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89B1 -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 - Google Patents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89B1
KR101774989B1 KR1020170050462A KR20170050462A KR101774989B1 KR 101774989 B1 KR101774989 B1 KR 101774989B1 KR 1020170050462 A KR1020170050462 A KR 1020170050462A KR 20170050462 A KR20170050462 A KR 20170050462A KR 101774989 B1 KR101774989 B1 KR 10177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ide locking
rod
locking protrusio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종
Original Assignee
이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균 filed Critical 이성균
Priority to KR102017005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반사체가 부착된 봉, 상기 봉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이 노면에 접촉되는 봉받침대 및 상기 봉받침대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노면의 앵커삽입공에 매입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부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상부원기둥부; 및 상기 상부원기둥부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원기둥부가 압착된 상태의 형상인 하부압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압착부에는 상기 하부압착부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면 각각에 일측걸림돌기 및 타측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일측걸림돌기 및 타측걸림돌기는 상기 하부압착부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선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A vehicle guide bar with harden ground fixing force}
본 발명은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선규제봉 중 노면 속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하부를 원기둥이 압착된 형상으로 압착하여 노면에 형성된 앵커삽입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나아가 앵커부 하부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돌출시켜 일단 앵커삽입공에 삽입된 앵커부가 앵커삽입공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못하게 하며, 나아가 앵커부가 회전에 의해 고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걸림돌기를 돌출시켜 일단 앵커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걸림돌기가 앵커삽입공 측면에에 걸려 쉽게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노면에서의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중앙선 침범사고는 불법추월, 과속 및 졸음운전 등 운전자의 부주의와 중앙분리대의 교통안전시설 부족과 시설의 부실에 기인한다.
또한, 야간의 교통사고는 도로의 조명이 적절하지 못할 때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사고는 시선유도의 부재로 인하여 주로 발생한다.
그리고,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야간만 되면, 실종되는 도로차선으로 인해 운전자들은 불편과 위험을 겪고있으며, 특히 비오는 날 등의 악천후 시에는 아예 도로주행 시 가시거리의 확보가 매우 힘들어 대형 교통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는 차로나 중앙선 등 노면차선의 재귀반사기능이 재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야간 조명이 없는 곳에서도 차선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도로에 반사재를 사용해야한다는 경찰청의 "도로안전시설 실무편람" 규정상에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운전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차선이 일정한 기준의 재귀반사 명시도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차선이나 중앙선 등 노면 표시에 이 기준이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시인성 저하를 보완할 목적으로 도로에는 차선표지병과 차선규제봉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선규제봉은 차량흐름을 원활히 하고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중앙선이나 기타 차선에 자동차의 진행이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통 노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세워지는 규제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의 차선규제봉은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차선규제봉이 차량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일부 손상되는 경우 몸체까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34710호에서는 차선규제봉, 봉받침대 및 앵커부를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차선규제봉에 대한 구성요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고정부재를 단순히 앵커삽입공에 삽입시키고 고정부재에 형성된 나사홀에 볼트를 삽입함으로서 차선규제봉을 고정시키는 기술적 특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앵커삽입공에 삽입된 고정부재가 노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를 강화시키는 구성요소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원형 형태 등 단순한 형태의 고정부재가 앵커삽입공 속으로 매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차량의 접촉에 의해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앵커삽입공으로부터 앵커부가 빠져나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봉 하부가 봉 받침대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있어서, 봉받침대 내측에는 봉 하부가 삽입됨에 불구하고 여전히 움직일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이 충분한바, 봉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봉 하부가 움직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봉 하부가 봉받침대 내측에서 쉽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잦은 움직임으로 인하여 봉받침대 내측에서의 파손이 손쉽게 발생되며, 이러한 잦은 파손으로 차선규제봉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앵커삽입공에 매입되는 앵커부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앵커부를 