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470B1 - 만능 스피커 - Google Patents
만능 스피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9470B1 KR101769470B1 KR1020167024183A KR20167024183A KR101769470B1 KR 101769470 B1 KR101769470 B1 KR 101769470B1 KR 1020167024183 A KR1020167024183 A KR 1020167024183A KR 20167024183 A KR20167024183 A KR 20167024183A KR 101769470 B1 KR101769470 B1 KR 1017694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frame
- curved
- driver
- driver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27 ear inn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60 Cellulo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091 Congenital hearing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58 Gastr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82 Ochroma pyramid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0 bery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BAMAFKBVZNFJ-UHFFFAOYSA-N beryllium atom Chemical compound [Be] ATBAMAFKBVZ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74 dry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과제) 음성신호의 전기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를 1개 이상의 진동판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보다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에 의하여 난청자와 건청자가 불편함 없이 함께 알아들을 수 있는 만능 스피커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10)는, 평판모양을 한 진동판(1)과,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드라이버 유닛(2)과, 진동판과 드라이버 유닛과를 수용하는 중공구조의 프레임(3)을 적어도 구비한다. 프레임은 일면에 개구부(39)를 구비하고, 드라이버 유닛은 진동판의 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진동판의 단연부와 접촉하고 또한 프레임에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은 드라이버 유닛이 부착된 일단(1a)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1b)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프레임의 개구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10)는, 평판모양을 한 진동판(1)과,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드라이버 유닛(2)과, 진동판과 드라이버 유닛과를 수용하는 중공구조의 프레임(3)을 적어도 구비한다. 프레임은 일면에 개구부(39)를 구비하고, 드라이버 유닛은 진동판의 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진동판의 단연부와 접촉하고 또한 프레임에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은 드라이버 유닛이 부착된 일단(1a)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1b)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프레임의 개구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청자(難聽者)와 건청자(健聽者)가 함께 알아들을 수 있는 만능 스피커(萬能 speaker)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난청자가 보청기를 끼지 않고 건청자와 함께 알아들을 수 있는 만능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음(소리)」은 물체의 진동이 공기 등의 물질 속을 전달되어 온 것으로서, 인간이 귀라고 하는 청각기관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음은 진동하고 있는 물체로부터 발생하고, 공기를 매개로서 음이 전달되는 경우에, 물체가 진동함으로써 가까운 공기가 밀려서 그 부분만 공기가 짙어지고, 공기가 짙은 부분이 가까운 공기를 또 밀어서 공기의 짙은 부분이 옮겨감으로써 귀에 도달한다. 그리고 귀에 도달한 공기가 귓속의 고막을 진동시켜 이 진동의 신호가 뇌에 전달되고, 뇌가 음으로서 판단하여 음이 들리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음은, 공기중의 기체의 분자가 밀리거나 당겨지거나 하여 흔들리는 방향, 즉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흔들리는 종파(縱波)로서 진행한다. 또한 음이 전달될 때에는, 공기의 옅은 부분(소(疎))과 짙은 부분(밀(密))이 교대로 파(波)로서 전달됨으로써 이 종파는 「소밀파(疎密波)(조밀파(粗密波))」라고도 불리고 있다.
일반적인 음향기기에 갖추어지고 있는 스피커는 다이나믹형의 스피커 유닛이 많고, 이 스피커 유닛은, 도넛형을 한 마그넷(영구자석)과, 이 마그넷의 내측의 구멍에 해당하는 원통형의 공간에 삽입된 보이스 코일과, 이 보이스 코일에 부착된 원추형으로 성형된 진동판(콘)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피커에서는, 보이스 코일에 음성신호가 흐르면 그 파형에 따라 보이스 코일이 전후방향으로 진동하고, 보이스 코일에 부착된 진동판이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성신호와 동일한 파형의 종파를 발생하여 방음(放音)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판모양을 한 진동판(평면진동판)이 4각형의 프레임에 진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평면형 스피커도 알려져 있고, 이러한 평면형 스피커는 평면진동판의 진동에 의하여 공기를 넓은 면적으로 평행하게 밀어서 소밀파(종파)를 만들어내어 방음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한편 최근, 나이가 드는 것이 원인이 되는 노인성(老人性) 난청이나, 외이(外耳)나 중이(中耳), 내이(內耳), 달팽이 신경 등에 장애를 갖는 기질성(器質性) 난청, 스트레스를 요인으로 하는 기능성(機能性) 난청이라고 하는 청각장애자가 증가하고 있어, 일본의 난청자의 수는 2,000만명이라고도 하고 있다. 난청의 경우에, 음이 들리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들린 음이더라도 선명하게 알아듣는 것이 어렵게 되어, 상대의 말에 반응할 수 없거나, 회화의 내용을 잘 알고 있지 않은데도 대답을 해버려서 상대에게 오해를 주거나, 도중에 몇번이나 되물음으로써 회화가 활기차지 않게 되어버리거나 하는 일이 있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난청의 원인으로 부지불식중에 사람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귀찮아지고, 사람과 만나는 기회가 줄어들거나 외출하지 않고 집에 틀어박히는 경향이 되거나 하는 현상이 일어나서, 사회로부터의 고립·소외라는 문제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난청의 불편함을 경감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보청기의 사용이 있다. 또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의 이어폰잭에 접속하여 음성을 FM전파로 날려보내고 이것을 소지(所持)하고 있는 FM라디오에서 수신하여 텔레비전의 음성을 취득하는 FM트랜스미터가 있다.
그런데 보청기는, 「번거롭다」 「장착이 부끄럽다」는 이유로 그다지 즐겨 사용되고 있지 않고,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청기에는 잡음도 나는 것도 적지 않아서 도리어 스트레스가 큰 것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FM트랜스미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FM트랜스미터를 준비하고 텔레비전을 시청할 때마다 FM트랜스미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FM트랜스미터를 이어폰잭에 접속함으로써 음성의 출력처가 바뀌어 난청자와 건청자가 함께 불편함 없이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음은 조밀파(종파)뿐만 아니라 진행방향과 수직의 방향으로 흔들리는 횡파(橫波)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 횡파는 종파와 비교하여 음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음의 감쇠(減衰)가 적어 난청의 쪽에도 들리는 특징이 있다. 또한 횡파는 횡파끼리 사이에서 또는 횡파와 종파의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난청자가 알아들을 수 있는 횡파를 발생하는 스피커로서, 중공구조의 프레임(frame)과, 프레임에 수용된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과, 프레임의 표면에 평판을 만곡하여 세워서 설치한 만곡진동판(彎曲振動板)을 구비하고,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판의 진동을 만곡진동판 및 프레임에 전달하여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판, 만곡진동판 및 프레임으로부터 방음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를 참조).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2에 기재된 스피커는,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판과 프레임의 표면에 세워서 설치한 만곡진동판의 두개의 진동판을 사용하여,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판으로부터는 건청자가 들을 수 있는 종파를 발생시키고 만곡진동판으로부터는 난청자가 들을 수 있는 횡파를 발생시켜서 각각 방음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특허문헌2에 기재된 스피커는 하나의 진동판에 의하여 난청자와 건청자가 함께 알아들을 수 있도록 방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량이 높고 선명한 음을 방사하기 위해서는, 전기에너지로부터 변환되어 드라이버의 진동판을 구동하는 운동에너지를 모두 만곡진동판측에 전달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2의 스피커는, 음성신호의 전기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를 만곡진동판측에 전달할 때에 에너지의 전달효율을 저하시키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2의 스피커는,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판의 움직임(진동)을 효율적으로 만곡진동판측에 전달하지 못하여 보다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즉 상기 특허문헌2의 스피커의 경우에, 평판모양을 한 만곡진동판은 기립봉(起立棒)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만곡진동판이 외력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워 에너지의 전달효율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상당히 있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드라이브 유닛이 프레임의 상면에 수하상태(垂下狀態)에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유닛의 설치는 불안정한 것으로 되어 있어, 드라이버의 진동판을 구동하는 운동에너지를 만곡진동판측에 충분히 전달할 수 없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드라이브 유닛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진동판 및 프레임과 자기회로 부착판이 각각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회로 부착판 위에 배치된 자기회로에 의하여 발생한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판의 움직임이 억제되어버림과 아울러,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판의 반동(反動)에 의하여 만곡진동판측에 전달하는 운동에너지가 감소(상쇄)되어 버리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음성신호의 전기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를 하나의 진동판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보다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에 의하여 난청자와 건청자가 모두 불편함 없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만능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만능 스피커는, 난청자와 건청자가 모두 알아들을 수 있는 것으로서, 평판모양을 한 진동판과,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진동판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하는 중공구조의 프레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면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진동판의 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진동판의 단연부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부착된 일단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의 만능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으로서 무빙마그넷 방식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의 만능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으로서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4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 내지 제3의 만능 스피커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양 측연부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5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 내지 제4의 만능 스피커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상기 진동판이 복수 부착되고 각 진동판의 소재 또는 휨각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6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5의 