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700B1 - 전동 밸브 - Google Patents

전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700B1
KR101772700B1 KR1020110015787A KR20110015787A KR101772700B1 KR 101772700 B1 KR101772700 B1 KR 101772700B1 KR 1020110015787 A KR1020110015787 A KR 1020110015787A KR 20110015787 A KR20110015787 A KR 20110015787A KR 101772700 B1 KR101772700 B1 KR 101772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valve
male screw
screw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87A (ko
Inventor
토모아리 오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2000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과제]
로터 이송 나사에 상당하는 조립체 등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낮은 전동 밸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나사부(10a)를 가지며, 전동 모터의 로터(7)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수나사 부재(10)와, 수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밸브시트(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밸브체(12)와, 수나사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가동측 스토퍼(9a, 17)와, 밸브 본체(5)에 마련되고,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부재(11)와, 암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가동측 스토퍼와 맞닿음 가능한 고정측 스토퍼(11d, 11f)를 구비한 전동 밸브(1)에 있어서, 수나사 부재는, 암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그대로 연장됨에 의해 형성된 연장 수나사 형성부(10y, 10z)를 구비하고, 가동측 스토퍼는 연장 수나사 형성부에 나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등.

Description

전동 밸브{MOTOR OPERATED VALVE}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 시스템에서의 냉매의 유량 제어 등에 사용되는 전동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전동 밸브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실(151)에 연통하는 제 1 유로(152) 및 제 2 유로(153)를 가지며, 제 2 유로(153)의 밸브실 연통부에 밸브시트(154)를 마련한 밸브 본체(155)와, 밸브 본체(155)의 시트 밸브시트(156)에 접리(接離)하는 봉 형상의 니들 밸브(157)와, 원통 형상의 밀폐 케이스(159)와, 밀폐 케이스(159)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코일(167)과, 밀폐 케이스(159)의 내측에 스테이터 코일(167)의 통전 여자에 의해 회전하여 밸브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통 형상의 슬리브(162) 및 그 슬리브(162)의 외측에 지환(止環)(166)으로 고정된 통 형상의 영구 자석(163)를 갖는 로터(164)와, 로터(164)의 회전에 의한 나사 이송 작용으로 니들 밸브(157)를 개폐 작동시키는 수나사 관(161)을 구비하고, 밀폐 케이스(159)의 아래 덮개(160)가 밸브 본체(155)에 용접 고정된 전동 밸브(150)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전동 밸브(150)에는, 도 4 및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162)의 하단부에 밸브 폐쇄(閉弁) 규제 스토퍼(162a)가 돌설되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체(158)에 전폐(全閉) 스토퍼(158a)가 돌설되고, 니들 밸브(157)의 밸브 폐쇄시에, 밸브 폐쇄 규제 스토퍼(162a)가 전폐 스토퍼(158a)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회전 방향으로 맞닿음에 의해,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 로터(164)가 더욱 하강하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 로터(164)의 하강 규제를 행할 때에는, 도 5(a)에 도시하는 부시(168)의 하단(168c)부터 밸브 폐쇄 규제 스토퍼(162a)의 하단까지의 치수(h1)가 암나사(168a)의 피치의 정수배가 되도록,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수나사 관(161)의 상단부터 전폐 스토퍼(158a)의 상단까지의 치수(h2)를, 수나사(161a)의 피치의 정수배+피치/2가 되도록 설정하고, 밸브 폐쇄(閉弁) 규제 스토퍼(162a)와 전폐 스토퍼(158a)와의 당접량(當接量)을 나사피치/2로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 밸브(150)의 로터 이송 나사(170)를 제조할 때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체(158)의 성형 캐비티(182)를 구획하는 금형(金型) 장치(180)를 이용하여, 하형(181)에, 전폐 스토퍼(158a)의 성형 오목부(181a)와, 성형 캐비티(182)의 중심부에 개구하는 내저면(內底面)에 키 돌조(突條)(181b)를 갖는 부시 부착구멍(181c)이 마련되고, 이 하형(181)의 부시 부착구멍(181c)에, 수나사 관(161)을 내측으로 비틀어 넣어 고정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세트 부시(183)를, 수나사(161a)의 나사 절삭 시단부(始端部)(161b)가 성형 오목부(181a)와 위치 대응하도록, 키 돌조(181b)와 키 홈(183a)(세트 부시(183)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다)의 계합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수나사 관(161)의 기단(基端) 부착부(161c)가 하형(181)의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부착한다. 그리고, 금형 장치(180)를 클로징하고, 성형 캐비티(182)에 용융 수지를 사출 주입하여, 수나사 관(161)과 플랜지체(158)가 일체화된 도 6(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로터 이송 나사(170)를 제조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310042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폐 스토퍼(158a)를 갖는 로터 이송 나사(170)를 제조함에 있어서, 세트 부시(183)를 준비하고 수나사 관(161)과 일체화한 후, 금형 장치(180)를 이용하여 수나사 관(161)을 인서트 성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에 수고가 들고, 나아가서는 전동 밸브(150)의 제조 비용의 증대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토퍼를 갖는 상기 로터 이송 나사에 유사 또는 상당하는 조립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낮은 전동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나사부를 가지며, 전동 모터의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수나사 부재와, 그 수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밸브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밸브체와, 상기 수나사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가동측 스토퍼와, 밸브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부재와, 그 암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와 맞닿음(當接) 가능한 고정측 스토퍼를 구비한 전동 밸브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암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그대로 연장됨에 의해 형성된 연장 수나사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에 나감(螺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 밸브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는, 상기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전개(全開) 하(下) 스토퍼이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전개 상(上)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 밸브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는, 상기 밸브시트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전폐(全閉) 상 스토퍼이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전폐 하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측 스토퍼의 