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458B1 -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458B1
KR101772458B1 KR1020110062655A KR20110062655A KR101772458B1 KR 101772458 B1 KR101772458 B1 KR 101772458B1 KR 1020110062655 A KR1020110062655 A KR 1020110062655A KR 20110062655 A KR20110062655 A KR 20110062655A KR 101772458 B1 KR101772458 B1 KR 10177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rightness
module
mod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965A (ko
Inventor
이남수
오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458B1/ko
Priority to EP12004734.5A priority patent/EP2541950B1/en
Priority to US13/535,263 priority patent/US9294760B2/en
Publication of KR2013000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감상 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쾌적한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 및 감상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가변적으로 2D(2-dimensional) 영상 및 시차장벽 방식의 3D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3D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포함하는 소스 영상의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생 모드가 3D 모드인 경우, 상기 소스 영상의 밝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밝기에 따라 상기 소스 영상의 출력 밝기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감상 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쾌적한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 및 감상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 형태의 영상표시 장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양안 시차(stereo scopic)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이 구현되고 있다. 3차원 입체 영상은 특수한 안경이 필요한 방식과, 이러한 안경이 요구되지 않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안경이 필요하지 않은 방식에서는 그 구현방식의 한계로 일반적으로 2D 평면 영상에 비하여 출력 영상이 어두워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편리하고 쾌적하게 3D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3D 입체 영상 감상 환경을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D 입체 영상이 출력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시각적 불편함 없이 3D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등의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표시 밝기를 고려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소스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3D(3-dimensional)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소스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3D 입체영상 촬영모드인 경우, 상기 소스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의 밝기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가변적으로 2D(2-dimensional) 영상 및 시차장벽 방식의 3D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3D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포함하는 소스 영상의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생 모드가 3D 모드인 경우, 상기 소스 영상의 밝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밝기에 따라 상기 소스 영상의 출력 밝기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2D(2-dimensional) 영상 및 시차장벽 방식의 3D 입체영상을 가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포함하는 소스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경우, 재생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재생 모드가 3D 입체영상 재생모드인 경우, 상기 소스 영상의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2D(2-dimensional) 영상 및 시차장벽 방식의 3D 입체영상을 가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3D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포함하는 소스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소스 영상의 밝기 및 상기 소스 영상의 재생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트리거링 모듈; 상기 판단된 재생 모드가 3D 입체영상 재생모드인 경우, 상기 판단된 밝기에 따라 상기 소스 영상의 출력 감마값을 조절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서브 시스템(DSS); 및 상기 소스 영상의 밝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3D(3-dimensional)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소스영상의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각각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징 서브 시스템(ISS);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판단하는 트리거링 모듈; 및 상기 트리거링 모듈에서 상기 촬영 모드가 3D 입체영상 촬영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밝기가 향상되도록 상기 이미징 서브 시스템을 제어하는 밝기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2D 영상과의 밝기 차이를 최소화하여 보다 쾌적한 3D 입체 영상의 감상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상환경에 따라 3D 영상의 밝기가 조절되므로 사용자는 3D 입체영상을 감상함에 있어 시각적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밝기 조절이 고려되는 3D 입체 영상의 소스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양안시차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양안시차에 의한 거리감 및 3차원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관련된 양안 시차를 이용한 3D 입체영상 표시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시차장벽 방식이 구현되는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3D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스 영상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이동 단말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밝기 보상이 수행되는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보정을 위한 커브 수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적응적 밝기 조절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적응적 밝기 조절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2D/3D 입체영상이 재생되는 형태 및 메뉴구성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2D/3D 모드의 밝기 변경 설정을 위한 커브 설정 모드의 메뉴구성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영상표시 장치는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매체 재생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구 설명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3차원 입체 영상의 구현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스테레오 스코픽 방식의 3D 입체 영상 표현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스테레오 스코픽(stereo scopic) 방식이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인간이 육안으로 사물을 볼 때 입체감을 느끼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즉, 사람의 두 눈은 서로 간에 이루는 거리에 의해 동일한 사물을 볼때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은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고, 뇌는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depth) 및 실제감(reality)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람마다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양안이 서로 이루는 거리에 의한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하며, 이러한 양안시차는 스테레오 스코픽 방식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안시차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한다.
도 3은 양안시차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육면체(310)를 눈높이보다 아래의 정면에 두고 육안으로 보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좌안으로는 육면체(310)의 윗면, 정면 및 좌측면의 3면 만이 보이는 좌안 평면영상(320)이 보이게 된다. 또한, 우안으로는 육면체(310)의 윗면, 정면 및 우측면의 3면 만이 보이는 우안 평면영상(330)이 보이게 된다.
