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881B1 -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 Google Patents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881B1
KR100911881B1 KR1020090036840A KR20090036840A KR100911881B1 KR 100911881 B1 KR100911881 B1 KR 100911881B1 KR 1020090036840 A KR1020090036840 A KR 1020090036840A KR 20090036840 A KR20090036840 A KR 20090036840A KR 100911881 B1 KR100911881 B1 KR 10091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jacket
hot melt
outer fabric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남
Original Assignee
(주) 이레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레패션 filed Critical (주) 이레패션
Priority to KR102009003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재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운격실 사이의 경계를 핫멜트로 접착 및 봉제함으로써 다운 삼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운재킷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봉선이 형성되는 안감 및 겉감 사이에 핫멜트를 도포하여 다운격실을 형성함에 따라, 다운이 인접하는 다운격실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눌러붙어 바늘구멍을 막아주기 때문에, 바늘구멍을 통한 다운의 삼출이 방지되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다운격실 사이의 경계 부분에 2개의 메쉬띠가 봉제됨에 따라, 1차적으로 메쉬띠 표면에 다운이 눌러붙어 바늘구멍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메쉬띠 가장자리에 다운이 엉겨붙어 재봉선의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가 막혀 다운이 바늘구멍을 통하여 삼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다운재킷, 안감, 겉감, 핫멜트, 재봉선, 다운격실, 오리털, 메쉬띠

Description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MANUFACTURING METHOD OF DOWN JACKET FOR PREVENTING STICK-THROUGH OF DOWN AND THE DOWN JACKET THEREFROM}
본 발명은 다운재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운격실 사이의 경계에 핫멜트를 도포하고 열압착하여 다운이 눌러붙도록 함에 따라 눌러붙은 다운이 봉제선의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를 막아 다운 삼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운재킷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고 찬 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철에는 오리털이나 거위털 (이하, '다운'이라 총칭함)로 충전한 패딩 점퍼 형태의 다운재킷을 많이 착용하게 되는데, 도 1a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운재킷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b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운재킷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다운재킷(10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킷본체를 형성하는 안감(110)과 겉감(120) 사이에 다운(140)이 구획 개재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다운은 그 자체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적은 양으로도 공기를 많이 머금을 수 있어 보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다운재킷(100)은 통상적으로 안감(110)과 겉감(120)을 각각 재킷 형태로 재단한 후, 재단된 안감(110)과 겉감(120)의 가장자리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들을 서로 합봉하기 위해 재봉한 다음, 안감(110)과 겉감(120)의 내부로 다운(140)을 충전한 후, 내부에 충전된 다운(140)이 아래로 쳐지거나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재봉하여 안감과 겉감 사이에 다수의 다운격실(131)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다운재킷의 경우에는 안감(110)과 겉감(120)의 가장자리가 합봉되거나 다운격실(131)의 형성을 위해 횡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재봉되는 재봉선(130)의 각 바늘구멍을 통해 그 내부의 다운(140)이 빠져 나오게 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보온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2004-0102619호에는, 안감과 겉감의 이중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안감과 겉감이 결합되게 횡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재봉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다운격실에 다운이 주입된 통상의 다운쟈켓에 있어서, 다운이 접촉되면서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선을 따라서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정한 폭으로 된 띠 형상의 양면테이프 또는 심실링테이프의 원단테이프가 안감 및 겉감과 일체되게 재봉되고 원단테이프가 열 변형에 의해 안감과 겉감 을 동시에 융착시킴에, 1차적으로 안감과 겉감에 융착된 원단테이프가 재봉선의 바늘구멍으로 다운이 빠져나오지 않게 하면서 2차적으로는 용융된 원단테이프가 바늘구멍을 밀폐함으로써 다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다운재킷이 공개되어 있