만능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크기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7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 내지 제6의 만능 스피커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일단측에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복수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8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 내지 제6의 만능 스피커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타단측에도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9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8의 만능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어느 일방이 압전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10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8 또는 제9의 만능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분할된 각 전기신호를 서로 다른 드라이버 유닛에 각각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11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 내지 제10의 만능 스피커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곡면부의 휨각도가 90° 내지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12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 제1 내지 제11의 만능 스피커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는, 평판모양을 한 진동판이 일단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그 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진동판의 단연부가 드라이버 유닛과 접촉하여 부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는, 드라이버 유닛의 본체부가 프레임에 고정하여 부착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드라이브 유닛의 프레임에 대한 설치가 안정되게 되고, 드라이버의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만곡진동판측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유닛의 구동부와 본체부 및 드라이브 유닛의 구동부와 프레임은 어느 것이나 고착되어 있으므로, 드라이브 유닛의 구동부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버릴 일이 없음과 아울러, 드라이브 유닛의 구동부의 반동에 의하여 만곡진동판측으로 전달하는 운동에너지가 감소(상쇄)해 버릴 우려도 없다. 따라서 음성신호의 전기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를 하나의 진동판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보다 음량이 높고 선명하게 방음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는, 진동판이 일면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구조의 프레임의 개구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외력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에너지의 전달효율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없다. 따라서 방음성을 한층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음성신호의 전기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를 하나의 진동판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보다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에 의하여 난청자와 건청자의 쌍방이 불편함 없이 함께 알아들을 수 있는 만능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이 쭉 계속해서 들리면 인지증(認知症)이 되는 비율도 낮아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는, 정상인과 난청자가 같은 음성을 동시에 듣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정상인에게 시끄러움을 느끼게 하지 않고 난청자가 듣기 쉽게 할 수 있다.
어째서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에 있어서 건청자와 난청자의 쌍방이 들리는 것인지 명확한 메커니즘(기구)은 불분명하지만,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우선, 고체중(固體中)에서는 종파 이외에, 횡파나 굴곡파(bending wave)·왜파(歪波) 등(이하, 「전단파(剪斷波)」라고 한다.)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다. 또한 모든 물질이나 에너지는 입자적인 성질과 파동적인 성질의 양방을 가지고 있다는, 입자와 파동의 2중성의 생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에서는, 만곡진동판의 곡면부로부터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진동이, 한편으로 공기의 분자의 조밀파동으로 변환되어서 건청자에게 들리게 됨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 공기의 분자에 섭동(攝動)이라 불리는 새로운 진동(전단파동)을 발생시켜서 난청자에게 들리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만능 스피커의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진동판의 만곡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진동판을 부착하는 제1수단을 설명하는 것으로, (a)는 부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 (b)는 부착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진동판을 부착하는 제2수단을 설명하는 것으로, (a)는 부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 (b)는 부착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에 가이드 볼록부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 볼록부의 상면에 진동판의 지지부재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0은 도8에 나타내는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 볼록부의 상면에 진동판의 완충부재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에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에 지지부재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안에 지지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두개의 진동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휨각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크기가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진동판에 대하여 세개의 드라이버 유닛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진동판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드라이버 유닛을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진동판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구조가 다른 드라이버 유닛을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크기가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진동판에 대하여 드라이버 유닛을 각각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크기가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진동판에 대하여 구조가 다른 드라이버 유닛을 각각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만능 스피커의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진동판의 만곡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진동판을 부착하는 제1수단을 설명하는 것으로, (a)는 부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 (b)는 부착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진동판을 부착하는 제2수단을 설명하는 것으로, (a)는 부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 (b)는 부착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에 가이드 볼록부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 볼록부의 상면에 진동판의 지지부재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0은 도8에 나타내는 프레임에 형성한 가이드 볼록부의 상면에 진동판의 완충부재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에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프레임에 지지부재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안에 지지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두개의 진동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휨각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크기가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진동판에 대하여 세개의 드라이버 유닛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진동판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드라이버 유닛을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하나의 진동판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구조가 다른 드라이버 유닛을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크기가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진동판에 대하여 드라이버 유닛을 각각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관한 만능 스피커의 다른 구조이며, 크기가 다른 두개의 진동판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진동판에 대하여 구조가 다른 드라이버 유닛을 각각 부착하고, 각 드라이버 유닛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중앙종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적인 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다양한 한정이 붙어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萬能 speaker)(10)는 난청자(難聽者)와 건청자(健聽者)가 함께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이며, 진동판(振動板)(1)과 드라이버 유닛(driver unit)(2)과 프레임(frame)(3)을 적어도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진동판(1)은 평판모양을 하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一端)(1a)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他端)(1b)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曲面部)를 형성하고, 프레임(3)의 개구부(39)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진동판(1)은 필름이나 시트와 같이 평평하고 얇은 두께의 부재이며, 미리 만곡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 이외에, 유연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탄력이 있는 성질을 구비하여 만곡하는 곡면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진동판(1)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가 드라이버 유닛(2)에 부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진동판(1)은 미리 만곡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도록 성형된 부재의 경우에는, 이 만곡볼록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3)에 부착되는 것이며, 유연성을 구비하는 부재의 경우에는, 기립한 평판상태에서 드라이버 유닛(2)에 부착하고, 이 상태로부터 탄성적으로 구부려 변형시킴으로써 곡면을 형성하고, 이 변형한 만곡볼록면측을 전방을 향하여 프레임(3)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 만곡한 진동판(이하, 「만곡진동판(彎曲振動板)」이라 한다.)(1)은 곡면부의 휨각도가 90° 내지 이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휨각도가 90° 내지 130°이면 좋다.
즉 전단파(剪斷波)는 만곡진동판(1)의 휨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휨각도에 의하여 발생음압(發生音壓)이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생음압이 가장 커지게 되는 것은 110°±20°의 휨각도를 구비하는 곡면부를 가진 만곡진동판(1)이다.
여기에서 곡면부의 휨각도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진동판(1)의 일단(1a)측에 대한 수선(垂線)과 타단(1b)측에 대한 수선이 교차함으로써 나타내지는 각도를 말한다.
도3에 있어서, 평면상태의 진동판(1)은 점선으로 나타나며, 도면 중 화살표의 1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1a)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1b)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를 형성하도록 이 진동판(1)이 구부려진 상태가 실선으로 나타나있다. 따라서 이때의 만곡진동판(1)의 곡면부의 휨각도는, 그 일단(1a)측에 대한 수선과 타단(1b)측에 대한 수선이 교차하는 점(O)에서의 각도(θ)로 나타나며, 그 각도(θ)는 90° 내지 130°로 되어 있다.
