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333B1 -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333B1
KR101774333B1 KR1020170031767A KR20170031767A KR101774333B1 KR 101774333 B1 KR101774333 B1 KR 101774333B1 KR 1020170031767 A KR1020170031767 A KR 1020170031767A KR 20170031767 A KR20170031767 A KR 20170031767A KR 101774333 B1 KR101774333 B1 KR 10177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bedding
edge
compartm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비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비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비앤에프
Priority to KR102017003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333B1/ko
Priority to PCT/KR2018/001789 priority patent/WO2018169214A1/ko
Priority to CN201880000635.8A priority patent/CN108883926A/zh
Priority to US16/071,706 priority patent/US2020004614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0Finishing of 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2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fixing, or finishing, in upholstery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Abstract

다운 침구의 격벽을 특유의 격벽체로 무봉제 형성하고 침구의 엣지부를 특수한 구조로 마감함으로써, 침구 제작 공정이 매우 간소화되어, 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음은 물론, 엣지 부분으로 우모(다운)가 빠져 나오는 현상이 없게 되어 사용상 품질이 매우 높아지는 무봉제 다운 침구에 관한 발명.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원단과 하원단이 내부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침구 외피와, 상기 내부 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나누어 각 구획공간의 내부에 다운이 충전되되, 구획공간 간의 공기소통은 가능케 하나 다운의 이동은 억제하는 격벽체와, 침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각 구획공간 내의 다운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엣지마감부를 포함하는 무봉제 다운 침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Non-sewing down bed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오리털, 거위털 등의 우모(다운)가 충전되는 이불, 요, 베개, 방석, 깔개 등의 침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봉제 부분을 최소화한 무봉제 다운 침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작된 다운 침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면화 솜이나 화학 솜이 채워진 이불, 요, 베개, 방석, 깔개 등의 침구에서 발전된 형태로 가볍고 보온성이 우수한 우모 침구 또는 다른 말로 구스다운 또는 덕다운 침구(이하, '다운 침구(down beddings)')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외피 원단 내부에 채운 솜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피에 넓게 솜을 채운 후에 다수의 구획 공간이 생기도록 가로, 세로로 격벽을 박음질 등 봉제하여 이불을 제작하였고, 이는 비교적 손쉬운 작업이었다. 그러나 다운 침구에서는 외피 내부에 거위털이나 오리털 등의 우모(다운)를 충전하여 제작하는데, 이들 우모는 기존의 솜에 비해 서로 간에 흩어지는 성질이 강해서 외피 내부에서 한쪽으로 뭉치거나 쏠리는 현상이 더 강하며 무게 대비 부피가 크고 우모의 한 올 한 올이 독립적으로 보온 소재의 역할을 하므로 외피에 충전한 후 전체적으로 격벽을 봉제하여 구획 공간을 형성해서 제작하는 것이 상품성 측면에서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다운 침구 제작시에 외피에 우모를 충전하기 전에 외피에 가로 세로로 봉제를 하여 다수의 구획 공간을 만들어 놓고 매 구획 공간마다 일일히 우모를 채우는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다운 침구는 그 사용 중에 봉제 부분의 바늘땀이 넓혀지거나 벌어지고 내부의 우모가 작아지면서 바늘땀 구멍으로 우모가 빠져 나오는 일이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
이렇게 침구 제작시 다수의 구획 공간을 만드는 작업, 매 구획 공간마다 별도로 우모를 충전해야 하는 작업, 그리고 제작 후에 내부 충전된 우모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 등이 필요해 다운 침구 제작시에는 원가가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사용상 품질보증 요건이 까다로워진다.
