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810B1 - 현탁중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 Google Patents
현탁중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1810B1 KR101781810B1 KR1020150183839A KR20150183839A KR101781810B1 KR 101781810 B1 KR101781810 B1 KR 101781810B1 KR 1020150183839 A KR1020150183839 A KR 1020150183839A KR 20150183839 A KR20150183839 A KR 20150183839A KR 101781810 B1 KR101781810 B1 KR 101781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copolymer
- monomer
- suspension polymerization
- acry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현탁중합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공중합체의 잔류모노머 함량을 감소시킨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잔류모노머 함량이 낮으며, 악취, 열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제조 시 공정이나 설비추가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잔류모노머 함량이 낮으며, 악취, 열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제조 시 공정이나 설비추가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현탁중합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공중합체의 잔류모노머 함량을 감소시킨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화합물을 모노머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 내부에는 반응에 참여 하지 않고 잔류하고 있는 모노머가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휘발성인 잔류 모노머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을 줄 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의 품질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된다. 때문에 수 많은 제조사에서 잔류모노머 저감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미국 등록 특허 제5973107호는 아크릴레이트의 잔류모노머를 감소 시키기 위해 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와 퍼옥사이드(peroxide)류의 개시제를 단계적으로 투입하였으나, 중합과정이 복잡하고 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류는 물을 사용하는 현탁중합에 투입 시 물상에 녹아나 중합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2760499호는 스타이렌 유도체와 메타크릴레이트를 현탁중합 한 후 반응물 내에 5~50%의 수증기를 제거하여 잔류모노머를 저감하였으나 반응기에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이 크고 수증기 제거 시 반응기 내 스케일이 매우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추가공정 및 설비의 추가 없이 모노머 조성을 통해 제조 비용 상승 없이 잔류모노머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현탁중합 공중합체 제조 시 잔류모노머의 함량을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잔류모노머 함량이 낮은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도막 광택이 우수한 코팅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30 ~ 7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 ~ 69 중량%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1 ~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현탁중합한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8)알킬아크릴레이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지조성물은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 하기 화학식 2의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친수성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현탁중합용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3는 H 또는 CH3이고, M3는 리튬, 나트륨, 칼륨, 암모늄염에서 선택되고, n은 1~3의 정수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2는 H 또는 CH3이고, m은 0~3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현탁중합용 분산제는 고형분 함량이 1 ~ 10 중량%이 되도록 수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이며, 단량체 성분 총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1,000,000 g/mol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잔류 모노머 함량이 3000 ppm이하이고, 열중량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측정된 2% 중량 감소가 발생되는 온도가 270 ~ 30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잔류모노머 함량이 낮으며, 악취, 열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제조 시 공정이나 설비추가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 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로 언급된 요소가 중합되어 공중합체 수지 내에서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한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3원 공중합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언급한 단량체 외에 다른 단량체를 공단량체로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부틸메타크릴레이트 30 ~ 7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 ~ 69 중량%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1 ~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현탁중합한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고분자 수지 중 광택, 투명성, 내후성, 내스크레치성 등이 가장 뛰어난 수지 중 하나로 코팅조성물에 필요한 기본물성을 만족시키나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상온에서 깨지기 쉽고 접착성이 떨어 지며 도막두께가 얇아 질수록 작은 충격에도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코팅조성물로 적용 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단량체의 기본 구조는 유사하면서 치환기의 길이가 길고, 적은 함량의 적용으로도 유리전이 온도 조절이 용이한 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 단량체로 사용하여 현탁중합을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메타크릴레이트만을 사용하여 중합을 실시할 경우 각 모노머 간의 반응성비는 유사하지만 중합반응 시 발생하는 반응열이 작고 구조에서 기인한 입체장애효과 때문에 중합이 저해되어 쉽게 사슬이 끊어지는 현상(depropagation)이 일어날 수 있는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잔류모노머가 많이 발생한다.
