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663B1 -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 Google Patents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663B1
KR100627663B1 KR1020050015048A KR20050015048A KR100627663B1 KR 100627663 B1 KR100627663 B1 KR 100627663B1 KR 1020050015048 A KR1020050015048 A KR 1020050015048A KR 20050015048 A KR20050015048 A KR 20050015048A KR 100627663 B1 KR100627663 B1 KR 10062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per
stopper
shaft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917A (ko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식 filed Critical 신영식
Priority to KR102005001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6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5Mitre joints
    • E06B3/9646Mitre joints using two similar connecting pieces each connected with one or the frame members and drawn together at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시 2공 천공기의 자동 종이압축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시 2공 천공기의 자동 종이압축 고정장치는, 적층판(1)에 적층된 종이를 압축하여 동시 2공을 천공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로서, 한 쌍의 드릴(50)에 의한 천공이 수행되는 동안 적층된 종이를 압축하는 압착부(80')와; 상기 압착부(80')에 장착되어 압축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푸쉬샤프트(70)와; 상기 푸쉬샤프트(70)에 연동되어 상기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0')와; 상기 각 푸쉬샤프트(70)와 상기 각 푸시샤프트(70)가 삽입되는 홀의 중심축을 편심되게 하여 그 편심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상승을 방지하여 상기 압착부(80')의 압축력을 상기 압력조절부(60')에서 조절된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스토퍼 어셈블리(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 기어 장치를 통하여 압축 고정하는 작동방식과 비교하여 천공 시 발생하던 소음을 완전히 제거하였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부품수를 대폭 줄이면서 작동시 에러율 또한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천공기, 종이, 압축, 고정, 편심, 스토퍼

Description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An Automatic Paper-Compressing & Setting Device For Two Hole Drilling Machine And Drilling & Bookbinding Machine}
도 1은 종래 발명에 의한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의한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예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토퍼 어셈블리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토퍼 어셈블리를 예시한 정면도.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압력조절부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압력조절부를 예시한 정면도.
도 7c는 도 7b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예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채용한 자동압축 천공과 제본과정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 제본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드릴 52......드릴 헤드 샤프트
53......구동모터 56......더블 V벨트
60......헤드 베이스 61......감속모터
62......샤프트 홀 65......스프링 홀
68......스프링 캠 70......푸쉬샤프트
71......압력조절 캠 80......압착판
81......압착지지판 90......스토퍼 판
91......스토퍼 홀 93......스토퍼 스프링
95......스토퍼 힌지 97......샤프트 가이드
100.....리셋노브 101.....리셋 플레이트
103.....플레이트 가이드 105.....리턴 스프링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162603(공고일자 1999.12.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366799(공고일자 2004.11.09)
미공개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20-2004-0028911(출원일자 2004.10.12)
본 발명은 적층된 다수의 종이에 동시 2공을 천공하는 천공기의 종이 자동 압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한 드릴 하강시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를 자동으로 압축 고정함으로써 동시에 다량의 종이를 천공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공기는 천공시 수동으로 압축 고정 장치에 종이를 압축한 후 천공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존의 천공기의 경우는 드릴 하강 시는 드릴에 의해 적층된 종이가 압축되고 드릴 상승시는 드릴에 의한 압축 기능이 해제되기 때문에 다량의 적층된 종이에 대한 천공 실시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발명된 일 예의 2공 천공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가 달린 푸쉬 라츠 샤프트(29, 29-1)를 이용하여 적층된 종이에 대한 천공수행시 압축상태를 고정하였다.
이 경우 압착지지판(2)이 적층된 종이를 충분히 압축할 때까지 하강하면서 푸쉬 라츠 샤프트(29, 29-1)와 함께 하강하고 적층된 종이에 이르면 압착판(3,3-1)을 모터(41)의 하강압력으로 누르면 푸쉬 라츠 샤프트(29, 29-1)가 헤드 베이스(43)의 홈을 통과하면서 라츠 스프링(23,23-1)이 푸쉬라츠 샤프트(29,29-1)의 기어에 고정되면서 적층된 종이를 압축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압축시 푸쉬 라츠 샤프트(29, 29-1)의 기어와 라츠 스프링(23,23-1) 이 부딪히면서 하강 고정되기 때문에 많은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압축 고정 장치는 천공을 완료한 후 푸쉬 라츠 샤프트(29,29-1)의 기어에 끼워져 고정된 라츠 스프링(23,23-1)을 푸쉬 라츠 샤프트(29,29-1)에서 떼어내어 압축고정 상태를 해체하여 위해서 특히 복잡하고 까다로운 기계적 구조가 요구된다.