또한 도2에 있어서, 만곡진동판(1)은 프레임(3)의 개구부(39)를 피복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그 단연부(端緣部)(일단(1a)측)가 프레임(3)에 고정하여 부착된 드라이버 유닛(2)에 있어서 후술하는 진동판 구동부(26)의 상면과 대략 직각(90°)으로 접촉하여 부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만곡진동판(1)의 재료는 카본 페이퍼(carbon paper) 등의 종이,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가요성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발사 재(balsa 材) 등의 목재, 알루미늄이나 베릴륨, 보론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만곡진동판(1)의 두께는, 미리 만곡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도록 성형하거나 탄성적으로 구부려서 변형시키거나 할 수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드라이버 유닛(2)은 입력(통전(通電))된 전기신호(음성신호)에 따라 만곡진동판(1)을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이며, 만곡진동판(1)의 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와 접촉하여 부착되어 있다. 즉 드라이버 유닛(2)은 만곡진동판(1)의 단면부(端面部)에 접속되어 만곡진동판(1)의 단면부에 대하여 진동을 가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 유닛(2)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오디오플레이어, 퍼스널컴퓨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스마트디바이스 등으로부터 출력한 음성신호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대음량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큰 진동판이나 큰 전력을 필요로 하지만, 만곡진동판(1)에 대하여 드라이버 유닛(2)으로부터 큰 힘(진동)을 부여함으로써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 유닛(이하, 간단하게 「드라이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2)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빙마그넷 방식(moving magnet 方式)의 액추에이터나 무빙코일 방식(moving coil 方式)의 액추에이터를 들 수 있다.
즉 만곡진동판(1)의 곡면부로부터 전단파가 발생하는 현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무빙마그넷 방식의 액추에이터나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음의 재생을 한다. 무빙마그넷 방식의 액추에이터는,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와 같은 크기의 전기신호를 입력해도 더 큰 질량의 진동판을 구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질량이 큰 진동판을 구동할 때에는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보다 소형화하기 쉬운 점에서 설계상 유리하다. 한편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는 만곡진동판(1)을 구동할 때의 스트로크가 크고, 넓은 주파수 대역(음역)이 얻어지는 점에서 설계상 유리하다.
무빙마그넷형의 드라이버(2)는 마그넷 주위의 보이스 코일에 음성신호를 흐르게 하고, 중심에 놓인 마그넷이 보이스 코일의 자계변화에 의하여 비교적 강한 구동력을 얻어서 진동하여, 만곡진동판(1)의 곡면부로부터 발생하는 음압(音壓)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무빙마그넷형의 드라이버(2)는, 예를 들면 도4에 나타낼 수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무빙마그넷형의 드라이버(2)는, 컵모양의 요크(21)의 내벽면에 보이스 코일(23)이 배치됨과 아울러, 그 내측에 마그넷(영구자석)(25)이 설치된 원기둥모양의 자극편(pole piece)(2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요크(21)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기신호의 공급을 받는 드라이버 회로(22)가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무빙마그넷형의 드라이버(2)는, 보이스 코일(23)이 드라이버 회로(22)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받음으로써 보이스 코일(23)과 자극편(24)의 외주면 사이에 자기갭(磁氣 gap)을 형성하고, 이들에 의하여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자극편(24)의 상부에는 원반모양을 한 금속제의 진동판 구동부(26)가 설치되고, 자극편(24)의 하단부는 자기갭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드라이버(2)의 상부선단부(上部先端部)에 진동판 구동부(振動板驅動部)(26)가 설치되고, 자극편(24)의 하단부가 자기회로의 자기갭에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드라이버(2)는, 무빙마그넷형으로 하여 큰 질량을 가지는 자극편(24)을 구동할 수 있고,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가 가벼운 질량의 코일을 구동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큰 힘으로 진동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즉 무빙마그넷 방식의 액추에이터는,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에 비하여, 큰 질량의 진동판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사이즈상 유리하고, 또한 마그넷 드라이브의 앰프(드라이버 회로(22))를 일체화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드라이버 회로(22)는 액추에이터의 프레임인 요크(21)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이에 따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이 드라이버(2)에 의하여 전기신호의 에너지가 마그넷(25)(자극편(24))의 왕복운동으로서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고, 이 운동에너지가 진동판 구동부(26)를 통하여 만곡진동판(1)의 면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진동을 가하여 음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4 중에 진동판 구동부(26)의 진동방향은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또한 전기신호는, 발생시키는 음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오디오플레이어, 퍼스널컴퓨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스마트디바이스 등에서 공급하는 앰프 구동용의 신호이며, 통상의 앰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와 같다.
프레임(3)은, 만곡진동판(1)과 드라이버 유닛(2)을 수용하는 상자모양을 한 중공구조체이며,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닥판(31)과, 전판(前板)(32)과, 배판(33)과, 좌우의 측판(34, 34)을 구비하고, 일면에 개구부(39)를 구비한다.
도5에 있어서, 프레임(3)은, 바닥면부를 덮는 4각형상을 한 바닥판(31)과, 정면부 하방을 부분적으로 덮는 가로가 긴 4각형상을 한 전판(32)과, 배면부를 전면적으로 덮는 4각형상을 한 배판(33)과, 전판(32)과 배판(33)의 사이에 있어서의 측면부를 상부테두리가 호(弧) 모양이 되도록 덮는 대략 은행나무 형태를 한 좌우의 측판(34, 34)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프레임(3)은, 전판(32)이 설치된 정면부로부터 천장면부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개방된 것으로 되어 있어 일면에 개구부(39)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전판(32)의 상부테두리에는, 수용된 드라이버 유닛(2)의 진동판 구동부(26)측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부(35)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배판(33)의 상단부근에는 좌우의 측판(34)과 각각 접촉하도록 고정편(36, 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3)의 배판(33)의 하방에는 가로가 긴 4각형을 한 간극부(間隙部)가 형성되어 있어, 만곡진동판(1)의 배면측의 공간을 개방상태로 하여 저음역이 방음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3)의 내부에는 드라이버 유닛(2)이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즉 드라이버 유닛(2)은 만곡진동판(1)의 구동시에 마그넷(25)의 구동에 의한 반작용을 받게 되지만, 드라이버 유닛(2)을 프레임(3)에 접촉시켜서 고정함으로써, 만곡진동판(1)의 구동과 반작용에 의하여 프레임(3)을 진동시켜 외부에 나가는 음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만곡진동판(1)은 프레임(3)의 내부에 고정되어 부착된 드라이버(2)의 상부선단부(上部先端部)의 진동판 구동부(26)에 접촉하여 결합되어 있다.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대한 만곡진동판(1)의 부착은, 만곡진동판(1)의 단면부(端面部)가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접촉하고 있으면 비스듬하여도 방음되므로 문제는 없지만, 음량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만곡진동판(1)의 단면부(端面部)가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에 최대음량이 된다.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결합은, 양자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되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협지구(挾持具)(4)를 사용하여 진동판 구동부(26)에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협지구(4)는 스프링 탄성이 있는 끼우기 구조를 구비하고,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로부터의 진동을 만곡진동판(1)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 고정구(振動傳達固定具)이다.
도6에 있어서, 협지구(4)는 스프링 탄성에 의하여 상시(常時)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가 삽입됨으로써 적절히 개구하여 만곡진동판(1)을 끼워서 지지하는 협지입구(挾持入口)(41)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6에서는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의 상면에 협지구(4)가 고정되고, 이 협지구(4)에 있어서의 협지입구(41)의 상방으로부터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를 삽입하며(도6(a)를 참조),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여 결합되도록 협지구(4)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도6(b)를 참조).
이와 같이 스프링 탄성이 있는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지는 협지구(4)를 사용함으로써,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접속부에서의 전달손실을 방지하기 때문에, 장년(長年)의 사용에 있어서도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사이에 느슨해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초기의 에너지 전달효율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내는 협지구(挾持具)(14)를 사용하여 진동판 구동부(26)에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협지구(14)는 만곡진동판(1)의 단면부의 가로방향을 전체적으로 끼움과 아울러 그 끼움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고,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로부터의 진동을 만곡진동판(1)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 고정구이다.
