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561B1 -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561B1
KR101770561B1 KR1020150121249A KR20150121249A KR101770561B1 KR 101770561 B1 KR101770561 B1 KR 101770561B1 KR 1020150121249 A KR1020150121249 A KR 1020150121249A KR 20150121249 A KR20150121249 A KR 20150121249A KR 101770561 B1 KR101770561 B1 KR 10177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cao
bean
beans
chocolat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784A (ko
Inventor
백무열
허수정
김병용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5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2Preliminary treatment, e.g. fermentation of coco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팽화하여 카카오빈의 신맛을 증가시키고, 탈부를 일으킴으로써, 카카오빈을 이용한 초콜릿 제조 공정을 개선할 뿐 아니라, 색다른 풍미를 갖고 부드러운 초콜릿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PROCESSING METHOD OF CACAO BEANS USING PUFFING}
본 발명은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카카오는 학명 Theobroma cacao L. 이라는 식물의 종자로 초콜릿, 코코아 음료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식품에서 활용되고 있는 식품 소재이다(한국공개특허 10-2005-0098723호). 카카오 열매, 즉 카카오빈은 수확한 뒤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두 가지 공정을 필수로 거치게 되는데, 이는 발효 및 로스팅이다. 카카오빈은 먼저 3 내지 7일간 발효를 한 뒤 발효된 카카오빈을 건조시키고, 로스팅을 하게 된다.
로스팅은 원두에 열을 가해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반응으로 로스팅 정도에 따라 카카오빈의 풍미가 달라지며 더불어 카카오빈에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조성 및 함량이 변화하게 된다. 카카오빈의 로스팅은 보통 105 내지 200 ℃에서 10 내지 45분간 실시하지만 원하는 풍미에 따라 조건을 달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로스팅의 경우 다양한 로스팅 기계와 방법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나눠지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열을 가해 가공을 하는 것이다.
최근 녹차 초콜릿, 백년초 초콜릿 등 여러 종류의 초콜릿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초콜릿들은 대부분 기존의 초콜릿 원료에 풍미 증진을 위하여 녹차 추출물, 백년초 초콜릿 등의 첨가물을 넣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신맛과 같은 색다른 풍미를 갖는 초콜릿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카카오빈을 팽화시킬 경우 별도의 첨가물이 없이도 카카오빈 자체가 신맛을 띠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카오빈의 신맛을 증가시켜 색다른 풍미를 갖는 초콜렛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팽화시켜 팽화 카카오빈을 제조하고, 이를 초콜릿 및 초콜릿 관련 제품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은 로스팅된 카카오빈보다 신맛이 강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 시 경도가 낮은 초콜릿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의 사진이다(A: 비교예 1, B: 비교예 2, C: 실시예 1, D: 실시예 2, E: 실시예 3, F: 실시예 4).
도 2 및 도 3은 비교예 2의 로스팅된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제조한 카카오매스 스틱이다.
도 4 및 도 5은 실시예 1 내지 4의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제조한 카카오매스 스틱이다(A: 실시예 1, B: 실시예 2, C: 실시예 3, D: 실시예 4)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팽화 카카오빈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켜 팽화 카카오빈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신맛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탈부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카카오빈
본 발명의 카카오빈은 시판되는 카카오빈 원두면 되고 특별히 그 산지 등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카카오빈은 발효되거나 또는 건조된 카카오빈 원두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효 및 건조가 완료된 카카오빈 원두이다. 이 때 상기 발효는 카카오빈의 수확 후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3 내지 7일간 통상적으로 발효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팽화 카카오빈의 제조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의 제조 방법, 초콜릿의 제조 방법, 카카오빈의 쓴맛 마스킹 방법, 카카오빈의 탈부 방법 등은 팽화 카카오빈의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의 제조 방법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 내지 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용기의 압력을 3 내지 15 kgf/cm2로 증가시키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kgf/cm2로 증가시키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kgf/cm2로 증가시킨다.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고 상기 용기의 압력을 상기와 같이 증가시킴으로써 카카오빈의 팽화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카카오빈 원두 내부의 수분을 고온, 고압 상태가 되게 한 다음, 외부로 방출하게끔 하여 부피팽창을 일으키게 된다. 이로써, 팽화 카카오빈은 카카오빈 원두 또는 로스팅된 카카오빈보다 pH가 낮고, 신맛을 띠게 된다. 즉, 팽화 카카오빈은 카카오빈 원두 또는 로스팅된 카카오빈보다 신맛 및 산도가 유의하게 증가되며, pH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3 내지 4.5 kgf/cm2의 압력으로 카카오빈을 팽화시키는 경우 카카오빈의 쓴맛이 마스킹되게 된다.