한편, 다운 침구 내부에 우모를 충전하는 단계에서는, 컴프레서에 의해 발생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우모 컨테이너에 채워져 유통되는 우모를 주입봉을 통해 고압 공기로 분출시켜서 침구 속에 주입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고일자 2014년 5월 28일, 등록번호 10-1400135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고일자 2014년 7월 9일, 등록번호 10-1417653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다운 침구의 제작시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새로운 자재와 새로운 공정 단계를 적용하여 무봉제 다운 침구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무봉제 다운 침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상원단과 하원단이 내부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침구 외피와, 상기 내부 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나누어 각 구획공간의 내부에 다운이 충전되되, 구획공간 간의 공기소통은 가능케 하나 다운(우모)의 이동은 억제하는 격벽체와, 침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각 구획공간 내의 다운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엣지마감부를 포함하는 무봉제 다운 침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체는, 공기는 통과하나 다운은 통과하지 않는 폭 W의 망사천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봉제 접합되는 W/2보다 작은 폭의 제1 및 제2 단면접착 테이프 - 그 접착면이 망사천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봉제 접합되고, 망사천의 길이 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열 프레스에 의해 접혀서 망사천의 폭 W보다 작은 실질 폭 We로 상기 단면접착 테이프가 접합되지 않는 망사천 부분이 남게 된다. 이렇게 길이 방향으로 접힌 망사천에 봉제된 상기 단면접착 테이프의 각 접착면이 각각 상기 상원단과 하원단에 접착되어, 구획공간의 부피를 최대한 넓히고 공기소통이 잘 되도록 하면서도 거위털은 구획공간을 넘어 다니지 말도록 하는 구조를 실현한다.
상기 격벽체의 교차부는, 폭 W의 망사천을 길이 방향으로 접은 후의 폭인 W/2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절개부(37)가 격벽체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추가로 형성되고, 이 절개부(37)에 별도의 격벽체가 삽입되어 교차부를 이룬다.
또한, 상기 엣지마감부는, 상기 상원단과 하원단 사이에 삽입되어 프레스로 가열하여 접착되는 열용융 보강테이프와, 상원단과 하원단의 겉면을 감싸서 봉제되되, 길이 방향의 대향변 양쪽을 안으로 집어넣어 상원단과 하원단과 접촉되는 시접이 형성된 상태에서 봉제되는 라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구조로 된 무봉제 다운 침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진행된다.
1. 공기는 통과하나 다운은 통과하지 않는 폭 W의 망사천(29)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W/2보다 작은 폭의 제1 및 제2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를 그 접착면(33a, 33b)이 망사천(29)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봉제 접합하는 절차와, 망사천(29)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3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열 프레스에 의해 접는 절차를 포함하는 격벽체 제작 단계,
2. 철제 작업대 위에 하원단을 깔고 하원단 위에 상기 제작된 격벽체를 종·횡으로 배열하여 구획공간의 형성을 준비하는 단계,
3. 하원단의 엣지부에 열용융 보강테이프를 두른 뒤에 상원단을 덮는 단계,
4. 상기 격벽체의 접착테이프와 엣지부의 열용융 보강테이프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원단 및 하원단에 접착시키되, 엣지부의 열용융 보강테이프는 전체를 프레스로 누르지 않고 각 구획공간에 다운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창 부분은 남겨 놓는 단계,
5. 상원단과 하원단 사이에 접착된 열용융 보강테이프가 포함된 엣지 부분의 상원단 및 하원단을 모두 감싸도록 라이너로 감싸서 엣지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라이너를 길이 방향의 대향변 양쪽을 안으로 집어넣어 상원단과 하원단과 접촉되는 시접을 만든 상태에서 봉제하되, 엣지부 전체를 봉제하지 않고 각 구획공간에 다운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창 부분은 남겨 놓는 단계,
6. 남겨 둔 주입창으로 주입봉을 넣어서 상기 격벽체로 나뉘어진 각 구획공간마다 다운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7. 다운 충전 후에 각 주입창을 막기 위하여 프레스를 찍어서 열용융 보강테이프를 용융시키고 라이너 봉제를 완료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앞에서 언급한 격벽체의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그리고 엣지마감부의 구조 및 그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이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할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운 침구의 격벽을 특유의 격벽체로 무봉제 형성하고 침구의 엣지부를 특수한 구조로 마감함으로써, 침구 제작 공정이 매우 간소화되어, 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음은 물론, 엣지 부분으로 우모(다운)가 빠져 나오는 현상이 없게 되어 사용상 품질이 매우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위털 이불(100)의 전체 구조
도 2는 도 1에 표시한 A-A부 절개 단면도
도 3은 격벽을 구성하는 격벽체(25)
도 4는 격벽체(25)의 작용 설명도
도 5는 격벽체(25)의 교차부
도 6은 도 1의 엣지마감부(17)