부착을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당해 전동 밸브의 구성이 간략화됨과 함께, 용이하게 그 제조를 행할 수가 있고, 전동 밸브의 제조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밸브에 있어서, 가동측 스토퍼는,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종단(終端)에 위치하는 평면부 또는 그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나사 종단부에 맞닿음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가동측 스토퍼의, 당해 전동 밸브에 대한 부착(고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나사부를 가지며, 전동 모터의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암나사 부재와, 그 암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밸브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밸브체와, 상기 암나사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가동측 스토퍼와, 밸브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암나사 부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 부재와, 그 수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와 맞닿음 가능한 고정측 스토퍼를 구비한 전동 밸브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암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그대로 연장됨에 의해 형성된 연장 수나사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에 나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 밸브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는, 상기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전폐 상 스토퍼이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전폐 하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측 스토퍼의 부착을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당해 전동 밸브의 구성이 간략화됨과 함께, 용이하게 그 제조를 행할 수가 있고, 전동 밸브의 제조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밸브에 있어서, 고정측 스토퍼가,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종단에 위치하는 평면부 또는 그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나사 종단부에 맞닿음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측 스토퍼의, 당해 전동 밸브에 대한 부착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전동 밸브에 있어서, 가동측 스토퍼 및 고정측 스토퍼가,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의 나사 절삭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각 스토퍼의 당접량을 적절하게 관리,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를 갖는 종래의 로터 이송 나사에 상당하는 조립체 등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낮은 전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제 1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전폐시, (b)는 전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제 2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전폐시, (b)는 전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제 3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전폐시, (b)는 전개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전동 밸브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전동 밸브의 로터 중심체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단면도, (b)는 저면도.
도 6은 도 4의 전동 밸브의 로터 이송 나사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고, (a)는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b)는, 제조한 로터 이송 나사를 밸브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c)는 (b)에 도시한 로터 이송 나사의 상면도.
다음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제 1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도 1(a)는 전폐 시, 도 1(b)는 전개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전동 밸브(1)는, 2개의 도관(導管)(2, 3)과 밸브시트(4)를 구비하는 밸브 본체(5)와, 밸브 본체(5)에 접합된 캔(6)과, 캔(6)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동 모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터(7)와, 캔(6)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로터(7)를 회전 구동하는 스테이터(도시 생략)와, 지지 링(9)을 통하여 로터(7)에 일체로 연결된 밸브축(수나사 부재)(10)과, 밸브 본체(5)에 하단부가 압입 고정되고, 밸브축(10)이 내삽(內揷)된 밸브축 홀더(암나사 부재)(11)와, 밸브축(10)의 하단부에 계지된 밸브체(12) 등으로 구성된다.
밸브 본체(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의 도관(2, 3)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유로(2a, 3a)에 연통하는 밸브실(5a)을 구비한다. 밸브실(5a)과 유로(3a) 사이에 밸브시트(4)가 위치하고, 밸브체(12)를 밸브시트(4)에 접리(接離)시킴으로써 전동 밸브(1)가 개폐한다.
캔(6)은, 하부가 개구하고, 상부가 닫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밸브 본체(5)의 상부에 접합 된다. 캔(6)의 내부에는, 로터(7) 등의 주요 부품이 수용된다.
로터(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캔(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로터(7)는, 밸브축(10)의 상부에 나감된 지지 링(9)을 통하여, 밸브축(10)과 일체로 연결된다. 지지 링(9)에는, 전폐 상 스토퍼부(가동측 스토퍼)(9a)가 밸브축 홀더(11)의 윗면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로터(7)와, 캔(6)의 외주부에 고정된 스테이터로 전동 모터(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가 구성되고, 스테이터에의 급전에 의해 로터(7)가 회전한다.
밸브축(10)은, 밸브축 홀더(11)의 암나사부(11a)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10a)가 나선으로 새겨짐(螺刻)과 함께, 하단부(10c)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천장부(10e)을 구비하는 스프링 수용부(10b)를 형성하고, 하단부(10c)에는, 밸브체(12)의 계지 링(16)이 코킹 고정된다. 스프링 수용부(10b) 내에는, 밸브체(12)를 볼(13)을 통하여 하방으로 가세하는 완충용의 코일 스프링(14)이 수축 장착된다.
밸브축(10)에 형성된 수나사부(10a)에 인접하여, 또한 밸브시트(4)와 반대 방향에 수나사부(10a)의 수나사가 그대로 연속하고 연장하여 형성되도록 연장 수나사 형성부(10z)가 마련되어 있다. 즉 . 수나사부(10a)는, 본래는 밸브축 홀더(11)에 마련된 암나사부(11a)에 나사 결합하는 범위에서 형성되면 좋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나사부(10a)를 더욱 그 범위를 밸브시트(4)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그대로 연장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10z)로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장 수나사 형성부(10z)에, 전폐 상 스토퍼부(9a)를 구비한 지지 링(9)이 나사 결합되고, 그 후, 접착, 용접 등의 알맞은 수법에 의해 지지 링(9)이 밸브축(10)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밸브축(10)에 형성된 수나사부(10a)에 인접하여, 또한 밸브시트(4)의 방향으로 수나사부(10a)의 수나사가 그대로 연속하여 연장하여 형성되도록 연장 수나사 형성부(10y)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10a)는, 본래는 암나사부(11a)에 나사 결합하는 범위에서 형성되면 좋지만(즉, 수나사부(10a)는, 밸브체(12)를 구동하는 구동 나사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나사부(10a)를 더욱 그 범위를 밸브시트(4)측을 향하도록 그대로 연속하여 연장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10y)로서 형성하고 있다.
