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925B1 -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925B1
KR101772925B1 KR1020150172693A KR20150172693A KR101772925B1 KR 101772925 B1 KR101772925 B1 KR 101772925B1 KR 1020150172693 A KR1020150172693 A KR 1020150172693A KR 20150172693 A KR20150172693 A KR 20150172693A KR 101772925 B1 KR101772925 B1 KR 101772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ic
fabric
strength enhanc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097A (ko
Inventor
백재웅
Original Assignee
백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재웅 filed Critical 백재웅
Priority to KR102015017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9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1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4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Zincates; Cadm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8Synthetic fibre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26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5Resistance to light or sun, i.e. protection of the textile itself as well as UV shielding materials or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Anti-yellowing trea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혼입시킨 방사원액으로 제조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FOR ACRYLIC FIBER BASED MARINE CANVAS}
본 발명은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트나 요트의 캐노피 등에 사용할 해양용 원단으로 활용 가능한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웃도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신만의 개성을 가진 텐트나 아웃도어 의류를 가지고 야외 활동을 하려는 인구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최근에는 특수가공을 통하여 발수 기능은 기본적으로 구비하면서 독특한 문양과 실사 그림이 프린팅된 제품 등 디자인적인 심미감에 강조를 둔 제품까지 출시되고 있다.
전술한 문양과 실사 그림이 프린팅된 캐노피(Canopy) 관련 산업은 전술한 텐트를 포함하여 건축과 해양 및 농업 등의 분야에서 차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제품이다.
일명 타폴린(tarpaulin)이라고도 불리는 섬유제품인 캐노피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기본으로 용도에 따른 다양한 두께의 코팅 가공을 통하여 제작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해양용 원단은 외부 기후 환경에 대응하여 특수한 가공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직물의 인열강도 및 인장강도와, 방수성, 일광견뢰도 등을 충분히 만족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해양용 원단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 원단을 사용해 왔지만, 이러한 기존의 해양용 원단은 내구성이 떨어지며 사용수명 또한 길지않은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공개특허 제10-1998-0009359호의 "내후성과 열안정성이 강화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수지 조성물로 포함된 염소화 폴리에틸렌수지 등과 같은 것은 인열강도 및 인장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해양용 원단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1998-00093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강도 및 내구성과 일광견뢰도 등을 만족하는 해양용 원단에 적합한 직물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혼입시킨 방사원액으로 제조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V 차단제는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계 UV 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열강도 강화제는,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아크릴 중합체 코아와, 각각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고 코아에 그라프트된 하나의 안정제 분자말단을 갖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안정제 성분을 가지며 비-중합성 선형 중합체가 결여된 안정화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수제는, 수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유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수성 아크릴 수지, 유성 아크릴 수지, 수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유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모드아크릴 섬유사를 제직(製織)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직을 통하여 형성된 직물의 양면에 UV 차단제, 인열강도 강화제, 발수제가 혼합된 제1 혼합액을 0.01 내지 10㎛의 두께로 도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에 의하여 상기 직물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레이어 상에 UV 차단제, 인열강도 강화제, 발수제, 안료가 혼합된 제2 혼합액을 0.01 내지 5㎛의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각각 제2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가 형성된 상기 직물을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직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아서 융착시키고 설치 구조물에 고정 장착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혼합액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혼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혼합액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안료 0.5 내지 10중량% 혼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 본 발명은 인열강도과 인장강도가 높고 UV 변성에 내구성을 가지며 방수 성능을 지님은 물론 일광에 따른 변색 및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 일광견뢰도 또한 만족하는 해양용 원단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제작된 원단을 이용하여 요트나 보트의 캐노피 등과 같은 해양용 원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 선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 선도이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혼입시킨 방사원액으로 직물을 제조함으로써 마린 캔버스용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약중합 및 수계중합으로 점도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 정도인 아크릴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이상 함유한 것이며, 신도(伸度)를 부여하는 제2 모노머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2 내지 15중량% 함유하며, 그리고 염색성을 부여하는 제3모노머로는 나트륨 비닐설포네이트, 나트륨 아릴설포네아트, 나트륨 메타아릴설포네이트, 나트륨파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나트륨2-아크릴아미도 2-메틸프로판설포네이트 등의 이온성 불포화단량체를 0.5 내지 5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공중합체이다.
