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675B1 -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675B1
KR101726675B1 KR1020100099496A KR20100099496A KR101726675B1 KR 101726675 B1 KR101726675 B1 KR 101726675B1 KR 1020100099496 A KR1020100099496 A KR 1020100099496A KR 20100099496 A KR20100099496 A KR 20100099496A KR 101726675 B1 KR101726675 B1 KR 10172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video
delete delete
exter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813A (ko
Inventor
김무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6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방법은,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자 및 상대방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수신되는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고 상대방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본 명세서는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무선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는 종래의 음성 통화 기능만이 아니라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서 사용자(발신자 또는 수신자) 영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자신 또는 상대방의 영상을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고, 실제 영상의 품질과 무관하게 사용자가 느끼는 영상 품질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보다 향상된 품질의 영상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영상 통화 방법은,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자 및 상대방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수신되는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고 상대방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자 및 상대방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수신되는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고 상대방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영상 통화를 지원하거나, 통화 영상 및 다른 영상의 3차원 깊이감을 조절하여 표시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통화 영상 등에 합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향상된 품질 및 보다 편리한 기능이 부가된 영상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텔레비전 수신기를 통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영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3차원으로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3차원으로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각도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 영상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각도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시분할 방식으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상대방 영상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시분할 방식으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 영상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합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의 전체 구성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개념 또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3차원 입체 영상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약 65 밀리미터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이동 단말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3차원 입체 영상의 구성 및 표시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3차원 깊이감
3차원 깊이감(three dimensional depth scaling) 또는 3차원 깊이값(three dimensional depth value)은 영상 내의 사물들 간의 3차원 거리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깊이감(depth)이 256 레벨로 정의되어 최대값이 255, 최소값이 0인 경우에, 높은 값을 가질수록 시청자 또는 사용자와 가까운 곳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된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 구성되는 3차원 입체 영상은 상술한 양안시차에 의해 발생하는 좌 영상 및 우 영상의 시차(視差)로 인해 깊이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다시점 영상(multi-view image)도 다수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된 시차(視差)를 달리하는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깊이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처음부터 깊이감 있는 영상으로 생성되는 3차원 입체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과 달리, 2차원 영상으로부터 깊이감 있는 영상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IBR(depth image-based rendering) 기법은 하나 이상의 2차원 영상과 그에 대응하는 깊이 지도(depth map)를 이용하여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시점의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깊이 지도는 영상 내의 각 픽셀에 대한 깊이감 정보를 제공한다. 영상 제작자는 깊이 지도를 활용하여 2차원 영상에서 표시되는 객체의 시차(視差)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차만큼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 해당 객체를 이동시켜 새로운 시점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처음부터 깊이감 있는 영상으로 생성된 3차원 영상(이미지, 그래픽 객체, 부분화면 등)뿐만 아니라, 2차원 영상(이미지, 그래픽 객체, 부분화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공지된 3차원 영상 제작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즉, 깊이 지도)를 생성하고, 상술한 DIBR 기법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시점의 영상(즉,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생성한 후, 그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깊이감을 조절하는 대상이 3차원 영상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가 3차원 영상에 대해 깊이감을 조절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깊이감을 조절하는 대상이 2차원 영상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깊이 지도 또는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2차원 영상을 3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3차원 영상'에 대해 설명할 때에는 '2차원 영상'을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2차원 영상'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2차원 영상은 2차원 이미지, 2차원 그래픽 객체, 2차원 부분화면 등일 수 있다.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방법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영상 통화를 지원하거나, 통화 영상 및 다른 영상의 3차원 깊이감을 조절하여 표시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통화 영상 등에 합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향상된 품질 및 보다 편리한 기능이 부가된 영상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수행된 결과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Capability Information)을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신이 내부에 저장하고 있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송신 과정에 수반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미리 설정해 두었다가,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연결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설정은 IP 주소 설정, 접근 권한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 통화 발신 시점, 영상 통화 수신 시점, 영상 통화 착신 시점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영상 통화 전환 시점이 도래한 후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실제 연결을 개시함으로써 유무선 연결 시의 전원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100)이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신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컴퓨터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컴퓨터가 자신에게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이동 단말기의 영상 통화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텔레비전 수신기를 통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통화 호 접속 시도가 수신되면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화면(213)에 표시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발신자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등의 발신자 정보를 화면(215)에 표시하거나, 통화 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착신을 거부할 수 있는 착신 거부 메시지 기능 메뉴('Excuse Msg'), 착신 벨소리 무음 기능 메뉴('Silent'), 텔레비전 수신기에서의 영상 통화 기능 메뉴('TV Call') 등을 화면(217)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안테나 수신감도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을 화면(21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영상 통화 호 접속 시도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에서 텔레비전 수신기에서의 영상 통화 기능 메뉴('TV Call')가 선택되거나(210), 일단 이동 단말기(100)에서 영상 통화를 진행하던 중에 텔레비전 수신기에서의 영상 통화 기능 메뉴('TV Call')가 선택되면(220),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한다.