구비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차량바퀴의 잦은 접촉에 의한 측면 충격에도 불구하고 노면의 앵커삽입공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앵커부를 구비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차량바퀴의 접촉에 따라 차선규제봉에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력에 따른 잦은 회전에 의해 앵커삽입공에서의 앵커부가 느슨해지고, 결국 앵커삽입공에서 앵커부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봉 하부가 봉받침대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도 봉 하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봉받침대 또는 봉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반사체(111)가 부착된 봉(110), 상기 봉(110)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이 노면에 접촉되는 봉받침대(150) 및 상기 봉받침대(150)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노면의 앵커삽입공(50)에 매입되는 앵커부(200)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200)는, 상부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상부원기둥부(220); 및 상기 상부원기둥부(220)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원기둥부(220)가 압착된 상태의 형상인 하부압착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압착부(240)에는 상기 하부압착부(240) 수직 중앙선(241)을 기준으로 양측면 각각에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는 상기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선(243)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걸림돌기(242)가 경사진 방향과 상기 타측걸림돌기(244)가 경사진 방향은 상기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선(243)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걸림돌기(242) 및 상기 타측걸림돌기(244) 각각은, 상기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에서 상기 하부압착부(240) 수직 중앙선(24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수평절단된 이후, 수평절단된 일단에서 상기 하부압착부(240)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상기 하부압착부(240) 일부분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압착부(240)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올라갈수록 수평 단면적이 커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부(200)는 상기 상부원기둥부(220) 내측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너트이며, 그리고 상기 일측걸림돌기(242)와 상기 타측걸림돌기(244)는 볼트가 상기 상부원기둥부(2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부(200)는 상기 상부원기둥부(220) 위로 연장된 볼트부(250)가 형성된 앵커볼트이며, 상기 봉받침대(150)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250)가 삽입되는 너트부(160)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일측걸림돌기(242)와 상기 타측걸림돌기(244)는 상기 너트부(160)가 상기 볼트부(250)에 체결되는 회전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부(250)의 상부(252)의 나사산 높이(H)는 상기 볼트부(250)의 하부(254)의 나사산 높이(h)보다 높으며, 그리고 상기 너트부(160)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슬릿(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노면의 앵커삽입공에 삽입되기 쉬운 반면, 앵커삽입공에서 이탈되기 어려운 앵커부를 구비한 바, 노면에서의 봉받침대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바퀴의 잦은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측면 충격에 의해 앵커부가 해체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걸림돌기가 앵커부가 고정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걸림돌기가 앵커삽입공 측면에 걸려 회전될 가능성이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잦은 회전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앵커삽입공에서 앵커부의 느슨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나아가, 앵커부에서의 하부압착부는 말단으로 갈수록 그 수평단면적이 좁아지는 바, 앵커삽입공에 삽입되기 쉽지만, 앵커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려고 할 경우에는 넓어진 수평단면적 부분이 이미 앵커삽입공에 밀착되기 때문에 이탈되기 어려워 앵커부의 고정력이 강화된다.
또한, 봉 하부가 봉받침대 내부에 삽입됨에 있어서, 봉받침대 내측의 홈과 돌출부 그리고 봉 하부의 홈과 돌출부의 결합으로 삽입됨에 따라 봉 하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봉받침대 또는 봉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봉 하부와 봉받침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앵커부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반사체(111)가 부착된 봉(110), 봉(110)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이 노면에 접촉되는 봉받침대(150) 및 봉받침대(150)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노면의 앵커삽입공(50)에 매입되는 앵커부(200)을 포함한다.
반사체(111)는 봉(110) 외주면을 둘러싼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봉(110) 형태는 운전자에게 인식되기 쉬운 형태라면 어느 형태라고 가능함은 물론이다.
봉(110) 하부 양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홈(112) 및 제1홈(112)을 형성하는 일측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1돌출부(113)을 포함한다. 즉, 제1돌출부(113) 형성됨에 따라 제1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봉(110) 하부면 양단이 제1돌출부(113)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양단에 형성된 제1돌출부(113) 일측면과 제1돌출부(113)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봉(110) 하부 내측에는 후술할 한 쌍의 제2수직상단돌출부(156)에 밀착되어 제2수직상단돌출부(156)를 지지할 돌출부지지대(114)가 한 쌍으로 양쪽에 위치된다. 제1돌출부(113)가 봉받침대(150)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제1홈(112)을 형성하는 내측면(봉(110) 하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에 제2수직상단돌출부(156) 일측면이 밀착되었을 때, 돌출부지지대(114)는 제2수직상단돌출부(156) 타측면에 밀착된다.
