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296B1 -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296B1
KR101771296B1 KR1020140150446A KR20140150446A KR101771296B1 KR 101771296 B1 KR101771296 B1 KR 101771296B1 KR 1020140150446 A KR1020140150446 A KR 1020140150446A KR 20140150446 A KR20140150446 A KR 20140150446A KR 101771296 B1 KR101771296 B1 KR 10177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anode
oco
cathod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059A (ko
Inventor
채종현
김유미
박기수
이동욱
양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5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2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brid Cel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튬 공기 전지는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며, 다공성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상기 양극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 표면에 부동태화 층(passivation layer)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 공기 전지는 충전 말기에 과전압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공기 분위기 하에서 여러 가지 부반응의 발생을 억제하여, 리튬 공기 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LITHIUM AIR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A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말기에 과전압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전지 성능이 개선된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공기 전지는 중량 에너지 밀도가 약 500Wh/kg 이상으로, 현재의 리튬 이온 배터리(200Wh/kg)나 차세대 리튬 이온 배터리(300Wh/kg)에 비하여 월등히 높기 때문에, 1회 충전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전기차용 배터리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리튬 공기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반면에 충전시 과전압이 크고, 사이클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리튬 공기 전지의 사이클 수명이 짧은 한 가지 원인으로는 공기 분위기 하에서 여러 가지 부반응, 예를 들면 전해질 분해 반응, 카본 전극과 산소와의 부반응, 반응 생성물과 전해질간 부반응, 반응 생성물과 카본 전극간의 부반응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반응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충전시 과전압을 줄여 전지 작동 전압을 낮추거나, 반응성 있는 카본 전극을 비활성화시키거나(선행기술문헌 1), 카본 전극 대신에 TiC 혹은 금(gold)으로 된 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선행기술문헌 2) 등이 보고되었다.
한편, 충전시 과전압(Overpotential)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기 전극에 촉매를 도입하거나 전해액에 산화환원 매개체(redox mediator)를 첨가하는 방법이 보고되었다. 선행기술문헌 3은 CNT로 구성된 직물 형태의 전극에 산화환원 매개체를 적용하여 충전 과전압을 줄이고 사이클 수명을 개선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리튬 공기 전지로 많이 사용하는 전극, 예를 들면 카본 블랙과 바인더로 구성된 전극에 상기 산화환원 매개체를 적용하면 사이클이 진행함에 따라 과전압 감소 효과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사이클 수명 개선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1) NATURE COMMUNICATIONS, 5:3937, DOI: 10.1038/ncomms4937, 1-7 2) NATURE MATERIALS, VOL 12, NOVEMBER 2013, 1050-1056 3) Angew. Chem. Int. Ed. 2014, 53, 1-7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 말기에 과전압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공기 분위기 하에서 여러 가지 부반응의 발생을 억제하여, 리튬 공기 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리튬 공기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리튬 공기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며, 다공성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상기 양극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 표면에 부동태화 층(passivation layer)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공기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부동태화 층은 LiF, Li2CO3, Li2O2, LiO2, Li2O, 리튬알킬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은 리튬 금속, 리튬-알루미늄 합금 및 리튬-인듐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LiI, NaI 및 K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산화환원 매개체(redox medi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상기 양극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를 최초 방전시에 50 내지 500mAh/gcarbon(상기 "gcarbon"은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의 무게임)으로 방전시켜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 표면에 부동태화 층(passivation layer)을 형성하는 것인 리튬 공기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튬 공기 전지는 충전 말기에 과전압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공기 분위기 하에서 여러 가지 부반응의 발생을 억제하여, 리튬 공기 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리튬 공기 전지의 충방전 곡선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공기(air)"는 대기 공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의 조합, 또는 순수 산소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 "공기"에 대한 넓은 정의가 모든 용도, 예를 들어 공기 전지, 공기 양극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공기 전지는 공기 중의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하여 산소의 산화 환원 촉매를 포함하는 양극, 리튬 이온의 흡장 및 방출이 가능한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리튬 이온 전도성 매체인 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은 제1 집전체 상에 형성되며, 산소를 활물질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극은 제2 집전체 상에 형성되며 리튬의 저장/방출이 가능하다. 