각형, 삼각형). 이들 데이터는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이 더마 롤러를 사용한 경피 경로 (이 경우, 미소기공-촉진된 경피 전달)에 의해 충분한 양으로 전신적으로 전달되어 연구한 4시간 동안 기준선으로부터 PTH 수준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 Ac-crrrrrr-NH2 (SEQ ID NO:6)은 정상 쥐에서뿐 아니라 짧은 IV 주입에 의해 투여될 때 급성 신장 기능부전을 보이는 1K1C 쥐 모델에서 기준선으로부터 PTH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음이 주지되어야 한다 (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음).
하기 실시예 10에서 설명되는 또 다른 연구에서,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이 경피 패치를 사용하여 정상 쥐에 미소기공-촉진된 경피 전달에 대해 시험되었다. 식염수 중의 Ac-c(C)arrrar-NH2 (SEQ ID NO:3)의 10% 용액 (중량)을 함유하고 있는 경피 패치 시스템이 마이크로포레이션된 영역에 놓여지고 약 30시간 가까이 그 자리에서 유지되었다. 혈액이 주기적으로 30시간에 걸쳐 채취되었고, 혈장 샘플이 ELISA에 의해 PTH 수준에 대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는 도 12에 도시된다. 놀랍게도, 이들 데이터는 미소기공-촉진된 경피 전달이 정상 신장 기능을 가지는 쥐에서 30시간 이상 동안 PTH의 유의미하고 연장된 감소를 유발하기에 충분한 지속적인 Ac-c(C)arrrar-NH2 (SEQ ID NO:3)의 전달을 이룰 수 있었음을 증명한다. 이들 데이터는 패치를 사용한 결합체 Ac-c(C)arrrar-NH2 (SEQ ID NO:3)의 마이크로포레이션 촉진된 경피 전달로 인해, 30시간 이상 동안 기준선으로부터 PTH의 유의미하고 지속적인 감소를 생성하기 위해 치료과정에 걸쳐 펩티드의 충분한 혈액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들 데이터는 1일 기준이거나 더 긴 시간에 걸친 경피 패치 전달로 인해 치료 필요성이 있는 투석 및 비-혈액 투석 환자 둘 다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증명한다.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IV 약물에 의해 치료되지 않는 신장 이식 환자에서 CKD (단계 4), 일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및 이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SHPT)은 마이크로포레이션 촉진된 경피 전달을 통해 매일 경피 패치에 의해 쉽게 치료될 수 있다.
추가로 화합물의 투여 경로를 평가하기 위하여 또 다른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시예 11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이 유의미한 PTH 감소를 이루기 위해 주입, 경피 패치 시스템 또는 다른 지속적인 전달 수단에 의해 투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가장 낮은 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장 기능부전인 쥐 및 정상 쥐에 매우 낮은 용량으로 IV 주입에 의해 투여되었다. 건강한 쥐에게는 6시간 동안 매우 낮은 용량 (1㎍/kg/시간, 3㎍/kg/시간 및 10㎍/kg/시간)의 Ac-c(C)arrrar-NH2 (SEQ ID NO:3)이 정맥 내로 주입되었다. 투약 전 (pre)과 주입 시작 후 2시간, 4시간, 6시간 (주입 완료 직전; EOI) 및 8시간 (EOI 후 2시간)에 혈액 샘플이 채취되었고, 혈장이 ELISA에 의해 PTH 수준에 대해 분석되었다. 놀랍게도, 도 13에 도시된 데이터는 6시간 동안 매우 낮은 용량의 Ac-c(C)arrrar-NH2 (SEQ ID NO:3)(1㎍/kg/시간 (사각형), 3㎍/kg/시간 (원형) 및 10㎍/kg/시간 (삼각형))의 주입이 주입의 전 과정에 걸쳐 기준선으로부터 PTH의 유의미한 감소를 효과적으로 유발하였음을 증명한다. 이들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전달된 저용량이 단일 고용량으로서 훨씬 더 많은 용량이 주입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효과적일 수 있음 (또는 심지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PTH 저하 효과는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쥐 1K1C 모델에서 추가로 평가되었다. 1K1C 모델 쥐에게 저용량의 Ac-c(C)arrrar-NH2 (SEQ ID NO:3)(30㎍/kg/시간 및 100㎍/kg/시간)가 6시간 동안 정맥 내로 주입되었다. 혈액 샘플이 투약 전 (Pre)과 주입이 시작된 후 2시간, 4시간, 6시간 (주입 완료 직전; EOI) 및 8시간 (EOI 후 2시간) 및 24시간에 채취되었고, 혈장이 ELISA에 의해 PTH 수준에 대해 분석되었다. 도 14a에 도시된 그 데이터는 저용량의 Ac-c(C)arrrar-NH2 (SEQ ID NO:3)의 IV 주입이, 기준선 PTH 수준이 400 내지 >1200pg/mL에서 나타나는 신장 기능부전 모델인 1K1C 모델에서 PTH 수준을 기준선 수준으로부터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을 증명한다. 놀랍게도, 6시간의 Ac-c(C)arrrar-NH2 (SEQ ID NO:3)의 저용량 IV 주입 (다이아몬드, 30㎍/kg/시간 및 사각형, 100㎍/kg/시간)으로 인해 거의 24시간 동안 기준선으로부터 PTH의 감소가 가능할 수 있었다. 1K1C 모델에서의 이런 극적인 PTH 감소와 일치하여, 도 14b에는 이런 급성 신장 기능부전에서의 혈청 칼슘 데이터를 도표화한 막대 그래프가 도시되는데, 그것은 Ac-c(C)arrrar-NH2 (SEQ ID NO:3)의 IV 주입 후에 혈청 칼슘에서 상응하는 감소를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는 Ac-c(C)arrrar-NH2 (SEQ ID NO:3)이 거의 24시간의 과정에 걸쳐 저용량의 주입 또는 전달 (예컨대 경피 전달에 의한) 후에 PTH와 칼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강력한 칼슘 유사작용 화합물임을 증명한다. 이들 데이터는 또한 IV 주입 또는 미소기공-촉진된 경피 전달에 의한 칼슘 유사작용제의 저용량의 지속적인 전달이 매일 또는 그보다 적은 횟수로 환자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지지한다.
조합 치료법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사용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고칼슘혈증 및/또는 뼈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접근법으로는,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인테그린 차단제, 호르몬 대체 요법,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카텝신 K 억제제, 비타민 D 치료법, 비타민 D 유사체, 예컨대 ZEMPLARTM (파리칼시톨), CALCIJEX® (칼시트리올), ONE-ALPHA® (알파칼시돌) 및 HECTOROL® (독세르칼시페롤), 항염증제, 저용량 PTH 치료법 (에스트로겐이 있거나 없음), 칼슘 유사작용제, 포스페이트 결합제, 칼시토닌, RANK 리간드 억제제, RANK 리간드에 대한 항체, 오스테오프로테그린, 아데노신 길항제 및 ATP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사용하는 치료법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조합 치료법은 비타민 D 또는 비타임 D 유사체를 칼슘 유사작용제와 함께 사용한다. 비타민 D는 칼슘 흡수를 보조하고, 칼슘과 인의 정상적인 혈중 수준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PTH는 비타민 D의 활성 형태인 1,25-(OH)2 비타민 D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장에서 칼슘 흡수를 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PTH는 또한 신장으로부터 인의 배설을 자극하고, 뼈로부터의 방출을 증가시킨다.
상기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이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은 활성 비타민 D 호르몬의 부적절한 수준과 관련된 부갑상선 호르몬 (PTH) 수준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타민 D 또는 비타민 D 유사체는 이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에서 상승된 PTH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칼슘 유사작용제와 비타민 D 유사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칼슘 유사작용제와 ZEMPLARTM (파리칼시톨)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파리칼시톨은 칼시트리올의 합성 유사체로, 비타민 D의 대사적으로 활성된 형태이다. Zemplar의 권장되는 초기 용량은 기준이 되는 무상 부갑상선 호르몬 (iPTH) 수준을 토대로 한다. 만약 기준선 iPTH 수준이 500pg/mL보다 적거나 동일하다면, 매일 용량은 1㎍이고 "일주일에 3회" 용량 (격일로 투여되어야 한다)은 2㎍이다. 만약 기준선 iPTH 수준이 500pg/mL보다 크다면, 매일 용량은 1㎍이고 "일주일에 3회" 용량 (격일로 투여되어야 한다)은 4㎍이다. 그런 후 투약은 개별화되고 혈청 혈장 iPTH 수준을 토대로 하여야 하고, 동시에 혈청 칼슘과 혈청 인이 모니터되어야 한다. 파리칼시톨은 미국 특허 5,246,925호 및 5,587,497호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칼슘 유사작용제와 CALCIJEX® (칼시트리올)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칼시트리올은 비타민 D의 대사적으로 활성된 형태이다. CALCIJEX® (경구)의 권장된 초기 용량은 0.25μ/일이다. 이 양은 4- 내지 8-주 간격으로 0.25㎍/일씩 증가될 수 있다. 정상 또는 아주 약간 감소된 칼슘 수준은 격일로 0.25㎍의 단위용량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투석중인 환자의 경우, CALCIJEX® (IV)에 대한 권장 초기 용량은 0.02㎍/kg (1 내지 2 ㎍), 일주일에 3회, 격일이다. 이 양은 매 2주 내지 4주마다 0.5 내지 1㎍씩 증가될 수 있다. 칼시트리올은 미국 특허 6,051,567호, 6,265,392호 및 6,274,169호에 기재되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칼슘 유사작용제와 HECTOROL® (독세르칼시페롤)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독세르칼시페롤은 생체 내에서 비타민 D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인 자연 발생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2를 형성하기 위해 대사 활성화를 진행시키는 비타민 D의 합성 유사체이다. HECTOROL®의 권장 초기 용량은 투석시 일주일에 3회 10㎍이 투여된다 (대략 격일). 초기 용량은 필요에 따라 혈액 iPTH를 150 내지 300pg/mL의 범위로 저하시키기 위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용량은 만약 iPTH가 50% 저하되지 않고 목표로 한 범위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8-주 간격으로 2.5㎍씩 증가될 수 있다. HECTOROL®의 최대 권장 용량은 투석시 20㎍씩 일주일에 3회 투여되고, 일주일에 총 60㎍이다. 독세르칼시페롤은 미국 특허 5,602,116호, 5,861,386호, 5,869,473호 및 6,903,083호에 기재되어 있다.
조합 처방에 사용하기 위한 치료법 (치료제 또는 과정)의 특별한 조합은 원하는 치료제 및/또는 과정과 이루어지기 원하는 치료효과의 부합성을 고려하게 될 것이다. 또한 사용된 치료법은 동일한 장애에 대해 원하는 효과를 이룰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동일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제제와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는 그것들은 상이한 효과 (예컨대 어떠한 부작용의 제어)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특별한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 또는 방지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는 "치료되는 질병, 또는 질환에 적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규정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조합 치료는 상기 치료의 개별적인 성분들의 동시, 순차적인 또는 별도의 투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또한 이식가능한 의료 장치, 생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중합체, 이식가능한 펌프 및 좌제를 코팅하기 위한 조성물 안에 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측면으로, 일반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이식가능한 장치를 코팅하기에 적당한 담체를 포함하는 이식가능한 장치를 코팅하기 위한 조성물이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에는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 것과 같은 화합물과 상기 이식가능한 장치를 코팅하기에 적당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된 이식가능한 장치가 포함된다.
