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072B1 -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072B1
KR101770072B1 KR1020160119774A KR20160119774A KR101770072B1 KR 101770072 B1 KR101770072 B1 KR 101770072B1 KR 1020160119774 A KR1020160119774 A KR 1020160119774A KR 20160119774 A KR20160119774 A KR 20160119774A KR 101770072 B1 KR101770072 B1 KR 101770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rollers
roller
straight lin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채
박영철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4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axial shifting of th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3/00Shape of product
    • B21B2263/04Flat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1/00Mill stand parameters
    • B21B2271/02Roll gap, screw-down position, draf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판을 레벨링시키는 레벨러의 출측으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레벨 조정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상기 레벨 조정부를 통해 각기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LEVEL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벨링 공정 중 출측 롤러의 응력작용면적비 조정만으로 레벨러 전체의 롤러에 대한 응력작용면적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벨링(leveling)은 만곡면을 갖는 강판을 엇갈리게 설치한 롤러 사이를 통해서 인발하여 평면으로 하는 다듬질 기법이다. 즉, 완곡한 강판을 교정 롤 사이로 넣어 통과시켜 편평하게 만드는 가공법이다.
특히 고강도 열연 강판의 경우 코일 형태로 감겨있던 강판이 절단을 위하여 풀렸을 경우, 강판의 잔류응력으로 인해 절단 후 치수 틀어짐이 심하게 발생되어 제품 적용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레벨러를 통해 형상을 개선하고 잔류응력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작업자의 육안 판별에 의해 레벨러를 조정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이력 관리가 어려웠고 지속적인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5-0016912호(1995.07.20.공개, 레벨링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레벨링 공정 중 출측 롤러의 응력작용면적비 조정만으로 레벨러 전체의 롤러에 대한 응력작용면적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레벨링되는 강판의 길이에 따른 편평화 이력을 저장하여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벨링 제어 장치는, 강판을 레벨링시키는 레벨러의 출측으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레벨 조정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상기 레벨 조정부를 통해 각기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편평도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판의 길이에 대응하는 편평도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동일한 재질의 다른 강판의 레벨링 공정 시 동일한 위치에서의 레벨링 조정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레벨러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생성하고,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하향 또는 상향 조절하며, 또한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강판이 상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은 상향 조정하고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은 하향 조정하며, 상기 강판이 하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은 하향 조정하고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은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1
)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2
여기서, E : 탄성계수, T : 두께, YR : 압입량, L : 롤(롤러) 피치,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3
: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4
: 강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직선 상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 조정 값을 산출한 후, 상기 롤러들 사이에 있는 롤러들은 그 중심을 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 조정 값을 산출하며, 각 롤러에 대응하는 레벨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각 롤러별로 산출된 레벨 조정 값으로 각 롤러의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레벨링 제어 방법은, 레벨러의 출측에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강판의 편평도 검출 결과에 따라 강판이 상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제어부가 레벨러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상향 조정하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하향 조정하며,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편평도 검출 결과에 따라 강판이 하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제어부가 레벨러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하향 조정하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상향 조정하며,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레벨링 공정 중 출측 롤러의 응력작용면적비 조정만으로 레벨러 전체의 롤러에 대한 응력작용면적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평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레벨링되는 강판의 길이에 따른 편평화 이력을 저장하여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 및 그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가상 직선에 맞춰 각기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강판의 레벨링 시 강판의 길이에 대응하여 검출된 편평도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제어 장치는, 레벨러의 출측으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검출하는 센서부(110),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검출된 강판의 편평도에 따라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레벨 조정부(120),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 및 하부롤러들 간의 롤러 피치를 조정하는 롤러 피치 조정부(130), 및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검출된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상기 레벨 조정부(120)를 통해 각기 조정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레벨러의 출측으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강판이 상부로 구부러져 출력되거나 아니면 하부로 구부러져 출력되는 경우에 그 구부러진 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강판의 편평도(또는 구부러짐 정도)가 얼마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상기 레벨 조정부(120)를 통해 각기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강판의 편평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및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레벨러의 출측으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강판의 길이에 대응하는 편평도 정보(또는 편평도 히스토리)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도 4 참조).