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885B1 -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 Google Patents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885B1
KR101776885B1 KR1020150132798A KR20150132798A KR101776885B1 KR 101776885 B1 KR101776885 B1 KR 101776885B1 KR 1020150132798 A KR1020150132798 A KR 1020150132798A KR 20150132798 A KR20150132798 A KR 20150132798A KR 101776885 B1 KR101776885 B1 KR 10177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case members
battery cell
cap plate
prismatic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495A (ko
Inventor
김기태
윤형구
김동명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6003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21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적어도 일측에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각각 돌출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 및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Prismatic Battery Cell Having Two or More Case Members}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 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형(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스택형 전극조립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다.
또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특히,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30), 전극조립체(1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131, 132), 전극 탭들(131, 132)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들(140, 141), 및 전극조립체(130)를 수용하는 전지케이스(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1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들(131, 132)은 전극조립체(130)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리드들(140, 141)은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131, 132)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12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극리드들(140, 141)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12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필름(150)이 부착되어 있다.
전지케이스(120)는 전극조립체(1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123)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122)와 그러한 본체(12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덮개(121)로 이루어져 있고, 수납부(123)에 전극조립체(130)을 수납한 상태로 접촉부위인 양측부(124)와 상단부(125)를 결합시킴으로써 전지를 완성한다. 전지케이스(120)는 수지층/금속박층/수지층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접하는 덮개(121)와 본체(122)의 양측부(124) 및 상단부(125) 부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지층을 상호 융착시킴으로써 결합시킨 밀봉 잉여부를 형성한다. 양측부(124)는 상하 전지케이스(120)의 동일한 수지층들이 직접 접하므로 용융에 의해 균일한 밀봉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단부(125)에는 전극리드들(140, 141)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극리드들(140, 141)의 두께 및 전지케이스(120) 소재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밀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극리드들(140, 141)과의 사이에 절연필름(150)을 개재한 상태에서 열융착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따라, 전지케이스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낮은 강성으로 인해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에 취약하며, 특히 침상 부재에 의한 손상으로 인한 열화 및 폭발의 위험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는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거나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하여 이차전지에서 내부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양극 계면에서 전해액의 분해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그로 인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이차전지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이차전지의 형태 변경은 이차전지의 전기적 연결을 훼손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를 밀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밀봉 잉여부로 인해, 이차전지의 크기에 비해 불필요한 용량 감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금속으로 이루어진 각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각형 전지셀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각형 전지셀은 하단이 밀봉되어 있는 각형 중공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한 후 상단 캡 어셈블리를 용접하고 전해질을 주입한 뒤 주입구를 밀봉하여 제조되는 바, 상기 하단이 밀봉된 각형 중공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의 판재를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딥 드로잉 가공법은 장치의 제작 비용이 매우 높고, 금형 등의 제조에 긴 기간이 소요되며, 가공할 수 있는 형상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지케이스를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해 상기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로 구성함으로써, 전지셀의 전체적인 강성이 향상되므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지셀 내에서의 가스 발생에 따른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지셀을 비롯한 상기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형상에 대한 제약이 없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전지셀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 공정의 효율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전지셀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적어도 일측에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각각 돌출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 및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전지셀은 상기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케이스 구조에 의해,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전지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지셀 내에서의 가스 발생에 따른 형태 변형을 방지해, 전체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전지셀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의 단위셀들이 분리필름에 의해 연속적으로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감싸질 수 있는 구조라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전극조립체의 동일한 일측에 함께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일반적인 각형 전지셀은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동일한 일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각형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 역시 각형 전지셀의 동일한 일측에서 양극과 음극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만일,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전극조립체의 상이한 일측 및 타측에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 중 하나의 전극단자를 나머지 전극단자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전극리드와 같은 추가의 부재가 필요하며, 상기 부재는 케이스 내에서 전극조립체와 함께 내장되는 바, 이에 따라,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동일한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동일한 크기의 전지셀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량이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전지셀은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전극조립체의 동일한 일측에 함께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이 개방되는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개방되는 두 개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는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적어도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일면과 함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는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극리드와 같은 별도의 부재 없이, 외부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양극 및 음극이 동일한 일면의 캡 플레이트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케이스 부재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하나의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케이스 부재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케이스 부재들을 결합하여 제조되는 각형 전지셀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이 아닌, 불규칙적인 외면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케이스 부재들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전지셀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성의 케이스 부재들은 전극조립체의 서로 상이한 면을 감싸는 구조이거나, 동일한 면을 분할하여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단차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케이스 부재들은 상기 단차와 같이 다양한 외면 구조를 갖는 전극조립체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금속 판재를 단조, 블랭킹 또는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각형 전지셀은 딥 드로잉 가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나의 개구를 갖는 중공형의 각형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하나의 캡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전지셀은 금속 판재의 단조, 블랭킹 또는 절삭 가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수의 케이스 부재들과 캡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루어 진다.
