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428B1 - 다운쟈켓 - Google Patents

다운쟈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428B1
KR100479428B1 KR10-2004-0102619A KR20040102619A KR100479428B1 KR 100479428 B1 KR100479428 B1 KR 100479428B1 KR 20040102619 A KR20040102619 A KR 20040102619A KR 100479428 B1 KR100479428 B1 KR 10047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ining
seam
tape
out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729A (ko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박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181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794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헌 filed Critical 박종헌
Priority to KR10-2004-010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42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오리털이 주입된 다운쟈켓에 관한 것으로서, 안감과 겉감의 이중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감과 겉감이 결합되게 일정한 간격의 횡방향으로 재봉하여 형성된 겉감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다운격실에 오리털이 주입된 통상의 다운쟈켓에 있어서; 상기 오리털이 접촉되면서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선 및 합봉선을 따라서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양면테이프 또는 심실링테이프의 원단테이프가 상기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봉재되고 상기 원단테이프가 열 변형에 의해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융착되어, 재봉선 및 합봉선의 바늘구멍으로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1차적으로 안감과 겉감에 융착된 원단테이프가 오리털을 삼출하지 않게 하면서 2차적으로 용융된 원단테이프가 바늘구멍을 밀폐함으로서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는 2중 삼출차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운쟈켓{Down Jacket}
본원 발명은 오리털이 주입된 다운쟈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운쟈켓의 상기 오리털이 접촉되면서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선 및 합봉선을 따라서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원단테이프가 상기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봉재되어 내부에 주입된 오리털이 외부로 삼출되지 않는 다운쟈켓에 관한 것이다.
방한복의 일종인 다운쟈켓은 일반적으로 오리털 파카로 통칭되고 있으며 그 안감과 겉감 사이의 내부에 오리나 거위의 가슴털을 주입하여 다른 방한복에 비해 가볍고 따뜻하여 겨울철에 입을 수 있는 의류이다.
다운쟈켓이 다른 겨울철 의류보다 가볍고 따뜻한 것은 매우 가벼우면서도 부더럽고 우수한 보온성을 유지하면서도 통기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건조한 겨울철에도 적정한 습기를 보유하여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오리의 가슴털(이하 '오리털'이라 한다)을 사용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다운쟈켓은 겨울철의 고급 의류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의 종래의 다운쟈켓의 사시도를 살펴보면, 종래의 다운쟈켓(1)은 몸체의 앞·뒷판, 팔 및 깃이 안감(2)과 겉감(3)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감(2)과 겉감(3)을 쟈켓의 형태로 재단하여 앞·뒷판, 팔 및 깃의 각각의 안감(2)과 겉감(3)의 전면이 마주보게 즉 안감(2)과 겉감(3)의 배면이 외부로 향하게 하여 일치시키고, 그 외곽선 즉 안감(2)과 겉감(3)의 합봉선을 따라 오리털 주입구를 제외한 부분을 재봉한 후 이를 뒤집어 상기 안감(2)과 겉감(3) 사이에 즉 다운쟈켓(1)의 내부에 오리털을 주입하여 오리털 주입구를 합봉한다.
오리털이 주입되어 합봉된 다운쟈켓(1)을 일정한 간격의 횡방향으로 상기 안감(2)과 겉감(3)을 일체되게 봉재하고 봉재에 의한 재봉선(4)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다운격실(5)에 의해 전체적으로 두툼한 외투의 형태의 다운쟈켓(1)이 완성된다.
다운쟈켓(1)에 다운격실(5)을 두는 이유는 소비자가 다운쟈켓(1)을 장기간 입고 활동한 경우 또는 다운쟈켓(1)을 입고 운동 등을 한 경우에는 다운쟈켓(1) 내부 즉 다운격실(5)에 채워져 있는 오리털이 다운쟈켓(1)의 하단부로의 처짐을 방지하고, 각 다운격실(5)에 채워져 있는 오리털이 혼류되거나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다운쟈켓(1)에서 오리털이 집중된 부분만 보온을 유지하거나 두툼한 볼륨감이 있게 되어 다운쟈켓(1)의 고유 기능을 상실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다운쟈켓은 상기의 재봉선 및 합봉선에서 바늘구멍으로 오리털이 삼출되어 속옷에 오리털이 묻혀 속옷의 미관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다운쟈켓은 오리털이 실내에서 삼출되어 외부로 비산될 경우에는 실내의 청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다운쟈켓은 오리털이 삼출되므로 음식점 등에서 다운쟈켓을 입고 벗고 하는데 조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비산된 오리털이 음식에 들어가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예의 도 2의 다운 백있는 다운쟈켓의 사시도를 살펴보면, 이는 도 1의 종래의 다운쟈켓의 문제점인 바늘구멍으로 오리털이 삼출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운쟈켓 내부에 다운백을 사용한 것이다.