만약, 실제 눈 앞의 사물이 아니더라도 좌안에는 좌안 평면영상(320)이, 우안에는 우안 평면영상(330)이 각각 도달되도록 하면 사람은 실제로 입체적인 육면체(310)를 보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결국, 이동 단말기에서 두 번째 카테고리의 입체 영상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동일한 오브젝트를 소정 시차를 두고 본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각각을 구분하여 양안에 도달시켜야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양안시차에 의한 3차원 깊이를 설명한다.
도 4는 양안시차에 의한 거리감 및 3차원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안을 통하여 d1 거리에서 육면체(400)를 볼 때, d2 거리에서 육면체(400)를 볼 때보다 상대적으로 각 안구에 들어오는 영상의 측면 비중이 높게 되며 양안을 통해 보이는 영상의 차이도 크게 된다. 또한, d1 거리에서 육면체(400)를 볼 때 사람이 느끼는 입체감의 정도가 d2 거리에서 육면체(400)를 볼 때보다 더 크게 된다. 즉, 사람이 양안을 통하여 사물을 볼 때 가까이 있는 물체일 수록 입체감이 더 크게 느껴지고, 멀리 있는 물체일수록 입체감이 더 적게 느껴진다.
이러한 입체감의 차이를 3차원 깊이(3D depth) 또는 3차원 레벨(3D Level)로 수치화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가까이 위치한 사물의 높은 입체감을 낮은 3차원 깊이 및 낮은 3차원 레벨로 표기하고, 멀리 위치한 사물의 낮은 입체감을 높은 3차원 깊이 및 높은 3차원 레벨로 표기하기로 한다. 이러한 3차원 깊이 또는 3차원 레벨의 정의는 상대적인 것으로 그 분류 기준과 증가/감소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3D 입체영상의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3D 입체영상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각각 구분되어 양안에 도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시차 장벽 방식을 이하 설명한다.
시차 장벽(parrallax barrier) 방식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와 양안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양안 시차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서 3D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상면에 부착되는 스위칭 패널을 포함한다. 스위칭 패널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양안으로 도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LED, AMOLED 등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b는 스위칭 패널의 배리어(barrier) 간격을, g는 스위칭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간격을, z는 사람이 보는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5에서와 같이, 두 이미지를 픽셀단위로 합성할 경우(L, R), 오른쪽 눈의 시각이 오른쪽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로, 왼쪽 눈의 시각이 왼쪽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로 대응되도록 시각을 입사받는 스위칭 패널이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칭 패널은 3D 입체 영상을 표출하고자 할 경우,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패널은 2차원 영상을 표출하고자 할 경우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패널이 오프될 경우에는 양안시차가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스위칭 패널 방식은 2D/3D간 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편광처리되거나 액티브 셔터로 동작하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도 3D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서는 시차장벽이 하나의 축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둘 이상의 축 방향으로도 동작할 수 있는 시차 장벽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시차장벽 방식이 구현되는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도 5를 통해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스위칭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상태가 입체적으로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610) 상부에 스위칭 패널(620)이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스위칭 패널이 LCD 소자로 구성된 경우로 가정한다. 이는 전기 인가여부에 따라 LCD 내부의 액정분자 배열이 변화되어 투명/불투명 상태가 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스위칭 패널(610)은 동작하지 않을 시에는 하부의 디스플레이 패널(6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대부분 투과시킨다. 반대로, 동작할 시에는 d10에 해당하는 빛은 통과시키고, d20에 해당하는 빛은 차단시켜 3D 입체영상을 구성하기에 바람직한 방향으로만 빛을 투과시키도록 동작한다. d10과 d20의 비율은 가변적일 수 있다.
