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993B1 -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 Google Patents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993B1
KR100748993B1 KR1020060089370A KR20060089370A KR100748993B1 KR 100748993 B1 KR100748993 B1 KR 100748993B1 KR 1020060089370 A KR1020060089370 A KR 1020060089370A KR 20060089370 A KR20060089370 A KR 20060089370A KR 100748993 B1 KR100748993 B1 KR 10074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spring
perforator
main bod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714A (ko
Inventor
임철준
Original Assignee
임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준 filed Critical 임철준
Priority to KR1020060089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99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1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with several grinding wheels

Abstract

본 발명 천공기는 달력, 서적, 종이 또는 서류 등을 스프링에 의해 철할 수 있도록 소정부위에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에 의해 소정의 부위에 천공된 달력, 서적, 종이, 서류 등에 스프링을 끼워서 철을 할 수 있도록 바인더부가 함께 구비되어 천공기와 바인더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기의 천공부는 천공 핀의 모양이나 크기를 달리하여 사용할 경우 천공 핀을 분해하지않고 두 종류의 천공 핀을 양쪽으로 체결한 상태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해당 천공 핀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천공작업중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물론 바인더부는 스프링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공기, 천공부, 바인더부, 스프링, 천공 핀

Description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Punching machine which has a binder}
도 1은 본 발명 천공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천공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천공부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천공기의 바인더부를 도시해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천공부의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요철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a, b는 본 발명 천공부의 수직 플레이트가 천공 핀을 압착하는 것을 도시해 보인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바인더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천공기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천공기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천공부 2: 바인더부
3: 본체 4: 천공 핀
5: 감속모터 6: 체인
7: 회전축 8: 로드
9: 수직 샤프트 10: 고정블록
11: 가이드 봉 12: 끼움공
13: 조임공 14: 조임 핸들
15: 수평 슬라이드 공 16: 고정 브라켓
17: 바닥면 18: 천공 핀 구멍
19: 슬라이드 바 20: 수직 플레이트
21: 천공 투입부 22: 수평 플레이트
23: 스프링 24: 바인더 투입부
25: 받침 플레이트 26: 바인더 가이드 봉
27: 수직 슬라이드 공 28: 스프링 걸이대
29: 지지 프레임 30: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
31: 랙 기어 32: 각도 조절 플레이트
33: 조절관 34: 높이 식별 표시 핀
35: 조절편 36: 각도 조절 핸들
37: 가이드 나선 파이프 38: 회동 파이프
39: 요철 40: 레버
100: 천공기
본 발명은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종이 또는 서류 등을 스프링에 의해 철할 수 있도록 소정부위에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부와, 천공부에 의해 소정의 부위에 천공된 종이 또는 서류에 스프링을 끼워서 철을 할 수 있도록 압착하는 바인더부가 함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는 각기 천공되는 구멍의 크기나 모양이 다른 천공 핀 2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금형의 단차에 의해 천공하는 힘을 분산하여 두꺼운 종이나 서류를 쉽게 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기에 부착된 바인더부는 스프링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프링을 거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 걸이대가 함께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공기는 각종 인쇄물, 문서 등의 적층된 서류에 천공을 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천공기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서류의 분실을 방지하고, 깔금한 정리 및 보관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적층된 서류의 천공된 구멍에 금속제 화스너나 철끈 또는 원형 링을 관통시켜 제본할 때 필요한 것으로 크기가 작은 수동식 천공기를 주로 사용하고, 인쇄소 등에서는 달력, 수첩, 서적 등 많은 량의 천공작업을 하기 위해 모터 등에 의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여 천공작업을 할 수 있는 천공기로 크게 구분된다.
한편, 인쇄소나 제본소 등에서는 달력, 수첩, 서적, 서류 등을 적층하여 천공작업 후 천공된 구멍에 스프링을 삽입 철하는 제본방식을 사용하는 게 통상적이 다.
따라서 인쇄소나 제본소 등에서 천공기를 통해 천공작업을 할 때는 천공 핀에 의해 동일한 크기의 구멍만을 천공작업 하는 게 아니라 천공되는 재질이나 물품에 따라 천공되는 구멍의 형상을 원형 또는 사각형 등 각기 다른 구멍의 크기로 천공을 해야하기 때문에 천공 핀을 교체해서 천공작업을 해야 한다.