도 2의 다운쟈켓(6)은 몸체의 앞·뒷판과 팔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다운백(7)을 별도로 제작하여 다운쟈켓(6)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다운백(7)은 원단을 재단하여 낱장을 만들고 2장의 낱장을 겹쳐 외곽선을 따라 오리털 주입구를 제외한 부분을 재봉하여 뒤집어서 미완성 다운백(7)을 완성한다.
도 2의 다운쟈켓도 다운쟈켓(1)은 몸체의 앞·뒷판과 팔이 안감(2)과 겉감(3)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감(2)과 겉감(3)을 쟈켓의 형태로 재단하여 상기 안감(2)과 겉감(3) 사이에 상기 다운백(7)을 위치시킨 후 상기 안감(2)과 겉감(3)의 외곽선을 따라 상기 안감(2)과 겉감(3)을 동시에 봉재하고 재봉실로 일정간격의 횡방향으로 상기 안감(2)과 겉감(3) 및 다운백(7)을 동시에 봉재하면 상기 재봉실의 재봉선(4)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다운격실(5)에 의해 전체적으로 두툼한 외투의 형태로 구성된다.
도 2의 종래의 다운쟈켓(6)은 몸체의 앞·뒷판, 팔 및 깃이 안감(8)과 겉감(9)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감(8)과 겉감(9)을 쟈켓의 형태로 재단하여 앞·뒷판, 팔 및 깃의 각각의 안감(8)과 겉감(9)의 전면이 마주보게 즉 안감(8)과 겉감(9)의 배면이 외부로 향하게 하여 일치시키고, 그 외곽선 즉 안감(8)과 겉감(9)의 합봉선을 따라 오리털 주입구(다운백(7)의 오리털 주입구와 같은 위치됨)를 제외한 부분을 재봉한 후 상기 다운백(7)을 위치시킨다.
상기 다운백(7)이 위치되어 합봉것을 뒤집어 상기 안감(8)과 겉감(9) 사이에 즉 다운쟈켓(6)의 내부에 미완성 다운백(7)이 안치되게 하여 오리털 주입구를 통하여 다운백(7) 내부로 오리털을 주입하여 다운백(7) 및 안감(8)과 겉감(9)의 오리털 주입구를 합봉한다.
오리털이 주입되어 합봉된 다운쟈켓(6)을 일정한 간격의 횡방향으로 상기 안감(8)과 겉감(9) 및 다운백(7)이 일체되게 봉재하고 봉재의 재봉선(10)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다운격실(11)에 의해 전체적으로 두툼한 외투의 형태의 다운쟈켓(6)이 완성된다.
상기의 도 2의 종래기술의 다운쟈켓은 바늘구멍으로 오리털이 삼출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다운백을 사용하더라도 다운백과 안감 및 겉감을 동시에 봉재하는 바늘구멍으로 어느정도의 오리털이 삼출되기도 하였다.
또한, 도 2의 종래기술의 다운쟈켓은 다운백을 사용함으로서 다운백의 무게만큼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고, 쟈켓의 내부의 다운백에 오리털이 주입됨으로서 오리털이 볼륨감을 살리기 위해 오리털이 부풀어도 다운백이 오리털의 볼륨을 제한하게되어 가벼우면서 볼륨감이 있는 다운제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운쟈켓은 레저시 부피를 매우 적게 축소하여 운반함에 있어서 장소와 부피를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도 2의 종래기술의 다운쟈켓은 다운백으로 인하여 축소되는 부피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축소 후의 원 부피로의 복귀도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의 다운쟈켓은 옷감을 잡으면 다운백의 사용으로 인하여 다운백까지 만져짐으로서 두껍고 거칠은 다운백의 질감을 느끼게 되어 얇고 부드럽지 못한 질감이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운쟈켓에서 안감과 겉감이 결합되게 일정한 간격의 횡방향으로 재봉하여 형성된 재봉선 및 안감과 겉감의 합봉선을 따라서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원단테이프가 상기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봉재되어 상기 원단테이프가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부착하여 다운쟈켓 내부에 주입된 오리털이 외부로 삼출되지 않는 다운쟈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안감과 겉감의 이중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감과 겉감이 결합되게 일정한 간격의 횡방향으로 재봉하여 형성된 재봉선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다운격실에 오리털이 주입된 통상의 다운쟈켓에 있어서; 상기 오리털이 접촉되면서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선 및 합봉선을 따라서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원단테이프가 상기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단테이프가 양면테이프 또는 심실링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단테이프가 열 변형에 의해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함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쟈켓의 사시도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몸체의 앞판(27), 뒷판(26), 팔(28) 및 깃 별로 각각 안감(21)과 겉감(22)이 되는 원단을 펼쳐 앞판(27), 뒷판(26), 팔(28) 및 깃 별로 각각 재단하여 각각의 낱장을 만든다.