그런데, 스위칭 패널이 작동할 때 d20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빛이 차단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3D 입체영상의 휘도(밝기)가 필연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즉, 2D 영상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에는 스위칭 패널이 작동할 필요가 없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스위칭 패널의 고유 투명도에 해당하는 만큼만 휘도가 낮아진다. 그런데, 3D 입체영상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에는 스위칭 패널이 작동하여 d10과 d20의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차단되어 출력영상의 휘도가 2D 영상을 출력할 때보다 더욱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으로 d10의 비율을 높이고 d20의 비율을 줄여 통과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사용자의 좌안으로 가야할 빛과 우안으로 가야할 빛이 정확히 분리가 되지 않아 상호간섭(crosstalk)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3D 입체영상의 밝기 보상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D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생성/재생시에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안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영상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3D 시차 장벽 방식을 통하여 3D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또한, 편의상 3D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함께 "소스 이미지"라 칭한다. 아울러, 영상 표시 장치는 이동 단말기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생성/재생시에 영상의 밝기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첫번째는 3D 입체영상을 위한 소스영상을 생성할 때 미리 밝기의 감쇄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보정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미리 준비된 소스영상으로 3D 입체영상을 출력할 때, 밝기 감쇄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보정하여 출력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미리 준비된 소스영상이라 함은 메모리(160)에 파일 형태로 저장된 소스 영상 및 유/무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다운로드/스트리밍 되는 소스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소스 영상은 정지화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상술한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 및 그 제어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소스 영상을 직접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형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3D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두 개의 카메라(121-1 및 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두 카메라들(121-1 및 121-2)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도 1의 전면부에 구비된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다만, 후면의 두 카메라들(121-1 및 121-2)은 동일한 화소수 및 화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의 두 카메라들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두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하여 동일한 피사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나의 카메라는 좌안용 영상을 촬영하고, 다른 하나의 카메라는 우안용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각 영상을 후술할 방법으로 가공함에 따라 소스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두 카메라들(121-1 및 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플래쉬(123)는 두 카메라들(121-1 및 12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소스 영상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3D 입체영상 출력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스 영상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이동 단말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에서는 보다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3D 입체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이를 다시 재생하기 위한 구성요소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기능에 따라 분류된 것이므로 실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기능들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하나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기능이 복수의 모듈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D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는 두 개의 카메라(151-1, 151-2), 이미징 서브 시스템(ISS:Imaging Sub System, 810), 3A(AF, AWB, AE) 처리 모듈(820), 정렬수정(Misalignment correction) 모듈(830), 자동 정합(Auto convergence) 모듈(840), 코덱(850), 디스플레이 서브 시스템(DSS: Display Sub System, 860), 메모리(160), 디스플레이부(151) 및 인터페이스부(171)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함께 소스 영상 생성 방법 및 출력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소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두 카메라들(151-1, 151-2) 각각을 통하여 영상이 촬영되어 이미징 서브 시스템(810)으로 전송된다. 이미징 서브 시스템(810)은 각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 각각에 3A 처리 모듈(820)을 통한 3A 보정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좌안용 영상을 담당하는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영상 데이터와 우안용 영상을 담당하는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영상 데이터의 3A에 대한 동기화가 수행된다. 여기서 3A란 자동 초점(AF: Auto Focus), 색감의 기준이 되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AWB: Auto White Balance) 및 노출을 조절하는 자동 노출(AE: Auto Exposure)을 말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스 영상의 생성을 위한 가공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정렬수정 모듈(830)을 통하여 XYZ축 보정, 회전(rotation), 초점 거리(focal length) 등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좌/우안 영상 데이터 각각의 왜곡이나 뒤틀림이 보정된다. 이후, 자동 정합 모듈(840)을 통하여 입체감을 내기 위한 좌/우안 영상 데이터의 정합이 수행된다. 본 과정이 완료되면 좌/우안 영상 데이터가 가로 방향(즉, side by side)으로 또는 상하로 함께 배열된 하나의 소스 이미지의 원형이 완성된다. 