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284B1 -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284B1
KR102046284B1 KR1020190104131A KR20190104131A KR102046284B1 KR 102046284 B1 KR102046284 B1 KR 102046284B1 KR 1020190104131 A KR1020190104131 A KR 1020190104131A KR 20190104131 A KR20190104131 A KR 20190104131A KR 102046284 B1 KR102046284 B1 KR 10204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ewing
padding
lining
venti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정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환 filed Critical 정재환
Priority to KR102019010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심실링테이프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횡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재봉라인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안감이 놓여지는 베이스판; 상기 안감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과 대응되도록 심실링라인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겉감이 놓여지는 심실링형성판; 및 상기 겉감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과 대응되도록 제2 재봉라인이 관통형성된 커버판;을 포함하여, 상기 심실링라인을 따라 심실링테이프를 놓아 제1 재봉라인과 제2 재봉라인 사이에 심실링테이프가 위치되도록 한 후, 제1 재봉라인과 제2 재봉라인을 통해 안감과 겉감의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Manufacture frame for pad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ad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패딩 제조시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딩 의류(이하, '패딩'이라 함)는 경량이면서 특유의 부피감과 우수한 보온성 때문에 겨울철 방한용 의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패딩은 안감과 겉감 사이에 방한을 목적으로 마련되는 보온층으로 구성되며, 보온층은 통상 천연솜, 인조솜, 울, 오리털, 거위털 등과 같은 보온재로 구성된다.
종래 패딩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안감과 겉감을 상호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안감과 겉감 사이에 상호 구획된 다수의 격실이 형성되도록 안감과 겉감을 박음질하게 된다. 이때 각 격실로 보온층의 구성물질인 보온재을 주입할 수 있는 입구부를 남겨두고, 입구부를 통해 각 결실로 보온재을 주입하며, 주입이 완료되면 각 결실의 입구부를 박음질하여 패딩을 완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패딩은 안감과 겉감 사이의 각 격실에 충전된 보온재가 박음질시 형성된 봉제선을 따라 존재하는 구멍을 통해 외부로 계속적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보온층의 보온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428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안감과 겉감이 박음질되는 재봉선을 따라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심실링테이프가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재봉하여 심실링테이프에 의해 재봉선의 바늘구멍으로 보온재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인용발명과 같은 기술을 토대로 패딩이 제조되고 있으나, 작업자가 안감과 겉감에 심실링테이프가 박음질될 부분을 표시하고 재봉틀을 이용하여 표시된 부분에 심실링테이프가 놓이도록 하면서 박음질을 하고 있으며, 격실을 형성하는 재봉선마다 위와 같은 작업을 일일이 수행하고 있는바, 생산성이 저하되고 매번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건비가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428호 '다운쟈켓'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심실링테이프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패딩용 제조틀은 횡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재봉라인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안감이 놓여지는 베이스판; 상기 안감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과 대응되도록 심실링라인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겉감이 놓여지는 심실링형성판; 및 상기 겉감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과 대응되도록 제2 재봉라인이 관통형성된 커버판;을 포함하여, 상기 심실링라인을 따라 심실링테이프를 놓아 제1 재봉라인과 제2 재봉라인 사이에 심실링테이프가 위치되도록 한 후, 제1 재봉라인과 제2 재봉라인을 통해 안감과 겉감의 박음질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판은 베이스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심실링형성판은 베이스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재봉라인, 심실링라인 및 제2 재봉라인은 직선 형태와 사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재봉라인, 심실링라인 및 제2 재봉라인은 일부가 'v'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심실링형성판은 일부가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베이스판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 심실링형성판과 제2 심실링형성판을 포함하며, 제1 심실링형성판과 제2 심실링형성판은 각기 다른 방향의 사선 형태를 이루는 제1 심실링사선라인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이 형성되어, 제1 심실링사선라인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에 의해 'v'자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재봉라인, 심실링라인 및 제2 재봉라인은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선 형태를 이루고, 그 하방으로 'v'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제1 심실링형성판과 제2 심실링형성판은 제1 심실링사선라인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과 인접한 상방에 직선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라인이 분할된 제1 심실링직선라인과 제2 심실링직선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심실링형성판은 제1 심실링직선라인 상측으로 직선 