그러나 특허출원 제10-2004-0102619호에 따른 다운재킷의 경우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심실링테이프가 비교적 무겁고 딱딱한 느낌을 주며 박리가 잘 될 뿐만 아니라, 테이프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재봉할 경우에는 바늘구멍이 더 넓어져 그 사이로 다운이 더 많이 빠져나오게 되며, 재봉선을 따라 다운이 엉겨붙지 못해 바늘구멍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를 열변형을 통해 안감과 겉감에 융착시켜야 하는 후처리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 및 노동력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운격실의 경계 부분에 핫멜트를 도포한 후 열압착하여 다운이 겉감과 안감 사이에서 눌러붙어 봉제선의 바늘구멍을 막고, 다운격실 내부의 다운이 봉제선의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를 막아 다운이 바늘구멍을 통하여 삼출되지 못하게 되어 방한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다운재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 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은, 안감 및 겉감을 다운재킷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다운격실 형성을 위해 봉제될 부분의 안감 및 겉감 내면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재단된 안감과 겉감을 서로 포갠 상태로 일측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다운주입구를 형성하고, 핫멜트가 도포된 부분의 중앙을 따라 봉제하여 다수개의 다운격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주입구를 통하여 각 다운격실에 다운을 충전한 후 다운주입구를 봉제하여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 또는 겉감 외측으로부터 핫멜트가 도포된 부분을 열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는 고형 분말을 스틱형으로 성형한 고형 핫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은, 안감 및 겉감을 다운재킷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다운격실 형성을 위해 봉제될 부분의 안감 및 겉감 내면에 각각 메쉬띠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과 겉감 내면에 부착된 메쉬띠를 따라 핫멜트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재단된 안감과 겉감을 서로 포갠 상태로 일측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다운주입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주입구를 통하여 안감과 겉감 사이에 다운을 충전한 후 다운주입구를 봉제하여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띠의 중앙부를 따라 봉제하여 안감과 겉감, 그리고 메쉬띠를 합봉 결합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다운격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외부로부터 핫멜트가 도포된 메쉬띠 부착 부분 을 열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는 고형 분말을 스틱형으로 성형한 고형 핫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쉬띠는 봉제에 앞서 안감 또는 겉감에 예비 및 임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다운재킷은, 재킷형상으로 재단되는 안감과; 상기 안감에 대응되도록 재킷형상으로 재단되고, 상기 안감에 포개진 상태로 가장자리가 합봉되는 겉감과; 다운격실 형성을 위해 봉제될 부분의 안감 및 겉감 내면에 도포되는 핫멜트와; 상기 핫멜트가 도포된 부분의 중앙부를 따라 봉제하여 다수의 다운격실을 형성하는 봉제선과; 상기 다운격실 내로 충전되는 다운을 포함하되; 상기 다운격실 내에 다운 충전후 핫멜트가 도포된 부분을 열압착하여 다운격실의 경계 부분의 안감 및 겉감에 다운이 눌러붙어 바늘구멍을 향하는 경로를 막아 다운 삼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다운재킷은, 다운재킷 재킷형상으로 재단되는 안감과; 상기 안감에 대응되도록 재킷형상으로 재단되고, 상기 안감에 포개진 상태로 가장자리가 합봉되는 겉감과; 다운격실 형성을 위 해 봉제될 부분의 안감 및 겉감 내면에 각각 부착되는 메쉬띠와; 상기 안감과 겉감 내면에 부착된 메쉬띠를 따라 도포되는 핫멜트와; 상기 안감 및 겉감 사이에 충전되는 다운과; 다운 충전후 상기 메쉬띠의 중앙부를 따라 봉제하여 안감과 겉감, 그리고 메쉬띠를 합봉 결합하고 다수의 다운격실을 형성하는 봉제선을 포함하되;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외부로부터 핫멜트가 도포된 메쉬띠 부착 부분을 열압착하여 메쉬띠 표면에 다운이 눌러붙고, 메쉬띠 가장자리에 다운이 엉겨붙어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를 차단하여 다운 삼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봉선이 형성되는 안감 및 겉감 사이에 핫멜트를 도포하여 다운격실을 형성함에 따라, 다운이 인접하는 다운격실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눌러붙어 바늘구멍을 막아주기 때문에, 바늘구멍을 통한 다운의 삼출이 방지되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다운격실 