따라서, 형상에 대한 제약이 없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전지셀을 설계할 수 있으며, 전지셀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 공정의 효율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고, 딥 드로잉 가공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부위에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는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부위 외에, 상기 캡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부위에 형성되거나, 상기 캡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부위 및 이에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에도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는 상기 결합 부위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제공하므로, 상기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단 구조의 단차는 결합 부위가 각각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단 구조의 단차는 결합 부위에 보다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므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및 케이스 부재들과 캡 플레이트의 결합은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그 결합 방법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하게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각형 전지셀은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캡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들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제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각형 전지셀은 케이스 부재들이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외주면을 감싸기에 앞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캡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먼저 연결되고, 그 후 상기 케이스 부재들이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캡 플레이트에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전지셀은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예로서,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및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xMn2-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을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 및 분리필름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의 안전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분리막 및/또는 분리필름은 유/무기 복합 다공성의 SRS(Safety-Reinforcing Separators) 분리막일 수 있다.
상기 SRS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 기재상에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를 활성층 성분으로 사용하여 제조되며, 이때 분리막 기재 자체에 포함된 기공 구조와 더불어 활성층 성분인 무기물 입자들간의 빈 공간(interstitial volume)에 의해 형성된 균일한 기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분리막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화성 공정(Formation)시의 스웰링(swelling)에 따른 전지 두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바인더 고분자 성분으로 액체 전해액 함침시 겔화 가능한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해질로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분리막 내 활성층 성분인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의 함량 조절에 의해 우수한 접착력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전지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는 적용되는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 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이온 전달 능력이 있는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경우, 전기 화학 소자 내의 이온 전도도를 높여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이온 전도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물 입자가 높은 밀도를 갖는 경우, 코팅시 분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 제조시 무게 증가의 문제점도 있으므로, 가능한 밀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인 경우, 액체 전해질 내 전해질 염, 예컨대 리튬염의 해리도 증가에 기여하여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은, 극성 유기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해액으로는 비수계 액상 전해액, 유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수계 액상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각형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각형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셀들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단위셀들을 긴 시트 형상의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권취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조립체를 감싸도록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각의 단위셀들은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최외곽 전극들이 분리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셀들은 양측의 최외곽 극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단위셀들은 분리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최외곽 전극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분리필름 상에 교번 방식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필름이 연속적으로 권취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및 케이스 부재들과 캡 플레이트의 결합은 보다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d) 단계의 전해액은 캡 플레이트가 케이스 부재들에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주입되는 바,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각형 전지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파워 툴, 웨어러블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전지셀은, 전지케이스를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해 상기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로 구성함으로써, 전지셀의 전체적인 강성이 향상되므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지셀 내에서의 가스 발생에 따른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지셀을 비롯한 상기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형상에 대한 제약이 없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전지셀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 공정의 효율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각형 전지셀을 이루는 전극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케이스 부재들과 캡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의 다양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다양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2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210, 22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230)를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케이스 부재들(210, 2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 1 케이스 부재(210) 및 제 2 케이스 부재(220)이고,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며, 각형 전지셀(200)의 상단면(245)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다.