푸쉬 라츠 샤프트(29, 29-1)의 기어에 고정된 압축 고정 장치를 적층된 종이에 대한 천공을 완료한 후 해체하기 위하여 리셋노브(12)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스위치 링크1(31, 31-1)이 각각 리셋노브(12)로 당겨지면서 스위치 캠(26, 26-1)을 회전 운동시킨다.
스위치 캠의 돌출된 부분(26-A, 26-1A)이 각각 상하로 90°회전운동 하면서 라치 서포트 샤프트(28, 28-1)를 뒤로 후퇴시킨다. 이때, 푸쉬 라츠 샤프트(29, 29-1)의 기어에 물려있던 북 라치 플레이트(25, 25-1)가 뒤로 이동하면서 리츠 스프링(23, 23-1)에 의해 뒤로 젖혀진다.
푸쉬 라츠 샤프트(29, 29-1)의 기어에서 북 라치 플레이트(25, 25-1)가 빠지게 되고 리턴 스프링(13, 13-1)의 당겨 올리는 힘에 의해 종이를 압축 고정하고 있던 압착지지판(2)이 위로 이동하면서 압축 고정이 풀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제작이 까다롭고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작동시 소음이 심하 여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종래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구조는 압축 천공부의 구조가 몹시 복잡하기 때문에 천공과 제본동작이 자동으로 연속으로 수행되는 장치에 적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소요 부품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천공의 전체과정에 있어 적층된 종이에 대한 압축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천공을 위한 압축과 압축 해제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된 종이에 대한 천공과 천공된 종이에 대한 제본이 연속동작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한 압축 천공부의 구조를 구비한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는, 적층판(1)에 적층된 종이를 압축하여 동시 2공을 천공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로서, 한 쌍의 드릴(50)에 의한 천공이 수행되는 동안 적층된 종이를 압축하는 압착부(80')와; 상기 압착부(80')에 장착되어 압축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푸쉬샤프트(70)와; 상기 푸쉬샤프트(70)에 연동되어 상기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0')와; 상기 각 푸쉬샤프트(70)와 상기 각 푸시샤프트(70)가 삽입되는 홀의 중심축을 편심되게 하여 그 편심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상승을 방지하여 상기 압착부(80')의 압축력을 유지시키는 스토퍼 어셈블리(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압력 조절부(60')는, 상기 한 쌍의 푸쉬샤프트(70)가 상하로 관통하는 샤프트 홀(62)과, 상기 샤프트 홀(62)에 수직인 스프링 홀(65)이 형성되는 헤드 베이스(60)와; 상기 푸쉬샤프트(70) 상단부에 형성된 압력조절 캠(71)과; 상기 스프링 홀(65)을 통하여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압력조절 캠(71)의 경사면을 이동하며 횡압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캠(68)과; 상기 스프링 캠(68) 외측단에서 상기 스프링 캠(68)에 대하여 축방향 반발력을 인가하는 판스프링(6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90')는, 상기 압착부(80') 상부에 상기 적층판(1)에서 상방 일정 위치에 상하방향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쉬샤프트(70)가 관통하는 스토퍼 홀이 형성된 스토퍼 판(90)과; 상기 스토퍼 판(90)에 상방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 판(9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 홀의 축과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축을 편심 되게 하는 스토퍼 스프링(9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는, 상기 스토퍼 스프링(93)의 복원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 홀과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축을 일치시키고,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상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편심복원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심복원수단은, 상기 천공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리셋노브(100)와; 상기 리셋노브(100)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 판(90) 상면을 가압하여 스토퍼 판(90)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리셋 플레이트(1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압착부(80')는 상기 케이싱에 고정설치되는 리턴 스프링(105)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편심복원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푸쉬샤프트(70)와 스토퍼 홀의 축이 일치되면 상기 리턴 스프링(10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쉬샤프트(70)가 자동으로 상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천공제본기는,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종이에 대한 천공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적층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제본부로 이동케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단순한 구조로도, 많은 양의 종이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압축 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천공기의 조작에 따른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구비한 동시 2공 천공기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주요부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a은 그 정면도이다. 