사이의 경계 부분에 2개의 메쉬띠가 봉제되고 핫멜트에 의해 1차적으로 메쉬띠 표면에 다운이 눌러붙어 바늘구멍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메쉬띠 가장자리에 다운이 엉겨붙어 재봉선의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가 막혀 다운이 바늘구멍을 통하여 삼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3은 핫멜트가 도포된 안감과 겉감의 평면도, 도 4 는 안감과 겉감을 포갠 상태에서 봉제하여 다운격실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5 는 다운격실에 다운을 주입하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6 은 다운격실에 다운 충전후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7 은 제조된 다운재킷의 다운격실 경계면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은, 재단단계, 핫멜트도포단계, 봉제단계, 다운충전단계, 아이롱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단계로서 상기 재단단계는 안감(10) 및 겉감(20)을 다운재킷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다운재킷은 크게 사람의 몸통을 둘러싸는 앞판과 뒷판 부분, 사람의 팔을 둘러싸는 양팔부분, 그리고 기타 목 둘레를 감싸는 깃부분 등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러한 각 부분품들은 개별적으로 재단 및 다운 충전후 최종적으로 봉제 결합되어 하나의 다운재킷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는, 안감(10) 및 겉감(20)을 이와 같은 각 부분품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각 부분품 중 다운재킷의 몸통부 뒷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안감(10)은 주로 폴리에스터 섬유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모처리될 수도 있다. 겉감(20)은 나일론 섬유재 또는 나일론-폴리에스터 혼합섬유재가 많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소재를 비롯한 방풍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안감(10)과 겉감(20)은 각각 앞판 부분, 뒤판 부분, 양팔 부분, 깃 부분이 분리 형성된 후 재봉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앞판 부분, 뒤판 부분, 양팔 부분, 깃 부분 전체가 일체로 재단될 수도 있다.
안감(10)과 겉감(20)의 재단이 완료되면, 2 단계로서 핫멜트도포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핫멜트도포단계는 다운격실(50) 형성을 위해 봉제될 부분, 즉, 인접하는 다운격실(50)의 경계 부분의 안감(10) 및 겉감(20) 내면에 핫멜트(3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도 3 에는 예시적으로 다운재킷의 부분품 중 뒷판을 형성하는 안감(10) 및 겉감(20)의 내면에 핫멜트(30)가 도포된 모습이 도시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핫멜트(30)는 추후 가로방향 퀼팅에 의해 다운격실(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운재킷의 부분품에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고, 가로방향으로 수평으로 핫멜트(30)를 도포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띠형상 핫멜트존을 형성한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핫멜트(30)는 분말형, 액상형 등 그 유형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포가 용이하고, 도포후 다른 공정 수행시 핫멜트의 유실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스틱형 고형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틱형 고형 핫멜트는 분필형 핫멜트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형 분말을 스틱형으로 성형한 것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분필로 색칠을 하듯 안감(10)과 겉감(20)에 문지르면 핫멜트 분말이 안감(10)과 겉감(20)에 부착 도포된다. 상기 핫멜트의 성분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안감(10)과 겉감(20)의 주 소재인 폴리에스터 섬유와 접착성이 우수하고 방수성 및 유연성이 좋은 우레탄수지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도포가 완료되면, 제 3 단계로서 봉제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봉제단계는 안감(10)과 겉감(20)을 서로 포갠 상태로 일측을 제외한 부분품의 가장자리를 봉제하고, 각 핫멜트존의 중앙을 따라 봉제하여 다수개의 다운격실(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다수의 다운격실(50)을 형성하는 이유는, 안감(10)과 겉감(20) 사이에 충전된 다운이 자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쳐지거나 일측으로 쏠려 본 발명에 따른 다운재킷의 전체 형상이 변형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다운의 분포를 균일화하여 전체적으로 동일한 보온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에는 이러한 봉제단계가 수행된 상태의 부분품 구조가 도시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핫멜트존을 따라 봉제선(40)이 형성되어 다수의 다운격실(50)이 형성되고, 일측을 제외한 가장자리 부분이 봉제되어 안감(10) 및 겉감(20)이 서로 합봉 결합되며, 봉제되지 않은 일측에는 후술하는 다운충전단계에서 각 다운격실(50)에 다운을 충전할 수 있도록 다운주입구(60)가 형성된다.
