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665B1 - 지철구 - Google Patents

지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665B1
KR101780665B1 KR1020127021117A KR20127021117A KR101780665B1 KR 101780665 B1 KR101780665 B1 KR 101780665B1 KR 1020127021117 A KR1020127021117 A KR 1020127021117A KR 20127021117 A KR20127021117 A KR 20127021117A KR 101780665 B1 KR101780665 B1 KR 10178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se
pressing
hole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294A (ko
Inventor
샤오 동 우
Original Assignee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4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8Perforating by slitting, i.e. forming cuts closed at their ends without removal of material
    • B26F1/22Perforating by slitting, i.e. forming cuts closed at their ends without removal of material to form non-rectilinear cuts, e.g. for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플(staple)과 같은 철착재(綴着材)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매의 지엽류(紙葉類)를 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열람되는 지엽류에 대하여, 적절하고 용이하게 지철(紙綴) 처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천공(穿孔) 방향 및 절입(切入; cut-in) 방향이 핸들측이고, 윈도우부를 통하여 지철 처리에서의 천공 부분을 육안 관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열람되는 지엽류에 대하여, 적절하고 용이하게 지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절편에 의해 복수매의 지엽류 사이를 철착하므로, 철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철구{PAPER BINDING TOOL}
본 발명은, 복수 매의 지엽류(紙葉類)에 천공(穿孔)을 행하고, 이들을 일체로 철할 수 있는 지철구(紙綴具)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테이플러(stapler) 등에서의 스테이플(staple; 스테이플러의 금속제의 침)이나, 풀 재료(adhesive paste)를 사용하지 않고, 지엽류의 천공에 의해 형성되는 설편(舌片; ligulate strip)을 사용하여 지엽류를 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하는 도구로서는, 스테이플러가 사용되고 있다. 스테이플러는, 지엽류를 사이에 두고 가압함으로써 스테이플의 선단을 지엽류에 관통시키고, 이 관통공에 침을 통과시켜 지엽류를 일체로 철할 수 있는 기구(器具)이다.
이 스테이플러는, 간단한 작업으로 지엽류를 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한편, 위험성이나 파쇄기[shredder; 전단(剪斷) 파쇄기]를 사용할 때 문제가 있다. 즉,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박혀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철해진 지엽류로부터 스테이플을 분리하는 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사용자가 지엽류로부터 분리한 스테이플을 잃어 버릴 염려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잘못하여, 스테이플이 붙은 채로 철해진 지엽류를, 파쇄기나 복사기 등의 ADF(Auto Document Feeder)에 넣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에러에 의해, 파쇄기나 ADF 등의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스테이플 대신에 풀을 사용한 스테이플러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그러나, 이와 같은 스테이플러는, 풀의 보충 또는 교환이 곤란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풀에 의해 철해진 지엽류 사이의 접착 강도를 높이면서, 풀의 도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는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스테이플이나 풀 등과 같은 철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지엽류를 철하는 지철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 이와 같은 철착재를 사용하지 않는 지철구에서의 지철 단계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지철구에 있어서는, 먼저, 구멍내기 펀치와 같이, 복수매의 지엽류를 중첩한 상태에서 펀칭날을 가압하여 이들 지엽류에 천공한다. 단, 이 천공에 있어서는, 구멍내기 펀치와 달리, 지철구는 천공 부분을 지엽류로부터 완전히 떼어내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복수매의 지엽류 각각에 대하여, 지엽류의 일부만 잘라낸다(특허 문헌 2의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내지 도 8 참조). 즉, 지철구에 의해 천공된 지엽류 각각은, 지엽류로부터 잘라내진 설편 부분과, 다른 잘라내지지 않은 기부(基部)[설편 부분의 근원(根元) 부분])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지철구에 있어서는, 천공 동작에 전후하여, 펀칭날에 의해 잘라내진 설편을 받아 수용하기 위한 절입부(切入部; incision portion)를 형성한다(특허 문헌 2의 도 2 참조). 이 절입부는 펀칭날에 인접하여 설치된 나이프(상기 도 2의 부호 "3" 참조)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부가하여, 이 지철구는, 펀칭날에 부속되어 설치된 캠(상기 도 2의 부호 "5" 참조)에 의해, 각각의 지엽류에서의 설편을 모아서, 나이프에 의해 형성된 절입부에 압입(押入)한다.
이 지철구는, 이상과 같이 하여 지엽류를 일체로 철한다. 철해진 지엽류 군에는, 스테이플과 같은 철착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지엽류를 그대로 파쇄기에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철구를 계속 사용해도 철착 수단을 보충할 필요가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51648호 공보 일본특허공고 소41―327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소56―51389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은 지철구에서는, 복수매의 지엽류에 대하여 천공을 행하여 형성되는 설편을 이용하여 지엽류를 철한다. 즉, 지엽류가 철해지는 부분은, 설편을 형성하기 위해 천공되고, 또한 접혀지므로, 철해진 후에는 이 철해진 부분을 열람할 수 없다. 따라서, 지철구의 조작자는, 지철 처리에 있어서, 예를 들면, 문자 등의 인쇄 부분이 포함되지 않은 지엽류의 위치를, 지철 부분으로서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점에 있어서,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지철구에서는, 지철 처리 중에 지철 부분을 확인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철구에 삽입된 지엽류에서의 지철 부분은, 지철구의 천공 부재나, 커버(상기 도면 부호 "36" 참조) 등에 덮혀져 있으므로, 조작자에 의한 육안 관찰은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의 지철구의 조작자는, 지철구의 천공 부분에 지엽류를 놓기 전에, 지철 처리를 행하려고 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나서 지엽류를 탑재하고, 대략 짐작으로 지철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은 번거롭고 곤란하다. 또한, 지철 처리를 정확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지철구에 의한 지철 처리에 있어서는, 지엽류의 단부 등의 지철 부분에 인쇄된 문자 등의 열람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지엽류의 코너 부분이나 상단, 하단에 대하여 지철 처리를 행하고, 인쇄 일자, 페이지수, 발행원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될 경우, 지엽류의 열람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테이플과 같은 철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열람되는 지엽류에 대하여 적절하고 용이하게 지철 처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지철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중첩된 복수매의 지엽류에 천공을 행함으로써 상기 지엽류의 일부를 잘라내어 대략 설형의 절편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편의 근방에 절입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절편을 상기 절입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엽류를 철하는 지철구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세워 설치된 지지대; 회동축(回動軸)을 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접속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핸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핸들을 향해 돌출되고, 천공을 행하는 한쌍의 펀칭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핸들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절입을 형성하는 한쌍의 절입날;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고, 형성된 상기 절편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기 절편을 상기 지엽류의 방향으로 절곡하는 한쌍의 돌출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핸들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에서의 돌출 방향의 단부 각각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엽류가 탑재되는 탑재대; 상기 핸들과 상기 탑재대에 끼워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단부 각각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내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회동 가능한 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핸들측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수용공 및 그 주위를 투과하여 상기 탑재대의 상기 관통공 근방을 육안 관찰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탑재대와 함께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는 가압부; 상기 핸들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가압부의 수용공과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에 설치된 윈도우부;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와 상기 탑재대와의 상대적 위치를 근접시키고, 또한 상기 가압부와 함께 상기 탑재대를 상기 베이스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機構)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가압부와 상기 탑재대가 근접함으로써 상기 탑재대 상의 상기 지엽류가 협지되고, 또한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탑재대가 상기 지엽류를 협지한 상기 베이스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의 상기 단부 각각에 상기 지엽류를 가압하여, 상기 절편 및 상기 절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지엽류를 천공함으로써 일부가 접속된 절편을 형성하는 펀칭날; 상기 절편을 삽입 가능한 절입부를 형성하는 절입날과,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을 각각이 위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지지하고, 또한 상기 펀칭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과 대략 직교하고, 지엽류가 탑재되는 탑재면과, 상기 탑재면에 설치되고,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 각각의 선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가지는 탑재대; 상기 탑재면에서의 상기 베이스측에 설치되고, 상기 탑재면과 상기 펀칭날의 베이스부와의 근접에 따라 상기 펀칭날과 맞닿아 상기 펀칭날을 회동시키는 회동 기구; 상기 펀칭날에 설치되고, 상기 펀칭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절편을 상기 절입부에 압입하는 삽입부; 상기 탑재면의 위쪽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과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에 있어서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의 돌출 방향의 연장선 상이며 또한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의 선단을 수용하는 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위쪽으로부터 상기 탑재면 상의 지엽류를 육안 관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탑재면을 향해 이동 가능한 가압대; 상기 베이스로부터 적어도 상기 탑재면보다 위쪽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가압대 및 상기 탑재대를 협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을 포함하는 상기 가압대 중 적어도 일부를 위로부터 육안 관찰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부가 설치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른 상기 가압대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압대와 상기 탑재대가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고, 상기 핸들의 추가적인 회동에 따른 상기 가압대 및 상기 탑재대의 하강에 의해, 상기 협지된 상기 지엽류에 대하여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이 상기 절편 및 상기 절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구이다.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4에 관한 지철구는, 천공 방향 및 절입 방향이 핸들측이고, 지철 처리에서의 천공 부분을 윈도우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열람되는 지엽류에 대하여, 적절하고 용이하게 지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4에 관한 지철구에 의하면, 절편에 의해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착하므로, 철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착할 수 있다.