도 6b,도 6c는 스토퍼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7a,도 7b,도 7c는 본 실시예의 압력조절부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를 채용한 자동압축 천공과 제본과정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자동 천공 제본기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동시 2공 천공기는 적층된 종이에 대하여 천공을 수행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의 천공과정 전체에 걸쳐서 일정의 압력으로 적층된 종이의 압축상태를 유지하여 천공동작의 효율적 수행을 가능케 하는 압축고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천공부는, 천공용 한 쌍의 드릴(50)을 포함하는 드릴 어셈블리와, 드릴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53)와, 드릴 어셈블리의 하강시 일체로 작동하여 하강하는 랙기어(55), 드릴 어셈블리 및 랙기어(55)가 고정설치되는 헤드 베이스(60), 그리고 헤드 베이스(60)의 상하이동을 위한 감속모터(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한 쌍의 드릴(50)은 드릴 헤드에 의해 헤드 베이스(6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드릴 헤드의 상단은 드릴 헤드 샤프트(5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드릴 헤드 샤프트(52)는 구동모터(53)의 풀리(53a)와 각 드릴 헤드 샤프트(52) 외주의 풀리(52a)와 더블 V벨트(5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드릴 어셈블리는 헤드 베이스(60)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53)의 동작시 회전하며, 드릴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하여 한 쌍의 드릴(50)이 적층된 종이에 대하여 천공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헤드 베이스(60)는 감속모터(61)의 동작에 의해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한데, 감속모터(61)는 구동모터(53)와 함께 천공기 케이싱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감속모터(61)에 축설되는 기어가 랙기어(55) 상을 상하로 상대이동하는 것이 의해 헤드 베이스(60)의 상하이동이 수행된다. 그러나, 감속모터(61)와 랙기어(55)의 상대이동은 실시예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는 것이며, 감속모터(61)가 상하이동을 하고 랙기어(55)의 상하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도 5, 도 6a의 본 실시예의 압축고정부(50')는 적층판(1)에 적층된 종이를 압축하여 동시 2공을 천공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압축 고정장치로서, 적층된 종이를 압착하는 압착부(80')와, 압축력을 인가하는 푸쉬샤프트(70), 압착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0'), 압착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 어셈블리(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압착부(80')는 적층 된 종이에 직접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는 압착판(80)과, 압착 압력을 전체 압착 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착지지판(81), 압착판(80)과 압착지지판(81) 사이 압착 압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압착판 스프링(8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압착지지판(81)의 상면에는 천공부의 압축력을 압착부(80')로 전달하는 푸쉬샤프트(70)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푸쉬샤프트(70)는 천공이 수행되는 동안 헤드 베이스(60)에 수직 형성된 샤프트 홀(62)을 관통한 상태로 놓여진다.
도 7a, 도 7b, 도 7c에 도시된 바에 의한 본 실시예의 압력 조절부(60')는, 헤드 베이스(60)의 샤프트 홀(62)에 수직이고 연통되게 천공된 스프링 홀(65)과, 스프링 홀(65)을 통하여 푸쉬샤프트(70)에 횡방향 압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어셈블리와, 푸쉬샤프트(70) 상단에 형성된 압력조절 캠(7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는 스프링 홀(65)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조절 캠(71)에 횡압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캠(68)과, 스프링 캠(68)의 축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는 판스프링(6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캠(68)은 압력조절 캠(71)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 상대이동을 하면서 스프링 어셈블리의 탄성복원력을 압력조절 캠(71)으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 캠(68)의 스프링과 캠이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주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캠(68)의 내측단에는 원형 캠(68a)이 형성되어 있어 압력조절 캠(71)의 상하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횡압력을 전달하여 푸쉬샤프트(70)의 압축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7a, 도 7b, 도 7c의 본 실시예의 압력조절 캠(71) 상단부는 경사면에 의해 돌출된 형상이고, 경사면 하방으로는 편편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 캠(68)이 압력조절 캠의(71) 상단에서 하방으로 상대 이동하면, 스프링 어셈블리에 의한 횡압력은 점점 커진다.