소스 이미지의 원형은 코덱(850)을 통하여 저장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 및/또는 압축되어 소스 이미지 파일로 변환된다. 이러한 소스 이미지 파일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소스 이미지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이 바로 재생되는 것일 수도 있고, 상술한 방법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도 있으며 실시간으로 다운로드/스트리밍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메모리(160)에 저장된 소스 이미지는 코덱(850)을 통하여 다시 압축이 해제되거나 재생을 위한 형태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서브 시스템(860)으로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서브 시스템(860)은, 코덱에서 변환된 side by side 형태 또는 상하로 배열된 영상에 대하여, 시차장벽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3D 입체 영상으로 출력되기 위한 해상도 변경 등의 포맷팅(formatting) 작업을 수행한다. 포맷팅이 완료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로 전달되어 3D 입체영상의 구현을 위해 사용된다. 만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3D 입체영상을 출력할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연결된 방식에 따라 적합한 형태(예를 들어, HDMI 포맷인 경우 1280x720의 해상도)로 포맷팅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 입체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방식은 범용직렬버스(USB),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수퍼 비디오(S-Video),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VI: Digital Visual Interface), 디 서브미니어처(D-SUB: D-subminiature), AV 단자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 요소들 중에서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부분들은 하나의 통합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칩(800)으로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을 통해서는 스위칭 패널 방식의 디스플레이부에서 3D 입체영상을 출력할 때 발생하는 밝기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밝기 문제 해결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재생할 3D 컨텐츠나 카메라의 밝기에 정보에 따라서 감마, 밝기/색상 및 이득(gain)을 최적화 하고,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밝기 보상이 수행되는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3D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도 8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도 8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과 달리, 도 9에서는 이미징 서브 시스템(810)에 상관 이중 샘플링 홀드(CDS: Correlated Double Sampling Hold) 및 자동 게인 컨트롤(AGC: Auto Gain Control) 모듈(811), 밝기/색상/감마 보정(Y/C Gamma correction) 모듈(813), 그리고 정렬수정(Misalignment correction) 및 자동 정합(Auto convergence) 모듈(815)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정렬수정(Misalignment correction) 및 자동 정합(Auto convergence) 모듈(815)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정렬수정(Misalignment correction) 모듈(830)과 자동 정합(Auto convergence) 모듈(840)이 수행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도 8과 같이 두 기능이 각각 독립되거나, 이미징 서브 시스템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CDS & AGC 모듈(811)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신호처리된 픽셀을 해독할 때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참조값(reference value)과 신호값(signal value)을 각각 읽어 두 값의 차이로부터 순수한 신호레벨을 찾아내고, 규정을 초과하는 강한 레벨의 신호가 입력됐을 시에는 이득(또는 감도)를 제어하여 신호포화를 방지하고, 약한 신호의 경우에는 규정의 레벨까지 올려서 일정의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밝기/색상/감마 보정(Y/C Gamma correction) 모듈(813)은 말 그대로 CDS & AGC 모듈(811)로부터 처리된 영상 신호에 대한 밝기/색상 및 감마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감마 및 밝기의 보정은 카메라 적응 감마/밝기 제어(Camera adaptive Gamma/Brightness Control) 모듈(88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감마라 함은 영상 신호의 밝기 분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커브(curve) 조정을 통해 감마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입력 콘트라스트(Input Contrast) 값을 출력 콘트라스트(Output Contrast) 값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카메라 적응 감마/밝기 제어 모듈은 3A 모듈(820)까지 제어할 수 있는데, 특히 자동 노출(AE)을 제어하여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트리거링 모듈(870)은 촬영 모드나 재생 모드가 3D 입체영상을 촬영/재생하기 위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3D 입체영상 촬영모드로 판단된 경우 카메라 적응 감마/밝기 제어 모듈(880)을 활성화하여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밝기 조절이 수행되도록 한다. 만일, 트리거링 모듈(870)이 3D 입체영상 재생모드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출력 오버레이 영상의 밝기 향상 및/또는 디스플레이부 자체의 밝기를 높이기 위하여 LCD 적응 백라이트/감마 제어 모듈(890)을 활성화시킨다. 출력 오버레이 영상의 밝기 향상은 디스플레이부(151)로 전달되는 출력 영상 신호 자체의 감마값을 높이는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 자체의 밝기 향상은 LCD 백라이트의 출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수행되리 수 있다.
소스영상의 생성
상술한 각 부의 기능에 관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영상 생성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소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두 카메라들(151-1, 151-2) 각각을 통하여 영상이 촬영되어 이미징 서브 시스템(810)으로 전송된다. 이때, 트리거링 모듈(870)이 촬영모드가 3D 입체영상의 소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모드인지, 일반적인 2D 영상 촬영을 위한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3D 입체영상의 소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트리거링 모듈(870)은 카메라 적응 감마/밝기 제어 모듈(880)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카메라 적응 감마/밝기 제어 모듈(880)은 3A 모듈 및 밝기/색상/감마 보정(Y/C Gamma correction) 모듈(813)을 제어하여 CDS & AGC 모듈(811)을 통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정보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3A 모듈(820)의 제어를 통하여 CDS & AGC 모듈(811)에서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할 때 자동 노출(AE) 값이 조절되어 영상의 밝기가 향상될 수 있다.