상기 봉제단계를 거침에 따라 안감(10)과 겉감(20)이 합봉 결합되고 다수의 다운격실(50)이 형성되면, 제 4 단계로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다운주입구(60)를 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각 다운격실(50)에 다운을 충전하는 다운충전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은 주로 거위나 오리의 목 밑의 가슴털과 거위나 오리의 날개 깃털에 해당하는 훼더(feather)로 크게 구분되는데, 이들의 혼합률에 따라 다운재킷의 질이 결정되며 대개 다운의 함량이 높은 것(90 퍼센트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재킷에 있어서, 상기 다운은 거위나 오리의 가슴털을 지 칭하는 것이기는 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슴털과 훼더(feather)와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운은 천연소재 중에서 가장 가벼우면서도 보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섬유 그 자체가 따뜻하기 보다는 섬유의 구조상 많은 양의 정지 공기층(still-air layer)을 함유할 수 있어 보온성이 증가된다. 그러나 다운은 섬유가 짧고 약해 제직할 수 없으므로 그 자체만으로는 의류로 이용될 수 없고 주로 안감(10)과 겉감(20)의 내부를 채우는 충전소재로서만 이용된다.
본 다운충전단계에서는 다운 충전후 개방되어 있는 다운주입구(60)를 별도 봉제 작업을 통해 추가적으로 마감 처리한다. 도 6 에는 다운 충전이 완료된 상태의 다운재킷 부분품의 모습이 도시된다.
다운 충전이 완료되면, 도 5 단계로서 아이롱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아이롱단계는 안감(10) 또는 겉감(20) 외측으로부터 인접하는 다운격실(50)의 경계에 형성된 핫멜트존을 열압착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열압착은 통상의 다리미나 인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특수 제작된 봉형상 또는 사각바 형태의 가열봉으로 겉감(20) 또는 안감(10)의 외측으로부터 핫멜트존 부분을 열압착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핫멜트존 을 열압착하면 핫멜트가 열에 의해 용융되었다가 다시 경화되면서 안감(10)과 겉감(20)의 핫멜트존에 충전된 다운이 눌러붙게 된다.
도 7 에는 이러한 열압착에 의해 안감(10)과 겉감(20)의 핫멜트존에 다운이 눌러붙은 상태의 다운격실 경계면의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봉제후 다운을 충전하고 열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운격실(50)에 다운을 충전하게 되면, 봉제선(40) 주변에도 다운이 모여 게재되며, 아이롱단계를 거치면서 핫멜트에 의해 봉제선(40) 주변의 다운들이 안감(10)과 겉감(20) 내면에 핫멜트와 함께 눌러붙게 된다. 이에 따라, 눌러붙은 다운에 의해 봉제선(40)의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가 차단되므로 다운격실(50)에 충전된 다른 다운들이 바늘구멍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다운재킷 외측으로의 다운 삼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하는 다운격실(50)의 경계 부분에 추가적으로 메쉬띠(80,80')를 부착하고 핫멜트로 열압착한 후 봉제하는 것이 다운 삼출 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8 은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9 는 메쉬띠가 부착된 안감과 겉감의 평면도, 도 10 는 메쉬띠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11 은 안감과 겉감을 포갠 상태에서 부분 품의 가장자리를 봉제한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12 는 제조된 다운재킷의 다운격실 경계면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은 재단단계, 메쉬띠부착단계, 핫멜트도포단계, 1차봉제단계, 다운충전단계, 아이롱단계, 2차봉제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단계로서 상기 재단단계는 이미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단계와 동일하게 안감(10)과 겉감(20)을 다운재킷의 각 부분품 형태로 재단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재단단계가 완료되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계로서, 다운재킷의 부분품을 형성하는 안감(10)과 겉감(20)의 내면에 메쉬띠(80,80')를 각각 부착하되, 상기 부분품에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고, 가로방향으로 수평으로 부착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부착한다.
