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629B1 -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629B1
KR101780629B1 KR1020177017726A KR20177017726A KR101780629B1 KR 101780629 B1 KR101780629 B1 KR 101780629B1 KR 1020177017726 A KR1020177017726 A KR 1020177017726A KR 20177017726 A KR20177017726 A KR 20177017726A KR 101780629 B1 KR101780629 B1 KR 10178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ush
refill
fitt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710A (ko
Inventor
나오키 쯔다
쓰요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96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15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967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15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661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142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7008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65D79/0084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in the sidewall or shoulde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되는 주벽의 축소 변형을 원활하게 진행시킴이 가능한 합성수지제 병체 형상을 창출하는 것, 또한 기립한 주출통편을 갖는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에 관련하여 내용액의 안정된 리필 동작을 얻는 동시에, 리필 용기의 바람직한 폐기 상태를 얻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며,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된 수단은, 병체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주벽은 병체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하여 축소 변형이 진행 가능한 박육으로 형성하고, 또한 이 주벽은, 산 접기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능선을 갖고, 인접하는 능선을 3개의 패널벽으로 연결한 구성이며, 각 패널벽에는 일방의 능선의 상단부와 타방의 능선의 하단부를 대각선상으로 연결하는 골 접기 형상의 접기 선을 형성하고, 3개의 접기 선이 둘레방향으로 병렬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PLASTIC BOTTLE BODY AND COMBINATION OF SUSTAINED USE CONTAINER AND REFILL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의 감압화(減壓化)에 동반하여 축소 변형이 진행되도록 박육(薄肉)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 유연제, 표백제, 입욕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에 사용하는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격의 저감화 혹은 자원 절약이나 환경의 관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세제나 식품 조미료 등의 많은 용도로 리필 용기의 이용이 진전되고 있다.
보통 내용액을 수납하여 사용하는, 비교적 두꺼운 용기 본체의 주출구(注出口)에 계량 기능부를 장착시키는 등의 용기(이하, 계속사용 용기라고 한다.)는 계속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보충하는 내용액은 염가의 리필 용기에 수납하여, 계속사용 용기로 바꾸어 담아 사용한다.
리필 용기에 대해서 보면, 종래 이런 종류의 리필 용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가 있는, 유연한 시트 편(片)을 겹치도록 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한, 소위, 파우치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리필 용기로부터 계속사용 용기로의 내용액의 리필시에, 이 내용액의 리필은, 계속사용 용기에 대해 리필 용기로부터의 내용액을 주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액체가 튀거나, 흘러내림 등으로 주위를 더럽히는 경우가 있고, 또한 이 내용액의 주입이 종료할 때까지, 리필 용기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리필 작업은 신경이 많이 쓰인다는 불만이 있었다.
이 점, 특허문헌 1에 기재가 있는 파우치 용기는, 주출구로 되는 노즐 받이부를 배치하고, 이 노즐 받이부를, 계속사용 용기의 주출노즐에 바깥 끼움 조립으로 내용액을 바꾸어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용액을 노즐 받이부와 주출노즐을 통해 리필되므로, 내용액의 액체가 튀거나 흘러내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상기한 내용액의 액체 튐이나 흘러내림을 해소하기 위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결합 방법에 관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결합 방법에 관한 기본적인 구성은, 계속사용 용기의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관 형상의 노즐이 돌출되는 트랜지션 캡을 배치하고, 한편, 리필 용기의 개구부에 약화부(弱化部)를 통해 안 덮개를 배치한 피트 조인트를 조립 고정하여, 사용시에는 트랜지션 캡과 피트 조인트를 액밀(液密)상태로 끼워맞춤하는 동시에, 이 끼워맞춤 조작에 동반하여, 트랜지션 캡으로 돌출하는 노즐로 피트 조인트에 배치되는 안 덮개를 밀어 연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계속사용 용기의 트랜지션 캡에 대해서, 리필 용기의 피트 조인트가 액밀상태로 장착된 상태에서 안 덮개가 개방되므로, 내용액의 액튐이나 흘러내림이 없는 동시에, 계속사용 용기에 대해서 리필 용기를 도립(倒立)자세로 조립 유지하므로, 리필 용기를 보조하여 유지할 필요가 없어진다.
일본 공개특허 2003-267403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4-099082 공보
여기서, 상기 특허문헌 1의 파우치 용기에서는, 노즐 받이부를 계속사용 용기의 주출노즐에 바깥 끼움 조립함으로써, 일단 그 도립자세를 유지함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내용액의 흘러나감이 진행됨에 따라서 파우치 용기는 편평(扁平) 형상으로 축소 변형되므로, 도립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고, 편평 형상이 된 부분에서 절곡되어, 밸런스를 잃어 계속사용 용기와 함께 전도(轉倒)될 우려도 있어, 리필 중에는 감시하면서, 혹은 어느 정도 손으로 지지해줄 필요가 있어, 사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결합 방법을 채용한다고 해도, 리필 용기로서 상기와 같이 파우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리필 작업이 끝날 때까지 도립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함은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결합 방법에서는, 노즐로 밀어 연 안 덮개가, 단순한 평판 구조이기 때문에, 이 안 덮개를 밀어올리고 있는 노즐의 상단 개구부를 대부분 막는 자세로 위치하게 되고,
이 때문에 노즐의 상단 개구부가 안 덮개에 의해 대부분 막히므로, 내용액은 노즐의 양측을 지나 유동하게 되지만, 이 통로는 계속사용 용기로부터 리필 용기로의 공기의 「빠짐」 통로로도 되기 때문에, 내용액의 리필이 원활하게 달성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에 의해 박육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종래가 리필 용기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려고 하는 것이고, 그 기술적인 과제는 병체로서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내부의 감압화에 따른 주벽 (周壁)의 축소 변형을 원활하게 진행시킴이 가능한 병체 형상을 창출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립(起立)한 주출통편(注出筒片)을 갖는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용액의 안정된 리필 동작을 얻는 동시에, 리필 용기의 바람직한 폐기 상태를 얻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따라서 내용액을 양호하게 리필하는 동시에, 리필 후의 리필 용기의 양호한 폐기 처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병체와,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선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에 대해 설명하고, 다음으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 중,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의 주된 구성은,
입구통부와, 테이퍼 통 형상의 어깨부와, 통 형상의 몸통부와, 저부(底部)를 갖는 블로우 성형에 의한 합성수지제 병체에 있어서,
몸통부의 주벽은 병체 내부의 감압화에 따라 축소 변형이 진행 가능한 박육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 주벽은, 산 접기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능선을 갖고, 인접하는 능선을 원호 형상의 3개의 패널벽으로 연결한 구성이며,
각 패널벽에는 일방의 능선의 상단부와 타방의 능선의 하단부를 대각선상으로 연결하는 골 접기 형상의 접기 선을 형성하고, 3개의 접기 선이 둘레방향으로 병렬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한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몸통부의 주벽을, 병체 내부의 감압화에 따라 축소 변형이 진행 가능한 박육으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병체에 압력이나 비틀림력을 작용시킴 없이, 병체 내부의 감압화에 따라, 안팎의 압력차에 의해 병체는 자발적으로 축소 변형할 수 있고, 능선이나 접기 선의 형성은 이 자발적인 주벽의 축소 변형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한 요건이다.