UV 차단제는 자외선을 차단시켜 투과되는 자외선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계 UV 차단제일 수 있다.
또한 UV 차단제중에서 산화아연은 산에 용해되므로 질산 등의 무기용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방사원액을 만들기 위해 용액중합에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유기용매에서 중합한 후 희석하였고, 수계중합에서 얻은 중합체는 질산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여기서, UV 차단제의 함유량이 0.5중량% 미만일 때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지고, 10중량% 이상을 초과하면 방사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인열강도 강화제는,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아크릴 중합체 코아와, 각각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고 코아에 그라프트된 하나의 안정제 분자말단을 갖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안정제 성분을 가지며 비-중합성 선형 중합체가 결여된 안정화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수제는, 수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유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수성 아크릴 수지, 유성 아크릴 수지, 수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유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마린 캔버스용 직물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 및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우선,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모드아크릴 섬유사를 제직(製織)한다(S1: 제1 단계).
이후, 제직을 통하여 형성된 직물의 양면에 UV 차단제, 인열강도 강화제, 발수제가 혼합된 제1 혼합액을 0.01 내지 10㎛의 두께로 도포한다(S2: 제2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1 혼합액에 의하여 상기 직물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레이어 상에 UV 차단제, 인열강도 강화제, 발수제, 안료가 혼합된 제2 혼합액을 0.01 내지 5㎛의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각각 제2 레이어를 형성시킨다(S3: 제3 단계).
계속하여,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가 형성된 상기 직물을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직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아서 융착시키고 설치 구조물에 고정 장착시킨다(S4: 제4 단계).
제1 단계(S1)에서 직물은 제직기(이하 미도시)를 통해 위사 및 경사로 이루어지거나, 위사와 경사 및 엮음사로 이루어져 제직된다.
위사 및 경사는 조직을 형성하고 엮음사는 풀림을 방지하면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제직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계(S2)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혼합액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혼입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혼합액을 만들기 위해 용액중합에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유기용매에서 중합한 후 희석하였고, 수계중합에서 얻은 중합체는 질산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전술한 UV 차단제 중에서 산화아연은 산에 용해되므로 질산 등의 무기용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UV 차단제는 자외선을 차단시켜 투과되는 자외선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 상기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계 UV 차단제일 수 있다.
상기 인열강도 강화제는,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아크릴 중합체 코아와, 각각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고 코아에 그라프트된 하나의 안정제 분자말단을 갖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안정제 성분을 가지며 비-중합성 선형 중합체가 결여된 안정화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수제는, 수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유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수성 아크릴 수지, 유성 아크릴 수지, 수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유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3 단계(S3)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2 혼합액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안료 0.5 내지 10중량% 혼입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혼합액을 만들기 위해 용액중합에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유기용매에서 중합한 후 희석하였고, 수계중합에서 얻은 중합체는 질산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제2 혼합액은 제1 레이어가 직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2중 코팅구조를 통하여 직물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강도를 높여 찢어짐을 방지하고 내구 연한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제2 혼합액에서 사용되는 안료는 직물의 색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다양한 안료를 투입함으로써 다양한 색깔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제직된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평가 방법 및 평가 항목]
전술한 바와 같은 가공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평가 항목에는 표 1과 같은 몇가지 항목 및 시험 규격에 따른 평가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품질 수준, 즉 원사(방적사) 및 아크릴 원단(텐트용, 어닝(awning)용)을 업계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라 인정받는 프랑스 딕슨사의 제품과 상호 비교한 것을 표 2에 나타낸다.