도 7~9는 무봉제 거위털 이불의 제조방법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로, 무봉제 거위털 이불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위털 이불(100)의 전체 구조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한 A-A부 절개 단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이불(100)은 상원단(도 2의 19), 하원단(도 2의 21)이 내부 공간을 이루도록 외피를 형성하고 있다. 이불(100)에는 종격벽(11)과 횡격벽(13)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구획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 각 구획공간(15)의 내부에는 독립적으로 털주입봉(도시하지 않음)으로 거위털(23)을 주입하여 충전한다. 이불(100)의 네 변 가장자리에는 엣지마감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A-A 단면도를 참고하면, (a) 및 (b)에서 상원단(19), 하원단(21), 구획공간(15), 격벽(특히, 횡격벽 13), 거위털(23)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격벽(11, 13)은 구조적으로 상원단(19)과 하원단(21)이 완전히 붙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격벽(11, 13)은 구획공간(15)끼리 완전히 단절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상원단(19)과 하원단(21)이 완전히 붙어 있으면 구획공간(15)끼리의 공기 소통이 안 될 뿐만 아니라, 격벽(11, 13)에 의해 이불이 얇아져 구획공간(15)의 내부 부피가 작고 거위털 이불로서의 기능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구획공간(15)의 부피를 최대한 넓히고 공기소통이 잘 되도록, 그러나 거위털은 구획공간(15)을 넘어 다니지 말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도 2의 (b)와 같이 나타내었다. 즉, 상원단(19)과 하원단(21) 사이의 격벽(도 2에서는 13)을 특수한 구조의 격벽체(25)로 구현하되, 이 격벽체(25)는 공기 소통(27)은 원활하게 그러나 거위털(23)은 이동하지 않도록, 그리고 각 구획공간(15)이 최대한 넓어지는 구조로 제작한다.
도 3의 (a), (b), (c)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격벽을 구성하는 격벽체(25)를 나타낸다.
(a)에서와 같이 폭 W(= 약 4cm)의 망사천(29)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폭 약 1cm의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를 접합한다. 접합시에는 각 접착 테이프(31a, 31b)의 접착면(33a, 33b)이 망사천(29)의 반대쪽으로 가도록 접합한다. 접합은 박음질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박음질에 의한 접합 결과, (b)와 같은 격벽체(25)가 완성된다. 여기서 망사천(29)의 양쪽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가 박음질에 의해 접합된 바늘땀(34a, 34b)을 볼 수 있다. 망사천(29)의 길이 방향으로 표시한 중심선(35)은 길이 방향으로 망사천을 접을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선으로서 (c)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b)에서 망사천의 폭 W 이외에,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가 접합되지 않고 남아있는 망사천 부분으로서 상원단(19)과 하원단(21)의 최대 벌어짐 폭을 의미하는 실질 폭 We를 정의하기로 한다.
도 3의 (c)는 망사천(29)의 길이 방향 중심선(3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접은 후의 격벽체(25)를 나타낸다. 접는 방식은 다양한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용이하게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접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프레스에 의해 접힌 후에 대략 접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성질의 재료로 망사천 원자재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롤 형태로 판매되는 일명 '75/20 스미스깡수지'의 망사천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는 직물의 무봉제 접합에 사용되는 제품명 'SEAM TAPE(WPS2)'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c)에 나타낸 것이 최종적인 격벽체(25)의 완성 상태이지만, 실제적인 격벽체(25) 제작 공정은 도 3의 (a)~(c) 순서를 따르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를 접합하기 전에 망사천(29)을 중심선(3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접는 작업을 먼저 할 수 있다. 즉, 납품된 롤에서 풀어놓은 망사천(29)을 속칭 랍빠(박음질시 재단된 원단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부속)를 통하여 접힌 상태로 롤러 프레스를 통과시켜 반으로 접은 후에, 접힌 망사천(29)과 두 개의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를 랍빠를 통해 동시에 자동미싱에서 박음질할 수 있다. 그 밖에 당업계에서 사용가능한 다양한 장비에 의해서 다양한 공정으로 격벽체(25)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격벽체(2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격벽체(25)는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방향, 하방향을 향해 반대로 배치된 접착면(33a, 33b)이 각각 상원단(19)과 하원단(21)에 접착되어 도 1에 나타낸 격벽(11, 13)을 형성하도록 제작된다.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의 접착면(33a, 33b)과 상원단(19), 하원단(21)과의 접착은 가령 열 프레스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이는 도 2의 (a)와 같이 상원단(19)과 하원단(21)이 가깝게 근접해 있는 상황의 격벽체(25)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b)는 도 2의 (b)와 같이 상원단(19)과 하원단(21)이 멀어져서 구획공간(15)이 넓어지고 있는 순간의 격벽체(25)의 형상을 나타낸다.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의 상향 및 하향 접착면(33a, 33b)이 각각 상원단(19)과 하원단(21)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원래 폭 W의 망사천(29)보다 좁게 각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의 폭만큼 좁아진 망사천의 실질 폭 We의 1/2만큼 위로, 아래로 벌어지는 중임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27번은 망사천(29)을 통해 공기 소통이 이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거위털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도 4의 (c)는 격벽체(25)가 최대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실질 폭 We만큼 망사천(29)이 펼쳐져서 상원단(19)과 하원단(21)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이다.