CDS & AGC 모듈(811)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밝기/색상/감마 보정(Y/C Gamma correction) 모듈(813)을 통하여 밝기/색상 및 감마 보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카메라 적응 감마/밝기 제어 모듈(880)은 AE 값을 통해 밝기를 향상시킬지, 감마값을 통해 밝기를 향상시킬지,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카메라 적응 감마/밝기 제어 모듈(880)에서 어떠한 값을 조절하여 밝기를 향상시킬지 여부는 스위칭 패널의 동작시 손실되는 밝기의 정도, 두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평균 밝기나 특정 신호 대역의 분포 상태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보정의 정도를 결정함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일반적인 2D 모드로 재생할 때의 밝기에 스위칭 패널이 동작할 때 감쇄될 밝기의 정도가 고려될 수 있다. 즉, 밝기 보정의 정도는 스위칭 패널에 의해 감쇄될 밝기를 보상하는 값 만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E 및/또는 감마 보정에 의해 계조(gradation)의 손실이 일정 범위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한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밝기 향상 정도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밝기가 향상된 영상은 정렬 수정 및 자동 정합 모듈(815)을 거쳐 좌/우안 영상 데이터 각각의 왜곡이나 뒤틀림이 보정되고, 입체감을 내기 위한 좌/우안 영상 데이터의 정합이 수행된다. 본 과정이 완료되면 밝기가 향상된 좌/우안 영상 데이터가 가로 방향(즉, side by side)으로 또는 상하로 함께 배열된 하나의 소스 이미지의 원형이 완성된다. 소스 이미지의 원형은 코덱(850)을 통하여 저장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 및/또는 압축되어 소스 이미지 파일로 변환된다. 이러한 소스 이미지 파일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소스 영상을 이용한 3D 입체영상의 재생
다음으로,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소스 이미지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이 바로 재생되는 것일 수도 있고, 상술한 방법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도 있으며 실시간으로 다운로드/스트리밍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소스 영상을 이용하여 시차장벽 방식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3D 입체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소스 영상이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미리 밝기가 향상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재생과정의 차이가 발생한다.
즉, 미리 소스 영상의 밝기가 향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재생과정을 따르면 된다. 그러나, 계조의 손상 등을 이유로 스위칭 패널로 인한 밝기 감쇄를 상쇄위한 충분한 처리를 가하지 못한 경우, 이를 보충적으로 밝혀주기 위해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적응적으로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영상에 대한 밝기 향상이 전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출력 영상의 감마값을 높이거나 백라이트 밝기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영상의 밝기 향상과정을 이하 설명한다.
메모리(160)에 저장된 소스 이미지는 코덱(850)을 통하여 다시 압축이 해제되거나 재생을 위한 형태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서브 시스템(860)으로 전달된다. 이때, 트리거링 모듈(870)은 현재 재생모드를 확인하여 스위칭 패널을 이용한 3D 입체영상 재생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3D 입체영상인 경우 소스 영상의 밝기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재생 모드가 2D 모드이거나 3D 모드더라도 소스 영상의 밝기가 미리 충분히 조절된 경우에는 일반적인 재생절차를 따를 수 있다.
트리거링 모듈(870)은 소스 영상의 밝기 및 보정 정도를 판단함에 있어 소스 영상 자체의 평균 밝기 값을 산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또는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거나, 2D 모드로 재생시의 밝기를 기준으로 스위칭 패널이 동작할 때 감쇄될 밝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정을 수행할지, 한다면 감마 조절만을 사용할지, 또는 LCD 백라이트의 밝기 조절을 함께 수행할지 여부 또한 결정할 수 있다.
즉, 소스 영상의 밝기 조절이 미리 되어 있지 않거나 충분하지 않은 경우, LCD 적응 백라이트/감마 제어 모듈(890)이 활성화되어 필요에 따라 출력 오버레이 영상의 밝기 향상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51) 자체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LCD 백라이트를 컨트롤하는 경우 LCD 적응 백라이트/감마 제어 모듈(890)단에서는 최적의 밝기가 되도록 2D 밝기 설정값과 소스 영상의 감마 값을 고려하여 최적의 밝기 값을 산출한다. 여기에서도 최적의 밝기 보정의 정도는 스위칭 패널에 의해 감쇄될 밝기를 보상하는 값 만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감마 값의 보정은 계조(gradation)의 손실이 일정 범위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한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밝기 향상 정도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감마 보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감마의 보정은 소스 영상 생성시에는 밝기/색상/감마 보정(Y/C Gamma correction) 모듈(813)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3D 입체영상 재생시에는 LCD 적응 백라이트/감마 제어 모듈(8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보정을 위한 커브 수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a)는 일반적인 2D/3D 출력을 위한 감마 커브,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된 감마 커브를 나타낸다. 각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입력 영상의 밝기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출력 영상의 밝기를 각각 나타낸다. (a)와 (b)의 곡선을 비교하면, (b)의 경우 입력값이 어두운 영역(1010)의 기울기가 (a)보다 가파르게 설정된다. 따라서 어두운 부분의 출력 밝기가 보다 높게 된다.