상기한 구성의 병체를 리필 용기로서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면, 다 채워진 상태에 가깝게 내용액을 충전한 병체를, 입구통부를 고정한 상태로 도립자세로 하고, 외기(外氣)를 내부에 침입시킴 없이 일정량의 내용액을 입구통부로부터 자중(自重)에 의해 흐를게 할 수 있다.
이때, 내용액의 흘러나감이 진행됨에 따라, 어깨부나 저부는 거의 원 형상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박육으로 형성되어 함몰 변형의 기점(起點)으로 되는 골 접기 형상의 접기 선이 형성된 몸통부의 주벽이, 비틀림 형상으로 변형되고, 그 결과 몸통부가 높이 방향으로 축소되며, 이 몸통부의 비틀림 형상의 변형과 높이 방향의 축소에 의해, 초기의 형상으로부터 그 도립자세를 대략 곧바로 유지하면서 병체의 축소 변형을 진행시킴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파우치 용기와 같이 흐를 때 용기 옆으로 넘어질 우려도 없기 때문에, 손으로 지지해 줄 필요도 없으며, 안심하고 리필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흘러나감의 진행에 따른 병체의 주벽의 축소 변형의 형태의 상세를 설명한다.
내용액의 흘러나감에 동반하여,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병체의 주벽 전체에 압력이 작용하지만, 몸통부의 주벽의 각 패널벽에 경사 형상으로 골 접기 형상, 즉 함몰 형상으로 형성되는 3개의 접기 선이, 병체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도록 변위하여 축소 변형이 진행된다. 이때, 각 패널벽은 접기 선을 기점으로 하여 접기 선을 따라서 접히도록 하여 함몰 형상으로 변형한다.
한편,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3개의 산 접기 형상의 능선은 압력에 대해서 기둥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축소 변형의 진행중에도 병체의 중심축에 대해서 대략 초기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주벽의 평단면(平斷面)의 외곽적 형상을 정3각 형상으로 유지하고, 축소 변형 상태에서도 병체의 도립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때, 각 능선은 상기와 같이 중심축에 대해서 대략 초기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접기 선을 따른 패널벽의 함몰 변형의 진행에 따라서 경사 형상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몸통부의 주벽이 비틀림 형상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몸통부가 높이 방향으로 축소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몸통부의 주벽의 두께의 평균치를 0.2mm 이하로 한다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몸통부의 주벽 두께의 평균치를 0.2mm 이하로 함으로써, 병체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되는 축소 변형을 원활하게 달성시킴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주벽의 두께의 하한치에 대해서는 병체의 자립성 등의 점에서 적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주벽 두께의 평균치는, 더 바람직하게는 0.05∼0.15mm의 범위로 함이 좋고, 몸통부의 주벽을 이 범위의 두께로 함으로써, 병체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되는 축소 변형을 더 원활하게, 또한 확실히 달성시킴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또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인접하는 능선간의 거리와 능선의 높이의 비인, 거리/높이의 값을 0.6∼1.7의 범위로 한다는 것이다.
상기 구성은, 패널벽에 형성되는 접기 선의 경사각도에 관련된 것으로, 거리/높이의 값을 0.6∼1.7의 범위로 함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능선에 대한 접기 선의 경사각도를 대략 30°∼60°의 범위로 함에 상당하고, 경사각도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몸통부의 비틀림 변형과 그에 따른 높이 방향의 축소를 모두 충분히 진행시켜, 병체의 도립자세를 대략 곧바로 유지하면서 축소 변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 경사각도가 너무 작으면, 즉 접기 선이 지나치게 종방향을 향하면, 비틀림 형상의 변형에서의 비틀림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지만, 3개의 접기 선이 상호 맞닿아, 그 결과 높이 방향의 축소가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경사각도가 너무 크면, 즉 접기 선이 횡방향으로 너무 향하면, 비틀림 형상의 변형에서의 비틀림 각도를 크게 하지 못하고, 이 경우도 높이 방향의 축소가 불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어깨부를 반구각(半球殼) 형상, 저부를 바닥 있는 단원통(短圓筒)형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어깨부를 반구각 형상, 또한 저부를 바닥 있는 단원통형상으로, 모두 감압화에 의한 함몰 변형이 진행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함으로써, 감압화에 동반되는 축소 변형이 몸통부에서 우선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어, 병체의 도립자세를 대략 곧바로 유지하면서, 축소 변형을 더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3개의 능선을 저부의 측주벽에까지 연장 설치하고, 저부를 3개의 능선에 의해 바닥 있는 단(短)3각통 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은, 저부의 형상을 미리 3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몸통부의 비틀림 변형을 원활하게 진행시켜, 병체의 축소 변형을 원활하게 진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저부의 저면(底面)의 중앙부에 저면벽을 병체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시켜 형성한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저부의 저면의 중앙부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주연(周緣)에 잔존 형성되는 링 형상의 주연부에 의해 둘레 리브로서 기능이 발휘되어, 내용액을 흐르게 한 후, 저부의 저면에 압력을 작용시켜 병체를 상하 방향으로 압궤(壓潰)할 때, 이 주연부에서 압력이 분산되므로, 저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또한 몸통부 혹은 저부를 반구각 형상의 어깨부에 메워 넣기에 충분하게 압궤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이하 줄여서, 「용기의 조합방법」으로 기재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구성은 모두 리필 용기에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병체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 주된 구성은,
용기 본체의 입구통에, 기립해서 주출통로를 형성하는 주출통편을 갖는 본체 캡을 조립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용의 내용액을 수납하는 병체의 입구통부에, 결합덮개를 조립한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이며,
병체의 몸통부는, 내용액의 자연적인 흘러나감에 의한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되어, 축소 변형 가능한 박육으로 형성되고,
리필 용기의 결합덮개에, 계속사용 용기의 주출통편에 끼워넣기로 조립되는 끼워맞춤통을 설치하고, 이 끼워맞춤통을 막는 중간 마개를 설치하며,
끼워넣기로 조립된 끼워맞춤통의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밀어올림체를, 계속사용 용기의 주출통편에 설치하고,
리필 용기의 계속사용 용기로의 조립에 의해 내용액의 리필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도립(倒立)시킨 리필 용기를, 그 끼워맞춤통을 계속사용 용기의 주출통편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기 하면서 밀어 넣어 가면, 끼워맞춤통의 주출통편으로의 끼워넣기 조립에 의해, 계속사용 용기에 대한 리필 용기의 도립자세에서의 조립이 유지되게 되고, 또한 끼워맞춤통의 주출통편으로의 밀어 넣음을 진행시키면, 리필 용기의 중간 마개에 대한 계속사용 용기의 밀어올림체의 부딪힘에 의해, 중간 마개는 밀어 올려지면서 기울어 변위하여 개구(開口)를 형성한다.
가득히 내용액을 충전한 병체를, 입구통부를 고정한 상태로 도립자세로 하여 개구하면, 병체는, 외기를 내부에 침입시킴 없이 일정량의 내용액을 자중에 의해 흐르게 되지만, 내용액의 흘러나감이 진행됨에 따라 몸통부가 축소 변형된다.
