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141A -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141A
KR20120095141A KR1020110014637A KR20110014637A KR20120095141A KR 20120095141 A KR20120095141 A KR 20120095141A KR 1020110014637 A KR1020110014637 A KR 1020110014637A KR 20110014637 A KR20110014637 A KR 20110014637A KR 20120095141 A KR20120095141 A KR 20120095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electric vehicle
vehicle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1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5141A/ko
Publication of KR2012009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이동식 충전 이동 수단, 상기 이동 수단과 연결된 배터리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 충전부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위치되어 충전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충전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충전을 아파트 단지, 다세대 주택, 공공장소 등에서 수행하거나 주행중 배터리가 방전이 된 경우 일반 도로 등에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하는 것과 같이 시간 및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Portable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한 장소에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며, 배터리 충전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보급에 따른 충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아파트 단지, 다세대 주택, 공공장소 등에서 수행하거나 주행중 배터리 방전 상황 등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시간 및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이동식 충전 방법 및 그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석유 자원에는 한계가 있으며, 현재 남아있는 석유 자원도 향후 50년 정도이면 고갈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하지만, 전세계의 석유자원에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석유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석유의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공해발생이 많은 화석 에너지의 사용이 억제되고 화석 에너지의 대체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자동차에 있어서도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얻는 자동차 대신에 전기로부터 동력을 얻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계는 녹색성장 (Green Growth)이라는 정책적, 산업적 물결 속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억제하는 동시에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노력을 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학연의 노력이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과 전기 자동차 보급확대로 집중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는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93.2%를 차지하는 도로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급감시켜 준다는 의미에서 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이다.
현재 국산차의 대부분은 탄소 배출량 수준이 130g/km를 초과하고, 국제적 기준에 크게 미흡한 수준으로서 저 탄소 녹색교통 확대 및 구축이 절대적인 시점이다. 국내 수송 부문별 연료사용에 따른 총 온실 가스 배출 비율은 도로(93.2%), 해운(3.3%), 철도(2.4%), 항공(1.1%)순으로 나타나 전기 자동차의 확대 보급이 중대한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전기 자동차는 휘발유 등의 화석 연료가 아니라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가솔린이나 디젤 자동차에 비하여 배기가스를 분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소음이 적게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향후 자동차 관련 기술 및 산업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 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생산 및 보급이 본격화되면 세계 자동차 산업의 판도가 새롭게 재편될 전망이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차량 가격의 반에 해당하는 배터리 가격과 7시간이 넘는 충전 시간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이 '전기차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를 한번 충전한 상태에서 주행거리가 100~150Km 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주행중에 자주 배터리를 충전시켜야만 하는데, 7시간이 넘는 배터리 충전 시간으로 인해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차내에 장착하는 배터리의 무게는 물론 차량 가격의 거의 반에 해당하는 배터리 가격으로 인하여 제대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배터리의 무게와 가격은 차치하더라도 석유 연료 자동차에 비하여 막대한 배터리 충전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 전기 자동차의 실용화에 있어서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충전을 할 수 없다는 점 역시 전기 자동차의 실용화에 있어서 걸림돌이 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 충전을 하기 위해서 현재는 주유소에 해당하는 주유기에 해당하는 충전 스탠드(120)에서 충전을 해야 한다. 즉, 전기 자동차(100)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 스탠드(120)와 같은 충전 시설을 갖춘 충전소를 직접 찾아가서 충전을 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고(완속: 7시간) 한번 충전에 의해 주행하는 거리가 제한적이며 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주 충전을 해주어야 한다. 즉,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주행 거리가 가솔린이나 디젤 등의 연료에 비하여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그만큼 자주 충전을 해주어야 하며, 이러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충전소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등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지만, 이처럼 원하는 장소에 모두 충전소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전기 자동차 충전 방식이 갖는 주요 문제점은 석유 연료 자동차에 비하여 막대한 배터리 충전 시간이 소요되어 아파트 단지, 다세대 주택, 공공 장소, 등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주행중 배터리 방전시 일반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시간에 상당한 제약을 받음은 물론 필요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어려워서 충전 장소에 제약을 받는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제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은 상용 전원(220V 또는 380V)에 연결된 전선을 전기 자동차에 직접 연결하여 충전하는 구조인데, 자동차의 배터리 특성상 충전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충전은 불편하고 매일 차량 운행 거리를 예측 할 수 없기 때문에 상시 매일 충전을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단독 주택에서는 자택의 전원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지만 다세대 및 아파트 같은 주거 환경, 공공장소에서는 전원 이용이 불가하고 운행 거리를 예측하지 못해 인프라(전기 충전소)가 없이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충전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데, 충전 방법, 충전 공간, 충전 시간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가 최근 수송 부문의 환경 문제와 화석연료 고갈에 따른 유가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적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다.