제 1 케이스 부재(210)와 제 2 케이스 부재(220)는 각각 각형 전지셀(200)의 전면(241)과 후면(242) 전체를 감싸며, 좌측면(243), 우측면(244) 및 하단면(246)의 일부를 각각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들(210, 2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단면(245)의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230)가 결합되어 밀폐된다.
도 3에는 도 2의 각형 전지셀을 이루는 전극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300)는 다수의 단위셀들(310, 320, 330, 340, 350)을 분리필름(390)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단위셀들(310, 320, 330, 340, 350)은 양극 및 음극의 외주면 중 일면에 양극단자(360) 및 음극단자(370)가 각각 돌출되어 있는 바, 상기 양극단자(360) 및 음극단자(370)는 상기 단위셀들(310, 320, 330, 340, 350)의 동일한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극조립체(300)가 케이스 부재들(도 2의 210, 220)의 결합에 의해 감싸지는 경우, 양극단자(360) 및 음극단자(370)는 케이스 부재들(도 2의 210, 2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캡 플레이트(도 2의 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 부재들(410, 420)은 결합 부위(414, 424)에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는 각 케이스 부재들(410, 420)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모든 결합 부위(414, 424)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각 케이스 부재들(410, 420)의 좌측벽(411, 421), 우측벽(412, 422) 및 하단벽(413, 423)의 결합 부위(414, 424)가 돌출 또는 만입된 구조로서, 결합 부위(414, 424)가 각각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들(410, 420)의 결합은 계단 구조의 단차로 이루어진 결합 부위(414, 424)에 대한 레이저 용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는 케이스 부재들(410, 420)의 결합 부위(414, 424)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제공하므로, 케이스 부재들(410, 42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위(414, 424)에 보다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므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스 부재들(410, 420)의 결합 부위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케이스 부재들과 캡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의 다양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 부재들(510, 520)의 일면이 개방된 개구(540)에는 캡 플레이트(530)가 결합되어 밀폐된다.
캡 플레이트(530)와 결합되는 케이스 부재들(510, 520)의 결합 부위인 개구(540)에는 내면이 만입된 계단 구조의 단차(511, 5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540)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530)는 상기 계단 구조의 단차(511, 521)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별도의 단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캡 플레이트(530)는 케이스 부재들(510, 520)의 개구(540)에 형성된 계단 구조의 단차(511, 521)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밀폐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계단 구조의 단차(631, 632)가 케이스 부재들(610, 620)의 개구(640)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63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 플레이트(630)와 결합되는 케이스 부재들(610, 620)의 개구(640)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조는 도 5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계단 구조의 단차(711, 721, 731, 732)가 캡 플레이트(730)와 결합되는 케이스 부재들(710, 720)의 결합 부위인 개구(740) 및 이에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인 양측 단부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조는 도 5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다.
도 8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셀의 다양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8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810, 82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830)를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케이스 부재들(810, 820)은 각각 각형 전지셀(800)의 좌측면(843)과 우측면(844) 전체를 감싸며, 전면(841), 후면(842) 및 하단면(845)의 일부를 각각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조는 도 2의 각형 전지셀과 동일하다.
도 9를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9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910, 920)과 2개의 캡 플레이트들(931, 932)을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케이스 부재들(910, 9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며, 각형 전지셀(900)의 상단면(945)과 하단면(946)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다.
하나의 케이스 부재(910)와 또 다른 케이스 부재(920)는 각각 각형 전지셀(900)의 전면(941)과 우측면(944) 전체 및 후면(942)과 좌측면(943) 전체를 각각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들(910, 9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단면(945) 및 하단면(946)의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들(931, 932)이 각각 결합되어 밀폐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10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1010, 102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1030)를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케이스 부재들(1010, 1020)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며, 각형 전지셀(1000)의 상단면(1045)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다.