적당한 코팅 및 코팅된 이식가능한 장치의 일반적인 제조과정은 미국 특허 6,099,562호; 5,886,026호; 및 5,304,121호에 설명되어 있다. 코팅은 전형적으로 생체에 부합하는 중합체 물질, 예컨대 하이드로겔 중합체, 폴리메틸디실록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락트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그것들의 혼합물이다. 코팅은 또한 조성물에 제어된 방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플루오로실리콘, 다당, 폴리에틸렌 글리콜, 인지질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된 적당한 탑코트에 의해 임의로 덧입혀질 수 있다.
치료 효능을 측정하기 위한 잠재적인 임상적
마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치료방법의 유효성을 측정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혈청 칼슘의 정상 수준은 8.8mg/dL 내지 10.4mg/dL (2.2mmol/L 내지 2.6mmol/L) 범위에 있다. 특정 경우에, 치료의 효능은 칼슘과 관련된 혈청 및 뇨의 마커, 이를테면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총 및 이온화된 혈청 칼슘, 알부민, 혈장 PTH, PTHrP, 포스페이트, 비타민 D, 및 마그네슘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효능은 뼈의 무기질 밀도 (BMD)를 측정함으로써, 또는 혈청 또는 뇨에 있는 뼈 형성 및/또는 뼈 재흡수에 대한 생화학적 마커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잠재적인 뼈 형성 마커로는,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총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뼈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오스테오칼신, 언더(under)-카르복실화된 오스테오칼신, C-말단 프로콜라겐 유형 I 프로펩티드, 및 N-말단 프로콜라겐 유형 I 프로펩티드가 있다. 잠재적인 뼈 재흡수 마커로는,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히드록시프롤린, 히드록시라이신, 글리코실-갈락토실 히드록시라이신, 갈락토실 히드록시라이신, 피리디놀린, 데옥시피리디놀린, 유형 I 콜라겐의 N-말단 교차결합 텔로펩티드, 유형 I 콜라겐의 C-말단 교차결합 텔로펩티드, MMP에 의해 생성된 유형 I 콜라겐의 C-말단 교차결합 텔로펩티드, 뼈 시알로단백질, 산 포스파타제 및 타르타레이트-내성 산 포스파타제가 있다.
다른 경우에, 효능은 투약전 (기준선) 수준과 관련하여 PTH의 % 감소에 의해 및/또는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유익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바람직한 PTH 수준 (예컨대 미국 국립 신장 재단에 의해 수립된 지침)을 이룸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서처럼, 효능은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질병과 관련된 부갑상샘 과형성의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이 치료의 필요가 있는 대상에게 투여될 때, 치료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측정한 바에 의해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 혈청 칼슘, 이온화된 혈청 칼슘, 총 혈중 칼슘, 이온화된 혈중 칼슘, 알부민, 혈장 PTH, 혈중 PTH, PTHrP, 포스페이트, 비타민 D, 마그네슘, 뼈 무기질 밀도 (BMD), 총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뼈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오스테오칼신, 언더 카르복실화된 오스테오칼신, C-말단 프로콜라겐 유형 I 프로펩티드, N-말단 프로콜라겐 유형 I 프로펩티드, 히드록시프롤린, 히드록시라이신, 글리코실-갈락토실 히드록시라이신, 갈락토실 히드록시라이신, 피리디놀린, 데옥시피리디놀린, 유형 I 콜라겐의 N-말단 교차결합 텔로펩티드, 유형 I 콜라겐의 C-말단 교차결합 텔로펩티드, MMP에 의해 생성된 유형 I 콜라겐의 C-말단 교차결합 텔로펩티드, 뼈 시알로단백질, 산 포스파타제 및 타르타레이트-내성 산 포스파타제. 효과는 기존의 질병의 치료뿐 아니라 예방학적 치료도 포함한다.
생물학적으로 효과적인 분자는 공유 결합 또는 비-공유 상호작용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생물학적으로 효과적인 분자는 연결된 분자의 일부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에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물동력학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생물학적으로 효과적인 분자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부여할 수 있는 몇 가지 특성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다: 신체 내의 별개의 위치로의 화합물의 전달; 신체의 원하는 위치에서의 화합물의 농축 및 그 외의 위치에서의 화합물의 효과의 감소; 화합물로 치료했을 때의 부작용의 감소; 화합물의 투과성의 변화; 화합물의 생체 내 활용성 또는 신체로의 전달 속도의 변화; 화합물로 치료할 때의 효과의 길이의 변화; 화합물의 시험관 내 화학적 안정성의 변경; 화합물의 생체 내 안정성, 반감기, 제거, 흡수, 분포 및/또는 배설의 변경; 화합물의 효과의 개시 및 소멸 속도 변경; 화합물이 효과를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허용적인 작용의 제공.
추가의 측면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된 PEG는 어떠한 종래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고, 선형이거나 분지된 것일 수 있으며, 임의로 링커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PEG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2 킬로달톤 (kDa) 내지 약 100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kDa 내지 약 40kDa의 범위일 것이다. 또는 달리 사용된 PEG 부분은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k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합물의 어떠한 위치에서든지 있는 적당한 아미노산 잔기를 통해 PEG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추가의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할 수 있고, 그것에 PEG가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추가의 아미노-함유 잔기, 예컨대 라이신을 함유할 수 있다.
페길화된 펩티드는 당해 기술분야에 결합된 펩티드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길화된 펩티드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PEG 부분은 아미노 말단,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거나 또는 청구된 펩티드의 측쇄를 통해, 임의로 연결기의 존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PEG 부분은 티올-함유 아미노산, 예컨대 시스테인의 황에 연결되거나, 또는 라이신과 같인 아민-함유 아미노산의 측쇄에 결합될 수 있다.
PEG 기는 일반적으로, PEG 부분에 있는 반응성 기 (예컨대 알데하이드, 아민, 옥심, 히드라진 티올, 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실산 기)를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아미노 말단, 카르복시 말단, 도는 측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반응성 기 (예컨대 알데하이드, 아민, 옥심, 히드라진, 에스테르, 산 또는 티올기)에 아실화 또는 알킬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에 부착될 것이다. 합성 펩티드의 페길화를 만드는 한 가지 접근법은 용액의 결합체 연쇄를 통해 펩티드와 PEG 부분을 결합시키는 것인데, 이때 각각은 상호간에 다른 것을 향해 반응성인 기능성 기를 포함하고 있다. 펩티드는 종래의 용액 또는 고체 상 합성 기법을 사용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다. 펩티드와 PEG의 결합은 전형적으로 수성 상에서 이루어지고, 역상 HPLC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다. 페길화된 펩티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표준 기법을 사용하여 쉽게 정제되고 특성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별적인 하위유닛은 또한 특정 측쇄 또는 말단 잔기와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유도체화제를 사용하여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시닐 잔기와 아미노 말단 잔기는 라이시닐 또는 아미노 잔기상의 전하를 반전시키는 숙신산 무수물 또는 다른 유사한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시약으로는, 예를 들면 이미도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피콜린이미데이트; 피리독살; 피리독살 포스페이트; 클로로보로하이드라이드;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 O-메틸이소우레아; 2,4-펜탄디온; 및 글리옥살레이트와의 트란스아미나제-촉매된 반응이 있다. 아르기닐 잔기는 페닐글리옥살, 2,3-부탄디온, 1,2-시클로헥산디온, 및 닌히드린과 같은 종래 제제와의 반응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 내 분석용 ELISA 측정을 위해, 및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체를 개발하기에 유용한 면역원성 잔기를 제공하는 비-양이온 잔기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티로신 및/또는 글리신 잔기를 혼입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티로실 잔기의 특정 변형은 티로실 잔기에 스펙트럼 라벨을 도입하기 위해 특별히 관심을 끈다. 그것의 비-제한적인 실례로는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 또는 테트라니트로메탄과의 반응을 포함한다. 가장 통상적인 것은 O-아세틸 티로실 및 3-니트로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 N-아세틸이미다졸 및 테트라니트로메탄이 사용되는 것이다.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키트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치료 처방을 수행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그런 키트는 CaSR 조절제로서의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형태로,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형태의 다른 제제와 함께 포함한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형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멸균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완충 용액, 멸균수, 또는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멸균 유체와 함께 포함한다. 또는 달리 조성물은 항미생물제 또는 세균 발육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달리 조성물은 동결건조되거나 건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키트는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액, 바람직하게는 멸균된 용액을 포함하여 주사 목적의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조성물을 주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멸균 형태로 포장된 니들 또는 주사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추가로 대상에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지시 수단을 포함한다. 지시 수단은 서면 삽입문, 오디오테이프, 시청각 테이프, 또는 대상에 조성물의 투여를 지시하는 다른 어떠한 수단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키트는 (i) CaSR 조절제로서의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첫 번째 용기; 및 (ii) 사용을 위한 지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i) 본원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첫 번째 용기; 및 (ii) 희석 또는 재구성을 위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을 함유하는 두 번째 용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i) CaSR 조절제로서의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첫 번째 용기; (ii) 칼슘 유사작용 방지제를 함유하는 두 번째 용기; 및 (iii) 사용을 위한 지시 수단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칼슘 유사작용 방지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호르몬 대체 치료제, 비타민 D 치료법, 비타민 D 유사체, 예컨대 ZEMPLARTM (파리칼시톨), CALCIJEX® (칼시트리올), ONE-ALPHA® (알파칼시돌) 및 HECTOROL® (독세르칼시페롤), 저용량 PTH (에스트로겐이 있거나 없음), 및 칼시토닌이고, 이것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관련된 측면으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키트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제제와 함께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의 펩티드와, 본원에 기술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용법을 가르치는 지시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
도 1은 급성 신장 기능부전에 걸린 쥐에서 (1K1C 모델)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표시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의 그래프도이다. 도면에서 쥐는 Ac-crrrr-NH2 (SEQ ID NO:4, 다이아몬드), Ac-crrrrr-NH2 (SEQ ID NO:5, 검은색 사각형), Ac-crrrrrr-NH2 (SEQ ID NO:6, 삼각형), Ac-crrrrrrr-NH2 (SEQ ID NO:7, 흰색 사각형), 또는 식염수 대조표준 (x 기호)을 투약받았다.
도 2a는 사람 CaSR이 고정된 형질전환 HEK-293 셀라인으로서 발현될 때 시험관 내 세포 분석에서 사람 CaSR을 활성화하는 화합물의 능력의 척도로서, Ac-carrrar-NH2 (SEQ ID NO:26, 사각형) 및 Ac-arrrar-NH2 (SEQ ID NO:29, 삼각형)의 화합물 농도의 함수로서 nM로 표시된 IP1 농도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b는 SEQ ID NO:26 (Ac-carrrar-NH2)(사각형) 및 SEQ ID NO:29 (Ac-arrrar-NH2)(다이아몬드)로서 확인된 펩티드의 생체 내 투여시 PTH 농도의 감소를 도시한다. 펩티드는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Sprague Dawley) 쥐에 SEQ ID NO:29에 대해서는 9mg/kg의 용량으로, SEQ ID NO:26에 대해서는 0.5mg/kg의 용량으로 IV 고용량으로서 투여되었다. 식염수의 정맥내 (IV) 고용량은 대조표준으로서 사용되었다 (점선). 혈장 PTH 수준은 투약 전에 평가되었고, 투약 후 1, 2, 3 및 4시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는 그룹 평균±표준편차 (SD)로서 표시되고, PTH는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나타낸다.