도 1a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의 외형을 지엽류의 삽입구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지철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서의 각 부의 구성 및 각 부의 접속 관계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압하(押下; pressed down)되기 전의 상태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3b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압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서의 A―A 부분의 단면(斷面)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A―A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b에서의 A′―A′부분의 단면으로서, 또한 지철구의 핸들이 압하된 상태에서의, 각 부의 상태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A′―A′단면도이다.
도 5a는 이 실시예에 관한 핸들의 회동 전의, 지철구의 외형 및 지철구의 내부 구조의 개요를 투시한 개략 상면도이다.
도 5b는 이 실시예에 관한 핸들의 회동 후의, 지철구의 외형 및 지철구의 내부 구조의 개요를 투시한 개략 상면도이다.
도 6a는 도 5a에서의 B―B 부분의 단면으로서, 핸들의 회동 전에서의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B―B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b에서의 B′―B′부분의 단면으로서, 핸들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B′―B′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5a에서의 C―C 부분의 단면으로서, 핸들의 회동 전에서의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C―C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5b에서의 C′―C′부분의 단면으로서,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C′―C′단면도이다.
도 7은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의 회동 전에서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a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8b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9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8b의 D―D 단면도이다.
도 10은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8b의 E―E 단면도이다.
도 11은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의해 지엽류의 코너를 철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a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회동한 후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13b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이 회동한 후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14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13b의 D′―D′단면도이다.
도 15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 있어서, 핸들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가압부, 탑재대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13b의 E′―E′단면도이다.
도 16은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에서의 절입날과 천공에 의해 형성된 설편과의 폭의 차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일례에 대해 도 1a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들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의 명료함의 확보를 위해, 철해지는 지엽류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의 전체 구성의 개략에 대하여,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지철구(100)의 외형을 지엽류의 삽입구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지철구(1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지철구(100)에서의 각 부의 구성 및 각 부의 접속 관계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지철구(100)는, 지엽류의 일부를 지엽류로부터 잘라내지 않고 남기면서, 한쌍의 펀칭날[(123c)/도 2]에 의해 지엽류에 천공을 행한다. 이로써, 먼저 지엽류에 연속된 채로의 설형(또는 사각형상)의 절편[이하, 단지 「설편(도 11/부호 "S" 참조)」라고 함]를 형성한다. 또한, 지철구(100)는, 천공을 행하지 않고 한쌍의 절입날(도 2 등/부호 "124" 참조)에 의해, 설편 S 각각의 근방에 절입부 C(도 11 참조)를 형성한다. 그 후, 지철구(100)는 지엽류로부터 잘라내진 설편 S를 절곡시키고, 절입날을 이용하여 상기 절입부에 각각 압입한다. 이로써,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할 수 있다.
지철구(100)의 외형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철구(100)는, 후방 베이스(101a)와 전방 베이스(101c)를 일련으로 연결하여 장치 전체의 베이스(기초)로 하고 있다. 또한, 후방 베이스(101a)와 전방 베이스(101c)와의 연결 부분에는, 후방 베이스(101a)와 전방 베이스(101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대략 위쪽)에 세워 설치된 지지판(1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103)의 선단측에는, 회동축(111)을 통하여 핸들(110)이 접속되어 있다. 핸들(110)은, 지지판(103)에 대하여,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110)은, 평판 또는 굴곡면을 가지는 판형이다. 또한, 핸들(110)은, 베이스(101)에 대하여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지지판(103)에 접속된다. 또한, 회동축(111)은, 베이스(10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후방 베이스(101a)로부터 전방 베이스(101c)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도 1a, 도 1b에서의 방향 X3)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X4)으로 한다. 또한, 이 전방, 후방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도 1a, 도 1b에서의 방향 X1), 하측(X2), 좌측, 우측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단, 이 전후 상하 좌우의 정의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철구(100)의 사용 시의 방향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베이스(101a) 및 전방 베이스(101c)와 핸들(110)과의 사이에는, 핸들(110) 측으로부터 순차로, 가압부(120), 탑재대(121)가 설치되어 있다. 탑재대(121)는, 지철구(100)를 사용하여 철하려고 하는 지엽류를 탑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탑재대(121)는, 전방 베이스(101c)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탑재대(121)는, 전방 베이스(101c)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탑재대(121)는, 전방 베이스(101c)와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전방 베이스(101c)에 가이드되면서, 전방 베이스(101c)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탑재대(121)의 상면이 전방 베이스(101c)의 하면에 대하여 상하 이동된다.
또한, 탑재대(121) 상에는 가압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120)에 대해서도, 탑재대(121)에 가이드되면서, 전방 베이스(101c)에 대하여 상하 이동된다. 가압부(120)의 상하 이동은, 용지 가압 시에는 탑재대(121)와 독립적으로 행해지고, 천공 시에는 탑재대(121)와 함께 행해진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엽류는, 지철구(100)에 대하여 삽입구(104)로부터, 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도면 중 X4 방향으로) 삽입된다. 삽입된 지엽류는, 탑재대(121) 상에 탑재된다.
각 부의 접속 관계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철구(100) 전체의 기초가 되는 최하부에 있어서 전방 베이스(101c), 지지판(103), 후방 베이스(101a)의 순으로 연결되어 조합되어 베이스(101)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베이스(101c)에는, 탑재대(121) 등의 상하 이동의 가이드를 행하는 제1 원통부(107)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원통부(107)에는, 천공 하중의 조정을 행하는 제1 탄성 부재(1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 베이스(101c)에는, 유지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즉, 유지부(108)에는, 대략 L자 형상의 설편 처리부(123)와 절입날(124)이, 그 날부[펀칭날(123c) 등]를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편 처리부(123)는, 회동축(124a)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설편 처리부(123)의 선단에는, 회동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3e)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23e)는, 절입날(124)의 걸어맞춤공(124c)에 설편 S를 압입하는 것이다.
베이스(101) 상에는 탑재대(121)가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된 베이스(101)의 제1 원통부(107)에 대하여 제1 가이드공(121c)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1 가이드공(121c)에 제1 원통부(107)가 통과하고 있으므로, 전방 베이스(101c)에 대한 탑재대(121)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된다.
탑재대(121) 상에는 가압부(120)가 배치된다. 가압부(120)는,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가이드 지주(支柱)(120g)를 가진다. 제2 가이드 지주(120g)는, 제1 가이드공(121c)을 통과한 제1 원통부(107)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로써, 가압부(120)는,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에 접속된다.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에 대한 가압부(120)의 상하 이동은, 제2 가이드 지주(120g)에 의해 가이드된다.
가압부(120) 상에는 핸들(110)이 배치된다. 핸들(110)은, 핸들 프레임(110e)과 핸들 커버(110d)를 가지고 구성된다. 핸들 커버(110d)는, 핸들 프레임(110e)의 커버이다. 핸들 프레임(110e)에 회동축(111)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핸들(110)이 지지판(10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돌출단(110a)과 회동축(111)과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핸들 프레임(110e)에는 가압축(112)이 통해져 있다. 가압축(112)은, 가압부(120)의 걸어맞춤부(120h)에도 삽통(揷通)되어 있다. 이 가압축(112)에 의해 핸들(110)과 가압부(120)가 접속된다.
또한, 탑재대(121)에는 관통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120)에는 수용공(1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을 통해서, 설편 처리부(123)의 펀칭날(123c)이나, 절입날(124)이 통과한다.
그리고, 지지판(103)은, 본 발명의 「지지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개구부(110c) 및 가압부(120)는, 본 발명의 「윈도우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05)는, 본 발명의 「가압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제1 가이드공(121c)은, 본 발명의 「삽통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제1 원통부(107)는, 본 발명의 「지주」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회동축 삽통공(110f)은, 본 발명의 「축공(軸孔)」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설편 처리부(123)의 펀칭날(123c) 및 절입날(124)의 선단의 날부는, 본 발명의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에서의 입설 방향의 단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적어도 제1 원통부(107), 제2 가이드 지주(120g) 및 제1 가이드공(121c)은, 본 발명의 「이동 기구」의 일례에 해당하고, 또한 「이동 기구」로서는, 제2 탄성 부재(125), 제1 탄성 부재(105)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이동 기구」로서는, 걸어맞춤부(120h), 가압부 가이드(120e), 제2 가이드공(121e) 및 가압축(11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해도 된다.
(동작의 개요)
다음에,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의 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이 압하되기 전의 상태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3b는,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이 압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서의 A―A 부분의 단면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A―A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b에서의 A′―A′부분의 단면으로서, 또한 지철구의 핸들이 압하되고, 천공, 설편 S의 절곡 및, 설편 S의 절입부 C에 대한 압입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각 부의 상태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A′―A′단면도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이하의 동작의 개요에 있어서는, 이미 조작자가 철하려고 하는 지엽류가 삽입구(104)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지엽류가 탑재대(121) 상에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a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에 의해 핸들(110)을 압하하는 조작이 행해지기 전에 있어서는, 핸들(110) 측에 위치하는 가압부(120)는, 탑재대(121)에 대하여 소정 간극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다. 여기서 도 3b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핸들(110)의 예를 들면, 돌출단(110a)을 파지(把持)하여 핸들(110)을 아래쪽으로 압하하면, 먼저 핸들(110)이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고, 핸들(110)의 하면이, 후방 베이스(101a)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상면측으로 압하되고, 양쪽 면이 가까워진다.