하나의 케이스 부재(1010)는 각형 전지셀(1000)의 전면(1041), 좌측면(1043) 및 우측면(1044)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또 다른 케이스 부재(1020)는 각형 전지셀(1000)의 후면(1042)과 하단면(1046) 전체를 각각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들(1010, 10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단면(1045) 의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1030)가 결합되어 밀폐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11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1110, 112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1130)를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케이스 부재들(1110, 11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서,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캡 플레이트(1130)가 결합되는 제 1 측면들(1111, 1121) 및 이에 인접한 제 2 측면들(1112, 1122)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각 케이스 부재들(1110, 1120)은 캡 플레이트(1130)가 결합되는 제 1 측면들(1111, 1121)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의 개방된 제 2 측면들(1112, 1122)이 대면함으로써,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며, 각형 전지셀(1100)의 제 1 측면들(1111, 1121)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다.
케이스 부재들(1110, 11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1130)가 결합되어 밀폐된다.
케이스 부재들(1110, 1120)은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계단 구조의 단차(11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12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1210, 122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1230)를 포함하고 있다.
각형 전지셀(1200)은 케이스 부재들(1210, 1220)이 평면상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면 방향(1261)으로 계단 구조의 단차(127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한 나머지 구조가 도 11의 각형 전지셀(도 11의 11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13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1310, 132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1330)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들(1310, 13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서, 평면상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케이스 부재들(1310, 1320)의 제 1 측면들(1311, 1321) 중의 일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에 캡 플레이트(1330)가 결합되어 밀폐된다는 점을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12의 각형 전지셀(도 12의 12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1400)은 4개의 케이스 부재들(1410, 1420, 1430, 144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1450)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케이스 부재(1410)와 제 4 케이스 부재(1440)는 캡 플레이트(1450)가 결합되는 제 1 측면들(1411, 1441), 이에 인접하여 상호 대면하는 제 2 측면들(1412, 1442) 및 제 1 측면들(1411, 1441)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제 2 케이스 부재(1420) 및 제 3 케이스 부재(1430)와 각각 대면하는 제 3 측면들(1413, 1443)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케이스 부재(1420)와 제 3 케이스 부재(1430)는 서로 대면하는 제 2 측면들(1422, 1432), 제 1 케이스 부재(1410) 및 제 4 케이스 부재(1440)와 각각 대면하는 제 1 측면들(1421, 1431)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각형 전지셀(1400)은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하면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 계단 구조의 단차(147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형 전지셀(1500)은 2개의 케이스 부재들(1510, 1520)과 하나의 캡 플레이트(1530)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들(1510, 1520)은 평면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 캡 플레이트(1530)가 결합되는 제 1 측면들(1511, 1521) 및 서로 대면하는 상면(1522)과 하면(1512)이 각각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들(1510, 1520)은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계단 구조의 단차(1570)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케이스 부재들(1510, 1520)은 상면(1522)과 하면(1512)이 대면함으로써 결합되고, 개방된 제 1 측면들(1511, 1521)에 의해 형성된 개구에 캡 플레이트(1530)가 결합됨으로써 밀폐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각형 전지셀은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계단 구조의 단차와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전극조립체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3)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적어도 일측에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각각 돌출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개구를 형성하는 2개의 케이스 부재들; 및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부위에 대응하는 상단면, 상기 상단면의 반대면인 하단면, 및 상기 상단면 및 하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면들은 가장 넓은 면으로 구성되는 전면과 전면의 대향면인 후면 및 측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 측면 전체를 감싸고 일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조립체의 전면, 후면 및 하단면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 측면에 대향하는 타측 측면 전체를 감싸고 전극조립체의 전면, 후면 및 하단면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케이스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면 및 후면에 대응되는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의 단위셀들이 분리필름에 의해 연속적으로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전극조립체의 동일한 일측에 함께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이 개방되는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개방되는 두 개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일면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는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케이스 부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케이스 부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은 금속 판재를 단조, 블랭킹 또는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부위에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부위에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부위 및 이에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에는 계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계단 구조의 단차는 결합 부위가 각각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및 케이스 부재들과 캡 플레이트의 결합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 전지셀은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캡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들이 상기 전극조립체의 나머지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18. 제 1 항에 따른 각형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나 이상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셀들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단위셀들을 긴 시트 형상의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권취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전극조립체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조립체를 감싸도록 케이스 부재들 및 캡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셀들은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최외곽 전극들이 분리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의 결합 및 케이스 부재들과 캡 플레이트의 결합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제조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전해액은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셀 제조 방법.