형태를 이루며 안감을 가로지르는 다수 개의 제3 심실링직선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 개의 제3 심실링직선라인 끝단이 이루는 형태는 제3 심실링직선라인의 끝단과 인접한 안감의 가장자리가 이루는 형태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재봉라인, 심실링라인 및 제2 재봉라인은 안감과 겉감을 가로지르며 안감과 겉감의 외측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실링형성판과 커버판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은 상기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하되,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안감을 제1 재봉라인의 양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는 안감안착단계; 상기 안감의 상면에 심실링형성판을 위치시키고 심실링라인을 따라 심실링테이프를 놓는 심실링안착단계; 상기 심실링형성판의 상면에 겉감을 놓고 겉감의 상면에 커버판을 위치시키는 겉감고정단계; 및 상기 제2 재봉라인을 따라 박음질을 하는 재봉선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봉선형성단계는 패딩용 제조틀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재봉라인을 따라 자동으로 박음질을 수행하는 재봉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봉장치는 판 형태를 이루는 작업대와,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대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패딩용 제조틀의 일측 가장자리가 파지되어 고정되는 제조틀고정부와, 상기 제조틀고정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패딩용 제조틀을 재봉하는 재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봉장치는 제조틀고정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조틀고정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에는 이동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이동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실링라인 상에 심실링테이프를 놓는 것만으로 안감과 겉감에서 격실이 형성될 재봉선 상에 심실링테이프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어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심실링라인 상에 각각 심실링테이프를 한꺼번에 놓을 수 있으므로 심실링테이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바,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딩용 제조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딩용 제조틀에 적용되는 베이스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딩용 제조틀에 적용되는 심실링형성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딩용 제조틀에 적용되는 커버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하여 안감, 겉감 및 심실링테이프가 재봉되어 다수의 격실이 형성된 제품이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본 발명에서는 심실링테이프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횡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재봉라인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안감이 놓여지는 베이스판; 상기 안감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과 대응되도록 심실링라인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겉감이 놓여지는 심실링형성판; 및 상기 겉감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과 대응되도록 제2 재봉라인이 관통형성된 커버판;을 포함하여, 상기 심실링라인을 따라 심실링테이프를 놓아 제1 재봉라인과 제2 재봉라인 사이에 심실링테이프가 위치되도록 한 후, 제1 재봉라인과 제2 재봉라인을 통해 안감과 겉감의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하되,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안감을 제1 재봉라인의 양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는 안감안착단계; 상기 안감의 상면에 심실링형성판을 위치시키고 심실링라인을 따라 심실링테이프를 놓는 심실링안착단계; 상기 심실링형성판의 상면에 겉감을 놓고 겉감의 상면에 커버판을 위치시키는 겉감고정단계; 및 상기 제2 재봉라인을 따라 박음질을 하는 재봉선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패딩용 제조틀(A)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 심실링형성판(200) 및 커버판(300)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져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안감(10)이 상면에 놓여지고 안감(10)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판(100)은 안감(10)보다 크게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할 심실링형성판(200) 및 커버판(300)과의 결합과 재봉장치(400)에서의 고정 등을 고려하였을 때, 사각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이스판(1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재봉라인(110)이 다수 개 형성되며, 제1 재봉라인(110)은 안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재봉선이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재봉라인(110)은 패딩용 제조틀(A)에 의해 제조되는 패딩에 보온재가 충전되는 격실을 형성하는 재봉선을 박음질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안감(10)과 후술할 겉감(20)을 가로지르며 안감(10)과 겉감(20)의 외측까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재봉라인(110)은 직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심실링형성판(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져 안감(10)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110)과 대응되도록 심실링라인(210)이 관통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10)의 상측에 놓여진 심실링형성판(200)의 상면에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겉감(20)이 놓여지며, 이때의 겉감(20)은 안감(10)과 동일한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심실링형성판(200)이 베이스판(100)의 상측에 놓여질 시 심실링라인(210)이 제1 재봉라인(110)에 정확히 대응될 수 있도록 