평가항목 단위 시험규격 평가방법
불균제도 U% KS K ISO 16549 커패시턴스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섬유 가닥 길이에 대한 선밀도의 불균제도 측정 방법에 대해 규정
치수안정성 % KS K 0558 건열 아이론법, 100℃, 2.9kPa 압력으로 3회 왕복, 처리전 후의 시료 길이변화율을 평가
발수도 KS K 0590 스프레이법, 250mL 물을 45°각도로 스프레이하고 섬유 표면의 습윤상태를 평가(1등급, 5급: 습윤이 없음, 1급:완전히 습윤)
방오성 KS K ISO 14419 서로 다른 표면장력을 가지고 있는 기름방울을 떨어뜨렸을 때 원단이 젖는 정도, 기름에 대한 저항성 평가
(1-8, 1: 저항성 없음, 8: 저항성 우수)
방우성
(레인테스트)
pass/fail KS K 0593 시험편에 5분 동안 물을 분사한 후, 시험편 뒤에 흡수체의 무게 변화를 측정
(변화량이 5g이상이면 fail, 5g 이하는 pass)
일광견뢰도 ISO 105-B02 크세논 아크법, 광조사 전후 시편의 색상변화를 평가
(1-8, 8이 가장 변화 없음)
마찰견뢰도 KS K 0650 크로크미터법, 시편을 900g/1.6Φcm, 9N 10회/10초 마찰한 후 백면포에 오염되는 정도를 평가
(5등급, 5급: 오염없음, 1급: 오염심함)
자외선차단지수 UPF KS K 0850 BS 7914M 시료에 광을 조사하고 자외선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자외선 차단지수(UPF)를 계산
난연성 mm/min MVSS 302 시료에 점화하였을 때 시료가 연소되는 속도
내후성 ISO 105-B04 직물의 내후도 시험 방법
에더오미터법, 태양광, 비바람 등 자연조건을 인공적으로 모델화하여 시료의 변화정도를 예측평가
여기서, 표 1에서 커패시턴스(Capacitance)는 물체가 전하를 축적하는 능력을 나타낸 물리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기 용량 또는 정전용량이라고도 하며, 예를 들어 콘덴서의 양극에 음과 양의 전하가 축적될 때, 그 전기량은 양극간의 전위차에 비례하는 것이다.
평가항목 단위 프랑스 딕슨 본발명 제품 평가방법
원사(방적사) 불균제도 U% 8.5 8.5 공인시험성적서
아크릴 원단
(텐트, 어닝용 공동 사용 가능한 원단)
치수안정성 % 6%이하 7%이하 공인시험성적서
발수도 5 5 공인시험성적서
방오성 Class 7 8 공인시험성적서
방우성 Pass/fail pass pass 공인시험성적서
일광견뢰도 7-8 6-7 공인시험성적서
건마찰견뢰도 3~4 4 공인시험성적서
습마찰견뢰도 3~4 4 공인시험성적서
자외선차단지수 UPF 50이상 50이상 공인시험성적서
텐트용 원단 난연성 mm/min 90이하 85이하 공인시험성적서
어닝용 원단 내후성(사용수명) 7-8 6-7 공인시험성적서
정량정 평가 항목 전체는 FITI 시험연구원, KATRI(한국의류시험연구원) 등의 공인시험기관에서 평가하고 해당 규격에서 요구하는 시료수에 따라 평가되었다.
