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700B1 -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 Google Patents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700B1
KR100916700B1 KR1020070126618A KR20070126618A KR100916700B1 KR 100916700 B1 KR100916700 B1 KR 100916700B1 KR 1020070126618 A KR1020070126618 A KR 1020070126618A KR 20070126618 A KR20070126618 A KR 20070126618A KR 100916700 B1 KR100916700 B1 KR 100916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sided
edge
attaching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649A (ko
Inventor
이보일
Original Assignee
이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일 filed Critical 이보일
Priority to KR102007012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7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 A41B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서, 겉감과 안감이 각각 준비되면, 준비된 안감을 소정의 조각으로 절개한다. 절개된 안감 조각들을 겉감의 지정된 위치에 붙이기 이전에 안감 조각들을 서로 붙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안감 조각들은 고체성 양면 본드와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서 접착됨으로써, 봉제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 안감 조립체를 겉감과 마주하도록 붙인다. 안감 조립체를 겉감에 붙이는 과정은 상기한 안감 조각들을 붙이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버로크가 제거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를 완성할 수 있다.
겉감, 안감 조각, 무봉제

Description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METHOD OF MANUFACTURING REVESIBLE SEAMLESS SHIRT AND REVERSIBLE SEAMLESS SHIR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버로크(overlock)가 제거되어 피부 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셔츠는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부 및 사람의 팔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팔커버부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및 팔커버부와 서로 조립됨으로서 하나의 티셔츠가 완성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및 팔커버부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인접하는 두 개의 원단을 오버랩시킨 후 원단을 박음질한 후 올이 풀리지 않도록 미싱으로 감싸는 오버로크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오버로크는 실로 여러겹 감싸서 원단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 므로, 티셔츠를 착용하였을 때 사람의 피부와의 마찰로 인해서 피부에 쓸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신체에 밀착되는 티셔츠 또는 운동복의 용도로 사용되어 땀에 의해서 피부와 밀착되는 티셔츠의 경우, 상기한 오버로크는 피부염 또는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박음질 또는 오버로크를 이용하여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및 팔커버부를 조립하면, 티셔츠 내부에 봉제선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봉제선이 생성된 티셔츠는 양면 티셔츠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로크를 제거하여 피부 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셔츠 착용자가 기호에 맞도록 뒤집어 입을 수 있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완성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안감 조립체와 겉감을 무봉제 부착시킴으로써 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단계는,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 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단계는, 정렬된 상기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동시에 절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 4-1 단계;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 4-2 단계; 및 상기 4-2 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4-1 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 4-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수행결과 절개되지 않고 남은 고체형 양면 본드가 남아있는 안감 조각의 테두리 부분에, 가압 및 가열을 하여 상기 겉감에 부착시키는 제4-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킴으로써 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항에 따라서 전면커버부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8항에 따라서 후면커버부를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3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5단계;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6단계는, 상기 보완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고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재는, 상기 보완재가 부착되는 부분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따르면, 절개된 제1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되는 제1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 및 절개된 제2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2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2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된 제2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는 무봉제 부착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안감조립체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1단계;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2단계; 및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2단계는,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간의 무봉제 부착은,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4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5단계; 상기 정렬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4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를 무봉제 부착시키는 제1-6단계;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1-7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간의 무봉제 부착은,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8단계;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9단계; 및 상기 제1-9단계에서 정렬 된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8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에 따르면, 안감을 소정의 조각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안감 조각들을 고체성 양면 본드와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서 접착시킨 후 겉감의 지정된 위치에 부착시킨다.
따라서, 안감 조각들을 붙이는 과정 및 안감과 겉감을 서로 붙이는 과정에서 봉제선이 발생되지 않고, 그 결과 봉제선에 의한 피부 쓸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봉제선이 제거됨으로써 양면 티셔츠에 적용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안감과 겉감을 결합하여 전면커버부, 후면커버부, 또는 팔 커버부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티셔츠 착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뒤집어 집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뒤집어 입더라도 무봉제 부착된 것이므로 미감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사람의 상체 후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 부(50), 사람의 상체 전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60) 및 사람의 팔을 커버하기 위한 한 쌍의 팔 커버부(70)가 구비된다.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서로 동일한 방법이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후면커버부(50)를 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부(50)의 형상대로 재단된 겉감(51)과 안감(52)이 준비된다. 여기서, 준비된 안감(52)은 소정 개수의 조각(52a, 52b, 52c, 52d)으로 절개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안감(52)은 4 조각으로 절개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안감(52)이 겉감(51)의 내면에 부착되기 이전에, 절개된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서로 붙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안감 조각(52b)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52e)가 위치된다. 여기서, 고체성 양면 본드(52e)는 예를 들면 1cm의 폭(w1)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제1 안감 조각(52b)은 고체성 양면 본드(52e)에 의해서 인접하는 제2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c, 52d)과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된다.