한편, 상술한 재생 방법에서는 트리거링 모듈(870)이 직접 소스 영상의 밝기가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생성 과정에서의 밝기 향상이 얼마나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소정의 메타 데이터 태그로 파일에 기록하도록 하고, 트리거링 모듈은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보다 신속히 재생시 밝기 보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3D 입체영상의 재생 여부는 최초 뿐만 아니라 재생 중에 사용자의 명령입력에 따라 수시로 2D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모드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주기적/실시간으로 트리거링 모듈(870)이 판단하도록 하거나, 모드 변경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가 트리거링 모듈(870)로 모드 변경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주위 환경을 고려한 적응적 밝기 설정
본 실시예의 다른 일 양태에서는 전술된 밝기 향상 방법에 추가적으로 주변의 밝기를 고려하여 3D 입체영상 출력시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변경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즉, 전술된 LCD 적응 백라이트/감마 제어 모듈(890)에서LCD 백라이트 밝기를 주변의 밝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비교적 어두운 곳에서 3D 입체영상을 감상하는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밝기를 높여 시각적 불편함을 초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적응적 밝기 조절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백라이트 방식의 LCD인 경우를 가정할 때, 도 11에서 밝기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주변 밝기를, 세로축은 LCD 백라이트의 밝기를 각각 나타낸다. 주변 밝기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조도 센서를 통해 제어부(180)에 획득될 수 있다.
먼저 도 11의 (a)를 참조하면, 2D 모드에서는 주변 밝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LCD 백라이트의 밝기가 높아지도록 제어되는데, 3D 모드에서는 주변 밝기와 관계없이 스위칭 패널의 밝기 감쇄를 보상하기 위하여 LCD 백라이트의 밝기를 최대치로 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밝기는 주변 밝기에 관계없이 스위칭 패널에 의하여 감쇄된 밝기가 되는데,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백라이트의 밝기가 강하여 눈에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밝기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기에 2D 밝기와 유사한 값으로 LCD 백라이트의 출력을 도 11의 (b)와 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백라이트 밝기 조절 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적응적 밝기 조절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세로축은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밝기를 의미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주변 밝기를 고려하여 2D 출력시 적용되는 백라이트 밝기를 3D 출력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항상 3D 출력 영상의 밝기가 2D 출력 영상보다 어둡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위칭 패널에 의한 밝기 한계점까지는 2D 밝기와 최대한 유사하도록 백라이트 밝기를 조절하고, 한계점부터는 그 밝기가 최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주변이 어두울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수식화한 일례는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1049127593-pat00001
수학식 1에서 K는 3D 출력 영상의 밝기를 의미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출력시의 최대 밝기가 180인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2D 밝기가 180보다 낮은 경우에는 3D 밝기는 2D 밝기를 빠르게 되며, 2D 밝기가 180을 넘어서는 경우 3D 밝기는 180으로 고정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2D/3D 영상이 재생되는 형태 및 메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도 13의 (a)를 참조하면, 3D 입체영상의 소스 영상을 2D 모드로 재생하는 형태의 일례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3D 입체영상의 소스 영상은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이 각각 소정 형태로 정렬되는데, 그 형태가 side by side 형식인 경우 도 13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좌안용 영상(1310)과 우안용 영상(1320)이 나란히 표시된다. 여기에는 3D 입체영상으로 모드 전환을 위한 아이콘(1330)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재생 중 또는 정지 중 모드 전환 버튼(1330)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스위칭 패널의 활성화되면서 도 13의 (b)와 같이 3D 입체영상(1315)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전술된 밝기 향상 방법이 적용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1350), 밝기 향상 방법에 대한 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1340) 및 2D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아이콘(1335)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전술된 밝기 향상 기능이나 주변 밝기를 고려한 백라이트 밝기 조절 기능이 3D 모드에서 항상 적용되도록 설정된 경우, 모드 전환 버튼(1330)이 선택되어 3D 모드로 전환될 때 자동으로 3D 입체영상의 밝기가 향상된다. 밝기가 향상된 경우, 이를 알리는 팝업창(미도시)이 표시될 수 있으며, 팝업창에 전술된 밝기 향상 방법이 적용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1350), 밝기 향상 방법에 대한 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1340) 및 2D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아이콘(1335) 등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2D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아이콘(1335)이 선택되는 경우, 다시 밝기 향상기능은 오프되고 일반적인 2D 영상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
밝기 향상 방법에 대한 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1340)이 선택되거나, 소정의 메뉴조작을 통해 설정메뉴로 진입하면, 도 13의 (c)와 같은 설정메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3D 모드에서 전술된 밝기 향상 기능이나 주변 밝기를 고려한 백라이트 밝기 조절 기능을 적용할지 여부를 체크박스(1360)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커브를 직접 터치 입력등을 통해 조절하기 위한 메뉴(13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은 영상 재생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도 13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촬영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2D 모드로 촬영시에는 도 13의 (a)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모드 전환 버튼(1330)이 선택되면 도 13의 (b)와 같은 형태의 3D 촬영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으로 밝기를 향상시켜 소스 영상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경우, 전술된 AE나 감마 값 조절을 통하여 소스 영상의 밝기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소스 영상의 밝기가 향상된 경우, 이를 알리는 팝업창(미도시)이 표시될 수 있으며, 팝업창에 전술된 밝기 향상 방법이 적용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1350), 밝기 향상 방법에 대한 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1340) 및 2D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아이콘(1335) 등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2D 