이때, 리필 용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병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몸통부가 비틀림 형상으로 접어포개짐의 변형으로 되면서 종방향으로 축소하고, 곧바로 도립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축소 변형이 진행되기 때문에, 병체의 축소 변형을 진행시키면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물은 안정된 자립(自立)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주출로(注出路)의 유로 면적을, 내용액의 단속(斷續)적 흘러나감이 생길 정도로 설정하고,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에 의해 내용액의 전량이 흘러나갈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주된 구성에서는,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흘러나감이 진행되고, 병체의 몸통부의 축소 변형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이 병체의 몸통부의 축소 변형에 동반되어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일단은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흘러나감이 자동적으로 정지하지만, 그 후의 흘러나감 조작에 관한 형태는,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주출로의 유로 면적에 의해, 크게 나누어 2개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이 흘러나감 조작에 의한 형태 중 하나에 관한 것으로, 유로 면적을 비교적 크게 하고,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로부터 외기를 기포(氣泡) 형상으로 병체내에 상승시켜, 단속적인 형태로 내용액의 흘러나감을 계속시키는 것이고, 이에 의해, 보조 없이,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에 의해 내용액의 전량의 리필을 완료시킴이 가능해진다.
또한, 내용액의 리필은, 내용액의 자연적 흘러나감에 의한 리필 용기의 축소 변형에 동반하여 완료되므로, 내용액의 리필이 완료된 때에는, 리필 용기는, 그 몸통부가 축소 변형한 자세로 되어 있고, 이 리필 용기를 계속사용 용기로부터 이탈시켜 폐기할 때에는, 리필 용기를 상방으로부터 압궤함으로써, 용이하게 대략 완전한 압궤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주출로의 유로 면적을, 내용액의 단속적 흘러나감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설정하고, 병체의 저부에 대한 밀어 내림에 의해 남은 내용액을 강제적으로 흘러나가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은, 병체의 몸통부의 축소 변형에 동반되어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일단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이 자동적으로 정지한 후의, 또 하나의 흘러나감 조작에 의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유로 면적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로부터 외기가 기포 형상으로 병체 안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즉 단속적인 형태에 의한 내용액의 흘러나감이 없도록 하는 구성이다.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흘러나감이 자동적으로 정지했다면, 어느 정도 축소 변형되어 있는 병체를 상방으로부터 압궤하여, 나머지 내용액을 강제적으로 흘러나가게 하며, 이에 의해 내용액의 리필을 완료시킬 수 있어, 내용액의 리필을 단시간에 끝낼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의 리필은, 병체의 강제적인 압궤에 의한 흘러나감에 의해 완료되므로, 내용액의 리필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리필 용기는, 그 병체가 완전하게 종방향으로 압궤된 자세로 되어, 충분히 축소화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 리필 용기를 계속사용 용기로부터 이탈시켜 폐기할 때에는, 그대로 폐기하면 좋다.
즉, 강제적인 압궤에 의해, 내용액의 흘러나감과 리필 용기의 축소화를 동시에 행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의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끼워맞춤통의 선단부에 설치한 것이다.
중간 마개를, 끼워맞춤통의 선단부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중간 마개를 끼워맞춤통의 개구부 가까이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밀어올림체에 대해서 중간 마개를 대향시킴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밀어올림체를, 끼워맞춤통내에 깊이 침입시킴 없이 중간 마개에 대향시킬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밀어올림체의 구조를 간단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밀어올림체에 밀어올림편을 설치하고, 이 밀어올림편을,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부분과, 중간 마개를 해방 자세로 유지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밀어올림편을,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부분과, 중간 마개를 해방 자세로 유지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어서는, 밀어올림편의 개방하는 부분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기울어 개방한 중간 마개를, 계속 개방 자세를 유지하는 부분에 의해 유지하므로, 형성되는 주출로의 유로 면적을, 안정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된 구성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힌지 부착으로 끼워맞춤통에 조립한 것이다.
중간 마개를 힌지 부착으로 끼워맞춤통에 조립한 것에 있어서는, 중간 마개의 개방 흔들림 방향을 일정하게 규제할 수 있으므로, 중간 마개의 기울어 개방되는 동작을 일정하고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가져온다. 즉,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병체에 있어서는,
리필 용기로서 이용함을 상정하면, 내용액의 흘러나감의 진행에 따라, 어깨부나 저부는 거의 원 형상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박육으로 형성되어 함몰 변형의 기점으로 되는 골 접기 형상의 접기 선이 형성된 몸통부의 주벽이 비틀림 형상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높이 방향으로 축소되면서, 초기의 형상으로부터 그 도립자세를 대략 곧바로 유지하면서 병체의 축소 변형이 진행된다.
이 때문에, 파우치 용기와 같이 흘러나감에 따라 용기가 옆으로 넘어질 우려도 없기 때문에, 손으로 지지해 줄 필요도 없어, 안심하고 리필 조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을 갖는 「용기의 조합방법」에 있어서는,
리필용의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에 동반되는 병체의 축소 변형은, 계속사용 용기에 대한 리필 용기의 도립 상태에서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물의 자립 기능이 안정되게 유지되어, 이에 의해 보조 없이, 내용액의 리필을 안정되게 달성할 수 있다.
내용액의 흘러나감이 완료한 병체는, 그 몸통부가 어느 정도 축소 변형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 병체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압궤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이 병체를 용이하게 종방향으로 압궤 형상으로 축소 변형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병체의 폐기 처리를 호적하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주출로의 유로 면적을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개구로부터 외기를 기포 형상으로 병체내로 상승시켜, 단속적인 형태로 내용액의 흘러나감을 계속시킬 수 있고, 보조 없이,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에 의해 내용액 전량의 리필을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로부터 외기가 기포 형상으로 병체내로 상승하지 않도록 유로 면적을 비교적 작게 한 구성에서는,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흘러나감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었다면, 어느 정도 축소 변형되어 있는 병체를 상방으로부터 압궤하도록 하여, 나머지 내용액을 강제적으로 흘러나가게 함으로써 내용액의 리필을 완료시킬 수 있고, 내용액의 리필을 단시간에 끝낼 수 있다.
또한, 밀어올림편을,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부분과, 중간 마개를 해방 자세로 유지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어서는, 밀어올림편의 개방하는 부분에 의해 밀어올려져 기울어 개방된 중간 마개를, 계속 개방 자세를 유지하는 부분에 의해 유지하므로, 형성되는 주출로의 유로 면적을, 안정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병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병체의, (a)는 측면도, (b)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병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병체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중의 A-A선을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병체의 축소 변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의 병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병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중의 B-B선을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병체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의 제1 실시 형태예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한 조립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 형태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실시 형태예의 리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실시 형태예의 다른 리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실시 형태예의 리필 완료시에서의 병체의 압궤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 중의 밀어올림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중간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의 제2 실시 형태예의 리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실시 형태예의 가압 흘러나감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중의 밀어올림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밀어올림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 및 「용기의 조합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실시예를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병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정면도, 도 2(a)는 측면도, 도 2(b)는 배면도(도 2에서는 입구통부를 도시 생략하고 있다),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저면도, 도 5는 도 1중의 A-A선을 따른 평단면도, 그리고 도 6과 도 7은 축소 변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이 병체(1)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의 2축연신 블로우 성형품으로서, 입구통부(2), 반구각(半球殼) 형상이고 테이퍼 통 형상인 어깨부(3), 통 형상의 몸통부(4), 바닥 있는 단원통(短圓筒)형상의 저부(底部, 5)를 갖고, 전체 높이 125mm, 횡폭 70mm이고, 용량 300ml의 병체이다.
