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968B1 -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968B1
KR101776968B1 KR1020120062653A KR20120062653A KR101776968B1 KR 101776968 B1 KR101776968 B1 KR 101776968B1 KR 1020120062653 A KR1020120062653 A KR 1020120062653A KR 20120062653 A KR20120062653 A KR 20120062653A KR 101776968 B1 KR101776968 B1 KR 10177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harging
power
power supply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558A (ko
Inventor
박호민
김병숙
심유종
김광의
이형주
배기택
신동엽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ublication of KR2012013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이동형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설치되며,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공급한 전력을 계량하여 과금처리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을 상기 전주에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유도하여 가설하는 케이블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HARGING SYSTEM OF ELETRIC VEHICLE USING DISTRIBUTION L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받아 전기자동차에 충전하고 이를 과금처리하는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데, 가솔린이나 디젤은 연소 시 유해한 가스를 발생하여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만드는 원유가 지구상에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각 산업분야에서 대체에너지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그 해결책으로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완료되어 운행 중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 및 전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 보급이 확산되는 시기이고, 본격적으로 전기자동차 보급이 활성화 될 전망이며, 전기자동차용 충전소 또한 널리 설치될 것으로 전망되나, 전기자동차 1회의 충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주행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충전기가 도처에 설치되기 전까지는 전기자동차 운행이 자유로울 수 없다.
게다가, 축전지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도 기존의 가솔린 또는 디젤의 주유 시간보다 많이 소요되므로 운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자동차가 일반화될 경우에도 자주 축전지를 충전시켜야 하므로 축전지 충전소를 많이 건설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고속도로와 같이 장거리 운행을 할 경우에는 축전지 충전소가 있는 곳이면 반드시 들러야 하고 축전지 충전에 많은 시간이 허비되어 장거리 운행에 큰 불편을 겪게 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용 충전소는 많으면 많을수록 전기자동차 사용자에게는 편리한 것이나 인프라 구축비용 측면에서는 충전소 시설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전기자동차에 전력이 급하게 필요한 곳이나, 격오지 처럼 충전소 시설을 단시간 내에 공급할 수 없는 곳에도 충전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충전소가 필요하다.
또한, 해수욕장 등의 관광지의 성수기 시즌에는 평상시의 충전수요보다 더 큰 충전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충전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 전력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상시 전력공급이 가능한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임시로 설치할 수 있는 충전소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12106호는 풍력 및 태양열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축전지 충전 터널구조 및 충전도로상의 전기자동차 축전장치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이 한국공개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전력 공급원이 태양광이나 풍력을 통해 얻어지므로 전력 수급이 불안정하고, 이동식이 아니어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끼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위하여 보다 새로운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회사의 공급선로와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전기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필요한 장소에 이동식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회사의 공급선로에 전선케이블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량에 따라서 충전비용을 과금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전기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진행 상황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충전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이동형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설치되며,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공급한 전력을 계량하여 과금처리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을 상기 전주에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유도하여 가설하는 케이블유도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이 가설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유동지지대 및 상기 유동지지대를 소정의 위치에 시키는 고정지지대; 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유동지지대가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통로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유동지지대는 상기 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통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유도선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 때,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상기 전주에서 상기 유동지지대 방향으로, 상기 전력케이블의 가설을 보조하는 유도선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유도선은, 상기 배전선로를 상기 유도선에 고정하는 지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선은 상기 배전선로가 상기 유도선이 가설 방향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외벽에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내부로 상기 전력케이블을 유도하는 배전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전통로의 외측 방향으로 차단막이 형성되어 상기 전력공급급장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케이블을 감거나 풀어 가설길이를 조절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전력공급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부가 이상작동을 일으키는 경우에 상기 충전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제어부 및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전기자동차로 공급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서브계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주에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충전부에 