이와 별도로 원단테이프(29, 30, 31)를 폭이 0.5~2.5㎝되도록 재단한다. 원단테이프(29, 30, 31)의 최소폭을 0.5㎝로 제한하는 이유는 원단테이프(29, 30, 31)의 폭이 0.5㎝이하 경우에는 원단테이프(29, 30, 31)와 앞판(27), 뒷판(26), 팔(28) 및 깃의 각각의 낱장과 일체로 재봉할 경우에 원단테이프(29, 30, 31)의 폭이 미싱의 노루발 폭보다 좁아서 원단테이프(29, 30, 31)가 밀려나서 재봉이 되지 않거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고, 원단테이프(29, 30, 31)의 최대폭을 2.5㎝로 제한 하는 이유는 원단테이프(29, 30, 31)의 폭이 2.5㎝이상 경우에는 원단테이프(29, 30, 31)와 각각의 앞판(27), 뒷판(26), 팔(28) 및 깃 별의 낱장과 일체로 재봉하여 완제품으로 완성되었을 경우에는 다운쟈켓(20)의 옷감을 잡으면 원단테이프(29, 30, 31)까지 잡게 됨으로서 얇고 부드럽지 못한 질감을 느끼게 되며 원단테이프(29, 30, 31)가 오리털의 볼륨을 제한하게되어 볼륨감이 어느 정도 상실되기 때문이다.
상기 앞판(27), 뒷판(26) 및 팔(28) 별로 각각 재단하여 만들어진 각각의 낱장에서 안감(21)과 겉감(22)중 어느 하나에 각각 낱장의 배면에 오리털 주입구로 사용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원단테이프(30)를 안치하고 약 2,500s.p.m의 봉재속도로 안감(21) 또는 겉감(22)의 낱장과 원단테이프(30)를 일체로 봉재한다.
상기 봉재속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봉재속도가 너무 느리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봉재속도가 너무 빠르면 바늘에 열이 발생하여 바늘 주위의 원단이 녹아 바늘 구멍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재봉기의 노루발이 원단테이프(30)를 누르는 압력과 각각의 낱장의 진행하는 속도와 균형이 맞지 않아 원단테이프(30)가 낱장과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4는 퀼팅선이 표시된 본원 발명 몸체의 앞·뒷판 및 팔의 평면도와 같이, 상기 앞판(27), 뒷판(26) 및 팔(28) 별로 각각 재단하여 만들어진 각각의 낱장에서 안감(21)과 겉감(22)중 어느 하나에 각각 낱장의 배면에 직선자 등을 사용하여 분자고 등으로 누빔을 실시하기 위한 가상의 선인 퀼팅선(25)을 긋는다. 즉 앞판(27), 뒷판(26) 및 팔(28) 별로 각각 안감(21) 낱장의 배면에만 퀼팅선(25)을 그리든지 아니면 겉감(22) 낱장의 배면에만 퀼팅선(25)을 긋는 것이다.
도 5는 퀼팅선에 원단테이프가 부착된 본원 발명의 몸체의 앞판의 평면도(뒷판 및 팔에 대한 것은 앞판과 동일하므로 도면을 생략)와 같이, 상기 원단테이프(29)를 사용하고자 하는 앞판(27), 뒷판(26) 및 팔(28) 별로 각각 낱장의 퀼팅선(25) 길이보다 약간 길게 절단하여 절단된 원단테이프(29)를 사용하고자하는 각각 낱장의 퀼팅선(25)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안치시키고, 앞판(27), 뒷판(26) 및 팔(28) 별로 퀼팅선(25)을 그리지 않은 낱장의 배면과 원단테이프(29)를 부착한 낱장의 배면을 마주보게 한다.