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an other party, 231) 및 사용자 영상(a user, 233)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230).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및 상대방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할 수도 있지만, 상대방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만을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텔레비전 수신기가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신기가 이동 단말기(100)로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단말기(100)가 수신된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영상 통화를 위해 상대방에게 송신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2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이동 단말기(100)가 영상 통화를 발신하는 경우도 유사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통화를 발신하는 과정에서나 영상 통화를 진행하던 과정 중에 이동 단말기(100)에서 텔레비전 수신기로 영상 및/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텔레비전 수신기를 통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마이크(122)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자 및 상대방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상대방 장치(예를 들어,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와 송수신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하고 상대방 영상이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가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 영상이 텔레비전 수신기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 영상이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아닌 다른 외부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상기 외부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영상은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될 수도 있고,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수도 있고, 별개의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될 수도 있다. 사용자 영상이 이동 단말기(100)가 아닌 다른 외부 장치(예를 들어,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된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음성이 텔레비전 수신기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사용자 음성이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아닌 다른 외부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상기 외부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음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122)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고,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마이크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고, 별개의 음성 입력 장치에 의해 촬영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음성이 이동 단말기(100)가 아닌 다른 외부 장치(예를 들어,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무선 통신부(110)는 상대방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외부 음향 출력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대방 음성이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상기 외부 음향 출력 장치에서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가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상기 외부 음향 출력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영상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도 2의 220).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자 영상 또는 상대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 통화를 위해 상대방 영상이 표시될 출력 장치를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텔레비전 수신기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가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의 영상 통화로 전환하는 기능 메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예를 들어, 도 2에서 'TV Call')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통신부(110)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하고 제어부(180)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의 영상 통화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영상 제어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영상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310), 상대방 및 사용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320), 방송 프로그램 영상 및 상대방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방송 프로그램 영상 및 사용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을 표시하거나(410), 상대방 및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거나(420),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영상 통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표시하거나(430),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 및 사용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440). 도 4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 및 상대방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의 영상 통화를 이동 단말기에서의 영상 통화로 전환하는 기능 메뉴(411)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 메뉴(413)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기능을 위하여,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컨텐츠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상대방 영상 및 컨텐츠 영상(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영상)이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이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가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영상일 수도 있고,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 또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인터넷 컨텐츠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도 3의 320, 340),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하고, 제어부(180)는 사용자 영상이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 사용자 영상 및 컨텐츠 영상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다양한 조합에 포함되는 영상 화면이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분할화면,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3차원 깊이감이 각각 달리 조절된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상대방 영상이 주 화면으로 표시되고 방송 프로그램 영상이 PIP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상대방 영상과, 디스크 플레이어로부터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로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이 좌우 2분할된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상대방 영상과 사용자 영상이 각각 달리 조절된 3차원 깊이감에 따라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3차원으로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에서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3차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전제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은 최대한 근접하게(깊이감이 100) 보이도록 표시하고 사용자 영상은 상대적으로 보다 멀게(깊이감이 0) 보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510).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사용자 영상을 보다 근접하게(깊이감이 50) 보이도록 표시하고 상대방 영상은 상대적으로 보다 멀게(깊이감이 0) 보이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520).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은 보다 근접하게(깊이감이 50) 보이도록 표시하고 방송 프로그램 영상은 상대적으로 보다 멀게(깊이감이 0) 보이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530).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사용자 영상은 보다 근접하게(깊이감이 50) 보이도록 표시하고 방송 프로그램 영상은 상대적으로 보다 멀게(깊이감이 0) 보이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540).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3차원으로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3차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전제한다.