도 3은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서 IV 고용량 투여 후에 히스타민의 방출을 비교한 막대 그래프도이다. 이때 화합물 Ac-crrrr-NH2 (SEQ ID NO:4), Ac-crrrrr-NH2 (SEQ ID NO:5), Ac-crrrrrr-NH2 (SEQ ID NO:6) 및 Ac-crrrrrrrr-NH2 (SEQ ID NO:41)은 2.1μmol/kg의 등몰 IV 고용량 용량으로 투약되었고, 혈장 히스타민은 투약 전 (투약전), 투약 후 5, 15 및 30분 후에 측정되었다.
도 4는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서 2개의 화합물의 IV 고용량 투여 후 히스타민의 방출을 비교한 막대 그래프도이다. 이때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 격자무늬 막대) 및 Ac-crrrrrr-NH2 (SEQ ID NO:6, 흰색 막대)는 3mg/kg으로 투약되었고, 혈장 히스타민은 투약 전 (시간 0), 투약 후 5, 15 및 30분 후에 측정되었다.
도 5는 Ac-crrrrrr-NH2 (SEQ ID NO:6, 다이아몬드형), Ac-carrrrr-NH2 (SEQ ID NO:8, 사각형), Ac-crarrrr-NH2 (SEQ ID NO:9, 삼각형), Ac-crrarrr-NH2 (SEQ ID NO:10, x 기호), Ac-crrrarr-NH2 (SEQ ID NO:11, * 기호), Ac-crrrrar-NH2 (SEQ ID NO:12, 원형) 또는 Ac-crrrrra-NH2 (SEQ ID NO:13, + 기호)의 IV 고용량에 의해 0.5mg/kg으로 투약된 정상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표시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의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6a 및 6b는 Ac-carrrar-NH2 (SEQ ID NO:26, 흰색 다이아몬드), Ac-crrarar-NH2 (SEQ ID NO:25, 흰색 사각형), Ac-caarrrr-NH2 (SEQ ID NO:22, 삼각형), Ac-crraarr-NH2 (SEQ ID NO:17, 검은색 사각형), Ac-c(C)arrrar-NH2 (SEQ ID NO:3, 다이아몬드, 도 6b), Ac-craarrr-NH2 (SEQ ID NO:24, x 기호, 도 6a); Ac-c(C)rrarar-NH2 (SEQ ID NO:28, x 기호, 도 6b)의 IV 고용량에 의해 0.5mg/kg으로 투약된 건강한 쥐에서, 시간의 함수 (시간)로 표시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7은 1mg/kg (다이아몬드), 0.5mg/kg (사각형), 0.3mg/kg (삼각형), 및 0.1mg/kg (x 기호)의 용량으로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게 IV 고용량으로서 투여된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에 대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표시된 혈액 내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의 감소를 도시한다. 식염수 (원형)의 정맥내(IV) 고용량이 대조표준으로서 사용되었다. 혈장 PTH 수준은 투약 전과 투약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평가되었다.
도 8은 급성 신장 기능부전을 보이는 쥐 (1K1C 모델)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표시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쥐에게는 IV 고용량을 통해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이 3mg/kg (다이아몬드), 1mg/kg (삼각형), 0.5mg/kg (사각형) 및 0.3mg/kg (x 기호)의 용량으로 투약되거나 식염수 (사각형)가 투약되었고; 도 8의 점선은 투약전 기준선 PTH 수준을 나타낸다.
도 9는 식염수 (x 기호) 또는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흰색 다이아몬드형), 및 Ac-carrrar-NH2 (SEQ ID NO:26, 흰색 사각형)이 1mg/kg으로 30-분 IV 주입을 통해 정맥 내 투약된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로, 이때 혈장 PTH 수준은 투약 전, 투약 후 16시간 및 24시간에 평가되었다.
도 10은 급성 신장 기능부전을 보이는 쥐 (1K1C 모델)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로, 이때 쥐에게는 IV 고용량을 통해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 사각형, * 기호) 및 Ac-c(Ac-C)arrrar-NH2 (SEQ ID NO:146, 삼각형, 다이아몬드)이 0.3mg/kg (사각형, 삼각형) 및 0.5mg/kg (*, 다이아몬드)의 용량으로 투약되었다.
도 11은 Ac-crrrrrr-NH2 (SEQ ID NO:6, 2마리 동물, 사각형 및 삼각형) 또는 식염수 (다이아몬드)로 현미경을 사용하여 용이해진 경피 전달을 통해 처리된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Ac-c(C)arrrar-NH2 (SEQ ID NO:3)으로 현미경을 사용하여 용이해진 경피 전달을 통해 처리된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3은 정상 스프라그-도울리 쥐에서, Ac-c(C)arrrar-NH2 (SEQ ID NO:3)을 6시간 동안 IV 주입하는 동안과 후의 평균 PTH (기준선의 %로서)를 나타낸 그래프도로, 화합물은 1㎍/kg/시간 (사각형), 3㎍/kg/시간 (원형) 및 10㎍/kg/시간 (삼각형)의 비율로 주입되었다.
도 14a는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쥐 모델에서 Ac-c(C)arrrar-NH2 (SEQ ID NO:3)을 6시간 동안 IV 주입하는 동안과 후의 평균 PTH (기준선의 %로서)를 나타낸 그래프도로, 이때 쥐에게는 화합물이 30㎍/kg/시간 (다이아몬드) 및 100㎍/kg/시간 (사각형)의 용량으로 정맥 내 주입되었다.
도 14b는 도 14a에서와 같이 처리된 1K1C모델 쥐에 대해 mg/dL로 표시된 혈청 칼슘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도이다.
도 2a는 사람 CaSR이 고정된 형질전환 HEK-293 셀라인으로서 발현될 때 시험관 내 세포 분석에서 사람 CaSR을 활성화하는 화합물의 능력의 척도로서, Ac-carrrar-NH2 (SEQ ID NO:26, 사각형) 및 Ac-arrrar-NH2 (SEQ ID NO:29, 삼각형)의 화합물 농도의 함수로서 nM로 표시된 IP1 농도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b는 SEQ ID NO:26 (Ac-carrrar-NH2)(사각형) 및 SEQ ID NO:29 (Ac-arrrar-NH2)(다이아몬드)로서 확인된 펩티드의 생체 내 투여시 PTH 농도의 감소를 도시한다. 펩티드는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Sprague Dawley) 쥐에 SEQ ID NO:29에 대해서는 9mg/kg의 용량으로, SEQ ID NO:26에 대해서는 0.5mg/kg의 용량으로 IV 고용량으로서 투여되었다. 식염수의 정맥내 (IV) 고용량은 대조표준으로서 사용되었다 (점선). 혈장 PTH 수준은 투약 전에 평가되었고, 투약 후 1, 2, 3 및 4시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는 그룹 평균±표준편차 (SD)로서 표시되고, PTH는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나타낸다.
도 3은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서 IV 고용량 투여 후에 히스타민의 방출을 비교한 막대 그래프도이다. 이때 화합물 Ac-crrrr-NH2 (SEQ ID NO:4), Ac-crrrrr-NH2 (SEQ ID NO:5), Ac-crrrrrr-NH2 (SEQ ID NO:6) 및 Ac-crrrrrrrr-NH2 (SEQ ID NO:41)은 2.1μmol/kg의 등몰 IV 고용량 용량으로 투약되었고, 혈장 히스타민은 투약 전 (투약전), 투약 후 5, 15 및 30분 후에 측정되었다.
도 4는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서 2개의 화합물의 IV 고용량 투여 후 히스타민의 방출을 비교한 막대 그래프도이다. 이때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 격자무늬 막대) 및 Ac-crrrrrr-NH2 (SEQ ID NO:6, 흰색 막대)는 3mg/kg으로 투약되었고, 혈장 히스타민은 투약 전 (시간 0), 투약 후 5, 15 및 30분 후에 측정되었다.
도 5는 Ac-crrrrrr-NH2 (SEQ ID NO:6, 다이아몬드형), Ac-carrrrr-NH2 (SEQ ID NO:8, 사각형), Ac-crarrrr-NH2 (SEQ ID NO:9, 삼각형), Ac-crrarrr-NH2 (SEQ ID NO:10, x 기호), Ac-crrrarr-NH2 (SEQ ID NO:11, * 기호), Ac-crrrrar-NH2 (SEQ ID NO:12, 원형) 또는 Ac-crrrrra-NH2 (SEQ ID NO:13, + 기호)의 IV 고용량에 의해 0.5mg/kg으로 투약된 정상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표시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의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6a 및 6b는 Ac-carrrar-NH2 (SEQ ID NO:26, 흰색 다이아몬드), Ac-crrarar-NH2 (SEQ ID NO:25, 흰색 사각형), Ac-caarrrr-NH2 (SEQ ID NO:22, 삼각형), Ac-crraarr-NH2 (SEQ ID NO:17, 검은색 사각형), Ac-c(C)arrrar-NH2 (SEQ ID NO:3, 다이아몬드, 도 6b), Ac-craarrr-NH2 (SEQ ID NO:24, x 기호, 도 6a); Ac-c(C)rrarar-NH2 (SEQ ID NO:28, x 기호, 도 6b)의 IV 고용량에 의해 0.5mg/kg으로 투약된 건강한 쥐에서, 시간의 함수 (시간)로 표시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7은 1mg/kg (다이아몬드), 0.5mg/kg (사각형), 0.3mg/kg (삼각형), 및 0.1mg/kg (x 기호)의 용량으로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게 IV 고용량으로서 투여된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에 대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표시된 혈액 내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의 감소를 도시한다. 식염수 (원형)의 정맥내(IV) 고용량이 대조표준으로서 사용되었다. 혈장 PTH 수준은 투약 전과 투약 후 1, 2, 3, 및 4시간 후에 평가되었다.
도 8은 급성 신장 기능부전을 보이는 쥐 (1K1C 모델)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표시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쥐에게는 IV 고용량을 통해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이 3mg/kg (다이아몬드), 1mg/kg (삼각형), 0.5mg/kg (사각형) 및 0.3mg/kg (x 기호)의 용량으로 투약되거나 식염수 (사각형)가 투약되었고; 도 8의 점선은 투약전 기준선 PTH 수준을 나타낸다.
도 9는 식염수 (x 기호) 또는 화합물 Ac-crrrrrr-NH2 (SEQ ID NO:6, 흰색 다이아몬드형), 및 Ac-carrrar-NH2 (SEQ ID NO:26, 흰색 사각형)이 1mg/kg으로 30-분 IV 주입을 통해 정맥 내 투약된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로, 이때 혈장 PTH 수준은 투약 전, 투약 후 16시간 및 24시간에 평가되었다.
도 10은 급성 신장 기능부전을 보이는 쥐 (1K1C 모델)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로, 이때 쥐에게는 IV 고용량을 통해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 사각형, * 기호) 및 Ac-c(Ac-C)arrrar-NH2 (SEQ ID NO:146, 삼각형, 다이아몬드)이 0.3mg/kg (사각형, 삼각형) 및 0.5mg/kg (*, 다이아몬드)의 용량으로 투약되었다.