배터리 등 차량에 탑재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한된 성능, 높은 가격 부담에 따른 주행 거리의 한계를 극복해야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차량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등 차량 운행에 필요한 표준화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양한 차종에 대한 호환성 충전 시스템 및 인프라 표준화가 절실하다는 것 등이 그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이 필요한 장소마다 이동하여 충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이동식 충전 방법과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확산에 따라 가정(전기 충전소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 관공서, 주유소에서 충전하는 것과 같은 충전 차원에서 벗어나서 전기 충전 공간, 충전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편리하게 충전을 할 수 있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수단, 상기 이동 수단과 연결된 배터리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 충전부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위치되어 충전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충전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완속 충전부와 급속 충전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급속 충전부와 상기 완속 충전부는 각각 여러 대의 전기 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충전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속 충전부와 상기 급속 충전부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별도로 구비된 자가 발전 시스템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배터리 충전부의 탑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가 최근 수송 부문의 환경 문제와 화석연료 고갈에 따른 유가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적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는데, 배터리 등 차량에 탑재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한된 성능, 높은 가격 부담에 따른 주행 거리의 한계를 극복해야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차량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등 차량 운행에 필요한 표준화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양한 차종에 대한 호환성 충전 시스템 및 인프라 표준화가 절실하다는 것 등이 주요 과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이동 차량에 배터리 충전부를 구비한 이동식 충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가 충전이 요청되면, 배터리 충전부를 탑재한 이동 차량을 충전이 필요한 장소로 운행하여, 적재적소에서 편리하게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충전소 인프라 및 충전 시스템이 없는 곳이라 할지라도 충전 서비스를 장소 및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충전 인프라 시스템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를 사용하고 아파트 및 다세대 주택에 주차를 하거나 혹은 공공장소 및 마트, 개인적인 업무를 볼 시간에 이동식 충전 차량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예측하지 못해 배터리 방전시와 같은 비상시에 현장에서 충전을 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긴급 상황과 같은 유사시에 신속한 전기 자동차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을 최대한 빨리 극복하는 등의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시스템의 주요부인 배터리 충전부에 복수개의 충전 포트를 구비함으로써, 충전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 전기 자동차 여러 대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이처럼 전기 자동차 여러 대를 한꺼번에 충전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이는 등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속 충전이나 급속 충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충전 시스템의 주요부인 배터리 충전부를 완속 충전부와 급속 충전부로 구성하여, 배터리를 천천히 충전해도 되는 경우에는 완속 충전부를 이용하고 배터리를 급히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급속 충전부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완속 충전부와 급속 충전부를 외부 전원에 연결하거나 이동 차량에 구비된 자가 발전 시스템에 연결하여 외부 전원에서 충전 전원을 받거나 자가 발전 시스템에서 충전 전원을 받는 것을 취사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충전시의 편리성과 현장 이용성 향상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주유기에 해당하는 충전 스탠드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통상적인 방식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주요부인 충전 포트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의 정의 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주요부인 충전 포트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부가 구비된 이동 차량(200)을 충전이 필요한 전기 자동차(100)가 있는 장소로 이동시키고, 이동 차량(200)에 구비된 배터리 충전부에서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이동식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있어서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이동 차량(200)에 탑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 차량(200)은 인력을 통해 이동 가능할 수 있는 손잡이 등의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과의 연결을 통해 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운송 수단으로 대체 가능함을 유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100)가 있는 장소로 이동 가능한 이동 차량(200)에 배터리 충전부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동 차량(200)은 운전석의 후방 위치에 배터리 충전부를 탑재할 수 있는 짐칸이 구비된 트럭형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배터리 충전부를 탑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차량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 차량(200)은 평상시에는 배터리 충전부를 가리거나 보호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예를 들어, 도어의 개폐 가능 구조)의 짐칸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이동 차량(200)의 운전석 후방 위치의 짐칸에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충전부를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로 구성한다. 