그러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접힌 상태(안감 조각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이 서로 부착된다. 이후, 실링용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이하,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라고 함)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한 상기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접착 부분을 소정 폭으로 동시에 절개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부분은 0.5cm의 폭(w2)으로 절개된다. 따라서, 절개된 후에도 고체성 양면 본드(52e)의 절반 정도가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실링용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ULTRASONIC WELDING MACHINE)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천을 절단하면서 실링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붙이고자 하는 2개의 천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고체형 본드를 부착하고, 2개의 천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하고, 고체형 본드가 부착된 부분을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절단하게 되면, 천의 절단선 부분은 고체형 본드에 의해 단단하게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정렬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절개하면, 절개선 부분에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테두리 부분에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이후, 이렇에 서로 부착된 제1 내지 제4 안감조각들(52a, 52b, 52c, 52d)을, 겉감(51)의 내면에 부착시킬 때, 잔류하는 고체성 양면 본드(52e)에 압력과 열을 가하면, 고체성 양면 본드(52e)가 액체화되면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은 겉감의 내면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감 조각들의 접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면,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이 서로 인접한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52f)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고체성 양면 본드(52f)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안감 조각들의 테두리 부분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즉, 고체성 양면 본드(52f)는 제1 폭(w3)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안감 조각의 테두리 부분과 제1 폭(w3)의 절반에 대응하는 폭으로 오버랩된다. 이후,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들을 도 2a에 도시된 방향으로 접으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52a, 52b, 52c, 52d)들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후,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한 상기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접착 부분을 소정 폭으로 절개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부분은 제1 폭(w3)에 절반에 대응하는 제2 폭(w3/2)을 갖고,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는 상기 제2 폭(w3/2)의 절반에 대응하는 제3 폭(w4)으로 접착 부분을 절개한다. 마찬가지로, 절개된 후에도 고체성 양면 본드(52f)의 절반 정도가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부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절개하면, 절개선 부분에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의 테두리 부분에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서로 부착된 제1 내지 제4 안감조각들(52a, 52b, 52c, 52d)을 겉감(51)의 내면에 부착시킬 때, 잔류하는 고체성 양면 본드(52f)에 압력과 열을 가하면, 고체성 양면 본드(52f)가 액체화되면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은 겉감의 내면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위에서 예를 든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서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결합하면 하나의 안감 조립체(53)가 완성될 수 있다. 안감 조립체(53)는 티셔츠를 뒤집어 입을 때를 고려하여 재질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감 조립체(53)는 겉감의 재질과 다를 수도 있고 디자인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티셔츠는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옷을 뒤집어 입을 수 있게 된다.
완성된 안감 조립체(53)는 겉감(51)의 내면에 부착된다. 안감 조립체(53)를 겉감(51)에 내면에 부착하여 후면 커버부(50)를 완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감 조립체(53)가 겉감(51)의 내면에 부착되는 공정은 두 가지가 있으며, 이 두 가지 공정은 상호간에 선후가 없으며 어느 쪽을 먼저 하더라고 관계없다.
그 중 하나의 공정은, 안감 조각들끼리 부착된 부분을 겉감(51)에 부착하는 과정으로서, 안감 조립체(53)를 겉감(51)의 내면에 대응시키고, 안감 조각끼리 부착된 부분들에 열과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안감조각끼리 부착된 부분들에 남아있는 고체 양면 본드(52e, 또는 52f)가 액체화되어서 안감 조립체와 겉감(51)을 서로 부착시킨다.
나머지 하나의 공정은, 안감 조립체(53)의 테두리와 겉감(51)의 테두리를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상술한 도 1c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 방식과,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과 동일한 과정을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겉감(51)의 내면 테두리 부분에는 고 체성 양면 본드(51a)가 부착된다. 이후, 겉감(51)과 안감 조립체(53)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킨 후 고체성 양면 본드(51a)로 안감 조립체(53)를 겉감(51)에 부착시킨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이 결합된 상태에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의 접착 부분을 소정 폭만큼 절개하면, 상기와 같이 절개선 부분에서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이 서로 접착된다.