도 11은 Ac-crrrrrr-NH2 (SEQ ID NO:6, 2마리 동물, 사각형 및 삼각형) 또는 식염수 (다이아몬드)로 현미경을 사용하여 용이해진 경피 전달을 통해 처리된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Ac-c(C)arrrar-NH2 (SEQ ID NO:3)으로 현미경을 사용하여 용이해진 경피 전달을 통해 처리된 쥐에서, 시간 (시간)의 함수로서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3은 정상 스프라그-도울리 쥐에서, Ac-c(C)arrrar-NH2 (SEQ ID NO:3)을 6시간 동안 IV 주입하는 동안과 후의 평균 PTH (기준선의 %로서)를 나타낸 그래프도로, 화합물은 1㎍/kg/시간 (사각형), 3㎍/kg/시간 (원형) 및 10㎍/kg/시간 (삼각형)의 비율로 주입되었다.
도 14a는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쥐 모델에서 Ac-c(C)arrrar-NH2 (SEQ ID NO:3)을 6시간 동안 IV 주입하는 동안과 후의 평균 PTH (기준선의 %로서)를 나타낸 그래프도로, 이때 쥐에게는 화합물이 30㎍/kg/시간 (다이아몬드) 및 100㎍/kg/시간 (사각형)의 용량으로 정맥 내 주입되었다.
도 14b는 도 14a에서와 같이 처리된 1K1C모델 쥐에 대해 mg/dL로 표시된 혈청 칼슘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도이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원에 본 발명의 화합물과 방법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다양한 변형이 본원에 기술된 주제의 실제적인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1
PTH
저하
활성을 가지고 있는
양이온 화합물
A. 신장 기능부전의 모델
말기 신장 질병과 관련된 SHPT의 병리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쥐 모델 (1K1C 모델이라고도 언급됨)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신장기능의 결핍과 관련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병리적 특성들, 특히 혈장 PTH의 상당한 상승 및 혈청 칼슘의 감소를 나타낸다. 이 모델의 개발로 신장 기능부전과 상승된 PTH를 보이는 대상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의 특성확인이 가능해졌다. 이 모델에서 전형적인 기준선 PTH 수준은 평균 약 450pg/mL이었다.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모델은 한쪽 신장을 제거한 후에 남아있는 신장을 45분 동안 허혈 및 24시간 동안 관류에 노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남아있는 신장에 대한 이어지는 허혈/관류 (I/R) 손상은 상당한 괴사 및 신장 질환을 초래하였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준은 I/R 수행 후 24 내지 48시간에 걸쳐 상승하였다 (데이터는 제시하지 않음). 또한 초래된 신장 기능부전으로 인해, 총 PTH 수준은 약 100pg/mL의 I/R 전 손상 수준으로부터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I/R 후 48시간이 지난 후 혈장 PTH 수준은 대략 450pg/mL로 상승하였고 (약 5배 증가), 어떤 경우에는 약 1200pg/mL에 도달하였다. 이런 혈청 크레아티닌 및 PTH의 재생성 증가는 ESRD 환자에게서 볼 수 있는 생리학을 모방하는 강력한 모델을 제공하였다.
SHPT 치료를 위해 PTH를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승인된 칼슘 유사작용제인 시나칼셋 염산염 (SENSIPAR®)을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시나칼셋을 30mg/kg으로 경구 투여함으로써 거의 6시간 동안 PTH를 대략 50% 상당히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시나칼셋에 대한 공개된 임상전 데이터와 일치하며 (Nemeth et al., J. Pharmacol . Exp . Ther., 308(2):627-35 (2004)),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모델이 이런 징후에 대한 칼슘 유사작용제의 활성을 평가하기에 적절한 모델임을 입증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수컷 스프라그 도울리 쥐를 Charles River Laboratories (Hollister, CA; 체중이 250 ~ 275g인 것으로 주문함)로부터 구입하였다. 시험 제품을 사용하는 연구를 위해, 동물의 대퇴부와 경정맥에, 각각 약물 투여와 혈액 채취를 위해 미리 캐뉼러를 삽입하였다. 동물들을 온도가 조절되는 환경에서 유지하였는데, 일정하게 12시간씩 명암 사이클이 있도록 하였고, 음식과 물에는 언제든지 접근이 자유롭도록 하였다. 동물을 사용한 모든 실험과정은 IACUC 지침을 따라 수행하였다.
나트륨 펜토바르비탈 (5.2%, 0.4mL/쥐)을 복막내 (IP) 주사함으로써 일반적인 마취를 유도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였다. 45분 동안 신장 허혈을 경험하게 할 동물에게는 추가로 나트륨 펜토바르비탈 (5.2%, 0.1mL/쥐)을 IP 주사하여 마취상태를 유지하였다. 정상 쥐에서 화합물을 투여한 후에 PTH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 샘플링은 연속적인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수행하였다.
전 과정에 대해 청결하고 무균적인 기법을 사용하였다. 쥐를 마취시킨 후 복막을 전기 가위로 수술전 면도를 하고 피부를 70% 알코올 용액으로 닦아냈다.
모델 개발 연구를 위해, 좌측 대퇴부 정맥에 혈액 채취를 위해 PE-10 튜브를 사용하여 캐뉼레를 삽입하였다. 양쪽 신장을 모두 개복술을 통해 노출시켰다. 우측 신장절제는 우측 신장 육경(pedicle)과 수뇨관을 이중 2-0 실크 봉합사로 결찰한 후에 수행하였다. 우측 육경에서 더 이상 출혈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좌측 신장 동맥을 조심스럽게 절개하여 마이크로 혈관 클립으로 고정하여 좌측 신장의 전체적인 허혈을 유도하였다. 신장 허혈은 전체적인 백색-회색 변화 (핼쓱해짐)를 관찰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절개된 복부는 일시적으로 거즈로 덮어서 복부 기관의 온도를 유지하였다. 지정한 허혈 기간인 45분이 지난 후에 클립을 제거하고, 전체적으로 적색으로 회복되었음을 관찰했을 때 좌측 신장 동맥 흐름이 회복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복부 절개부는 2-0 실크 봉합사를 사용하여 층으로 닫았다. 그런 다음 동물은 마취로부터 회복되었다. 체온 (36 내지 37.5℃) 및 체중을 포함한 생리적 매개변수들을 전 과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열 패드 직장 크로브 피드백 시스템을 사용하여 체온을 모니터하고 유지하였다.
1K1C 수술 (I/R 손상) 후 대략 48시간이 지난 후, 동물에게 다양한 화합물을 투약하여 혈장 PTH 및 칼슘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시험 제품을 IV 주입에 의해 투여하였지만 (주입 시간: 5, 10 또는 30분), 어떤 연구에서는 화합물을 IV 고용량 또는 피하 (SC) 고용량 주사에 의해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및 혈액 채취를 위해 동물을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켰다.
혈액 샘플을 전 연구 과정에 걸쳐 주기적으로 수집하였다. 혈청 샘플을 칼슘 수준에 대해 분석하고 혈장 샘플을 PTH에 대해 분석하였다. 개별적인 쥐에 대한 기준선 PTH 값의 범위로 인해 모든 데이터를 투약 전 (기준선) 수준으로 표준화하였다. 혈청 크레아티닌을 BioAssay Systems사 (Hayward, Ca)에서 제조한 상업적으로 활용되는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은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였다.
B. 신장 기능부전 모델에서의 화합물의 시험
다음 서열을 가지는 화합물을 제조하여 신장 기능부전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Ac-crrrr-NH2 (SEQ ID NO:4), n=4, Ac-crrrrr-NH2 (SEQ ID NO:5), n=4, Ac-crrrrrr-NH2 (SEQ ID NO:6), n=7, Ac-crrrrrrr-NH2 (SEQ ID NO:7), n=4, 및 식염수 대조표준, n=2. 펩티드를 동물에게 3mg/kg의 용량으로 30-분 IV 주사에 의해 투여하였다. 투약 전에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기준선, 투약전 PTH 혈장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다음과 같이 도시한다: Ac-crrrr-NH2 (SEQ ID NO:4, 다이아몬드), Ac-crrrrr-NH2 (SEQ ID NO:5, 사각형), Ac-crrrrrr-NH2 (SEQ ID NO:6, 삼각형), 및 Ac-crrrrrrr-NH2 (SEQ ID NO:7, 흰색 사각형).
실시예
2
사람 칼슘-감지 수용체를 발현하는
HEK
-293에서의 시험관 내 세포 분석
사람 배아 신장 (HEK) 293T 세포를 T25 플라스크에, 플라스크당 2백만 세포의 밀도로 시딩하고, 37℃에서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날, 이들 세포를 리포펙트아민 2000 형질전환 시약을 사용하여 사람 CaSR 수용체로 형질전환하고, 형질전환 후 24시간 후에 세포를 384 웰 플레이트에 8,000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형질전환 48시간 후에 분석을 수행하였다. 어떤 경우에 EC50 값을 사람 칼슘-감지 수용체로 안정하게 형질전환된 HEK293 세포에서 이노시톨 모노포스페이트 생성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표 1 참조).
세포 배양 배지를 웰로부터 흡인 제거하고 28μL의 1X 자극 완충액 (HEPES 10mM, CaCl2 1mM, MgCl2 0.5mM, KCl 4.2mM, NaCl 146mM, 글루코오스 5.5mM, LiCl 50mM pH 7.4)으로 대체하였다. 세포를 다양한 농도 (가장 높은 농도로서 1mM 또는 300μM 및 추가로 1/2 로그 연속 희석)의 화합물과 함께 37℃에서 1.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Cisbio IP-One Tb 키트 (621PAPEC)를 사용하고 제조업체의 지시를 따라 세포에서의 IP1 생성을 측정하였다. 간단히 요약하면,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용해 완충액 중의 D2 표지된-IP1 및 크립테이트-표지된 항-IP1을 첨가함으로써 종결시켰고, 추가로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620nm 및 668nm에서 판독하였고, 314nm에서 여기가 있었다. 형질전환되지 않은 293 세포를 네거티브 대조표준으로 사용하였다.
668nm 및 620nm에서의 형광 비율을 측정하였다. IP1 농도를 표준 곡선 (Graph Pad Prism ver.4로 작성됨)으로부터 공지 농도의 IP1 표준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은 프리즘 소프트웨어로 맞춘 비-선형 회귀 곡선을 사용하여 형광 비율 값 OD (668nm)(OD 620nm)를 토대로 계산하였다.
펩티드와 결합체를 고체상 화학에 의해 ABI 자동 합성기 상에서 0.25mmol 규모로 제조하였다. Fmoc-아미노산 (4당량, Anaspec)의 Rink-아미드 수지 (NovaBiochem)에의 순차적인 결합은 HBTU/DIEA 활성화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조립된 펩티드를 TFA 칵테일 (페놀 (5%), 트리이소프로필실란 (2.5%) 및 물 (2.5%); 10mL/g 수지)로 절단하고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한 침전에 의해 분리하였다. 그것을 C18 HPLC에 의해 정제한 후에 적절한 분획의 동결건조에 의해 최종 생성물을 TFA 염 형태로 분리하였고, 그것을 HPLC (>95% 순도) 및 LC-MS (확인된 MW)에 의해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양이온 하위유닛을 가지는 화합물의 생체 내 투여
펩티드를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 0.5mg/kg의 용량으로 정맥 내 투여하였다. 대조군의 쥐는 식염수로 처리하였다. 혈액을 투약 전과 4시간 동안 매시간마다 채취하였다. 쥐는 전체 연구과정 동안 이소플루란 마취 상태로 유지하였다. 혈장의 PTH 농도를 생체활성 무상 PTH 1-84를 검출하는 ELISA에 의해 측정하고 (Immutopics 국제 카탈로그 No. 60-2700), AUC에 대한 곡선 아래의 누적 면적을 1 내지 4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 PTH 감소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AUC화합물 치료/AUC식염수 대조표준×100.