이러한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는 박스형 충전팩 구조로 이루어져서 이동 차량(200)의 짐칸에 탑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는 사용중의 점검 등을 위하여 이동 차량(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탑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급속 충전부(210)와 완속 충전부(220)에는 각각 충전 포트(230)가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충전 포트(230)는 한 개가 아니라 복수개의 충전 포트(230)로 구성하여, 여러 대의 전기 자동차(10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네 개의 충전 포트(230)가 있는 경우 동시에 네 대의 전기 자동차(10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는 외부 전원(240)에 연결하여 배터리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완속 충전부(220)에는 220V를 연결하고 급속 충전부(210)에는 380V를 연결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는 이동 차량(200)에 구비된 자가 발전 시스템(250)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동 차량(200)에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에 더하여 자체적으로 전기를 만들어내는 자가 발전 시스템(250)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자가 발전 시스템(250)은 박스형으로 제작하고, 이러한 박스형의 자가 발전 시스템(250)을 점검 등을 위하여 이동 차량(200)에 역시 탈부착 가능하게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차량(200)의 배터리 충전부를 전기 자동차(100)에 접속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접속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 접속수단은 배터리 충전부, 즉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를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충전 케이블(232)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 케이블(232)은 양단부가 각각 소켓 접속식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소켓 결합식으로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의 충전 포트(230)에 충전 케이블(232)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232)의 타단부도 소켓 접속식으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전원 접속부에 연결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기 자동차의 이동식 충전 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력이나 또는 모든 이동식 기구 등의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이동식 충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이동 차량(200)에 배터리 충전부를 구비한 이동식 충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가 충전이 요청되면, 배터리 충전부를 탑재한 이동 차량(200)을 충전이 필요한 장소로 운행한다.
이어서, 충전 케이블(232)을 매개로 이동 차량(200)에 구비된 배터리 충전부의 충전 포트(230)와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전원 접속부를 연결한 다음, 배터리 충전부를 가동하여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에 충전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바람직하게, 이동 차량(200)의 운전석 등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 충전부로부터 충전용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차량(200)에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가 충전소 인프라 및 충전 시스템이 없는 곳이라 할지라도 충전 서비스를 장소 및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인프라 시스템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100)를 사용하고 아파트 및 다세대 주택에 주차를 하거나 혹은 공공장소 및 마트, 개인적인 업무를 볼 시간에 본 발명의 이동식 충전 차량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100)의 주행거리를 예측하지 못해 배터리 방전시 현장에서 충전을 할 수 있다. 즉, 주행 거리의 판단 착오로 배터리 방전시 도로나 기타 다른 현장에서 신속하게 필요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식 충전 방법은 이동 차량(200)에 배터리 충전부를 완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가 필요한 장소로 이동 차량(200)을 운행하여 적재 적소에서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점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차량(200)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되, 충전 시스템의 주요부인 배터리 충전부에 복수개의 충전 포트(230)를 구비함으로써, 충전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 전기 자동차(100) 여러 대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고, 이처럼 전기 자동차(100) 여러 대를 한꺼번에 충전함으로써 시간도 절약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높이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부를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로 구성하고, 이러한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에는 복수개의 충전 포트(230)가 구비되어 있어서, 완속 충전의 경우 완속 충전부(220)에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를 연결하고 급속 충전의 경우 급속 충전부(210)에 배터리를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속 충전과 급속 충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충전 시스템의 주요부인 배터리 충전부를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로 구성하여, 배터리를 천천히 충전해도 되는 경우에는 완속 충전부(220)를 이용하고 배터리를 급히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급속 충전부(210)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속 충전은 사용자가 업무를 마치고 아파트 및 다세대 주택에 주차를 하고 다음날 전기차를 사용하기 위해서 충전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사용자는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완속(7시간 이상) 충전을 해야되는데, 장시간 동안 기다려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배터리를 충전 상태로 놓고 다른 업무를 보는 것과 같이 장시간 충전 시간을 기다려도 되는 상황에서는 완속 충전을 이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급속 충전은 사용자가 예측거리를 예상하지 못해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이 돼서 운행하지 못할 경우와 같이 비교적 급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사용자는 완속(7시간 이상) 충전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신속한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급속 충전(30분)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완속 충전부(220)와 급속 충전부(210)를 외부 전원(240)에 연결하거나 이동 차량(200)에 구비된 자가 발전 시스템(250)에 연결하여 외부 전원(240)이나 자가 발전 시스템(250)을 취사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 충전시 전원 공급은 외부에 전원 포트가 있는 경우 외부 전원(240)을 연결해서 충전할 수 있다. 