스프링 캠(68)이 압력조절 캠(71)의 경사면을 따라 상대이동하여 하방의 편편한 부분에 이르면 푸쉬샤프트(70)에 가해지던 횡압력은 급격히 감소한다.
이때, 스프링 캠(68)의 상대이동은 압착판 스프링(83)으로부터 압착지지판(81) 및 푸쉬샤프트(70)에 상방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한 것이다. 즉, 헤드 베이스(60)는 드릴 어셈블리가 하방으로 이동시 일체로 이동을 하며, 스프링 캠(68)이 압력조절 캠(71)의 편편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하방으로 상대이동한다.
이 압축과정에서 압착판 스프링(83)의 반발력에 의해 푸쉬샤프트(70)는 상방으로 압력을 받으며, 이 압력에 의해 스프링 캠(68)의 상대이동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고, 적층된 종이에 인가되는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압력조절 캠(71)의 편편한 부분은 처음 인가된 압력을 계속 유지시키지는 못하며, 헤드 베이스(60) 및 작동부의 상하 이동은 천공수행 동안 계속되는 것이므로 압력조절부에 의한 압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푸쉬샤프트(70) 및 압착부(80')에 의한 종이의 압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차에 의해 발생한 편심을 이용하는 스토퍼 어셈블리(90')를 채택하고 있다.
도 6a, 도 6b, 도 6c의 본 실시예의 스토퍼 어셈블리(9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판(90)과, 상기 한 쌍의 푸쉬샤프트(70)가 관통하도록 스토퍼 판(90)에 수직으로 형성된 스토퍼 홀(91)과, 스토퍼 판(90)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스토퍼 홀(91)의 축과 푸쉬샤프트(70)의 축을 편심 되게 하는 스토퍼 스프링(9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 판(90)은 천공기 케이싱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 베이스(1-1)에 설치되며, 스토퍼 판(90)의 일단은 스토퍼 힌지(95)에 연결되어 상하방향 회동 가능한 구조이다. 스토퍼 판(90)의 타단 하면에는 스토퍼 스프링(93)이 설치되어 스토퍼 판(90)이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압력을 인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푸쉬샤프트(70)의 외주에는 스토퍼 베이스(1-1)에서 일정 높이까지 샤프트가이드(97)가 형성되어 푸쉬샤프트(7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데, 이 샤프트가이드(97)는 스토퍼 판(90)의 하방 회동시 스토퍼 걸림턱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스토퍼 판(90)이 샤프트가이드(97) 상면에 안 착된 상태에서 스토퍼 홀(91)과 푸쉬샤프트(70)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압축을 위해 푸쉬샤프트(70)가 스토퍼 스프링(93)의 탄성 복원력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스토퍼 홀(91)의 내벽에 인가하는 힘의 방향이 하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스토퍼 판(90)이 하방으로 회동한다. 스토퍼 판(90)이 샤프트가이드(97)의 상면에 안착되면, 스토퍼 홀(91)과 푸쉬샤프트(70)의 중심축이 일치하기 때문에, 푸쉬샤프트(70) 및 이와 연결된 압착판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종이 압축이 가능하다.
반대로 푸쉬샤프트(70)의 상방 이동시는 스토퍼 판(90)이 하방으로 회동할 수 없기 때문에 푸쉬샤프트(70)와 스토퍼 홀(91) 사이에 미세 공차에 의한 편심이 발생하고, 이 편심에 의해 푸시샤프트(70) 및 압착부(80')의 상방향 이동은 차단되게 된다.