실시예
4
구조-활성 관계 연구: 생체 내 활성
본원에서 SEQ ID NO:26 (Ac-carrrar-NH2) 및 SEQ ID NO:29 (Ac-arrrar-NH2)로 확인된 시험된 펩티드를 실시예 2의 과정을 따라, HEK293 CaSR 형질전환된 세포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시험하였다. 펩티드를 또한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 SEQ ID NO:29에 대해서는 9mg/kg의 용량으로, 그리고 SEQ ID NO:26에 대해서는 0.5mg/kg의 용량으로 IV 고용량 투여에 의해 생체 내에서 시험하였다. 식염수의 정맥 내 (IV) 고용량을 대조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혈장 (K2EDTA) PTH 수준을 투약전과 투약 후 1, 2, 3 및 4시간에 평가하였다. 쥐는 연구하는 전 과정 동안 이소플루란 마취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는 도 2a 및 2b에 도시되는데, 그룹 평균±표준편차 (SD)로 표시하였다. 도 2b에서 PTH는 기준선 투약전 값의 %로서 도시된다.
실시예
5
구조-활성 관계 연구: D- 및 L- 아미노산 하위유닛
D-아미노산 잔기에 대해 치환된 L-아미노산 잔기를 가지고 있는 일련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합물을 IV 고용량으로서 정상 스프라그 도울리 쥐에 0.5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식염수의 정맥내 (IV) 고용량을 대조표준으로 사용하였다. 혈장 (K2EDTA) PTH 수준을 투약전과 투약 후 1, 2, 3 및 4시간에 평가하고, AUC를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계산하였다. 쥐는 연구하는 전 과정 동안 이소플루란 마취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표 4에 제시된다.
실시예
6
구조-활성 관계 연구: 히스타민 방출
화합물과 관련된 히스타민 방출에 미치는 순 포지티브 전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4 내지 7개의 양이온 (아르기닌) 잔기를 함유하는 펩티드를 제조하고, 그것이 생체 내에서 히스타민 방출을 촉발하는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험된 펩티드는 다음과 같다: (i) Ac-crrrr-NH2 (SEQ ID NO:4), (ii) Ac-crrrrr-NH2 (SEQ ID NO:5), (iii) Ac-crrrrrr-NH2 (SEQ ID NO:6), 및 (iv) Ac-crrrrrrrr-NH2 (SEQ ID NO:41).
수컷 스프라그-도울리 쥐를 얻어서 (Charles River) 약물 주입과 혈액 채취를 위해 각각 대퇴부와 경정맥에 캐뉼레를 삽입하였다. 모든 IV 약물 처리는 마취 (이소플루란) 하에 수행하였다. 동물에게 1분 IV 주입에 의해 총 0.5mL의 부피로 약물을 투약하였다. 혈액 샘플을 IV 고용량 후 5, 15 및 30분에 취하여 히스타민 분석을 위해 혈장 (K2EDTA) 샘플을 만들었다. 30분 IV주입 연구를 위해 샘플을 주입이 끝났을 때 취하였다. 어떤 경우에 급성 신장 허혈의 1K1C 모델의 쥐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부피의 식염수를 각 혈액 채취 후에 주사하여 손실된 부피를 대체하였다. 대략 0.2mL의 혈액을 각 시간 지점에 예비-코팅된 EDTA 주사기를 사용하여 채취하여 혈청 수집을 용이하게 하였다.
히스타민 효소 면역분석 (EIA) 키트 (Cat # A05890, SPI-BIO, Montigny le Bretonneux, France)를 사용하여 히스타민 ELISA를 희석된 혈장에 대해 수행하였다. 히스타민 EIA 키트는 유도체화-증폭된 경합 효소 면역분석으로 그것은 40pg/mL 내지 5,500pg/mL 범위 내에 있는 히스타민을 검출한다. 샘플을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을 따라 이중으로 분석하였다.
동결건조된 펩티드 (TFA 염)의 무게를 측정하고 기록된 중량을 펩티드 함량에 대해 조정하였다. 물질을 정상 식염수에 녹임으로써 용액을 만들어서 원하는 펩티드 농도를 생성하였다. 어떤 경우에 펩티드의 몰농도를 조정하여 펩티드간 비교를 하였다. 펩티드를 IV 고용량에 의해 몰당 SEQ ID NO:41과 동일한 용량으로 (즉 0.7μmol/쥐) 1-분 IV 고용량에 의해 투여하고, 혈장 히스타민을 투약전 (투약전), 투약 후 5, 15 및 30분에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그룹 평균 (n=2)±SD로 나타낸다. 히스타민 방출은 투약전 (기준선) 수준으로부터 배수 변화로서 나타난다. 그 결과는 도 3에 도시된다. 데이터는 그룹 평균 (n=2)±SD로 나타낸다.
실시예
7
구조-활성 관계 연구: 히스타민 방출
히스타민 방출의 시험관 내 평가를 위해, 분리된 쥐의 복막 비만세포를 헤파린을 함유하고 있는 (5μ/mL) 저온 HBSS+25mM HEPES pH 7.4를 사용하여 복막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분리하였다. 세포를 자극 완충액 (HBSS+25mM HEPES pH 7.4)으로 2회 세척하고, 자극 완충액 (HBSS+25mM HEPES pH 7.4)중의 10μM의 화합물과 함께 15분 동안 96-웰 플레이트에서 (106/웰)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상층액을 히스타민 EIA 키트 (Cayman #589651)를 사용하여 히스타민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데이터를 표 10에 나타낸다.
히스타민 방출의 생체 내 평가를 위해, 화합물을 이소플루란-마취된 정상 쥐에 2mg/kg으로 IV 고용량에 의해 투약하였다 (1분 이내에 투여하였다). 혈장 히스타민을 화합물 투여 후 5분에 측정하였다 (Cayman 히스타민 EIA #589651). 그 데이터를 표 11에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약어, 및 특히 표 10과 11에서 사용된 약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실시예
8
구조-활성 관계 연구: 생체 내 활성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을 화합물 Ac-carrrar-NH2 (SEQ ID NO:26)과 비교하기 위하여 제조하였다.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에서 위치 X1에 있는 티올-함유 하위유닛은 이황화 연쇄를 통해 L-Cys 잔기에 결합된다. 2개의 화합물을 IV 고용량에 의해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모델을 가지는 동물에 0.3 및 0.5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혈장 PTH 수준을 투약 전 및 투야 후 24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10에 도시되는데, 제시된 데이터는 그룹 평균±SEM이고, 시간으로 표시된 시간의 함수로서,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모델을 가진 쥐에서 화합물 Ac-c(C)arrrar-NH2 (SEQ ID NO:3)은 사각형 (0.3mg/kg, n=5) 및 * 기호 (0.5mg/kg, n=6)로 나타내고, 화합물 Ac-c(Ac-C)arrrar-NH2 (SEQ ID NO:141)은 삼각형 (0.3mg/kg, n=8) 및 다이아몬드 (0.5mg/kg, n=7)로 나타낸다.
실시예
9
칼슘 유사작용제의 미소기공 촉진된
경피
전달
칼슘 유사작용제의 전신성 전달을 평가하기 위하여, Ac-crrrrrr-NH2 (SEQ ID NO:6)을 CD 털이 없는 쥐에 저장소를 사용하여 경피로 투여하였다. Ac-crrrrrr-NH2 (SEQ ID NO:6)은 식염수 중의 10% 용액으로서 CD® 털없는 쥐의 등에 대략 1cm2 면적에 도포하였고, 그곳은 이미 1.0mm 더마 롤러를 적절한 압력 하에 5회 통과시킴으로써 마이크로포레이션되어 있다. 마이크로포레이션된 피부 영역 위에 폴리스티렌 챔버 (I.D. 9.5mm)를 접착제로 붙여서 Ac-crrrrrr-NH2 (SEQ ID NO:6)이나 식염수 중 어느 하나의 용액이 도포되는 약물 저장소를 만들었다. Ac-crrrrrr-NH2 (SEQ ID NO:6)의 10% 용액을 두 마리 쥐의 저장소 챔버에 투여하였고, 식염수 용액은 단독으로 한 마리 쥐의 저장소 챔버에 투여하였다. 저장소를 테이프로 덮어 증발을 막았다. 혈액을 4시간 주기로 채취하고, 혈장을 ELISA에 의해 PTH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에 도시한다.
실시예
10
미소기공 촉진된
경피
패치에 의한 칼슘 유사작용제의 지속적인 전달
칼슘 유사작용제의 전신성 전달을 추가로 평가하기 위하여, Ac-c(C)arrrar-NH2 (SEQ ID NO:3)을 정상 쥐에 경피 패치를 사용하여 경피 투여하였다. 정상 쥐를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경피 패치 시스템으로 처리하였다. 스프라그 도울리 쥐 (~350g)의 등에 있는 털의 작은 영역을 가위를 사용하여 전단하고, 피부의 그 영역을 마이크로니들 (~0.5mm)의 14x14 어레이 (~1cm2)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포레이션하였다. 식염수 중의 Ac-c(C)arrrar-NH2 (SEQ ID NO:3)의 10% (중량) 용액을 함유하는 경피 패치 시스템을 그 마이크로포레이션된 영역 위에 놓고, 대략 30시간 동안 그 자리에 놓아두었다. 혈액을 쥐로부터 30시간에 걸쳐 주기적으로 채취하고, 혈장 샘플을 ELISA에 의해 PTH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도시한다.
실시예
11
칼슘 유사작용제의 주입
칼슘 유사작용 화합물의 PTH 저하 효과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하여, Ac-c(C)arrrar-NH2 (SEQ ID NO:3)을 매우 적은 용량의 IV 주입에 의해 정상 쥐에 투여하였는데, 쥐는 주입, 경피 패치 시스템 또는 유의미한 PTH 감소를 이루기 위한 다른 지속성 전달 수단에 의해 투여되어야 할 가장 적은 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장 기능부전을 나타낸다. 정상 스프라그-도울리 수컷 쥐 (250 내지 300g)에게 6시간 동안 Ac-c(C)arrrar-NH2 (SEQ ID NO:3)을 1㎍/kg/시간, 3㎍/kg/시간, 및 10㎍/kg/시간의 용량 비율로 정맥 내 주입하였다. 혈액 샘플을 투약전, 투약 후 2시간, 4시간, 6시간 (주입을 완료하기 직전; EOI) 및 8시간 (EOI 후 2시간)에 취하고, 혈장을 ELISA에 의해 PTH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데이터를 도 13에 나타내는데, 6시간 동안 1㎍/kg/시간 (사각형), 3㎍/kg/시간 (다이아몬드), 및 10㎍/kg/시간 (삼각형)으로 처리한 쥐들이 주입의 전 과정에 걸쳐 기준선으로부터 PTH의 유의미한 감소를 생성하기에 효과적이었다.