부틸메타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조성물의 용매 보다 끓는점이 높기 때문에 도막 코팅 후 건조 시 휘발속도가 다르며 건조 조건에 따라 도막 내에 잔존할 수 있으며, 도막에 결함을 주고 광택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알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디프로파게이션(depropagation)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현탁중합체의 잔류 모노머 함량을 감소시키고,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부틸메타크릴레이트는 30 ~ 7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25 ~ 69 중량%, 더욱 좋게는 28 ~ 68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유리전이 온도가 45℃이상이며, 2% 중량 감소온도가 270℃이상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도막 형성 후 광택이 우수한 코팅조성물용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잔류모노머의 함량을 낮추고, 내열분해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좋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류 대비 반응성비가 높은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 내지 C8)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등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현탁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1 ~ 1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좋게는 1 ~ 8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중량% 미만으로 중합되었을 경우 잔류모노머 감소량과 열분해안정성 개선이 미미하며, 15 중량% 초과일 경우 알킬아크릴레이트 자체의 반응성 비에 영향을 받아 잔류모노머가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공중합체 제조 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OH-, SO3 -와 같이 친수성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공중합체 형태의 현탁중합용 분산제를 더 포함하여 분산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즉, 부틸메타크릴레이트 30 ~ 7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 ~ 69 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 1 ~ 15 중량%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현탁중합용 분산제 0.001 ~ 1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현탁중합한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현탁중합용 분산제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 하기 화학식 2의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친수성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3는 H 또는 CH3이고, M3는 리튬, 나트륨, 칼륨, 암모늄염에서 선택되고, n은 0~3의 정수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2는 H 또는 CH3이고, m은 0~3의 정수이다.)
상기 현탁중합용 분산제는 단량체 성분 총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1 중량부, 더욱 좋게는 0.1 ~ 0.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범위에서 분산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여 잔류 모노머의 함량을 더욱 낮추기에 용이하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현탁중합 분산제의 고형분 함량은 1 ~ 10 중량%이 되도록 수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4 ~ 6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양호한 공중합체 입자를 얻을 수 있으며,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고, 세척 및 건조공정에서 공중합체 입자의 유실이 적어 작업성 및 경제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현탁중합체 제조 시 상기 수지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나트륨과 같은 무기 분산보조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개시제, 사슬이동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및 분산제 등 이며 원하는 공중합체의 분자량, 유리전이 온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비닐기를 가지는 모노머류의 현탁중합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개시제라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록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2'-아조비스(4-메톡시-2,4-다이메틸펜타나이트릴), 다이메틸-2,2'-아조디아이소부티르산염, 터셔리-부틸퍼록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노르말-프로필 퍼록시 디카보이니트 등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개시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슬이동제는 공중합체의 분자량 조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슬이동제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2개이고, 하나의 티올 관능기를 가지는 알킬멀캅탄 또는 2개 이상의 티올관능기를 가진 폴리티올멀캅단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 알킬멀캅탄으로서는 이소프로필 멀캅탄, 터셔리부틸멀캅탄, 노르말부틸멀캅탄, 노르말아밀멀캅탄, 노르말옥틸멀캅탄, 노르말도데실멀캅탄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슬이동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1.000.000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30 ~ 100 ℃인 것일 수 있으며, 잔류 모노머 함량이 3000 ppm이하이고, 열중량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측정된 2% 중량 감소가 발생되는 온도가 270 ~ 3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코팅조성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성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잔류 모노머 함량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아세톤에 녹인 후 n-hexane에 고분자를 침전 시킨 뒤 필터링하여 남은 용액을 각각 GC(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잔류 모노머 함량을 측정하였다.
2. 내열분해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각각 열중량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분당 10℃로 25℃에서 500℃로 승온하여 온도에 따른 중량 감소분을 측정하였다.
3. 냄새유무확인
가열감량측정기를 이용하여 105℃에서 가열하여 휘발속도가 0.02%/min가 될때까지 가열하여 냄새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X : 냄새 없음
O : 냄새 있음
4. 도막형성 후 광택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카본블랙 안료와 유기용제 메틸에틸케톤과 혼합, 바코터를 이용하여 전사지에 1차 도막을 형성 하고 120℃에서 건조 하여 45˚각도에서 광택불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광택 양호
△: 부분적 색감차 발생
X : 광택 불량
5. 유리전이온도(Tg)
Mettler Toledo사의 시차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10℃/min 승온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된 현탁 중합용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 70 wt%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30 wt%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고형분 함량이 5 중량%가 되도록 수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3는 CH3이고, M3는 나트륨염이고, n은 1이다.)