그리고, 저부(5)의 측주벽(側周壁, 5s)은 단원통형상으로, 저면의 중앙부에는 저면벽을 병체의 내부방향으로 함몰시켜 함몰부(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주연(周緣)에는 링 형상의 주연부(5p)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4)의 주벽에는, 산 접기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등간격이고 3개의 능선{12(12a,12b,1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벽은 인접하는 능선(12)을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평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인 3개의 패널벽{11(11ab,11bc,11ca)}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패널벽(11)에는 일방의 측단(側端)에 위치하는 능선(12)의 상단부와 타방의 측단에 위치하는 능선(12)의 하단부를 대각선상으로 연결하는 골 접기 형상의 접기 선{13(13ab,13bc,13ca)}을 형성하고, 이들 3개의 접기 선(13)이 둘레방향으로 병렬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도 1, 도 2에서는 비스듬히 우측 상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좌측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아울러, 변형의 형태를 알기 쉽도록, 각 도면에서는 능선(12)을, 12a, 12b, 12c로 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능선을 구별할 수 있도록 나타내고, 도면 간에 상호 대응되도록 하였다. 패널벽(11)과 접기 선(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3개의 능선(12)은 도 5의 평단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3각형의 정점에 배치되어, 병체(1)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힘에 대해 기둥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이 몸통부(4)의 주벽은, 능선(12) 부분을 제외하고,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중앙 높이 위치를 향해 축경(縮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병체(1)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능선(12)간의 거리 L과 능선(13)의 높이 H의 비인, L/H의 값은 대략 1이고, 접기 선 (13)의 중심축 Ax에 대한 경사각도 D를 약 45°정도로 하고 있다. 이 경사각도는, 병체의 형상이나, 내용액의 원활한 흘러나감에 관한 몸통부(4)의 주벽의 축소 변형의 형태를 고려하여 적의 결정할 수 있는 것이지만, L/H의 값은 0.6∼1.7의 범위(중심축 Ax에 대한 경사각도 D에서는 30°∼60°의 범위)로 함이 바람직하다.
[0060]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병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병체(1)의 도 2(a)의 측면도에 상당한다. 도 9는 도 8 중의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0은 저면도이고, 제1 실시예의 병체와 비교하여, 어깨부(3)로부터 몸통부(4)에 걸친 기본적인 형상은 동일하고, 입구통부(2)에는 나사 조(條) 대신에 둘레 조(2a)를 배치하고, 저부(5)의 저면의 형상을 3각 형상으로 하고 있다.
저부(5)의 형상을 더 상술하면, 몸통부(4)에 형성되는 3개의 능선 (12a,12b,12c)을 저부(5)의 측주벽(5s)에까지 연이어 설치하고, 이 3개의 능선 (12)을 도 9의 평단면도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게 원호 형상으로 연결하여 측주벽 (5s)을 3각통 형상으로 하고, 저부(5)를 바닥 있는 단(短)3각통 형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병체(1)에서는, 비틀림 변형에 따른 힘이 작용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5)의 형상은 원형으로부터 3개의 능선(12)의 하단을 정점으로 한 3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화하지만,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나는 제2 실시예의 병체(1)는, 저부(5)의 형상을 미리 3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비틀림 변형을 원활하게 진행시켜, 병체(1)의 축소 변형을 더 원활하게 진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제1 실시예의 병체(1)에서는 저부(5)의 형상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 형상으로 하고, 제2 실시예의 병체(1)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각 형상으로 했지만, 저부(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된 것이 아니고, 또한 다각형상으로 할 수도 있어, 외관 디자인이나, 축소 변형시의 병체의, 자세의 유지성이나 비틀림 변형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7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병체(1)를 리필 용기(A)의 용기 본체로서 이용한,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 설명 중에서 상기 제1 실시예의 병체(1)의 축소 변형의 형태를 함께 설명한다.
이 제1 실시 형태예는, 중간 마개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주출로의 유로 면적을 내용액의 단속적 흘러나감이 생길 정도로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 내용액의 자중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에 의해 내용액의 전량이 흘러나가게 구성한 것이다.
도 11은 본 예의 「용기의 조합방법」의 조립 설명도이지만, 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는 리필 용기(A)와 계속사용 용기(B)를 조합하는 것으로,
리필 용기(A)는 병체(1)와 병체(1)의 입구통부(2)에 장착되는 결합덮개(20)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덮개(20)(이하, 도 11 및 도 12 참조)는, 병체(1)의 입구통부(2)에 바깥에서 끼워 나사 결합하는 조립통(21)의 상단으로부터 내부칼날 형상의 최상부벽을 통해 끼워맞춤통(22)을 기립(起立)해서 연이어 설치로 구성되고, 이 끼워맞춤통 (22)의 상단 개구부 내주(內周)에 결합 둘레 조(23)를 설치하여, 이 결합 둘레 조 (23)에 액밀상태로 결합 조립하는 상태에서, 이 끼워맞춤통(22)을 막는 중간 마개 (24)를 조립하고 있다.
아울러, 결합덮개(20)의 입구통부(2)로의 조립은 나사결합에 한하지 않고, 언더 컷팅이라도 좋다.
조립통(21)은, 직선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계속사용 용기(B)측에 도립자세로 조립한 상태에서, 리필 용기(A)를 도립자세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끼워맞춤통(22)을 하방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입구통부(2)에 밀착 끼워넣음하는 통편(筒片)은, 결합덮개(20)의 입구통부(2)에 대한 액밀(液密)한 조립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계속사용 용기(B)(이하, 도 11 및 도 12 참조)는 병 형상의 용기 본체 (30), 용기 본체(30)의 입구통(31)에 액밀상태로 조립 고정하는 본체 캡(40), 그리고 밀어올림체(48)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캡(40)(도 12 참조)은, 용기 본체(30)의 입구통(31)에 끼워 넣는 끼워넣기 통(41)과, 주출통편(44)을 갖고, 이 주출통편(44)은, 끼워넣기 통(41)의 저판(底板,42)에 세워 설치되고, 통벽의 일부에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분할 홈을 형성한 직선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끼워넣기 통(41)의 상단에 외부칼날 형상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부착통(45)을 기립 설치한 최상부판의 외주단(外周端)에는, 장착통(46)이 아래로 설치되어 있다.
저판(42)은, 일방측으로 약간 치우친 장소에 하강 경사진 테이퍼벽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중앙부분에 개설된 주출 개구(43)의 개구 가장자리에, 주출통편(44)이 기립 설치되어 있으며, 이 주출통편(44)의 개구측부의 하단이 위치하는 저판(42)의 최하위의 부분인 하단 개구부(43a)는, 계속사용 용기(B)의 사용시에는, 액 복귀구로서 기능하고, 내용액(N)의 리필 동작시에는 용기 본체(30)내의 공기의 배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주출통편(44)의 약간 아래에 위치하는 내부에는, 주출통편(44)에 끼워넣기로 조립된 끼워맞춤통(22)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마개(24)를 밀어올림 형상으로 개방하는 밀어올림체(48)가 설치되어 있고, 리필 용기(A)를 도립자세로 계속사용 용기(B)에 조립하여 밀어 내리는 것만으로, 중간 마개(24)가 개방되어, 개구(K)가 형성되어 내용액(N)의 리필이 시작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통(45)은, 계량 캡(도시 생략)을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부분이며, 장착통(46)은, 본체 캡(40)을 용기 본체(30)의 입구통(31)에 언더 컷팅하여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리필 용기(A)로부터 계속사용 용기(B)로의 내용액(N)의 리필 동작을 설명한다.