도 6은 퀼팅선 원단테이프가 봉재된 본원 발명의 몸체의 앞판의 평면도(뒷판 및 팔에 대한 것은 앞판과 동일하므로 도면을 생략)와 같이, 상기 원단테이프(29)가 안치된 퀼팅선(25)을 따라서 재봉기를 사용하여 안감(21)과 겉감(22)의 낱장과 원단테이프(29)가 일체도록 봉재한다. 이때 봉재속도는 약 2,500s.p.m로 한다.
봉재된 각각의 낱장에서 낱장보다 돌출되어 긴 원단테이프(29)는 돌출부분을 절단하고 합치된 낱장에서 봉재된 원단테이프(29) 부위를 다리미로 다려 주면 원단테이프(29)가 다림열에 의해 열 변형을 일으켜 약간 수축되면서 안감(21) 및 겉감(22) 낱장의 바늘구멍을 밀폐시키면서 안감(21) 및 낱장과 동시에 열 융착된다.
이때, 다림질 온도가 약 120°되게하는데 이 온도로 제한하는 이유는 다림질할 때 봉재된 원단테이프(29)가 다람열로 인하여 어느 정도 원단의 수축이 되면서 바늘구멍을 밀폐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면서 원단테이프(29)와 각각의 낱장이 동시에 융착되기 때문이다. 다림질 온도가 상기 온도보다 월등히 낮을 경우에는 원단테이프(29)가 수축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낱장에 융착되지 못하고, 상기 온도보다 월등히 높을 경우에는 원단테이프(29)가 낱장에 융착되나 원단테이프(29)의 수축이 너무 커서 융착된 낱장이 쪼글쪼글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7은 합봉선에 원단테이프가 부착된 본원 발명 몸체의 평면도(뒷판 및 팔에 대한 것은 앞판과 동일하므로 도면을 생략)와 같이, 상기 각각의 앞판(27), 뒷판(26), 팔(28) 별로 안감(21)과 겉감(22)의 낱장이 전면을 마주보게 하고 즉 원단테이프(29, 30)가 외부로 향하도록 합치된 낱장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원단테이프(31)를 길이방향으로 안치시키되 오리털 주입구는 기 원단테이프(30)를 안치하였으므로 다시 안치하지 않는다.
상기 앞판(27) 및 뒷판(26)의 안감(21)과 겉감(22)의 낱장의 경우에는 오리털 주입구를 제외한 옆구리틔임선, 어깨재봉선 및 목구리재봉선을 비롯한 가장자리 테두리선을 따라서 원단테이프(31)를 안치하고, 상기 팔(28)의 안감(21)과 겉감(22)의 낱장의 경우에는 오리털 주입구를 제외한 어깨재봉선을 비롯한 가장자리 테두리선을 따라서 원단테이프를 안치하여, 새로 안치된 원단테이프(31)를 따라서 안감(21)과 겉감(22) 및 원단테이프(31)를 일체로 재봉하고 낱장보다 돌출된 긴 원단테이프(31)는 돌출부분을 절단한다.
돌출된 원단테이프(31)를 절단한 후 원단테이프(31)가 안치된 옆구리틔임선, 어깨재봉선, 목구리재봉선 및 가장자리 테두리선을 따라서 다림질을 하되 앞판(27), 뒷판(26), 팔(28)의 각각의 합봉된 낱장에서 오리털 주입구는 다림질을 하지 않는다.
봉재속도는 상기와 같이 약 2,500s.p.m로 하며 다림질온도도 상기와 같이 약 120°로 하며 다림열에 의해 원단테이프(31)가 열 변형을 일으켜 약간 수축되면서 바늘구멍을 밀폐시키면서 낱장과 동시에 열 융착된다.
앞판(27), 뒷판(26), 팔(28)의 각각의 합봉된 낱장을 오리털 주입구를 통하여 뒤집어 앞판(27), 뒷판(26), 팔(28) 부분을 완성한다.