전개 하 스토퍼(17)(가동측 스토퍼)는, 그 암나사부(17b)를 밸브축(10)의 단부(연장 수나사 형성부(10z))에 비틀어 넣어, 수나사부(10a)를 경유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10y)에 이르고, 천장부(10e)에 맞닿게 함에 의해 고정된다. 이 전개 하 스토퍼(17)는, 연장 수나사 형성부(10y)에 나사 결합하여 천장부(10e)에 맞닿을 뿐으로, 밸브축(10)에 대해 특히 접착, 용접 등에 의한 고정은 불필요하다. 즉, 당해 전동 밸브의 사용에 의해 전개 하 스토퍼(17)의 나사 결합이 가령 헐거워지게 되었어도, 그 밸브 폐쇄 방향의 동작에 의해, 전개 하 스토퍼부(17a)가 전개 상 스토퍼부(11f)에 맞닿아, 그 전개 하 스토퍼부(17a)는 천장부(10e) 방향으로 회동되어, 밸브축(10)에 대해 재차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상기한 고착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연장 수나사 형성부(10z)의 수나사의 형성을 천장부(10e)의 바로 앞까지로 하고, 그 수나사의 절삭 끝의 부분에서 전개 하 스토퍼(17)를 당접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밸브축 홀더(11)는, 상부에 암나사부(11a)가 나선으로 새겨짐과 함께, 밸브축 홀더(11)의 하부에는, 스프링 수용부(10b)의 외주에 배치(配在)되고, 하단부(11c)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천장부(11e)를 구비하는 통 형상의 감삽부(嵌揷部)(11b)를 구비한다. 감삽부(11b)의 하단부(11c)는, 밸브 본체(5)의 연결 지지부(5b)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축 홀더(11)의 암나사부(11a)와 밸브축(10)의 수나사부(10a)가 나사 결합하고, 밸브축 홀더(11)의 내부를 밸브축(10)이 상하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밸브축 홀더(11)의 윗면에는, 전폐 하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11d)가 마련되고, 천장부(11e)의 스프링 수용부(10b)측의 면에는, 전개 상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11f)가 마련된다. 밸브축 홀더(11)의 측면에는, 밸브실(5a)과 캔(6)의 내부와의 균압(均壓)을 도모하는 균압 구멍(15)이 천공된다.
여기서, 전개 하 스토퍼(17), 밸브축 홀더(11) 및 지지 링(9)의 3개의 부품은, 공통의 수나사(연장 수나사 형성부(10y), 수나사부(10a) 및 연장 수나사 형성부(10z))에 나사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개 하 스토퍼(17), 밸브축 홀더(11) 및 지지 링(9)의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의 절삭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각각의 스토퍼(전개 하 스토퍼부(17a), 전개 상 스토퍼부(11f), 전폐 하 스토퍼부(11d) 및 전폐 상 스토퍼부(9a))의 형성 위치(암나사의 절삭 시작 위치부터의 회전 방향에서의 각 스토퍼부의 형성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면, 각각의 스토퍼부의 당접량(맞닿음 높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밸브체(12)는, 하부에 원추형상 부분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체(12)의 상부(12a)는, 밸브축(10)의 스프링 수용부(10b)에 내삽됨과 함께, 밸브축(10)의 계지 링(16)에 의해 빠짐 방지 계지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전동 밸브(1)의 동작에 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동 밸브(1)를 닫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b)의 상태에서, 스테이터에 일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로터(7)가 윗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밸브축(10)도 회전 하강하고, 밸브체(12)가 밸브시트(4)에 착좌(着座)하여 전동 밸브(1)가 밸브 폐쇄한다.
밸브체(12)가 밸브시트(4)에 착좌한 시점에서는, 전폐 상 스토퍼부(9a)가 전폐 하 스토퍼부(11d)까지 도달하지 않고, 로터(7)가 더욱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다. 로터(7)가 더욱 윗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폐 상 스토퍼부(9a)가 전폐 하 스토퍼부(11d)에 맞닿으면, 로터(7)의 회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밸브체(12)가 밸브시트(4)에 착좌하면, 밸브체(12)의 이동은 정지하지만, 밸브축(10)은 더욱 하강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4)이 압축되어 밸브체(12)를 밸브시트(4)에 가압하고, 도 1(a)에 도시하는 자세에서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전동 밸브(1)를 여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a)의 상태에서, 스테이터에 상기와는 역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로터(7)가 윗면으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밸브축(10)이 상승하고, 밸브체(12)가 밸브시트(4)로부터 떨어져서 전동 밸브(1)가 밸브 개방한다. 그리고, 로터(7)가 더욱 회전하고, 전개 하 스토퍼부(17a)가 전개 상 스토퍼부(11f)에 맞닿으면, 로터(7)의 회전이 정지하고, 밸브체(12)의 상승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밸브축 홀더(11)에 형성된 암나사부(11a)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밸브축(10)에 수나사부(10a)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수나사부(10a)를 더 그대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그 연장부인 연장 수나사 형성부(10y, 10z)에 전개 하 스토퍼(17) 및 지지 링(9)(전폐 상 스토퍼부(9a))를 나감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번잡한 성형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전개 하 스토퍼(17), 지지 링(9)(전개 상 스토퍼부(9a)) 및 밸브축(10) 및 이들의 조립체(종래의 로터 이송 나사(170)에 유사한 구조를 갖는 물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낮은 전동 밸브(1)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a)는 전폐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전개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전동 밸브(31)는, 2개의 도관(32, 33)과 밸브시트(34)를 구비한 밸브 본체(35)와, 밸브 본체(35)에 접합된 캔(36)과, 캔(36)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동 모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터(37)와, 캔(36)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로터(37)를 회전 구동하는 스테이터(도시 생략)와, 로터(37)에 일체로 연결되고, 밸브축(40)이 내삽된 밸브축 홀더(암나사 부재)(39)와, 밸브 본체(35)에 하단부가 압입 고정된 가이드 부시(수나사 부재)(43)와, 밸브축(40)과 일체로 형성된 밸브체(42) 등으로 구성된다.