공급하는 전력과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력을 차단하고, 이상발생신호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CB(Circuit Breaker)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CB부가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보조발전기를 가동하여 비상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충전부를 통해 이루어진 충전량 및 충전금액 등의 충전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계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서브계량부에서 측정된 전력량에 따라 충전비용을 계산하는 과금처리부 및 상기 충전비용을 사용자에게 과금하여 비용정산을 수행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연락처를 입력 받는 UI(User Interface)부 및 상기 연락처로 전기자동차의 충전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운용방법은, 이동형 차량에 탑재되어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UI(User Interface)부를 통해서 결제처리를 위한 사용자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결제서버에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결제서버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처리되면,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시스템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종료되었음을 통보 받는 단계 및 상기 전기자동차에 공급한 전력의 충전금액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운용방법은, 이동통신서버를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단말에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의 진행 상황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이 필요한 장소에 이동식으로 충전소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충전 인프라 구축에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효과적인 전기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회사의 배전선로에 전선케이블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안정적으로 전력 수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충전량에 따라서 충전비용을 과금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전기자동차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진행 상황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므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유도부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주는 배전선로를 원거리로 연장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지상에 세우는 기둥을 말하며, 이하 전주 또는 배전선로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바 혼용하여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케이블유도부(20) 및 전력공급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력공급장치(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수단인 차량의 화물칸에 위치하여, 차량을 전기자동차(1000)의 충전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주변의 배전선로(10)에 케이블유도부(20)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을 연결하여 여러 대의 전기자동차(10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케이블유도부(20)는 배전선로(10)에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을 전주(10)에서 전력공급장치(30)로 유도하여 가설한다.
케이블유도부(20)의 상세구성은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력공급장치(30)는 전주의 배전선로(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10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자동차(1000)에 공급한 전력을 계량하여 과금처리한다.
이 때, 전력공급장치(30)는 전기자동차(1000)에 공급한 각각의 전력량을 과금처리하여 사용자로부터 충전비용을 수령할 수 있다.
전력공급장치(30)의 상세구성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유도부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유도부(20)는 고정지지대(200), 유동지지대(210), 전력케이블(220), 유도선(230), 지지선(240), 차단막(250) 및 롤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지지대(200) 및 유동지지대(210)는 금속재질의 원형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지지대(200)는 전력공급장치(30)의 일측에 유동지지대(2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유동지지대(210)는 상하로 이동하여 전력케이블(220)이 가설되는 높이를 조절한다.
고정지지대(200)의 내측에 유동지지대(210)가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200)는 유동지지대(210)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유동지지대(210)가 고정지지대(2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유동지지대의(210)의 직경이 고정지지대(200)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는 방식도 적용이 가능하다.
고정지지대(200)는 소정의 높이에 전력케이블(220)을 가설할 수 있도록, 유동지지대(21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전력케이블(220)은 배전선로(10)에 직접 연결되어 전력공급장치(30)로 전력을 전달한다.
배전선로(10)에 연결되는 전력케이블(220)의 종단부에는 종단접속재를 부착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용이한 전선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종단접속재는 고압 접착재, 열수축 방식의 튜브, 절연 튜브 또는 방수 테이프 등을 혼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배전선로(10)는 다양한 지형에 가설하기 위하여 내굴곡성이 우수한 CV케이블 또는 고무절연 켑타이어 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다.
유도선(230)은 유동지지대(210)의 상단부에서 전주(10)로 가설되고, 전주(10)에서 유동지지대(210) 방향으로 전력케이블(220)의 가설을 보조한다.
전력케이블(220)은 유도선(230)을 따라 전력공급장치(30)로 가설되며, 전력케이블(220)을 유도선(23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전력케이블(220)을 유도선(230)에 고정하는 지지선(240)을 부가할 수 있다.
차단막(250)는 전력공급장치(30)의 외벽에 전력공급장치(30)의 내부로 전력케이블(220)을 유도하는 배전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차단막(250)는 배전통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250)는 폭우나 강풍시 물이나 이물질이 전력공급장치(3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260)는 전력공급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력케이블(220)을 감거나 풀어 가설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30)는 UI부(310), 통신부(320), 결제처리부(330), 메인계량부(340), 전력공급부(350), CB부(360), 비상발전부(370), 과금처리부(380), 제1 서브계량부(390), 제2 서브계량부(400), 제3 서브계량부(410), 제1 충전부(420), 제2 충전부(430), 제3 충전부(440), 충전제어부(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력공급부(350)는 전력케이블(220)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을 통해서 공급할 수 있다.