상기 메쉬띠(80,80')는 그물망 형태와 같이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직물재 띠로서, 재질은 면 또는 폴리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메쉬띠(80,80')는 재봉선을 형성하는 실을 고정하여 재봉선의 바늘구멍이 더 크게 확대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가장자리 부분에 다수의 실들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가장 자리에서 오리털의 엉김을 유도하여 재봉선의 바늘구멍을 막아 오리털이 재봉선의 바늘구멍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거즈와 같은 메쉬직물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운재킷이 두껍고 방한성이 보다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쉬띠(80,80')가 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운재킷이 경량성이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메쉬띠(80,80')가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띠(80,80')가 면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표면의 기모에 의해 오리털을 보다 더 잘 잡아주어 바늘구멍을 막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터의 소재 특성상 자체 복원력을 가지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바느질 부위가 납작해졌다가 다시 부풀어 오름에 따라 바늘구멍을 막아 오리털이 바늘구멍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메쉬띠(80,80')는 비교적 가볍고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자체 메쉬 상에 봉제선(40)을 형성하는 실이 박음질될 경우 봉제선(40)의 실이 최초에 박음질된 형상 그대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며, 메쉬띠(80,8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주로 다운이 엉기게 됨에 따라 서로 엉긴 다운들이 봉제선(40)의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를 막아 봉제선(40)의 바늘구멍을 통해 다운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전면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메쉬띠(80,80')는 봉제에 앞서 안감(10) 또는 겉감(20)의 봉제선(40)에 해당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예비 및 임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어 안감(10) 및/또는 겉감(2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양면 테이프나 심실링테이프 등을 사용하는 경우 재질이 경질이기 때문에 직선적으로만 부착 및 봉제가 가능했으나, 면 또는 폴리에스터 메쉬띠(80,80')를 사용하면 곡선 부분에도 자유롭게 봉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메쉬띠(80,80')의 구멍 크기는 다운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적인 다운의 크기를 고려할 때, 상기 메쉬띠(80,80')의 구멍 크기는 가로 및 세로가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띠(80,80')의 구멍 밀도(1인치 당 실의 갯수)는 21G/41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인치 당 세로 21개, 가로 41개의 실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수치로 환산하면 구멍의 세로 크기는 약 1mm, 가로 크기는 약 0.05mm 정도이다.
메쉬띠의 부착이 완료되면, 제 3 단계로서 핫멜트도포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핫멜트도포단계에서는 안감(10)과 겉감(20) 내면에 부착된 메쉬띠(80,80')를 따라 핫멜트(30')를 도포한다. 도 10 에는 고형 핫멜트를 손으로 파지하여 메쉬띠(80,80')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핫멜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분필형 핫멜트가 동일하게 사용된다.
메쉬띠(80,80')에 핫멜트 도포가 완료되면, 제 4 단계로서 1차봉제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차봉제단계에서는, 도 11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20)과 안감(10)을 서로 포갠 상태로 일측을 제외한 부분품의 가장자리를 봉제한다. 이와 같은 1차 봉제에 따라, 도 1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품의 일측에 다운주입구(60')가 형성되며, 도 11 의 (a)의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10)과 겉감(20)에 각각 메쉬띠(80,80')가 일시 부착 고정되어 있으며, 메쉬띠(80,80')에 핫멜트가 도포된 것을 알 수 있다.
1차 봉제에 의해 다운주입구(60') 형성이 완료되면, 제 5 단계로서 다운충전단계가 수행된다. 도 11 의 (b)에 도시된 다운주입구(60')를 통하여 다운을 안감(10)과 겉감(20) 사이에 충전하되, 현재 상태에서는 아직 다운격실(50)이 형성된 상태가 아니므로 충전된 다운이 부분품 전체에 걸쳐 고르게 펴질 수 있도록 충전후 고르게 두드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다운충전단계에서는 추가적인 봉제 작업을 통하여 상기 다운주입구(60')를 마감 처리한다.
다운 충전이 완료되면, 제 6 단계로서 2차봉제단계를 수행한다. 본 2차봉제단계에서는 메쉬띠(80,80')의 중앙부를 따라 봉제하여 안감(10)과 겉감(20), 그리고 메쉬띠(80,80')를 합봉 결합하고, 이에 따라, 다수개의 다운격실(50)이 형성된다.