또한 상기 팽화 공정에 의하여 카카오빈 원두의 겉껍질이 알맹이와 분리되는 탈부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로스팅에 비하여 팽화의 큰 이점이 된다. 카카오빈의 거의 모든 이용 형태는 탈부 공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팽화 공정에 의하여 탈부까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은 비용적으로, 또한 시간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팽화 카카오빈을 제조하여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탈부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팽화 카카오빈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은 카카오빈 원두 또는 로스팅된 카카오빈보다 pH가 낮고, 신맛이 강하며, 산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은 팽화 시 압력이 커질수록 팽화 카카오빈의 색이 진해지며 부피가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은 탈부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은 팽화 시 압력이 커질수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은 항산화 활성이 있으나, 팽화 시 압력이 커질수록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은 3 내지 6 kgf/cm2의 압력으로 팽화 시 로스팅된 카카오빈보다 카테킨(Catechin) 및 에피카테친(Epicatechin)의 함량이 높으며, 3 내지 15 kgf/cm2 의 압력으로 팽화 시 로스팅된 카카오빈보다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의 함량이 높다.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의 pH는 카카오빈 원두 또는 로스팅된 카카오빈의 pH보다 낮다.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의 pH는 pH 4.80 내지 5.40이고, 바람직하게는 pH 4.90 내지 5.3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35이다.
초콜릿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켜 팽화 카카오빈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카오빈 원두를 팽화시킴으로써, 카카오빈 고유의 신맛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신맛이 증진된 초콜릿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풍미를 제공하여 수요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콜릿은 카카오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예컨대 90 중량% 이상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 시 선호도가 높으면서도 50 중량% 이상의 함량을 갖는 초콜릿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지, 카카오빈의 함량이 반드시 50 중량% 이상이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 100%로 만든 초콜릿을 기준으로 pH는 pH 4.80 내지 5.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4.90 내지 5.38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35이다.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 시 같은 용량의 로스팅된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경우보다 경도가 낮은 초콜릿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카오빈의 함량이 높으면서도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운 초콜릿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팽화 카카오빈 100%로 만든 초콜릿을 기준으로 경도는 2.5 내지 5.5 MPa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5.3 MPa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MPa이다.
신맛 증가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신맛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산도 증가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pH 감소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pH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탈부
본 발명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탈부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가압 단계, 즉 팽화 단계에서 카카오빈은 팽화 및 탈부가 함께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카카오빈은 시판되는 가나산 Forastero종의 발효, 건조된 원두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구입한 대로의 카카오빈(원두), 즉 시판되는 가나산 Forastero종의 발효, 건조된 원두를 대조군인 비교예 1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카카오빈(원두)를 190 ℃에서 15분간 로스팅하여, 로스팅된 카카오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카카오빈(원두)을 미리 예열된 회전식 팽화기(월출종합기계 제조)에 넣었다. 그리고, 프로판 가스 버너로 팽화기를 가열시켜 팽화기의 압력이 4, 5, 6 및 7 kgf/cm2에 도달했을 때 팽화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카카오빈을 팽화시켰다. 이 때 팽화 압력에 따라 각각 실시예 1 내지 4로 하였다(표 1).
팽화 카카오빈 팽화 압력(kgf/cm2)
실시예 1 4
실시예 2 5
실시예 3 6
실시예 4 7
<실험예 1> 육안 관찰
비교예 1 및 2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에 대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팽화 후 카카오빈에서 색 변화, 부피 팽창 및 탈부가 관찰되었다. 팽화 시 가한 압력이 증가할수록 카카오빈의 색이 진해지고 부피 또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팽화된 카카오빈(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알맹이가 겉껍질과 분리되는 탈부 현상이 관찰되었다(도 1, A: 비교예 1, B: 비교예 2, C: 실시예 1, D: 실시예 2, E: 실시예 3, F: 실시예 4).
<실험예 2>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교예 1 및 2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1 내지 4의 팽화 카카오빈, 카카오빈(비교예 1) 및 로스팅된 카카오빈들을 각각 1g 씩 준비하고, 여기에 70% 메탄올(methanol) 25ml을 가한 뒤, 40 ℃ water bath에서 두 시간동안 추출하였다. 킴블 필터링 플리스크(Kimble-filtering flask)에 펜넬(funnel)을 장착하고 여과지(Whatman No.2)를 사용하여 수득된 카카오빈 추출물을 여과한 뒤 이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때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s)은 Folin & Ciocalteu’s 방법을 이용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였고(Singleton, V. L., & Rossi, J. 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erican Journal of Enology and Viticulture, 16(3), 144-158), 총 플라보노이드들(total flavonoids)은 aluminium chloride colorimetric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Jia, Z., Tang, M., &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istry, 64(4), 555-559).