드릴(50)에 의한 천공이 종료되면 압축고정부(50')에 의한 압착상태가 해체되어야 한다. 즉, 스토퍼 판(90)이 수평상태로 복원되어 스토퍼 결속상태가 해체되고, 푸쉬샤프트(50)와 압착판(80) 및 압착지지판(81)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편심복원수단을 구비하여, 스토퍼 스프링(93)의 복원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스토퍼 판(90)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 홀(91)과 푸쉬샤프트(70)의 축을 일치시키고, 상기 푸쉬샤프트(70) 및 압착부의 상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편심복원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도록 천공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셋노브(100)와, 상기 리셋노브(100)의 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양측 스토퍼 판(90)의 상면을 가압하는 리셋 플레이트(101)와, 상기 리셋 플레이트(101)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레이트 가이드(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리셋 플레이트(101)는 압축된 종이의 천공시에는 스토퍼 스프링(93)의 작용에 의해 상 방향으로 힘을 받아 플레이트 가이드(103)를 따라 상향이동하기 때문에 푸쉬샤프트(70) 및 압착부의 압축작용 유지가 가능하다.
반대로 천공과정이 종료되게 되면, 사용자가 리셋노브(1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에는 리셋노브(100)의 하방이동에 따라 리셋 플레이트(10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판(90)의 상면을 가압한다.
이 경우 스토퍼 판(90)의 샤프트 가이드(97)의 상면에 안착되므로 푸시샤프트(70)에 대한 스토퍼 어셈블리(90')의 작용이 해제되고, 푸쉬샤프트(70) 및 압착부(80')에 의한 압축상태가 풀리게 된다.
본 실시예의 압착부(80')는 각각 양측 케이싱에 고정설치되는 리턴 스프링(105)에 연결되어 있어, 압착부(80') 및 푸쉬샤프트(70)에 대한 항상적인 상향 압력을 인가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모터(53)가 작동하면 구동모터와 샤프트의 풀리(53a,52a)와 연결된 더블V벨트(56)에 의해 드릴 헤드 샤프트(52)에 연결된 한 쌍의 드릴(50)이 회전한다. 감속모터(61)가 작동하면 랙기어(55) 및 드릴 어셈블리가 헤드 베이스(60)와 함께 하강한다.
천공부가 적층된 종이에 이르면 푸쉬샤프트(70)의 상단 압력조절 캠(71)은 헤드베이스(60)의 샤프트 홀(62)을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푸쉬샤프트(70)를 통하여 압착지지판(81)에 압력이 가해지고, 그 하면에 설치된 6개의 압착판 스프링(83)들에 의한 강한 압력으로 압착판(80)에 적층된 종이를 압착한다. 이때 압착지지판(81)은 압착판(80) 전체에 걸쳐 압축 압력의 균형을 유지하며, 또한 그 압력을 역으로 푸쉬샤프트(70)로 전달한다.
압력조절 캠(71)이 샤프트 홀(62)을 통과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압착지지판(81)의 압력에 의해 푸쉬샤프트(70)는 헤드 베이스(60)의 샤프트 홀(62)을 각각 통과하게 된다. 이때 푸쉬샤프트(70)는 스프링 홀(62)에 장착된 스프링 캠(68)을 밀면서 상승한다.
스프링 캠(68)이 압력조절 캠(71)의 상단부를 통과할 때 판스프링(69)은 스프링 캠(68)을 통하여 횡방향 탄성 복원력을 압력조절 캠(71)에 전달한다.
압력조절 캠(71)에 전달되는 횡방향 압력은 푸쉬샤프트(70)의 압축력으로 작용하고, 스프링 캠(68)이 압력조절 캠(71)의 편편한 부분을 통과할 때까지 압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력조절 캠(71)의 구조변경에 의해 압축력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캠(68)이 압력조절 캠(71)의 편편한 부분에 이르렀을 때에는 스프링 어셈블리에 의한 압력이 푸쉬샤프트(70)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리턴 스프링(105)에 의한 상향의 탄성 복원력만 작용하게 된다.