도 5는 격벽체(25)의 교차부를 나타낸다. 종격벽(11)과 횡격벽(13)이 교차하는 지점에서도 다른 지점과 동일한 효과를 얻어야 한다. 즉, 공기소통이 되고 거위털 이동이 있어서는 안 되며 구획공간(15)의 확장 작용이 있어야 한다. 아울러 이불 완제품의 외관에서 볼 때에도 이 교차부분이 비상하게 두꺼워지면 안 될 것이다.
격벽체(25)의 교차부 처리는 대략 W/2(즉, 폭 W의 망사천을 길이로 접은 후의 폭)의 길이를 갖는(또는 약간 더 길어도 됨) 절개부(37)를 종격벽(11) 또는 횡격벽(13) 중 어느 하나의 격벽체(25)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형성하고, 이 절개부(37)에 다른 격벽체(25)를 삽입한다. 망사천이 유연한 천 재질이기 때문에 절개부(37)의 길이가 대략 W/2이거나 약간 더 길다면 절개부(37)의 폭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도 5와 같이 한 격벽체(25)의 절개부(37)를 통해 다른 격벽체(25)를 교차시킨 후에 절개부(37)의 양끝쪽 틈(38a, 38b)에 거위털 주입봉(도시하지 않음)을 각각 삽입하여 해당 방향의 구획공간(15)에 거위털을 충전한다.
도 6은 도 1의 엣지마감부(17)의 구조이다.
이불의 사용 연한이 늘어남에 따라 바늘땀을 통해 거위털이 빠져나오는 일이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불(100)의 가장자리 엣지 주변을 견고하게 마감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도 6과 같은 구조로 엣지마감부(17)를 형성한다. 열에 의해 녹아서 조직 속으로 흡수되는 성질의 열용융 보강테이프(39)를 상원단(19)과 하원단(21) 사이에 넣고 프레스로 가열하여 접착시키고 겉면을 별도의 라이너(41)로 감싸서 박음질한다. 이 때 라이너(41)는 길이 방향의 대향변 양쪽을 안으로 집어넣어 시접(43a, 43b)을 만든 상태에서 박음질한다. 도 6의 (a)와 (b)에서 상원단(19), 하원단(21), 열용융 보강테이프(39), 라이너의 양변 시접(43a, 43b)이 한 번에 박음질된 봉제선(45)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열용융 보강테이프는 'Magician Web Adhesive'라고 부르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 제품은 바지 밑단 가공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대략 폭 1.2cm이다. 또한, 라이너(41)로는 직물 또는 비직물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위사·경사 방향이 사선으로 재단되어 말려진 원단을 라이너(41)로 사용하였다.
이하, 도 7~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봉제 거위털 이불의 제조방법의 한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자재의 선가공을 한다. 선가공의 대상은 도 3의 격벽체(25)인데, 필요하다면 상원단(19)과 하원단(21)의 각각을 연폭박음질하는 것도 포함된다. 물론 연폭박음질이 필요없는 원단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예외이다. 또한, 격벽체(25)의 교차부 절개부(37) 형성도 선가공 중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격벽체 교차부 절개부(37)의 위치는 격벽의 사전 설계에 따라 설정된다.