그런데 천공기에서 천공 핀을 교체하려하면 상하로 승강 되는 천공부에서 천공 핀이 삽입된 플레이트 전체를 분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교체작업이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다.
또한, 종래의 천공기는 달력, 수첩, 서적, 서류 등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상태에서 투입부로 투입 천공하는 천공 핀은 플레이트에 일렬로 삽입된 상태에서 동시에 천공 핀이 하강하여 천공하기 때문에 천공되는 재질 자체가 두껍고, 한꺼번에 많은 양을 천공 투입부에 투입했을 때는 천공하기 위해 압착하는 힘이 약해져 전체가 균등하게 천공되지않아 반복적인 천공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양을 천공하지 못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인쇄소나 제본소에서는 달력, 수첩, 서적, 서류 등을 천공한 후 스프링에 의해 철하는 제본작업도 함께하는데, 이때 스프링이 천공된 구멍에 끼운 후 견고하게 체결하게 될 수 있도록 바인더기에 의해 압착한다.
그러나 천공기에는 스프링을 압착하는 바인더기가 없기 때문에 별도로 구입해서 사용해야함으로 경제적으로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천공기와 바인더기를 동시에 설치할 경우에는 실내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바인더기는 달력, 수첩, 서적, 서류 등에 천공된 천공 구멍에 스프링을 끼워서 압착할 때 두께 또는 구멍에 따라 스프링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가압하는 힘도 달리해야만 스프링을 원형 그대로 유지하면서 압착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닌 이상 스프링을 두께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조절하기가 쉽지않다.
또한, 상기 바인더기를 사용할 때는 천공된 달력, 수첩, 서적, 서류 등을 바인더 투입기로 투입할 때 스프링을 바인더기의 주변에 놓은 상태에서 삽입하려고 하니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천공기에 바인더부를 함께 설치하여 달력, 수첩, 서적, 서류 등에 천공작업 완료 후 천공 구멍에 스프링을 끼워서 압착하는 바인더기가 함께 구비된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기는 천공되는 재질 또는 용도에 따라 천공 구멍을 달리하여 천공할 때 기존처럼 복잡하게 천공기에서 천공 핀을 분해하여 교체하지 않고 슬라이드방식에 의해 두 종류의 천공 핀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기는 천공 핀이 하강하여 천공할 때 시간차에 의해 압착함으로써 동일한 두께 또는 더 두꺼운 부분도 쉽게 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기에 설치된 바인더부는 종래의 바인더기와 달리 스프링의 두께나 크기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달리하여 스프링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기는 스프링을 거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스프링 걸이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천공기는 천공부와 바인더부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천공부는 각기 다른 천공 핀을 고정블록 양쪽으로 체결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2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물론 고정블록에 부착된 수직 플레이트의 상하작동에 의해 천공 핀을 시간차를 갖도록 압착하면 힘의 분산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 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기에 설치된 바인더부는 스프링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천공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천공기(100)는 본체(3)에 천공부(1)와 바인더부(2)로 마련하되, 상기 천공부(1)는 감속모터(5)와 회전축(7), 로드(8), 수직 샤프트(9), 고정블록(10), 가이드 봉(11), 수직 플레이트(20), 슬라이드 바(19), 천공 핀(4), 고정 브라켓(16), 수평 플레이트(22)로 구성되며, 바인더부(2)는 받침 플레이트(25),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 각도 조절 플레이트(32), 조절관(33), 조절편(35), 가이드 나선 파이프(37), 랙 기어(31), 레버(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천공기(100)의 본체(3)는 상면에 천공부(1)를 형성하고, 천공부(1)의 양측으로 적층한 인쇄물을 천공할 수 있도록 천공 투입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1)의 일측 전면에는 천공된 인쇄물 등을 스프링에 의해 철을 할 수 있도록 본체(3) 내측으로 바인더부(2)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바인더 투입구(24)가 노출되며 측면에는 각도 조절 핸들(36)과 레버(40)가 위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1)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본체(3) 내부에 감속모터(5)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모터(5)의 구동축은 체인(6)에 의해 회전축(7)에 체결되어 연동한다.
상기 감속모터(5)와 연동하는 회전축(7)의 양단은 캠에 의해 회동되는 로드(8)가 각각 체결된다.