한편, 서로 부착된 안감 조각들(52a, 52b, 52c, 52d)을 절개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접착 부분은 0.5cm의 폭(w2)으로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된 부분에서 안감 조립체(53)와 겉감(51)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이렇게 절개과정을 마침으로써 후면커버부(50)가 완성되는 데, 이렇게 완성된 후면커버부(50)의 테두리에는 고체성 양면 본드(51a)가 0.5cm의 폭만큼 잔류한다. 이후, 후면커버부(50)를 전면커버부(60)나 팔커버부(70)에 부착시킬 때,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서 절개되지 않고 잔류된 고체성 양면 본드(51a)에 열과 압력을 가하면 후면 커버부(503)는 전면커버부(60)나 팔커버부(70)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후면커버부(50)가 완성되고, 이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 나머지 전면커버부(60) 및 팔커버부(70)가 완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후면커버부(50), 전면커버부(60) 및 팔커버부(70)를 무봉제 조립하면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가 완성된다.
이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면커버부(50), 전면커버부(60) 및 팔커버부(7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에는 고체성 양면 본드(55)가 잔류하고 있다. 이 고체성 양면 본드(55)는 각각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를 만들 때 생긴 것으로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절개하고 남은 부분이다. 본 예에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고체성 양면 본드(55)를 통해서 서로 접착된다.
이후, 도 3b를 참조하면,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이용하여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의 접착 부분을 소정의 폭만큼 절개하면, 절개된 부분을 따라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다시 한번 접착되면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다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의 접착부분에 보완재(57)를 부착시킨다. 보완재(57)는 울트라 소닉으로 절개한 반대측면에 부착된다. 한편, 보완재(57)에는 고체형 양면 본드가 붙어있어서 보완재(57)를 울트라 소닉으로 절개한 반대측면에 대고 가압 및 가열하면, 보완재(57)를 통해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완전하게 접착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안재(57)는 디자인의 일부로서의 기능할 수 있도록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신축성을 가진 재질로 구 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가 결합되면, 팔커버부(70, 도 1a에 도시됨)를 결합된 후면커버부(50)와 전면커버부(60)에 부착시키는 과정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는 본드 접착 방식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제조되므로, 오버로크가 형성되지 않고, 그 결과 피부 쓸름 현상으로 인한 피부염 또는 상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는 피부 쓸림이 발생하지 않아 장시간 운동하는 운동선수들을 위한 운동복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버로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는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 각각이 겉감과 안감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 각각은 겉과 안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가 하나의 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서 후면커버부(50) 및 전면커버부(60)가 결합됨으로써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가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감 조립체(53)를 제조하는 실시예들에서는, 고체형 양면 본드를 도 1c처럼 어느 한쪽의 안감 조각에만 붙이는 방법이나, 도 2a 처럼 고체형 양면 본드의 1/2에 하나의 안감 조각을 위치시키고, 나머지 1/2에는 붙이고자 하는 안감 조각을 위치시키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그러한 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안감 조각 A와 안감 조각 B를 서로 부착시킬 때, 고체형 양면 본드의 1/3은 안감 조각 A를 위치시키고, 나머지 2/3는 안감 조각 B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즉, 고체형 양면 본드의 특정 위치에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감 조각들의 접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후면커버부 60 : 전면커버부
70 : 팔커버부 51 : 겉감
52 : 안감 52a, 52b, 52c, 52d: 제1 내지 제4 안감 조각
53 : 안감 조립체 55 : 고체성 양면 본드
57 : 보완재

Claims (16)

  1.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안감 조립체와 겉감을 무봉제 부착시킴으로써 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단계는,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정렬된 상기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동시에 절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 4-1 단계;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 4-2 단계; 및
    상기 4-2 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4-1 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 형 티셔츠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수행결과 절개되지 않고 남은 고체형 양면 본드가 남아있는 안감 조각의 테두리 부분에, 가압 및 가열을 하여 상기 겉감에 부착시키는 제4-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7.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단계;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2단계;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3단계; 및
    상기 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겉감의 테두리를 부착시킴으로써 후면커버부를 만드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8.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항에 따라서 전면커버부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8항에 따라서 후면커버부를 준 비하는 제2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3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제5단계;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보완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고 가압 및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재는, 상기 보완재가 부착되는 부분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11. 절개된 제1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되는 제1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전면커버부; 및