한편, 깃(퀼팅선 및 원단테이프 부착에 대한 도면이 상기 4~7도와 동일하므로 도면을 생략)도 상기에서 오리털 주입구에 원단테이프를 안치하여 봉재한 안감(21) 또는 겉감(22)의 각각을 전면이 마주보게 합치하고 합치된 낱장에서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원단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안치시키되 오리털 주입구는 기 원단테이프를 안치하였으므로 다시 안치하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깃 낱장에서 오리털 주입구를 제외한 목구리재봉선을 비롯한 가장자리 테두리선을 따라서 원단테이프를 안치하고 새로 안치된 원단테이프를 따라서 안감(21)과 겉감(22) 및 원단테이프를 일체로 재봉하고 낱장보다 돌출된 긴 원단테이프는 돌출부분을 절단한다.
돌출된 원단테이프를 절단한 후 원단테이프가 안치된 목구리재봉선 및 가장자리 테두리선을 따라서 다림질을 하되 깃의 합봉된 낱장에서 오리털 주입구는 다림질을 하지 않는다.
봉재속도는 상기와 같이 약 2,500s.p.m로 하며 다림질온도도 상기와 같이 약 120°로 하며 다림열에 의해 원단테이프가 열 변형을 일으켜 약간 수축되면서 바늘구멍을 밀폐시키면서 낱장과 동시에 열 융착된다.
앞판(27), 뒷판(26), 팔(28)의 각각의 합봉된 낱장을 오리털 주입구를 통하여 뒤집어 깃 부분을 완성한다.
부분이 완성된 앞판(27), 뒷판(26), 팔(28) 및 깃의 내부 즉 상기 안감(21)과 겉감(22) 사이에 오리털을 주입하게 되는데, 깃 및 앞판(27), 뒷판(26), 팔(28)의 다운격실(24)별로 정확한 중량의 오리털을 주입하기 위해 원통으로된 오리털 주입용기(32)의 중량을 미리 측정하여둔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몸체의 앞판에 오리털을 주입하는 상태도와 같이, 앞판(27), 뒷판(26)과 팔(28)의 다운격실(24) 및 깃 내부에 주입할 오리털을 오리털 주입용기(32)로 그 적정 무게를 달아 두고 오리털이 충진된 오리털 주입용기(32)를 깃 및 앞판(27), 뒷판(26), 팔(28)의 오리털 주입구로 삽입하고 오리털 주입용기(32)의 후방에서 피스톤(33)으로 오리털을 밀어 내어 오리털 주입용기(32) 내의 오리털이 다운격실(24) 및 깃에 충진된다. 정밀한 중량계로 오리털을 달아 정확하게 주입함으로서 다운쟈켓(20)의 품질을 일정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앞판(27), 뒷판(26), 팔(28) 및 깃에서 오리털을 주입한 후 오리털 주입구를 약 2,500s.p.m의 봉재속도로 안감(21) 또는 겉감(22)의 낱장과 원단테이프(29, 30, 31)를 일체로 봉재하여 합봉하고 오리털 주입구 부분을 다리미로 약 120°로 다림질하여 앞판(27), 뒷판(26), 팔(28) 및 깃을 완성한다. 상기 다림열에 의해 원단테이프(29, 30, 31)가 열 변형을 일으켜 약간 수축되면서 바늘구멍을 밀폐시키면서 낱장과 동시에 열 융착된다.
상기 원단테이프(29, 30, 31)는 양면테이프 또는 심실링테이프를 사용하는데, 양면테이프 는 양면테이프와 심실링테이프는 자체에 접착기능이 있어 안감(21)과 겉감(22)을 자연적으로 부착할 수 있거나 다림열에 안감(21)과 겉감(22)을 융착하는 기능으로 인하여 바늘구멍을 자연스럽게 막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오리털이 주입된 앞판(27)과 뒷판(26)과는 옆구리틔임선을 합치하여 재봉기로 합봉하고, 오리털이 주입된 앞판(27)과 뒷판(26) 및 팔(28)은 어깨재봉선을 합치하여 재봉기로 합봉하고, 오리털이 주입된 앞판(27)과 뒷판(26) 및 깃은 목구리재봉선을 합치하여 재봉기로 합봉한 후 각각의 합봉부를 다리미로 다림질 한다.
이때에도 약 2,500s.p.m의 봉재속도로 봉재하고 오리털 약 120°의 열로 다림질한다.