그 결과, 카카오빈 내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로스팅 및 팽화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2보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으며, 팽화 카카오빈의 경우 팽화 시 처리 압력이 높아질수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표 2).
시료 총 폴리페놀
(mg GAE/g 시료)
총 플라보노이드
(mg CE/g 시료)
비교예 1 20.35±2.14a 18.97 ± 4.90a
비교예 2 9.84±1.19c 7.51 ± 1.50c
실시예 1 12.53±1.97b 10.65 ± 1.52b
실시예 2 10.94±1.80c 8.94 ± 1.94bc
실시예 3 9.94±1.83c 7.19 ± 0.78c
실시예 4 9.43±1.47c 7.31 ± 1.83c
동일 칼럼 내 동일한 윗첨자를 갖는 값은 p<0.05에서 상당히 다르지 않다.
값들은 평균± 표준편차로서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항산화능
실험예 2에서 제조한 비교예 1 및 2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의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능을 DPPH 분석, ABTS 분석, FRAP 분석 방법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항산화능은 비교예 2보다 높았으며, 팽화시 처리한 압력이 높을 수록 팽화 카카오빈의 항산화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
시료 DPPH ABTS FRAP
비교예 1 20.35±2.14a 41.91 ± 3.75a 18.12 ± 3.29a
비교예 2 9.84±1.19c 21.88 ± 1.95cd 10.23 ± 1.31c
실시예 1 12.53±1.97b 27.59 ± 1.88b 12.60 ± 1.51b
실시예 2 10.94±1.80c 23.89 ± 2.52c 11.00 ± 1.66c
실시예 3 9.94±1.83c 20.15 ± 1.11dc 9.88 ± 0.98c
실시예 4 9.43±1.47c 18.11 ± 1.53e 9.86 ± 1.65c
항산화 활성은 비타민 C 등가(equivalent) (mg VCE/g 시료)로서 추산되었다.
동일 칼럼 내 동일한 윗첨자를 갖는 값은 p<0.05에서 상당히 다르지 않다.
값들은 평균± 표준편차로서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카테킨, 에피카테친, 프로시아니딘 B2 함량
카테킨(Catechin)은 카카오빈에 존재하는 플라반-3-올(favan-3-ols)로서 카카오빈의 가공 공정 중 화학적으로 급격히 변화 및 분해되어 카카오빈의 항산화능에 영향을 미친다. 에피카테친(Eicatechin)은 카카오빈에 존재하는 플라반-3-올(favan-3-ols)로 카테킨(Catechin)과 에피머 관계에 있으며, 카카오빈의 가공 공정 중 (-)-에피카테친(Epicatechin)이 (-)-카테킨(Catechin)으로 에피머화하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있다.
상기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는 카카오빈에 있는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들 중 대표적인 물질로 (-)-에피카테친(Epicatechin) 두개가 4β -> 8 결합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가공공정 중에 모노머(monomer) 에피카테친(epicatechin)으로 분해되며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어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험예 2에서 제조한 비교예 1 및 2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의 추출물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HPLC 장비와 조건은 하기 표 4와 같다.
Instrument Shimadzu modelLC-20AD,Kyoto,Japan
Column ZORBAX Eclipse Plus C18
(4.6x250nm,5μm,AgilentTechnologies,PaloAlto,CA)
Detector Photodiode array detector (SPD-20A, Shimadzu)
Flowrate 0.5ml/min
Inhection volume 20μl
Mobile phase A: ddH2O+0.1% formic acid
B: Acetonitrile+0.1% formic acid
Gradient 0min:A-B(92:8v/v),0.1min:A-B(92:8v/v),16min
(40:60v/v),18min(92:8v/v),22min(92:8v/v)
그 결과, 카테킨(Catechin)의 경우 원두에 비해 로스팅 및 팽화 후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은 비교예 2보다 카테킨의 함량이 더 많이 증가했다. 에피카테친(Epicatechin)과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B2의 경우 팽화 카카오빈이 로스팅 카카오빈보다 더 많은 함량을 보였다(표 5).