격벽체(25) 등의 선가공을 해 둔 상태에서, 철제 작업대(47) 위에 (연폭된 또는 일체의) 하원단(21)을 깔고 주변부를 자석(49)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하원단(21) 위에 선가공한 격벽체(25)를 종·횡으로 배열하여 종격벽(도 1의 11)과 횡격벽(도 1의 13)의 형성을 준비한다. 여기까지의 공정을 도 7에 예시하였다.
격벽체(25)를 각 위치에 자리잡은 다음에 테두리(엣지) 위치에 열용융 보강테이프(39)를 두른 뒤에, 자석(49)으로 각 테이프의 양끝과 테두리를 고정시킨 후 최종적으로 상원단(19)을 덮는다. 도 8은 상원단(19)을 덮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원단(19)을 덮은 후에 자석(49)을 제거하고 격벽체(25)의 접착테이프(도 3, 4의 31a, 31b)와 엣지마감부(도 1의 17)의 열용융 보강테이프(도 6의 39)에 다림질을 하여 위치를 고정해 놓은 후에 프레스를 찍어서 상원단(19) 및 하원단(21)을 완전 접착시킨다. 단, 이때에 엣지부의 열용융 보강테이프는 전체를 프레스로 누르는 것이 아니라 각 구획공간(15)에 거위털을 주입하기 위해 주입봉(도시하지 않음)이 들어가야 하는 주입창(도 9의 51) 부분은 남겨 놓아야 한다. 도 9에 주입창(51)에 대해서 표시해 놓았다.
그 다음에 소정 폭(예를 들어 2.5cm)의 라이너(도 6의 41)로 엣지 부분을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봉제하여 엣지마감부(도 1의 17)를 형성한다. 라이너의 봉제시에는 예를 들어 1/16인치 스티치 랍빠 봉제를 활용할 수 있다. 단, 이때에도 거위털 주입창(51) 부분은 남겨 놓고 봉제해야 한다.
남겨 둔 주입창(51)으로 주입봉을 넣어서 격벽으로 나뉘어진 각 구획공간(15)마다 전자저울로 측량된 일정량의 거위털을 주입하여 충전한다. 각 구획공간(15)으로의 주입봉 삽입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격벽체(25) 교차부의 절개부(37)의 양끝 틈(38a, 38b)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거위털을 충전한 후에 각 주입창(51) 부분을 막기 위하여 프레스를 찍어서 열용융 보강테이프(도 6의 39)를 용융시키고 라이너(41)를 도 6과 같이 마감 봉제하여 본 발명의 이불을 최종 완성한다.
거위털 이불(100), 상원단(19), 하원단(21), 종격벽(11), 횡격벽(13), 구획공간(15), 거위털(23), 엣지마감부(17), 격벽체(25), 공기소통(27), 망사천(29), 접착 테이프(31a, 31b), 접착면(33a, 33b), 바늘땀(34a, 34b), 중심선(35), 절개부(37), 틈(38a, 38b), 보강테이프(39), 라이너(41), 시접(43a, 43b), 봉제선(45), 철제 작업대(47), 자석(49), 주입창(51)

Claims (7)

  1. 상원단과 하원단이 내부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침구 외피와,
    상기 내부 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나누어 각 구획공간의 내부에 다운이 충전되되, 각 구획공간 간의 공기소통은 가능케 하나 다운의 이동은 억제하는 격벽체와,
    침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각 구획공간 내의 다운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엣지마감부를 포함하는 다운 침구에 있어서,
    상기 격벽체는, 공기는 통과하나 다운은 통과하지 않는 폭 W의 망사천(29)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봉제 접합되는 W/2보다 작은 폭의 제1 및 제2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와, 망사천(29)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3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열 프레스에 의해 접혀서 망사천의 폭 W보다 작은 실질 폭 We로 상기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가 접합되지 않고 남게 되는 망사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열 프레스에 의해 접힌 망사천(29)에 봉제된 상기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의 각 접착면(33a, 33b)은 망사천(29)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봉제 접합되어 각각 상기 상원단과 하원단에 접착되고,
    상기 엣지마감부는, 상기 상원단과 하원단 사이에 삽입되어 프레스로 가열하여 접착되는 열용융 보강테이프(39)와, 상원단 및 하원단의 겉면을 감싸서 봉제되되, 길이 방향의 대향변 양쪽을 안으로 집어넣어 상원단과 하원단과 접촉되는 시접(43a, 43b)이 형성된 상태에서 봉제되는 라이너(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다운 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체는
    폭 W의 망사천을 길이 방향으로 접은 후의 폭인 W/2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절개부(37)가 격벽체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추가로 포함되고, 이 절개부(37)에 별도의 격벽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다운 침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무봉제 다운 침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공기는 통과하나 다운은 통과하지 않는 폭 W의 망사천(29)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W/2보다 작은 폭의 제1 및 제2 단면접착 테이프(31a, 31b)를 그 접착면(33a, 33b)이 망사천(29)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봉제 접합하는 절차와, 망사천(29)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3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열 프레스에 의해 접는 절차를 포함하는 격벽체 제작 단계,