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강판의 레벨링 시 강판의 길이에 대응하여 검출된 편평도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보인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강판의 길이는 이미 알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예 : 롤러의 회전속도, 롤러의 둘레 길이, 강판의 이송 속도, 레벨링 시작시점 등)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편평도 정보(또는 편평도 히스토리)는 이후 강판 절단 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사용되고, 또한 동일한 재질의 다른 강판의 레벨링 공정 시 동일한 위치에서의 레벨링 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또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벨 조정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각기 조정한다.
예컨대 상기 레벨 조정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각기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한다.
이때 기존에는 단순히 작업자의 육안 판별에 의해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만 수작업으로 일부 조정하였기 때문에 레벨 조정에 대한 이력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품질을 유지함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기존에는 작업자의 노하우에 따라 롤러 레벨이 다르게 조정되었기 때문에 강판의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검출된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상기 레벨 조정부(120)를 통해 각기 조정함으로써 강판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40)는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생성하고,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하향 또는 상향 조절하며, 또한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레벨링 효과를 향상시킨다(도 3 참조). 즉, 상부롤러들을 일정한 각도로 일치시켜 조절함으로써 각 롤러를 통과하는 강판의 잔류응력이 순차로 일정하게 제어(또는 제거)됨으로써 레벨링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 및 그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가상 직선에 맞춰 각기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의 (a)는 출측 강판이 하향으로 구부러질 경우의 롤러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의 (b)는 출측 강판이 상향으로 구부러질 경우의 롤러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레벨 조정된다.
이때 상기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5
)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6
여기서, E : 탄성계수, T : 두께, YR : 압입량, L : 롤(롤러) 피치,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7
: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6090705147-pat00008
: 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강판의 편평도에 대응하는 응력 작용 면적비를 미리 산출하여 룩업테이블 형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산술식을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 조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상 직선 상의 처음 롤러와 마지막 롤러의 레벨 조정 값을 산출하면, 그 사이에 있는 롤러는 그 중심을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 조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벨 조정부(120)의 각 상부롤러에 대응하는 레벨 조정부(121 ~ 124)를 제어하여, 상기 각 롤러별로 산출된 레벨 조정 값으로 각 상부롤러의 레벨을 조정한다.
또한 상기 롤러 피치 조정부(130)는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 간의 롤러피치(또를 롤 피치) 및 하부롤러들 간의 롤러 피치(또를 롤 피치)를 조정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는 상부롤러들이 4개로 구성된 레벨러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롤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예 : 6개 등).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상부롤러들 간의 롤러피치(또를 롤 피치) 및 하부롤러들 간의 롤러 피치(또를 롤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롤러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에는 각 롤러에서 제어(또는 제거)해야 할 강판의 잔류응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강판에 받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롤러 피치(또를 롤 피치) 조정을 통해 레벨링 효과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센서부(110)를 통해 레벨러의 출측에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검출한다(S101).
상기 강판의 편평도 검출 결과에 따라, 강판이 상향으로 구부러지면(S102의 예)(도 3의 (b) 참조),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40)는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현재의 가상 직선을 생성한다(S103).
그리고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상향 조정한다(S104).
그리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하향 조정한다(S105).
다음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한다(S106).
한편, 상기 강판의 편평도 검출 결과에 따라, 강판이 하향으로 구부러지면(S102의 아니오, S201의 예)(도 3의 (a) 참조),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40)는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현재의 가상 직선을 생성한다(S202).
그리고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하양 조정한다(S203).
그리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상향 조정한다(S204).
다음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한다(S106).
이와 같이 원하는 레벨링 품질을 얻기 위하여 상부롤러들을 일정한 각도로 일치시켜 조절함으로써 각 롤러를 통과하는 강판의 잔류응력이 순차로 일정하게 제어(또는 제거)됨으로써 레벨링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롤러의 레벨 조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롤러들의 레벨 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레벨러의 출측에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가 검출되면(S101),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강판의 길이에 대응하는 편평도 정보(또는 편평도 히스토리)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함으로써(S301), 이후 강판 절단 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사용되고, 또한 동일한 재질의 다른 강판의 레벨링 공정 시 동일한 위치에서의 레벨링 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레벨링 공정 중 출측 롤러의 응력작용면적비 조정만으로 레벨러 전체의 롤러에 대한 응력작용면적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평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레벨링되는 강판의 길이에 따른 편평화 이력을 관리하여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센서부
120, 121 ~ 124 : 레벨 조정부
130 : 롤러 피치 조정부
140 : 제어부