또한, 양측 로드(8)의 상부에는 본체(3) 상면으로 상부가 인출된 수직 샤프트(9)의 하부가 체결되는데, 상기 수직 샤프트(9)의 하부는 로드(8)의 상부와 체결될 수 있게 내측으로 삽입홈을 형성하여 로드(8) 상부를 끼우고 핀에 의해 힌지 고정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본체(3) 상부로 인출된 수직 샤프트(9)의 인접부인 본체(3) 가장자리 양측으로 가이드 봉(11)이 각각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 봉(11)은 고정블록(10)이 상하로 승강 작동할 때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봉(11)과 수직 샤프트(9) 사이에는 고정블록(10)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블록(10)은 가이드 봉(11)과 수직 샤프트(9)에 각각 끼워지도록 상 면 양단에 복수의 끼움공(12)이 형성되어 각각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0)의 끼움공(12)에 끼워진 수직 샤프트(9)는 고정블록(10)의 상하로 각각 너트가 체결되어 수직 샤프트(9)의 압착 작동시 함께 승강 작동하고, 가이드 봉(11)은 고정블록(10)의 승강 작동시 안내 및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고정블록(10)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공(12) 사이에는 복수의 조임공(13)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조임공(13)에 조임 핸들(14)을 체결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0)의 상면에 형성된 조임공(13)과 교차하면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수평 슬라이드 공(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0)의 전면과 배면 하부에 부착되는 고정 브라켓(16)은 전방으로 수직 절곡된 바닥면(17)에 일정간격으로 천공 핀 구멍(18)이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록(10)의 전면과 배면 양측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16)의 바닥면(17)에 형성된 천공 핀 구멍(18)에 천공 핀(4)을 삽입하여 끼운다.
또한, 상기 천공 핀(4)을 수직 샤프트(9)의 상하작동에 의해 압착하도록 고정블록(10)의 양측에는 고정블록(10)에 형성된 수평 슬라이드 공(15)과 일치하도록 수평 슬라이드 공(15)이 형성된 수직 플레이트(20)가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 슬라이드 공(15)에 슬라이드 바(19)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상기 슬라이드 바(19)는 수직 플레이트(2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일측에 손잡이와 타측에는 너트가 체결된 구조로 슬라이드 바(19)의 길이가 고정 브라켓(16)의 폭보다 조금 여유를 더 주어 한쪽으로 밀면 한쪽은 간섭이 해지되고, 다른 쪽은 간섭되어 천공 핀(4)을 압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0)의 하부와 본체(3) 상면에 위치하는 수평 플레이트(22)는 양측으로 소정의 두께로 적층된 인쇄물을 투입하는 천공 투입부(21)가 위치한다.
상기 천공 투입부(21)는 천공되는 인쇄물의 일부만 투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홈부를 형성하고, 또한 고정 브라켓(16)에 삽입된 천공 핀(4)이 천공 작동시 수직으로 천공 투입부(21)를 관통하여 본체(3) 내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천공 핀 구멍(18)과 일치하도록 통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천공기(100)의 일측에는 바인더부(2)가 위치하고, 전면에는 바인더 투입부(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천공부(1)를 통해 천공된 인쇄물을 스프링에 의해 철을 할 수 있도록 바인더 투입부(24)로 투입한다.
상기 바인더 투입부(24)를 통해 천공 구멍에 스프링이 끼워져 삽입된 인쇄물을 철할 수 있도록 본체(3)의 내측에 받침 플레이트(25)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받침 플레이트(25) 양측에는 바인더 가이드 봉(26)이 세워진 상태에서 텐션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23)이 끼워진다.
상기 바인더 가이드 봉(26)에는 판형상으로 바인더 투입부(24)를 통해 스프링을 압착할 수 있도록 양 측부에 수직 슬라이드 공(27)이 형성된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의 수직 슬라이드 공(27)이 바이더 가 이드 봉(26)의 스프링(23) 위로 끼워진다.
또한, 수직 슬라이드 공(27)이 끼워진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의 양 측면에는 상하 승강 작동시 이를 지지하도록 지지 프레임(29)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 양단에 끼워진 바인더 가이드 봉(26)의 인접부 표면에는 랙 기어(31)가 일체로 부착되어 회동 파이프(38)의 양측 기어와 맞물려 하강하며 스프링(23)을 압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의 배면에는 사선방향으로 절개되어 경사각을 갖는 각도 조절 플레이트(32)가 부착된다.