시료 카테킨
(mg/g 시료)
에피카테친
(mg/g 시료)
프로시아니딘
(mg/g 시료)
비교예 1 5.74 ± 0.57cd 4.74 ± 0.67a 2.31 ± 0.26a
비교예 2 6.09 ± 0.05c 1.60 ± 0.06d 0.77 ± 0.15c
실시예 1 8.45 ± 0.96a 2.54 ± 0.11b 1.20 ± 0.14d
실시예 2 6.97 ± 0.24b 1.96 ± 0.10c 1.03 ± 0.03dc
실시예 3 7.56 ± 0.53b 1.72 ± 0.19cd 1.56 ± 0.46c
실시예 4 5.10 ± 0.80d 1.55 ± 0.03d 1.91 ± 0.06b
동일 칼럼 내 동일한 윗첨자를 갖는 값은 p<0.05에서 상당히 다르지 않다.
값들은 평균± 표준편차로서 나타내었다.
<실험예 5> pH
비교예 1 및 2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을 각각 1g씩 준비하고, 여기에 증류수 90 ml을 가한 뒤, 1 시간 동안 상온에서 균질화시켜, 카카오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킴블 필터링 플리스크(Kimble-filtering flask)에 펜넬(funnel)을 장착하고 여과지(Whatman No.2)를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들을 여과한 뒤 pH meter (FiveEasy Plus™ pH meter FEP20 , Mettler-Toledo AG, schwerzenbach, Uster, Switzerland)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카카오빈을 로스팅 처리한 경우에는 유의한 pH변화가 없었지만 팽화 카카오빈의 경우 팽화 처리 후 pH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6).
시료 pH
비교예 1 5.46 ± 0.04a
비교예 2 5.49 ± 0.02a
실시예 1 5.06 ± 0.04c
실시예 2 5.03 ± 0.02c
실시예 3 5.05 ± 0.01c
실시예 4 5.33 ± 0.04b
동일 칼럼 내 동일한 윗첨자를 갖는 값은 p<0.05에서 상당히 다르지 않다.
값들은 평균± 표준편차로서 나타내었다.
<실험예 6> 탈부
카카오빈의 껍질을 제거하는 탈부 공정은 카카오빈의 이용 시 필수 공정으로, 특히 카카오 닙(cacao nib)의 제조 시 제조 비용 및 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에 대하여 탈부 공정의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100개 원두에 대하여 로스팅 또는 팽화 후 탈부된 카카오빈의 비율 및 탈부 시 소요 시간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2의 경우 로스팅 후 겉껍질이 벗겨진 카카오빈이 거의 없어, 별도의 탈부 공정이 필요하였으며 기존의 탈부 공정이 그대로 요구되었다. 반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90% 이상의 카카오빈의 겉껍질이 벗겨졌으며, 겉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머지 카카오빈들의 경우도 조금만 힘을 가해도 손쉽게 겉껍질이 벗겨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기존의 탈부 공정을 그대로 거칠 필요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7> 경도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카카오빈들을 분쇄(grinding)하고, 각각의 분쇄물들을 15 g 내지 20 g 씩 비커에 담았다. 분쇄물 내 카카오버터가 충분히 녹아 걸쭉한 반죽상태가 될 때까지 36 ℃ waterbath에 중탕하면서 시약스푼으로 30 내지 40분간 계속 저어주었다. 그리고 반죽 상태가 된 카카오매스를 틀에 부어준 뒤 상온에서 굳혔다. 굳은 카카오매스는 틀의 형태에 따라 10cm x 1.4cm x 0.9cm 크기의 스틱 형상이 되었다. 도 2 내지 7은 상기 카카오매스 스틱의 사진이다. 도 2 및 3은 비교예 2의 로스팅된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제조한 카카오매스 스틱이고, 도 4 및 5는 실시예 1 내지 4의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제조한 카카오매스 스틱이다(A: 실시예 1, B: 실시예 2, C: 실시예 3, D: 실시예 4)
상기 카카오매스 스틱(즉, 초콜릿)을 rheometer를 이용하여 bending test를 통하여 경도(hardness)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제조한 카카오매스 스틱(초콜릿)의 경도가 로스팅된 카카오빈을 이용한 경우보다 경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7). 그러므로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 시 카카오 함량이 높으면서도 부드러운 초콜렛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경도(MPa) 5.7  4.4 4.9 4.5 3.3
<실험예 8> 쓴맛 및 신맛 평가
상기 실험예 7에서 제조한 카카오매스 스틱(초콜릿)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는 팽화 공정으로 인한 카카오빈의 풍미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20대에서 30대 남녀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쓴맛 및 신맛을 평가하였다. 쓴맛 및 신맛은 9점 척도법으로 9점에 가까울수록 쓴맛, 신맛이 강하고, 0점에 가까울수록 쓴맛, 신맛이 약한 것으로 하였다.