2차봉제단계가 완료되면, 제 7 단계로서 아이롱단계를 수행한다. 본 아이롱단계에서는 안감(10) 또는 겉감(20)의 외부로부터 상기 메쉬띠(80,80')가 부착된 부분을 다리미, 인두, 또는 기타 봉형상이나 사각바 형상의 가열봉을 이용하여 열압착하여 핫멜트를 용융시킨 후 다시 경화시켜 안감(10)에 부착된 메쉬띠(80,80')와 겉감(20)에 부착된 메쉬띠(80,80') 표면에 다운이 눌러붙도록 한다. 도 12 에는 아이롱단계를 거쳐 제조된 다운재킷의 다운격실(50) 경계면의 단면 구조가 도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압착에 의해 2개의 메쉬띠(80,80') 표면에 다운들이 눌러붙어 봉제선(40)의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를 막아 1차적으로 다운의 삼출이 방지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격실(50)의 중앙부분은 대체로 넓고, 가장자리, 즉, 봉제된 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데, 다운격실(50)내 다운이 바늘구멍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메쉬띠(80,80')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에 걸려 부착된다. 즉, 메쉬띠(80,80')가 다운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다운이 그 단부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운격실(50)은 중앙이 넓고 가장자리 봉제 부분으 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는데, 이렇게 좁은 통로에 메쉬띠(80,80')가 수직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놓여지더라도 다운은 상기 메쉬띠(80,80')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고, 또한, 다운과 메쉬띠(80,80') 사이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 부착된다. 그리고, 일단, 어느 하나의 다운이 메쉬띠(80,8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면, 메쉬띠(80,80')에 부착된 다운에 다른 다운이 부착되고, 또 그렇게 부착된 다운에 또 다른 다운이 연쇄적으로 부착되어 메쉬띠(80,80') 주변에 다수의 다운이 엉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다운 뭉치가 다운격실(50)의 좁은 가장자리 부분의 공간을 대부분 차지하여 다른 다운이 바늘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게된다. 즉, 다운이 메쉬띠(80,80')의 가장자리 부분에 엉김에 의해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를 막아 다운이 바늘구멍에 도달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다운의 삼출이 방지되며, 이렇게 다운이 충전된 부분품들은 상호 봉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완성된 하나의 다운재킷이 형성될 수 있고, 재단단계에서 부분품이 아닌 일체형 다운재킷 형태로 재단되는 경우 아이롱 단계로서 다운재킷이 완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운재킷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운재킷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3은 핫멜트가 도포된 안감과 겉감의 평면도,
도 4 는 안감과 겉감을 포갠 상태에서 봉제하여 다운격실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5 는 다운격실에 다운을 주입하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6 은 다운 충전이 완료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7 은 제조된 다운재킷의 다운격실 경계면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8 은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재킷 제조 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9 는 메쉬띠가 부착된 안감과 겉감의 평면도,
도 10 은 메쉬띠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11 은 안감과 겉감을 포갠 상태에서 부분품의 가장자리를 봉제한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12 는 제조된 다운재킷의 다운격실 경계면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감 20 : 겉감
30 30': 핫멜트 40 : 봉제선
50 : 다운격실 60,60' : 다운주입구
80,80' : 메쉬띠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안감 및 겉감을 다운재킷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다운격실 형성을 위해 봉제될 부분의 안감 및 겉감 내면에 각각 메쉬띠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과 겉감 내면에 부착된 메쉬띠를 따라 핫멜트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재단된 안감과 겉감을 서로 포갠 상태로 일측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다운주입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주입구를 통하여 안감과 겉감 사이에 다운을 충전한 후 다운주입구를 봉제하여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띠의 중앙부를 따라 봉제하여 안감과 겉감, 그리고 메쉬띠를 합봉 결합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다운격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외부로부터 핫멜트가 도포된 메쉬띠 부착 부분을 열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재킷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핫멜트는 고형 분말을 스틱형으로 성형한 고형 핫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재킷 제조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띠는 봉제에 앞서 안감 또는 겉감에 예비 및 임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재킷 제조 방법.