또한, 각도 조절 플레이트(32)의 경사각과 대응하게 본체(3)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끼워져 각도 조절 플레이트(32) 하단에 근접되게 가이드 나선 파이프(37)가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나선 파이프(37)에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관(33)이 끼워진다.
또한, 본체(3) 외부 일측에는 가이드 나선 파이프(37)의 나선부를 따라 조절관(33)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핸들(36)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조절관(33)의 상부에는 본체(3) 외부로 수직 절곡되어 인출된 높이 식별 표시 핀(34)이 위치하고, 상기 조절관(33)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각도 조절 플레이트(32) 하단의 경사각과 대응하도록 경사각을 형성하여 끼워지는 조절편(35)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에 부착된 랙 기어(31)와 맞물려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회동 파이프(38)는 본체(3) 내로 수평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양측 에 기어가 위치하여 랙 기어(31)와 맞물린다.
또한, 본체(3)의 외부 일측에는 회동 파이프(38)에 레버(40)가 체결되어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회동 파이프(38)의 기어가 랙 기어(31)와 서로 맞물려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가 하강하였다가 레버(40)에서 손을 놓으면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는 바인더 가이드 봉(26)에 끼워진 스프링(23)의 텐션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투입부(24)의 인접부에는 관형상으로 하측면을 일부 절개하여 요철형상으로 배열된 절개부에 스프링을 거치하도록 스프링 걸이대(28)가 부착된다.
도 2는 본 발명 천공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천공부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천공기(100)의 천공부(1)는 두 종류의 천공 핀(4)을 분리 및 결합하지않고 동시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블록(10)의 양측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16)에 천공 핀(4)이 삽입되고, 고정 브라켓(16)에 삽입된 천공 핀(4)을 압착할 수 있도록 수직 플레이트(20)가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수평 슬라이드 공(15)에는 슬라이드 바(19)가 끼움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수평 슬라이드 공(15)과 교차하도록 조임공(13)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공(13)에는 조임 핸들(14)이 끼워져 나선부를 따라 조여지면 슬라이드 바(19)의 외주면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블록(10) 양측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16)에 끼워진 천공 핀(4)을 선택적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수직 플레이트(20)를 한쪽 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드 바(19)가 수평 슬라이드 공(15)에서 슬라이드되면 조임 핸들(14)을 조여서 슬라이드 바(19)를 고정하면 한쪽 천공 핀(4)만을 압착할 수 있고, 반대로 고정블록(10)의 다른 쪽 방향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16)에 삽입된 천공 핀(4)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조임 핸들(14)을 조임공(13)에서 조임을 해지한 후 슬라이드 바(19)가 수평 슬라이드 공(15)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수직 플레이트(20)를 밀은 후 조임 핸들(14)을 다시 조임 처리하여 슬라이드 바(19)를 고정함으로써 고정블록(10) 양쪽에 부착된 천공 핀(4)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블록(10) 양측에 슬라이드 바(19)를 통해 위치하는 수직 플레이트(20)는 어느 한쪽 천공 핀(4)을 사용할 때는 다른 쪽 천공 핀(4)은 압착하는 수직 플레이트(20)는 천공 핀(4)을 압착하지 못하도록 고정블록(10)에서 천공 핀(4)이 위치하는 거리보다 더 많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블록(10) 전체가 감속모터(5)에 연동하는 수직 샤프트(9)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 천공 핀(4)은 단순히 고정 브라켓(16)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본체(3)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천공 핀(4) 양쪽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 천공부의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요철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6a, b는 본 발명 천공부의 수직 플레이트가 천공 핀을 압착하는 것을 도시해 보인 작동 상태도 이다.