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가 영상 통화 화면 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은 보다 근접하게(깊이감이 80) 보이도록 표시하고 나머지 화면은 상대적으로 보다 멀게(깊이감이 0) 보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610).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은 보다 근접하게(깊이감이 80) 보이도록 표시하고 상대방 영상은 상대적으로 보다 멀게(깊이감이 0) 보이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620).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은 보다 많이 근접하게(깊이감이 80) 보이도록 표시하고 상대방 영상은 보다 적게 근접하게(깊이감이 20) 보이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630).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은 보다 근접하게(깊이감이 20) 보이도록 표시하고 방송 프로그램 영상은 상대적으로 보다 멀게(깊이감이 0) 보이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640).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3차원 영상 통화와 2차원 영상 통화 간에 전환하는 기능 메뉴(611)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 사용자 영상 및 컨텐츠 영상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다양한 조합에 포함되는 영상 화면이 공간적 인터리빙(interleaving) 방식으로 포맷팅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전면에 편광 필름이 설치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 대하여 상대방 영상 및 컨텐츠 영상이 공간적 인터리빙(interleaving) 방식으로 포맷팅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각도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7에서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편광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고,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교번하여 편광각도가 달라지는 편광 필름이 설치되는 것으로 전제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수직 라인 별로 인터리빙하는 방식으로 포맷팅하고, 포맷팅된 영상을 편광 필름을 통하여 표시한다. 서로 다른 편광각도(Polarization Angle #1, Polarization Angle #2)를 갖는 편광 안경(720, 730)을 착용한 각 사용자는 편광 필름을 통과한 빛 중 자신이 착용한 편광 안경의 편광 각도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볼 수 있으므로, 결국 각 사용자는 서로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즉, 편광 안경(720)을 착용한 사용자는 편광각도(Polarization Angle #1)에 따라 편광 필름을 통과한 사용자 영상만을 보게 되고, 편광 안경(730)을 착용한 사용자는 편광 각도(Polarization Angle #2)에 따라 편광 필름을 통과한 방송 프로그램 영상만을 보게 된다. 그 결과, 하나의 텔레비전 수신기를 통하여, 한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 시청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 영상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각도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8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편광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고,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교번하여 편광각도가 달라지는 편광 필름이 설치되는 것으로 전제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수직 라인 별로 인터리빙하는 방식으로 포맷팅하고, 포맷팅된 영상을 편광 필름을 통하여 표시한다. 서로 다른 편광각도(Polarization Angle #1, Polarization Angle #2)를 갖는 편광 안경(8220, 830)을 착용한 각 사용자는 편광 필름을 통과한 빛 중 자신이 착용한 편광 안경의 편광 각도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볼 수 있으므로, 결국 각 사용자는 서로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즉, 편광 안경(820)을 착용한 사용자는 편광각도(Polarization Angle #1)에 따라 편광 필름을 통과한 방송 프로그램 영상만을 보게 되고, 편광 안경(830)을 착용한 사용자는 편광 각도(Polarization Angle #2)에 따라 편광 필름을 통과한 사용자 영상만을 보게 된다. 그 결과,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한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 시청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 사용자 영상 및 컨텐츠 영상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다양한 조합에 포함되는 영상 화면이 프레임 단위의 시분할 방식으로 포맷팅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가 교대로 개폐되는 셔터 안경을 구비하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에 대하여 상대방 영상 및 컨텐츠 영상이 프레임 단위의 시분할 방식으로 포맷팅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가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시분할 방식으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9에서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시분할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고, 120분의 1초 또는 60분의 1초 단위로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교번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전제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대방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표시되도록 포맷팅하고, 포맷팅된 영상을 시분할 방식으로 번갈아 표시한다. 서로 다른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 #1, Shutter Timing #2)에 동기된 셔터 글래스 안경(920, 930)을 착용한 각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한 셔터 글래스 안경의 셔터 타이밍에 동기되어 표시되는 영상만을 볼 수 있으므로, 결국 각 사용자는 서로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즉, 셔터 글래스 안경(920)을 착용한 사용자는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 #1)에 따라 셔터를 통과한 상대방 영상만을 보게 되고, 셔터 글래스 안경(930)을 착용한 사용자는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 #2)에 따라 셔터를 통과한 방송 프로그램 영상만을 보게 된다. 그 결과, 하나의 텔레비전 수신기를 통하여, 한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 시청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상대방 영상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시분할 방식으로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시분할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고, 120분의 1초 또는 60분의 1초 단위로 사용자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교번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전제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 및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표시되도록 포맷팅하고, 포맷팅된 영상을 시분할 방식으로 번갈아 표시한다. 서로 다른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 #1, Shutter Timing #2)에 동기된 셔터 글래스 안경(1020, 1030)을 착용한 각 사용자는 자신이 착용한 셔터 글래스 안경의 셔터 타이밍에 동기되어 표시되는 영상만을 볼 수 있으므로, 결국 각 사용자는 서로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즉, 셔터 글래스 안경(1020)을 착용한 사용자는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 #1)에 따라 셔터를 통과한 방송 프로그램 영상만을 보게 되고, 셔터 글래스 안경(1030)을 착용한 사용자는 셔터 타이밍(Shutter Timing #2)에 따라 셔터를 통과한 사용자 영상만을 보게 된다. 그 결과,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한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 시청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 통신부(110)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상대방 장치로 실시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영상과 사용자 영상을 합성한 영상 데이터를 상대방 장치로 실시간 송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영상과 상기 사용자 영상을 합성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 영상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합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 및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합성하여 이를 상대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사용자 영상과 합성함으로써, 상대방 장치로 동적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영상 또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을 촬영한다(S121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한다(S123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음성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음성 입력 장치에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음성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통화를 위해 사용자 및 상대방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1250).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한다(S127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음향 출력 장치로 송신하고, 상대방 음성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음향 출력 장치에서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되는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고(S1291) 상대방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293).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S1295).