합봉후 다시 약 120°열로 옆구리틔임선, 어깨재봉선, 목구리재봉선, 퀼팅선(25) , 가장자리테두리선 및 오리털 주입구를 재 다림질하여 완성품의 제품이 된다. 재 다름질하는 이유는 상기 다림질에서 다림질이 잘 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안감(21) 및 겉감(22)에 바늘구멍이 있는 것을 방지하고 안감(21)테이프가 안감(21) 및 겉감(22)에 융착되지 않는 부분을 방지하고 옷의 매뭇새를 다듬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다운쟈켓(20)은 퀼팅선(25)의 재봉선 및 옆구리틔임선, 어깨재봉선, 목구리재봉선, 가장자리테두리선 및 오리털 주입구의 합봉선 마다 즉 오리털과 접촉되는 모든 재봉선 및 합봉선을 따라서 안감(21)과 겉감(22)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원단테이프(29, 30, 31)가 상기 안감(21) 및 겉감(22)과 일체되게 봉재되면서, 원단테이프(29, 30, 31)가 열 변형에 의해 상기 안감(21)과 겉감(22)을 동시에 융착되고 상기 원단테이프(29, 30, 31)가 재봉선의 바늘구멍을 밀폐함으로서 다운쟈켓(20) 내의 오리털이 외부로 삼출되지 않는 것이다.
다림질시 원단테이프(29, 30, 31)가 먼저 안감(21)과 겉감(22)보다 용융되어 안감(21)과 겉감(22)을 동시에 융착됨으로서 재봉선 가까이로 오리털의 접근을 방지하는 역활을 함으로서 보다더 확실하게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운쟈켓(20)은 원단테이프(29, 30, 31)가 안감(21)과 겉감(22)에 융착되어 1차적으로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게 하고 원단테이프(29, 30, 31)가 용융되어 바늘구멍을 밀폐함으로서 2차적으로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게 한다.
일반적으로 다운쟈켓(20)의 재봉에서는 국산 11번 바늘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직경이 굵으므로서 바늘구멍이 커게 되어 오리털의 삼출현상이 더 심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산 7번 바늘을 사용할 경우에는 바늘이 직경이 작아 작업중에 쉽게 절단되거나 휨현상이 발생하여 봉재가 곤란하게 되며 그 바늘구멍으로도 오리털이 삼출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독일산 7번 바늘을 사용함으로서 절단되거나 휨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작은 바늘구멍을 원단테이프(29, 30, 31)가 조금 용융되어도 이를 밀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서울에 위치하는 의류품에 대한 공인시험기관인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3차례의 다운삼출에 대한 시험을 의뢰한 바 다음과 같은 시험성적에 대한 결과가 나왔다.
내세탁성 : KSK 0432 : 1999 3회 기계세탁 (1) (1) (B) (켄모어자동세탁기, 정상, 30±3℃, 옷걸이건조, 1.8㎏, 수퍼타이 표준사용량)
변퇴색(급) - - -
다운삼출현상(급) 4 4 4
봉제선 터짐현상 없음 없음 없음
원단Wrinkle현상(급) 4 4 4
봉재선Puckering 현상(급) 4 4 4
상기 성적 중에서 다운삼출등급에서 5급은 비닐봉지에 오리털을 밀봉한 상태이며, 4급은 약 31×33㎝의 크기에서 10개이하 이나 본원 발명은 1개정도 다운이 삼출될 정도였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운쟈켓은 오리털이 접촉되면서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선 및 합봉선을 따라서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원단테이프가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봉재되어 재봉선 및 합봉선의 바늘구멍으로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운쟈켓은 1차적으로 원단테이프가 안감과 겉감에 융착되어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게 하고 2차적으로 원단테이프가 용융되어 바늘구멍을 밀폐함으로서 오리털이 더욱 삼출되지 않게 하게 하는 2중 삼출차단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운쟈켓은 오리털이 삼출되지 않으므로서 겹옷 및 실내의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운 백없는 다운쟈켓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예의 다운 백있는 다운쟈켓의 사시도
도 3은 본원 발명의 다운쟈켓의 사시도
도 4는 퀼팅선이 표시된 본원 발명 몸체의 앞·뒷판 및 팔의 평면도
도 5는 퀼팅선에 원단테이프가 부착된 본원 발명의 몸체의 앞판의 평면도
도 6은 퀼팅선 원단테이프가 봉재된 본원 발명의 몸체의 앞판의 평면도
도 7은 합봉선에 원단테이프가 부착된 본원 발명 몸체의 평면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몸체의 앞판에 오리털을 주입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다운쟈켓 21: 안감
22: 겉감 23: 재봉선
24: 다운격실 25: 퀼팅선
26: 뒷판 27: 앞판
28: 팔 29, 30, 31: 원단테이프
32: 오리털 주입용기 33: 피스톤

Claims (3)

  1. 안감과 겉감의 이중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감과 겉감이 결합되게 일정한 간격의 횡방향으로 재봉하여 형성된 겉감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다운격실에 오리털이 주입된 통상의 다운쟈켓에 있어서; 상기 오리털이 접촉되면서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선 및 합봉선을 따라서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원단테이프가 상기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쟈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테이프가 양면테이프 또는 심실링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쟈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테이프가 열 변형에 의해 상기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쟈켓.
