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627B1 -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 Google Patents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627B1
KR101602627B1 KR1020140065923A KR20140065923A KR101602627B1 KR 101602627 B1 KR101602627 B1 KR 101602627B1 KR 1020140065923 A KR1020140065923 A KR 1020140065923A KR 20140065923 A KR20140065923 A KR 20140065923A KR 101602627 B1 KR101602627 B1 KR 10160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elding
lining
sew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665A (ko
Inventor
한기수
Original Assignee
더인터맥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인터맥스(주) filed Critical 더인터맥스(주)
Priority to KR102014006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62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27/00Mending garments by adhesives or adhesive p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보온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운(down) 소재가 외부로 불거져 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다운 의류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은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를 미리 결정된 형상에 따라 안감에 고정하고 그리고 겉감을 상기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에 덧대어 핫 프레싱 또는 웰딩에 의하여 접착시켜 다운 채움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Method for Sewing Cloth with Down Material}
본 발명은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보온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운(down) 소재가 외부로 불거져 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다운 의류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카 또는 침낭과 같은 보온 효과가 요구되는 의류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솜 또는 거위 털이나 오리털과 같은 충전재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거위 털(goose down) 또는 오리 털(duck down)과 같은 보온성 충전재를 다운이라고 하고 다양한 형태의 칸막이 구조를 이용하여 파카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충전이 될 수 있다. 칸막이 구조에 의하여 다운이 뭉치는 것이 방지되고 그리고 적절한 재봉에 의하여 다운이 외부로 불거져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파커 또는 침낭의 장기간의 사용 과정에서 다운의 외부 돌출이 완전히 방지되기는 어렵다.
다운 파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번호 제2010-0089702호 ‘다운 파카의 원단 구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운 파카의 앞판과 뒷판은 안감(21)과 겉감(22)을 재봉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는 다운으로 충전되는데, 상기 안감과 겉감은 어느 한 방향으로 재봉하여 그 안쪽에 다운이 충전되며 상기 안감과 겉감을 재봉할 때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 격벽을 만들어 상기 충전되는 다운의 볼륨감을 향상시키며 다운이 재봉선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며, 상기 격벽은 안감을 접어서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감을 접은 후 접힌 부분의 끝단을 겉감에 겉감 재봉선을 따라 재봉하고 겉감 재봉선과 이격하여 접혀져 있는 안감 부분을 재봉하여 안감 재봉선을 하나 더 만드는 것에 의하여 격벽을 형성하며, 격벽을 재봉하고 남은 부분을 안쪽으로 접어 다운이 재봉선을 넘어오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파카의 원단 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다운 의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공개특허번호 제2010-0105069호 ‘재봉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다운 의류 재봉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운 의류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덧대어 재봉되는 재봉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재봉 스트립은 극세사로 제조되며, 재봉 구간을 갖는 재봉부를 제외한 상하측 길이 방향에 오리털의 엉킴을 유도하는 오리털 차단편이 다수 개 절취되는 한편, 각각의 오리털 차단편 양측에는 직조된 올이 수개의 가닥으로 풀린 형태의 털실부가 형성된 재봉 스트립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재봉선 또는 다운이 채워지는 격실을 형성하기 위한 경계면이 직선 형태와 같이 제한된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한편 다운의 삐져나옴이 완전히 방지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문헌1: 공개특허번호 제2010-0089702호((주)아이보리, 2010년08월12일 공개) 다운 파카의 원단 구조 선행문헌2: 공개특허번호 제2010-0105069호(이동진, 2010년09월29일 공개) 재봉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다운 의류 재봉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다운 채움을 위한 경계 면이 직선 형태 또는 임의의 곡선 형상으로 만들어지면서 이와 동시에 다운의 삐져나옴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은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를 미리 결정된 형상에 따라 안감에 고정하고 그리고 겉감을 상기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에 덧대어 핫 프레싱 또는 웰딩에 의하여 접착시켜 다운 채움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안감과 상기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를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그리고 핫 프레싱에 