  22. 제 1 항에 따른 각형 전지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파워 툴, 웨어러블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50132798A 2014-09-25 2015-09-21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KR101776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103 2014-09-25
KR1020140128103 2014-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95A KR20160036495A (ko) 2016-04-04
KR101776885B1 true KR101776885B1 (ko) 2017-09-08

Family

ID=5506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798A KR101776885B1 (ko) 2014-09-25 2015-09-21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0694B2 (ko)
EP (1) EP3163647B1 (ko)
JP (1) JP6517917B2 (ko)
KR (1) KR101776885B1 (ko)
CN (2) CN204966551U (ko)
WO (1) WO2016048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885B1 (ko) 2014-09-25 2017-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KR101804048B1 (ko) * 2015-04-22 2017-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6548031B2 (ja) * 2015-12-10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941145B1 (ko) * 2015-12-16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997961A (zh) * 2016-01-26 2017-08-01 郑州比克电池有限公司 锂离子聚合物电池限位化成夹具
DE102016219993A1 (de) * 2016-10-13 2018-04-19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gehäuse
KR102242246B1 (ko) * 2016-12-21 2021-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8269960A (zh) * 2017-01-03 2018-07-10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电池组
KR102307300B1 (ko) 2017-10-16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2297246B1 (ko) * 2017-11-30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E102018207329A1 (de) * 2018-05-09 2019-1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peicherzelle für eine Speich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Speiche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DE102018207327A1 (de) * 2018-05-09 2019-1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peichereinrichtung zum Speichern von elektrischer Energi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KR20190134458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00141201A (ko) * 2019-06-10 2020-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0311173B (zh) * 2019-07-01 2022-06-28 大连科达利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环保锂电池配件制作方法
JP7328167B2 (ja) * 2020-03-13 2023-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蓄電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540937B (zh) * 2020-04-28 2022-01-25 天目湖先进储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容量二次电池及其用途
JP7285809B2 (ja) * 2020-08-12 2023-06-0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角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角型電池
BR112022014402A2 (pt) * 2020-08-17 2023-02-28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td Célula de bateria, bateria, dispositivo elétrico, método para preparar uma célula de bateria e dispositivo para preparar uma célula de bateria
CN112072016A (zh) * 2020-08-18 2020-12-11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电动车电池包箱体结构
JP7334140B2 (ja) * 2020-09-09 2023-08-28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密閉型二次電池および該電池用電池ケース
JP7208200B2 (ja) * 2020-09-09 2023-01-18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池および該電池が備える電池ケースと、該電池ケースを構築するための電池ケース部材
WO2022067778A1 (zh) * 2020-09-30 2022-04-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用电装置、电池单体的制造方法及系统
AU2020470228B2 (en) 2020-09-30 2023-11-23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cell,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battery cell
JP7266569B2 (ja) * 2020-11-17 2023-04-28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
CN116762201A (zh) * 2021-01-29 2023-09-15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元件
WO2023027464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그의 제조방법 및 전지팩
KR20230068528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수 및 방진성능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3176109A1 (ja) * 2022-03-15 2023-09-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CN217334352U (zh) * 2022-06-13 2022-08-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WO2024020299A2 (en) * 2022-07-22 2024-01-25 Factorial Inc. Cell assembly and all solid-stat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E102022124093A1 (de) * 2022-09-20 2024-03-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erstellung einer Batterie mit Gehä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313B1 (ko) * 2009-09-30 201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9450A (ja) 1987-04-27 1988-11-0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鉛電池
JP4027447B2 (ja) * 1996-04-24 2007-12-2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2416613Y (zh) 1999-06-08 2001-01-24 深圳粤宝电子工业总公司 高可靠性封口结构的电池