[실시예 1]
부틸메타크릴레이트70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8wt%, 메틸아크릴레이트 2wt%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액 1500g을 5리터의 반응기에 증류수 2000g, 상기 현탁중합용 분산제 5g(고형분 함량 5 중량%), 인산수소이나트륨 0.1g, 노말옥틸머캅탄 3.75g,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1.5g을 투입한 혼합액을 500rpm으로 교반하면서 수상에 분산시킨 후, 2차에 걸쳐 현탁중합을 수행하였다. 1차 현탁중합은 반응온도 80℃ 수행하였으며, 상기 혼합액이 80℃가 되고, 120분 후, 중합피크가 발생함과 동시에 다시, 110℃로 승온하여 30분간 2차 현탁중합을 수행한 후에 25℃로 냉각시켜 평균입경 200㎛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중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는 증류수로 3회 세척과 탈수를 반복하여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잔류 모노머, 내열분해성 및 냄새유무, 도막건조 후 광택불량을 확인하고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28wt% 메틸아크릴레이트를 1wt%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메틸아크릴레이트 대신 에틸아크릴레이트를 2wt%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메틸아크릴레이트 대신 부틸아크릴레이트를 2wt%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30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68wt%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30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62wt%, 메틸아크릴레이트를 8wt%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현탁중합 분산제를 폴리비닐알콜(KH-17, poval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wt%로 적용, 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30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70wt%로 적용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9.5wt%로 적용, 메틸아크릴레이트를 0.5wt%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wt%로 적용, 메틸아크릴레이트를 18wt%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 4 | |
공중합체 조성 (wt%) | 부틸메타크릴레이트 | 70 | 70 | 70 | 70 | 30 | 30 | 70 | 70 | 30 | 70 | 70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28 | 29 | 28 | 28 | 68 | 62 | 28 | 30 | 70 | 29.5 | 12 | |
메틸아크릴레이트 | 2 | 1 | - | - | 2 | 8 | 2 | - | - | 0.5 | 18 | |
에틸아크릴레이트 | - | - | 2 | - | - | - | - | - | - | - | - | |
부틸아크릴레이트 | - | - | - | 2 | - | - | - | - | - | - | - | |
물성 | 잔류모노머 (ppm) |
1600 | 2100 | 2500 | 2600 | 2500 | 1800 | 4500 | 9800 | 9600 | 9000 | 11500 |
냄새유무 | Ⅹ | Ⅹ | Ⅹ | Ⅹ | Ⅹ | Ⅹ | Ⅹ | ○ | ○ | ○ | ○ | |
2% 중량감소 온도(℃) | 297 | 273 | 299 | 295 | 298 | 299 | 298 | 198 | 196 | 268 | 295 | |
도막형성후 광택불량 |
○ | ○ | ○ | △ | ○ | ○ | △ | Ⅹ | Ⅹ | Ⅹ | Ⅹ | |
유리전이온도(℃) | 48 | 49 | 46 | 44 | 89 | 78 | 48 | 49 | 90 | 48 | 23 |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잔류모노머, 내열분해성, 냄새유무, 도막형성 후 광택 불량개선 등의 개선된 물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과, 실시예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현탁중합용 분산제를 사용한 실시예 1 ~ 6에서 잔류모노머 함량이 더욱 낮으며, 도막형성 후 광택 불량 개선등의 개선된 물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의 결과로 보아, 부틸메타크릴계 공중합체에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비교예1,2)는 잔류모노머가 실시예 대비 현저히 높고 내열분해성, 냄새유무, 도막형성 후 광택 불량개선등에 열세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합 시 알킬아크릴레이트의 투입이 잔류모노머 저감뿐만 아니라 내열분해성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또한, 비교예 3과 4의 결과를 보았을 때, 알킬아크릴레이트가 투입되었을 경우 내열분해성이 개선되나 1wt%~15wt의 조성 이외의 함량에서는 잔류모노머가 실시예 대비 현저히 높고 내열분해성, 냄새유무, 도막형성 후 광택 불량개선 등에 열세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 부틸메타크릴레이트 30 ~ 7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 ~ 69 중량%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1 ~ 1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현탁중합한 공중합체로,