도7에 있어서, 협지구(14)는 바닥면부와 측면부가 대략 L자 모양으로 연속하도록 설치된 금구(金具)이며, 두개가 쌍이 되어서 그 측면부끼리가 대향하여 적절히 간격을 구비하여 배치됨으로써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를 삽입가능하게 하는 협지입구(挾持入口)(42)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7에서는,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의 상면에 협지구(14, 14)가 고정되며, 이 협지구(14, 14)에 있어서의 협지입구(42)의 상방으로부터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를 삽입하고(도7(a)를 참조), 그 후에 멈춤구(17)(17A, 17B)에 의하여 측면부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체결함으로써,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여 결합되도록 협지구(14, 14)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도7(b)를 참조). 즉, 마치 2장의 판 사이에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가 끼여 있고, 이 단연부가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비스(vis)로 고정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끼운 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협지구(4)를 사용함으로써, 만곡진동판(1)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체결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힘으로 또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접속부에서의 전달손실을 방지하고, 장년(長年)의 사용에 있어서도 진동판 구동부(26)와 만곡진동판(1)의 사이에 느슨해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초기의 에너지 전달효율을 지속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만곡진동판(1)은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부착된 협지구(4)(14)와 프레임(3)의 배판(33)에 형성된 좌우의 고정편(36, 36)에 의하여 2점으로 지지되며, 만곡진동판(1)은 프레임(3)의 정면부에서 천장면부에 걸쳐서 아치 모양으로 가설(架設)되어 개구부(39)를 덮도록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만곡진동판(1)은 프레임(3)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만곡진동판(1)을 프레임(3)과 같은 부재로 별도 구성하여 조합시키거나, 혹은 프레임(3)과 일체로 만곡진동판(1)을 성형하거나 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만곡진동판(1)을 프레임(3)의 일부로 하면, 만곡진동판(1)이 되는 프레임(3)의 일부는 다른 프레임(3) 부분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조공정이 생력화(省力化)되고 또한 부재의 비용을 억제하면서, 보다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에 의하여 난청자와 건청자의 쌍방이 불편함 없이 함께 알아들을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만곡진동판(1)은 양 측연부(側緣部)가 프레임(3)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즉 만곡진동판(1)을 지지하기 위해서, 프레임(3)의 측판(34)에 만곡된 가이드 볼록부(guide 凸部)를 형성하고, 이 만곡면을 따르도록 평평한 진동판(1)을 부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이 가이드 볼록부는 기립한 평판상태의 진동판(1)을 효율적으로 구부려 꺽는 진동판 곡절 보조구(振動板 曲折 補助具)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양 측연부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른 측연부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볼록부(5)는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낼 수 있다.
도8에 있어서, 가이드 볼록부(5)는, 프레임(3)의 정면부로부터 천장면부에 걸쳐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는 호(弧)를 그리는 것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 원호모양 볼록편이 프레임(3)의 좌우의 측판(34, 34)의 내면에 각각 부착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전단파 발생을 위하여 평평한 기립상태의 진동판(1)을 만곡시킬 때에, 소정의 곡면을 구비하도록 구부려 꺾인 형상으로 성형된 가이드 볼록부(5)를 프레임(3)의 측판(34)의 내면에 부착하고, 진동판(1)이 일단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용이하게 만곡되었을 때에, 그 측연부가 프레임(3)에 부착한 가이드 볼록부(5)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 볼록부(5)를 사용함으로써, 드라이버(2)에 부착된 기립상태의 진동판(1)이 가이드 볼록부(5)의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구부려 꺾이어, 일단측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만곡진동판(1)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곡진동판(1)의 양 측연부가 프레임(3)에 지지됨으로써, 만곡진동판(1)이 외력 등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에너지의 전달효율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만곡진동판(1)의 양 측연부가 프레임(3)에 지지되도록 가이드 볼록부(5)를 형성할 경우에,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파이크나 인슐레이터라 불리는 원추모양, 3각추모양, 반구모양을 한 에지 지지부재(edge 支持部材)(6)를 가이드 볼록부(5)의 상면에 다수 배치하여, 만곡진동판(1)을 에지 지지부재(6)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점접촉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만곡진동판(1)의 양 측연부가 에지 지지부재(6)와 가이드 볼록부(5)를 통하여 프레임(3)에 지지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에지 지지부재(6)는 고무 등의 탄성소재 또는 목재나 석재, 금속 등의 경질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9에 있어서, 에지 지지부재(6)는 원추모양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프레임(3)의 측판(34)에 부착된 가이드 볼록부(5)의 상면에 돌출하도록 균등한 간격으로 17개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 에지 지지부재(6)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지 지지부재(6)를 통하여 만곡진동판(1)을 프레임(3)으로 지지함으로써 만곡진동판(1)이 비교적 자유롭게 진동하는 반면, 에지 지지부재(6)에 의하여 만곡진동판(1)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하거나 혹은 놓아주어 진동이 프레임(3)에 전달되기 어려워, 에너지의 손실이 적게 할 수 있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만곡진동판(1)을 부분적으로 점접촉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에, 프레임(3)의 측판(34)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측판(34)에 에지 지지부재(6)를 직접 부착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에지 지지부재(6)는 원추모양, 3각추모양, 반구모양에 한하지 않고 원통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만곡진동판(1)의 양 측연부가 프레임(3)에 지지되도록 가이드 볼록부(5)를 형성할 경우에,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볼록부(5)의 상면에는 만곡진동판과 가이드부의 접촉에 의한 이음(異音)의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는 진동완충부재(振動緩衝部材)(16)를 형성하고, 만곡진동판(1)을 진동완충부재(16)에 의하여 선접촉(線接觸)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진동완충부재(16)에는 연질(軟質)이고 또한 진동을 전달하기 어려운 재료를 적용할 수 있고, 만곡진동판(1)의 측연부와 가이드 볼록부(5)상의 진동완충부재(16)는 밀착하여 접촉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완충부재(16)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우레탄수지나 고무, 부직포 등과 같은 탄력성이 풍부한 시트재를 들 수 있다.
도10에 있어서, 진동완충부재(16)는 띠모양을 한 것으로 나타나며, 프레임(3)의 측판(34)에 부착된 가이드 볼록부(5)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만곡진동판(1)과 프레임(3) 사이의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진동완충부재(16)를 통하여 만곡진동판(1)을 지지함으로써 만곡진동판(1)이 비교적 자유롭게 진동하는 반면, 진동완충부재(16)에 의하여 만곡진동판(1)의 진동에너지가 프레임(3)에 전달되기 어려워 에너지의 손실이 적게 된다. 또한 만곡진동판(1)과 프레임(3) 사이의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게 되므로, 진동판의 표면(앞면)으로부터 나간 음파와 이면(배면)으로부터 나간 음파는 진동완충부재(16)에 의하여 차단되어, 표면이나 이면에서의 음파의 간섭감쇠(干涉減衰)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고, 안정된 음압과 넓은 주파수 대역특성이 얻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만곡진동판(1)의 양 측연부가 프레임(3)에 지지되도록 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볼록부(5)를 대신하여 프레임(3)의 측판(34)의 내면에 슬릿모양의 가이드 오목부(guide 凹部)(15)를 형성하고, 거기에 만곡진동판(1)의 측연부를 삽입하도록 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가이드 오목부(15)는 만곡진동판(1)의 두께보다 조금 크고, 그 사이에 만곡진동판(1)의 측연부를 끼움으로써 만곡진동판(1)은 가이드 오목부(15)를 통하여 프레임(3)에 지지되는 것이 된다.