핸들(110)이 회동되기 시작하면, 핸들(110)에 가해진 힘은, 먼저 가압부(120)의 걸어맞춤부(120h)에 유지된 가압축(112)에 작용한다. 그 결과, 핸들(110)에 유지된 가압축(112)을 통하여, 가압부(120)가 핸들(110)의 회동에 따라 하강한다. 여기서, 핸들(110)이 압하되기까지는, 가압부(120)는, 탑재대(1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상측으로 가압되어 있다(도 4a, 도 2/부호 "125"). 따라서, 핸들(110)이 하강하기 시작할 때는,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가압부(120)가 하강하고, 탑재대(121) 상의 지엽류에 가까워진다.
가압부(120)가 하강하여 탑재대(121) 상의 지엽류와 맞닿고, 또한 핸들(110)이 회동되면, 가압부(120)는 지엽류와 탑재대(121)를 압하한다. 또한, 탑재대(121)에 대해서도, 가압부(120)를 통하여 압하되기까지는, 전방 베이스(101c)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 즉, 상측으로 가압되어 있다(도 4a·도 2/부호 "105"). 따라서, 가압부(120)가 탑재대(121)를 압하하기 시작할 때는, 가압부(120)의 하면과 탑재대(121)의 상면이 지엽류를 협지한 상태에서,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탑재대(121)를 압하한다.
도 2에 나타낸 설편 처리부(123) 및 절입날(124)은, 각각 전방 베이스(101c)의 유지부(108)에 고정되어 있다(도 6a 참조). 또한, 설편 처리부(123) 및 절입날(124)은, 각각 상단측에 날부가 설치되어 있다. 탑재대(121)가 하강하면, 설편 처리부(123) 및 절입날(124)의 날부는, 관통공(121a)을 통하여 탑재대(121)의 상면을 통과한다. 이 때 가압부(120)가 탑재대(121) 상의 지엽류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설편 처리부(123)가 지엽류에 대하여 천공을 행하여 설편 S를 형성하고, 또한 절입날(124)이 지엽류에 절입부 C를 형성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10)의 돌출단(110a)이 후방 베이스(101a)와 접근하는 상태까지 회동되면, 설편 처리부(123)가 회동된다. 설편 처리부(123)의 돌출부(123e)는, 천공에 의해 형성된 설편 S를, 절입날(124)의 걸어맞춤공(124c)에 압입한다. 또한, 절입날(124)은, 베이스(101)로 돌아오려고할 때, 설편 S를 절입부 C에 압입한다. 지철구(100)는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지철 처리를 행한다.
(전체 구성)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 1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의 회동 전의 상태에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투시 상면도이다. 도 5a에 있어서 핸들(110)의 핸들 커버(110d)를 투시하여,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 등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도, 그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의 개요를 나타낸 개략 투시 상면도이다. 도 6a는, 도 5a에서의 B―B 부분의 단면으로서, 핸들(110)의 회동 전에서의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B―B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b에서의 B′―B′부분의 단면으로서, 핸들(110)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B′―B′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5a에서의 C―C 부분의 단면으로서, 핸들(110)의 회동 전에서의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C―C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5b에서의 C′―C′부분의 단면으로서, 천공 부분 및 절입 형성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C′―C′단면도이다. 도 7은 핸들(110)의 회동 전에서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a는, 핸들(110)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8b는, 핸들(110)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9는 핸들(110)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8b의 D―D 단면도이다. 도 10은, 핸들(110)이 회동하기 전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8b의 E―E 단면도이다.
〈베이스의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지철구(100)에 있어서 베이스로 되는 구성은, 후방 베이스(101a), 전방 베이스(101c), 및 지지판(103)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베이스(101a)는, 그 후방측 단부가 곡선형으로 되어 있다. 후방 베이스(101a)의 전방측은, 지지판(103)과 전방 베이스(101c)를 받아들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베이스(101a)의 전방(X3 방향) 측에는 지지판(10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103)이 설치된 후방 베이스(101a)에는, 전방 베이스(101c)가 서로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03)은, 베이스(101)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세워 설치된 평판형의 한쌍의 측판과, 이들 측판의 각각을 연결하는 바닥판 부분을 가지고 있다. 측판은,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측판의 선단부는, 전방을 향해 굴곡된 대략 역 L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지판(103)에서의 측판의 선단부는, 회동축(111)을 통하여 핸들(11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동축(111)과의 접속을 위해, 측판 각각의 선단부에는, 베어링부(103a)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103a)는, 회동축(111)의 축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지지한다. 회동축(111)은, 지지판(103)에 의해, 지철구(100)의 바닥면과 대략 평행하게 지지된다.
또한, 도 2,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베이스(101c) 상면에는, 전방(X3 방향) 측에 유지부(108)가 설치되고, 후방(X4 방향) 측에 제1 가이드 지주(106)(도 4a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사이의 위치에는, 좌우로 나란히 한쌍의 제1 원통부(107)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108)는, 한쌍의 설편 처리부(123)와 한쌍의 절입날(124)을, 각각의 날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유지부(108)는, 설편 처리부(123) 각각을 회동축(124a)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설편 처리부(123)는, 예를 들면, 설편 처리부(123)의 돌출부(123e)의 돌출 방향의 연장선 각각이 교차하도록 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절입날(124)은, 날부의 방향이 설편 처리부(123)의 돌출부(123e)의 돌출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한 방향으로 유지된다. 이 구성은, 돌출부(123e)가 절입날(124)의 걸어맞춤공(124c)을 통과하여 설편 S를 절입날(124)에 압입하는 동작을 위해서이다(도 6b 참조).
제1 가이드 지주(106)는, 전방 베이스(101c)에서의 전방(X3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지주(106)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탑재대(121)의 하부 유지부(121g)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도 4b), 제1 가이드 지주(106)의 직경은, 하부 유지부(121g)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베이스(101c)의 전후 방향에서의, 제1 가이드 지주(106)와 유지부(108)와의 사이에는,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된 한쌍의 제1 원통부(107)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가압부(120)의 제2 가이드 지주(120g)를 삽통 가능하도록, 제1 원통부(107)의 직경은, 제2 가이드 지주(120g)보다 크다. 또한, 탑재대(121)의 제1 가이드공(121c)의 내부를 통할 수 있도록, 제1 원통부(107)의 직경은, 제1 가이드공(121c)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제1 가이드공(121c) 및 제2 가이드 지주(120g)와의 걸어맞춤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방 베이스(101c)의 제1 원통부(107)의 주위에는, 제1 탄성 부재(105)가 권취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105)는, 탑재대(121)의 탑재면의 하면까지 도달하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제1 탄성 부재(105)의 폭은, 제1 원통부(107)의 주위로 신축 가능하도록, 제1 원통부(107)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105)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 부재가 사용된다.
〈핸들의 구성〉
도 2,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10)은, 핸들 커버(110d) 및 핸들 프레임(110e)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프레임(110e)은, 천정판과 측판을 가지고 있다. 천정판은, 핸들(110)의 돌출단(110a)으로부터 회동축(111) 측까지를 덮는 것이다. 측판은, 천정판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한다. 핸들 프레임(110e)의 측판 각각은, 베이스(101)와 지지판(103)의 측판과의 사이에 협지된 위치에 배치된다. 측판 각각에는, 지지판(103)의 베어링부(103a)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동축(111)을 통하게 하는 회동축 삽통공(110f)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111)을 회동축 삽통공(110f)을 통하게 하고, 또한 회동축(111)을 지지판(103)에 통과하게 함으로써, 핸들 프레임(110e)은 지지판(10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 프레임(110e)의 측판에는, 핸들(110)의 돌출단(110a)과 회동축(111)과의 사이의 위치에, 가압축 삽통공(110g)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축 삽통공(110g)에 가압축(112)을 삽통시킴으로써, 핸들 프레임(110e)이 가압축(112)을 유지한다. 그리고, 가압축(112)은 지지판(103)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커버(110d)는, 핸들 프레임(110e)보다 한층 크게 형성되고, 또한 지지판(103)보다 광폭(廣幅)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커버(110d)는, 핸들 프레임(110e)과 지지판(103)을 덮는 것이다.