CB부(360)는 전력공급부(350)와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 사이에서 전력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CB부(360)는 전주(10)에서 전력공급장치(30)로 공급되는 전력에 과전류, 과전압, 지락, 단락 또는 누전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에 공급하는 전력과 전력공급장치(30)로 인입하는 전력을 차단하고, 이상발생신호를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이상발생신호는 발생한 전력의 이상상태의 종류를 포함하고, 이는 통신부(320)를 통해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발전부(370)는 CB부(360)에서 공급전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보조발전기를 가동하여 비상전력을 생산하여 전력공급장치(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는 각각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충전부는 반드시 3개일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면족하다.
충전제어부(450)는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의 전력공급 개폐를 제어하고,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가 과전류, 과전압, 지락, 단락 또는 누전 등의 이상작동을 일으키는 경우에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450)는 UI부(310) 또는 결제처리부(330)를 통해서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 중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충전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가 전기자동차(1000)에 해당 충전부를 연결하면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1000)에 충전이 완료되면 해당 충전부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계량부(390, 400, 410)는 각각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와 연동되어 각 충전부와 연결된 전기자동차로 공급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과금처리부(380)는 제1 내지 제3 서브계량부(390, 400, 410)에서 측정된 전력량에 따라 충전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330)는 충전비용을 사용자에게 과금하여 비용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330)는 사용자가 충전이 완료된 전기자동차(1000)에서 충전기를 분리하여 거치대에 거치하면,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330)는 현금, 신용카드, 체크카드, RFID, NFC 방식 등의 다양한 결제방식을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330)는 통신부(320)와 연동하여 결제서버(3000)에 실시간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사용자의 신용인증, 신용카드 블랙리스트 결제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계량부(340)는 제1 내지 제3 충전부(420, 430, 440)를 통해 이루어진 전기자동차 정보, 해당 전기자동차에 충전한 전력의 충전량과 이에 따른 충전금액 내역에 대한 이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메인계량부(340)는 제1 내지 제3 서브계량부(390, 400, 410)와 연동되어 제1 내지 제3 서브계량부(390, 400, 410)를 통해서 측정된 계량 정보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계량부(340)는 과금처리부(380) 연동되어 충전금액 내역에 대한 정보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UI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연락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UI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UI부(310)는 사용자에게 전기자동차의 충전 진행 상황, 결제상황 또는 이상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무선이동통신, 유선통신, 근거리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통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 유선단말, 결제서버, 이동통신서버 등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안테나 및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UI부(310)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연락처로 전기자동차의 충전 진행 상황, 결제상황 또는 이상상태 정보 등을 통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사용자는 전기자동차의 사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자동차와 사용자는 동일한 식별번호를 사용, 혼용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우선 전기자동차(1000)의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충전시스템(2000)에 전달한다. (S100)
이 때,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회원번호, 전기자동차의 종류, 전기자동차의 고유번호, 신용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충전시스템(2000)은 결제서버(3000)에 사용자정보가 유효한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구한다. (S105)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에서 등록된 사용자 이름 또는 회원번호와 전기자동차의 종류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난 당한 전기자동차로 인식하여 인증을 거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이름 또는 회원번호로 블랙리스트를 작성하여 해당 블랙리스트 안에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인증을 거부하여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막을 수 있다.