도11에 있어서, 가이드 오목부(15)는, 가이드 볼록부(5)와 마찬가지로, 프레임(3)의 정면부로부터 천장면부에 걸쳐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는 호를 그리는 것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 원호모양 홈이 프레임(3)의 좌우의 측판(34, 34)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오목부(15)를 통하여 만곡진동판(1)을 지지함으로써 만곡진동판(1)이 프레임(3)에 고정되는 일 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는 반면, 가이드 오목부(15)에 의하여 만곡진동판(1)의 진동에너지가 프레임(3)에 전달되기 어려워 에너지의 손실이 적게 된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가이드 오목부(15)를 통하여 만곡진동판(1)을 지지하게 하는 경우에, 측판(34)에 가이드 오목부(15)와 함께 가이드 볼록부(5)를 형성하고, 가이드 오목부(15)와 가이드 볼록부(5)를 통하여 만곡진동판(1)의 양 측연부를 프레임(3)으로 지지하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측판(34)에 가이드 오목부(15) 및 가이드 볼록부(5)를 형성함과 아울러, 가이드 볼록부(5)의 상면에 에지 지지부재(6)를 다수 배치하고, 가이드 오목부(15)에 의하여 만곡진동판(1)의 측연부를 삽입하도록 하여 지지하면서, 에지 지지부재(6)에 의하여 만곡진동판(1)의 측연부 하방을 부분적으로 점접촉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만곡진동판(1)의 측연부를 오목부내에 삽입하도록 하여 프레임(3)으로 지지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3)의 측판(34)의 내면에 폭이 넓은 오목모양 가이드부(광폭 가이드 오목부(廣幅 guide 凹部))(18)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광폭 가이드 오목부(18)내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한 에지 지지부재(6)를 다수 배치하고, 만곡진동판(1)을 에지 지지부재(6)의 사이에 끼워서 점접촉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도12에 있어서, 광폭 가이드 오목부(18)는, 가이드 오목부(15)와 마찬가지로, 프레임(3)의 정면부로부터 천장면부에 걸쳐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는 호를 그리는 것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 광폭 원호모양 오목홈이 프레임(3)의 좌우의 측판(34, 34)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에지 지지부재(6)는 이 광폭 원호모양 오목홈내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17개가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동(同) 광폭 원호모양 오목홈내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17개가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광폭 가이드 오목부(18)내에 상하 2열로 형성된 에지 지지부재(6)의 사이에서 만곡진동판(1)의 양 측연부를 지지함으로써 만곡진동판(1)이 비교적 자유롭게 진동하는 반면, 에지 지지부재(6)에 의하여 만곡진동판(1)의 진동에너지가 프레임(3)에 전달되기 어려워 에너지의 손실이 적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과 하나의 만곡진동판의 조합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조합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버 유닛(2)에 만곡진동판(1)이 복수 부착되고, 각 만곡진동판(1)의 소재가 각각 다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대하여 크기는 같지만 서로 소재가 다른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B)을 각각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20)로 할 수 있다.
도13에 있어서, 드라이버(2)는 프레임(3)의 배판(33)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B)은 어느 것이나 프레임(3)의 개구부(39)를 피복하고, 또한 그 단연부는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능 스피커(20)에 의하면, 딱딱한 소재의 만곡진동판(1)으로부터 고음역으로부터 중음역의 음을 재생하고, 부드러운 소재의 만곡진동판(1)으로부터 저음역의 음을 재생하는 것으로 하거나, 무게가 가벼운 소재의 만곡진동판(1)으로부터 고음역으로부터 중음역의 음을 재생하고, 무게가 무거운 소재의 만곡진동판(1)으로부터 중음역으로부터 저음역의 음을 재생하는 것으로 하거나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드라이버 유닛(2)에 만곡진동판(1)이 복수 부착되고 각 만곡진동판(1)의 휨각도가 각각 다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대하여 소재는 같지만 서로 휨각도가 다른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C)을 각각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30)로 할 수 있다.
도14에 있어서, 드라이버(2)는 프레임(3)의 바닥판(31)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휨각도가 다른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C)은 어느 것이나 프레임(3)의 개구부(39)을 피복하고, 또한 그 단연부는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능 스피커(30)에 의하면, 휨각도가 큰 만곡진동판(11C)으로부터 고음역으로부터 중음역의 음을 재생하고, 휨각도가 작은 만곡진동판(11A)으로부터 중음역으로부터 저음역의 음을 재생하는 것으로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드라이버 유닛(2)에 만곡진동판(1)이 복수 부착되고, 각 만곡진동판(1)의 크기가 각각 다른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만곡진동판(1)의 치수에 따라 재생 주파수 대역은 다르기 때문에,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에 대하여 소재는 같지만 서로 크기가 다른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D)을 각각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40)로 할 수 있다.
도15에 있어서, 드라이버(2)는 프레임(3)의 배판(33)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크기가 다른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D)은 어느 것이나 프레임(3)의 개구부(39)을 피복하고, 또한 그 단연부는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능 스피커(40)는, 만곡진동판(1)의 재질이나 휨각도에 따라 음의 재생영역이 충분히 넓어지지 않는 경우에, 서로 다른 치수의 만곡진동판(1)을 동일한 드라이버 유닛(2)에 부착함으로써 재생 주파수의 영역을 넓히게 한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만곡진동판(11D)으로부터 고음역으로부터 중음역의 음을 재생하고, 크기가 큰 만곡진동판(11A)으로부터 중음역으로부터 저음역의 음을 재생하는 것으로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만곡진동판(1)의 일단측에 드라이버 유닛(2)이 복수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진동판(1)에 대하여 3개의 드라이버 유닛(2)을 각각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50)로 할 수 있다.
도16에 있어서, 3개의 드라이버(2)는 어느 것이나 프레임(3)의 바닥판(31)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만곡진동판(1)은 프레임(3)의 개구부(39)을 피복하며, 또한 그 단연부는 모든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능 스피커(50)는, 동일한 만곡진동판(1)의 단면부(端面部)를 3개의 드라이버 유닛(2)에 의하여 구동함으로써, 1개의 드라이버 유닛(2)에서는 상한이 있는 음성에너지를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2)으로 구동하여 보다 큰 전단파, 조밀파를 만곡진동판(1)으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만곡진동판(1)의 타단측에도 드라이버 유닛(2)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진동판(1)의 일방의 단연부에 대하여 제1드라이버(12A)를 부착하고, 만공진동판(1)의 타방의 단연부에 대하여 제2드라이버(12B)를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60)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드라이버(12A)와 제2드라이버(12B)를 모두 무빙마그넷 방식의 액추에이터로 하거나, 제1드라이버(12A)와 제2드라이버(12B)를 모두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로 하거나, 제1드라이버(12A)와 제2드라이버(12B)의 어느 일방을 무빙마그넷 방식의 액추에이터로 하고 타방을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로 하더라도 좋다.
도17에 있어서, 제1드라이버(12A)는 프레임(3)의 바닥판(31)에, 제2드라이버(12B)은 프레임(3)의 배판(33)에 각각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만곡진동판(1)은 프레임(3)의 개구부(39)를 피복하고, 또한 그 일방의 단연부는 제1드라이버(12A)의 진동판 구동부(26)와, 타방의 단연부는 제2드라이버(12B)의 진동판 구동부(26)와 각각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능 스피커(60)는 만곡진동판(1)의 서로 다른 단면(端面)을 각각 다른 드라이버 유닛(12A, 12B)으로 구동함으로써, 1개의 드라이버 유닛에서는 상한이 있는 발음에너지를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2)(12A, 12B)으로 구동하여 보다 큰 전단파, 조밀파를 만곡진동판(1)으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만능 스피커(60)에서는 전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분할된 각 전기신호를 서로 다른 드라이버 유닛(12A, 12B)에 각각 입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17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2)(12A, 12B)에 입력되는 단일의 음성신호의 대역을 아날로그 또는 전자적 필터 등의 음성신호 분할장치(8)에 의하여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출력의 일방을 제1드라이버(12A)에 입력하고 출력의 타방을 제2드라이버(12B)에 입력하여 1개의 만곡진동판(1)을 구동함으로써, 만곡진동판(1)에 있어서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의하여 서로 다른 재생 대역의 전단파, 조밀파를 동시에 얻어서, 전체적으로 재생 대역이 넓은 전단파, 조밀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드라이버 유닛(2)의 어느 일방이 압전체(壓電體)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압전체는 압력을 가하면 압력에 비례하여 자체 변형하는 압전효과를 구비하는 물질이며, 액추에이터는 가해진 전압을 힘으로 변환하는 압전효과를 이용한 압전소자이다. 압전소자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일방향으로 신축(진동)한다. 따라서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진동판(1)의 일방의 단연부에 대하여 무빙마그넷형 등의 드라이버 유닛(2)을 부착하고, 만곡진동판(1)의 타방의 단연부에 대하여 압전소자(12)를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70)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드라이버(12A)와 제2드라이버(12B)의 어느 일방을 무빙마그넷 방식의 액추에이터로 하고 타방을 압전체로 하거나, 제1드라이버(12A)와 제2드라이버(12B)의 어느 일방을 무빙코일 방식의 액추에이터라고 하고 타방을 압전체로 하더라도 좋다. 이 압전소자(12)는 세라믹스나, PVDF(polyvinylidene fluoride)(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고분자, 세라믹스와 고분자의 복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18에 있어서, 일방의 드라이버(2)는 프레임(3)의 바닥판(31)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만곡진동판(1)은 프레임(3)의 개구부(39)를 피복하고, 또한 그 일방의 단연부는 일방의 드라이버(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이러한 만능 스피커(70)에서는 전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음성신호 분할장치(8)를 더 구비하고, 분할된 각 전기신호를 서로 다른 드라이버 유닛(12A, 12B)에 각각 입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18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2, 12)에 입력되는 단일의 음성신호의 대역을 음성신호 분할장치(8)에 의하여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출력의 일방을 제1드라이버(2)에 입력하고 출력의 타방을 제2드라이버(12)에 입력하여 1개의 만곡진동판(1)을 구동한다.