여기서, 핸들 프레임의 측판이, 베이스로 되는 지지판을 협지하는 구성의 지철구에 있어서는, 핸들을 압하하면 핸들에서의 베이스측의 면(하면)이 지지판의 상단과 맞닿는다. 즉, 지지판의 높이가 높을수록, 핸들의 회동 범위는 제약을 받는다. 즉, 핸들을 내려가면, 핸들의 하면이 베이스와 가까워지기 전에 지지판의 상단과 맞닿는다. 또한, 그 이상 핸들을 압하하도록 해도, 지지판의 상단에 방해되어 내려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설편 S를 형성하고, 절입부 C에 삽입하여 지엽류를 철하는 지철구에 있어서는, 지엽류의 천공뿐아니라 설편 S의 삽입도 필요로 하므로, 펀칭날을 포함하는 설편 처리부의 상하 이동의 거리가 천공 펀치와 비교하여 길어진다. 즉, 설편 처리부의 스트로크는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베이스와 핸들의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설편 처리부의 스트로크 길이를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각도가 크면 클수록 지철 처리의 조작성은 열화된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철구(100)는, 핸들 프레임(110e)이 지지판(103) 사이에 협지되는 구성이다. 즉, 핸들 프레임(110e)이 내리눌러졌을 때, 핸들(110)의 하면이 지지판(103)의 상단과 맞닿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즉, 핸들의 회동 범위는 지지판(103)의 높이에 따라서 제약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설편 처리부(123)의 상하 이동의 스트로크 길이를 확보하면서, 지철 처리의 조작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10)의 돌출단(110a)이 후방 베이스(101a)에 접근한다. 이 때, 회동축(111) 근방에 있어서 핸들 프레임(110e)의 상면이 지지판(103)의 상단 위치보다 하강한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생긴 경우에 있어서, 핸들(110)의 압하를 행하고 있는 조작자의 손이 상기 회동축(111) 근방에 있는 경우, 지지판(103)과 핸들 프레임(110e)의 상면과의 높이의 차이가 작업의 방해로 되어 상기 압하 작업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철구(100)에서는, 핸들 커버(110d)를 설치하고 지지판(103)마다 핸들 프레임(110e)을 덮고 있다. 따라서, 핸들(110)의 압하를 행하고 있는 조작자의 손이 상기 회동축(111) 근방에 있는 경우라도, 작업의 방해로 되지 않고, 이와 같은 핸들(110)의 압하 작업의 방해로 되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핸들 프레임(110e) 및 핸들 커버(110d)에는, 회동축(111) 측에 있어서 개구부(110c)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10c)는, 적어도 가압부(120)의 수용공(120a) 및 상기 수용공(120a)의 주위를 포함하는 영역의 상측에 형성된다. 개구부(110c)에 의해, 핸들(110)보다 베이스(101) 측에 탑재된 지엽류의 기재 내용, 천공 위치나 지철구(100) 각 부의 상태를 조작자가 인식 가능해진다. 이 구성에 더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120)를 투명하게 하는 등의 구성을 채용하면, 탑재대(121)에 탑재한 지엽류의 상면을 육안 관찰 가능해진다. 또한, 개구부(110c)가 형성되는 위치를 수용공(120a) 및 그 주위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한 것은, 수용공(120a)이 지엽류에 대한 천공 부분으로 되므로, 조작자가 그 부분을 육안 관찰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도 1a, 도 2 등에 나타낸 개구부(110c)는, 핸들(110)의 전방측이 잘라내어져 대략 U자형으로 되고,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윈도우부」로서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윈도우부는 반드시 전방측을 잘라내어 개방하도록 한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a의 개구부(110c)를 일부 변경하고, 핸들(110)의 회동축(111) 상측 부분을 덮도록 해도 된다. 환언하면, 핸들(110)의 전단측을 좌우에 걸쳐서 가로지르도록, 핸들(110) 상면을 잘라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윈도우부이면, 핸들(110)은, 사각형,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가압부의 구성〉
가압부(120)는, 탑재대(121) 상의 지엽류를 누르는 동시에, 탑재대(121)를 압하하는 것이다. 도 2, 도 4a 내지 도 6b,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에는 수용공(120a), 육안 관찰공(120c), 가압부 가이드(120e), 제2 가이드 지주(120g), 걸어맞춤부(120h) 및 상측 유지부(120j)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는, 베이스(101) 측으로 되는 하면에, 설편 처리부(123)의 펀칭날(123c) 및 돌출부(123e)를 각각 수용 가능한 수용공(1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120a)은, 전방 베이스(101c)의 유지부(108)(도 2 참조)에 유지된 설편 처리부(123)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수용공(120a)은, 돌출부(123e)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수용공(120a)은, 절입날(124)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수용공(120a)의 위치를 펀칭날(123c)에 맞추어 조정해도 된다. 이 위치맞춤에 의해서는 수용공(120a)에 들어오는 설편 처리부(123)의 스트로크 동작의 가이드로 된다. 그리고, 이 수용공(120a)은 반드시 가압부(120)의 상면까지 관통시키지 않아도 된다. 단, 본 실시예와 같이 수용공(120a)을 관통공으로 하면, 조작자의 천공 부분에 대한 육안 관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일하게, 도 2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는 하면에 있어서, 천공 부분의 육안 관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면까지 관통된 육안 관찰공(12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육안 관찰공(120c)도, 가압부(120)의 상면까지 관통시키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조작자의 천공 부분에 대한 육안 관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육안 관찰공(120c)을 관통공으로 하고 있다. 핸들(110)의 개구부(110c) 및 육안 관찰공(120c)을 통하여 조작자는 천공하도록 하는 지엽류의 천공 개소(箇所) 및 그 주위의 영역을 육안 관찰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도 2 및 도 5a, 도 5b, 도 7, 도 8a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에는, 하면의 전방에 있어서 한쌍의 가압부 가이드(120e)가 좌우에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 가이드(120e)는 대략 기둥형을 이루는 동시에 각각 아래쪽으로 신장되고, 후술하는 제2 가이드공(121e)에 삽통된다. 즉, 가압부 가이드(120e)는, 가압부(120)가 탑재대(121)에 대하여 상하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 되는 것이다. 이 가압부 가이드(120e)에 의해, 지엽류의 가압구 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20)와 탑재대(121)에 의해 지엽류가 협지된 채로 하강할 때, 가압부 가이드(120e)는, 가압부(120)를 탑재대(121)에 대하여 쉽게 어긋나지 않게 한다. 그 결과, 지엽류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나서 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 및 도 5a, 도 5b,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 하면에는, 가압부 가이드(120e)보다 약간 전방에 있어서, 제2 가이드 지주(120g)가 좌우에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지주(120g)는, 전방 베이스(101c)의 제1 원통부(107) 및 제1 가이드공(12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5a, 도 5b 참조). 도 6a, 도 6c,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 가이드 지주(120g)는 대략 기둥형을 이루는 동시에 각각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지주는, 후술하는 탑재대(121)의 제1 가이드공(121c)을 통과한 제1 원통부(107)에 삽통된다. 즉, 제2 가이드 지주(120g)는, 가압부(120)가 탑재대(121)와 함께 전방 베이스(101c)에 대하여 상하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 된다. 이 제2 가이드 지주(120g)에 의해, 또한 가압부(120)와 탑재대(121)에 의해 지엽류가 협지된 채로 하강할 때, 제2 가이드 지주(120g)는, 가압부(120)를 전방 베이스(101c)에 대하여 쉽게 어긋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지철구(100)에 의한 지엽류에 대한 천공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 도 7 및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 상면에는, 그 좌우 측방에 있어서 상측에 세워 설치되는 걸어맞춤부(120h)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120h)에는, 각각 마주보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20h)의 개구는, 그 내부에 있어서 가압축(11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이 개구에는, 핸들 프레임(110e)에도 통하는 가압축(112)이 삽통된다. 이 걸어맞춤부(120h)에 의해, 핸들(110)과 가압부(120)가 연동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철구에 의해 설편 삽입이 완료된 후에 있어서, 지엽류를 철착시키는 설편은 철하는 매수에 따른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 두께를 가지는 설편은, 탑재대(121)의 관통공(121a)이나 가압부(120)의 수용공(120a)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설편 부분이 각 구멍에 걸려, 각 구멍에 머문 채로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생기면, 설편에 연속되는 지엽류는 설편과 함께, 가압부(120)와 탑재대(121) 사이에 걸린 채로 머문다. 이에 대하여, 다른 쪽의 핸들(110)만은 제2 탄성 부재(125)에 의해 가압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가압부(120)는 걸린 설편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다. 용지 가압구에 필요한 제2 탄성 부재(125)의 가압력은, 제1 탄성 부재(105)의 가압력만큼 강하지 않아, 이 경우의 가압부(120)의 걸림을 해소하기에 이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이 생겼을 때, 지엽류의 걸림을 해소하고, 지철구(100)를 원 상태로 되돌리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그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면, 걸린 지엽류를 억지로 인장시킴으로써, 지엽류가 해방되어 가압부(12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철해진 지엽류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지철구(100)에서는, 핸들(110)과 가압부(120)가 걸어맞춤부(120h) 및 가압축(11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설편 삽입이 완료된 후, 제2 탄성 부재(125)의 가압력으로 가압부(1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았던 경우라도, 핸들(110)을 수동으로 원래로 되돌림으로써, 연동하여 가압부(12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설편의 선단부 등이 관통공(121a)이나 수용공(120a)으로부터 나오지 않게 되어, 가압부(1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상태가 생겨도, 수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작업은 용이하다. 또한, 가압부(120)가 원래로 돌아오지 않게 되었을 때, 핸들(11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설편의 선단을 관통공(121a)으로부터 제거하고 나서, 수용공(120a)에 걸린 설편을 제거하는 작업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철해진 지엽류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 하면에는, 가압부 가이드(120e) 각각에 협지된 위치에, 제2 탄성 부재(125)의 상단부를 유지하는 상측 유지부(120j)(도 2, 도 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탄성 부재(125)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 부재가 사용된다.