즉, 제1홈(112)을 형성하는 내측면(봉(110) 하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과 돌출부지지대(114) 사이에 제2수직상단돌출부(156)가 위치된다. 봉(110) 하부가 봉받침대(15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봉(110) 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봉(110) 하부는 봉받침대(150)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앞뒤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봉(110) 하부 뒤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제1홀(115)이 봉(110)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봉받침대(150)에는 봉(110) 하부가 봉받침대(15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홀(115)과 관통되는 제2홀(15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수단이 제1홀(115)과 제2홀(152)을 관통하면서 봉(110) 하부가 봉받침대(150)에 결합된다.
봉받침대(150) 상부 일부분은 봉(110)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봉받침대(150) 상부 내측에는 관통홀(151), 제2홀(152), 제2홈(153), 제2수평돌출부(154),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및 제2수직상단돌출부(15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앵커부(200)는 앵커너트일 수 있다.
관통홀(151)로 후술할 앵커부(500)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관통된다.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홀(151)로 관통된 이후, 후술할 상부원기둥부(220)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봉받침대(150)와 앵커부(200)가 결합된다.
제2홀(15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홀(115)과 관통된다. 볼트 등 체결수단이 제1홀(115)과 제2홀(152)에 관통됨에 따라 봉(110)과 봉받침대(150) 결합된다.
제2홈(153)은 제2수평돌출부(154),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및 제2수직상단돌출부(156)에 의해 형성된다.
제2수평돌출부(154)는 개방된 봉받침대(150) 상부 내측 양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2수평돌출부(154)는 봉(110) 하부가 봉받침대(150)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1홈(112)에 삽입된다.
제2수직하단돌출부(155)는 개방된 봉받침대(150) 상부 내측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수직하단돌출부(155)는 제1돌출부(113) 내측면(봉(110) 하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에 밀착되어 제1돌출부(113)를 지지한다.
제2수평돌출부(154)와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제1돌출부(113)가 삽입되는 제2홈(153) 형성된다.
제2수직상단돌출부(156)는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중 말단 부분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제2수직하단돌출부(155)는 봉받침대(110) 내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말단 일부분에서 위로 연장되어 제2수직상단돌출부(156)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 높이가 높아진다. 제2수직상단돌출부(155)의 높이와 제2수평돌출부(154)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봉(110) 하부가 봉받침대(150)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 중, 제1돌출부(113)가 제2수직하단돌출부(155)에 밀착되면서 제2홈(153)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제2수평돌출부(154)는 제1홈(112)에 삽입된다. 봉(110) 하부가 봉받침대(15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돌출부(113)의 높이는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높이에 상응한다.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에서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말단 부분에서 제2수직상단돌출부(155)가 제1홈(112)을 형성하는 내측면(봉(110) 하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에 밀착된다. 제2수직하단돌출부(155) 말단 부분에서 삽입되는 과정에 더 큰 힘이 필요하지만, 일단 삽입이 완료되면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더 큰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정력이 강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지지대(114)가 제2수직상단돌출부(156)에 밀착되어 제2수직상단돌출부(156)를 지지한다. 결국 제2수직상단돌출부(156)가 돌출부지지대(114)와 제1홈(112)을 형성하는 내측면(봉(110) 하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봉받침대(150) 내측에서 봉(110) 하부의 고정력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봉(110)과 봉받침대(150)의 결합은 제1홀(115)과 제2홀(152)를 관통하는 체결수단, 제2홈(153)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113), 제1홈(112)에 삽입되는 제2수평돌출부(154)에 의해 이루어진다.
앵커부(200) 상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됨에 따라 봉받침대(150)와 앵커부(200)가 결합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앵커부(200)는 상부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상부원기둥부(220) 및 상부원기둥부(220)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원기둥부(220)가 압착된 상태의 형상인 하부압착부(2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부원기둥부(220)의 직경 길이보다 하부압착부(240)의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 길이가 더 길다.