의하여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의 일부가 겉감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다운의 엉김 또는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경계 면의 형성이 자유롭고 이로 인하여 의류의 형상에 따른 적절한 다운의 분포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다운의 분포가 균일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다운의 삐져나옴이 방지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다운이 획일적인 직선 형태가 아니라 직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곡선 형상으로 배치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디자이너의 미적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다운 채움 공정에서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의 겉감에 대한 접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콜드 스팟(cold spot)이 감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의 과정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이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에서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와 겉감의 접착 방식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이 적용된 다운 파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의 과정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이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심 테이프가 실시 예로 제시되지만 웰딩 테이프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웰딩 테이프는 초음파에 의하여 접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심 테이프 또는 웰딩 테이프를 안감에 고정하고 겉감을 덧대어 핫 프레싱에 의하여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를 상기 겉감에 접착시켜 다운 채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은 안감을 준비하는 단계(P11); 상기 준비된 안감에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P12);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와 안감을 재봉하는 단계(P13); 겉감을 준비하는 단계(P14); 및 웰딩 또는 핫 프레싱에 의하여 상기 겉감을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에 부착시키는 단계(P15)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심 테이프(Seam Tape)는 웰딩 테이프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심 테이프(Seam Tape)는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고 웰딩(welding)은 접착 방법 중 하나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의류, 매트 커버 또는 침구류와 같이 충전 소재가 안감과 겉감 사이에 채워지는 임의의 생산 공정에 적용될 수 있고 아래에서 본 발명은 파카와 같은 의류에 제한되어 설명이 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용을 위하여 먼저 예를 들어 파카와 같은 의류의 제조를 위한 안감이 준비되어야 한다(P11). 파카는 패딩 처리가 된 의류가 되거나 또는 방수 처리가 된 코트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의류 또는 코트 형태가 될 수 있다. 안감은 나일론 소재 또는 폴리에스터 소재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가 될 수 있고 방수 코팅이 될 수 있다. 파카의 안감의 준비되면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seam tape)가 부착될 수 있다(P12). 하나의 안감에 미리 결정된 형태로 심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지만 도 1b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안감(11)의 미리 결정된 영역 또는 위치에 심 테이프(seam tape)(12)가 고정될 수 있다.
심 테이프(12)는 핫_접착 필름(hot_melt_adhesive film)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필름이 될 수 있고 0.01 내지 10 mm의 두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심 테이프(12)는 실링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열 또는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심 테이프(12)는 양면 또는 한쪽 면이 접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심 테이프(12)는 일시적으로 안감(11)에 접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재봉선(13)에 의하여 안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P13). 심 테이프(12)는 미리 결정된 형태를 가지도록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심 테이프(12)는 곡선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심 테이프(12)가 먼저 안감(11)에 고정되어 재봉되고 그리고 접착 성분이 심 테이프(12)의 위쪽에 코팅이 될 수 있다. 심 테이프(12)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50 mm가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심 테이프(12)와 안감(11)이 재봉선(13)에 의하여 고정되면 겉감(14)이 준비될 수 있다(P14). 겉감(14)은 안감(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가 되거나 서로 다른 소재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개가 될 수 있다.
도 1b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심 테이프(12a, 12b)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정한 공간에 오리 털, 거위 털 또는 다른 충전 소재가 채워질 수 있다. 충전 소재는 겉감(14)이 결합되기 전 또는 겉감(14)이 결합된 이후 상기 일정한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각각의 심 테이프(12a, 12b)는 재봉선(13a, 13b)에 의하여 안감에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겉감(14)이 심 테이프(12a, 12b)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P14).
