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564B1 - 리클라이너 구조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564B1
KR101778564B1 KR1020160053543A KR20160053543A KR101778564B1 KR 101778564 B1 KR101778564 B1 KR 101778564B1 KR 1020160053543 A KR1020160053543 A KR 1020160053543A KR 20160053543 A KR20160053543 A KR 20160053543A KR 101778564 B1 KR101778564 B1 KR 10177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frame
holder plate
sector tooth
guide r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6005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백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외측 단부에 백프레임결합부가 형성된 섹터투스, 베이스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섹터투스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섹터투스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섹터투스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을 포함하여 베이스브라켓과 홀더플레이트의 용접직경을 축소시키지 않고 섹터투스와 백프레임의 용접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클라이너 구조 {RECLINER STRUCTURE}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에서 시트백 프레임의 백프레임과 시트구션 프레임의 베이스브라켓을 연결시키는 리클라이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을 힌지 구조로 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시트쿠션에 각도가 고정된 록킹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한 언록킹 상태로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클라이너가 설치된다. 즉, 탑승자는 리클라이너를 조작하여 체형이나 편의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종래의 리클라이너 구조는 시트백 프레임의 백프레임(5)과 결합되는 섹터투스(1), 시트쿠션 프레임의 베이스브라켓(6)과 결합되고 상기 섹터투스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홀더플레이트(2), 상기 섹터투스와 상기 홀더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가이드 링(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링(3)은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섹터투스(1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섹터투스 측의 단부가 벤딩되어 상기 섹터투스(1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 1b를 참고하면, 최근 리클라이너의 구조가 점차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상기 섹터투스의 용접직경이 감소하고, 결국 상기 백프레임(5)과 결합되는 용접직경이 점차 감소됨에 따라, 상기 섹터투스(10)에 큰 외력이 작용되었을 때 상기 섹터투스(1)와 상기 백프레임(5)이 서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너 구조의 소형화에 관계없이 상기 섹터투스(1) 및 상기 백프렘임(5)의 용접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클라이너 구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리클라이너 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섹터투스와 백프레임의 용접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클라이너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클라이너 구조는 백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외측 단부에 백프레임결합부가 형성된 섹터투스, 베이스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섹터투스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섹터투스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섹터투스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백프레임결합부는 상기 섹터투스의 외측 단부에 상기 백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플레이트는 외측 단부가 상기 섹터투스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단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단이 상기 백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가이드 링 사이에 안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의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의 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 측 단부가 벤딩되도록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의 외측 단부 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단의 형태에 맞추어 두번 벤딩되도록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서 가이드리브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의 외측 단부 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링이 상기 가이드리브의 베이스브라켓 방향의 면을 감싸도록 벤딩된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브라켓과 홀더플레이트의 용접직경을 축소시키지 않고 섹터투스와 백프레임의 용접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리클라이너 구조의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리클라이너 구조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는, 섹터투스(10), 홀더플레이트(20), 가이드 링(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섹터투스(10)와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링(30)은 상기 섹터투스(1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링(30)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 및 상기 섹터투스(10)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섹터투스(10)는 차량용 시트의 백프레임(50)과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섹터투스(10)와 상기 백프레임(50)은 레이저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섹터투스(10)의 외측 단부에는 백프레임결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는 상기 백프레임(5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을 형성한다. 즉,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는 상기 섹터투스(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백프레임(50) 방향으로 돌출된 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와 상기 백프레임(50)이 결합된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한 쪽 면은 상기 섹터투스(10)를 마주보고 있으며, 반대 쪽 면은 베이스브라켓(60)과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60)은 레이저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섹터투스(10)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단(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단(21)의 상기 베이스브라켓(60) 방향의 면은 상기 섹터투스(10) 방향으로 함입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링(30)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의 상기 홀더플레이트(20) 방향의 면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 및 상기 가이드 링(30)은 레이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링(30)의 상기 홀더플레이트(20) 측 단부는 벤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링(30)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단(21)의 함입된 깊이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브라켓(60)이 상기 홀더플레이트(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링(30)의 벤딩된 부분은 상기 베이스브라켓(60)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섹터투스(10)의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는 상기 백프레임(5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백프레임(50)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은 상기 백프레임(50) 방향으로 함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단(21)이 안착될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단(21)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링(30)이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의 상기 홀더플레이트(20) 쪽의 면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단(21)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 및 상기 가이드 링(30)의 사이에 안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상기 섹터투스(10) 및 상기 가이드 링(30)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홀더플레이트(20)와 상기 섹터투스(10) 사이의 틈보다 상기 홀더플레이트(20)와 상기 가이드 링(30) 사이의 틈이 더 크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의 기능 및 효과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섹터투스(10)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도면미기재)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백프레임(50)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플레이트(20)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도면미기재)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브라켓(60)과 결합되어 있다. 탑승자가 시트백(도면미기재)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백프레임(50)과 함께 상기 섹터투스(10)가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회동한다. 이때, 상기 섹터투스(10)의 기어(도면미기재)와 폴투스(40)의 기어(도면미기재)가 치합되어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시킨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의 조절 및 고정에는 상기 섹터투스(10) 및 상기 백프레임(50)의 강한 결합력이 요구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상기 가이드 링(3)을 상기 홀더플레이트(2)에 결합시켜 상기 가이드링(3)이 상기 섹터투스(1)의 외측 단부를 덮는 구조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링(30)을 상기 섹터투스(10)에 결합시켜 상기 홀더플레이트(20)와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이는 상기 섹터투스(10)의 외측 단부가 상기 백프레임(50)에 개방되어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따라서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와 상기 백프레임(50)이 결합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링(3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를 도입한 결과,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가 상기 섹터투스(1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용접직경이 증가되면서 종래의 섹터투스의 결합면적보다 넓은 결합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섹터투스(10)의 직경을 R이라고 하고, 상기 섹터투스(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백프레임(50)과 결합되는 위치까지의 직경을 r이라고 하면, 상기 섹터투스(10)와 상기 백프레임(50)의 결합면적은 π(R-r)2이다. 반면, 종래의 리클라이너 구조는 섹터투스의 외측 단부에 백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결합부위의 바깟 쪽 직경(R`)이 R보다 작아서(R>R`), 결합면적이 좁다(π(R-r)2>π(R`-r)2).