실실링형성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판(100)에 안감(10)을 놓은 후 심실링형성판(200)을 회전시킴으로써 매 작업시 심실링테이프(30)의 위치와 재봉선의 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심실링라인(210)이 절곡된 지점을 가지는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격실 형성을 위해 박음질이 완료되어 안감(10), 겉감(20) 및 심실링테이프(30)가 재봉된 제품으로부터 심실링형성판(200)을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심실링형성판(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베이스판(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되는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베이스판(100)의 타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되는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심실링형성판(200)은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심실링형성판(200)의 하측에 놓여진 안감(10)의 위치와 심실링형성판(200)의 상측에 놓여지는 겉감(2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심실링형성판(200)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재봉이 완료된 제품으로부터 심실링형성판(200)을 측방향으로 빼내야 하는바, 휘어짐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심실링라인(210)은 안감(10)과 겉감(20)을 가로지르며 외측까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심실링라인(210)은 제1 재봉라인(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바, 직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심실링라인(2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을 형성하는 재봉선을 따라 격실 내 충전되는 보온재가 재봉선의 틈새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심실링테이프(30)가 놓여진다.
즉, 심실링테이프(30)는 심실링라인(2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거나 심실링라인(21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심실링라인(210)의 형태에 따라 직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선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테이프(30)는 직선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테이프(30)를 절곡된 지점에서 절단하고 절곡된 지점에서 교차되도록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심실링테이프(30)는 심실링라인(2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심실링라인(2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판(300)은 도 1,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져 겉감(20)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110)에 대응되도록 제2 재봉라인(310)이 관통형성된다. 즉, 커버판(300)은 베이스판(100)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 재봉라인(310)은 심실링라인(210)과도 대응된다.
커버판(300)은 겉감(20)보다 크게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베이스판(100)과의 결합과 재봉장치(400)에서의 고정 등을 고려하였을 때, 사각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판(300)에는 횡방향을 따라 제2 재봉라인(310)이 다수 개 형성되며, 제2 재봉라인(310)은 겉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재봉선이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재봉라인(310)은 패딩용 제조틀(A)에 의해 제조되는 패딩에 보온재가 충전되는 격실을 형성하는 재봉선을 박음질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안감(10)과 겉감(20)을 가로지르며 안감(10)과 겉감(20)의 외측까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재봉라인(310)은 직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판(300)이 베이스판(100)과 심실링형성판(200)의 상측에 놓여질 시 제2 재봉라인(310)이 제1 재봉라인(110)과 심실링라인(210)에 정확히 대응될 수 있도록 커버판(300)은 베이스판(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심실링형성판(200)에 겉감(20)을 놓은 후 커버판(300)을 회전시킴으로써 매 작업시 심실링테이프(30)의 위치와 재봉선의 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커버판(300)은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커버판(300)의 하측에 놓여진 안감(10) 및 심실링테이프(3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패딩용 제조틀(A)은 심실링라인(210)을 따라 심실링테이프(30)를 놓아 제1 재봉라인(110)과 제2 재봉라인(310) 사이에 심실링테이프(30)가 위치되도록 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재봉라인(110)과 제2 재봉라인(310)을 통해 안감(10)과 겉감(20)을 박음질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재가 충전될 격실을 가지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심실링라인(210)에 심실링테이프(30)를 놓는 것만으로 안감(10)과 겉감(20)에서 격실이 형성될 재봉선 상에 심실링테이프(30)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바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심실링라인(210) 상에 각각 심실링테이프(30)를 놓을 수 있으므로 심실링테이프(30)가 놓여지고 재봉될 지점을 안감(10)과 겉감(20)에 작업자가 일일이 표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인 패딩용 제조틀(A)을 이용하여 안감(10), 겉감(20) 및 심실링테이프(30)를 재봉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재봉라인(110), 심실링라인(210) 및 제2 재봉라인(310)은 적어도 일부가 'v'자 또는 '^'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절곡된 지점을 포함하는 사선 형태로 제1 재봉라인(110), 심실링라인(210) 및 제2 재봉라인(310)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심실링형성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베이스판(100)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을 포함한다.