상기 집전체로서는 산소의 확산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망상 또는 메시 모양 등의 다공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등의 다공성 금속판 또는 다공성 카본 페이퍼(carbon pap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집전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집전체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산화성의 금속 또는 합금 피막으로 피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양극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는 다공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성 재료로는 다공성 및 도전성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공성을 갖는 탄소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계 물질로는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활성탄, 탄소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재료로는 금속 섬유, 금속 메쉬 등의 금속성 도전성 재료; 구리, 은, 니켈,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분말; 또는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유기 도전성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탄소 물질의 표면에는 부동태화 층(passivation layer)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동태화 층은 상기 양극의 표면을 패시베이션(passivation)하여 상기 리튬 공기 전지의 충전 말기에 과전압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동태화 층은 LiF, Li2CO3, Li2O2, LiO2, Li2O, 리튬알킬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튬알킬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CH3OCO2Li, C2H5OCO2Li, C2H7OCO2Li, 또는 C4H7OCO2Li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부동태화 층은 상기 리튬 공기 전지의 최초 방전시에 50 내지 500mAh/gcarbon, 바람직하게 200 내지 500mAh/gcarbon으로 방전시킴으로써,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 표면에 부동태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carbon"은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의 무게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양극은 산소의 산화/환원을 위한 촉매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촉매로는 백금, 금, 은, 팔라듐, 루테늄, 로듐, 오스뮴과 같은 귀금속계 촉매, 망간산화물, 철산화물, 코발트산화물, 니켈산화물 등과 같은 산화물계 촉매, 또는 코발트 프탈로시아닌과 같은 유기금속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산소의 산화/환원 촉매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촉매는 담체에 담지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산화물, 제올라이트, 점토계 광물, 카본 등일 수 있다. 상기 산화물은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지르코늄, 이산화티탄 등의 산화물이거나, Ce, Pr, Sm, Eu, Tb, Tm, Yb, Sb, Bi, V, Cr, Mn, Fe, Co, Ni, Cu, Nb, Mo 및 W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카본은 케첸블랙, 아세틸렌 블랙, 태널 블랙, 램프 블랙 등의 카본 블랙류,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등의 흑연류, 활성탄류, 탄소 섬유류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담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양극은 바인더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P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 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니리덴-펜타프루오로 프로필렌 공중하체, 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바인더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상기 산소 산화/환원 촉매, 도전성 재료 및 바인더를 혼합한 후 적당한 용매를 첨가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집전체 표면에 도포 및 건조하거나, 선택적으로 전극밀도의 향상을 위하여 집전체에 압축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은 선택적으로 리튬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음극은 리튬 금속, 리튬 금속 기반의 합금 또는 Li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이 상기 리튬 공기 전지의 용량을 결정한다. 상기 리튬 금속 기반의 합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주석, 마그네슘, 인듐, 칼슘, 게르마늄, 안티몬, 비스무스, 납 등과 리튬의 합금 등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 리튬-알루미늄 합금 및 리튬-인듐 합금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수계 전해질 또는 비수계 전해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해질은 수계 전해질과 비수계 전해질의 혼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수계 전해질은 비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양성자성 용매로는, 예를 들어,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아민계 또는 포스핀계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매는 비환형 에테르(acyclic ethers) 또는 환형 에테르(cyclic ethers)를 포함하는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비환형 에테르는 1,2-디메톡시에탄(1,2-dimethoxyethane), 1,2-디에톡시에탄(1,2-diethoxyethane), 1,2-디부톡시에탄(1,2-dibuthoxyethane),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tetra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및 