상기의 표2와 같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 제품과 비교하여도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거의 손색없는 평가를 받은 바, 특히 일광견뢰도 및 마찰견뢰도와 함께 자외선 차단지수 및 내후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므로, 요트나 보트의 캐노피는 물론 범포(帆布) 등과 같은 해양용 원단의 사용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일광견뢰도 등을 만족하는 해양용 원단에 적합한 직물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S1: 제1 단계
S2: 제2 단계
S3: 제3 단계
S4: 제4 단계

Claims (7)

  1.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혼입시킨 방사원액으로 제조되며,
    상기 UV 차단제는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계 UV 차단제이고,
    상기 인열강도 강화제는,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아크릴 중합체 코아와, 각각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고 코아에 그라프트된 하나의 안정제 분자말단을 갖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안정제 성분을 가지며 비-중합성 선형 중합체가 결여된 안정화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는,
    수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유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수성 아크릴 수지, 유성 아크릴 수지, 수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유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5.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모드아크릴 섬유사를 제직(製織)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직을 통하여 형성된 직물의 양면에 UV 차단제, 인열강도 강화제, 발수제가 혼합된 제1 혼합액을 0.01 내지 10㎛의 두께로 도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에 의하여 상기 직물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레이어 상에 UV 차단제, 인열강도 강화제, 발수제, 안료가 혼합된 제2 혼합액을 0.01 내지 5㎛의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각각 제2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가 형성된 상기 직물을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직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아서 융착시키고 설치 구조물에 고정 장착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UV 차단제는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계 UV 차단제이고,
    상기 인열강도 강화제는,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아크릴 중합체 코아와, 각각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고 코아에 그라프트된 하나의 안정제 분자말단을 갖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안정제 성분을 가지며 비-중합성 선형 중합체가 결여된 안정화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액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혼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액은,
    아크릴로니트릴을 35 내지 85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차단제 0.5 내지 10중량%, 인열강도 강화제 10 내지 25중량%, 발수제 1 내지 5중량%, 안료 0.5 내지 10중량% 혼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KR1020150172693A 2015-12-04 2015-12-04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KR101772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693A KR101772925B1 (ko) 2015-12-04 2015-12-04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693A KR101772925B1 (ko) 2015-12-04 2015-12-04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097A KR20170066097A (ko) 2017-06-14
KR101772925B1 true KR101772925B1 (ko) 2017-08-30

Family

ID=5921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693A KR101772925B1 (ko) 2015-12-04 2015-12-04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9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097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6596T2 (de) Kalandrierte textile flächengebilde für ultraviolettlichtschutz
DE3444631A1 (de) Verbundwerkstoff
AT508497A1 (de) Schutzgewebe gegen ultraviolette strahlung auf grundlage künstlich hergestellter zellulosefasern
JP6213988B2 (ja) ファブリック調遮熱膜材
EP0057813A2 (de) Wässrige Dispersion und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Werkstoffen
KR101108349B1 (ko) 개선된 차양막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양막
KR20150103101A (ko) 내열 포백
DE102015218510A1 (de) Textile Flächengebilde mit Denim-ähnlichen Merkmalen
DE69834889T2 (de) UV-filternde textile Flächengebil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EP2607532B1 (de) Gewebe mit Farbwechseleffekt
JP2008196085A (ja) 遮熱性に優れた天然繊維調メッシュシート
KR101028577B1 (ko) 원착사를 포함하는 스크린용 원단
KR101772925B1 (ko) 아크릴 섬유 기반의 마린 캔버스용 직물의 가공 방법
JP2017140770A (ja) 遮熱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DE102012002954B4 (de) Verwendung eines Mikrofilament-Vliesstoffs als textiles UV-Lichtschutzmaterial
EP0607933B1 (de) Textiles Gewebe für Markisen, Schirme, Zelte, Persennings und dergleich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9754597A1 (de) Textiler Membranwerkstoff mit hoher Lichtdurchlässigkeit
EP3697958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extilen artikels mit hydrophobierter textiler oberfläche durch plasmabehandlung und nasschemische behandlung
MX2015003392A (es) Composicion de pasta de pigmento.
DE1959574A1 (de) Faden und aus dem Faden hergestelltes Siebgewebe
EP1146155B1 (de) Markisen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1177487B1 (ko) 난연성 라이오셀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CN110103546B (zh) 一种耐热抗老化防霉篷盖材料及其生产工艺
JP4243478B2 (ja) 耐候性に優れた高難燃性のアクリル系繊維および布帛
DE102008060107A1 (de) UV-Schutzgewebe 20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