본 발명은 천공부(1)를 구성하는 수직 플레이트(20)는 고정블록(16) 양면에 부착하여 고정 브라켓(16)에 삽입된 천공 핀(4)을 하강하여 한번 압착할 때 시간차 에 의해 두 번 압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수직 플레이트(20)의 바닥면에는 내측으로 반복되게 삽입 돌출되는 요철(39)모양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20)가 하강하면 돌출된 부분은 먼저 천공 핀(4)에 닿아 압착하고, 내측으로 삽입된 부분은 돌출된 부분이 닿은 후에 천공 핀(4)을 압착하기 때문에 시간차에 의한 힘의 분산력으로 인해 동일한 힘으로 더 많은 량이나 또는 재질이 두꺼운 인쇄물들을 쉽게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바인더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바인더부(2)는 천공부(1)를 통해 천공된 달력, 서적, 인쇄물 등을 스프링에 의해 철하여 제본할 수 있도록 천공된 구멍에 스프링을 끼우고, 스프링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3) 외부에 부착된 각도 조절핸들(32)을 회동하면 가이드 나선 파이프(37)는 각도 조절핸들(36)의 회동방향으로 회동하면 가이드 나선 파이프(37)에 끼워진 조절관(33)도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인다.
그러면 상기 조절관(33)에 부착된 조절편(35)은 각도 조절 플레이트(32)의 경사각을 따라 움직이고, 높이 식별 표시 핀(34)은 본체(3) 외부로 인출되어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바인더 투입부(24) 근처에 표시된 눈금을 표시하며 함께 연동하는 상태로 작업자가 임의의 위치에서 각도 조절 핸들(36)을 멈추면 조절편(35)은 각도 조절 플레이트(32)의 경사면에 대응하게 위치하여 각도 조절 플레이트(32)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간섭하면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는 각도 조절 핸들(36)이 정지한 부분까지만 하강하여 스프링을 압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인더부(2)는 본체(3) 외부에 위치한 레버(40)를 잡아당기면 레버(40)에 부착된 회동 파이프(38)의 양측 기어가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의 랙 기어(31)와 맞물려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30)는 하강하여 스프링이 원형을 유지하게끔 압착하고 레버(40)를 잡았던 순을 놓으면 바인더 가이드 봉(26)에 끼워진 스프링의 텐션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천공기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천공기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천공기(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고정블록(10) 양면의 고정 브라켓(16)에 삽입된 천공 핀(4) 중 한쪽을 선택한 후 해당되는 천공 핀(4)의 수직 플레이트(20)를 고정블록(10) 쪽으로 밀착시키고 슬라이드 바(19)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임공(13)의 조임 핸들(14)을 조임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1)의 수평 플레이트(22) 양측에 형성된 천공 투입부(21) 중 해당 천공 투입부(21) 방향으로 달력, 서적, 인쇄물 등을 철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상태에서 투입시킨 후 감속모터(5)를 작동시키면 감속모터(5)와 회전축(7)이 체인(6)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면 회전축(7)과 로드(8)가 연결되어 캠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고, 로드(8)는 수직 샤프트(9)와 연결되어 상하로 작동하면 고정블록(10) 전체가 하강하면서 수직 플레이트(20)는 천공 핀(4)을 압착하여 천공할 때 수직 플레이트(20)는 요철(39)모양을 형성하여 천공 핀(4)을 시간차를 두고 압착하면, 압착하는 힘이 동일하더라도 압착하는 힘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로 인해 천공 작업중 불량이 없이 깨끗하게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천공작업을 마친 달력, 서적, 인쇄물 등을 스프링으로 철하여 제본할 수 있도록 본체(3)에 부착된 스프링 걸이대(28)에 미리 거치해 놓은 스프링으로 천공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프링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각도 조절 핸들(36)을 회동할 때 조절관(33)의 위치를 각도 식별 표시 핀(34)을 보면서 조절하면 조절관(33)에 부착된 조절편(35)은 각도 조절 플레이트(32) 사이에 대응하게 끼워져 스프링을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공기에 바인더 기능을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천공기로 천공작업과 스프링으로 철하는 바인더 기능을 함께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별도로 바인더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천공기는 천공 핀의 모양을 달리하여 사용할 경우 천공 핀을 분해하지않고 두 개의 천공 핀을 체결한 상태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천공 핀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천공작업의 능률을 향상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천공기에 설치된 바인더부는 스프링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천공기에 설치된 바인더부는 스프링을 바로 천공구멍에 끼워서 철을 할 수 있도록 스프링 걸이대가 부착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천공기의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천공기는 천공 핀의 상하작동에 의해 천공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축과 체인으로 체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캠에 의해 구동하도록 체결된 로드와;