촬영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아이콘(1335)이 선택되는 경우, 다시 소스 영상의 밝기 향상기능은 오프되고 일반적인 2D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커브 설정 모드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2D/3D 모드의 밝기 변경 설정을 위한 커브 설정 모드의 메뉴구성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c)에서 커브를 직접 터치 입력등을 통해 조절하기 위한 메뉴(1370)가 선택된 경우를 가정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은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명령 입력 방식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커브 설정 모드에서는 2D 모드에 적용되는 커브(1410)와 3D 모드에 적용되는 커브(1420)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메뉴에서 포인터(1400)를 통한 터치 입력으로 커브 형태를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커브의 수정에 따른 효과를 바로 알 수 있도록 도 14의 (b)와 같이 프리뷰 영상(1415, 1425)이 각각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3D 모드의 커브(1420)에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1425)의 밝기는, 스위칭 패널에 의해 감쇄되는 밝기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3D 모드의 커브(1420)에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1425)의 밝기는 스위칭 패널이 활성화될 때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4의 (b)와 같은 메뉴를 통하여 2D 영상과 3D 영상의 밝기를 서로 비교하면서 커브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밝기 조절을 통한 3D 입체영상을 생성 및 출력하는 방법은 시차 장벽 방식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3D 입체영상을 출력할 때 출력 밝기가 감쇄되는 어떠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3D 입체영상의 재생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두 카메라(151-2 및 151-2) 및 상기 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소스 영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3D 입체영상의 생성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9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들은 적어도 일부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어부(180) 내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스위칭 패널이 동작할 때 감쇄되는 밝기의 값 또는 감쇄 비율은 미리 계산되어 메모리(16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영상 표시 장치/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2D(2-dimensional) 영상 및 시차장벽 방식의 3D 입체영상을 가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 단말기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포함하는 소스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경우, 재생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재생 모드가 3D 입체영상 재생모드인 경우, 상기 소스 영상의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높이는 방법으로 상기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주변의 밝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기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
    인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영상의 컨텐츠 자체의 밝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밝기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스 영상의 감마 값을 높이는 방법으로 상기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차장벽의 동작에 따른 출력 영상의 밝기 감쇄가 보상되는 값 만큼 상기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감마 커브에 따라 상기 출력 밝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3D(3-dimensional)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스 영상의 좌안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
    상기 소스 영상의 우안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 및
    촬영 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촬영 모드가 3D 입체영상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상기 우안용 영상 각각의 밝기가 향상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각각의 자동 노출(AE)값 및 감마(gamma) 값 중 적어도 하나를 높이는 방법으로 상기 밝기를 향상시키고, 미리 설정된 감마 커브에 따라 상기 감마 값을 높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밝기가 향상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소정 형태로 정렬하고 미리 결정된 저장 포맷으로 변환하여 소스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소스 영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3D(3-dimensional)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소스영상의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각각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징 서브 시스템(ISS);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판단하는 트리거링 모듈;
    상기 이미징 서브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영상 신호의 노출 값을 결정하는 자동 노출 모듈; 및
    상기 트리거링 모듈에서 상기 촬영 모드가 3D 입체영상 촬영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밝기가 향상되도록 상기 이미징 서브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트리거링 모듈에서 상기 촬영 모드가 3D 입체영상 촬영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노출 값이 증가하도록 상기 노출 모듈을 제어하는 밝기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62655A 2011-06-28 2011-06-28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7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655A KR101772458B1 (ko) 2011-06-28 2011-06-28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2004734.5A EP2541950B1 (en) 2011-06-28 2012-06-25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3/535,263 US9294760B2 (en) 2011-06-28 2012-06-27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655A KR101772458B1 (ko) 2011-06-28 2011-06-28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65A KR20130006965A (ko) 2013-01-18
KR101772458B1 true KR101772458B1 (ko) 2017-08-30

Family

ID=4660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655A KR101772458B1 (ko) 2011-06-28 2011-06-28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94760B2 (ko)
EP (1) EP2541950B1 (ko)
KR (1) KR101772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6358B1 (en) * 2012-11-29 2021-12-21 Altia Systems Inc Autoexposure control for multi-imager system synchronized to a single imager
CN103327351B (zh) * 2013-04-18 2015-09-30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方法及系统