    철제 작업대 위에 하원단을 깔고 하원단 위에 상기 제작된 격벽체를 종·횡으로 배열하여 구획공간의 형성을 준비하는 단계,
    하원단의 엣지부에 열용융 보강테이프를 두른 뒤에 상원단을 덮는 단계,
    상기 격벽체의 접착테이프와 엣지부의 열용융 보강테이프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원단 및 하원단에 접착시키되, 엣지부의 열용융 보강테이프는 전체를 프레스로 누르지 않고 각 구획공간에 다운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창 부분은 남겨 놓는 단계,
    상원단과 하원단 사이에 접착된 열용융 보강테이프가 포함된 엣지 부분의 상원단 및 하원단을 모두 감싸도록 라이너로 감싸서 엣지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라이너를 길이 방향의 대향변 양쪽을 안으로 집어넣어 상원단과 하원단과 접촉되는 시접을 만든 상태에서 봉제하되, 엣지부 전체를 봉제하지 않고 각 구획공간에 다운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창 부분은 남겨 놓는 단계,
    남겨 둔 주입창으로 주입봉을 넣어서 상기 격벽체로 나뉘어진 각 구획공간마다 다운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다운 충전 후에 각 주입창을 막기 위하여 프레스를 찍어서 열용융 보강테이프를 용융시키고 라이너 봉제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봉제 다운 침구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70031767A 2017-03-14 2017-03-14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KR10177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767A KR101774333B1 (ko) 2017-03-14 2017-03-14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PCT/KR2018/001789 WO2018169214A1 (ko) 2017-03-14 2018-02-12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CN201880000635.8A CN108883926A (zh) 2017-03-14 2018-02-12 无缝制羽绒床上用品及制作方法
US16/071,706 US20200046149A1 (en) 2017-03-14 2018-02-12 Non-sewn down bed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767A KR101774333B1 (ko) 2017-03-14 2017-03-14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333B1 true KR101774333B1 (ko) 2017-09-04

Family

ID=5992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767A KR101774333B1 (ko) 2017-03-14 2017-03-14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46149A1 (ko)
KR (1) KR101774333B1 (ko)
CN (1) CN108883926A (ko)
WO (1) WO201816921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455B1 (ko) 2018-08-30 2019-03-22 바스티안 로쉐크 3차원 우모 이불
CN110352025A (zh) * 2018-02-07 2019-10-18 梅德1994有限责任公司 改进的盖布和/或床上用品的手工制品
WO2020054894A1 (ko) * 2018-09-14 2020-03-19 이재일 사용자기반 다운 침구류 주문 제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00136204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대원비앤에프 침구용 격벽체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3271822A (zh) * 2018-11-05 2021-08-17 梅德1994有限责任公司 组合式休息用结构
KR102386001B1 (ko) 2021-11-15 2022-04-14 주식회사 나래데코 침구용 격벽 제조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2097S1 (en) * 2015-05-20 2021-06-15 Sysco Guest Supply, Llc Duvet
CN114711493B (zh) * 2022-05-17 2023-07-28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钻绒羽绒服面料
CN114766770B (zh) * 2022-05-19 2023-08-01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防钻绒羽绒服面料的缝制工艺
CN115404598B (zh) * 2022-06-08 2024-02-27 陈景飞 一种用于家纺填充式制品内立衬缝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163B2 (ja) * 1995-05-19 1998-12-02 東京リビング株式会社 防ダニふとん
JP2016221019A (ja) * 2015-06-01 2016-12-28 西川レベックス株式会社 掛け布団及び掛け布団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34384B (da) * 1973-10-09 1976-11-01 Nordisk Fjerfabrik As Kanalvår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samme.