    상기 양측 로드의 상부에는 핀에 의해 체결되어 본체 외부로 상부가 인출된 수직 샤프트와;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블록이 상하로 승강 작동할 때 이를 안내하도록 부착된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과 수직 샤프트에 끼워지도록 상면 양단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샤프트는 상·하부가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끼움공이 형성된 상면 사이에는 내측으로 복수의 조임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공에는 조임 핸들이 체결되며, 상기 조임공과 교차 되도록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수평 슬라이드 공이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전면과 배면 하부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수직 절곡된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 핀 구멍이 배열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전면과 배면 양측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의 천공 핀 구멍에 끼워지는 천공 핀과;
    상기 천공 핀을 수직 샤프트의 상하작동에 의해 가압하도록 고정블록에 형성된 수평 슬라이드 공과 일치하도록 수평 슬라이드 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슬라이드 공에는 슬라이드 바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블록 하부 본체 상면에는 전면과 배면에 적층된 인쇄물을 투입하는 천공 투입부와 상면에는 고정 브라켓의 끼워진 천공 핀이 투입부를 통과하여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는 천공 핀을 지지하도록 수평 플레이트가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의 전면에는 본체 내측으로 천공된 인쇄물을 스프링에 의해 제본할 수 있도록 투입되는 바인더 투입부와;
    상기 바인더 투입부를 통해 천공 구멍에 스프링이 끼워져 삽입된 인쇄물을 철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측에 부착된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양측에 세워진 바인더 가이드 봉에 텐션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바인더 투입부를 상하로 가압하도록 양 측부에는 수직 슬라이드 공이 형성되어 바인더 가이드봉에 끼워지고, 상기 수직 슬라이드 공이 끼워진 양 측면에는 상하 승강 작동시 이를 지지하도록 지지 프레임이 위치하는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와;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 양단에 끼워진 바인더 가이드 봉의 인접부 표면에 위치하는 랙 기어와;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의 배면에 사선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부착된 각도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져 각도 조절 플레이트 하단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를 따라 끼워진 조절관과, 상기 조절관의 상부에는 본체 외부로 수직 절곡되어 인출된 높이 식별 표시핀과, 상기 조절관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높이 조절 플레이트 하단의 경사각과 대응하는 조절편과, 본체 외부 일측에 각도조절 핸들이 부착된 가이드 나선 파이프와;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에 부착된 랙 기어와 맞물려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회동 파이프의 양측으로 기어가 체결되고, 본체의 외부 일측 회동 파이프에 레버가 체결된 구성을 갖는 바인더부를 포함하여 천공부와 바인더부 겸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 양면에는 슬라이드 바에 의해 체결된 수직 플레이트가 한쪽 천공 핀 만을 선택하여 압착 천공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바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한 후 조임 핸들에 의해 고정되어 두 개의 천공 핀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양면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에 각각 끼워지는 천공 핀은 크기 또는 모양을 서로 달리하여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핀의 헤드를 가압하는 수직 플레이트는 천공시 고정 브라켓에 끼워진 천공 핀을 시간차를 두고 가압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요철형 상이 반복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5. 제 1항에 있어서,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가 레버의 회동으로 기어와 랙 기어가 맞물려 상하로 회동할 때 바인더 투입부로 투입된 스프링을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압착 플레이트의 압착하는 힘을 조절하기 위해 각도 조절핸들을 회동하면 가이드 나선 파이프를 따라 조절관이 연동하여 이동하면 각도 조절 플레이트의 경사각과 조절편의 경사각이 서로 대응하게 맞물려 더 이상 압착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핸들을 회동하면 가이드 나선 파이프를 따라 조절관이 이동하면 본체 전면에 표시된 눈금에 위치하는 각도 식별 표시 핀의 위치에 의해 눈금을 확인 스프링에 따라 압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바인더 투입부의 인접부에는 관 형상으로 하측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요철형상으로 반복되게 배열한 절개부에 스프링을 거치하도 록 스프링 걸이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KR1020060089370A 2006-09-15 2006-09-15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KR10074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70A KR100748993B1 (ko) 2006-09-15 2006-09-15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70A KR100748993B1 (ko) 2006-09-15 2006-09-15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714A KR20060105714A (ko) 2006-10-11