또한, 상기 가이드 링(30)의 두께를 상기 가이드단(21)의 돌출 깊이(함입 깊이)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가이드 링(30)을 벤딩하여 상기 가이드단(21)을 덮어도 상기 베이스브라켓(60)과는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60)의 용접직경에는 감소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는 상기 섹터투스(10)와 상기 백프레임(50)의 용접직경은 증가시키면서, 상기 홀더플레이크(2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60)의 용접직경은 감소시키지 않도록 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링(130)은 섹터투스(11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백프레임결합부(111)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링(130)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1)의 외측 단부의 면(외주면)에 고정결합되고, 홀더플레이트(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가이드단(121)의 형태에 맞추어 상기 홀더플레이트(120)의 중심방향으로 두 번 벤딩되며, 상기 가이드단(121)을 감싸면서 상기 섹터투스(110)와 상기 홀더플레이트(120)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링(130)과 상기 백프레임결합부(111)의 용접직경을 증가시켜 상기 가이드 링(130)이 더욱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더플레이트(20)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링(130)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 링(130)의 결합방향과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이 같으므로, 결합방향과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이 서로 수직할 때보다 지지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도 4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플레이트(220)의 외측 단부에서 가이드리브(22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가이드 링(230)은 섹터투스(210)의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백프레임결합부(211)의 외측 단부 면(외주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2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링(230)이 상기 가이드리브(221)의 베이스브라켓(260) 방향의 면을 감싸도록 벤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프레임결합부(211)가 돌출된 형태를 갖지 않고 상기 섹터투스(210)의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백프레임(250)과 용접가능한 직경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리브(221)에 의하여 상기 섹터투스(210)과 상기 홀더플레이트(220)이 결합이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링(230)이 상기 섹터투스(210)에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리브(221)를 감싸므로 베이스브라켓(260)이 상기 가이드 링(230)과 이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220)과 상기 베이스브라켓(260)의 용접직경에는 영향이 없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110, 210 : 섹터투스
11, 111, 211 : 백프레임결합부
20, 120, 220 : 홀더플레이트
21, 121 : 가이드단
221 : 가이드리브
30, 130, 230 : 가이드 링
40, 140, 240 : 폴투스
50, 150, 250 : 백프레임
60, 160, 260 : 베이스브라켓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백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외측 단부에서 상기 백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된 백프레임결합부가 형성된 섹터투스;
    베이스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섹터투스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섹터투스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섹터투스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는,
    외측 단부가 상기 섹터투스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단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단이 상기 백프레임결합부 및 상기 가이드 링 사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의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의 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 측 단부가 벤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의 외측 단부 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단의 형태에 맞추어 두 번 벤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구조.
  6. 백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외측 단부에 백프레임결합부가 형성된 섹터투스;
    베이스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섹터투스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섹터투스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섹터투스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서 가이드리브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백프레임결합부의 외측 단부 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홀더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링이 상기 가이드리브의 베이스브라켓 방향의 면을 감싸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구조.
KR1020160053543A 2016-04-29 2016-04-29 리클라이너 구조 KR10177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43A KR101778564B1 (ko) 2016-04-29 2016-04-29 리클라이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43A KR101778564B1 (ko) 2016-04-29 2016-04-29 리클라이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564B1 true KR101778564B1 (ko) 2017-09-19

Family

ID=6003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543A KR101778564B1 (ko) 2016-04-29 2016-04-29 리클라이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5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508A (ja) * 2008-09-09 2010-03-2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508A (ja) * 2008-09-09 2010-03-2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5176B2 (ja) 車両用シート
CN107533222B (zh) 头戴式电子装置
JP5557946B1 (ja) ヘッドレスト構造及び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7314147A (ja) 車両用シート
JP2013528139A (ja) 特に自動車用のヘッドレスト
JP5562023B2 (ja) 椅子
KR101778564B1 (ko) 리클라이너 구조
US8814270B2 (en) Folding headrest closeout member
JP2005165322A (ja) 眼鏡
JP2010168004A (ja) 乗物用シート
JP2011105239A (ja) 車両用シート
JP2003327032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436739Y1 (ko) 헤드레스트
JP2006282088A (ja) 格納式アウターミラー
JP5827766B1 (ja) ヘッドレスト
JP2017154701A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KR200385925Y1 (ko)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JP6055638B2 (ja) シート用連結部材と取付部材の取付構造及びシート構造
JP2011098595A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
JP5629516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0105420A (ja) 後突衝撃吸収ユニッ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の骨組み構造体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TWM480489U (zh) 後視鏡改良結構
JP4594341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190608B2 (ja) 座裏カバー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