디메틸 아세트아마이드(N,N-dimethyl acet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환형 에테르는 1,3-디옥소란(1,3-dioxolane), 4,5-디메틸-디옥소란(4,5-dimethyl-dioxolane), 4,5-디에틸-디옥소란(4,5-diethyl-dioxolane), 4-메틸-1,3-디옥소란(4-methyl-1,3-dioxolane), 4-에틸-1,3-디옥소란(4-ethyl-1,3-dioxol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methyl tetrahydrofuran), 2,5-디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2,5-dimethyl tetrahydrofuran), 2,5-디메톡시 테트라하이드로퓨란(2,5-dimethoxy tetrahydrofuran), 2-에톡시 테트라하이드로퓨란(2-ethoxy tetrahydrofuran), 2-메틸-1,3-디옥소란(2-methoxy-1,3-dioxolane), 2-비닐-1,3-디옥소란(2-vinyl-1,3-dioxolane), 2,2-디메틸-1,3-디옥소란(2,2-dimethyl-1,3-dioxolane), 2-메톡시-1,3-디옥소란(2-methoxy-1,3-dioxolane), 2-에틸-2-메틸-1,3-디옥소란(2-ethyl-2-methyl-1,3-dioxolane), 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tetrahydropyran), 1,4-디옥산(1,4-dioxane), 1,2-디메톡시 벤젠(1,2-dimethoxy benzene), 1,3-디메톡시 벤젠(1,3-dimethoxy benzene), 1,4-디메톡시 벤젠(1,4-dimethoxy benzene), 및 아이소소바이드 디메틸 에테르(isosorbide dimeth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에는 상기 비수계 유기 용매 상에 분산된 리튬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으로는 리튬 공기 전지에 통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튬염은 LiSCN, LiBr, LiI,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H3SO3, LiCF3SO3, LiClO4, Li(Ph)4, LiC(CF3SO2)3, LiN(CF3SO2)2, LiN(C2F5SO2)2, LiN(SFO2)2), 및 LiN(CF3CF2SO2)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이온 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M, 또는 0.5 내지 1.6 M 일 수 있다. 즉, 전지의 구동에 적합한 이온 전도도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2 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리튬염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전해질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떨어질 수 있고, 리튬염 자체의 분해 반응이 증가하여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2.0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해질은 LiI, NaI 및 K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산화환원 매개체(redox mediator)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이 상기 산화환원 매개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튬 공기 전지의 충전시 과전압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 매개체는 상기 전해질에 대하여 0.01M 내지 2M 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0.05M 내지 1.0M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 매개체의 함량이 상기 전해질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M 미만인 경우 산화환원 매개체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M을 초과하는 경우 전해질 점도가 너무 높아질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리튬 공기 전지의 제조]
( 제조예 1)
리튬 공기 전지용 양극으로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사용하였다. 바인더는 PVDF를 적용하였으며, 케첸 블랙과 바인더의 비율은 8:2 중량비로 하여 NMP에 분산하여 전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에 카본 페이퍼 집전체에 슬러리를 코팅하여 전극을 제작하였다. 전극 로딩은 케첸 블랙 기준으로 대략 1mg/cm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전극 코팅 후에 120℃에서 진공건조를 12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제작된 전극을 19mm 지름으로 타발하여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음극으로는 150um 두께의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고, 세퍼레이터로는 유리 섬유(glass fiber)를 19mm로 타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에테르계 용매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EGDME)에, 리튬염으로 1.0 M의 LiN(CF3SO2)2를 첨가하여 전해질 용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고, 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한 후 상기 전해질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공기 전지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리튬 공기 전지용 양극으로 케첸 블랙(Ketjen black)을 준비하였다. 바인더는 PVDF를 적용하였으며, 케첸 블랙과 바인더의 비율은 8:2 중량비로 하여 NMP에 분산하여 전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에 카본 페이퍼 집전체에 슬러리를 코팅하여 전극을 제작하였다. 전극 로딩은 케첸 블랙 기준으로 대략 1mg/cm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전극 코팅 후에 120℃에서 진공건조를 12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제작된 전극을 19mm 지름으로 타발하여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음극으로는 150um 두께의 리튬 금속을 사용하였고, 세퍼레이터로는 유리 섬유(glass fiber)를 19mm로 타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에테르계 용매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EGDME)에, 리튬염으로 1.0 M의 LiN(CF3SO2)2를 첨가하고, 산화환원 매개체로서 0.05M의 LiI를 첨가하여 전해질 용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고, 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한 후 상기 전해질 용액을 주입하여 리튬 공기 전지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리튬 공기 전지의 충방전 특성 측정]