KR10-2004-0102619A 2004-12-07 2004-12-07 다운쟈켓 KR10047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619A KR100479428B1 (ko) 2004-12-07 2004-12-07 다운쟈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619A KR100479428B1 (ko) 2004-12-07 2004-12-07 다운쟈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29A KR20050002729A (ko) 2005-01-10
KR100479428B1 true KR100479428B1 (ko) 2005-03-31

Family

ID=3721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619A KR100479428B1 (ko) 2004-12-07 2004-12-07 다운쟈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428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91B1 (ko) * 2007-04-12 2007-10-18 이보일 다운 점퍼
KR100906407B1 (ko) 2009-04-28 2009-07-09 (주) 이레패션 다운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KR100911881B1 (ko) * 2009-04-28 2009-08-11 (주) 이레패션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KR100916700B1 (ko) 2007-12-07 2009-09-11 이보일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KR100915959B1 (ko) 2009-03-02 2009-09-14 (주)엔앤우튼코리아 다운자켓 및 다운자켓의 제조방법
KR100925003B1 (ko) 2009-01-28 2009-11-04 원전교역(주) 다운 점퍼
KR100932191B1 (ko) 2009-10-01 2009-12-1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주입형 무봉제 웰딩 스마트 웨어의 제조 방법
KR100960979B1 (ko) 2009-02-13 2010-06-03 김혜란 다운 주머니, 그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다운 제품 제조 방법
KR100970777B1 (ko) 2010-03-08 2010-07-16 컴트루인터내셔날주식회사 풍력에 의한 밀봉선 형성을 이용한 오리털 제품의 제조방법
WO2010093211A2 (ko) * 2009-02-13 2010-08-19 Kim Hye Ran 다운 주머니, 이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3912B1 (ko) 2009-09-23 2011-05-11 (주) 이레패션 다운재킷
KR101262937B1 (ko) 2013-01-24 2013-05-09 주식회사 풍신레포츠 패딩용 가공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1399554B1 (ko) 2012-07-17 2014-05-30 서범수 통풍원단이 구비된 다운쟈켓
WO2015137659A1 (ko) * 2014-03-10 2015-09-17 박건용 내부연결부를 구비하는 패딩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22036A1 (ko) * 2015-01-28 2016-08-04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US10271599B2 (en) 2014-10-01 2019-04-30 Young Chul Park Down product having joining pattern line produced by high-frequency bonding techniqu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46284B1 (ko) 2019-08-26 2019-11-18 정재환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93B1 (ko) * 2007-09-28 2008-04-29 이보일 입체 공기순환 방수 다운 점퍼
KR100888956B1 (ko) * 2008-07-04 2009-03-16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세로 퀼팅형 다운 쟈켓 및 그 제작방법
JP2010018900A (ja) * 2008-07-09 2010-01-28 Shimano Inc 上着
KR101156267B1 (ko) * 2011-09-06 2012-06-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점퍼
KR101291741B1 (ko) * 2011-12-19 2013-07-31 이연옥 2-레이어 양면 다운쟈켓의 재봉방법
KR101375286B1 (ko) * 2012-03-05 2014-03-19 이연옥 통풍수단이 구비된 다운쟈켓
KR101307987B1 (ko) * 2012-12-13 2013-09-12 서범수 자유로운 겉감 선택이 가능한 다운쟈켓
KR101602627B1 (ko) * 2014-05-30 2016-03-11 더인터맥스(주) 다운 의류의 재봉 방법
KR101453346B1 (ko) * 2014-05-30 2014-10-23 이맥스플러스(주) 심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운자켓 및 이를 이용한 다운자켓의 재봉방법
KR102386001B1 (ko) * 2021-11-15 2022-04-14 주식회사 나래데코 침구용 격벽 제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91B1 (ko) * 2007-04-12 2007-10-18 이보일 다운 점퍼
KR100916700B1 (ko) 2007-12-07 2009-09-11 이보일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KR100925003B1 (ko) 2009-01-28 2009-11-04 원전교역(주) 다운 점퍼