겉감(14)이 심 테이프(12a, 12b)의 위쪽에 배치되면(P14) 핫 프레싱(hot pressing) 공정에 의하여 심 테이프(12a, 12b)가 겉감(14)의 안쪽에 접착될 수 있고 그리고 접착 라인(15a, 15b)이 형성될 수 있다(P15). 그리고 접착 라인(15a, 15b) 사이에 다운(down)과 같은 충전 소재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핫 프레싱 공정이란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하면서 심 테이프(12a, 12b)를 겉감에 접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핫 프레싱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웰딩 접착을 포함한다. 웰딩 접착은 예를 들어 초음파에 의한 접착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안감(11)이 또한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라인(15a, 15b)은 심 테이프(12a, 12b) 폭의 일부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되거나 심 테이프(12a, 12b) 폭 전체에 해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핫 프레싱 공정을 위하여 예를 들어 55 내지 150 ℃의 열이 가해지면서 이와 동시에 접착 부위에 2.0 내지 6 bar 또는 29 내지 87 psi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핫 프레싱 기계에 의하여 5 내지 30 동안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서 핫 프레스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핫 프레싱 공정이 완료되면(P15) 이후 적절한 방법으로 다운과 같은 충전 소재가 채워지고 그리고 마무리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심 테이프(12, 12a, 12b)가 직선 형태로 배치된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심 테이프(12, 12a, 12b)는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핫 프레싱 공정에 의하여 접착 라인(15a, 15b)이 형성되면 접착 라인(15a, 15b)에 다운이 채워지지 않으므로 콜드 스팟(cold spot)이 형성될 수 있다. 콜드 스팟은 의류의 보온성을 감소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의류의 착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콜드 스팟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12, 12a, 12b)의 일부만 겉감(14)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에서 심 테이프와 겉감의 접착 방식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의 (가)를 참조하면, 심 테이프(12)가 재봉선(13)에 의하여 안감(11)에 고정되면 심 테이프(12)는 부분 접착 라인(151, 152)을 형성하면서 겉감(14)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c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심 테이프(12)의 중앙 부분은 재봉선(13)에 의하여 안감(11)에 고정되고 그리고 양쪽 가장 자리 부분은 겉감(14)에 부착되어 부분 접착 라인(151, 152)이 형성될 수 있다. 심 테이프(12)는 도 1c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펼쳐진 상태로 겉감(14)과 접착되거나 또는 곡선 형상의 여유 부분(16)이 형성되도록 겉감(14)과 접착될 수 있다. 각각의 부분 접착 라인(151, 152)의 폭(D)이 작을수록 콜드 스팟이 감소될 수 있고 그리고 부분 접착 라인(151, 152) 사이의 폭이 좁을수록 다운이 채워지지 않는 여유 부분(16)이 작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부분 접착 라인(151, 152)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 이와 동시에 부분 접착 라인(151, 152)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여유 부분(16)은 다운의 삐져나옴을 방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따뜻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여유 부분(16)의 크기는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부분 접착 라인(151, 152)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분 접착 라인(151, 152)의 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산과 골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콜드 스팟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보온성이 향상되고 그리고 다운의 삐져나옴이 방지될 수 있는 다양한 접착 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이 적용된 다운 파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착 라인(15)은 곡선이 교차가 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겉감(14)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감(11)과 재봉선(13)은 심 테이프의 배치에 따라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심 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곡선의 형성 또는 교차점의 형성은 다운 또는 충전 소재가 한 부분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의류 또는 파카의 구조에 따른 다운 또는 충전 소재의 적절한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 라인이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안감과 겉감의 접착을 위하여 심 테이프가 사용되고 그리고 심 테이프는 안감과 재봉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리고 겉감과 핫 프레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심 테이프에 대한 대안으로 웰딩 테이프(Welding Tape)가 사용될 수 있다. 웰딩 테이프가 사용되는 경우 웰딩 테이프가 안감(down back)에 재봉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심 테이프가 겉감에 부착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웰딩 테이프가 겉감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웰딩 테이프는 초음파에 의하여 겉감에 부착될 수 있다. 웰딩 테이프는 심 테이프에 비하여 곡선 형성에 유리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형상이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웰딩 테이프를 재봉에 의하여 안감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웰딩 테이프가 안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다운의 삐져나옴이 방지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다운의 엉김 또는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경계 면의 형성이 자유롭고 이로 인하여 의류의 형상에 따른 적절한 다운의 분포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다운의 분포가 균일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다운의 삐져나옴이 방지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 방법은 다운 채움 공정에서 심 테이프의 겉감에 대한 접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콜드 스팟(cold spot)이 감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안감 12: 심 테이프