이와 같이 만곡진동판(1)의 단연부에 압전소자를 부착함으로써 압전소자의 변화가 효율적으로 만곡진동판(1)에 전달되고, 특히 고음역에서의 재생에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만곡진동판(1)의 일방의 단연부에 무빙마그넷형 등의 드라이버 유닛(2)을 부착하고 만곡진동판(1)의 타방의 단연부에 압전소자(12)를 부착함으로써, 무빙마그넷형 등의 드라이버 유닛(2)이 부착된 측의 만곡진동판(1)으로부터는 중음역으로부터 저음역의 음을 재생하고 압전소자(12)가 부착된 측의 만곡진동판(1)으로부터는 고음역으로부터 중음역의 음을 재생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재생 대역이 넓은 전단파, 소밀파를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두개의 드라이버 유닛과 두개의 만곡진동판을 구비하여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하나의 만곡진동판이 조합된 것이 하나의 프레임내에 2조 배치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드라이버 유닛(12A)에 대하여 크기가 큰 제1만곡진동판(11A)을 부착함과 아울러, 제2드라이버 유닛(12B)에 대하여 크기가 작은 제2만곡진동판(11D)을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80)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만능 스피커(80)에서는, 전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음성신호 분할장치(8)를 더 구비하여, 분할된 각 전기신호를 서로 다른 드라이버 유닛(12A, 12B)에 각각 입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19에 있어서, 두개의 드라이버(12A, 12B)는 어느 것이나 프레임(3)의 배판(33)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D)은 어느 것이나 프레임(3)의 개구부(39)을 피복하며, 또한 큰 제1만곡진동판(11A)의 단연부는 제1드라이버 유닛(12A)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고, 작은 제2만곡진동판(11D)의 단연부는 제2드라이버 유닛(12B)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각각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능 스피커(80)는, 형상이 서로 다른 만곡진동판(11A, 11D)의 각 단면(端面)을 각각 서로 다른 고유의 드라이버 유닛(12A, 12B)으로 구동함으로써, 1개의 드라이버 유닛과 1개의 만곡진동판으로는 상한이 있는 발음에너지의 변환을,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2)(12A, 12B)과 복수의 만곡진동판(11A, 11D)으로 각각 적절하게 변환하여, 보다 큰 전단파, 조밀파를 각각의 만곡진동판(11A, 11D)으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역에 따라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두개의 드라이버 유닛과 두개의 만곡진동판을 구비하여,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하나의 만곡진동판이 조합된 것이 하나의 프레임내에 2조 배치된 것으로서, 드라이버 유닛의 어느 일방이 압전체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드라이버 유닛을 무빙마그넷형으로 하여 이 드라이버 유닛(2)에 대하여 크기가 큰 제1만곡진동판(11A)을 부착함과 아울러, 제2드라이버 유닛을 압전소자(12)로 하여 이 드라이버 유닛(12)에 대하여 크기가 작은 제2만곡진동판(11D)을 부착한 구조를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90)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만능 스피커(90)에서는, 전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음성신호 분할장치(8)를 더 구비하고, 분할된 각 전기신호를 서로 다른 드라이버 유닛(2, 12)에 각각 입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20에 있어서, 제1드라이버 유닛(2)은 프레임(3)의 배판(33)에 고정하여 부착되고, 또 두개의 만곡진동판(11A, 11D)은 어느 것이나 프레임(3)의 개구부(39)를 피복하며, 또한 큰 제1만곡진동판(11A)의 단연부는 제1드라이버 유닛(2)의 진동판 구동부(2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능 스피커(90)는, 형상이 서로 다른 만곡진동판(11A, 11D)의 각 단면을 각각 서로 다른 고유의 드라이버 유닛(2, 12)으로 구동함으로써, 1개의 드라이버 유닛과 1개의 만곡진동판으로는 상한이 있는 발음에너지의 변환을,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2, 12)과 복수의 만곡진동판(11A, 11D)으로 각각 적절하게 변환하여, 보다 큰 전단파, 소밀파를 각각의 만곡진동판(11A, 11D)으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만곡진동판(11A)의 단연부에 무빙마그넷형 등의 드라이버 유닛(2)을 부착하고 제2만곡진동판(11D)의 단연부에 압전소자(12)를 부착함으로써, 무빙마그넷형의 드라이버 유닛(2)이 부착된 측의 만곡진동판(11A)으로부터는 중음역으로부터 저음역의 음을 재생하고, 압전소자(12)가 부착된 측의 만곡진동판(11D)으로부터는 고음역으로부터 중음역의 음을 재생함으로써, 음역에 따라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버 유닛(2)을 프레임(3)의 측면부, 바닥면부 등의 판에 견뢰(堅牢)하게 고정하는 금구를 설치하고, 드라이버 유닛(2)의 센터 위치에서 설치후에도 드라이버 유닛(2)을 좌우로 Xmm, 전후로 Xmm의 범위에서 자유자재로 조정하고, 견고하게 계속 지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를 하였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볼록부를 구비한 중공구조의 목제프레임내의 저판부에 무빙마그넷형의 드라이버 유닛을 고정하여 부착함과 아울러,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 구동부에 평판모양을 한 셀룰로이드제의 진동판의 단연부를 접촉하여 부착하였다. 또한 이 진동판을 가이드 볼록부를 따라 구부림으로써 110°로 만곡하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프레임의 개구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된 만곡진동판을 구비하는 만능 스피커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만능 스피커를 사용하여 난청자 및 건청자에 의하여 알아들을 수 있는 음성이 방음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평가시험을 하였다.
평가시험은, 난청자 31명과 건청자 193명을 합친 합계 224명을 패널리스트(panelist)로 하여, 본 실시예의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오디오플레이어의 이어폰잭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방음된 음성의 인상에 대하여 평가를 하였다.
평가는, 확실하게 잘 들리는 경우를 「◎」, 들리지만 음량이 작은 느낌이 드는 경우를 「○」, 들릴 때와 들리지 않을 때가 있는 경우를 「△」, 거의 들리지 않거나 또는 전혀 들리지 않는 경우를 「×」라고 하였다. 그 평가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 이때의 난청자의 연령별 내역은, 90세 연령대가 21명, 80세 연령대가 6명, 60세 연령대가 3명 및 30세 연령대가 1명이었다.