WO2010093211A2 (ko) * 2009-02-13 2010-08-19 Kim Hye Ran 다운 주머니, 이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0979B1 (ko) 2009-02-13 2010-06-03 김혜란 다운 주머니, 그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다운 제품 제조 방법
KR100972002B1 (ko) 2009-02-13 2010-07-23 김혜란 다운 주머니, 이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WO2010093103A1 (ko) * 2009-02-13 2010-08-19 Kim Hye Ran 다운 주머니, 그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다운 제품 제조 방법
WO2010093211A3 (ko) * 2009-02-13 2010-11-25 Kim Hye Ran 다운 주머니, 이를 이용한 다운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5959B1 (ko) 2009-03-02 2009-09-14 (주)엔앤우튼코리아 다운자켓 및 다운자켓의 제조방법
KR100911881B1 (ko) * 2009-04-28 2009-08-11 (주) 이레패션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KR100906407B1 (ko) 2009-04-28 2009-07-09 (주) 이레패션 다운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KR101033912B1 (ko) 2009-09-23 2011-05-11 (주) 이레패션 다운재킷
KR100932191B1 (ko) 2009-10-01 2009-12-1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주입형 무봉제 웰딩 스마트 웨어의 제조 방법
KR100970777B1 (ko) 2010-03-08 2010-07-16 컴트루인터내셔날주식회사 풍력에 의한 밀봉선 형성을 이용한 오리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399554B1 (ko) 2012-07-17 2014-05-30 서범수 통풍원단이 구비된 다운쟈켓
KR101262937B1 (ko) 2013-01-24 2013-05-09 주식회사 풍신레포츠 패딩용 가공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WO2015137659A1 (ko) * 2014-03-10 2015-09-17 박건용 내부연결부를 구비하는 패딩 및 그 제조 방법
US10271599B2 (en) 2014-10-01 2019-04-30 Young Chul Park Down product having joining pattern line produced by high-frequency bonding techniqu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6122036A1 (ko) * 2015-01-28 2016-08-04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KR102046284B1 (ko) 2019-08-26 2019-11-18 정재환 패딩용 제조틀 및 이를 이용한 패딩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29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428B1 (ko) 다운쟈켓
KR101307987B1 (ko) 자유로운 겉감 선택이 가능한 다운쟈켓
JP2017523831A (ja) 衣服およびその他の生地製品用の接着製作方法
KR101033912B1 (ko) 다운재킷
US1421131A (en) Vest, jacket, and the like
CN103948200B (zh) 一种高端全对格对条衬衫的制作工艺
KR100835612B1 (ko) 웰딩 다운 자켓
CN114271568A (zh) 一种防羽布型羽绒服面料的加工工艺
KR101631877B1 (ko) 무봉재 다운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다운 의류
CN109252300B (zh) 一种应用于服装产品的西装式驳领缝制方法
KR101453346B1 (ko) 심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운자켓 및 이를 이용한 다운자켓의 재봉방법
US20190084699A1 (en) Method for padding double cloths
KR101897408B1 (ko) 발열덕다운 패딩웨어
CN114711494B (zh) 一种羽绒服和羽绒防跑绒工艺
CN106174767A (zh) 一种羽绒服的工艺流程
JP2020186478A (ja) 羽毛入り製品の製造方法及び羽毛入り製品
CN108323835A (zh) 一种一体式保暖棉裤、缝制方法
US20090297798A1 (en) Feather-Filled Product Structure Without Stitches for Leak of Feathers Prevention
CN205648987U (zh) 具有插笔口袋的袖子及衣服
JP2015089985A (ja) 上衣
KR101135643B1 (ko) 다운쟈켓의 재봉방법
RU41958U1 (ru) Утепленная верхняя одежда
JP2018071019A (ja) 中綿入り衣料の製造方法
CN207870308U (zh) 一种立领运动衣
CN217565018U (zh) 一种面料及运动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521

Effective date: 2009093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208

Effective date: 2010062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223

Effective date: 201006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