정립(正立) 자세로 있는 계속사용 용기(B)의 본체 캡(40)의 주출통편(44)에, 도립자세로 한 리필 용기(A)의 끼워맞춤통(22)을 끼워넣기로 조립(도 12 참조)해 간다.
이 계속사용 용기(B)에 대한 리필 용기(A)의 조립 자세는, 주출통편(44)에 대한 끼워맞춤통(22)의 끼워넣기에 가이드되어 달성되므로, 주출통편(44)에 대한 끼워맞춤통(22)의 끼워 넣기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사용 용기(B)에 대한 리필 용기 (A)의 도립자세에서의 조립이 안정된다.
주출통편(44)에 대해서 끼워맞춤통(22)을 끼워넣기로 조립하고, 또한 밀어넣음으로써, 밀어올림체(48)의 밀어올림편(49)이 중간 마개(24)에 부딪쳐, 이 중간 마개(24)에 밀어올리는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주출통편(44)에 대한 끼워맞춤통(22)의 끼워넣기 조립이 더 진행되면, 먼저 밀어올림편(49)의 밀어올림 부분(49a)으로부터의 밀어올리는 힘의 작용에 의해, 중간 마개(24)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 기울어서 변위하고, 더 밀어넣음으로써 개구(K)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주출통편(44)에 대한 끼워맞춤통(22)의 조립을 더 추진하면, 기울어 개방한 중간 마개(24)는, 밀어올림편(49)의 개방 자세를 유지하는 부분인 유지부분(49b)에 의해 지지되어, 개구(K)의 개방 상태(도 13 참조)가 유지된다.
개구(K)가 형성되면, 리필 용기(A)의 병체(1)내의 내용액(N)이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흐르고, 계속사용 용기(B)의 용기 본체(30)내에 부어지고, 내용액(N)의 리필 동작이 시작되지만, 이 내용액(N)의 자중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에 의해, 병체(1)내가 감압 상태로 된다.
병체(1)내가 감압 상태로 되면, 능선{12(12a,12b,12c)}을 기둥부로 하여 각 패널벽{11(11a,11b,11c)}이 접기 선{13(13ab,13bc,13ca}을 접히는 곳으로 하여 함몰 형상으로 변형되어 감압을 흡수하지만, 이때, 접기 선(13)이 일정한 동일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몸통부(4)는, 비틀림 형상으로 접어 포개져 변형되면서 종방향으로 축소(도 13 참조)되어 축소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한 계속사용 용기(B)로의 내용액의 리필의 진행, 즉 병체(1)로부터의 내용액의 흘러나감에 동반되는 병체(1)의 축소 변형에 대해, 도 6, 도 7, 도 13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개략적으로 보면, 병체(1)로부터의 내용액의 흘러나감의 진행에 동반하여, 도 6, 도 7,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부(3)나 저부(5)는 거의 원 형상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박육으로 형성되어, 함몰 변형의 기점으로 되는 접기 선(13)이 형성된 몸통부(4)의 주벽이 비틀림 형상으로 변형하는 동시에 높이 방향으로 축소하면서, 도 13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초기의 형상으로부터 그 도립자세를 대략 곧바로 유지하면서 병체(1)의 축소 변형이 진행된다.
여기서, 저부(5)는, 병체의 중심축 Ax 둘레에 입구통부(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回動) 변위하는(도 6, 도 7 중의 흰색 화살표 참조) 동시에 하강 변위한다.
아울러, 도 6, 도 7, 도 13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저부(5)는 입구통부(2)에 대해서 60°정도 회동하고 있다.
또한, 병체(1)의 초기의 형상에서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부(3)의 하단부 및 저부(5)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지만, 도 7의 상태에서는 비틀림 변형에 동반되는 힘이 작용하여, 각각이 3개의 능선(12)의 상단을 정점으로 한 3각형 혹은 하단을 정점으로 한 3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3각 형상은, 4각형상이나 또다른 다각형상과 비교하여 횡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편평하게 변형되지 않아, 병체(1)의 도립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함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흘러나감의 진행에 동반되는 병체(1)의 각 구성요소의 축소 변형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내부의 감압화가 진행되면, 병체(1)의 주벽 전체에 압력이 작용하지만, 어깨부(3)는 반구각 형상이고 저부(5)는 몸통부(4)와 비교해 두껍기 때문에, 몸통부(4)를 구성하는 비교적 박육이고 함몰 변형의 기점인 골 접기 형상의 접기 선(13)이 형성된 각 패널벽(11)의 함몰 변형이 진행된다.
이때, 3개의 접기 선(13)은, 병체(1)의 중심축 Ax에 가까워지도록 변위하고, 각 패널벽(11)은 각 접기 선(13)을 기점으로 하여, 각 접기 선(13)을 따라 접혀 포개져서 함몰 형상으로 변형한다. 도 7의 평면도에는, 입구통부(2)의 개구부를 통하여, 3개의 접기 선(13ab,13bc,13ca)이 중심축 Ax에 근접한 양상을 볼 수 있다.
한편,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3개의 산 접기 형상의 능선(12a,12b,12c)은, 상기 각 패널벽(11)의 함몰 변형에 따라, 예를 들어 도 6 중의 능선(12b,12c)에 명확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경사 형상으로 변위하지만, 도 7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소 변형의 진행중에도 병체(1)의 중심축 Ax에 대하여 초기 거리를 유지하면서, 주벽의 평단면의 외곽적인 형상을 정3각 형상으로 유지하고, 축소 변형 상태에 있어서도 병체(1)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기둥부로서 도립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중심축 Ax에 대한 초기 거리를 유지하면서 경사 형상으로 변위하는 각 능선(12)의 변위에 의해, 저부(5)가 병체(1)의 중심축 Ax 둘레로 입구통부(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변위하는 비틀림 변형이 진행되는 동시에, 저부(5)의 하강 변위가 진행된다.
여기서, 내용액의 흘러나감이 더 진행되면 도 7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3개의 능선(12a,12b,12c)이 그 중앙높이 위치 근방에서 상호 맞닿는다.
이와 같이 몸통부(4)의 종방향으로 축소한 축소 변형이 진행되면, 몸통부(4)의 주벽의 접어포개짐 변형 부분끼리의 부딪힘이나, 병체(1)내의 감압도의 상승에 의해 내용액(N)의 자중에 의한 자연 흘러나감은 일단 정지한다.
그렇지만, 이 내용액(N)의 흘러나감의 정지는 일시적인 것이며, 이 제1 실시 형태예에서는, 개구(K)의 크기가, 내용액(N)의 자연적 흘러나감이 행해지기 쉬운 정도로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개구(K)로부터 외기를 기포(E) 형상으로 병체 내에 상승시키고(도 14 참조), 단속적인 형태로 내용액(N)의 흘러나감을 계속시켜, 전량의 내용액(N)의 리필을 완료할 수 있다.