완속 충전은 220V 전원(244)에 연결하고 급속 충전은 380V 전원(242)에 연결하여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한편, 외부에 전원이 없는 경우 이동 차량(200)에 자가 발전 시스템(250)이 구비되어 있어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발생하여 완속 충전 및 급속 충전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전원(240)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외부 전원(240)에서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을 하거나 자가 발전 시스템(250)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한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배터리 충전시의 편리성과 현장 이용성 향상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 전기 자동차의 이동식 충전 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인력이나 또는 모든 이동식 기구 등의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임은 전술한 바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전기 자동차 120. 충전 스탠드
200. 이동 차량 210. 급속 충전부
220. 완속 충전부 230. 충전 포트
232. 충전 케이블 240. 외부 전원
250. 자가 발전 시스템

Claims (5)

  1. 이동 수단;
    상기 이동 수단과 연결된 배터리 충전부;
    상기 배터리 충전부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위치되어 충전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충전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완속 충전부와 급속 충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충전부와 상기 완속 충전부는 각각 여러 대의 전기 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충전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속 충전부와 상기 급속 충전부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별도로 구비된 자가 발전 시스템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배터리 충전부의 탑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0110014637A 2011-02-18 2011-02-18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20120095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37A KR20120095141A (ko) 2011-02-18 2011-02-18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37A KR20120095141A (ko) 2011-02-18 2011-02-18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41A true KR20120095141A (ko) 2012-08-28

Family

ID=4688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637A KR20120095141A (ko) 2011-02-18 2011-02-18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5141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04B1 (ko) * 2012-06-19 2015-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운송 방법
KR20150098149A (ko) * 2014-02-19 2015-08-27 자동차부품연구원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8287A (ko) * 2014-02-19 2015-08-28 자동차부품연구원 이동형 충전을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157315A1 (zh) * 2016-03-17 2017-09-21 湘潭大平策划有限公司 移动充电栓
KR200484860Y1 (ko) * 2017-05-22 2017-11-02 김양환 이동식 2차 전지 탑재 트레일러
KR20180000406U (ko) * 2016-08-01 2018-02-09 이치로 후지오카 클린 전기 차량
KR20180021501A (ko) * 2016-08-22 2018-03-05 중소기업은행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를 이용한 모바일 충전용 카트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WO2018182209A1 (ko) * 2017-03-31 2018-10-04 주식회사 디앤케이 비상 전력충전장치 및 그의 멀티젠더
KR20190008729A (ko) * 2017-07-17 2019-01-25 (주)대륜엔지니어링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기
CN109291797A (zh) * 2018-11-02 2019-02-01 蔚来汽车有限公司 提供电气保护的装置和方法、电气系统和移动充电车
DE102018202260A1 (de) * 2018-02-14 2019-08-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adefahrzeug zum Lad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ines Elektrofahrzeugs
KR102264206B1 (ko) * 2020-07-28 2021-06-11 조길봉 전기차 충전기능이 탑재된 충전차량
KR20210130975A (ko) *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에스에이치이 전기자동차용 이동형 충전시스템
KR20210145042A (ko) 2020-05-22 2021-12-01 주식회사 디앤케이 딥러닝 및 IoT 기반의 효율적인 에너지 재활용 기능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긴급 충전 서비스 방법
KR20220019171A (ko) * 2020-08-07 2022-02-16 김창원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20026086A (ko) * 2020-08-25 2022-03-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배터리의 충전 및 모니터링 장치
KR20220026081A (ko) * 2020-08-25 2022-03-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배터리의 충전 장치