  6. 다운재킷으로서,
    재킷형상으로 재단되는 안감과;
    상기 안감에 대응되도록 재킷형상으로 재단되고, 상기 안감에 포개진 상태로 가장자리가 합봉되는 겉감과;
    다운격실 형성을 위해 봉제될 부분의 안감 및 겉감 내면에 도포되는 핫멜트와;
    상기 핫멜트가 도포된 부분의 중앙부를 따라 봉제하여 다수의 다운격실을 형성하는 봉제선과;
    상기 다운격실 내로 충전되는 다운을 포함하되;
    상기 다운격실 내에 다운 충전후 핫멜트가 도포된 부분을 열압착하여 다운격실의 경계 부분의 안감 및 겉감에 다운이 눌러붙어 바늘구멍을 향하는 경로를 막아 다운 삼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재킷.
  7. 다운재킷으로서,
    다운재킷 재킷형상으로 재단되는 안감과;
    상기 안감에 대응되도록 재킷형상으로 재단되고, 상기 안감에 포개진 상태로 가장자리가 합봉되는 겉감과;
    다운격실 형성을 위해 봉제될 부분의 안감 및 겉감 내면에 각각 부착되는 메쉬띠와;
    상기 안감과 겉감 내면에 부착된 메쉬띠를 따라 도포되는 핫멜트와;
    상기 안감 및 겉감 사이에 충전되는 다운과;
    다운 충전후 상기 메쉬띠의 중앙부를 따라 봉제하여 안감과 겉감, 그리고 메 쉬띠를 합봉 결합하고 다수의 다운격실을 형성하는 봉제선을 포함하되;
    상기 안감 또는 겉감의 외부로부터 핫멜트가 도포된 메쉬띠 부착 부분을 열압착하여 메쉬띠 표면에 다운이 눌러붙고, 메쉬띠 가장자리에 다운이 엉겨붙어 바늘구멍으로 통하는 경로를 차단하여 다운 삼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재킷.
KR1020090036840A 2009-04-28 2009-04-28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KR10091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40A KR100911881B1 (ko) 2009-04-28 2009-04-28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40A KR100911881B1 (ko) 2009-04-28 2009-04-28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881B1 true KR100911881B1 (ko) 2009-08-11

Family

ID=4120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840A KR100911881B1 (ko) 2009-04-28 2009-04-28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88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77B1 (ko) 2010-03-08 2010-07-16 컴트루인터내셔날주식회사 풍력에 의한 밀봉선 형성을 이용한 오리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074365B1 (ko) 2011-02-21 2011-10-19 이연옥 다운쟈켓용 테이프
KR101183671B1 (ko) 2011-03-04 2012-09-17 김명분 패딩의 구획 형성방법 및 그 패딩
KR101307987B1 (ko) * 2012-12-13 2013-09-12 서범수 자유로운 겉감 선택이 가능한 다운쟈켓
KR101453346B1 (ko) * 2014-05-30 2014-10-23 이맥스플러스(주) 심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운자켓 및 이를 이용한 다운자켓의 재봉방법
KR101504675B1 (ko) 2013-10-30 2015-03-20 주식회사 블랙야크 볼륨감이 향상된 에어탱크형 다운자켓 및 그 제조방법
CN104738867A (zh) * 2013-12-29 2015-07-01 波司登羽绒服装有限公司 一种羽绒服快速兜胆布的方法
KR20160092840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KR101669938B1 (ko) * 2015-08-11 2016-10-27 주식회사 밀레 사각 형상의 격실 구조를 갖는 다운 의류의 퀼팅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다운 의류
IT201700080861A1 (it) * 2017-07-18 2019-01-18 Moncler S P A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capi di abbigliamento imbottiti di piume.