KR20150059686A (ko) * 2013-11-22 201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3763540B (zh) * 2014-01-08 2017-01-04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立体显示方法和立体显示装置
US10163408B1 (en) * 2014-09-05 2018-12-25 Pixelworks, Inc. LCD image compensation for LED backlighting
WO2017032335A1 (en) * 2015-08-26 2017-03-02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affic monitoring
CN105307021B (zh) * 2015-10-26 2018-07-24 成都市极米科技有限公司 图像显示更新方法及装置
CN105872402A (zh) * 2016-06-15 2016-08-17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智能电视的拍照方法及系统
JP7149615B2 (ja) * 2017-12-05 2022-10-07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9216517A1 (ko) 2018-05-09 2019-11-14 브라이트랩 인크 적응적 전력 절약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CN113950827A (zh) * 2019-06-21 2022-01-18 京瓷株式会社 三维显示装置、三维显示系统以及移动体
CN111601097B (zh) * 2020-04-10 2020-12-18 熵智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投射器的双目立体匹配方法、装置、介质和设备
WO2021203770A1 (zh) * 2020-04-10 2021-10-14 熵智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投射器的双目立体匹配方法、装置、介质和设备
CN112333438B (zh) * 2020-09-08 2023-07-2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立体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5376A1 (en) * 2004-09-30 2006-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ntroll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JP2008187385A (ja) * 2007-01-29 2008-08-14 Fujifilm Corp 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2733A (ja) * 1991-10-28 1993-05-18 Nippon Hoso Kyokai <Nhk> 3次元画像表示装置
US6111596A (en) * 1995-12-29 2000-08-29 Lucent Technologies Inc. Gain and offset correction for efficient stereoscopic coding and improved display
JPH1141425A (ja) * 1997-07-16 1999-02-12 Nikon Corp 画像取込み装置
US8326084B1 (en) * 2003-11-05 2012-12-04 Cognex Technology And Invest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uto-exposure control for image acquisition hardware using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KR100708838B1 (ko) * 2004-06-30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1923852A4 (en) * 2005-09-06 2010-06-30 Fujitsu Ten Ltd DISPLAY ARRANGEMENT AND DISPLAY METHOD
KR20070079455A (ko) * 2006-02-02 2007-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어방법
US8698727B2 (en) * 2007-01-05 2014-04-15 Apple Inc. Backlight and ambient light sensor system
KR20080066408A (ko) * 2007-01-1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EP2129090B1 (en) *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TW201007678A (en) * 2008-08-14 2010-02-16 Au Optronics Corp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20033101A9 (en) * 2008-11-12 2012-02-09 Xiaoguang Yu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mage sensors
JP5425554B2 (ja) * 2009-07-27 2014-0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撮像装置及び立体撮像方法
TWI428891B (zh) * 2009-12-04 2014-03-01 Htc Corp 電子裝置及其控制背光亮度之方法
US8964013B2 (en) * 2009-12-31 2015-02-24 Broadcom Corporation Display with elastic light manipulator
JP2011191347A (ja) * 2010-03-12 2011-09-2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視聴装置
KR101324412B1 (ko) * 2010-05-06 201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CN104977777A (zh) * 2010-06-30 2015-10-14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及摄像方法
KR20120010764A (ko) *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3차원 영상 제어 방법
WO2012039180A1 (ja) * 2010-09-24 2012-03-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デバイス及び撮像装置
WO2012078262A1 (en) * 2010-12-06 2012-06-1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adjustment for displays having 2d and 3d display mo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5376A1 (en) * 2004-09-30 2006-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ntroll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JP2008187385A (ja) * 2007-01-29 2008-08-14 Fujifilm Corp 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1950B1 (en) 2019-04-10
US9294760B2 (en) 2016-03-22
KR20130006965A (ko) 2013-01-18
EP2541950A2 (en) 2013-01-02
US20130033583A1 (en) 2013-02-07
EP2541950A3 (en)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458B1 (ko)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7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891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6859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956B1 (ko) 이동 단말기 및 3차원 영상 제어 방법
US872393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three-dimensional image therein
KR20120079548A (ko)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649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78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33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2314A (ko)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26675B1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0275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220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648453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8822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0240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38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3039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16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7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01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82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8658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1717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