KR20220099588A (ko) 2021-01-04 2022-07-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이동형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20220149999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빈센 전기 선박용 이동식 충전 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04B1 (ko) * 2012-06-19 2015-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운송 방법
KR20150098149A (ko) * 2014-02-19 2015-08-27 자동차부품연구원 Mcs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8287A (ko) * 2014-02-19 2015-08-28 자동차부품연구원 이동형 충전을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157315A1 (zh) * 2016-03-17 2017-09-21 湘潭大平策划有限公司 移动充电栓
KR20180000406U (ko) * 2016-08-01 2018-02-09 이치로 후지오카 클린 전기 차량
KR20180021501A (ko) * 2016-08-22 2018-03-05 중소기업은행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를 이용한 모바일 충전용 카트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WO2018182209A1 (ko) * 2017-03-31 2018-10-04 주식회사 디앤케이 비상 전력충전장치 및 그의 멀티젠더
KR20180111194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디앤케이 비상 전력충전장치
KR200484860Y1 (ko) * 2017-05-22 2017-11-02 김양환 이동식 2차 전지 탑재 트레일러
KR20190008729A (ko) * 2017-07-17 2019-01-25 (주)대륜엔지니어링 이동형 전기자동차 충전기
DE102018202260A1 (de) * 2018-02-14 2019-08-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adefahrzeug zum Lad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ines Elektrofahrzeugs
CN109291797A (zh) * 2018-11-02 2019-02-01 蔚来汽车有限公司 提供电气保护的装置和方法、电气系统和移动充电车
CN109291797B (zh) * 2018-11-02 2021-10-15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提供电气保护的装置和方法、电气系统和移动充电车
KR20210130975A (ko) *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에스에이치이 전기자동차용 이동형 충전시스템
KR20210145042A (ko) 2020-05-22 2021-12-01 주식회사 디앤케이 딥러닝 및 IoT 기반의 효율적인 에너지 재활용 기능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긴급 충전 서비스 방법
KR102264206B1 (ko) * 2020-07-28 2021-06-11 조길봉 전기차 충전기능이 탑재된 충전차량
KR20220019171A (ko) * 2020-08-07 2022-02-16 김창원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20026086A (ko) * 2020-08-25 2022-03-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배터리의 충전 및 모니터링 장치
KR20220026081A (ko) * 2020-08-25 2022-03-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배터리의 충전 장치
KR20220099588A (ko) 2021-01-04 2022-07-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이동형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20220149999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빈센 전기 선박용 이동식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5141A (ko)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Abo-Khalil et al. Electric vehicle impact on energy industry, policy, technical barriers, and power systems
Zhang et al. Fuel reduction and electricity consumption impact of different charging scenarios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Savari et al. Assessment of charging technologies, infrastructure and charging station recommendation schemes of electric vehicles: A review
Tuttle et al. The evolution of plug-in electric vehicle-grid interactions
Michelbacher et al. Enabling fast charging–Introduction and overview
Ajanovic Promoting environmentally benign electric vehicles
Benela et al. Design of charging unit for electric vehicles using solar power
Alsharif et al. Comprehensive state-of-the-art of vehicle-to-grid technology
Di Ili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extended-range electric vehicles equipped with hydrogen-fueled rotary engine
Diaz Electric vehicles: A primer on technology and selected policy issues
Mehar et al. A Review on Battery Technologies and Its Challenges in Electrical Vehicle
Ejaz et al. Charging infrastructure placement for electric vehicles: An optimization prospective
Sikdar et al. IoT Solutions for Electric Vehicles (EV) Charging Stations: A Driving Force Towards EV Mass Adoption
Bajaj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Electrical Vehicles
Wassan et al. Role of green technology vehicles in road transportation emissions–Case of the UK
Bhutto et al. Electric mobility and Energy security in Pakistan: A review
Manikandan et al. A review on electrical vehicle adaptation in India
Yousuf et al.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frastructure: A Comprehensive Review of Technologies, Challenges, and Mitigation Strategies
Jesvanth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EV Charging Infrastructure
Chandrakar et al. Electric vehicle progression in the society and their consequences
KR20130078352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전원 장치 시스템
Ghosh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plug-in hybrids and battery electric vehicles: A comparative analysis
Araya Implementation of a System to Find Suitable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Cars
BIMENYIMANA The role of renewable energy and battery technology for sustainable electric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