US10271599B2 (en) 2014-10-01 2019-04-30 Young Chul Park Down product having joining pattern line produced by high-frequency bonding techniqu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4532626A (zh) * 2021-12-28 2022-05-27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无缝式羽绒服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428B1 (ko) * 2004-12-07 2005-03-31 박종헌 다운쟈켓
KR200434829Y1 (ko) 2006-08-17 2006-12-28 신복호 재봉선이 없는 무봉제 오리털의류
KR100767991B1 (ko) 2007-04-12 2007-10-18 이보일 다운 점퍼
KR100835612B1 (ko) * 2007-11-01 2008-06-09 박종헌 웰딩 다운 자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428B1 (ko) * 2004-12-07 2005-03-31 박종헌 다운쟈켓
KR200434829Y1 (ko) 2006-08-17 2006-12-28 신복호 재봉선이 없는 무봉제 오리털의류
KR100767991B1 (ko) 2007-04-12 2007-10-18 이보일 다운 점퍼
KR100835612B1 (ko) * 2007-11-01 2008-06-09 박종헌 웰딩 다운 자켓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77B1 (ko) 2010-03-08 2010-07-16 컴트루인터내셔날주식회사 풍력에 의한 밀봉선 형성을 이용한 오리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074365B1 (ko) 2011-02-21 2011-10-19 이연옥 다운쟈켓용 테이프
KR101183671B1 (ko) 2011-03-04 2012-09-17 김명분 패딩의 구획 형성방법 및 그 패딩
KR101307987B1 (ko) * 2012-12-13 2013-09-12 서범수 자유로운 겉감 선택이 가능한 다운쟈켓
WO2014092508A1 (en) * 2012-12-13 2014-06-19 Beom-Su Seo Down jacket with selectable outer shell
KR101504675B1 (ko) 2013-10-30 2015-03-20 주식회사 블랙야크 볼륨감이 향상된 에어탱크형 다운자켓 및 그 제조방법
CN104738867A (zh) * 2013-12-29 2015-07-01 波司登羽绒服装有限公司 一种羽绒服快速兜胆布的方法
KR101453346B1 (ko) * 2014-05-30 2014-10-23 이맥스플러스(주) 심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운자켓 및 이를 이용한 다운자켓의 재봉방법
US10271599B2 (en) 2014-10-01 2019-04-30 Young Chul Park Down product having joining pattern line produced by high-frequency bonding techniqu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60092840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KR101722585B1 (ko) 2015-01-28 2017-04-03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KR101669938B1 (ko) * 2015-08-11 2016-10-27 주식회사 밀레 사각 형상의 격실 구조를 갖는 다운 의류의 퀼팅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다운 의류
IT201700080861A1 (it) * 2017-07-18 2019-01-18 Moncler S P A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capi di abbigliamento imbottiti di piume.
WO2019016087A1 (en) * 2017-07-18 2019-01-24 Moncler S.P.A. PROCESS FOR MANUFACTURING CLOTHING ARTICLES FILLED WITH FEATHERS
CN114532626A (zh) * 2021-12-28 2022-05-27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无缝式羽绒服及其制作方法
CN114532626B (zh) * 2021-12-28 2023-08-29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无缝式羽绒服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81B1 (ko)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KR200455836Y1 (ko) 다운재킷
KR100897520B1 (ko) 다운재킷
US20150201683A1 (en) Heat Insulation Structure
KR101033912B1 (ko) 다운재킷
KR101075134B1 (ko) 신축성이 가미된 다운쟈켓
KR100906407B1 (ko) 다운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KR100826093B1 (ko) 입체 공기순환 방수 다운 점퍼
US20080276949A1 (en) Ornamental hair piece
JP6702937B2 (ja) 断熱方法と、固定及びキルトされた断熱材を含む衣服
KR101307987B1 (ko) 자유로운 겉감 선택이 가능한 다운쟈켓
KR101183671B1 (ko) 패딩의 구획 형성방법 및 그 패딩
KR101053255B1 (ko) 보온 패딩을 제조하는 방법
CN111683550A (zh) 具有保温腔室的结构体
KR20200013547A (ko) 다운의 누출방지와 착요시 각이지지않는 다운의류
KR101506420B1 (ko) 내부연결부를 구비하는 패딩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8672B1 (ko) 알레르겐의 침입이 방지된 침구류
KR100988508B1 (ko) 재봉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다운 의류 재봉방법
KR101262937B1 (ko) 패딩용 가공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JP2020186478A (ja) 羽毛入り製品の製造方法及び羽毛入り製品
KR101897408B1 (ko) 발열덕다운 패딩웨어
CN206170794U (zh) 一种无绗缝羽绒制品
JP3105925U (ja) 防寒ウェアー
KR101074365B1 (ko) 다운쟈켓용 테이프
JP2007217853A (ja) 夏物衣料の襟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