스프링 캠(68)이 압력조절 캠(71)의 편편한 부분에 이르렀을 때에는 각 푸쉬 사프트(70)가 스토퍼 판(90)을 하방으로 누르는 압력이 제거되므로 스토퍼 판(90)이 스토퍼 스프링(93)의 작용으로 회동하여 편심을 일으킨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 홀(91)의 지름은 푸쉬샤프트(70)의 지름보다 0.1mm 정도 크게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스토퍼 홀(91)을 통과한 푸쉬샤프트(70)는 스토퍼 어셈블리의 작용에 의해 상하위치가 고정된다.
푸쉬샤프트(70)의 상하위치가 고정되므로 압력조절부(60')에 의한 최고 압력이 압착판(80)에 지속적으로 인가되어 천공의 전체과정에 걸쳐서 동일한 압력이 적층된 종이에 인가된다.
천공과정을 살펴보면, 푸시샤프트(70)에 의해 적층된 종이의 압축 고정이 이루어진 후, 헤드 베이스(60)는 드릴(50) 및 랙기어(55)와 함께 자유로이 상하이동을 하고, 드릴(50)의 상하작용이 반복되면서 적층된 다량의 종이에 대한 천공이 수행된다.
이때의 스프링 캠(68)은 압력조절 캠(71)의 편편한 부분을 상하로 상대이동 하는 것이므로 드릴(50) 및 헤드 베이스(60)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천공 완료시 리셋노브(100)를 아래로 내리면, 리셋 플레이트(101)가 플레이트 가이드(10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판(90)의 상면을 가압한다. 스토퍼 판(90)은 샤프트 가이드(103)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 경우 푸쉬샤프트(70)와 스토퍼 홀(62)의 축이 일치하므로 푸쉬샤프트(70)의 상하이동이 가능해지고 압축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압축상태가 해제된 후 리셋노브(100)를 놓게 되면 리셋 플레이트(101)는 스토퍼 스프링(93)의 반작용으로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도 8의 천공제본기에서 천공이 완료된 적층된 종이는 압착판(80)이 상향으로 이동한 후, 좌측 제본부(200)로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하여 이동되어 제본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이 경우 적층판(1)의 하방에는 적층판(1)의 좌우 이동을 위한 레일이 설치되고, 적층판의 하면에는 상기 레일(201) 상에서 적층판(1)의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좌우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가이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균등 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압축고정부의 소요 부품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생산비용을 감소시키며, 천공의 전체과정에 있어 적층된 종이에 대한 효율적인 압축이 지속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을 위한 압축과 압축 해제의 과정이 단순한 조작으로 행해지는 것이므로 압축고정부의 스토퍼 어셈블리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축된 종이에 대한 천공과정이 수행된 후, 적층판의 좌우이동을 통하여 제본부로 천공된 종이를 이동시켜 제본부의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천공과 제본이 연속동작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해져서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 하게 된다.

Claims (7)

  1. 적층판(1)에 적층된 종이를 압축하여 동시 2공을 천공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로서,
    한 쌍의 드릴(50)에 의한 천공이 수행되는 동안 적층된 종이를 압축하는 압착부(80')와;
    상기 압착부(80') 상면에 장착되어 하향 압축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푸쉬샤프트(70)와;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상하 상대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0')와;
    상기 각 푸쉬샤프트(70)와 상기 각 푸시샤프트(70)가 관통 삽입되는 홀의 중심축을 편심되게 하여 그 편심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상승을 방지하여 상기 압착부(80')의 압축력을 상기 압력조절부(60')에서 조절된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스토퍼 어셈블리(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60')는,
    상기 한 쌍의 푸쉬샤프트(70)가 상하로 관통하는 샤프트 홀(62)과, 상기 샤프트 홀(62)에 수직인 스프링 홀(65)이 형성되는 헤드 베이스(60)와;
    상기 푸쉬샤프트(70) 상단부에 형성된 압력조절 캠(71)과;
    상기 스프링 홀(65)을 통하여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압력조절 캠(71)의 경사면을 이동하며 횡압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캠(68)과;
    상기 스프링 캠(68) 외측단에서 상기 스프링 캠(68)에 대하여 축방향 반발력을 인가하는 판스프링(6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90')는,
    상기 압착부(80') 상부에 상기 적층판(1)에서 상방 일정 위치에 상하방향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쉬샤프트(70)가 관통하는 스토퍼 홀이 형성된 스토퍼 판(90)과;
    상기 스토퍼 판(90)에 상방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 판(9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 홀의 축과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축을 편심 되게 하는 스토퍼 스프링(9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는,
