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149A -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149A
KR20150098149A KR1020140019319A KR20140019319A KR20150098149A KR 20150098149 A KR20150098149 A KR 20150098149A KR 1020140019319 A KR1020140019319 A KR 1020140019319A KR 20140019319 A KR20140019319 A KR 20140019319A KR 20150098149 A KR20150098149 A KR 2015009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vehicle
information
m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석
곽수진
조성현
오종화
박현배
전재석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149A/ko
Publication of KR2015009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S(Mobile Charging Service) 차량에 있어서, MCS 서버로부터 방전된 차량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MCS 차량의 동력 및 자체 충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출하는 전력 인출부, 하나 이상의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분석하여 상기 인출된 전력을 상기 예비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 상기 통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충전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상기 충전 순위 및 상기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예비 배터리를 공급하는 배터리 공급부를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CS VEHICLE}
본 발명은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전된 차량 및 충전 스테이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데, 가솔린과 디젤은 인간에게 유해한 물질을 발생하여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원유의 고갈로 인하여 각 산업계에서는 대체에너지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전기차를 개발하여 운행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의 경우 현재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가솔린과 디젤차량 보다 많이 소요되어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고, 충전인프라 또한 부족하여 전기차를 상용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현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배터리와 연료를 같이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제공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경우에도 주행시 연료를 소모하여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배기가스 배출을 억제 할수 없고, 전기모터로 구성된 차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차체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9558호는 배선전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배전선로를 통해 전기차를 충전하기 때문에 전선주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하고, 충전시간이 길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차량이 많은 과밀지역에서는 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충전 차량의 자체 발전을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형 충전 차량의 자체 발전된 배터리를 충전 스테이션까지 신속하게 공급 및 회수하여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 제한을 극복한다.
본 발명은 응급상황에 처한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 또는 교환하여 응급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한다.
본 발명은 전기 공급 인프라를 제공하여 탄소 배출량 감소, 운전자의 이용편의 증대 및 전기 자동차의 교통수단의 극대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MCS(Mobile Charging Service) 차량에 있어서, MCS 서버로부터 방전된 차량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MCS 차량의 동력 및 자체 충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출하는 전력 인출부, 하나 이상의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분석하여 상기 인출된 전력을 상기 예비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 상기 통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충전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상기 충전 순위 및 상기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예비 배터리를 공급하는 배터리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배터리 공급에 관련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MCS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방전된 차량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 잔여 정보, 위치 정보 및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 방식은 상기 예비 배터리를 통하여 교환 또는 충전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은 MCS(Mobile Charging Service) 차량에 있어서, MCS 서버로부터 방전된 차량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CS 차량의 동력 및 자체 충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분석하여 상기 인출된 전력을 상기 예비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상기 충전 순위 및 상기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예비 배터리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배터리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배터리 공급에 관련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MCS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방전된 차량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 잔여 정보, 위치 정보 및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 방식은 상기 예비 배터리를 통하여 교환 또는 충전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충전 차량의 자체 발전을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충전 차량의 자체 발전된 배터리를 충전 스테이션까지 신속하게 공급 및 회수하여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응급상황에 처한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 또는 교환하여 응급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공급 인프라를 제공하여 탄소 배출량 감소, 운전자의 이용편의 증대 및 전기 자동차의 교통수단의 극대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MCS 차량의 예비 배터리를 이용하여 방전된 전기 버스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MCS 차량의 예비 배터리를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로 교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수신부(110), 전력 인출부(120), 충전 제어부(130), 충전 선택부(140) 및 배터리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MCS 서버로부터 방전된 차량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 정보는 이동 충전 차량의 식별 번호 정보, 이동 충전 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식별 번호 정보 및 이동 충전 차량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정보는 충전 스테이션의 식별 번호, 충전 스테이션에 적재된 배터리 식별 번호 및 충전 스테이션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전력 인출부(120)는 MCS 차량의 동력 및 자체 충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출한다.
차량의 동력은 동력 인출 장치(PTO: Power Take Off)를 통하여 동력을 인출할 수 있다. 동력 인출 장치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주행과는 관계 없이 전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차량 이동간에 전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 될 수 있다.