또한, 가압부(120)는, 전체가 투명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체를 투명 부재로서 구성하지 않고, 수용공(120a) 및 상기 수용공(120a)의 주위의 영역을 투명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탑재대(121)의 관통공(121a)과 상기 관통공(121a)의 주위 영역의 상측이 투명하면, 지엽류에 대한 천공 부분 및 그 주위의 상태를 조작자가 인식 가능해진다. 또한, 반드시 가압부(120)를 투명 부재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망의 눈금형, 체형(sieve type)으로 구성하여 지엽류에 대한 천공 부분 및 그 주위의 상태를 조작자가 인식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철구(100)는, 천공을 행하여 설편 S를 형성하는 펀칭날(123c), 절입부 C를 형성하는 절입날(124), 설편 S를 절곡하는 돌출부(123e) 등이 모두 베이스(10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핸들(110) 측의 가압부(120)에는, 최저한, 설편 처리부(123), 절입날(124)의 날부 등을 받아들이는 수용공(120a)을 형성하면 된다. 즉, 이 구성에 의해 가압부(120)의 공간 절약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 공간 절약화에 의해, 예를 들면, 가압축(112)과 회동축(111)과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핸들(110)에 대한 수동력을 양호한 효율로 전해 천공 하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간 절약화에 의해, 가압부(120)에 대하여 회동축(111)을 전방에 배치하고, 가압부(120) 상면의 높이보다, 회동축(111)을 낮게 할 수 있다. 회동축(111)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지지판(103)의 높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지철구(100)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철구(100)를 휴대형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핸들(110)의 돌출단(110a)과 후방 베이스(101a)의 후단과의 거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철 작업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탑재대의 구성〉
탑재대(121)는, 상면을 탑재면으로 하여 지엽류의 일단을 유지하여, 가압부(120)와의 사이에 지엽류를 협지한다. 탑재대(121)가 지엽류를 협지한 채 압하됨으로써, 펀칭날(123c) 및 절입날(124)의 날부에 지엽류가 가압된다. 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천공 및 절입이 형성된다. 탑재대(121)에는, 관통공(121a)(도 2, 도 6a), 제1 가이드공(121c)(도 2, 도 5a, 도 5b, 도 9), 제2 가이드공(121e)(도 2, 도 5a, 도 5b), 하부 유지부(121g)(도 2, 도 9) 및 게이지대(121j)(도 2, 도 4a, 도 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대(121)의 지엽류의 탑재면에 있어서 펀칭날(123c) 및 돌출부(123e) 각각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21a)은, 설편 처리부(123)의 위치, 즉, 설편 처리부(123)를 유지하는 전방 베이스(101c)의 유지부(108)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관통공(121a)은 설편 처리부(123)의 돌출부(123e)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121a)은, 절입날(124)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관통공(121a)은, 탑재면에서의 지엽류까지 설편 처리부(123) 및 절입날(124)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도 2, 도 5a, 도 5b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대(121)의 탑재면에는, 한쌍의 제1 가이드공(12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가이드공(121c)은 전방 베이스(101c)에서의 제1 원통부(10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제1 가이드공(121c)은, 도 5a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원통부(107) 및 제2 가이드 지주(120g)보다 큰 직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가이드공(121c)은, 제2 가이드 지주(120g)를 삽통시키는 제1 원통부(107)에 가이드되어, 전방 베이스(101c)에 대하여 탑재대(121)를 상하 이동할 때의 위치맞춤에 이용된다.
또한, 도 2,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대(121)의 탑재면의 후방에는, 한쌍의 제2 가이드공(12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가이드공(121e)은 가압부(120)에서의 가압부 가이드(120e)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제2 가이드공(121e)은, 가압부 가이드(120e)를 삽통시켜, 가압부(120)의 탑재대(121)에 대한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대(121)에는, 제2 가이드공(121e) 각각에 협지된 위치에, 제2 탄성 부재(125)의 하단부를 유지하는 하부 유지부(121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대(121)에는, 설편 처리부(123)의 갈고리형부(123g)에 대응하는 위치에, 융기부(121f)가 좌우에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융기부(121f)는 각각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탑재대(121)가 하강할 때 선단이 설편 처리부(123)의 갈고리형부(123g)와 맞닿고, 갈고리형부(123g)를 압하한다. 갈고리형부(123g)가 압하되면, 설편 처리부(123) 전체가 회동축(12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설편 처리부 및 절입날의 구성〉
다음에, 도 2, 도 4a, 도 5a,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편 처리부(123)의 구성, 회동 방향 및 유지부(108)에 대한 접속 방향, 및 절입날(12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 의해 지엽류의 코너를 철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 처리부(123)는, 전방 베이스(101c)에 장착되는 측의 하단에 회동축(124a)을 삽통시키는 회동 기부(123a)가 설치되고, 상단에 지엽류에 천공을 행하는 펀칭날(123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편 처리부(123)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펀칭날(123c)과 일련으로 형성된 돌출부(123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동 기부(123a)의 측방으로부터 설편 처리부(123)의 높이 방향(상측/도 1·X1 참조)과 직교하는 갈고리형부(123g)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 방향」이란, 회동 기부(123a)로부터 펀칭날(123c)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 처리부(123)는, 전방 베이스(101c)의 유지부(108)의 베어링부(108a)에 회동축(124a)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설편 처리부(123)는 회동축(12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120) 및 탑재대(121)에, 수용공(120a) 및 관통공(121a)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2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은 설편 처리부(123) 및 절입날(124)의 지철구(100)의 전후 방향에 대한 설치 각도 및 크기에 맞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설편 처리부(123) 각각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 각도 α(도 11)를 부여하여 유지부(108)에 유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123e) 각각의 돌출 방향을 연결하는 가상 연장선이 소정 각도 α로 된다.
또한, 펀칭날(123c)에 끼워지도록 하여, 절입날(1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절입날(124)은, 설편 처리부(123)와 마찬가지로 유지부(10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날부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날부는 폭 방향이 돌출부(123e)의 돌출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입날(124)은 설편 처리부(123)의 돌출부(123e)를 통과할 수 있는 걸어맞춤공(124c)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펀칭날(123c)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각각의 설편 S를 각각이 절곡한다. 그 결과, 펀칭날(123c)에 의해 형성된 설편 S는, 설편 처리부(123)의 회동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다(도 11 참조). 또한, 절입날(124)은, 그 폭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123e)의 회동 방향과 대략 직교한다. 또한 절입날(124)에는, 설편 처리부(123)의 돌출부(123e)를 통하는 걸어맞춤공(124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123e)가 절곡된 설편 S는 걸어맞춤공(124c)에 압입되고, 또한 절입날(124)이 하강했을 때, 설편 S는 걸어맞춤공(124c)에 압입된 지엽류를 통과하고, 절입부 C에 압입된다.
단, 설편 S를 절입부 C에 압입하는 수단으로서, 반드시 절입날(124), 걸어맞춤공(124c)을 사용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돌출부(123e)가 절입부 C의 위치까지 회동하고, 설편 S를 절입부 C에 압입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설편 S를 압입하는 돌출부(123e)는 반드시 펀칭날(123c)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입부 C에 압입된 설편 S끼리는 서로 마주보고, 설편 S의 돌출 방향의 가상 연장선은 정면으로 대향하거나 또는 교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관한 설편 처리부(123)의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소정 각도 α가 주어져 베어링부(108a)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지철구(100)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 각도 α를, 대략 90°내지 150°정도로 하고, 돌출부(123e) 각각의 돌출 방향의 연장선끼리가 대략 「V자」를 형성하도록 베어링부(108a)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지엽류의 코너를 철할 때 바람직하다. 즉, 철해진 지엽류의 코너의 영역에 인쇄 등이 되어 있는 경우, 그 인쇄 부분에 설편 S나 천공된 구멍이 중첩되어 버리면, 상기 부분의 인쇄 내용을 인식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각도 α가 예를 들면 90°~ 150°정도면 그와 같은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 α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철구(100)에 대한 지엽류를 꽂는 방향을 향해 본 경우의 각도이다.
이와 같이 각도 α를 정함으로써, 철착이 풀리기 쉬운 넘김 방향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설편 S가 한쪽밖에 존재하지 않으면, 절입부 C로의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지엽류를 넘기는 동작으로 되면 설편 S가 절입부 C로부터 빠지게 된다. 또한, 설편 S가 복수 있어도, 각각의 설편 S가 절입부 C 각각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삽입되어 있으면 마찬가지로 절입부 C로부터 빠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지철구(100)에 의해 철해진 지엽류는, 그 철착 부분에 있어서, 한쪽의 설편 S에서의 절입부 C에 대한 삽입 방향의 연장선과 다른 쪽의 설편 S에서의 절입부 C에 대한 삽입 방향의 연장선이 교차한다. 따라서, 한쪽의 설편 S의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지엽류를 넘기는 동작으로 된 경우라도, 그 설편 S가 절입부 C로부터 제거되는 동작을 다른 쪽의 설편 S가 방해한다. 즉, 한쪽의 설편 S가 절입부 C로부터 벗어날 지엽류의 움직임을, 절입부 C에 압입된 다른 쪽의 설편 S의 존재에 의해 억지, 또는 저지한다. 따라서, 지엽류 사이의 철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설편 S에 의해, 지엽류 사이를 철착시키므로, 스테이플이나 풀과 같은 철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착하게 하므로, 파쇄기나 ADF의 파손이 생기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철착재의 보충이 필요없어, 계속적으로 사용했을 때도 번거로운 철착재의 교환 작업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6c 및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 처리부(123)는 제3 탄성 부재(126)를 통하여 유지부(108)에 장착되어 있다. 제3 탄성 부재(126)로서는, 설편 처리부(123)의 회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 사용된다. 설편 처리부(123)가 일단 회동되어도, 제3 탄성 부재(126), 예를 들면, 토션 코일 스프링과 같이 변형된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설편 처리부(123) 및 절입날(124)의 동작 및 가압부(120) 및 탑재대(121)의 동작에 대해서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도 6a 내지 도 6d, 도 7 내지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a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이 회동한 후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13b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이 회동한 후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상면도이다. 도 14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13b의 D′―D′단면도이다. 도 15는,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 있어서, 핸들(110)의 회동 후의 상태에서의 가압부(120), 탑재대(121) 및 전방 베이스(101c)의 위치 관계의 개략을 나타낸 도 13b의 E′―E′단면도이다.
〈핸들 압하 전의 상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10)이 회동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가압부(120)와 탑재대(121)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탄성 부재(125)가 탑재대(121)의 탑재면으로부터 가압부(120)를 사이를 띄우도록 가압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이 소정 간격을 둔 부분은, 지철구(100)에 의해 철하려고 하는 복수매의 지엽류의 배치 영역으로 된다. 또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 및 탑재대(121) 사이에서의 지엽류 배치 영역의 전방 단부가 삽입구(104)로 된다.