(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리튬 공기 전지를 부동태화 층을 형성하지 않고 500mAh/gcarbon으로 방전한 후에 500mAh/gcarbon으로 충전시의 충방전 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리튬 공기 전지를 500mAh/gcarbon으로 방전하여 부동태화 층을 형성한 후에 500mAh/gcarbon으로 방전 및 충전시의 충방전 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리튬 공기 전지를 부동태화 층을 형성하지 않고 500mAh/gcarbon으로 방전한 후에 500mAh/gcarbon으로 충전시의 충방전 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리튬 공기 전지를 500mAh/gcarbon으로 방전하여 부동태화 층을 형성한 후에 500mAh/gcarbon으로 방전 및 충전시의 충방전 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경우 각각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충전 말단에 과전압 상승 부위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의 경우 리튬 공기 전지의 최초 방전시 50 내지 500mAh/gcarbon으로 방전시킴에 따라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 표면에 부동태화 층이 형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며, 다공성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상기 양극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며,
    리튬 공기 전지의 최초 방전 시 50 내지 500mAh/gcarbon(상기 "gcarbon"은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의 무게임)으로 방전시킴으로써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 표면에 형성되며,
    LiF, Li2CO3, Li2O2, LiO2, Li2O, CH3OCO2Li, C2H5OCO2Li, C2H7OCO2Li, C4H7OCO2L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동태화 층(passivation layer)을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리튬 금속, 리튬-알루미늄 합금 및 리튬-인듐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인 리튬 공기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LiI, NaI 및 K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산화환원 매개체(redox mediator)를 포함하는 것인 리튬 공기 전지.
  5. 다공성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상기 양극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를 최초 방전시에 50 내지 500mAh/gcarbon(상기 "gcarbon"은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의 무게임)으로 방전시켜 상기 양극의 다공성 탄소 물질 표면에 부동태화 층(passivation layer)을 형성하되,
    상기 부동태화 층은 LiF, Li2CO3, Li2O2, LiO2, Li2O, CH3OCO2Li, C2H5OCO2Li, C2H7OCO2Li, C4H7OCO2L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항의 리튬 공기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40150446A 2014-10-31 2014-10-31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446A KR101771296B1 (ko) 2014-10-31 2014-10-31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446A KR101771296B1 (ko) 2014-10-31 2014-10-31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59A KR20160051059A (ko) 2016-05-11
KR101771296B1 true KR101771296B1 (ko) 2017-08-24

Family

ID=5602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446A KR101771296B1 (ko) 2014-10-31 2014-10-31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602B1 (ko) 2017-09-01 2021-07-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79798B1 (ko) * 2018-04-13 2020-02-20 주식회사 삼양사 리튬 2차 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
CN111370714B (zh) * 2020-03-12 2021-04-27 中南大学 一种复合催化剂的制备方法和在锂空气电池中的应用
KR20220129830A (ko) 2021-03-17 2022-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산화 환원 매개체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59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317B1 (ko) 다공성 탄소계 복합재료,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공기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5125461B2 (ja) リチウム空気電池
KR10261401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790840B1 (ko) 리튬 공기 전지
KR101902926B1 (ko) 다공성 탄소계 복합재료,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5448B1 (ko) 리튬전지
US20190123352A1 (en)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KR101899483B1 (ko) 리튬 공기 전지
JP5625059B2 (ja) 金属空気二次電池
EP3360180A1 (en) High surface area porous carbon materials as electrodes
JP7175968B2 (ja) リチウム‐硫黄電池用バインダー、これを含む正極及びリチウム‐硫黄電池
CN111066180B (zh) 用于锂二次电池的负极活性物质、其制备方法以及包括其的锂二次电池
KR20140024587A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599322B1 (ko) 양극 활물질과 활성탄의 입경 비율이 제어된 리튬 이차 전지
KR101771297B1 (ko) 방전 용량이 향상된 다공성 탄소캡슐을 포함한 리튬공기전지
KR101771296B1 (ko)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28564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150057260A (ko) 리튬 공기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
KR20170063233A (ko) 리튬 이차 전지
JP2014216299A (ja) ナトリ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8166098A (ja) 負極活物質および電池
JP5272810B2 (ja) キャパシタ
KR20170020162A (ko) 리튬 공기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242463A1 (en) Sulfur-carbon composi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which comprise same
JP5256781B2 (ja) 空気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