표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는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에 의하여 난청자와 건청자가 불편함 없이 함께 잘 알아들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만곡진동판의 곡면부의 휨각도가 90도보다 조금 큰 각도이면 바람직한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1의 만능 스피커에서 만곡진동판의 곡면부의 휨각도를, 0°, 45°, 90°, 110°, 130°, 180°로 각각 변경한 것으로 하여, 이들 만능 스피커에 있어서 난청자 및 건청자에 의하여 알아들을 수 있는 음성이 만곡진동판의 곡면부의 휨각도에 의하여 어떻게 변화하는가 평가시험을 하였다. 그 평가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또 패널리스트의 수, 평가방법은 상기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또한 만곡진동판의 곡면부의 휨각도가 110°인 때의 평가는 상기 실시예1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표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만능 스피커에서는, 만곡진동판의 곡면부의 휨각도가 90° 내지 130°인 경우에서 음성신호의 전기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를 만곡진동판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보다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3]
다음에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만능 스피커를 사용하여 노인성 난청쪽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방음된 음성의 인상에 대하여 평가를 하였다. 대상자는 일상적으로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82세의 노인성 난청의 남성이다.
대상자에게 보청기를 벗게 한 상태에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오디오플레이어의 이어폰잭으로부터 출력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방음한 결과, 정확히 고음이 들린다는 회답을 얻었다.
또한 같은 대상자에 대하여 텔레비전의 이어폰잭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방음한 결과, 역시 분명히 들린다는 회답을 얻었다. 그리고 그 후에 이어폰잭으로부터 만능 스피커의 잭을 뽑아내고, 텔레비전의 스피커로부터 방음되는 것으로 한 결과, 전혀 들리지 않고 사람의 소리의 인식을 할 수 없다는 회답을 얻었다.
[실시예4]
다음에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만능 스피커를 사용하여 기질성(器質性) 난청쪽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방음된 음성의 인상에 대하여 평가를 하였다. 대상자는 어렸을 때부터의 기질장애의 난청을 구비하는 30대의 여성이다.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오디오플레이어의 이어폰잭으로부터 출력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방음한 결과, 어느 음역에서도 스트레스 없이 들린다는 회답을 얻었다. 또한 대상자는 상당히 기뻤던 것 같고 흥분하여 대단히 희망이 솟아났다는 회답을 얻었다.
[실시예5]
다음에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만능 스피커를 사용하여 유전성 난청쪽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방음된 음성의 인상에 대하여 평가를 하였다. 대상자는 선천적으로 청력이 약하여 젊을 때부터 보청기를 끼고 있는 65세의 유전성 난청의 남성이다.
대상자에게 보청기를 벗게 한 상태에서, 만능 스피커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하여 라디오의 이어폰잭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방음한 결과, 아나운서(announcer)의 소리도 음악도 분명히 들린다는 회답을 얻었다.
1, 11(A, B, C, D) 진동판,
1a 일단, 1b 타단,
2, 12 드라이버 유닛,
3 프레임, 4, 14 협지구,
5 가이드 볼록부,
6 에지 지지부재,
8 음성신호 분할수단,
10, 20, 30, 40, 50, 60, 70, 80, 90 만능 스피커,
15 가이드 오목부, 16 진동완충부재,
17(17A,17B) 멈춤구, 18 광폭 가이드 오목부,
21 요크, 22 드라이버 회로,
23 보이스 코일, 24 자극편,
25 마그넷(영구자석), 26 진동판 구동부,
31 바닥판, 32 전판,
33 배판, 34 측판,
35 덮개부, 36 고정편,
39 개구부, 41, 42 협지입구.
1a 일단, 1b 타단,
2, 12 드라이버 유닛,
3 프레임, 4, 14 협지구,
5 가이드 볼록부,
6 에지 지지부재,
8 음성신호 분할수단,
10, 20, 30, 40, 50, 60, 70, 80, 90 만능 스피커,
15 가이드 오목부, 16 진동완충부재,
17(17A,17B) 멈춤구, 18 광폭 가이드 오목부,
21 요크, 22 드라이버 회로,
23 보이스 코일, 24 자극편,
25 마그넷(영구자석), 26 진동판 구동부,
31 바닥판, 32 전판,
33 배판, 34 측판,
35 덮개부, 36 고정편,
39 개구부, 41, 42 협지입구.
Claims (20)
- 평판모양을 한 진동판(振動板)과,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드라이버 유닛(driver unit)과, 상기 진동판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하는 중공구조(中空構造)의 프레임(frame)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면(一面)에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진동판의 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진동판의 단연부(端緣部)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착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부착된 일단측(一端側)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측(他端側)으로 향함에 따라서 만곡하는 곡면부(曲面部)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피복(被覆)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 측연부(側緣部)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speak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무빙마그넷 방식(moving magnet 方式) 또는 무빙코일 방식(moving coil 方式)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양 측연부가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분이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양 측연부가 상기 프레임에 진동완충부재(振動緩衝部材)를 통하여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진동판이 복수 부착되고, 각 진동판의 소재 또는 휨각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크기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일단측에 드라이버 유닛이 복수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타단측에도 드라이버 유닛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어느 일방이 압전체(壓電體)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분할된 각 전기신호를 서로 다른 드라이버 유닛에 각각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곡면부의 휨각도가 90° 내지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단연부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 구동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촉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 구동부의 상면에 고정된 협지구(挾持具)를 사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구는 스프링 탄성이 있는 끼우기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구는 끼움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양 측연부는, 프레임의 좌우의 측판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며 만곡된 가이드 볼록부(guide 凸部)를 사용하여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볼록부의 상면에,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점접촉으로 지지하는 에지 지지부재(edge 支持部材)가 다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양 측연부는, 프레임의 좌우의 측판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며 만곡된 슬릿모양의 가이드 오목부(guide 凹部)를 사용하여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오목부내의 상면 및 하면에,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점접촉으로 지지하는 에지 지지부재가 다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83167A JP5668233B1 (ja) | 2014-03-26 | 2014-03-26 | 万能スピーカ |
JPJP-P-2014-083167 | 2014-03-26 | ||
PCT/JP2015/055499 WO2015146446A1 (ja) | 2014-03-26 | 2015-02-26 | 万能スピー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4721A KR20160114721A (ko) | 2016-10-05 |
KR101769470B1 true KR101769470B1 (ko) | 2017-08-18 |
Family
ID=5256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4183A KR101769470B1 (ko) | 2014-03-26 | 2015-02-26 | 만능 스피커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10231057B2 (ko) |
EP (1) | EP3125576A4 (ko) |
JP (1) | JP5668233B1 (ko) |
KR (1) | KR101769470B1 (ko) |
CN (1) | CN106134220B (ko) |
AU (1) | AU2015235549B2 (ko) |
CA (1) | CA2938137C (ko) |
HK (1) | HK1226232A1 (ko) |
MX (1) | MX361819B (ko) |
RU (1) | RU2692096C2 (ko) |
TW (1) | TW201540085A (ko) |
WO (1) | WO20151464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35662B2 (ja) * | 2014-06-27 | 2018-12-12 | ヤマハ株式会社 | 電気音響変換器 |
JP6326649B1 (ja) | 2017-03-26 | 2018-05-23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 |
JP6586702B1 (ja) * | 2018-05-15 | 2019-10-09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CN210868153U (zh) | 2018-06-15 | 2020-06-26 |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 一种骨传导扬声器 |
JP6439894B1 (ja) * | 2018-07-16 | 2018-12-19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湾曲振動板 |
CN209390316U (zh) * | 2018-12-28 | 2019-09-13 |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 发声器件 |