밸브 본체(3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의 도관(32, 33)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유로(32a, 33a)에 연통하는 밸브실(35a)을 구비한다. 밸브실(35a)과 유로(33a) 사이에 밸브시트(34)가 위치하고, 밸브체(42)가 밸브시트(34) 내에 삽탈됨으로서 전동 밸브(31)가 개폐한다.
캔(36)은, 하부가 개구하고, 상부가 닫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밸브 본체(35)의 상부에 접합 링(49)을 통하여 접합 된다. 캔(36)의 내부에는, 로터(37) 등의 주요 부품이 수용된다.
로터(3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캔(3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밸브축 홀더(39)와 일체로 연결된다. 로터(37)와, 캔(36)의 외주부에 고정된 스테이터로 전동 모터가 구성되고, 스테이터로의 급전에 의해 로터(37)가 회전한다.
밸브축(40)은, 밸브축 홀더(39)의 상부에 약간의 간극으로써 내삽되고, 밸브축(40)의 상단부는, 밸브축 홀더(39)의 천상면(天上面)에 재치된 너트(41)에 압입 고정된다. 밸브축(40)은, 하부에 밸브체(42)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밸브축(40)의 밸브축 홀더(39)에 대한 내삽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간극이 마련되어 있지만, 밸브축(40)이, 밸브축 홀더(39)의 내부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가세됨에 의해, 밸브축 홀더(39)의 진퇴 움직임이 안정하게 밸브축(40)에 전달된다.
밸브축 홀더(39)는, 로터(37)에 일체화되고, 상부에 밸브축(40)을 내삽한다. 밸브축 홀더(39)에는, 가이드 부시(43)의 수나사부(43a)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39a)가 나선으로 새겨짐과 함께, 하단부에 전폐 상 스토퍼부(39b)(가동측 스토퍼)가 돌설된다.
밸브축 홀더(39)의 천장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46)이 마련된다. 이 복귀 스프링(46)은, 가이드 부시(43)의 수나사부(43a)와 밸브축 홀더(39)의 암나사부(39a)의 나사 결합이 벗겨진 때에, 캔(36)의 내면에 맞닿아서 양 나사부(39a, 43a)의 나사 결합을 복귀시키도록 작용한다.
가이드 부시(43)는, 밸브 본체(35)에 그 하단부가 압입 고정됨과 함께, 그 중앙부 부근에 밸브축 홀더(39)의 암나사부(39a)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43a)가 나선으로 새겨진다. 가이드 부시(43)의 측면에는, 밸브실(35a)과 캔(36)의 내부와의 균압을 도모하는 균압구멍(45)이 천공된다.
전폐 하 스토퍼(고정측 스토퍼)(47)는, 그 암나사부(47b)가 가이드 부시(43)의 연장 수나사 형성부(43y)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된다. 즉, 가이드 부시(43)에는, 밸브축 홀더(39)에 형성된 암나사부(39a)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수나사부(43a)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수나사부(43a)를 더욱 밸브시트(34)의 방향으로 그대로 연속하여 연장하여, 이 연장 부분(연장 수나사 형성부(43y))에 전폐 하 스토퍼(47)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환언하면, 상기 수나사부(43a)는, 본래는 암나사부(39a)에 나사 결합하는 범위에서 형성되면 좋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나사부(43a)를 더욱 그 범위를 밸브시트(34)측을 향하도록 그대로 연속하여 연장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로 하고, 그 연장 수나사 형성부(43y)에 전폐 하 스토퍼(47)가 나감되고, 그 스토퍼(47)가 단차부(43e)에 맞닿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전폐 하 스토퍼(47)는, 연장 수나사 형성부(43y)에 나감할 뿐으로, 밸브축(40)에 대해 특히 접착, 용접 등에 의한 고정은 불필요하다. 즉, 당해 전동 밸브의 사용에 의해 전폐 하 스토퍼(47)의 나감이 가령 헐겁게 되었어도, 그 밸브 폐쇄 방향의 동작에 의해, 전폐 상 스토퍼부(39b)가 전폐 하 스토퍼(47)에 맞닿아, 그 전폐 하 스토퍼(47)는 단차부(43e) 방향으로 회동되어, 밸브축(40)에 대해 재차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상기한 고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연장 수나사 형성부(43y)의 수나사의 형성을 단차부(43e)의 바로 앞까지로 하고, 그 수나사의 절삭 끝의 부분에 전폐 하 스토퍼(47)를 당접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전폐 하 스토퍼(47) 및 밸브축 홀더(39)의 2개의 부품은, 공통의 수나사(연장 수나사 형성부(43y) 및 수나사부(43a))에 나사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폐 하 스토퍼(47) 및 밸브축 홀더(39)의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의 절삭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각각의 스토퍼(전폐 하 스토퍼부(47a) 및 전폐 상 스토퍼부(39b))의 형성 위치(암나사의 절삭 시작 위치에서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각 스토퍼의 형성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면, 각각의 스토퍼의 당접량(맞닿는 높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전동 밸브(31)의 동작에 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동 밸브(31)를 닫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b)의 상태에서, 스테이터에 일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로터(37)가 윗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밸브축 홀더(39) 및 밸브축(40)도 회전 하강하고, 밸브체(42)가 밸브시트(34) 내에 삽입된다.