Claims (8)

  1. 강판을 레벨링시키는 레벨러의 출측으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레벨러의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레벨 조정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상기 레벨 조정부를 통해 각기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롤러들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레벨러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생성하고,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하향 또는 상향 조절하며, 또한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강판이 상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은 상향 조정하고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은 하향 조정하며, 상기 강판이 하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은 하향 조정하고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은 상향 조정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7022535739-pat00017
    )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제어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7022535739-pat00018

    여기서, E : 탄성계수, T : 두께, YR : 압입량, L : 롤(롤러) 피치,
    Figure 112017022535739-pat00019
    :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7022535739-pat00020
    : 강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편평도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판의 길이에 대응하는 편평도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동일한 재질의 다른 강판의 레벨링 공정 시 동일한 위치에서의 레벨링 조정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직선 상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 조정 값을 산출한 후, 상기 롤러들 사이에 있는 롤러들은 그 중심을 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 조정 값을 산출하며, 각 롤러에 대응하는 레벨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각 롤러별로 산출된 레벨 조정 값으로 각 롤러의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제어 장치.
  7. 레벨러의 출측에서 출력되는 강판의 편평도를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강판의 편평도 검출 결과에 따라 강판이 상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제어부가 레벨러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상향 조정하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하향 조정하며,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강판의 편평도 검출 결과에 따라 강판이 하향으로 구부러지면, 상기 제어부가 레벨러의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판의 편평도 및 기 설정된 응력 작용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측 최후 롤러의 레벨을 하향 조정하고, 상기 가상 직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입측 최초 롤러의 레벨을 상향 조정하며, 상기 입측 최초 롤러와 출측 최후 롤러의 사이에 있는 롤러들의 중심을 상기 가상 직선에 맞춰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7022535739-pat00021
    )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 제어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7022535739-pat00022

    여기서, E : 탄성계수, T : 두께, YR : 압입량, L : 롤(롤러) 피치,
    Figure 112017022535739-pat00023
    : 응력 작용 면적비,
    Figure 112017022535739-pat00024
    : 강도
  8. 삭제
KR1020160119774A 2016-09-20 2016-09-20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7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74A KR101770072B1 (ko) 2016-09-20 2016-09-20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74A KR101770072B1 (ko) 2016-09-20 2016-09-20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072B1 true KR101770072B1 (ko) 2017-08-22

Family

ID=5975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774A KR101770072B1 (ko) 2016-09-20 2016-09-20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0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8777A (ja) * 2012-03-14 2013-09-2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熱間圧延における平坦形状制御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8777A (ja) * 2012-03-14 2013-09-2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熱間圧延における平坦形状制御方法及び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361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矯正方法
US9050637B2 (en) Operating method for introducing a product to be rolled into a roll stand of a roll mill, control device, data carrier, and roll mill for rolling a strip-type product to be rolled
JP2009279639A (ja) 熱間圧延機の板幅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578867B2 (ja) 圧延機のスリップ防止装置
KR101770072B1 (ko) 레벨링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19307B1 (ko) 판쏠림 제어 장치
KR100685038B1 (ko) 압연두께 제어장치
CA2432648C (fr) Procede de regulation en temps reel d'une planeuse
JP2005088054A (ja) 連続圧延機の負荷配分制御装置
US2002017469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crossbow in metal strip
KR100851199B1 (ko) 조질압연기에서 강판의 형상 제어 방법 및 장치
JP5949691B2 (ja) 板幅制御方法及び板幅制御装置
HU230935B1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fémszalag egyengetésére
KR102100037B1 (ko) 후판의 도그본 압연 장치 및 방법
KR101726088B1 (ko) 스트립 형상 교정장치 및 방법
JP4226516B2 (ja) 厚板圧延装置でのパススケジュール変更方法
JP2000042633A (ja) 鋼板の矯正方法
KR101435031B1 (ko) 압연 공정에서의 폭 네킹 저감 방법
JP2002282915A (ja) 可逆式圧延機、及び、圧延方法
JP2016182636A (ja) 熱間圧延ラインおよび熱間圧延ラインの制御方法
JPH1133613A (ja) 調質圧延における伸び率の制御方法
KR20200023901A (ko) 후판의 평탄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091411B2 (ja) 圧延機の板厚制御方法
JP2022526923A (ja) 金属ストリップの圧延に際する起伏の防止
KR101504921B1 (ko) 스트립 벤딩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