    절개된 제2안감 조각들이 상호부착되어 형성된 제2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2안감 조립체에 무봉제 부착된 제2겉감으로 구성되고, 사람의 상체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후면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는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감조립체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하는 제1-1단계;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2단계; 및
    정렬된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시킴으로써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으로 구성되는 무봉제 안감 조립체를 만드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2단계는,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남은 영역에 부착하고, 상기 제 1-1 안감 조각과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는,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의 전 영역에 부착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고체성 양면 본드가 부착된 제 1-1 안감 조각의 테두리와 상기 제 1-2 안감 조각의 테두리를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간의 무봉제 부착은,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 두리 부분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4단계;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5단계;
    상기 정렬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전면커버부의 테두리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4단계에서 부착된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를 무봉제 부착시키는 제1-6단계;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접착 부분에 보완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보완재를 상기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에 의해 절개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부착하는 제1-7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간의 무봉제 부착은,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고체성 양면 본드를 부착시키는 제1-8단계;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제1-9단계; 및
    상기 제1-9단계에서 정렬된 상기 제1안감 조립체의 테두리와 상기 제1겉감의 테두리를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로 동시에 절개하되, 상기 제1-8단계에서 부착되는 고체성 양면 본드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안감 조립체와 상기 제1겉감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서 무봉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티셔츠.
KR1020070126618A 2007-12-07 2007-12-07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KR100916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18A KR100916700B1 (ko) 2007-12-07 2007-12-07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18A KR100916700B1 (ko) 2007-12-07 2007-12-07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49A KR20090059649A (ko) 2009-06-11
KR100916700B1 true KR100916700B1 (ko) 2009-09-11

Family

ID=4098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18A KR100916700B1 (ko) 2007-12-07 2007-12-07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57B1 (ko) * 2011-07-11 2013-07-08 임선옥 무봉제를 이용한 조립형 의류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96B1 (ko) * 2008-05-21 2011-05-09 이보일 비겹침 봉제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공되는 옷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428B1 (ko) 2004-12-07 2005-03-31 박종헌 다운쟈켓
JP2006002326A (ja) 2004-05-17 2006-01-05 Oshima Hosei:Kk 無縫製衣服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使用する加圧ローラ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2326A (ja) 2004-05-17 2006-01-05 Oshima Hosei:Kk 無縫製衣服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使用する加圧ローラー
KR100479428B1 (ko) 2004-12-07 2005-03-31 박종헌 다운쟈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57B1 (ko) * 2011-07-11 2013-07-08 임선옥 무봉제를 이용한 조립형 의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49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022B2 (en) Garments having seamless edge band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8127701B2 (en) Fabric joining method and system
JP5780868B2 (ja) ズボン
US8257141B2 (en) Ultrasonic cut and bonded elastic material and brassiere including same
KR101382623B1 (ko) 속옷 제조방법
US20050000622A1 (en) Method of producing garment blanks having seamless trim
KR100916700B1 (ko)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TW200908899A (en) Brassiere
KR200462782Y1 (ko) 브래지어
KR20070060321A (ko) 셔츠의 주름을 방지하기 위한 박음질 방법
JP4279193B2 (ja) 耳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3396B1 (ko) 비겹침 봉제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공되는 옷감
US3997920A (en) Dress shield
JP3897023B2 (ja) 水作業用作業衣における縫製部の結合構造およびその結合方法
KR200325456Y1 (ko) 재봉선이 없는 무봉제 팬티
JP3226517U (ja) 汗取りパッド付きトップ衣類
JP3136098U (ja) ショーツ
KR20170044896A (ko) 무봉제 양면형 티셔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봉제양면형 티셔츠
JP3242263U (ja) 二層式穴あきレースシームレスレース弾性ベルト
JP2015089985A (ja) 上衣
JP3131864U (ja) 無縫製ショーツ
TWI272070B (en) Method of making seamless hat
CN209995469U (zh) 透湿防水鞋
KR200442832Y1 (ko) 모자
JP2018003209A (ja) シャ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