〈핸들 압하 개시 시의 상태〉
도 4a로부터 도 4b로 이행하는 상태, 즉, 핸들(110)이 회동되기 시작하면, 핸들(110)에 유지된 가압축(112)이 가압부(120)의 제2 탄성 부재(1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가압부(120)의 상면을 압하한다. 가압부(120)의 걸어맞춤부(120h)는, 각각 가압축(112)의 양단을 둘러싸도록, 가압축(112)을 내부에 삽통하고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120h)는, 가압축(112)이 그 내부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여유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120h)의 구성에 의해, 가압축(112)은 가압부(120)를 압하할 때, 걸어맞춤부(120h)의 내부를 대략 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것은 핸들(110)의 회동에 따라 가압축(112)이 후방[돌출단(110a) 측]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힘의 방향을, 아래쪽으로의 대략 직선형의 압압력으로 바꾸기 위한 동작이다. 즉, 제2 가이드 지주(120g)가, 전방 베이스(101c)의 제1 원통부(107) 측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하강하므로, 가압부(120) 및 탑재대(121)를 압하하는 천공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110)에 유지된 가압축(112)이 가압부(120)를 압하할 때는, 가압부 가이드(120e)가 탑재대(121)의 제2 가이드공(121e)의 내부를 통과한다. 즉, 가압부(120)는, 제2 가이드공(121e)에 가이드되어, 그 전체가 탑재대(121)의 전면을 향해 이동한다.
〈탑재대 압하 개시 시의 상태〉
가압부(120)가 탑재대(121) 상의 지엽류의 상면(탑재면)에 도달하면, 탑재대(121)의 상면과 가압부(120)의 하면의 전방측으로 지엽류를 협지한다. 또한, 가압축(112)이 압하되면, 지엽류가 협지된 가압부(120)의 하면이 탑재대(121)를 압하하기 시작한다. 이 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의 제2 가이드 지주(120g)는, 제1 가이드공(121c)에 삽통된 제1 원통부(107)의 내부를 통과한다. 따라서, 가압부(120) 및 탑재대(121)가 전방 베이스(101c)의 제1 원통부(107)에 가이드되어, 아래쪽을 향해 제1 탄성 부재(10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한다.
또한, 가압축(112)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에 대하여 제2 가이드 지주(120g)의 대략 바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탄성 부재(105)가 설치된 제1 원통부(107)의 입설(立設) 방향으로부터 제2 가이드 지주(120g)를 향하는 방향으로 대략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105)는, 지엽류의 천공에 최적으로 되는 천공 하중의 조정을 서포트하기 위해 탑재대(121)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제1 탄성 부재(105)가 설치된 제1 원통부(107)의 입설 방향의 바로 위로부터 가압축(112)이 가압부(120)를 압하한다. 따라서, 다시 가압부(120) 및 탑재대(121)를 압하하는 천공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천공 개시 시의 상태〉
이와 같이 탑재대(121)가 압하를 개시하면, 유지부(108)에 유지된 설편 처리부(123)의 펀칭날(123c)과 탑재대(121)의 탑재면에서의 지엽류의 하면이 맞닿는다. 또한, 탑재대(121)가 눌러지면, 지엽류의 하면에 눌러져 맞닿고, 선단의 펀칭날(123c)이 상기 지엽류에 천공을 행한다. 또한, 절입날(124)에도 눌러져 맞닿고, 지엽류에 대하여 천공된 구멍보다 내측에 절입부 C를 형성한다. 여기서 「내측」이란, 지철구(100)의 전후 방향을 연결하는 지철구(100)의 중심선 측을 의미한다.
〈지철 처리 시의 상태〉
천공 및 설편 S 및 절입의 형성이 완료되고 다시 탑재대(121)가 하강하면,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0)의 제2 가이드 지주(120g)의 하단이 전방 베이스(101c)의 상면(바닥면)에 근접한다. 이 때 설편 처리부(123)의 기부측의 갈고리형부(123g)의 상면[가압부(120) 측의 면]이 탑재대(121)의 융기부(121f)의 선단과 맞닿는다. 그 결과,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 처리부(123)가 회동한다. 설편 처리부(123)가 회동하면, 천공에 의해 형성된 설편 S가 돌출부(123e)에 의해 하측(절입부 C측)으로 절곡된다. 돌출부(123e)가 절곡된 설편 S는 걸어맞춤공(124c)에 압입되고, 또한 절입날(124)이 하강했을 때, 설편 S는 걸어맞춤공(124c)에 압입된 지엽류를 통과하고, 절입부 C에 압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매의 지엽류 사이에서의 철착이 행해진다.
〈지철 처리 완료 시 ~ 핸들 해방 시의 상태〉
도 6c 및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 처리부(123)는 제3 탄성 부재(126)에 의해, 펀칭날(123c)이 상측을 향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설편 처리부(123)가 회동되고, 돌출부(123e) 및 절입날(124)의 걸어맞춤공(124c)에 의해 설편 S가 절입부 C에 압입된 후, 핸들(110)의 압하가 해방되면, 제1 탄성 부재(105)에 의해 탑재대(121)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승한다. 융기부(121f)에 의해 설편 처리부(123)의 갈고리형부(123g)는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제3 탄성 부재(12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되고 있었지만, 핸들의 압하가 해방되었을 때, 탑재대(121)의 상승에 따라 갈고리형부(123g)가 융기부(121f)의 압하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설편 처리부(123)는 제3 탄성 부재(126)의 가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 외의 구성)
다음에, 도 2, 도 8b 및 도 16을 참조하여 지철구(100)에서의 부수적인 구성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이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서의 절입날(124)과 천공에 의해 형성된 설편 S와의 폭의 차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게이지대〉
도 2,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여, 지철구(100)에서의 게이지대(121j)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대(121)에서의 상면(탑재면)의 양측 단부에는, 쌍으로 되도록 게이지대(121j)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지대(121j, 121j)는, 각각 상기 상면으로부터 융기하고 있다. 융기된 각각의 상면은, 예를 들면, 평면형으로 형성된다. 이 게이지대(121j, 121j)는, 지엽류의 코너 부분에 철착 개소를 설치할 때 바람직한 부재이다. 게이지대(121j, 121j)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121a, 121a)에, 상기 지엽류의 코너 부분이 유치(留置)되도록 안내한다. 즉, 게이지대(121j, 121j)는, 관통공(121a, 121a)의 교점(交点)을 향해, 삽입하고자 하는 지엽류의 코너의 영역이 합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지엽류의 코너 부분에 철착 개소를 설정하는 경우, 지엽류를 게이지대(121j, 121j)의 측면을 따라 관통공(121a, 121a)에 꽂음으로써, 위치맞춤이 용이해진다.
또한, 게이지대(121j, 121j) 각각의 높이는, 탑재대(121) 상면으로부터 가압부(120)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게이지대(121j, 121j)를 이용하고자 하지 않을 때는, 사용자는 지엽류를 상기 게이지대(121j, 121j) 상에 타도록 통하게 한다. 게이지대(121j, 121j)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다. 즉, 이 게이지대(121j, 121j)는, 필요할 때에 따라 위치맞춤을 행하는 구성이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절입날의 폭〉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입부 C의 폭과 설편 S의 폭과의 관계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 상,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 S의 폭을 a′b′라고 하고, 절입부 C의 폭을 가령 절입날(124) 각각의 폭으로 하고, c′d′라고 한다. 먼저 절입부 C의 폭과 설편 S의 폭의 차는, 절입부 C에 설편 S가 압입되므로, c′d′>a′b′로 된다.
여기서, 절입부 C에 압입된 설편 S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철착 강도를 확보하도록 한 경우, 절입부 C의 폭은 설편 S의 폭과 거의 같게 된다(c′d′― a′b′≒ 0mm). 그러나, 철해진 지엽류는, 열람자에 의해 1매 1매, 넘기는 동작을 받는 경우가 있다. 즉, 절입부 C의 폭을 설편 S의 폭과 대략 같은 것으로 하고, 폭의 차이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절입부 C의 단부가 찢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 즉, 상기 넘기는 동작에 의해, 절입부 C에서의 폭 방향 단부와 설편 S에서의 폭 방향 단부와의 접점에 부담이 크게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절입부 C의 단부의 강도를 고려하여, 절입부 C의 폭과 설편 S의 폭과의 차이를, 예를 들면, 2mm 이상으로 한다. 즉, 설편 S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절입부 C의 폭 방향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1mm 정도 띄우도록, 절입날(124) 각각의 폭을 형성한다.