내용액(N)의 리필을 완료한 병체(1)의 몸통부(4)는, 어느 정도 세로로 접어포개짐으로 변형시킨 상태로 되어 있지만, 이 병체(1)에 대해서 손으로 종방향(도 15 중의 흰색 화살표의 방향)으로 압궤하면, 병체(1)의 몸통부(4)는, 접어 포개진 주벽을 접어 겹친 상태에서, 저부(5)를 반구각 형상의 어깨부(3)중에 회동 변위하면서 메워 넣도록 하여, 충분히 압궤되는 동시에 압궤 상태를 안정되게 자기 유지한 채로 폐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저부(5)가 입구통부(2)에 대해서 60°정도 회동한 상태가 기재되어 있지만, 병체(1)를 압궤할 때, 바람직하게는 저부(5)를 120°정도 회동시키면 좋다. 즉, 저부(5)와 어깨부(3)의 3각 형상의 형상이 일치하여, 병체(1)의 압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저부(5)를 반구각 형상의 어깨부(3)안에 메워 넣도록 하여, 충분히 압궤하면, 압궤 상태를 더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양호한 폐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K)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내용액(N)의 단속적인 흘러나감이 가능해지는 것이지만, 제1 실시 형태예에서는 개구(K)의 크기를, 밀어올림체(48)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밀어올림체(48)는, 밀어올림 부분(49a)과 유지부분(49b)으로 이루어지는 밀어올림편(49)과, 밀어올림편(49)을 기립 설치한 들보(梁) 편(片,50)과, 조립 링(51)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립 링(51)을, 주출통편 (44)의 내주면에 설치한 결합 리브(47)에 결합시킴으로써, 주출통편(44)에 대한 밀어올림체(48)의 조립을 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 16에 나타낸 밀어올림체(48)의 경우, 밀어올림편(49)은, 높이가 큰 밀어올림 부분(49a)과, 높이가 낮은 유지부분(49b)이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양 밀어올림편(49)은 중앙 위치로부터 서로 반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이에 의해 중간 마개(24)를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 개방하는 동시에, 이 기울어 개방한 중간 마개(24)를 개방 자세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밀어올림편(49)을 기립 설치한 들보 편(50)을, 밀어올림편(49)을 기립 설치한 위치까지 연장한 돌기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도 16(a)의 A-A선을 따른 평단면인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능한 한 큰 개구(K)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7은, 힌지(25)부착의 중간 마개(24)와 밀어올림편(49)의 조합을 나타낸 것으로, 힌지(25)부착의 중간 마개(24)의 경우, 그 기울어 개방된 방향이 일정하고 안정되어 있으므로, 중간 마개(24)의 기울어진 개방에 의해 개구(K)가 안정되게 개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밀어올림체(48)를 주출통편(44)과 별체로 성형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밀어올림체(48)를 주출통편(44)에 일체 성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용액(N)의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흐르려는 힘에 대한, 병체의 감압 변형에 동반되는 내용액(N)의 자연적 흘러나감을 저지하려고 하는 힘의 관계조정은, 밀어올림체(48)에 의한 개구(K)의 크기의 조정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리필 용기(A)와 계속사용 용기(B)의 사이에 형성되는 리필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수단이어도 채용함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 마개(24)는, 끼워맞춤통(22)에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통(22)에 일체 성형해도 좋은 것이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병체(1)를 리필 용기(A)의 용기 본체로서 이용한,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의 제2 실시 형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예는, 먼저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예와 비교하면, 다른 부재의 구성은 동일하게 하고, 밀어올림체(48)의 형상을 변경하여, 중간 마개를 개방해서 형성되는 개구(K)의 크기를 제한하며, 주출로의 유로 면적을 제1 실시 형태예의 경우보다 작아지도록 설정하여 내용액의 단속적 흘러나감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예의 「용기의 조합방법」에서는, 내용액(N)의 흘러나감이 진행되어 병체(1)내에 감압이 발생하면, 능선(12)을 기둥부로 하여, 각 패널벽(11)이 접기 선 (13)을 접히는 곳으로 하여 함몰 형상으로 변형되어 감압을 흡수하지만, 이때, 접기 선(13)이 일정한 동일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몸통부(4)는, 비틀림 형상으로 접어포개짐의 변형으로 되면서 종방향으로 축소(도 18 참조)하여 축소 변형한다.
이 몸통부(4)의 종방향으로 축소한 축소 변형이 더 진행되면, 몸통부(4)의 주벽의 접어포개짐 변형 부분끼리의 부딪힘이나, 병체(1)내의 감압도의 상승에 의해 내용액(N)의 자중에 의한 자연 유출이 정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중간 마개(24)를 개방해서 형성되는 주출로의 유로 면적이, 내용액(N)의 단속적 흘러나감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값으로 설정하고 있어, 즉 개구(K)의 크기를 제한하고 있어 이 정지상태가 지속된다.
이와 같이, 내용액(N)의 흘러나감이 정지되었다면, 종방향으로 접어포개짐으로 변형되어 있는 병체(1)의 저부(5)에 밀어내리는 힘을 작용시켜(도 19중의 흰색 화살표 참조), 병체(1)를 압궤하고, 이에 의해 나머지의 내용액(N)을 강제적으로 흘러나가게 하여, 내용액(N)의 리필을 완료시킨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5)가 입구통부(2)에 대해서 60°정도 회동한 몸통부(4)의 접어포개짐 변형 상태로부터, 병체(1)를 압궤하면, 저부(5)는 120°정도 회동하여, 저부(5)와 어깨부(3)의 3각 형상의 형상이 일치하고, 병체(1)의 압궤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저부(5)를 반구각 형상의 어깨부 (3)내에 메워 넣도록 하여 충분히 압궤하면, 압궤 상태를 더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개구부(K)의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병체(1)의 접어포개짐 변형의 도중에 내용액(N)의 흘러나감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20과 도 21은 개구(K)의 크기를 밀어올림체(48)를 이용하여 제한하는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0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밀어올림체(48)를 한 쌍의 밀어올림편(49){밀어올림 부분(49a)과 유지부분(49b)}과, 밀어올림편(49)을 기립 설치한 들보 편(50)과, 조립 링(51)으로 구성하고, 조립 링(51)을 주출통편(44)의 내주면에 설치한 결합 리브(47)에 결합시킴으로써 주출통편(44)에 대한 밀어올림체(48)의 조립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밀어올림체(48)의 실시예의 경우, 밀어올림편(49)은, 높이가 큰 밀어올림 부분(49a)과, 높이가 낮은 유지부분(49b)이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양 밀어올림편(49)은 서로 중앙을 경계로 하여 반대측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이에 의해 중간 마개(24)를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 개방하는 동시에, 이 기울어 개방한 중간 마개(24)를 개방 자세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밀어올림편(49)을 기립 설치한 들보 편(50)은, 도 20(a)의 A-A선을 따른 평단면인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십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K)의 크기를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도 21에 나타낸 밀어올림체(48)의 실시예의 경우, 힌지(25)부착의 중간 마개 (24)에 대응하여 밀어올림편(49)을 구성하고 있고, 밀어올림편(49)의 중앙에 밀어올림 부분(49a)을 돌출 형성하며, 측단부분에 중간 마개(24)의 개방 자세를 유지하는 유지부분(49b)을 형성하고, 들보편(50)은, 도 21(a)의 B-B선을 따른 평단면인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십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K)의 크기를 제한하고 있다.