밸브체(42)가 밸브시트(34)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후, 로터(37)가 더욱 회전하여 밸브축 홀더(39)의 전폐 상 스토퍼부(39b)가 전폐 하 스토퍼부(47a)에 맞닿아, 밸브축 홀더(39)의 하강이 강제적으로 정지되고, 도 2(a)에 도시하는 자세로 동작이 종료된다.
이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축 홀더(39)의 하강이 강제적으로 정지된 경우에도, 밸브체(42)와 밸브시트(34)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있고, 유체의 소량 유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축(40)이 가장 하강할 때에도 그 하강이 밸브시트(34)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밸브축(40)의 최하강 위치에서도, 스프링(44)은 압축되는 일은 없다.
한편, 전동 밸브(31)를 여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a)의 상태에서, 스테이터에 상기와는 역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로터(37)가 윗면으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밸브축 홀더(39) 및 밸브축(40)도 회전 상승하고, 밸브체(42)가 밸브시트(34)로부터 떨어저서 전동 밸브(31)가 밸브 개방한다.
이상과 같이, 밸브축 홀더(39)에 형성된 암나사부(39a)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가이드 부시(43)에 수나사부(43a)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수나사부(43a)를 더욱 밸브시트(34)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43y)로 하고, 이 연장부분에 전폐 하 스토퍼(47)를 나감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해서도, 종래와 같은 번잡한 성형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전폐 하 스토퍼(47)를 가이드 부시(43) 및 이들의 조립체(종래의 로터 이송 나사(170)에 상당하는 물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낮은 전동 밸브(3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의 설명에서는, 밸브축 홀더(39)의 하강이 강제적으로 정지된 경우에도, 밸브체(42)와 밸브시트(34)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있고, 유체의 소량 유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밸브체(42)가 밸브시트(34)에 맞닿아 밸브 폐쇄시에 유체의 유출이 차단되도록 당해 전동 밸브가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밸브체(42)가 밸브시트(34)에 맞닿은 후는, 스프링(44)이 압축되면서 밸브축 홀더(39)만이 더욱 하강하고, 그 후 스토퍼의 접합에 의해 밸브축 홀더(39)의 회전이 정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전동 밸브의 제 3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a)는 전폐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전개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전동 밸브(51)는, 도 1에 도시한 전동 밸브(1)와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즉, 밸브축(수나사 부재)(80)과 밸브체(82)와의 사이에 스프링 수용 부재(83)를 개장(介裝)하고, 코일 스프링(84)을 스프링 수용 부재(83)의 내부에 수축장착하고, 하방에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주발 형상(椀狀) 부재(73)를 통하여 밸브체(82)를 가압하고 있다. 또한, 밸브 본체(75)를 얇은 주발 형상으로 형성하고, 수지로 성형한 밸브축 홀더(암나사 부재)(81)를 접합 링(85)을 통하여 용접 등으로 밸브 본체(75)에 장착하고 있다. 밸브축(80)의 상단의 측 표면에 전폐 상 스토퍼부(87a)를 갖는 전폐 상 스토퍼(87)가 나감되고, 밸브축 홀더(81)의 감삽부(81b)의 천장부(81e)의 내면에는 전개 상 스토퍼부(81f)가 형성되고, 밸브축 홀더(81)의 상단에는 전폐 하 스토퍼부(81d)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82)는, 밸브축(80)의 하단부(80b)에서 코킹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 수용 부재(83)에 압입 고정 되어 있는 계지 링(86)에 의해 빠짐 방지 계지되어 있다. 주발 형상 부재(73), 얇은 밸브 본체(75), 및 수지 성형한 밸브축 홀더(81)를 이용한 것은, 전동 밸브(51)의 경량화 때문이다.
밸브 본체(75)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주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관(52)과, 밸브시트 부재(54)를 통하여 도관(53)이 접속된다. 밸브 본체(75)는, 2개의 도관(52, 53)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유로(52a, 53a)에 연통하는 밸브실(75a)을 구비한다. 밸브실(75a) 내에 밸브시트(54a)가 위치하고, 밸브체(82)를 밸브시트(54a)에 접리시킴으로써 전동 밸브(51)가 개폐한다.
캔(56)은, 하부가 개구하고 . 상부가 닫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밸브 본체(75)의 상부의 접합 링(85)에 접합 된다. 캔(56)의 내부에는, 로터(57) 등의 주요 부품이 수용된다.
로터(5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캔(5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로터(57)는, 밸브축(80)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 링(59)을 통하여, 밸브축(80)과 일체로 연결된다. 로터(57)와, 캔(56)의 외주부에 고정된 스테이터로 전동 모터(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가 구성되고, 스테이터에의 급전에 의해 로터(57)가 회전한다.