이후, S105 단계에서 처리된 인증결과에 따라서 충전 서비스의 허용여부를 알리는 사용자인증처리를 수행한다. (S110)
이후, S1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인증처리가 완료되면 전기자동차(10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를 잠금 해제하고, 사용자가 충전기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면 전기자동차(10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을 시작한다. (S130, S140)
전기자동차(1000)에 충전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충전시스템(2000)으로 연락처를 입력하여 전달한다. (S150)
충전시스템(2000)은 전기자동차(1000)에 충전을 진행하는 도중에 충전이 몇퍼센트가 진행이 되었는지, 예상 소요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충전이 완료가 되었는지, 이상상태가 발생이 되었는지 등의 충전 진행 상황을 이동통신서버(4000)에 전달하고(S160), 이동통신서버(4000)는 사용자의 연락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충전진행 상황을 전달한다. (S170)
이후, 전기자동차(1000)의 충전이 완료되면(S180), 충전시스템(2000)에 전기자동차(1000)의 충전이 완료가 되었다는 충전완료상태가 통보되고(S190), 충전시스템(2000)은 전기자동차(1000)에 공급한 전력량에 대한 충전금액을 정산한다. (S200)
충전 시스템(2000)은 정산된 충전 금액과 사용자 정보를 결제서버(3000)로 전달하여 결제를 처리하고(S210, S230), 이동통신서버(4000)에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충전완료상태 및 충전금액의 정보를 전달한다. (S220)
이후, 이동통신서버(4000)는 사용자에게 충전완료상태 및 충전금액의 정보를 전달한다. (S24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전주(배전선로) 20 : 케이블유도부
30 : 전력공급장치 210 : 유동지지대
220 : 전력케이블 230 : 유도선
240 : 지지선 250 : 차단막
260 : 롤러 310 : UI부
320 : 통신부 330 : 결제처리부
340 : 메인계량부 350 : 전력공급부
360 : CB부 370 : 비상발전부
380 : 과금처리부 390 : 제1 서브계량부
400 : 제2 서브계량부 410 : 제3 서브계량부
420 : 제1 충전부 430 : 제2 충전부
440 : 제3 충전부 450 : 충전제어부
1000 : 전기자동차 2000 : 충전시스템
3000 : 결제서버 4000 : 이동통신서버

Claims (15)

  1. 이동형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설치되며,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공급한 전력을 계량하여 과금처리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을 상기 전주에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유도하여 가설하는 케이블유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이 가설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유동지지대; 및
    상기 전주에서 상기 유동지지대 방향으로, 상기 전력케이블의 가설을 보조하는 유도선을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상기 유동지지대를 소정의 위치에 시키는 고정지지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유동지지대가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통로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유동지지대는 상기 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통로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유도선의 높이를 조절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선은,
    상기 전력케이블을 상기 유도선에 고정하는 지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선은 상기 전력케이블이 상기 유도선이 가설 방향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외벽에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내부로 상기 전력케이블을 유도하는 배전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전통로의 외측 방향으로 차단막이 형성되어 상기 전력공급장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케이블을 감거나 풀어 가설길이를 조절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전력공급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부가 이상작동을 일으키는 경우에 상기 충전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제어부; 및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전기자동차로 공급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서브계량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전주에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충전부에 공급하는 전력과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력을 차단하고, 이상발생신호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CB(Circuit Breaker)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CB부가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보조발전기를 가동하여 비상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충전부를 통해 이루어진 충전량 및 충전금액 등의 충전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계량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서브계량부에서 측정된 전력량에 따라 충전비용을 계산하는 과금처리부; 및
    상기 충전비용을 사용자에게 과금하여 비용정산을 수행하는 결제처리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연락처를 입력받는 UI(User Interface)부; 및
    상기 연락처로 전기자동차의 충전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4. 이동형 차량에 탑재되어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충전하는 전력공급장치와,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하는 전력케이블을 상기 전주에서 상기 전력공급장치로 유도하여 가설하는 케이블유도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UI(User Interface)부를 통해서 결제처리를 위한 사용자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결제서버에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결제서버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처리되면,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시스템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종료되었음을 통보 받는 단계; 및
    상기 전기자동차에 공급한 전력의 충전금액을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유도부는,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이 가설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유동지지대; 및
    상기 전주에서 상기 유동지지대 방향으로, 상기 전력케이블의 가설을 보조하는 유도선을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운용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버를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단말에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의 진행 상황을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운용방법.