유사한 연구를 급성 신장 기능부전의 1K1C 모델을 가지는 쥐에서 수행하였다. 1K1C 모델 쥐에게 Ac-c(C)arrrar-NH2 (SEQ ID NO:273)을 30㎍/kg/시간 및 100㎍/kg/시간의 용량 비율로 6시간 동안 정맥내 주입하였다. 혈액 샘플을 투약 전 (Pre), 투약 후 2시간, 4시간, 6시간 (주입을 완료하기 직전; EOI), 8시간 (EOI 후 2시간) 및 24시간에 취하고, 혈장을 ELISA에 의해 PTH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데이터를 도 14a에 도시하고 (30㎍/kg/시간, 다이아몬드 및 100㎍/kg/시간, 사각형), 동물에 대한 혈청 칼슘은 도 14b에 도시한다.
SEQUENCE LISTING
<110> Karim, Felix
Baruch, Amos
Maclean, Derek
<120> Therapeutic Agents for Reducing Parathyroid Hormone Levels
<130> 63200.8017.WO00
<140> Not Yet Assigned
<141> Filed Herewith
<150> US 61/229,695
<151> 2009-07-29
<150> US 61/255,816
<151> 2009-10-28
<150> US 61/313,635
<151> 2010-03-12
<160> 183
<170> PatentIn version 3.4
<210> 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7)
<223> Xaa = any amino acid as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filed herewith
<400> 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400> 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5)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5)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6)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6)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8)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8)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2)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3)..(3)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4)...(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4)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4), (6)...(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5)..(5)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6)
<223> Xaa = D-Arg
<221> VARIANT
<222> (7)..(7)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6)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7)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5) (6),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5)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6),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6),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5)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4), (6),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3), (5)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7)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6)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4), (5), (6)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3), (7)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4),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5),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3)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4)...(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3),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5), (6),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3), (4)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29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5)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4), (6)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29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bAla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3)...(8)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8)
<223> C-terminal amidation
<400> no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3-Mercaptopropionic acid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Homocysteine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3
<211> aa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penicillamine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interchain disulfide bond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5
Cys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3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6
Xaa Xaa Arg Xaa Xaa Xaa Xaa
1 5
<210> 3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7
Xaa Xaa Xaa Arg Xaa Xaa Xaa
1 5
<210> 3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8
Xaa Xaa Xaa Xaa Arg Xaa Xaa
1 5
<210> 3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9
Xaa Xaa Xaa Xaa Xaa Ala Xaa
1 5
<210> 4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0
Xaa Xaa Xaa Xaa Xaa Xaa Arg
1 5
<210> 4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9)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4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2
Xaa Gly Xaa Xaa Xaa Gly Xaa
1 5
<210> 4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3
Xaa Ala Xaa Xaa Xaa Ala Xaa
1 5
<210> 4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4
Cys Xaa Arg Xaa Arg Xaa Arg
1 5
<210> 4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5
Cys His Asp Ala Pro Ile Gly Tyr Asp
1 5
<210> 4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6
Cys Pro Asp Tyr His Asp Ala Gly Ile
1 5
<210> 47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2)..(12)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7
Cys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4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11)..(1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8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4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4), (5)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6), (7), (8)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8)
<223> C-terminal amidation
<400> 4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0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Tyr
<220>
<221> VARIANT
<222> (3)
<223> Xaa = D-Gly
<220>
<221> VARIANT
<222> (4), (7), (8), (10), (11), (12)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5), (6)
<223> Xaa = D-Lys
<220>
<221> VARIANT
<222> (9)
<223> Xaa = D-Gln
<220>
<221> MOD_RES
<222> (12)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10
<210> 51
<211> aa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Glutathione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Glutathione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400> 5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acetylated Glutathione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3-Mercaptopropionic acid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Polyethylene glycol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Polyethylene glycol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5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Polyethylene glycol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bAla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Cys
<220>
<221> DISULFID
<222> (2)..(2)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Cys
<220>
<221> VARIANT
<222> (3), (7)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4), (5), (6), (8)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bAla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Cys
<220>
<221> DISULFID
<222> (2)..(2)
<223> Cys-Cys disulfide bonded to Cys
<220>
<221> VARIANT
<222> (3), (7)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4), (5), (6), (8)
<223> Xaa = D-Arg
<400> 6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400> 63
Xaa Gly Xaa Xaa Xaa Gly Xaa
1 5
<210> 6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400> 64
Xaa Ala Xaa Xaa Xaa Ala Xaa
1 5
<210> 6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Val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Val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400> 6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Glu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6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Glu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7)
<223> Xaa = D-Lys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Glu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223> Xaa = D-Lys
<220>
<221> VARIANT
<222>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Lys
<220>
<221> VARIANT
<22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5
Cys Ala Arg Arg Arg Ala Arg
1 5
<210> 7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4)...(9)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7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5)...(10)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10)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4), (6), (8)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5), (7), (9)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7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8)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9)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7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interchain bond with benzoyl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Cys-Cys interchain bond with acetyl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Phe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Ile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Leu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5)
<223> Xaa = D-Lys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Val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Pro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8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His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8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Gln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Thr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Ser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3
Xaa Xaa Xaa Xaa Xaa Gly Xaa
1 5
<210> 9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Gle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5
Xaa Gly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Ile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Pro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Leu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Gln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9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Thr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Val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Ser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His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Phe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5
Xaa Xaa Xaa Gly Xaa Xaa Xaa
1 5
<210> 10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Pro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Glu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Thr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0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His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0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Phe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Ser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Gln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Val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Leu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Ile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N-methylglycine (sarcosine)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N-methylglycine (sarcosine)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N-methylalanine (Nm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1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N-methylalanine (Nm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1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2-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N-methylalanine (Nma)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N-methylalanine (Nm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2-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2-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N-methylglycine (sarcosine)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N-methylglycine (sarcosine)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N-methylalanine (Nm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N-methylglycine (sarcosine)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2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Norleucine (NLeu)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2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Norleucine (dNLeu)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Norvaline (dNval)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Norvaline (dNval)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Norleucine (dNLeu)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Norleucine (dNLeu)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Norvaline (dNVal)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Norvaline (dNVal)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Norvaline (dNVal)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Norleucine (dNLeu)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3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Bond with D-homocysteine (dHcy)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3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Bond with 3-mercaptopropionic acid (Mpa)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Bond with acetylated L-Cysteine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Bond with D-Cysteine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Bond with Polyethylene glycol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DISULFID
<222> (1)..(1)
<223> Bond with Polyethylene glycol
<220>
<221> VARIANT
<222> (2)...(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5
<211> aa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45
Cys Glu Glu Glu Glu Glu Glu
1 5
<210> 14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5)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7)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7)
<223> Xaa = D-Lys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4),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4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49
Xaa Xaa Xaa Xaa Xaa Gly Xaa
1 5
<210> 15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Gln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5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His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5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3), (5), (7)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Ile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52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5)
<223> Xaa = D-Ala
<220>
<221> DISULFID
<222> (2)..(2)
<223> Bond with 1,3-diaminopropionic acid (DAP)
<220>
<221> VARIANT
<222> (3), (4), (6)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6)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53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MOD_RES
<222> (1)..(1)
<223> N-terminal acetylation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5)
<223> Xaa = D-Homoarginine
<220>
<221> VARIANT
<222> (7)
<223> Xaa = D-Arg
<220>
<221> MOD_RES
<222> (7)
<223> C-terminal amidation
<400> 154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a thiol-containing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 non-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3), (4), (7)
<223> Xaa = any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5)
<223> Xaa = a 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a non-cationic amino acid residue
<400> 15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 non-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3), (4), (7)
<223> Xaa = any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5)
<223> Xaa = D-Arg, L-Arg, D-Lys or L-Lys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a non-cationic amino acid residue
<400> 156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2), (3), (4)
<223> Xaa = any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5), (7)
<223> Xaa = any 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a non-cationic amino acid residue
<400> 15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a non-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3), (4), (7)
<223> Xaa = any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5)
<223> Xaa = D-Arg, L-Arg, D-Lys or L-Lys
<400> 15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5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3), (4), (7)
<223> Xaa = any 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5)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400> 159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6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Cys
<220>
<221> VARIANT
<222> (2), (3), (7)
<223> Xaa = any 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4)
<223> Xaa = D-Ala
<220>
<221> VARIANT
<222> (5)
<223> Xaa = D-Arg
<220>
<221> VARIANT
<222> (6)
<223> Xaa = D-Ala
<400> 160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16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2
His Asp Ala Pro Ile Gly Tyr Asp
1 5
<210> 163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3
Cys His Asp Ala Pro Ile Gly Tyr Asp
1 5
<210> 16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4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16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5
Cys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166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6
Cys Ser Phe Asn Ser Tyr Glu Leu Gly Ser Leu
1 5 10
<210> 16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7
Cys Pro Asp Tyr His Asp Ala Gly Ile
1 5
<210> 16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8
Cys Glu Ala Val Ser Leu Lys Pro Thr
1 5
<210> 16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9
Glu Ser Val Ser Leu Lys Pro Thr
1 5
<210> 170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0
Cys Arg Phe Ala Arg Lys Gly Ala Leu Arg Gln Lys Asn Val
1 5 10
<210> 17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1
Tyr Gly Arg Lys Lys Arg
1 5
<210> 17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2
Cys Tyr Gly Arg Lys Lys Arg
1 5
<210> 17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3
Tyr Gly Arg Arg Ala Arg Arg Arg Ala Arg Arg
1 5 10
<210> 17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4
Cys Tyr Gly Arg Arg Ala Arg Arg Arg Ala Arg Arg
1 5 10
<210> 175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5
Cys Arg Arg Arg
1
<210> 17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6
Cys Arg Arg Arg Arg
1 5
<210> 177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7
Cys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210> 17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8
Cys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210> 179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9
Cys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10
<210> 180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80
Cys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10
<210> 18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80
Cys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10
<210> 18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82
Cys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10
<210> 18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L-Cys
<220>
<221> VARIANT
<222> (2), (6)
<223> Xaa = a non-cationic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3), (4), (7)
<223> Xaa = any amino acid residue
<220>
<221> VARIANT
<222> (5)
<223> Xaa = D-Arg, L-Arg, D-Lys or L-Lys
<400> 183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Claims (63)
- 다음 식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와 콘쥬게이팅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X1-X2-X3-X4-X5-X6-X7
상기 식에서, X1은 D-시스테인이고;
X2는 D-아르기닌, D-알라닌, D-발린, D-로이신, D-페닐알라닌, D-세린, D-글루타민, D-노르로이신 및 D-노르발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이며;
X3는 D-아르기닌이고;
X4는 D-아르기닌 및 비-양이온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이고, 글리신, 프롤린 또는 산성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이 아니며;
X5는 D-아르기닌이고;
X6은 D-알라닌 및 D-글리신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이며;
X7은 D-아르기닌이고;
상기 펩티드는 N-말단에서 이황화 결합에 의하여 콘쥬게이팅 기에 결합된다. - 제 1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항에 있어서, C-말단은 아미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항에 있어서, C-말단은 아미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시스테인, 호모시스테인, 글루타티온, 페길화된 시스테인 및 티올-함유 폴리펩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5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시스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7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동종이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항에 있어서, X2는 D-아르기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0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1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C-말단은 아미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0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동종이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5항에 있어서, X4는 D-아르기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4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시스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5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4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N-말단은 아실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7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C-말단은 아미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5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시스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9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0항에 있어서, X4는 D-알라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1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L-시스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1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D-시스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2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3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동종이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1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27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C-말단은 아미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4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동종이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4항에 있어서, X2는 D-알라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0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L-시스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0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D-시스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31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2항에 있어서, 콘쥬게이팅 기는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0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동종이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0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6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C-말단은 아미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길이는 8 내지 15 아미노산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8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길이는 8 내지 11 아미노산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39항에 있어서, 펩티드의 길이는 8 내지 9 아미노산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제 1항에 있어서, 펩티드는 다음 식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X1-X2-X3-X4-X5-X6-X7 - Ac-c(C)arrrar-NH2 (SEQ ID NO:3)를 포함하는 화합물.