그 결과, 팽화에 의하여 카카오빈의 쓴맛은 유의적으로 큰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실시예 1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신맛은 신맛은 모든 실시예에서 유의적으로 강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pH 변화를 측정한 실험예 5와 일치하는 결과이다(표 8). 그러므로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 시 카카오빈의 신맛이 증가하였다.
시료 쓴맛 신맛
비교예 1 - -
비교예 2 5.15 ± 2.11bc 3.04 ± 2.09b
실시예 1 4.89 ± 2.13c 4.29 ± 2.27a
실시예 2 5.25 ± 2.08abc 4.04 ± 2.28a
실시예 3 5.60 ± 1.97ab 4.24 ± 2.57a
실시예 4 5.85 ± 1.93a 4.04 ± 2.43a
동일 칼럼 내 동일한 윗첨자를 갖는 값은 p<0.05에서 상당히 다르지 않다.
값들은 평균± 표준편차로서 나타내었다.

Claims (10)

  1. 겉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신맛이 증가된 탈부 팽화 카카오빈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맛이 증가된 탈부 팽화 카카오빈은 카카오빈 원두 또는 로스팅된 카카오빈보다 pH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카카오빈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켜 신맛이 증가된 탈부 팽화 카카오빈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신맛이 증가된 탈부 팽화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초콜릿은 카카오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초콜릿은 로스팅된 카카오빈을 이용하여 제조한 초콜릿보다 경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초콜릿은 pH 5.40 이하의 pH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9. 겉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신맛을 증가시키는 방법.
  10. 겉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카카오빈을 용기에 넣는 단계;및
    상기 용기의 압력을 3~15 kgf/cm2로 증가시키는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빈의 탈부 방법.
KR1020150121249A 2015-08-27 2015-08-27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 KR101770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49A KR101770561B1 (ko) 2015-08-27 2015-08-27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49A KR101770561B1 (ko) 2015-08-27 2015-08-27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84A KR20170026784A (ko) 2017-03-09
KR101770561B1 true KR101770561B1 (ko) 2017-08-24

Family

ID=5840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49A KR101770561B1 (ko) 2015-08-27 2015-08-27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5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855B1 (ko) * 1994-01-28 2001-12-15 마쯔무라 다다오 증기를 이용하여 커피콩을 볶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855B1 (ko) * 1994-01-28 2001-12-15 마쯔무라 다다오 증기를 이용하여 커피콩을 볶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84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12018500038A1 (en) Cocoa products based on unfermented cocoa bean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MX2018000244A (es) Metodos de procesamiento de fruto de cacao y productos de cacao obtenidos mediante los mismos.
JP2014221079A (ja) 赤いココア成分、赤いチョコレート、及び食品の調製方法
CN102987032B (zh) 荷叶茶加工方法
CN104186801A (zh) 一种荷叶红茶及其加工方法
KR20190078785A (ko) 수국차, 수국차 추출액 및 수국차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3766514A (zh) 一种果香红茶的制作方法
JP7109889B2 (ja) 香気成分の捕集方法
CN101444242A (zh) 一种银杏保健茶的生产方法
EP362006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dible oil
KR101770561B1 (ko) 팽화를 이용한 카카오빈의 가공 방법
GB2452972A (en) Chocolate incorporating cryogenically milled cocoa beans
CN106615274A (zh) 一种红茶的加工方法
JP6364003B2 (ja) 緑茶の茶葉の製造方法
KR20050042283A (ko) 유자 및 초콜릿을 이용한 유자초콜릿 및 그 제조 방법
CN107348033A (zh) 一种黄茶的干燥方法
KR20180037437A (ko) 녹차 두부 제조방법
KR20110080332A (ko) 쌀빵의 제조방법
US6054129A (en) Flavor-improved extract from Cassia mimosoides L. var. nomame Makino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680760B1 (ko) 팽화된 커피 원두의 제조 방법
KR20140004286A (ko) 고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이의 제조방법
JP6168240B1 (ja) 油脂への風味付与方法
KR101593087B1 (ko) 벤조피렌 생성이 저감된 볶음 참깨의 제조방법
KR101912182B1 (ko) 기호성이 우수한 카카오 닙스를 함유하는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G194004A1 (en) Protein-contai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