자체 충전 발전기는 자체 충전 발전기는 차량의 움직이는 동력 및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력을 직류-직류 충전기 및 충전용 커넥터를 통하여 예비 배터리를 충전,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충전용 커넥터는 이동 충전 차량의 직류-직류 변환기와 연결되어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구일 수 있다.
충전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분석하여 인출된 전력을 예비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한다.
충전 선택부(140)는 통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선택한다.
통합 정보는 방전된 차량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 잔여 정보,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잔여 정보는 배터리의 잔여 또는 충전된 전력량일 수 있고, 위치 정보는 이동 충전 차량의 위치 정보, 방전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의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위치 정보는 GPS 수신기를 설치하여 이동형 충전 차량, 방전된 차량 및 충전 스테이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차량 식별 번호 정보 및 배터리 식별 번호 정보일 수 있다.
충전 순위는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량을 기초하여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예비 배터리를 통하여 교환 또는 충전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공급부(150)는 선택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예비 배터리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배터리 공급이 완료되면, 배터리 공급에 관련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MCS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완료 정보는 예비 배터리로부터 충전된 전력량 정보,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량 정보 및 충전 시간 정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각 단계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은 단계 210에서 MCS 서버로부터 방전된 차량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220에서 MCS 차량의 동력 및 자체 충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출한다.
단계 230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분석하여 인출된 전력을 예비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단계 240에서 통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선택한다.
통합 정보는 방전된 차량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 잔여 정보,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충전 방식은 예비 배터리를 통하여 교환 또는 충전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선택된 상기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예비 배터리를 공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은 배터리 공급이 완료되면, 배터리 공급에 관련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MCS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MCS 차량의 예비 배터리를 이용하여 방전된 전기 버스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CS 차량은 예비 배터리를 적재하는 적재부, 예비 배터리를 이송하는 이송부, 예비 배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예비 배터리에 대한 적재, 이송 및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는 예비 배터리의 크기 및 무게를 고려하여 적재하고, 예비 배터리를 고정할 수 있는 지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는 예비 배터리를 이동 또는 가이드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모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는 예비 배터리를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로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충전부는 동력 인출 장치, 자체 발전기, 직류-직류 충전기 및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 충전 발전기는 차량의 움직이는 동력 및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력을 직류-직류 충전기를 통하여 예비 배터리를 충전,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동력 인출 장치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주행과는 관계 없이 전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차량 이동간에 전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 될 수 있다.
충전용 커넥터는 이동 충전 차량의 직류-직류 변환기와 연결되어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구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MCS 차량의 예비 배터리를 방전된 전기 버스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MCS의 차량에 구비되는 직류-직류 충전기 및 충전용 커넥터를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도 4는 MCS 차량의 예비 배터리를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로 교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CS 차량은 예비 배터리를 적재하는 적재부, 예비 배터리를 이송하는 이송부, 예비 배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예비 배터리에 대한 적재, 이송 및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는 예비 배터리의 크기 및 무게를 고려하여 적재하고, 예비 배터리를 고정할 수 있는 지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는 예비 배터리를 이동 또는 가이드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모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는 예비 배터리를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로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충전부는 동력 인출 장치, 자체 발전기, 직류-직류 충전기 및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 충전 발전기는 차량의 움직이는 동력 및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력을 직류-직류 충전기를 통하여 예비 배터리를 충전,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동력 인출 장치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주행과는 관계 없이 전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차량 이동간에 전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 될 수 있다.