WO2021033226A1 (ja) | 2019-08-17 | 2021-02-25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JP7025833B2 (ja) * | 2019-09-17 | 2022-02-25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 |
US11044562B1 (en) * | 2020-01-21 | 2021-06-22 | Resonado, Inc. | Multi-diaphragm speaker driven by multiple voice coil plates and a shared permanent magnet pair |
RU2743892C1 (ru) | 2020-06-16 | 2021-03-01 | Сотис АГ | Плоски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
RU2744773C1 (ru) | 2020-08-10 | 2021-03-15 | Сотис АГ | Акус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лучения поперечной звуковой волны в газовой среде |
RU2744774C1 (ru) * | 2020-10-26 | 2021-03-15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неморе" | Встраиваемый плоски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
JP7214090B1 (ja) | 2021-07-20 | 2023-01-30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JP7114826B1 (ja) | 2021-07-20 | 2022-08-09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JP7114827B1 (ja) | 2021-07-20 | 2022-08-09 |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TW202310640A (zh) | 2021-07-20 | 2023-03-01 | 日商樂聲股份有限公司 | 揚聲器單元及揚聲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9489A (ja) | 2002-03-04 | 2003-09-12 | Pioneer Electronic Corp | 圧電フィルムスピーカ |
JP2006332780A (ja) | 2005-05-23 | 2006-12-07 | Pioneer Electronic Corp | ラテラル駆動型スピーカ |
JP2007019623A (ja) | 2005-07-05 | 2007-01-25 | Jr Higashi Nippon Consultants Kk | スピーカ |
JP2009278523A (ja) | 2008-05-16 | 2009-11-26 | Alpine Electronics Inc | スピーカ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34611A (en) * | 1955-11-09 | 1960-04-26 | Pickering Associates Inc | Electrostatic speaker |
US3798391A (en) * | 1972-06-22 | 1974-03-19 | Gen Electric | Movable magnet loudspeaker |
JPS6024059Y2 (ja) * | 1980-08-22 | 1985-07-17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圧電型スピ−カ− |
JPS5959096U (ja) * | 1982-10-14 | 1984-04-17 | 澤藤 正 | 圧電型スピ−カ |
JPS5969598U (ja) * | 1982-10-28 | 1984-05-11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スピ−カ− |
JPS6273898A (ja) | 1985-09-26 | 1987-04-04 | Sony Corp | スピ−カ |
JPS62278900A (ja) * | 1986-05-27 | 1987-12-03 | Foster Denki Kk | スピ−カ |
JPH0416558Y2 (ko) * | 1986-09-16 | 1992-04-14 | ||
JPH04157900A (ja) * | 1990-10-20 | 1992-05-29 | Murata Mfg Co Ltd | パネルスピーカ |
WO1994014294A1 (en) | 1992-12-08 | 1994-06-23 | Linaeum Corporation | Audio transducer with flexible foam enclosure |
US5652801A (en) * | 1994-05-02 | 1997-07-29 | Aura Systems, Inc. | Resonance damper for piezoelectric transducer |
DE19522591A1 (de) | 1995-06-19 | 1997-01-02 | Hertz Inst Heinrich | Optoelektronische integrierte Schaltung |
KR100419334B1 (ko) * | 1995-09-02 | 2004-05-31 |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 음향장치 |
US6061461A (en) * | 1998-05-08 | 2000-05-09 | Paddock; Paul W. | Audio transducer |
HU219999B (hu) * | 1999-01-13 | 2001-10-28 | Ferenc Rónaszéki | Szélessávú szalaghangszóró |
US6720708B2 (en) | 2000-01-07 | 2004-04-13 | Lewis Athanas | Mechanical-to-acoustical transformer and multi-media flat film speaker |
JP3751245B2 (ja) * | 2001-11-08 | 2006-03-01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補正用振動板、デュアルコーン型スピーカ、補正用振動板の製造方法、及び振動板外材 |
CA2512880A1 (en) * | 2003-01-09 | 2004-07-29 | Boston Acoustics, Inc. | Audio speaker crossover having two or more filter housings |
JP4170149B2 (ja) * | 2003-05-28 | 2008-10-22 |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 スピーカ |
JP4333385B2 (ja) * | 2004-02-03 | 2009-09-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超指向性スピーカ、プロジェクタ、及び携帯情報端末 |
JP5033667B2 (ja) * | 2008-02-12 | 2012-09-26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スピーカ |
KR101539161B1 (ko) * | 2011-02-25 | 2015-07-2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트랜스듀서 장치 |
HU229608B1 (en) * | 2011-10-04 | 2014-03-28 | Zoltan Bay | Loudspeaker |
JP5393915B1 (ja) | 2013-05-15 | 2014-01-22 | 株式会社ジェム・インパクト | スピーカ装置 |
JP6048469B2 (ja) * | 2013-10-22 | 2016-12-21 | ヤマハ株式会社 | 電気音響変換器 |
-
2014
- 2014-03-26 JP JP2014083167A patent/JP5668233B1/ja active Active
-
2015
- 2015-02-26 WO PCT/JP2015/055499 patent/WO201514644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2-26 EP EP15769835.8A patent/EP3125576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5-02-26 KR KR1020167024183A patent/KR10176947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26 CN CN201580016081.7A patent/CN106134220B/zh active Active
- 2015-02-26 MX MX2016012323A patent/MX361819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26 RU RU2016141562A patent/RU2692096C2/ru active
- 2015-02-26 US US15/128,663 patent/US10231057B2/en active Active
- 2015-02-26 AU AU2015235549A patent/AU2015235549B2/en active Active
- 2015-02-26 CA CA2938137A patent/CA2938137C/en active Active
- 2015-03-25 TW TW104109469A patent/TW201540085A/zh unknown
-
2016
- 2016-12-14 HK HK16114221A patent/HK1226232A1/zh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9489A (ja) | 2002-03-04 | 2003-09-12 | Pioneer Electronic Corp | 圧電フィルムスピーカ |
JP2006332780A (ja) | 2005-05-23 | 2006-12-07 | Pioneer Electronic Corp | ラテラル駆動型スピーカ |
JP2007019623A (ja) | 2005-07-05 | 2007-01-25 | Jr Higashi Nippon Consultants Kk | スピーカ |
JP2009278523A (ja) | 2008-05-16 | 2009-11-26 | Alpine Electronics Inc | スピー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231057B2 (en) | 2019-03-12 |
HK1226232A1 (zh) | 2017-09-22 |
KR20160114721A (ko) | 2016-10-05 |
CN106134220A (zh) | 2016-11-16 |
US20180220236A1 (en) | 2018-08-02 |
MX2016012323A (es) | 2016-11-30 |
EP3125576A1 (en) | 2017-02-01 |
AU2015235549B2 (en) | 2018-05-10 |
AU2015235549A1 (en) | 2016-08-18 |
CN106134220B (zh) | 2019-09-27 |
RU2692096C2 (ru) | 2019-06-21 |
TW201540085A (zh) | 2015-10-16 |
CA2938137A1 (en) | 2015-10-01 |
EP3125576A4 (en) | 2017-10-25 |
WO2015146446A1 (ja) | 2015-10-01 |
RU2016141562A (ru) | 2018-04-26 |
MX361819B (es) | 2018-12-18 |
CA2938137C (en) | 2018-11-06 |
JP5668233B1 (ja) | 2015-02-12 |
RU2016141562A3 (ko) | 2018-05-15 |
JP2015188193A (ja) | 2015-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9470B1 (ko) | 만능 스피커 | |
WO2009141912A1 (ja) | イヤホン装置 | |
JP6586702B1 (ja)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
JP4946976B2 (ja) | 骨伝導スピーカ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備えた骨伝導スピーカ付き機器 | |
JP2019110440A (ja) | 振動板、及びスピーカ | |
JP6322791B2 (ja) | 万能スピーカ | |
KR20240019366A (ko) | 스피커 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 |
WO2021033226A1 (ja)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
JP6439894B1 (ja) | スピーカ湾曲振動板 | |
JP6322793B2 (ja) | 万能スピーカ | |
JP6322792B2 (ja) | 万能スピーカ | |
KR102666325B1 (ko) |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 |
KR20160095601A (ko) | 불연 피에조 압전 스피커장치 | |
JPWO2021033226A5 (ko) | ||
KR101650664B1 (ko) | 진동 감소 수단을 구비한 콘형 스피커 | |
TWI804679B (zh) | 揚聲器單元及揚聲器 | |
JP7214090B1 (ja)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
JP7114827B1 (ja) |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 |
JP2019201426A (ja) | スピーカ湾曲振動板 | |
JP2020077925A (ja) | スピーカ、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振動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