지지 링(59)의 하방에는, 전폐 상 스토퍼부(87a)를 갖는 전폐 상 스토퍼(87)가 밸브축(80)의 연장 수나사 형성부(80z)에 나감되고, 전폐 상 스토퍼부(87a)는, 밸브축 홀더(81)의 윗면을 향하여 돌출한다.
밸브축(80)은, 밸브축 홀더(81)의 암나사부(81a)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80a)가 나선으로 새겨짐과 함께, 감삽부(81b)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한다. 밸브축(80)에 형성된 수나사부(80a)에 인접하여, 또한 밸브시트(54a)와 반대 방향으로 수나사부(80a)의 수나사가 그대로 연장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80z)가 마련되어 있다. 즉, 수나사부(80a)는, 본래는 밸브축 홀더(81)에 마련된 암나사부(81a)에 나사 결합하는 범위에서 형성되면 좋지만(즉, 수나사부(80a)는, 밸브체(82)를 구동하는 구동 나사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나사부(80a)를 더욱 그 범위를 밸브시트(54a)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그대로 연속하여 연장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80z)로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장 수나사 형성부(80z)에, 전폐 상 스토퍼부(87a)를 구비한 전폐 상 스토퍼(87)(가동측 스토퍼)가 나감되어 있다.
이 전폐 상 스토퍼(87)는, 연장 수나사 형성부(80z)에 나사 결합하고, 지지 링(59)의 하면에 맞닿을 뿐으로, 밸브축(80)이나 지지 링(59)에 대해 특히 접착, 용접 등에 의한 고정은 불필요하다. 즉, 당해 전동 밸브(51)의 사용에 의해 전폐 상 스토퍼(87)의 나사 결합이 가령 헐겁게 되어도, 그 밸브 폐쇄 방향의 동작에 의해, 전폐 상 스토퍼부(87a)가 전폐 하 스토퍼부(81d)에 맞닿아, 그 전폐 상 스토퍼(87)는 지지 링(59)의 하면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밸브축(80)에 대해 재차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상기한 고착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밸브축(80)에 형성된 수나사부(80a)에 인접하여, 또한 밸브시트(54a)의 방향으로 수나사부(80a)의 수나사가 그대로 연장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80y)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80a)는, 본래는 암나사부(81a)에 나사 결합하는 범위에서 형성되면 좋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나사부(80a)를 더욱 그 범위를 밸브시트(54a)측을 향하도록 그대로 연장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80y)로서 형성하고 있다.
스프링 수용 부재(83)는, 밸브축(80)의 하단부(80b)에 코킹 고정되고, 스프링 수용 부재(83)와 주발 형상 부재(73)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84)이 수축장착된다.
전개 하 스토퍼(67)(가동측 스토퍼)는, 그 암나사부(67b)를 밸브축(80)의 단부(연장 수나사 형성부(80z))에 비틀어 넣어, 수나사부(80a)를 경유하여 연장 수나사 형성부(80y)에 이르고, 스프링 수용 부재(83)의 천장부(83a)에 맞닿게 함에 의해 고정된다. 이 전개 하 스토퍼(67)는, 연장 수나사 형성부(80y)에 나사 결합하고, 스프링 수용 부재(83)의 천장부(83a)에 맞닿을 뿐으로, 밸브축(80)이나 나사 수용 부재(83)에 대해 특히 접착, 용접 등에 의한 고정은 불필요하다. 즉, 당해 전동 밸브(51)의 사용에 의해 전개 하 스토퍼(67)의 나사 결합이 가령 헐겁게 되었어도, 그 밸브 폐쇄 방향의 동작에 의해, 전개 하 스토퍼부(67a)가 전개 상 스토퍼부(81f)에 맞닿아, 그 전개 하 스토퍼(67)는 스프링 수용 부재(83)의 천장부(83a)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밸브축(80)에 대해 재차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상기한 고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연장 수나사 형성부(80y)의 수나사의 형성을 천장부(83a)의 바로 앞까지로 하고, 그 수나사의 절상 끝의 부분에 전개 하 스토퍼(67)를 당접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밸브축 홀더(81)는, 상부에 암나사부(81a)가 나선으로 새겨짐과 함께, 밸브축 홀더(81)의 하부에는, 스프링 수용 부재(83)의 외주에 배치되고, 하단부(81c)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천장부(81e)를 구비하는 통 형상의 감삽부(81b)를 구비한다. 감삽부(81b)의 하단부(81c)는, 접합 링(85)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축 홀더(81)의 암나사부(81a)와 밸브축(80)의 수나사부(80a)가 나사 결합하고, 밸브축 홀더(81)의 내부를 밸브축(80)이 상하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밸브축 홀더(81)의 윗면에는, 전폐 하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81d)가 마련되고, 천장부(81e)의 스프링 수용 부재(83)측의 면에는, 전개 상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81f)가 마련된다.