(작용·효과)
다음에,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는, 핸들(110)에 개구부(1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120)는, 전체가 투명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개구부(110c) 및 가압부(120)를 통해서 탑재대(121)에 탑재한 지엽류의 상면을 육안 관찰 가능해진다. 따라서, 지철 처리를 행하는 조작자는, 천공 부분을 확인하고 나서 지엽류의 천공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엽류의 지철 부분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또한, 지엽류의 인쇄 부분을 피해 지철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지엽류의 열람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편 S에 의해, 지엽류 사이를 철착하므로, 스테이플이나 풀 재료와 같은 철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잘못하여 파쇄기나 ADF의 파손이 생기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지철 처리에 사용하는 철착재가 없기 때문에, 철착재의 보충 작업 자체가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지철구를 계속적으로 사용했을 때도 번거로운 철착재의 교환 작업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는, 절입부 C의 폭과 설편 S의 폭과의 차이를, 예를 들면, 2mm 이상으로 한다. 즉, 설편 S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절입부 C의 폭 방향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1mm 정도 띄우도록, 절입날(124)의 폭을 형성한다. 따라서, 1매 1매 넘기는 동작을 받는 것에 의해, 절입부 C의 폭 방향 단부와 설편 S의 폭 방향 단부와의 접점에 관한 부담이 작아지는 결과, 상기 절입부 C 단부가 찢어지게 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에 있어서는, 제1 단계로서, 가압부(120)에 의해 지엽류의 유지를 행하고, 제2 단계로서, 유지된 지엽류에 대하여, 천공 하중이 조정된 상태에서, 천공을 행한다. 그 결과, 철해진 지엽류는, 1매 1매의 어긋남이 쉽게 생기지 않으므로, 정연(整然)하게 마무리되고, 또한 철착 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철구(100)에 있어서, 설편 S끼리가 이루는 각도 α를 90°~ 150°정도로 한 경우, 지엽류의 코너를 철할 때 바람직하다. 즉, 철해진 지엽류의 코너의 영역의 인쇄 부분이 잘 보이지 않게 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지철구(100)의 가압축(112)은, 제1 탄성 부재(105)가 설치된 제1 원통부(107)의 입설 방향으로부터 제2 가이드 지주(120g)를 향하는 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05)는, 지엽류의 천공에 최적으로 되는 천공 하중의 조정을 서포트하기 위해 탑재대(121)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제1 탄성 부재(105)가 설치된 제1 원통부(107)의 입설 방향의 바로 위로부터 가압축(112)이 가압부(120)를 압하한다. 따라서, 또한 가압부(120) 및 탑재대(121)를 압하하는 천공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철구(100)는, 핸들 프레임(110e)이 지지판(103)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핸들 프레임(110e)은 압하되어도 지지판(103)의 상단과 맞닿은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즉, 핸들의 회동 범위는 지지판(103)의 높이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설편 처리부(123)의 상하 이동의 스트로크 길이를 확보하면서, 지철 처리의 조작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핸들 커버(110d)를 설치하고 지지판(103)마다 핸들 프레임(110e)을 덮고 있다. 따라서, 핸들(110)의 압하를 행하고 있는 조작자의 손이 상기 회동축(111) 근방에 있는 경우라도, 작업의 방해로 되지 않아, 핸들(110)의 압하 작업의 방해로 되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설편 S의 삽입이 완료된 후, 핸들(110)이 되돌려져 제2 탄성 부재(125)에 의해 가압부(120)가 가압되어도, 철착된 지엽류의 설편 S의 걸림 등에 의해 가압부(1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설편 S의 선단부가 관통공(121a)나 수용공(120a)으로부터 나오지 않게 되어, 가압부(1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지철구(100)에서는, 핸들(110)과 가압부(120)가 걸어맞춤부(120h) 및 가압축(11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부(1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라도, 핸들(110)을 수동으로 원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작업은 용이하다. 또한, 가압부(120)가 원래로 돌아오지 않게 되었을 때, 핸들(11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설편 S의 선단을 관통공(121a)로부터 제거하고 나서, 수용공(120a)에 걸린 설편 S를 제거하는 작업도 가능해져, 철해진 지엽류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철구(100)는, 천공을 행함으로써 설편 S를 형성하는 펀칭날(123c), 절입부 C를 형성하는 절입날(124), 설편 S를 걸어맞춤공(124c)에 압입하는 돌출부(123e) 등이 모두 베이스(10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핸들(110) 측의 가압부(120)에는, 최저한, 설편 처리부(123), 절입날(124)의 날부 등을 받아들이는 수용공(120a)을 형성하면 된다. 즉, 가압부(120)의 공간 절약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 공간 절약화에 의해, 예를 들면, 가압축(112)과 회동축(111)과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핸들(110)에 대한 수동력을 효율적으로 전해 천공 하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간 절약화에 의해, 가압부(120)에 대하여 회동축(111)을 전방에 배치하고, 가압부(120) 상면의 높이보다, 회동축(111)을 낮게 할 수 있다. 회동축(111)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지지판(103)의 높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지철구(100)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의 지철구(100)를 휴대형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핸들(110)의 돌출단(110a)과 후방 베이스(101a)의 후단과의 거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철 처리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철구(100)는, 설편 처리부(123)와 절입날(124)과의 날부[(123c) 등]가 상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지엽류의 철착 처리가 완료된 후에, 이들 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철구(100)는, 설편 처리부(123)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제3 탄성 부재(126)가 변형된 후, 핸들(110)의 복귀에 따라 융기부(121f)가 갈고리형부(123g)를 해방시켰을 때, 자체의 탄성에 의해 제3 탄성 부재(126)이 회동 전의 상태에 돌아오려고 한다. 이 가압력을 이용하여, 설편 처리부(123)이 일단 회동되어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이하에 추가로 기록한다.
(I) 상기 펀칭날과 상기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상기 탑재대와 상기 베이스가 근접하면, 상기 베이스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상기 펀칭날에 의해 상기 탑재대 상에 배치된 상기 지엽류에 천공이 행해져 상기 절편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절입날에 의해 상기 천공된 구멍의 사이에 상기 각각의 절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편 및 상기 절입부가 형성된 후, 상기 유지부가 다시 압하되면, 상기 절입부측으로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회동하여, 상기 절편을 상기 절입 방향으로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지철구.
(II) 상기 탑재대에는,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절편 및 상기 절입부가 형성된 후, 상기 탑재대 또한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면, 상기 융기부가 상기 돌출부의 일부에 눌러져 맞닿고, 상기 절입부측으로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회동하여, 상기 절편이 상기 절입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지철구.
(III) 상기 지주는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삽통부는 상기 탑재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삽통부 및 상기 지주 내부에 삽통되고, 또한 상기 지주는, 가압부 및 탑재대의 베이스 방향에 대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지철구.
(IV) 상기 탑재대 상에서의, 상기 지엽류가 삽입되는 측으로서 상기 탑재대의 상기 양쪽에 있어서 한쌍의 게이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게이지대는, 상기 지엽류의 코너 부분이 상기 배치 영역에서의 상기 펀칭날의 통과 개소에 유치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지철구.
(V) 상기 게이지대 각각의 높이는, 상기 기대로부터 상기 바닥면부까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지엽류가 상기 게이지대의 사이를 통과할 때는, 상기 지엽류의 코너 부분이 상기 통과 개소에 유치되도록 안내되어 상기 지엽류가 상기 게이지대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치 영역에 삽입될 때는, 상기 지엽류를 안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IV)에 기재된 지철구.
(VI)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핸들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가압축을 내부에 삽통시킴으로써 상기 핸들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압축은, 상기 연결부의 내부를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지철구.
(VII)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른 상기 돌출부의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지철구.
(VIII) 중첩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천공함으로써, 일부가 상기 지엽류에 접속된 대략 설형의 절편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편의 근방에 절입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절편을 상기 절입부에 압입하여 상기 복수매의 지엽류를 철하는 지철구로서,
기대;
상기 기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1 핸들;
상기 기대로부터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고, 상단에 날부가 형성된 한쌍의 펀칭날;
상기 기대로부터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고, 상단에 날부가 형성된 한쌍의 절입날;
상기 기대로부터 상측을 향해 세워 설치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대략 상단에 회동축을 통하여 접속되고,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한쌍의 펀칭날 및 상기 한쌍의 절입날의 상측 위치 및 그 주변 위치에 윈도우부가 형성된 제2 핸들;
상기 기대와 상기 제2 핸들과의 사이에 상기 기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한쌍의 펀칭날 및 상기 한쌍의 절입날의 각각의 상측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상기 복수매의 지엽류가 탑재되는 탑재대;
하면과 상기 탑재대의 상면이 대향 배치되고, 상기 하면에서의 상기 한쌍의 펀칭날 및 상기 한쌍의 절입날의 각각의 상측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위치 및 그 주변 위치에 윈도우부가 형성되고, 상기 탑재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
상기 절편을 상기 절입부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와 상기 탑재대가 근접함으로써 상기 탑재대 상의 상기 지엽류가 협지되고, 또한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탑재대가 상기 지엽류를 협지한 상기 기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의 상기 단부 각각에 상기 지엽류를 가압하여, 상기 절편 및 상기 절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구.
그리고, 상기한 기술적 사상 (VIII)에서의 「제1 핸들」, 「제2 핸들」이란, 지철구를 조작자가 손으로 가지고 사용할 때를 상정(想定)하고, 양쪽을 핸들로서 정의한 것이다.