    상기 스토퍼 스프링(93)의 복원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 홀과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축을 일치시키고, 상기 푸쉬샤프트(70)의 상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편심복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심복원수단은,
    상기 천공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리셋노브(100)와;
    상기 리셋노브(100)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 판(90) 상면을 가압하여 스토퍼 판(90)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리셋 플레이트(1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80')는 상기 케이싱에 고정설치되는 리턴 스프링(105)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편심복원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푸쉬샤프트(70)와 스토퍼 홀의 축이 일치되면 상기 리턴 스프링(10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쉬샤프트(70)가 자동으로 상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의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상기 적층판(1)에 적층된 종이에 대한 천공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적층판(1)을 좌우로 이동시켜 제본부(200)로 이동케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
KR1020050015048A 2005-02-23 2005-02-23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KR10062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048A KR100627663B1 (ko) 2005-02-23 2005-02-23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048A KR100627663B1 (ko) 2005-02-23 2005-02-23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917A KR20060093917A (ko) 2006-08-28
KR100627663B1 true KR100627663B1 (ko) 2006-09-25

Family

ID=3760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048A KR100627663B1 (ko) 2005-02-23 2005-02-23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869B1 (ko) * 2012-07-11 2014-02-21 정점미 제본용 천공장치
CN103522339B (zh) * 2013-10-22 2016-03-30 太仓东能环保设备有限公司 平板式切纸机用夹持装置
CN104493861A (zh) * 2014-11-21 2015-04-08 柳江县联华纸制品厂 自动切纸机
CN106564092B (zh) * 2016-11-05 2019-04-12 合肥辰泰安全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喷嘴运输用eva缓冲板材的钻孔装置
CN106737534A (zh) * 2016-12-19 2017-05-31 新乡市振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旋振筛压网环定位打孔装置
CN108515784A (zh) * 2018-04-27 2018-09-11 佛山易力佳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装订机的压纸台锁紧机构
CN110014473B (zh) * 2019-01-28 2020-10-30 浙江红绿蓝纺织印染有限公司 一种票据打孔装置
CN109794987A (zh) * 2019-01-28 2019-05-24 惠州市丰瑞印刷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自动夹紧的打孔机
CN117385624A (zh) * 2023-11-08 2024-01-12 江苏岛瀛服饰有限公司 一种针织面料的切边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917A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663B1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JP5792965B2 (ja) 自動製本機の穿孔装置の構造
KR100748993B1 (ko)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US4008501A (en) Electrically actuated punching and binding apparatus
CN111496074A (zh) 一种用于板材冲压打孔的机械设备
KR100415590B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KR101163648B1 (ko) 제본기의 스프링 제본 장치
KR100627660B1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KR200387538Y1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KR20060032561A (ko) 동시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KR200457418Y1 (ko) 천공제본장치
JPH09109098A (ja) 強力パンチ
KR20200002177A (ko) Dc모터를 이용한 자동 펀칭머신
KR101188248B1 (ko) 제본용 종이 천공장치
KR101966192B1 (ko) 사무용 펀치
CN105798989A (zh) 一种自动钉孔机的执行机构
KR890000879Y1 (ko) 자동 인증기의 천공장치
KR200191047Y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KR200250274Y1 (ko) 사무용 펀치
CN210910310U (zh) 一种印刷用打孔机
KR100893932B1 (ko) 제본기 펀치플레이트의 펀치 누름하중 분산장치
KR200391288Y1 (ko) 펀치를 갖는 전동식 스테이플러
CN111015811B (zh) 一种会计凭证钻孔机
KR102108252B1 (ko) 증명서용 자동 천공지철장치
CN219153140U (zh) 一种用于家具加工的打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