충전용 커넥터는 이동 충전 차량의 직류-직류 변환기와 연결되어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구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MCS 차량의 예비 배터리를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를 교환할 때, MCS의 차량에 구비되는 적재부를 통하여 상기 예비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수신부
120: 전력 인출부
130: 충전 제어부
140: 충전 선택부
150: 배터리 공급부
160: 송신부

Claims (9)

  1. MCS(Mobile Charging Service) 차량에 있어서,
    MCS 서버로부터 방전된 차량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MCS 차량의 동력 및 자체 충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출하는 전력 인출부;
    하나 이상의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분석하여 상기 인출된 전력을 상기 예비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
    상기 통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충전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상기 충전 순위 및 상기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예비 배터리를 공급하는 배터리 공급부를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배터리 공급에 관련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MCS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방전된 차량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 잔여 정보,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은 상기 예비 배터리를 통하여 교환 또는 충전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5. MCS(Mobile Charging Service) 차량에 있어서,
    MCS 서버로부터 방전된 차량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CS 차량의 동력 및 자체 충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예비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분석하여 상기 인출된 전력을 상기 예비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순위 및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상기 충전 순위 및 상기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예비 배터리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배터리 공급에 관련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MCS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방전된 차량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배터리 잔여 정보,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은 상기 예비 배터리를 통하여 교환 또는 충전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MCS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19319A 2014-02-19 2014-02-19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8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19A KR20150098149A (ko) 2014-02-19 2014-02-19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19A KR20150098149A (ko) 2014-02-19 2014-02-19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49A true KR20150098149A (ko) 2015-08-27

Family

ID=5405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19A KR20150098149A (ko) 2014-02-19 2014-02-19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1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6465A (zh) * 2016-05-06 2017-11-14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移动补电车智能管理系统
CN108081991A (zh) * 2017-12-19 2018-05-29 武汉星巡智能科技有限公司 无线移动充电方法、装置及无人飞行器系统
WO2018080236A3 (ko) * 2016-10-28 2018-08-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유무선충전모듈 중 더욱 신속한 충전이 가능한 충전모듈을 선택하여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충전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294A (ko) * 2009-07-07 2011-01-1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6057A (ko) * 2009-12-10 2011-06-16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우선순위 결정방법
KR20120069859A (ko) * 2010-12-21 2012-06-29 (주)시그넷시스템 모바일 충전 시스템
KR20120070651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공급 제어방법, 전력 관리 방법 및 전력 시스템
KR20120095141A (ko) * 2011-02-18 2012-08-28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20120139558A (ko) * 2011-06-17 2012-12-27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3130963A (ja) * 2011-12-20 2013-07-04 Denso Corp 充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294A (ko) * 2009-07-07 2011-01-1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6057A (ko) * 2009-12-10 2011-06-16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우선순위 결정방법
KR20120069859A (ko) * 2010-12-21 2012-06-29 (주)시그넷시스템 모바일 충전 시스템
KR20120070651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공급 제어방법, 전력 관리 방법 및 전력 시스템
KR20120095141A (ko) * 2011-02-18 2012-08-28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20120139558A (ko) * 2011-06-17 2012-12-27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를 이용한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3130963A (ja) * 2011-12-20 2013-07-04 Denso Corp 充電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6465A (zh) * 2016-05-06 2017-11-14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移动补电车智能管理系统
WO2018080236A3 (ko) * 2016-10-28 2018-08-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유무선충전모듈 중 더욱 신속한 충전이 가능한 충전모듈을 선택하여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충전장치
CN108081991A (zh) * 2017-12-19 2018-05-29 武汉星巡智能科技有限公司 无线移动充电方法、装置及无人飞行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6187A1 (zh) 移动充电方法和装置
KR101936465B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JP6459847B2 (ja) 充電制御装置
US9566868B2 (en) Real-tim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ng and recharging electric vehicles in transit
US9242558B2 (en) Electricity supply vehicle
EP2230146A2 (en)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plug-in hybrid and electric vehicle
CN101920702A (zh) 控制车辆动力系的方法和车辆控制系统
JP5761265B2 (ja) 車両用充電制御装置
KR20150097978A (ko) 전기차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945307B1 (ko) 이동형 충전을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4981960A (zh) 混合动力车辆行驶控制装置
US11386370B2 (en) Fleet management system
KR20190006701A (ko)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방법
CN105320025A (zh) 用于控制电动车辆的方法和系统
KR20150098078A (ko) 이동형 충전을 보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398528A (zh) 带电驱动装置和电池的机动车及电池充电装置的运行方法
KR20150098149A (ko)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2188052A (ja) 発電機車
US106041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mild hybrid electric vehicle
KR20130037028A (ko) 차량용 고속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97483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CN107933332A (zh) 电动车辆的充电系统
KR20150098282A (ko) 이동형 충전 차량을 통합 관리하는 방법
KR101923380B1 (ko) 이동형 충전 차량의 통신 방법
JP2021086191A (ja) 貸出システム、貸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