- (C)콘쥬게이팅 기가 아세틸화된, Ac-c(C)arrrar-NH2 (SEQ ID NO:3)를 포함하는 화합물.
- Ac-c(c)arrrar-NH2 (SEQ ID NO:142)를 포함하는 화합물.
- Ac-c(C)rrarar-NH2 (SEQ ID NO:28)를 포함하는 화합물.
- (C)콘쥬게이팅 기가 아세틸화된, Ac-c(C)rrarar-NH2 (SEQ ID NO:28)를 포함하는 화합물.
- 대상의 이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SHPT)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대상의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HPT)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대상의 고칼슘혈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제 4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정맥 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0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정맥 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정맥 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4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경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0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경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경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49항에 있어서, 제 2 치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0항에 있어서, 제 2 치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1항에 있어서, 제 2 치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8항에 있어서, 제 2 치료제는 비타민 D, 비타민 D 유사체 또는 시나칼세트 염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59항에 있어서, 제 2 치료제는 비타민 D, 비타민 D 유사체 또는 시나칼세트 염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 제 60항에 있어서, 제 2 치료제는 비타민 D, 비타민 D 유사체 또는 시나칼세트 염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2969509P | 2009-07-29 | 2009-07-29 | |
US61/229,695 | 2009-07-29 | ||
US25581609P | 2009-10-28 | 2009-10-28 | |
US61/255,816 | 2009-10-28 | ||
US31363510P | 2010-03-12 | 2010-03-12 | |
US61/313,635 | 2010-03-12 | ||
PCT/US2010/043792 WO2011014707A2 (en) | 2009-07-29 | 2010-07-29 | Therapeutic agents for reducing parathyroid hormone leve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4513A KR20120104513A (ko) | 2012-09-21 |
KR101781841B1 true KR101781841B1 (ko) | 2017-09-26 |
Family
ID=4352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4785A KR101781841B1 (ko) | 2009-07-29 | 2010-07-29 |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제 |
Country Status (30)
Country | Link |
---|---|
US (10) | US8999932B2 (ko) |
EP (5) | EP4154900B1 (ko) |
JP (3) | JP5270799B2 (ko) |
KR (1) | KR101781841B1 (ko) |
CN (2) | CN102711789B (ko) |
AU (1) | AU2010278897B2 (ko) |
BR (1) | BR112012002143B8 (ko) |
CA (1) | CA2769525C (ko) |
CY (3) | CY1118388T1 (ko) |
DK (2) | DK2459208T3 (ko) |
ES (2) | ES2729051T3 (ko) |
FR (1) | FR17C1009I2 (ko) |
HK (1) | HK1167108A1 (ko) |
HR (2) | HRP20161614T1 (ko) |
HU (3) | HUE043838T2 (ko) |
IL (1) | IL217749A (ko) |
LT (3) | LT3192520T (ko) |
LU (1) | LUC00008I2 (ko) |
MX (1) | MX2012001213A (ko) |
NO (1) | NO2017021I1 (ko) |
NZ (1) | NZ597922A (ko) |
PL (2) | PL3192520T3 (ko) |
PT (2) | PT3192520T (ko) |
RU (1) | RU2557654C3 (ko) |
SG (2) | SG178143A1 (ko) |
SI (2) | SI3192520T1 (ko) |
SM (1) | SMT201700014B (ko) |
TW (1) | TWI520744B (ko) |
WO (1) | WO2011014707A2 (ko) |
ZA (1) | ZA20120072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843B1 (ko) | 2006-11-16 | 2015-09-14 | 카이 파마슈티컬즈 |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및 고칼슘혈증 장애의 치료를 위한 폴리양이온성 칼슘 조절제 펩타이드 |
US8999932B2 (en) | 2009-07-29 | 2015-04-07 | Kai Pharmaceuticals, Inc. | Therapeutic agents for reducing parathyroid hormone levels |
BR112012021657B8 (pt) | 2010-03-04 | 2022-06-07 | Ea Pharma Co Ltd | Composto, agente farmacêutico, agente para conferir kokumi , e, tempero |
JP5761173B2 (ja) | 2010-03-04 | 2015-08-12 | 味の素株式会社 | 糖尿病又は肥満症の予防又は治療剤 |
WO2011118843A1 (ja) | 2010-03-24 | 2011-09-29 | 味の素株式会社 | グルタミン酸エステル誘導体又はその塩 |
JPWO2011126099A1 (ja) | 2010-04-02 | 2013-07-11 | 味の素株式会社 | 糖尿病又は肥満症の予防又は治療剤 |
PL2717896T3 (pl) * | 2011-06-08 | 2017-05-31 | Kai Pharmaceuticals, Inc. | Środki lecznicze do regulowania poziomu fosforu w surowicy krwi |
CN104168955A (zh) * | 2011-11-10 | 2014-11-26 | 凯伊药品公司 | 拟钙剂及其使用方法 |
EP2872160A4 (en) | 2012-04-17 | 2015-11-25 | Univ Brown | NERVO-PROTECTING COMPOSITION AND USE METHOD |
US20200354428A9 (en) | 2013-06-23 | 2020-11-12 |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 Analogues of parathyroid hormone (1-34) that function as agonists of the parathyroid hormone receptor-1 and display modified activity profiles |
PE20210413A1 (es) | 2013-06-28 | 2021-03-04 | Amgen Inc | Formulacion liquida estable que comprende etelcalcetida (amg416), un agente tamponante y agente de tonicidad |
PL3126373T3 (pl) | 2014-04-03 | 2020-07-27 | Amgen Inc. | Sposób wytwarzania amg 416 |
CN105504012A (zh) * | 2014-09-30 | 2016-04-20 |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多肽的制备方法 |
EP3220961B1 (en) | 2014-10-22 | 2023-07-05 | Extend Biosciences, Inc. | Therapeutic vitamin d conjugates |
US9616109B2 (en) | 2014-10-22 | 2017-04-11 | Extend Biosciences, Inc. | Insulin vitamin D conjugates |
US10858389B2 (en) | 2015-03-26 | 2020-12-08 | Amgen Inc. | Solution phase method for preparing etelcalcetide |
US9336841B1 (en) * | 2015-04-16 | 2016-05-10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 Pipeline register with data alignment therein |
CN106928321B (zh) * | 2015-12-31 | 2019-07-26 |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合成Etelcalcetide的方法 |
CN106928320B (zh) * | 2015-12-31 | 2021-01-15 |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合成Etelcalcetide的方法 |
US10105375B2 (en) | 2016-08-30 | 2018-10-23 |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 Combination of low dose 2-methylene-19-nor-(20S)1α, 25-dihydroxyvitamin D3 and calcimimetics to treat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
US20200261549A1 (en) * | 2017-11-07 | 2020-08-20 | Alphacore Pharma Llc | Methods of treating and protecting against cardiac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lated conditions and symptoms |
BR112020012004A2 (pt) | 2017-12-20 | 2020-11-17 | Ea Pharma Co., Ltd. | composição medicinal para prevenir ou tratar hiperparatireoidismo secundário em diálise de manutenção, e, uso de uma composição medicinal campo da invenção |
KR101933685B1 (ko) * | 2018-06-29 | 2018-12-28 | 주식회사 에스알바이오텍 |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
JP2022536222A (ja) * | 2018-11-02 | 2022-08-15 | アンパサンド バイオ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局所的に施用される緩衝液によるカチオン過負荷および電解質平衡異常のリスクの管理 |
US20220142958A1 (en) | 2019-04-03 | 2022-05-12 | Ea Pharma Co., Ltd. | Medicinal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tability |
AU2020399030A1 (en) * | 2019-12-09 | 2022-06-23 | Beijing Tuo Jie Biopharmaceutical Co. Ltd. | Calcium-sensing receptor agonist compound and application thereof |
WO2021226064A1 (en) * | 2020-05-04 | 2021-11-11 |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dosing of pharmacologic agents |
KR20230066044A (ko) * | 2020-09-10 | 2023-05-12 | 샨시 마이콧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이중특이적 융합 폴리펩타이드 화합물 |
US11359134B2 (en) | 2020-10-19 | 2022-06-14 | Saudi Arabian Oil Company | Treatment fluids and methods for recovering hydrocarbons from a subterranean formation |
EP4353248A4 (en) * | 2021-06-08 | 2024-10-23 | Beijing Tuo Jie Biopharmaceutical Co Ltd | CALCIUM-SENSITIVE RECEPTOR AGONIST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
TW202313655A (zh) * | 2021-06-08 | 2023-04-01 | 大陸商北京拓界生物醫藥科技有限公司 | 鈣敏感受體激動劑化合物的鹽酸鹽及醫藥組成物和其應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2008476A1 (en) * | 1990-11-07 | 1992-05-29 |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 Peptides that inhibit platelet binding of adhesion molecules |
US20090023652A1 (en) | 2006-11-16 | 2009-01-22 | Gregory Bell | Polycationic calcium modulator 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hyperparathyroidism and hypercalcemic disorders |
Family Cites Families (5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69473A (en) | 1988-08-02 | 1999-02-09 | Bone Care International, Inc. |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hyperparathyroidism |
US5602116A (en) | 1988-08-02 | 1997-02-11 | Bone Care International, Inc. |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
US5246925A (en) | 1989-03-09 | 1993-09-21 |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 19-nor-vitamin D compounds for use in treating hyperparathyroidism |
CA1333616C (en) | 1989-03-09 | 1994-12-20 | Hector F. Deluca | 19-nor-vitamin d compounds |
US5304121A (en) | 1990-12-28 | 1994-04-19 |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 Drug delivery system making use of a hydrogel polymer coating |
US6031003A (en) | 1991-08-23 | 2000-02-29 | Nps Pharmaceuticals, Inc. | Calcium receptor-active molecules |
US5814603A (en) * | 1992-06-12 | 1998-09-29 | Affymax Technologies N.V. | Compounds with PTH activity |
US5994341A (en) | 1993-07-19 | 1999-11-30 | Angiogenesis Technologies, Inc. | Anti-angiogen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
CA2145214A1 (en) | 1995-02-28 | 1996-08-29 | Rick E. Preddie | Agents for pre-symptomatic diagnosis, prevention and cure huntington's disease (hd) in humans |
US6099562A (en) | 1996-06-13 | 2000-08-08 | Schneider (Usa) Inc. | Drug coating with topcoat |
US5688489A (en) | 1995-09-15 | 1997-11-18 | Resolution Pharmaceuticals, Inc. | Non-receptor mediated imaging agents |
DE69734157T2 (de) | 1996-07-31 | 2006-07-13 | The General Hospital Corp., Boston | Parathyroidhormon-verwandthe peptidanaloge |
US5895368A (en) | 1996-09-23 | 1999-04-20 | Medisystems Technology Corporation | Blood set priming method and apparatus |
US6165977A (en) | 1996-10-18 | 2000-12-26 |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 Isozyme-specific activators of protein kinase C methods and compositions |