KR100515572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198011A (ja) 2000-12-27 2002-07-1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角型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20060068281A1 (en) * 2002-12-17 2006-03-30 Masaru Hiratsuka Outer case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484115B1 (ko) * 2003-05-21 2005-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662530B2 (ja) 2004-01-20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191661B2 (ja) * 2004-01-28 2013-05-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組立型構造の二次バッテリー
KR100614358B1 (ko) 2004-10-28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캔형 이차 전지
KR100719686B1 (ko) * 2005-03-23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8778529B2 (en) * 2004-11-29 2014-07-15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CN2881973Y (zh) 2006-01-06 2007-03-21 顺达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盒结构
KR100894408B1 (ko) * 2006-07-10 2009-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화학 셀
KR100875430B1 (ko) * 2007-01-19 2008-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1229955Y (zh) 2008-07-04 2009-04-29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适用于电动自行车的锂离子电池组外壳
KR20110066448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1036089B1 (ko) 2010-01-27 2011-05-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절연 백을 갖는 이차전지
JP5589737B2 (ja) * 2010-10-07 2014-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74433A (ja) * 2011-02-18 2012-09-10 Toshiba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用外装体
CN202127063U (zh) 2011-06-10 2012-01-25 珠海金峰航电源科技有限公司 车用锂离子动力电池组
KR101504219B1 (ko) * 2012-01-04 2015-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의 케이싱 방법
KR20130113301A (ko)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20130118716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JP2014059954A (ja) * 2012-09-14 2014-04-03 Skk Corp 角型電池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86201B1 (ko) * 2013-02-13 2016-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엇갈린 배열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96269B1 (ko) 2013-02-13 2016-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KR101689216B1 (ko) * 2013-03-06 2016-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637891B1 (ko) * 2013-09-05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EP3070760B1 (en) 2013-11-15 2019-02-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Prismatic battery
KR101776885B1 (ko) 2014-09-25 2017-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313B1 (ko) * 2009-09-30 201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3647B1 (en) 2024-01-31
CN105470413B (zh) 2018-06-26
US20170237045A1 (en) 2017-08-17
CN105470413A (zh) 2016-04-06
EP3163647A4 (en) 2017-11-15
EP3163647A1 (en) 2017-05-03
JP2017532715A (ja) 2017-11-02
JP6517917B2 (ja) 2019-05-22
CN204966551U (zh) 2016-01-13
US10770694B2 (en) 2020-09-08
KR20160036495A (ko) 2016-04-04
WO2016048002A1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885B1 (ko)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KR101826861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63578B1 (ko) 금속 판재를 사용한 각형 전지셀의 제조방법
US10644298B2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having protruding extension and tab connector
KR101573683B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KR20170045564A (ko) 전지케이스의 내면이 전기 절연성 소재로 코팅되어 있는 전지셀
KR20160054242A (ko) 보조 실링부의 형성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의 제조방법
KR20170068730A (ko) 가스 흡착제가 포함되어 있는 전극 리드를 구비한 전지셀
KR101764841B1 (ko) 경사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50382B1 (ko) 전지 케이스로 연결된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 방법
KR101933655B1 (ko) 전극 탭 부위에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936074B1 (ko) 전해액 내장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94939B1 (ko) 서로 다른 크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11837B1 (ko) 잉여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750089B1 (ko) 각형 전지용 탑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814789B1 (ko) 간편한 결합 구조로 용량 확장이 가능한 이차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어셈블리
KR101554141B1 (ko) 판상형 전지셀
KR101798929B1 (ko) 보강용 라벨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726755B1 (ko) 각형 전지용 탑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807271B1 (ko) 박판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06669B1 (ko)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한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KR101863701B1 (ko) 표면 실장 소자형 안전 소자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614332B1 (ko) 비정형 전지셀
KR101717194B1 (ko) 경사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70022511A (ko) 모서리에 경사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