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은 각기 다른 방향의 사선 형태를 이루는 제1 심실링사선라인(211)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212)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심실링사선라인(211)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212)은 합하여져 'v'자 또는 '^'자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라인(210)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재봉라인(110), 심실링라인(210) 및 제2 재봉라인(310)은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선 형태를 이루고, 그 하방으로 'v'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은 제1 심실링사선라인(211)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212)과 인접한 상방에 직선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라인(210)이 분할된 제1 심실링직선라인(213)과 제2 심실링직선라인(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심실링직선라인(213)과 제2 심실링직선라인(214)은 각각의 하방에 제1 심실링사선라인(211)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212)이 형성된 제1 심실링형성판(200a) 부분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 부분을 재봉이 완료된 제품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빼냄에 있어,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이 휘어짐이 발생되어야 하고 상측의 직선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라인(210)에 의해 간섭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분할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제1 심실링형성판(200a)은 제1 심실링직선라인(213) 상측으로 직선 형태를 이루며 안감(10)을 가로지르는 다수 개의 제3 심실링직선라인(2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다수 개의 제3 심실링직선라인(215)의 끝단이 이루는 형태는 제3 심실링직선라인(215)의 끝단과 하측에 인접한 안감(10)의 가장자리가 이루는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심실링형성판(200a)을 보다 용이하게 재봉이 완료된 제품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심실링테이프(30)가 과도하게 안감(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심실링라인(300)에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패딩용 제조틀(A)을 이용하여 패딩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안착단계, 심실링안착단계, 겉감고정단계 및 재봉선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안착안착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의 상면에 안감(10)을 제1 재봉라인(110)의 양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이며, 심실링안착단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10)의 상면에 심실링형성판(200)을 위치시킨 후 심실링라인(210)을 따라 심실링테이프(30)를 놓는다. 이때, 심실링라인(210)은 제1 재봉라인(110)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심실링형성판(200)을 안감(10)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겉감고정단계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실링형성판(200)의 상면에 겉감(20)을 놓고 겉감(20)의 상면에 커버판(300)을 위치시킨다. 이때, 겉감(20)은 심실링라인(210)의 양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이며, 제2 재봉라인(310)은 제1 재봉라인(110)과 심실링라인(210)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커버판(300)을 겉감(20)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이후, 재봉선형성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재봉라인(310)을 따라 박음질을 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10), 겉감(20) 및 심실링테이프(30)에 의해 다수 개의 격실이 형성된 제품이 제조된다.
상기 재봉선형성단계에서는 박음질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편리하고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패딩용 제조틀(A)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재봉라인(310)을 따라 자동으로 박음질을 수행하는 재봉장치(400)가 사용될 수 있다.
재봉장치(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410), 제조틀고정부(420), 재봉부(430), 이동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410)는 패딩용 제조틀(A)보다 큰 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틀고정부(420)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대(410)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패팅용 제조틀(A)의 일측 가장자리가 파지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재봉부(430)는 제조틀고정부(420)의 상측에 구비되어 패딩용 제조틀(A)을 재봉할 수 있으며, 이동부(440)는 제조틀고정부(420)보다 길게 형성된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작업대(410)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440)에는 제조틀고정부(4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제조틀고정부(420)에 파지된 패딩용 제조틀(A)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이동시키며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작업대(410)에는 이동부(4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홀(411)이 형성되어, 이동부(440)가 이동홀(4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틀고정부(420)에 파지된 패딩용 제조틀(A)을 폭방향에 대하여 이동시키며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봉장치(400)는 패딩용 제조틀(A)이 제조틀고정부(420)에 의해 파지되면서 작업대(410)의 상면에 놓이도록 한 후, 제조틀고정부(420)가 이동부(440)와 이동홀(411)을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며, 패딩용 제조틀(A)에 형성된 제2 재봉라인(310)을 따라 재봉부(430)가 자동으로 박음질을 수행할 수 있다.