상부원기둥부(220)의 외측 직경은 앵커삽입공(50)의 내측 직경에 상응한다. 즉, 상부원기둥부(220)가 앵커삽입공(50)에 삽입된 경우, 상부원기둥부(220) 외측면이 앵커삽입공(50)의 내측면에 밀착될 정도로 상부원기둥부(220)의 외측 직경은 앵커삽입공(50)의 내측 직경에 상응한다. 앵커삽입공(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부(200)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부(200)의 하부압착부(240)는 상부원기둥부(220)이 압착된 형상인바 그 수평 길이가 상부원기둥(220)의 직경보다 더 길다.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앵커부(200)가 앵커삽입공(50) 내측으로 삽입되지만, 일단 삽입된 상태에서는 하부압착부(240)의 양측면이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더욱 밀착(또는 앵커삽입공(50) 내측면으로 일정 깊이 파고 들어갈 수도 있음)되어 있기 때문에 앵커부(200)를 앵커삽입공(5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종래 기술보다 더 많은 충격과 더 큰 충격이 필요하다. 따라서, 앵커삽입공(50)에 내측에서 앵커부(200)의 고정력이 강화된다.
나아가, 하부압착부(240)에는 하부압착부(240) 수직 중앙선(241)을 기준으로 양측면 각각에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가 형성된 하부압착부(240)가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일정 깊이로 앵커삽입공(50) 내측면을 파고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봉받침대(150)에 잦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하부압축부(240)의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에 의해 앵커삽입공(50)에서 앵커부(200)가 이탈되지 않는다.
나아가,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는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선(243)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가 하부압착부(240) 전면부 또는 후면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가 위치된 상태에서 앵커부(200)가 앵커삽입공(5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질 필요가 있지만, 일단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평 길이가 상부원기둥부(220)의 직경보다 긴 하부압착부(240)와,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압착부(240) 전면부 또는 후면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는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에 의해 앵커삽입공(5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부(200)의 고정력은 훨씬 증가됨은 물론이다.
나아가, 일측걸림돌기(242)가 경사진 방향과 타측걸림돌기(244)가 경사진 방향은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선(243)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일 수 있다.
앵커삽입공(50)에 삽입된 상태에서, 봉받침대(15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앵커부(2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하부압착부(24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양쪽으로 돌출된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에 의해 균형적으로 저지되기 때문에 앵커삽입공(50) 내측에서 앵커부(200)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하부압착부(240)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가 경사진 상태로 위치된다면, 충격이 일정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만 효과적일 뿐 다양한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또는 저지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고정력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향에서 봉받침대(15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충격으로 봉받침대(150)에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는데, 봉받침대(150)에 연결된 앵커부(200)에 회전력이 전달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부압착부(24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양쪽으로 각각 돌출된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에 의해 이러한 외력을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는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에서 하부압착부(240) 수직 중앙선(24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절단된 이후, 수평절단된 일단에서 하부압착부(240)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하부압착부(240) 일부분이 경사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자재가 하부압착부(240)에 결합된 경우, 그 결합력이 앵커부(200)의 고정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 그리고 앵커부(200) 제조와 동시에 이러한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생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부원기둥부(220)를 압착한 형상인 하부압착부(240) 중에 양측면 일부분을 절단하여 이러한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를 형성함이 제조측면에서 비용 효율적이며, 앵커부(200) 자체 재질에 따라 앵커부(200)의 고정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앵커부(200)의 재질이 강철인 경우, 그 고정력은 합성수지 등보다 더욱 강화될 것이다.