KR100748993B1 true KR100748993B1 (ko) 2007-08-13

Family

ID=3763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370A KR100748993B1 (ko) 2006-09-15 2006-09-15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9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92B1 (ko) 2009-03-17 2009-09-18 이금석 천공 와이어 제본장치
KR101188248B1 (ko) 2010-11-15 2012-10-09 김상훈 제본용 종이 천공장치
KR101441337B1 (ko) 2014-02-05 2014-09-18 황혜자 더블 cd관 매립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9878459B2 (en) 2014-07-09 2018-01-30 Shin Heung Machinery Co. Punching apparatus for wire-binding book
CN111496924A (zh) * 2020-04-16 2020-08-07 鄢庆东 一种复合漏粪板后期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0B1 (ko) * 2007-03-28 2008-06-11 (주)명지문화 다이어리 제작장치 및 방법
KR101036516B1 (ko) * 2008-05-02 2011-05-24 정국배 달력천공기의 작업선반
CN101837598B (zh) * 2010-06-02 2012-07-25 淮南市华生鑫印刷包装机械有限公司 冲切两用机
CN102390062A (zh) * 2011-10-27 2012-03-28 罗后帅 一种左右摇摆机构
KR101676637B1 (ko) * 2014-12-16 2016-11-17 대구경북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열제본과 링제본 겸용 제본기
KR102396394B1 (ko) * 2020-09-07 2022-05-12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제본기용 스프링 자동 압착기
CN117655278B (zh) * 2024-02-01 2024-04-19 仪征市福斯特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链条加工冲床的自动锁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221B1 (ko) 1993-07-20 2001-04-16 이토오 도요아키 마찰식 무단 변속기
KR200268186Y1 (ko) 2001-12-19 2002-03-15 김학범 펀칭기의 원고고정장치
KR20050111713A (ko) * 2004-05-22 2005-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221B1 (ko) 1993-07-20 2001-04-16 이토오 도요아키 마찰식 무단 변속기
KR200268186Y1 (ko) 2001-12-19 2002-03-15 김학범 펀칭기의 원고고정장치
KR20050111713A (ko) * 2004-05-22 2005-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92B1 (ko) 2009-03-17 2009-09-18 이금석 천공 와이어 제본장치
WO2010107210A2 (ko) * 2009-03-17 2010-09-23 주식회사 엠알 천공 와이어 제본장치
WO2010107210A3 (ko) * 2009-03-17 2010-12-09 주식회사 엠알 천공 와이어 제본장치
KR101188248B1 (ko) 2010-11-15 2012-10-09 김상훈 제본용 종이 천공장치
KR101441337B1 (ko) 2014-02-05 2014-09-18 황혜자 더블 cd관 매립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9878459B2 (en) 2014-07-09 2018-01-30 Shin Heung Machinery Co. Punching apparatus for wire-binding book
CN111496924A (zh) * 2020-04-16 2020-08-07 鄢庆东 一种复合漏粪板后期加工设备
CN111496924B (zh) * 2020-04-16 2021-10-19 安徽省农恪九鸿畜牧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漏粪板后期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714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993B1 (ko)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KR101780665B1 (ko) 지철구
KR101623179B1 (ko)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천공 장치
KR20140008170A (ko) 제본용 천공장치
KR100627663B1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JP4642937B2 (ja) 用紙の綴じ装置及び綴じ方法
CN210025549U (zh) 一种教学用装订打孔装置
CN105150713A (zh) 一种新型双装订机推进机构
CN107379109A (zh) 一种手动式会计凭证打孔机
CN211868955U (zh) 一种纸质档案装订装置
KR101742246B1 (ko) 복합천공기
KR102194224B1 (ko)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KR101183940B1 (ko) 제본장치
CN103991305A (zh) 多功能盒式装订机
KR100514102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제본기
KR101188248B1 (ko) 제본용 종이 천공장치
KR200457418Y1 (ko) 천공제본장치
JP5816787B2 (ja) 用紙穿孔処理装置
KR200381777Y1 (ko) 제본기능을 갖는 천공기
KR101404483B1 (ko) 천공용 펀치
CN203818772U (zh) 多功能盒式装订机
KR100893932B1 (ko) 제본기 펀치플레이트의 펀치 누름하중 분산장치
CN111660690A (zh) 一种会计凭证钻孔机
CN216634682U (zh) 一种书籍装订用打孔机
KR20100068714A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