A : 패딩용 제조틀
10 : 안감 20 : 겉감
30 : 심실링테이프
100 : 베이스판 110 : 제1 재봉라인
200 : 심실링형성판 200a : 제1 심실링형성판
200b : 제2 심실링형성판 210 : 심실링라인
211 : 제1 심실링사선라인 212 : 제2 심실링사선라인
213 : 제1 심실링직선라인 214 : 제2 심실링직선라인
215 : 제3 심실링직선라인
300 : 커버판 310 : 제2 재봉라인
400 : 재봉장치 410 : 작업대
411 : 이동홀 420 : 제조틀고정부
430 : 재봉부 440 : 이동부

Claims (12)

  1. 횡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재봉라인(110)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안감(10)이 놓여지는 베이스판(100);
    상기 안감(10)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110)과 대응되도록 심실링라인(210)이 관통형성되고 상면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겉감(20)이 놓여지는 심실링형성판(200); 및
    상기 겉감(20)의 상측에 놓여지며 제1 재봉라인(110)과 대응되도록 제2 재봉라인(310)이 관통형성된 커버판(300);을 포함하여,
    상기 심실링라인(210)을 따라 심실링테이프(30)를 놓아 제1 재봉라인(110)과 제2 재봉라인(310) 사이에 심실링테이프(30)가 위치되도록 한 후, 제1 재봉라인(110)과 제2 재봉라인(310)을 통해 안감(10)과 겉감(20)의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00)은 베이스판(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심실링형성판(200)은 베이스판(10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봉라인(110), 심실링라인(210) 및 제2 재봉라인(310)은 직선 형태와 사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봉라인(110), 심실링라인(210) 및 제2 재봉라인(310)은 일부가 'v'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심실링형성판(200)은 일부가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베이스판(100)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을 포함하며,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은 각기 다른 방향의 사선 형태를 이루는 제1 심실링사선라인(211)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212)이 형성되어, 제1 심실링사선라인(211)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212)에 의해 'v'자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라인(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봉라인(110), 심실링라인(210) 및 제2 재봉라인(310)은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선 형태를 이루고, 그 하방으로 'v'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제1 심실링형성판(200a)과 제2 심실링형성판(200b)은 제1 심실링사선라인(211)과 제2 심실링사선라인(212)과 인접한 상방에 직선 형태를 이루는 심실링라인(210)이 분할된 제1 심실링직선라인(213)과 제2 심실링직선라인(2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실링형성판(200a)은 제1 심실링직선라인(213) 상측으로 직선 형태를 이루며 안감(10)을 가로지르는 다수 개의 제3 심실링직선라인(215)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 개의 제3 심실링직선라인(215) 끝단이 이루는 형태는 제3 심실링직선라인(215)의 끝단과 인접한 안감(10)의 가장자리가 이루는 형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봉라인(110), 심실링라인(210) 및 제2 재봉라인(310)은 안감(10)과 겉감(20)을 가로지르며 안감(10)과 겉감(20)의 외측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실링형성판(200)과 커버판(300)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패딩용 제조틀(A)을 이용하되,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에 안감(10)을 제1 재봉라인(110)의 양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놓는 안감안착단계;
    상기 안감(10)의 상면에 심실링형성판(200)을 위치시키고 심실링라인(210)을 따라 심실링테이프(30)를 놓는 심실링안착단계;
    상기 심실링형성판(200)의 상면에 겉감(20)을 놓고 겉감(20)의 상면에 커버판(300)을 위치시키는 겉감고정단계; 및
    상기 제2 재봉라인(310)을 따라 박음질을 하는 재봉선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형성단계는 패딩용 제조틀(A)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재봉라인(310)을 따라 자동으로 박음질을 수행하는 재봉장치(4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장치(400)는 판 형태를 이루는 작업대(410)와,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대(410)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패딩용 제조틀(A)의 일측 가장자리가 파지되어 고정되는 제조틀고정부(420)와,