나아가, 하부압착부(240)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올라갈수록 하부압착부(240)의 수평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앵커부(200)를 앵커삽입공(500)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함이며, 일단 삽입된 상태에서는 하부압착부(240) 하단에서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이 앵커삽입공(500)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나아가 앵커삽입공(500) 내측면에 일정한 깊이로 파고 들어간 상태인바, 앵커부(200)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앵커부(200)는 앵커너트일 수 있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앵커부(200)는 상부원기둥부(220) 내측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는 볼트가 앵커너트인 앵커부(200)의 상부원기둥부(2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볼트 체결과정 중 볼트에 외력 가해지는 경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앵커너트인 앵커부(200)에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력이 전달됨은 물론이다. 볼트가 체결되는 과정은 용이해야 하며, 일단 볼트가 체결된 이후에는 앵커볼트(200)가 볼트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가 볼트 체결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돌출되어 있는바, 볼트 체결시 이러한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가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일단 볼트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앵커부(200)가 볼트 체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러한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가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걸리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잦은 충격에 의한 회전력 전달로 앵커부(200)가 앵커삽입공(50)에서 움직일 수 있는데, 이러한 움직일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하여 앵커부(200)의 고정력이 강화된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봉(110), 봉받침대(150), 앵커부(200)에서 상부원기둥부(220) 및 하부압착부(24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실시예에 추가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 앵커부(200)는 상부원기둥부(220) 위로 연장된 볼트부(250)가 형성된 앵커볼트이며, 봉받침대(150) 하부에는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너트부(160)가 위치되어 볼트부(250)가 삽입된다. 삽입된 볼트부(250)는 너트부(160)을 관통하여 상술한 봉받침대(150)에 형성된 관통홀(15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너트부(160)는 봉받침대(150)에 형성된 관통홀(151)과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는 너트부(160)가 볼트부(250)에 체결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방향으로 돌출된다.
볼트부(250)와 너트부(160)의 체결시, 일정한 힘에 의해 너트부(160)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너트부(160)에 체결되는 볼트부(250)에도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짐은 물론이다.
너트부(160)가 볼트부(250)에 체결되는 과정은 용이해야 하며, 일단 너트부(160)와 볼트부(250)가 체결된 이후에는 앵커볼트(200)가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가 체결되는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바, 체결시 이러한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가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일단 너트부(160)와 볼트부(25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앵커부(200)가 체결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러한 일측걸림돌기(242)와 타측걸림돌기(244)가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걸리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볼트부(250)의 상부(252) 나사산 높이(H)는 볼트부(250)의 하부(254) 나사산 높이(h)보다 높으며, 너트부(160)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슬릿(162)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160) 내측 원주면에는 높이가 동일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너트부(160)가 볼트부(250)로 회전되면서 삽입된다. 볼트부 상부(252)의 나사산 높이는 너트부(160)의 나사산 높이에 상응한바, 너트부(160)와 볼트부(250)의 체결이 원할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볼트부 상부(252)가 너트부(160)에 삽입된 이후, 볼트부 하부(254)가 너트부(160)로 삽입되는 경우 볼트부 하부(254) 나사산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볼트부 상부(252)와 상응한 높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160)가 외측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볼트부 하부(254)가 너트부(160) 회전으로 체결되는 경우, 너트부(160)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바, 너트부(160)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162) 때문에 너트부(160) 하부는 슬릿(162)이 벌어지면서 외측으로 확장된다. 이때, 외측으로 확장되는 너트부(160) 하부는 앵커삽입공(50)에 더욱 밀착되고, 이에 따라 앵커부(200)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된다.
결국, 너트부(160)의 회전으로 너트부(160)와 볼트부(250)가 결합된 경우, 너트부(160) 하부는 일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앵커삽입공(50) 내측면에 일정한 깊이만큼 파고 들어간 상태인바, 앵커부(200)의 고정력이 강화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앵커삽입공
110: 봉
111: 반사체
112: 제1홈
113: 제1돌출부
114: 돌출부지지대
115: 제1홀
150: 봉받침대
151: 관통홀
152: 제2홀
153: 제2홈
154: 제2수평돌출부
155: 제2수직하단돌출부
156: 제2수직상단돌출부
160: 너트부
162: 슬릿
200: 앵커부
220: 상부원기둥부
240: 하부압착부
241: 수직 중앙선
242: 일측걸림돌기
243: 수평선
244: 타특걸림돌기
250: 볼트부
252: 볼트부 상부
254: 볼트부 하부

Claims (7)

  1. 반사체(111)가 부착된 봉(110), 상기 봉(110)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면이 노면에 접촉되는 봉받침대(150) 및 상기 봉받침대(150)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노면의 앵커삽입공(50)에 매입되는 앵커부(200)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200)는,