특히,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이 표시될 출력 장치를 내부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 및 컨텐츠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영상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이고,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방송 수신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 또는 인터넷 컨텐츠 영상일 수도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 및 컨텐츠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화면,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3차원 깊이감이 각각 달리 조절된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전면에 편광 필름이 설치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대방 영상 및 컨텐츠 영상이 공간적 인터리빙 방식으로 포맷팅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가 교대로 개폐되는 셔터 안경을 구비하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대방 영상 및 컨텐츠 영상이 프레임 단위의 시분할 방식으로 포맷팅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되는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내부 디스플레이부에서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고 사용자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영상 및 사용자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화면,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3차원 깊이감이 각각 달리 조절된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내부 디스플레이부에서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되, 상기 수신된 컨텐츠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영상과 사용자 영상을 합성한 영상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실시간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미리 설정하고,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연결에 따라 상대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5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기설정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및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대방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상대방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교번하여 편광 각도가 달라지는 편광 필름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 서버로부터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영상과 상기 콘텐츠 영상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편광 각도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편광 각도를 갖는 편광 안경을 통해서는 상기 상대방 영상만이 인식되고, 상기 제2 편광 각도를 갖는 편광 안경을 통해서는 상기 콘텐츠 영상만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지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영상 대신 상기 외부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0. 재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이 서로 다른 3차원 깊이감을 가지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영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2. 제3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이고,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방송 수신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대방 음성과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상대방 음성 및 상기 상대방 영상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5. 제3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영상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고 있음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47.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대방 단말기와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교번하여 편광 각도가 달라지는 편광 필름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 서버로부터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영상과 상기 콘텐츠 영상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편광 각도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편광 각도를 갖는 편광 안경을 통해서는 상기 상대방 영상만이 인식되고, 상기 제2 편광 각도를 갖는 편광 안경을 통해서는 상기 콘텐츠 영상만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통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중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영상 대신 상기 외부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통화 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영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통화 방법.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중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통화 방법.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이고, 상기 컨텐츠 영상은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가 방송 수신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통화 방법.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통화 방법.
  5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영상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고 있음을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영상 통화 방법.
KR1020100099496A 2010-10-12 2010-10-12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2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496A KR101726675B1 (ko) 2010-10-12 2010-10-12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496A KR101726675B1 (ko) 2010-10-12 2010-10-12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13A KR20120037813A (ko) 2012-04-20
KR101726675B1 true KR101726675B1 (ko) 2017-04-14

Family

ID=4613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496A KR101726675B1 (ko) 2010-10-12 2010-10-12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80B1 (ko) 2012-11-23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27909B1 (ko) * 2014-03-17 2020-06-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D895660S1 (en) 2018-12-20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3090827A1 (ko) * 2021-11-19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및 콘텐츠 기능 수행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446A (ja) * 2003-11-19 2005-06-09 Sharp Corp 携帯端末、クレードル、携帯端末の制御方法、クレード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110B1 (ko) * 2004-01-29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1422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화상전화 기능을 구비하는 텔레비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446A (ja) * 2003-11-19 2005-06-09 Sharp Corp 携帯端末、クレードル、携帯端末の制御方法、クレード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13A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153B1 (ko) 3차원 영상의 편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2789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59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509323A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epth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6691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015165A (ko) 영상의 깊이감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833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1649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162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3000264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378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6675B1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333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0721B1 (ko)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500300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275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22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453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8503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2013039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18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0293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0753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99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01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