여기서, 전개 하 스토퍼(67), 밸브축 홀더(81) 및 전폐 상 스토퍼(87)의 3개의 부품은, 공통의 수나사(연장 수나사 형성부(80y), 수나사부(80a) 및 연장 수나사 형성부(80z))에 나사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개 하 스토퍼(67), 밸브축 홀더(81) 및 전폐 상 스토퍼(87)의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의 절삭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각각의 스토퍼(전개 하 스토퍼부(67a), 전개 상 스토퍼부(81f), 전폐 하 스토퍼부(81d) 및 전폐 상 스토퍼부(87a)).의 형성 위치(암나사의 절삭 시작 위치부터의 회전 방향에서의 각 스토퍼부의 형성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면, 각각의 스토퍼부의 당접량(맞닿음 높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밸브체(82)는, 하부에 원추형상 부분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체(82)의 상부(82a)는, 스프링 수용 부재(83)에 내삽됨과 함께, 계지 링(86)에 의해 빠짐 방지 계지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전동 밸브(51)의 동작에 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동 밸브(51)를 닫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3(b)의 상태에서, 스테이터에 일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로터(57)가 윗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밸브축(80)도 회전 하강하고, 밸브체(82)가 밸브시트(54a)에 착좌하여 전동 밸브(51)가 밸브 폐쇄한다.
밸브체(82)가 밸브시트(54a)에 착좌한 시점에서는, 전폐 상 스토퍼부(87a)가 전폐 하 스토퍼부(81d)까지 도달하지 않고, 로터(57)가 더욱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다. 로터(57)가 더욱 윗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폐 상 스토퍼부(87a)가 전폐 하 스토퍼부(81d)에 맞닿으면, 로터(57)의 회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밸브체(82)가 밸브시트(54a)에 착좌하면, 밸브체(82)의 이동은 정지하지만, 밸브축(80)은 더욱 하강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84)이 압축되고 밸브체(82)를 밸브시트(54a)에 가압하고, 도 3(a)에 도시하는 자세로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전동 밸브(51)를 여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3(a)의 상태에서, 스테이터에 상기와는 역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로터(57)가 윗면으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밸브축(80)이 상승하고, 밸브체(82)가 밸브시트(54a)로부터 떨어저서 전동 밸브(51)가 밸브 개방한다. 그리고, 로터(57)가 더욱 회전하고, 전개 하 스토퍼부(67a)가 전개 상 스토퍼부(81f)에 맞닿으면, 로터(57)의 회전이 정지하고, 밸브체(82)의 상승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밸브축 홀더(81)에 형성된 암나사부(81a)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밸브축(80)에 수나사부(80a)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수나사부(80a)를 더욱 그대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그 연장부인 연장 수나사 형성부(80y, 80z)에 전개 하 스토퍼(67)(전개 하 스토퍼부(67a)) 및 전폐 상 스토퍼(87)(전폐 상 스토퍼부(87a))를 나감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번잡한 성형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전개 하 스토퍼(67), 전폐 상 스토퍼(87) 및 밸브축(80) 및 이들의 조립체(종래의 로터 이송 나사(170)에 유사한 구조를 갖는 물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낮은 전동 밸브(51)를 제공할 수 있다.
1 : 전동 밸브 2 : 도관
2a : 유로 3 : 도관
3a : 유로 4 : 밸브시트
5 : 밸브 본체 5a : 밸브실
5b : 연결 지지부 6 : 캔
7 : 로터 9 : 지지 링
9a : 전폐 상 스토퍼부(가동측 스토퍼) 10 : 밸브축(수나사 부재)
10a : 수나사부 10b : 스프링 수용부
10c : 하단부 10e : 천장부
10y : 연장 수나사 형성부 10z : 연장 수나사 형성부
11 : 밸브축 홀더(암나사 부재) 11a : 암나사부
11b : 감삽부 11c : 하단부
11d : 전폐 하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 11e : 천장부
11f : 전개 상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 12 : 밸브체
12a : 상부 13 : 볼
14 : 코일 스프링 15 : 균압구멍
16 : 계지 링
17 : 전개 하 스토퍼(가동측 스토퍼) 17a : 전개 하 스토퍼부
17b : 암나사부 31 : 전동 밸브
32 : 도관 32a : 유로
33 : 도관 33a : 유로
34 : 밸브시트 35 : 밸브 본체
35a : 밸브실 36 : 캔
37 : 로터 39 : 밸브축 홀더(암나사 부재)
39a : 암나사부
39b : 전폐 상 스토퍼부(가동측 스토퍼) 40 : 밸브축
41 : 너트 42 : 밸브체
43 : 가이드 부시(수나사 부재) 43a : 수나사부
43e : 단차부 43y : 연장 수나사 형성부
44 : 코일 스프링 45 : 균압구멍
46 : 복귀 스프링
47 : 전폐 하 스토퍼(고정측 스토퍼) 47a : 전폐 하 스토퍼부
47b : 암나사부 49 : 접합 링
51 : 전동 밸브 52 : 도관
52a : 유로 53 : 도관
53a : 유로 54 : 밸브시트 부재
54a : 밸브시트 56 : 캔
57 : 로터 59 : 지지 링
67 : 전개 하 스토퍼
67a : 전개 하 스토퍼부(가동측 스토퍼) 67b : 암나사부
73 : 주발 형상 부재 75 : 밸브 본체
75a : 밸브실 80 : 밸브축(수나사 부재)
80a : 수나사부 80b : 하단부
80y : 연장 수나사 형성부 80z : 연장 수나사 형성부
81 : 밸브축 홀더(암나사 부재) 81a : 암나사부
81b : 감삽부 81c: T단부
81d : 전폐 하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 81e : 천장부
81f : 전개 상 스토퍼부(고정측 스토퍼) 82 : 밸브체
82a : 상부 83 : 스프링 수용 부재
83a : 천장부 84 : 코일 스프링
85 : 접합 링 86 : 계지 링
87 : 전폐 상 스토퍼
87a : 전폐 상 스토퍼부(가동측 스토퍼)

Claims (8)

  1. 수나사부를 가지며, 전동 모터의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수나사 부재와,
    그 수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밸브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밸브체와,
    상기 수나사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가동측 스토퍼와,
    밸브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부재와,
    그 암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와 맞닿음 가능한 고정측 스토퍼를 구비한 전동 밸브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암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그대로 연장됨에 의해 형성된 연장 수나사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에서의 상기 밸브시트측의 단부에 나감(螺嵌)됨과 함께, 상기 고정측 스토퍼와는 상기 수나사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는, 상기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전개 하 스토퍼이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전개 상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는, 상기 밸브시트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전폐 상 스토퍼이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전폐 하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종단에 위치하는 평면부 또는 그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나사 종단부에 맞닿음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5. 암나사부를 가지며, 전동 모터의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암나사 부재와,
    그 암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밸브시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밸브체와,
    상기 암나사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가동측 스토퍼와,
    밸브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 부재와,
    그 수나사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와 맞닿음 가능한 고정측 스토퍼를 구비한 전동 밸브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암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가 그대로 연장됨에 의해 형성된 연장 수나사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에서의 상기 밸브시트측의 단부에 나감(螺嵌)됨과 함께, 상기 가동측 스토퍼와는 상기 암나사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는, 상기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스토퍼는, 전폐 상 스토퍼이고,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전폐 하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상기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종단에 위치하는 평면부 또는 그 연장 수나사 형성부의 나사 종단부에 맞닿음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스토퍼 및 상기 고정측 스토퍼는, 각각에 형성되는 암나사의 나사 절삭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밸브.