    상부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상부원기둥부(220); 및
    상기 상부원기둥부(220)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원기둥부(220)가 압착된 상태의 형상인 하부압착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압착부(240)에는 상기 하부압착부(240) 수직 중앙선(241)을 기준으로 양측면 각각에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걸림돌기(242) 및 타측걸림돌기(244)는 상기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선(243)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일측걸림돌기(242) 및 상기 타측걸림돌기(244) 각각은, 상기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에서 상기 하부압착부(240) 수직 중앙선(24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수평절단된 이후, 수평절단된 일단에서 상기 하부압착부(240)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상기 하부압착부(240) 일부분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차선규제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걸림돌기(242)가 경사진 방향과 상기 타측걸림돌기(244)가 경사진 방향은 상기 하부압착부(240) 양측면을 연결한 수평선(243)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인 차선규제봉.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압착부(240)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올라갈수록 수평 단면적이 커지는 차선규제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200)는 상기 상부원기둥부(220) 내측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너트이며, 그리고
    상기 일측걸림돌기(242)와 상기 타측걸림돌기(244)는 볼트가 상기 상부원기둥부(2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차선규제봉.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200)는 상기 상부원기둥부(220) 위로 연장된 볼트부(250)가 형성된 앵커볼트이며,
    상기 봉받침대(150)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250)가 삽입되는 너트부(160)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일측걸림돌기(242)와 상기 타측걸림돌기(244)는 상기 너트부(160)가 상기 볼트부(250)에 체결되는 회전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차선규제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250)의 상부(252)의 나사산 높이(H)는 상기 볼트부(250)의 하부(254)의 나사산 높이(h)보다 높으며, 그리고
    상기 너트부(160)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슬릿(162)이 형성된 차선규제봉.
KR1020170050462A 2017-04-19 2017-04-19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 KR10177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462A KR101774989B1 (ko) 2017-04-19 2017-04-19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462A KR101774989B1 (ko) 2017-04-19 2017-04-19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989B1 true KR101774989B1 (ko) 2017-09-05

Family

ID=5992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462A KR101774989B1 (ko) 2017-04-19 2017-04-19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812B1 (ko) 2020-10-07 2021-03-05 (주)이도산업 탄성 기둥의 하부 고정구조
KR20220050411A (ko) 2020-10-16 2022-04-25 한국씨엘지 주식회사 볼트 비노출형 차선규제봉
GB2606564A (en) * 2021-05-13 2022-11-16 Byron Turner Frederick Mounting system for a demountable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213A (ja) * 2000-09-29 2002-04-10 Nippon Kokan Light Steel Kk 打ち込み用支柱
KR200434710Y1 (ko) * 2006-09-29 2006-12-28 박경아 차선규제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213A (ja) * 2000-09-29 2002-04-10 Nippon Kokan Light Steel Kk 打ち込み用支柱
KR200434710Y1 (ko) * 2006-09-29 2006-12-28 박경아 차선규제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812B1 (ko) 2020-10-07 2021-03-05 (주)이도산업 탄성 기둥의 하부 고정구조
KR20220050411A (ko) 2020-10-16 2022-04-25 한국씨엘지 주식회사 볼트 비노출형 차선규제봉
GB2606564A (en) * 2021-05-13 2022-11-16 Byron Turner Frederick Mounting system for a demountabl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989B1 (ko)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차선규제봉
KR101906710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KR101856842B1 (ko)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AU2010279851B2 (en) Separable lane-control bollard assembly
KR200359983Y1 (ko)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US9580877B2 (en) Delineator post having restoration function
KR20220050411A (ko) 볼트 비노출형 차선규제봉
US20080019771A1 (en) Bumping post block and anchor holder and hole cap used for the same and bumping post
KR20150030521A (ko) 파손방지 차선규제봉
KR100475463B1 (ko) 도로 표지병
KR100758547B1 (ko) 도로시설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295130B1 (ko) 도로용 반사 델리네이터
KR200492524Y1 (ko) 반사판 디스크를 포함하는 차선 분리대
KR101948308B1 (ko)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KR101774987B1 (ko)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도로표지병
KR200401228Y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CN106585711B (zh) 油壶固定结构
KR200441854Y1 (ko) 전도방지용 라바콘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200391883Y1 (ko) 차선규제블록
KR101832618B1 (ko) 오뚜기 기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20160091558A (ko) 차선 규제봉 및 그 활용방법
KR101748869B1 (ko) 차선구분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