아울러, 도 21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간 마개(24)를 힌지(25)로 부착하고 있고, 그 기울어져 개방된 방향이 일정하게 안정되어 있으므로, 중간 마개(24)의 기울어진 개방에 의해 개구(K)의 안정된 개방 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0, 도 2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밀어올림체(48)와 주출통편(44)을 별체로 하여 조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밀어올림체(48)를 주출통편(44)에 일체 성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마개(24)를 개방했을 때에 형성되는, 내용액(N)을 흘러나가게 하는 주출통로의 통로 면적의 설정수단은, 밀어올림체(48)에 의한 개구(K)의 크기의 조정에 한정됨 없이, 주출통로의 도중에, 미리 통로 면적을 설정하는 둑 형상의 부분을 설치해 두는 등, 적당한 수단을 채용함이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를 따라 본원 발명의 병체, 및 이 병체를 이용한 「용기의 조합방법」에 대해, 실시 형태 및 그 작용 효과를 설명했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병체의 용량은 300ml 정도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프로필렌수지제의 2축연신 블로우 성형의 병체에 한하지 않고, PET 수지제의 2축연신 블로우 성형 병체, 혹은 폴리에틸렌 수지제의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병체와, 다양한 수지제의 블로우 성형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병체를 리필 용기로서 이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병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후에는 높이 방향으로 충분히 압궤하고, 그 압궤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폐기 가능한 것으로, 자원 절약, 용이한 폐기성이라 하는 특징을 살려 병체 단체(單體)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의 조합방법」에 있어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접속 부분을 형성하는 본체 캡체, 결합덮개, 중간 마개, 밀어올림체 등의 부재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됨 없이 다양한 변형을 채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병체는 병체로서의 성립 혹은 도립자세를 유지하면서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되는 주벽의 축소 변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고, 리필 용기 등의 용도로 폭넓은 이용 전개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은, 리필시에 있어서의 내용액의 액튐이나 흘러내림을 확실히 막을 수 있고, 보조 없이 내용액을 원활하게 흘려 리필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리필을 끝낸 리필 용기의 충분한 축소화를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폭넓은 이용 전개가 기대된다.
1 : 병체
2 : 입구통부
2a : 둘레조
3 : 어깨부
4 : 몸통부
5 : 저부
5a : 함몰부
5s : (저부의) 측주벽
5p : 주연부
11(11ab,11bc,11ca) : 패널벽
12(12a,12b,12c) : 능선
13(13ab,13bc,13ca) : 접기 선
A : 리필 용기
20 : 결합덮개
21 : 조립통
22 : 끼워맞춤통
23 : 결합 둘레조
24 : 중간 마개
25 : 힌지
B : 계속사용 용기
30 : 용기 본체
31 : 입구통
40 : 본체 캡
41 : 끼워넣음통
42 : 저판
43 : 주출 개구
43a : 하단 개구부
44 : 주출통편
45 : 부착통
46 : 장착통
47 : 결합 리브
48 : 밀어올림체
49 : 밀어올림편
49a : 밀어올림 부분
49b : 유지부분
50 : 들보 편
51 : 조립 링
E : 기포
K : 개구
N : 내용액

Claims (13)

  1. 용기 본체(30)의 입구통(31)에, 기립하여 주출(注出)통로를 형성하는 주출통편(注出筒片,44)을 갖는 본체 캡(40)을 조립한 계속사용 용기(B)와, 리필용의 내용액(N)을 수납하는 병체(1)의 입구통부(2)에 결합덮개(20)를 조립한 리필 용기(A)의 조합방법으로서,
    상기 병체(1)의 몸통부(4)는, 내용액(N)이 자연적으로 흐르는 흘러나감에 의한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하여, 축소 변형 가능한 박육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덮개(20)에, 상기 주출통편(44)에 끼워넣기로 조립되는 끼워맞춤통 (22)과 이 끼워맞춤통(22)을 막는 중간 마개(24)를 설치하고, 끼워넣기로 조립된 상기 끼워맞춤통(22)의 중간 마개(24)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밀어올림체(48)를 주출통편(44)에 설치하며,
    상기 밀어올림체(48)에 밀어올림편을 설치하고, 이 밀어올림편을,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부분(49a)과, 상기 중간 마개를 해방 자세로 유지하는 부분(49b)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병체(1)는, 입구통부(2)와, 테이퍼 통 형상의 어깨부(3)와, 통 형상의 몸통부(4)와, 저부(底部,5)를 갖는 블로우 성형에 의한 합성수지제 병체이며,
    몸통부(4)의 주벽(周壁)은 병체 내부의 감압화에 동반되어 축소 변형이 진행 가능한 박육(薄肉)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벽에는 산 접기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능선(12)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능선(12)을 원호 형상의 3개의 패널벽(11)으로 연결한 구성이며,
    상기 각 패널벽(11)에는 일방의 능선(12)의 상단부와 타방의 능선(12)의 하단부를 대각선상으로 연결하는 골 접기 형상의 접기 선(13)을 형성하고,
    이 3개의 접기 선(13)이 둘레방향으로 병렬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한 합성수지제 병체를 사용하고,
    상기 리필 용기(A)의 계속사용 용기(B)로의 조립에 의해 내용액(N)의 리필을 가능하게 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24)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주출로를 내용액의 자중(自重)에 의한 자연적 흘러나감에 의해 내용액(N)의 전량이 흘러나가게 하는 구성으로 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24)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주출로를 상기 병체 (1)의 저부(5)에 대한 밀어내림에 의해 남은 내용액(N)을 강제적으로 흘러나가게 하는 구성으로 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끼워맞춤통의 선단부에 설치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힌지 부착으로서 끼워맞춤통에 조립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끼워맞춤통의 선단부에 설치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끼워맞춤통의 선단부에 설치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밀어올림체에 밀어올림편을 설치하고, 이 밀어올림편을,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부분과, 상기 중간 마개를 해방 자세로 유지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밀어올림체에 밀어올림편을 설치하고, 이 밀어올림편을,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부분과, 상기 중간 마개를 해방 자세로 유지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밀어올림체에 밀어올림편을 설치하고, 이 밀어올림편을, 중간 마개를 밀어올려 개방하는 부분과, 상기 중간 마개를 해방 자세로 유지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힌지 부착으로서 끼워맞춤통에 조립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힌지 부착으로서 끼워맞춤통에 조립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중간 마개를, 힌지 부착으로서 끼워맞춤통에 조립한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KR1020177017726A 2009-12-25 2010-12-17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KR101780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5888 2009-12-25
JPJP-P-2009-295888 2009-12-25
JPJP-P-2009-296714 2009-12-28
JP2009296714A JP5541568B2 (ja) 2009-12-28 2009-12-28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JP2009296715A JP5541569B2 (ja) 2009-12-28 2009-12-28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JPJP-P-2009-296715 2009-12-28
JP2010266161A JP5641422B2 (ja) 2009-12-25 2010-11-30 合成樹脂製壜体
JPJP-P-2010-266161 2010-11-30