WO1998033812A1 (en) * | 1997-02-05 | 1998-08-06 |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 Mast cell protease peptide inhibitors |
IL132901A0 (en) * | 1997-05-14 | 2001-03-19 | Aventis Pharm Prod Inc | Peptide parathyroid hormone analogs |
AU734827B2 (en) * | 1997-05-21 | 2001-06-21 |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transport across biological membranes |
US6258774B1 (en) | 1998-03-19 | 2001-07-10 |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 Carrier for in vivo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
US7399489B2 (en) | 1999-01-14 | 2008-07-15 | Amylin Pharmaceuticals, Inc. | Exendin analog formulations |
JP2000336099A (ja) * | 1999-05-27 | 2000-12-05 | Sekisui Chem Co Ltd | ペプチド及びc型肝炎抗体検出用試薬 |
US6274169B1 (en) | 1999-08-02 | 2001-08-14 | Abbott Laboratories | Low oxygen content compostions of 1α, 25-dihydroxycholecalciferol |
US6051567A (en) | 1999-08-02 | 2000-04-18 | Abbott Laboratories | Low oxygen content compositions of 1α, 25-dihydroxycholecalciferol |
US20020068342A1 (en) * | 2000-02-09 | 2002-06-06 | Rami Khosravi | Novel nucleic acid and amino acid sequences and novel variants of alternative splicing |
IL153378A0 (en) | 2000-07-18 | 2003-07-06 | Bone Care Internat Inc | STABILIZED 1alpha-HYDROXY VITAMIN D |
DE10041126A1 (de) | 2000-08-22 | 2002-04-04 | Aventis Res & Tech Gmbh & Co | DNA-bindende Peptiddomänen und ein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solcher Domänen |
US20080249016A1 (en) * | 2000-09-18 | 2008-10-09 | Sanos Bioscience A/S | Use of GLP-2 in a combination treatment for bone-related disorders |
US20020168354A1 (en) | 2000-11-10 | 2002-11-14 | Daria Mochly-Rosen | psiepsilonRack peptid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tection against tissue damage due to ischemia |
AU2002226061B2 (en) | 2001-01-18 | 2007-08-02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 Peptides for activation and inhibition of delta PKC |
WO2002062396A2 (en) | 2001-02-08 | 2002-08-15 |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 Enhanced oral and transcompartmental delivery of therapeutic or diagnostic agents using polymer conjugates |
US20030036627A1 (en) | 2001-02-16 | 2003-02-20 | Montelaro Ronald C. | Virus derived antimicrobial peptides |
CN1255428C (zh) | 2001-02-23 | 2006-05-10 | 波利弗尔有限公司 | 具有抗微生物活性的模板固定化肽模拟物 |
AU2002335668A1 (en) | 2001-08-08 | 2003-02-24 | The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Muc7d1 peptides as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gents |
US6998404B2 (en) | 2001-08-08 | 2006-02-14 | Genomed, Llc | Treatment or prevention of acute renal failure |
US7060023B2 (en) | 2001-09-25 | 2006-06-13 | The Foundry Inc. | Pericardium reinforc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m |
US7037897B2 (en) * | 2001-10-31 | 2006-05-02 | Abbott Laboratories | TRI-, TETRA-, and penta-peptides having antiangiogenic activity |
JP2005287302A (ja) | 2002-04-03 | 2005-10-20 | Haruhiko Fujiwara | ポリペプチドの架橋方法 |
US20040018976A1 (en) | 2002-05-14 | 2004-01-29 | Feder John N. | Polynucleotide encoding novel human G-protein coupled receptors, and splice variants thereof |
WO2005049647A2 (en) | 2003-11-05 | 2005-06-02 | Pevion Biotech Ltd. | Compositions comprising melittin-derved peptides and methods for the potentiation of immune responses against target antigens |
CA2549052A1 (en) | 2003-12-11 | 2005-06-30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 Isozyme-specific antagonists of protein kinase c |
WO2005072340A2 (en) | 2004-01-27 | 2005-08-11 | Compugen Ltd. | Novel polynucleotides encoding polypeptides and methods using same |
EP1781320A2 (en) * | 2004-07-27 | 2007-05-09 | Genzyme Corporation | Use of thyrotropin for regeneration of bone |
US7265092B2 (en) * | 2004-09-30 | 2007-09-04 | Kai Pharmaceuticals, Inc. | Pharmaceutical formulation |
DE102005013846A1 (de) | 2005-03-24 | 2006-10-05 | Ganymed Pharmaceuticals Ag | Identifizierung von Oberflächen-assoziierten Antigenen für die Tumordiagnose und -therapie |
KR100687932B1 (ko) * | 2005-08-09 | 2007-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
EP1937064A4 (en) * | 2005-08-30 | 2009-09-16 | Acologix Inc | REGULATION OF MINERALS AND SKELETAL METABOLISM |
CN101675067B (zh) | 2007-01-19 | 2013-09-11 | 凯制药公司 | 肽组合物的修饰以提高稳定性和递送效率 |
NZ584048A (en) * | 2007-10-02 | 2012-08-31 | Marina Biotech Inc | Lipopeptides for delivery of nucleic acids |
US8716437B2 (en) | 2007-12-07 | 2014-05-06 | Steven A. Goldstein | Identification of toxin ligands |
US20090318351A1 (en) * | 2008-03-12 | 2009-12-24 | Kevin Grimes | Method of treating acute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with a delta pkc antagonist |
US8999932B2 (en) * | 2009-07-29 | 2015-04-07 | Kai Pharmaceuticals, Inc. | Therapeutic agents for reducing parathyroid hormone levels |
PL2717896T3 (pl) | 2011-06-08 | 2017-05-31 | Kai Pharmaceuticals, Inc. | Środki lecznicze do regulowania poziomu fosforu w surowicy krwi |
CN104168955A (zh) | 2011-11-10 | 2014-11-26 | 凯伊药品公司 | 拟钙剂及其使用方法 |
-
2010
- 2010-07-29 US US12/846,724 patent/US8999932B2/en active Active
- 2010-07-29 LT LTEP16190682.1T patent/LT3192520T/lt unknown
- 2010-07-29 EP EP22193946.5A patent/EP4154900B1/en active Active
- 2010-07-29 SG SG2012006185A patent/SG178143A1/en unknown
- 2010-07-29 RU RU2012107428A patent/RU2557654C3/ru active
- 2010-07-29 MX MX2012001213A patent/MX2012001213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0-07-29 EP EP10805078.2A patent/EP2459208B1/en active Active
- 2010-07-29 SG SG10201406921SA patent/SG10201406921SA/en unknown
- 2010-07-29 TW TW099125105A patent/TWI520744B/zh active
- 2010-07-29 NZ NZ597922A patent/NZ597922A/en unknown
- 2010-07-29 SM SM201700014T patent/SMT201700014B/it unknown
- 2010-07-29 CN CN201080045024.9A patent/CN102711789B/zh active Active
- 2010-07-29 HU HUE16190682A patent/HUE043838T2/hu unknown
- 2010-07-29 EP EP19159337.5A patent/EP3539555B1/en active Active
- 2010-07-29 ES ES16190682T patent/ES2729051T3/es active Active
- 2010-07-29 WO PCT/US2010/043792 patent/WO201101470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7-29 CA CA2769525A patent/CA2769525C/en active Active
- 2010-07-29 EP EP16190682.1A patent/EP3192520B1/en active Active
- 2010-07-29 JP JP2012523061A patent/JP5270799B2/ja active Active
- 2010-07-29 SI SI201031894T patent/SI3192520T1/sl unknown
- 2010-07-29 CN CN201710873189.9A patent/CN107674114B/zh active Active
- 2010-07-29 ES ES10805078.2T patent/ES2607954T3/es active Active
- 2010-07-29 PL PL16190682T patent/PL3192520T3/pl unknown
- 2010-07-29 BR BR112012002143A patent/BR112012002143B8/pt active IP Right Grant
- 2010-07-29 SI SI201031337A patent/SI2459208T1/sl unknown
- 2010-07-29 KR KR1020127004785A patent/KR1017818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7-29 AU AU2010278897A patent/AU2010278897B2/en active Active
- 2010-07-29 DK DK10805078.2T patent/DK2459208T3/en active
- 2010-07-29 PT PT16190682T patent/PT3192520T/pt unknown
- 2010-07-29 EP EP20209086.6A patent/EP3808363B1/en active Active
- 2010-07-29 DK DK16190682.1T patent/DK3192520T3/da active
- 2010-07-29 PT PT108050782T patent/PT2459208T/pt unknown
- 2010-07-29 HU HUE10805078A patent/HUE030960T2/en unknown
- 2010-07-29 LT LTEP10805078.2T patent/LT2459208T/lt unknown
- 2010-07-29 PL PL10805078T patent/PL2459208T3/pl unknown
-
2012
- 2012-01-26 IL IL217749A patent/IL217749A/en active Protection Beyond IP Right Term
- 2012-01-30 ZA ZA2012/00726A patent/ZA201200726B/en unknown
- 2012-02-02 US US13/365,213 patent/US8377880B2/en active Active
- 2012-08-14 HK HK12107946.6A patent/HK1167108A1/zh unknown
-
2013
- 2013-02-18 US US13/769,744 patent/US9278995B2/en active Active
- 2013-05-09 JP JP2013099331A patent/JP5764613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2-10 JP JP2014023488A patent/JP2014094967A/ja active Pending
-
2015
- 2015-03-04 US US14/639,020 patent/US9567370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2-08 US US15/018,567 patent/US9701712B2/en active Active
- 2016-12-01 HR HRP20161614TT patent/HRP20161614T1/hr unknown
- 2016-12-27 CY CY20161101349T patent/CY1118388T1/el unknown
-
2017
- 2017-01-09 US US15/402,133 patent/US2017011409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3-01 HU HUS1700008 patent/HUS1700008I1/hu unknown
- 2017-03-09 LU LU00008C patent/LUC00008I2/fr unknown
- 2017-03-10 LT LTPA2017007C patent/LTC2459208I2/lt unknown
- 2017-03-16 CY CY2017010C patent/CY2017010I2/el unknown
- 2017-03-17 FR FR17C1009C patent/FR17C1009I2/fr active Active
- 2017-05-05 NO NO2017021C patent/NO2017021I1/no unknown
- 2017-06-21 US US15/629,536 patent/US10280198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3-11 US US16/298,902 patent/US2019019425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05-17 HR HRP20190923TT patent/HRP20190923T1/hr unknown
- 2019-05-31 CY CY20191100579T patent/CY1121922T1/el unknown
-
2020
- 2020-09-02 US US17/010,773 patent/US2020039930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2
- 2022-10-04 US US17/960,060 patent/US20240116983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2008476A1 (en) * | 1990-11-07 | 1992-05-29 |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 Peptides that inhibit platelet binding of adhesion molecules |
US20090023652A1 (en) | 2006-11-16 | 2009-01-22 | Gregory Bell | Polycationic calcium modulator 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hyperparathyroidism and hypercalcemic disorders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1841B1 (ko) | 부갑상선 호르몬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제 | |
CA2854911A1 (en) | Calcimimetics and methods for their 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