13: 재봉선 14: 겉감
15: 접착 라인 151, 152: 부분 접착 라인

Claims (3)

  1. 안감에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를 부착되어 일시적으로 안감에 접착되는 단계;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가 재봉선에 의하여 안감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단계;
    겉감이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에 핫 프레싱 또는 초음파 웰딩에 의하여 접착되는 단계; 및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 사이에 다운 채움 공간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을 형성하는 곡선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웰딩 테이프 또는 심 테이프는 상기 재봉선을 사이에 두고 부분 접착 라인을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콜드 스팟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3. 삭제
KR1020140065923A 2014-05-30 2014-05-30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KR10160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23A KR101602627B1 (ko) 2014-05-30 2014-05-30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23A KR101602627B1 (ko) 2014-05-30 2014-05-30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665A KR20150137665A (ko) 2015-12-09
KR101602627B1 true KR101602627B1 (ko) 2016-03-11

Family

ID=5487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23A KR101602627B1 (ko) 2014-05-30 2014-05-30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31B1 (ko) * 2016-04-25 2016-10-28 한기수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KR101683421B1 (ko) * 2016-04-25 2016-12-07 한기수 심테이프가 필요없는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KR101695595B1 (ko) * 2016-05-31 2017-01-11 한기수 쓰리디 몰드를 이용한 아웃도어 의류의 곡면부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84B1 (ko) * 2019-08-26 2019-11-18 정재환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KR102386001B1 (ko) * 2021-11-15 2022-04-14 주식회사 나래데코 침구용 격벽 제조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612B1 (ko) 2007-11-01 2008-06-09 박종헌 웰딩 다운 자켓
KR100915959B1 (ko) 2009-03-02 2009-09-14 (주)엔앤우튼코리아 다운자켓 및 다운자켓의 제조방법
KR101156327B1 (ko) 2011-07-29 2012-06-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운 의류 및 그 봉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428B1 (ko) * 2004-12-07 2005-03-31 박종헌 다운쟈켓
KR100995694B1 (ko) 2009-02-04 2010-11-19 (주)아이보리 다운 파카의 원단 구조
KR100988508B1 (ko) 2009-03-20 2010-10-18 이동진 재봉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다운 의류 재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612B1 (ko) 2007-11-01 2008-06-09 박종헌 웰딩 다운 자켓
KR100915959B1 (ko) 2009-03-02 2009-09-14 (주)엔앤우튼코리아 다운자켓 및 다운자켓의 제조방법
KR101156327B1 (ko) 2011-07-29 2012-06-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운 의류 및 그 봉제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31B1 (ko) * 2016-04-25 2016-10-28 한기수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KR101683421B1 (ko) * 2016-04-25 2016-12-07 한기수 심테이프가 필요없는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WO2017188502A1 (ko) * 2016-04-25 2017-11-02 한기수 심테이프가 필요없는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WO2017188503A1 (ko) * 2016-04-25 2017-11-02 한기수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US10306940B2 (en) 2016-04-25 2019-06-04 Intermax Co., Ltd. Method for producing outdoor clothing not requiring seam tape and having strengthened waterproof function
KR101695595B1 (ko) * 2016-05-31 2017-01-11 한기수 쓰리디 몰드를 이용한 아웃도어 의류의 곡면부 제조 방법
WO2017209373A1 (ko) * 2016-05-31 2017-12-07 한기수 쓰리디 몰드를 이용한 아웃도어 의류의 곡면부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665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627B1 (ko)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KR100767991B1 (ko) 다운 점퍼
KR100826093B1 (ko) 입체 공기순환 방수 다운 점퍼
KR101774333B1 (ko) 무봉제 다운 침구 및 제조방법
EP0861605B1 (en) Pucker free garment side seam and method for production
KR101307987B1 (ko) 자유로운 겉감 선택이 가능한 다운쟈켓
JP2010509104A (ja) ファブリック、機能性素材又はマット
KR100911881B1 (ko)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EP0855150A2 (en) Pucker free seam for a garment hem and method for production
GB2117671A (en) Fusion-bonding interlining strip
EP0855147A2 (en) Pucker free yoke-to-front yoke-to-back garment seam and method for production
EP0855148A2 (en) Pucker free pocket garment seam and method for production
KR101202558B1 (ko) 덧버선 제조방법
KR101506420B1 (ko) 내부연결부를 구비하는 패딩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3346B1 (ko) 심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운자켓 및 이를 이용한 다운자켓의 재봉방법
KR101754263B1 (ko) 닫힌 다운 채널 구조의 패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30196250A1 (en) Item of apparel
KR20160144954A (ko) 다운 의류 원단의 재봉 방법 및 그에 의한 다운 의류 원단
JP3105925U (ja) 防寒ウェアー
KR101560163B1 (ko) 다운 삼출 방지가 가능한 격자형 다운재킷 및 이의 제조방법
JP6247431B1 (ja) 防寒素材、防寒素材の製造方法及び、防寒ウェア
TWI818058B (zh) 製造行李箱的方法
US2667643A (en) elman
KR20160048610A (ko) 다운 의류 원단의 재봉 방법 및 그에 의한 다운 의류 원단
KR101399554B1 (ko) 통풍원단이 구비된 다운쟈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