PCT/JP2010/072756 WO2011078078A1 (ja) 2009-12-25 2010-12-17 合成樹脂製壜体及び継続使用容器と詰替え容器の組合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732A Division KR101766493B1 (ko) 2009-12-25 2010-12-17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10A KR20170080710A (ko) 2017-07-10
KR101780629B1 true KR101780629B1 (ko) 2017-09-21

Family

ID=455163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726A KR101780629B1 (ko) 2009-12-25 2010-12-17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KR1020117025732A KR101766493B1 (ko) 2009-12-25 2010-12-17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732A KR101766493B1 (ko) 2009-12-25 2010-12-17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10673B2 (ko)
EP (1) EP2517966B1 (ko)
KR (2) KR101780629B1 (ko)
CN (1) CN102341309B (ko)
AU (1) AU2010336758B8 (ko)
CA (1) CA2778177C (ko)
WO (1) WO2011078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0990A1 (ja) * 2010-12-27 2012-07-05 花王株式会社 包装体
JP5790114B2 (ja) * 2011-04-19 2015-10-07 凸版印刷株式会社 繰り返し使用容器
CN105008229B (zh) * 2012-12-28 2017-09-26 埃维昂矿泉水有限公司 可收回吹塑成型塑料薄壁容器
CN103381899A (zh) * 2013-07-22 2013-11-06 温世洪 自动折叠式液体减容器
JP5918888B1 (ja) * 2015-08-28 2016-05-18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詰替用ボトル
US10336524B2 (en) * 2016-02-09 2019-07-02 Pepsico, Inc. Container with pressure accommodation panel
JP6960731B2 (ja) * 2016-12-08 2021-11-05 藤森工業株式会社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JP6855126B2 (ja) * 2017-05-31 2021-04-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JP7193305B2 (ja) * 2018-10-30 2022-12-20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スパウト
US11889914B2 (en) 2019-06-04 2024-02-06 GRUMAGO—Gruber Materials and Goods e.K. Collapsible container
CN110386323A (zh) * 2019-06-12 2019-10-29 北京大学 一种容器结构及其设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342Y1 (ko) 2004-01-27 2004-04-14 한동식 리필용기
WO2009130315A1 (en) 2008-04-24 2009-10-29 Nestec S.A. Container for refill
JP5483165B2 (ja) 2009-06-30 2014-05-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3521A (en) * 1954-03-02 1956-12-11 Persson Nels Leonard Coupling for squeeze bottles
US3237840A (en) * 1961-01-10 1966-03-01 Mead Corp Collapsible carton
US3354924A (en) * 1966-05-23 1967-11-28 Owens Illinois Inc Collapsible container
EP0408929B2 (de) * 1989-07-20 1997-10-29 Düring Ag Faltbare Kunststoff-Flasche
CH680429A5 (ko) * 1991-04-29 1992-08-31 Supermatic Kunststoff Ag
JPH0627551A (ja) 1992-07-08 1994-02-04 Konica Corp 露光装置
JPH0627551U (ja) * 1992-09-04 1994-04-12 株式会社ダブルワン クラッシャブル缶
US5524789A (en) * 1995-07-12 1996-06-11 Jackman; Paul D. Collapsible container
US5740942A (en) * 1996-11-01 1998-04-21 Araujo, Jr.; Jess J. Collapsible container
JPH1143155A (ja) * 1997-07-23 1999-02-16 Hosokawa Yoko Co Ltd 液体容器
JP2000033926A (ja) 1998-07-21 2000-02-02 Hidehiro Takahashi 折りたためる飲料用缶
US6158620A (en) * 1999-02-11 2000-12-12 Chester Labs, Inc. Collapsible container
DE19912620A1 (de) * 1999-03-22 2000-10-05 Staedtler Fa J S Vorrichtung und Anordnung zum Befüllen eines Tintentanks
JP4110803B2 (ja) * 2002-03-08 2008-07-02 東洋製罐株式会社 詰め替えパウチ
JP4352671B2 (ja) * 2002-09-06 2009-10-28 東洋製罐株式会社 手放し詰め替え容器
CZ298274B6 (cs) * 2003-12-22 2007-08-15 Kinyo Holding Inc. Plastová skládací láhev s harmonikově uspořádanými žebry
CA2514690C (en) * 2004-08-09 2013-01-29 Gotohti.Com Inc. Multiple compartment collapsible bottle
JP2008514521A (ja) * 2004-09-30 2008-05-08 マーレイ メルローズ デヴィッド 差圧真空パネルを有する圧力容器
KR200390243Y1 (ko) * 2005-03-11 2005-07-25 오일용 용적축형식 변형용기
JP2007161322A (ja) 2005-12-15 2007-06-28 Lube Corp 容器
JP2007216993A (ja) * 2006-02-14 2007-08-30 Coca Cola Co:The 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8365954B2 (en) * 2007-11-07 2013-02-05 Gotohti.com, Inc. Collapsible bottle and cover
US8215509B2 (en) * 2008-03-27 2012-07-10 The Coca-Cola Company Soft PET bottle with a rigid top and bottom por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342Y1 (ko) 2004-01-27 2004-04-14 한동식 리필용기
WO2009130315A1 (en) 2008-04-24 2009-10-29 Nestec S.A. Container for refill
JP5483165B2 (ja) 2009-06-30 2014-05-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6918A1 (en) 2012-08-30
CN102341309B (zh) 2016-01-06
CA2778177C (en) 2018-04-17
US8910673B2 (en) 2014-12-16
KR101766493B1 (ko) 2017-08-08
EP2517966B1 (en) 2018-09-05
EP2517966A1 (en) 2012-10-31
WO2011078078A1 (ja) 2011-06-30
KR20170080710A (ko) 2017-07-10
AU2010336758B2 (en) 2014-10-16
CA2778177A1 (en) 2011-06-30
KR20120101281A (ko) 2012-09-13
CN102341309A (zh) 2012-02-01
EP2517966A4 (en) 2013-06-12
AU2010336758A1 (en) 2012-05-24
AU2010336758B8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629B1 (ko) 합성수지제 병체 및 계속사용 용기와 리필 용기의 조합방법
US8893924B2 (en) Stackable container for storing and/or dispensing liquids
US20070228073A1 (en) Tear and spill resistant package for dispensing liquids in a controlled manner
US20090159620A1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CA2509587A1 (en) Vented dispensing package
US20010030203A1 (en) Soap dispensing container
US5964383A (en) Pinch neck pour spout container
JP2019085112A (ja) インク収容ボトル
CN108348395B (zh) 可塌缩的瓶
US5746260A (en) Container set comprising at least two containers
JP5641422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2002521177A (ja) 改良浸漬チューブ付注出ポンプを備える内袋型容器
JP5541568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JP5541569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JP5977535B2 (ja) 注出キャップ
JP6877983B2 (ja) キャップ
JP3545467B2 (ja) 再充填防止機能付注出口
JP6405088B2 (ja) 詰替え用袋容器
AU2007201762A1 (en) Container
AU2013100764A4 (en) A container
JP5557138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6895765B2 (ja) キャップ
JP59530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JP6876322B2 (ja) パウチ袋用注出口、及び、パウチ容器
JP2022105893A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