KR1020110015787A 2010-06-29 2011-02-23 전동 밸브 KR101772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7110A JP5681396B2 (ja) 2010-06-29 2010-06-29 電動弁
JPJP-P-2010-147110 2010-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87A KR20120001587A (ko) 2012-01-04
KR101772700B1 true KR101772700B1 (ko) 2017-08-29

Family

ID=4542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787A KR101772700B1 (ko) 2010-06-29 2011-02-23 전동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81396B2 (ko)
KR (1) KR101772700B1 (ko)
CN (1) CN1023130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5467B2 (ja) * 2014-10-27 2019-02-27 株式会社フジキン バルブ
CN108386585A (zh) * 2018-03-13 2018-08-10 珠海励高精工制造有限公司 电子膨胀阀及空调器
CN109538775A (zh) * 2019-01-11 2019-03-29 江苏金晟元特种阀门股份有限公司 耐强腐抗颗粒氟塑料全衬截止阀
CN111561571B (zh) * 2019-02-14 2023-11-21 株式会社Tgk 电动阀
JP6730751B2 (ja) * 2019-07-03 2020-07-29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211175578U (zh) * 2019-11-19 2020-08-04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磁转子组件及电子膨胀阀
JP6873512B2 (ja) * 2020-04-09 2021-05-19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215983362U (zh) * 2021-08-31 2022-03-08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及其空调机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3727A (ja) * 2008-07-16 2010-02-25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058Y2 (ko) * 1989-05-23 1992-09-18
JP3310042B2 (ja) * 1993-02-16 2002-07-29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用のロータ中心体とロータ送りねじ及びロータの製造方法
JP3937029B2 (ja) * 1999-03-26 2007-06-2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2005172020A (ja) * 2003-12-08 2005-06-30 Fuji Koki Corp 電動弁
KR101165314B1 (ko) * 2004-09-17 2012-07-18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전동밸브
JP4781010B2 (ja) * 2005-05-19 2011-09-28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08232276A (ja) * 2007-03-20 2008-10-02 Fuji Koki Corp 電動弁
JP4679613B2 (ja) * 2008-08-04 2011-04-2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5291477B2 (ja) * 2009-01-22 2013-09-18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3727A (ja) * 2008-07-16 2010-02-25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3061B (zh) 2015-05-20
JP2012013095A (ja) 2012-01-19
JP5681396B2 (ja) 2015-03-04
KR20120001587A (ko) 2012-01-04
CN102313061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700B1 (ko) 전동 밸브
CN107237913B (zh) 电动阀及其组装方法
EP1632703B1 (en) Motor-operated valve
KR101303536B1 (ko) 전동 밸브
JP2001050415A (ja) 電動弁
EP2123955A1 (en) Pressure reducing valve for gas
JP5572516B2 (ja) 電動弁
JPH1089179A (ja) 調圧弁
CN208519284U (zh) 一种电动阀
KR102400662B1 (ko) 제어밸브 및 그 제조 방법
CN111765288A (zh) 电子膨胀阀
JP2008032093A (ja)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の組立方法
KR20070096792A (ko) 전동 밸브
JP2012062952A (ja) 電動弁
JP7127142B6 (ja) 電子膨張弁
CN107380335A (zh) 车辆高度调整设备
JPH08170753A (ja) 電動流量制御弁
JPH06241338A (ja) 電動弁用のロータ中心体とロータ送りねじ及びロータの製造方法
JP5424919B2 (ja) 電動弁
JP5156339B2 (ja) 弁装置の製造方法及び弁組立体
WO2006006848A2 (en) Shock absorber with pressure-supported adjustment
JPH08159320A (ja) 電動流量制御弁
CN107416105A (zh) 流动路径控制装置及车辆高度调整设备
CN107444550A (zh) 流动路径控制装置及车辆高度调整设备
JP2004316718A (ja) 電動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