    상기 제조틀고정부(420)의 상측에 구비되어 패딩용 제조틀(A)을 재봉하는 재봉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장치(400)는 제조틀고정부(4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410)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조틀고정부(4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이동부(4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410)에는 이동부(4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홀(411)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440)가 이동홀(4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딩용 제조틀을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KR1020190104131A 2019-08-26 2019-08-26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KR10204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131A KR102046284B1 (ko) 2019-08-26 2019-08-26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131A KR102046284B1 (ko) 2019-08-26 2019-08-26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284B1 true KR102046284B1 (ko) 2019-11-18

Family

ID=6872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131A KR102046284B1 (ko) 2019-08-26 2019-08-26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2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729A (ko) * 2004-12-07 2005-01-10 박종헌 다운쟈켓
KR101262937B1 (ko) * 2013-01-24 2013-05-09 주식회사 풍신레포츠 패딩용 가공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150137665A (ko) * 2014-05-30 2015-12-09 더인터맥스(주)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KR101582123B1 (ko) * 2015-03-30 2016-01-05 호전실업 주식회사 고주파 접합법으로 형성된 접합패턴선을 갖는 다운제품
KR20170059608A (ko) * 2015-11-23 2017-05-31 더인터맥스(주) 닫힌 다운 채널 구조의 패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00461B1 (ko) * 2018-02-14 2018-11-08 (주)썬테크 헤드터닝 심실링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729A (ko) * 2004-12-07 2005-01-10 박종헌 다운쟈켓
KR100479428B1 (ko) 2004-12-07 2005-03-31 박종헌 다운쟈켓
KR101262937B1 (ko) * 2013-01-24 2013-05-09 주식회사 풍신레포츠 패딩용 가공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150137665A (ko) * 2014-05-30 2015-12-09 더인터맥스(주)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KR101582123B1 (ko) * 2015-03-30 2016-01-05 호전실업 주식회사 고주파 접합법으로 형성된 접합패턴선을 갖는 다운제품
KR20170059608A (ko) * 2015-11-23 2017-05-31 더인터맥스(주) 닫힌 다운 채널 구조의 패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00461B1 (ko) * 2018-02-14 2018-11-08 (주)썬테크 헤드터닝 심실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6149A1 (en) Non-sewn down bed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3255B1 (ko) 보온 패딩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46284B1 (ko)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KR102404253B1 (ko) 양면 무봉제 이불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양면 무봉제 이불 제조 방법
JPS6045381A (ja) キルテイング模様自動縫い方法及び装置
US20150020722A1 (en) Frame for sewing upper pillows on covering shells for mattresses
CN205636041U (zh) 锁眼机
US3163139A (en) Method for sewing a waist band or the like onto a garment
US20120222605A1 (en) Stitch Pattern and Method of Embroidering
CN206836347U (zh) 一种绗缝款男夹克前片拼块的组合式缝制模板夹具
US2323507A (en) Reinforced seam
CN214362114U (zh) 一种链唇自动车缝工艺模板
CN211546866U (zh) 一种自动缝制装置
KR20180087083A (ko) 봉제물의 시접을 테이프로 마감 재봉하는 장치
CN107620167A (zh) 用一道工序完成衬衫过肩制作工艺的方法及自动后复仕机
US2767673A (en) Method of making bound buttonholes
KR20210154054A (ko) 포인트 원단 공급용 재봉틀의 노루발 어태치먼트 및 그에 의한 이불제조방법
CN216445594U (zh) 一种单止口贴袋和上门襟拉链的服装模板
CA1043635A (en) Apparatus for applying slide fastener chain to tubular garment
KR102404254B1 (ko) 일면 무봉제 침구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일면 무봉제 침구 제조 방법
CN210066151U (zh) 服装缝制双规定位器
JP3646910B2 (ja) 畳縫着装置
CN108149393B (zh) 一种带毛勾面皮具的花样机加工方法
JPS5913971Y2 (ja) 糸通し孔等を同時に形成可能なミシンの針部構造
CN105908393A (zh) 作训服后档垫布间距定位装置及其定位缝纫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