100: 지철구
101: 베이스
101a: 후방 베이스
101c: 전방 베이스
103: 지지판
103a: 베어링부
104: 삽입구
105: 제1 탄성 부재
106: 제1 가이드 지주
107: 제1 원통부
108: 유지부
108a: 베어링부
110: 핸들
110a: 돌출단
110c: 개구부
110d: 핸들 커버
110e: 핸들 프레임
110f: 회동축 삽통공
110g: 가압축 삽통공
111: 회동축
112: 가압축
120: 가압부
120a: 수용공
120c: 육안 관찰공
120e: 가압부 가이드
120g: 제2 가이드 지주
120h: 걸어맞춤부
120j: 상측 유지부
121: 탑재대
121a: 관통공
121c: 제1 가이드공
121e: 제2 가이드공
121f: 융기부
121g: 하측 유지부
121j: 게이지대
123: 설편 처리부
123a: 회동 기부
123c: 펀칭날
123e: 돌출부
123g: 갈고리형부
124: 절입날
124a: 회동축
124c: 걸어맞춤공
125: 제2 탄성 부재
126: 제3 탄성 부재
S: 설편
C: 절입부

Claims (4)

  1. 중첩된 복수매의 지엽류(紙葉類)에 천공(穿孔)을 행함으로써 상기 지엽류의 일부를 잘라내어 설형(舌形)의 절편(切片)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편의 근방에 절입부(切入部; incision portion)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절편을 상기 절입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엽류를 철하는 지철구(紙綴具)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세워 설치된 지지대;
    회동축(回動軸)을 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접속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핸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핸들을 향해 돌출되고, 천공을 행하는 한쌍의 펀칭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핸들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절입을 형성하는 한쌍의 절입날;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고, 형성된 상기 절편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기 절편을 상기 지엽류의 방향으로 절곡하는 한쌍의 돌출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핸들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에서의 돌출 방향의 단부 각각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엽류가 탑재되는 탑재대;
    상기 핸들과 상기 탑재대에 끼워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단부 각각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내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회동 가능한 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핸들측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수용공 및 그 주위를 투과하여 상기 탑재대의 상기 관통공 근방을 육안 관찰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탑재대와 함께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는 가압부;
    상기 핸들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가압부의 수용공과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에 설치된 윈도우부;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와 상기 탑재대와의 상대적 위치를 근접시키고, 또한 상기 가압부와 함께 상기 탑재대를 상기 베이스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機構)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가압부와 상기 탑재대가 근접함으로써 상기 탑재대 상의 상기 지엽류가 협지(挾持)되고, 또한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탑재대가 상기 지엽류를 협지한 상기 베이스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의 상기 단부 각각에 상기 지엽류를 가압하여, 상기 절편 및 상기 절입부를 형성하는, 지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서의 돌출 방향의 선단과 상기 회동축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과 나란히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가압부와 맞닿은 가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탑재대와의 대향면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탑재대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주(支柱)와, 상기 대향면의 다른 쪽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가 삽통(揷通)되는 삽통부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탑재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탑재대를 이격(離隔)시키는 가압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축은, 상기 가압부에 대하여, 상기 가압부의 가압 방향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를 상기 베이스측으로 압하(押下)하는, 지철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양쪽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한쌍의 지지판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동축의 축 방향에서의 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가지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한쌍의 지지판에 끼워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베어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회동축을 삽통시키는 축공(軸孔)을 통하여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어 있는, 지철구.
  4. 지엽류를 천공함으로써 일부가 접속된 절편을 형성하는 펀칭날;
    상기 절편을 삽입 가능한 절입부를 형성하는 절입날;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을 각각이 상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지지하고, 또한 상기 펀칭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과 직교하고, 상기 지엽류가 탑재되는 탑재면과, 상기 탑재면에 설치되고,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 각각의 선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가지는 탑재대;
    상기 탑재면에서의 상기 베이스측에 설치되고, 상기 탑재면과 상기 펀칭날의 베이스부와의 근접에 따라 상기 펀칭날과 맞닿아 상기 펀칭날을 회동시키는 회동 기구;
    상기 펀칭날에 설치되고, 상기 펀칭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절편을 상기 절입부에 압입(押入)하는 삽입부;
    상기 탑재면의 상측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에 있어서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의 돌출 방향의 연장선 상이며 또한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의 선단을 수용하는 수용공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상기 탑재면 상의 지엽류를 육안 관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탑재면을 향해 이동 가능한 가압대;
    상기 베이스로부터 적어도 상기 탑재면보다 상측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가압대 및 상기 탑재대를 협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을 포함하는 상기 가압대 중 적어도 일부를 상측으로부터 육안 관찰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부가 설치된 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른 상기 가압대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압대와 상기 탑재대가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고, 상기 핸들의 추가적인 회동에 따른 상기 가압대 및 상기 탑재대의 하강에 의해, 상기 협지된 상기 지엽류에 대하여 상기 펀칭날 및 상기 절입날이 상기 절편 및 상기 절입부를 형성하는, 지철구.
KR1020127021117A 2010-01-26 2011-01-13 지철구 KR101780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4860 2010-01-26
JP2010014860 2010-01-26
PCT/JP2011/000146 WO2011093016A1 (ja) 2010-01-26 2011-01-13 紙綴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294A KR20120120294A (ko) 2012-11-01
KR101780665B1 true KR101780665B1 (ko) 2017-09-21

Family

ID=4431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117A KR101780665B1 (ko) 2010-01-26 2011-01-13 지철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301250A1 (ko)
EP (1) EP2529945B1 (ko)
JP (1) JP5705134B2 (ko)
KR (1) KR101780665B1 (ko)
CN (1) CN102762387B (ko)
TW (1) TWI517990B (ko)
WO (1) WO2011093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0566B2 (ja) * 2010-10-22 2015-07-22 コクヨ株式会社 綴じ機
WO2012137707A1 (ja) * 2011-04-04 2012-10-11 コクヨ株式会社 用紙穿孔処理装置
JP5909981B2 (ja) * 2011-10-12 2016-04-27 コクヨ株式会社 綴じ機
JP6054653B2 (ja) * 2012-01-24 2016-12-27 プラス株式会社 綴じ具
JP5831656B2 (ja) * 2015-04-08 2015-12-09 コクヨ株式会社 綴じ機
JP6098660B2 (ja) * 2015-04-08 2017-03-22 コクヨ株式会社 綴じ機
JP5831657B2 (ja) * 2015-04-08 2015-12-09 コクヨ株式会社 綴じ機
US11084244B2 (en) 2018-02-15 2021-08-10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food packaging closure
CN111284158B (zh) * 2020-02-14 2021-01-08 重庆航天职业技术学院 一种无针订书机
USD964439S1 (en) * 2020-04-13 2022-09-20 Joshua D. Shearer Corner rounder ji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189Y2 (ja) 1993-09-30 2000-09-25 ぺんてる株式会社 紙束の穿孔綴じ装置
US20070199424A1 (en) 2006-01-23 2007-08-30 Marks Joel S Compact heavy duty hole punch
WO2010055784A1 (ja) 2008-11-12 2010-05-20 コクヨ株式会社 ファイルシステム、冊子及び綴じ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67614A (ko) * 1933-01-23 1934-07-20
GB413740A (en) * 1933-01-23 1934-07-23 Fritz Roed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per-perforating and fastening devices
JPS413278B1 (ko) 1963-11-29 1966-02-25
JPS5651389A (en) 1979-10-03 1981-05-08 Nippon Kuringeeji Kk Paper binder
JPS6357099U (ko) * 1986-09-29 1988-04-16
JPS641897U (ko) * 1987-06-24 1989-01-09
CN2203226Y (zh) * 1994-10-20 1995-07-12 李式明 无钉订书机
CN2294162Y (zh) * 1997-06-23 1998-10-14 白会友 无钉打孔装订机
JP2004122329A (ja) * 2002-10-04 2004-04-22 Sony Corp 書類綴じ装置、パンチ装置及び書類綴じ方法
JP2006051648A (ja) 2004-08-11 2006-02-23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ステープラ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189Y2 (ja) 1993-09-30 2000-09-25 ぺんてる株式会社 紙束の穿孔綴じ装置
US20070199424A1 (en) 2006-01-23 2007-08-30 Marks Joel S Compact heavy duty hole punch
WO2010055784A1 (ja) 2008-11-12 2010-05-20 コクヨ株式会社 ファイルシステム、冊子及び綴じ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9945B1 (en) 2020-12-02
JP5705134B2 (ja) 2015-04-22
US20120301250A1 (en) 2012-11-29
CN102762387B (zh) 2015-05-20
EP2529945A1 (en) 2012-12-05
TW201125739A (en) 2011-08-01
EP2529945A4 (en) 2016-04-13
TWI517990B (zh) 2016-01-21
KR20120120294A (ko) 2012-11-01
CN102762387A (zh) 2012-10-31
JPWO2011093016A1 (ja) 2013-05-30
WO2011093016A1 (ja)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665B1 (ko) 지철구
JP4830478B2 (ja) テープ式綴じ装置の綴じ機構並びに紙製ステープル
WO2011052150A1 (ja) 紙綴じ具
CN103978800B (zh) 文件系统、册子和装订机
KR100748993B1 (ko)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JP4654916B2 (ja) 綴じ装置の綴じ機構
WO2007072979A2 (en) Striking device for paper staple
KR101183940B1 (ko) 제본장치
KR20050023303A (ko) 스테이플러 및 카트리지
WO2018139078A1 (ja) 後処理装置及び後処理システム
CN111284158B (zh) 一种无针订书机
KR101188248B1 (ko) 제본용 종이 천공장치
KR101024057B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EP1767314B1 (en) Stapler
JP2001170897A (ja) 書類等の綴じ込み方法及び書類等の綴じ込み用下揃え機構
JP2012213907A (ja) 用紙穿孔処理装置
JP2606749Y2 (ja) 紙束穿孔綴じ装置
JP6043978B2 (ja) 2段式2孔パンチ器
JP7008322B2 (ja) 後処理装置及び後処理システム
KR20160064583A (ko) 스테이플러
JPH0664948U (ja) カッタ−付穿孔綴じ機
JPH07195862A (ja) テープ式紙束締綴装置
KR20100009976U (ko) 전동 제본기
JPH02116499A (ja) ステープラー付きパンチ
JPH0733676U (ja) 紙束の穿孔綴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