유리전이온도가 45 ℃ 이상이고, 잔류 모노머 함량이 4500 ppm이하인 코팅조성물용 공중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8)알킬아크릴레이트인 것인 현탁중합 공중합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중합용 분산제는 고형분 함량이 1 ~ 10 중량%이 되도록 수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것이며, 단량체 성분 총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1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인 공중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1,000,000 g/mol인 공중합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잔류 모노머 함량이 3000 ppm이하이고, 열중량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측정된 2% 중량 감소가 발생되는 온도가 270 ~ 300℃인 공중합체. - 제 1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3839A KR101781810B1 (ko) | 2015-12-22 | 2015-12-22 | 현탁중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3839A KR101781810B1 (ko) | 2015-12-22 | 2015-12-22 | 현탁중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4494A KR20170074494A (ko) | 2017-06-30 |
KR101781810B1 true KR101781810B1 (ko) | 2017-09-26 |
Family
ID=5927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3839A KR101781810B1 (ko) | 2015-12-22 | 2015-12-22 | 현탁중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181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5911B1 (ko) * | 1994-05-19 | 2002-11-22 | 이엘에프 아토켐 이탈리아 에스. 알. 엘. | 아크릴적중합체들의제조방법 |
JP2013112692A (ja) | 2011-11-25 | 2013-06-10 | Jx Nippon Oil & Energy Corp | 光学フィルム用メタクリル系樹脂の製造方法 |
-
2015
- 2015-12-22 KR KR1020150183839A patent/KR1017818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5911B1 (ko) * | 1994-05-19 | 2002-11-22 | 이엘에프 아토켐 이탈리아 에스. 알. 엘. | 아크릴적중합체들의제조방법 |
JP2013112692A (ja) | 2011-11-25 | 2013-06-10 | Jx Nippon Oil & Energy Corp | 光学フィルム用メタクリル系樹脂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4494A (ko) | 2017-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31536B1 (de) | Assoziativverdicker aus säuremonomer, assoziativmonomer und nichtionischem monomer | |
KR102224745B1 (ko) | 2단계 제조로부터의 에멀전 중합체를 갖는 중합체 분산액 및 소음 저감제 조성물 | |
US10150824B2 (en) | Film-forming auxiliary | |
KR20160098330A (ko) | 고분자량 유화 중합체를 이용한 흡음 화합물 | |
CN103282340A (zh) | 取代的3-氧代戊酸酯及其在涂料组合物中的用途 | |
EP2510067B1 (de) | Haftklebstoff für pvc-folien | |
EP3222691A1 (en) | Water-based polymer dispersions comprising hydrophobic antimony-free flame retardants | |
KR102310659B1 (ko) | 현탁중합반응을 위한 2차 현탁제 | |
KR101781810B1 (ko) | 현탁중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 |
KR20080060140A (ko) | 내변색성 및 투과율이 우수한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 방법 | |
KR101844097B1 (ko) | 양친매성 및 불수용성 빗형 (메트)아크릴 중합체 | |
KR101827027B1 (ko) | 종이 코팅 평활제에서, 양친매성 및 비-수용성 빗형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용도 | |
CN110402257B (zh) | 乳液、乳液的制备方法及使用乳液形成涂膜的方法 | |
KR102456256B1 (ko) | 폴리머 비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 |
JP2003096261A (ja) | シクロヘキシルアクリレート系水性樹脂分散体組成物 | |
CN109908973B (zh) | 一种胶乳型互穿网络聚合物阳离子交换膜的制备方法 | |
KR101443844B1 (ko) | 내열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2007517097A5 (ko) | ||
JP3519119B2 (ja) | 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 |
JP3633327B2 (ja) |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重合体ビーズの製造法 | |
KR101430652B1 (ko) | 도로 피복용 수지 조성물 | |
KR102573095B1 (ko) | 현탁중합을 이용한 알칼리 수용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DE102004028391A1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wässriger Polymerisatdispersionen | |
EP2471823B1 (en) | New polymeric bead compositions | |
JPH10298521A (ja) | 粒状の感圧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