KR1020120062653A 2011-06-17 2012-06-12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776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59258 2011-06-17
KR1020110059258 2011-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58A KR20120139558A (ko) 2012-12-27
KR101776968B1 true KR101776968B1 (ko) 2017-09-27

Family

ID=4790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653A KR101776968B1 (ko) 2011-06-17 2012-06-12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149A (ko) * 2014-02-19 2015-08-27 자동차부품연구원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703445A (zh) * 2016-04-12 2016-06-22 上海上实龙创智慧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移动充电桩
KR101858821B1 (ko) * 2016-08-22 2018-06-27 중소기업은행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를 이용한 모바일 충전용 카트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916176B1 (ko) * 2017-01-05 2018-11-08 김도훈 이동식 전기 충전소 운영 시스템
US10059215B1 (en) 2017-03-08 2018-08-28 A3 Labs, Llc Energy source supply systems, energy source suppl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2027983B1 (ko) 2017-04-05 2019-10-04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전기차 충전 방법
KR101999127B1 (ko) * 2017-04-05 2019-07-11 한국전력공사 컨버터 분리형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200484860Y1 (ko) * 2017-05-22 2017-11-02 김양환 이동식 2차 전지 탑재 트레일러
KR102018948B1 (ko) 2017-07-11 2019-09-05 이순환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방법
KR102429493B1 (ko) * 2017-10-12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형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985168A (zh) * 2017-12-28 2018-05-04 恩吉(福建)工业装备有限公司 车载式移动充电设备及发电移动充电车
DE102018202260A1 (de) * 2018-02-14 2019-08-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adefahrzeug zum Lad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ines Elektrofahrzeugs
CN109532548B (zh) * 2018-12-12 2020-05-12 北京智行者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服务方法
KR102333298B1 (ko) * 2019-06-25 2021-12-01 대영코어텍(주)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KR102510816B1 (ko) * 2020-08-07 2023-03-21 현성정밀 주식회사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621A (ja) * 1998-09-09 2000-03-3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JP3225595B2 (ja) * 1992-05-13 2001-11-05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懸垂式充電機
JP2011034500A (ja) * 2009-08-05 2011-02-17 Enegate:Kk 電気自動車の給電課金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595B2 (ja) * 1992-05-13 2001-11-05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懸垂式充電機
JP2000092621A (ja) * 1998-09-09 2000-03-3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JP2011034500A (ja) * 2009-08-05 2011-02-17 Enegate:Kk 電気自動車の給電課金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58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968B1 (ko)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6743198B2 (ja) 使用者認証コンセント、電力仲介用コネクタ及び電力需要装置
CN109376889B (zh) 电动汽车及其充电管理方法、装置
US9280862B2 (en)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securing a charging process of an electric vehicle
KR101900959B1 (ko) 전력 저장 디바이스에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시스템, 키오스크 및 방법
KR101738447B1 (ko)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를 통한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CN106965687A (zh) 地锁式智能充电桩及其使用方法
JP2013017377A (ja) 電気自動車を使用不能に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110231044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0505975B (zh) 利用地面变压器的电动汽车充电装置与充电方法
KR101273092B1 (ko)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JP2011183839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SE534524C2 (sv) Anläggning för batteriladdning
KR102197356B1 (ko) 전기차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지원 시스템
US10220711B2 (en) Control means and method for charging a vehicle
KR20110110997A (ko) 아파트 단지 내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JP2013051780A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充電ケーブル
CN108583350A (zh) 一种便于车辆充电的充电桩
KR101831406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주 콘센트부의 전력 공급을 스케줄링하는 배전 선로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방법
KR102106755B1 (ko) 전기차의 충전정보 제공장치
KR101093522B1 (ko)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는 승하강식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20210155039A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소 운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0704B1 (ko) 전기차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기밀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183140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주 콘센트부의 전력 공급을 스케줄링하는 배전 선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