CN1013570B (zh) * 1989-01-04 1991-08-21 郭阿炎 一种新型的羽绒被、袋
JPH0649015B2 (ja) * 1991-08-09 1994-06-29 株式会社アサミ 布地接着方法及び布団
US5664269A (en) * 1996-11-07 1997-09-09 Broder; Donna Foldable blanket for revealing different patterns
KR200461456Y1 (ko) * 2010-03-24 2012-07-18 주식회사 이덕아이앤씨 알레르기 방지 효과가 있는 우모 이불
CN202567401U (zh) * 2012-04-01 2012-12-05 罗莱家纺股份有限公司 羽绒被芯及被子
US10368663B2 (en) * 2013-03-25 2019-08-06 Nancy Pinoli Patchwork quilt with framed keepsakes
KR101376979B1 (ko) * 2013-12-17 2014-03-25 이계식 이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불
KR101484103B1 (ko) * 2014-02-18 2015-01-16 성경민 이중 충전재가 충전된 의류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163B2 (ja) * 1995-05-19 1998-12-02 東京リビング株式会社 防ダニふとん
JP2016221019A (ja) * 2015-06-01 2016-12-28 西川レベックス株式会社 掛け布団及び掛け布団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2025A (zh) * 2018-02-07 2019-10-18 梅德1994有限责任公司 改进的盖布和/或床上用品的手工制品
KR101961455B1 (ko) 2018-08-30 2019-03-22 바스티안 로쉐크 3차원 우모 이불
WO2020054894A1 (ko) * 2018-09-14 2020-03-19 이재일 사용자기반 다운 침구류 주문 제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13271822A (zh) * 2018-11-05 2021-08-17 梅德1994有限责任公司 组合式休息用结构
KR20200136204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대원비앤에프 침구용 격벽체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92056B1 (ko) * 2019-05-27 2020-12-16 주식회사 대원비앤에프 침구용 격벽체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86001B1 (ko) 2021-11-15 2022-04-14 주식회사 나래데코 침구용 격벽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214A1 (ko) 2018-09-20
CN108883926A (zh) 2018-11-23
US20200046149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333B1 (ko)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KR960010014B1 (ko) 직물 재료를 합쳐서 일체 구조물로 접합하는 방법 및 무봉 퀼트
JP4275145B2 (ja) 縫製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620463B2 (ja) 外被に剛性を付与するための心地及びその用途
US20190150541A1 (en) Infinity quilting
KR101053255B1 (ko) 보온 패딩을 제조하는 방법
JPS58136803A (ja) テ−プ状融着芯地
KR100888956B1 (ko) 세로 퀼팅형 다운 쟈켓 및 그 제작방법
KR101602627B1 (ko)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US20190084699A1 (en) Method for padding double cloths
JPH10280215A (ja) 滑らかなポケットシームを有する衣類及びその形成方法
JP6577688B1 (ja) 羽毛入り製品の製造方法及び羽毛入り製品
KR101262937B1 (ko) 패딩용 가공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0970777B1 (ko) 풍력에 의한 밀봉선 형성을 이용한 오리털 제품의 제조방법
JP2016168190A (ja) 縫製品及び生地の縫製方法
JPH08299627A (ja) 布地の縫製方法
JPH0226895Y2 (ko)
JP2016087175A (ja) 寝具、寝具の製造方法、およびバンド
CN217695897U (zh) 一种蓬松防滑移蚕丝被
JP6934692B1 (ja) 詰め物の漏出防止構造を備えた布団、及びマチ布片とサポート布片とを多重縫合する縫製装置
KR20210106309A (ko) 스폰지 침대 매트리스의 생산방법 및 그 구조
KR20160144954A (ko) 다운 의류 원단의 재봉 방법 및 그에 의한 다운 의류 원단
KR20170079919A (ko) 우모가 이용되는 침구류의 털 빠짐 방지를 위한 재봉 구조 및 방법
KR20170004130U (ko) 구스 다운 이불
JP3047817U (ja) 防ダニ防塵性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