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768B1 -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768B1
KR101768768B1 KR1020150100385A KR20150100385A KR101768768B1 KR 101768768 B1 KR101768768 B1 KR 101768768B1 KR 1020150100385 A KR1020150100385 A KR 1020150100385A KR 20150100385 A KR20150100385 A KR 20150100385A KR 101768768 B1 KR101768768 B1 KR 101768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ir
air flow
exhaust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991A (ko
Inventor
노부오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급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라도, 실압이 극단적인 양압이나 음압이 되지 않도록 한다.
풍량 제어 시스템은,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밸런스 결정부(3)와, 급기 밸브, 일반 배기 밸브 및 국소 배기 밸브의 상태를 감시하는 밸브 감시부(5)와, 풍량 밸런스 결정부(3)에 대하여 풍량 변경의 지시를 내는 풍량 변경부(7)를 구비한다. 풍량 밸런스 결정부(3)는, 풍량 변경부(7)로부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급기 밸브와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는,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풍량을 변경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FLOW VOLUME}
본 발명은 대상 시설에의 급기 풍량이나 배기 풍량의 제어에 의해 풍량 밸런스를 유지하는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 실험에서는, 실험 작업 과정에 있어서, 인체에 유해한 생물 화학 물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생물 화학 물질의 실내에의 확산을 방지하고, 인체에의 오염을 막는 장치의 하나에 흄 후드가 있다. 일반적으로, 흄 후드는, 상하 또는 좌우로 개폐 가능한 샷시를 갖는 울(인클로저)을 구비하고 있으며, 실험실의 작업자는 이 샷시로부터 인클로저 내에 액세스할 수 있다. 흄 후드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유해한 생물 화학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클로저는 생물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국소 배기 덕트에 접속되어 있다.
풍량 제어 시스템은, 흄 후드 내에서 생물 화학 물질을 취급하는 실험을 하는 경우에, 생물 화학 물질이 실내로 역류하지 않도록 샷시면의 면 풍속을 미리 정해진 속도로 유지하도록 국소 배기 덕트의 풍량을 조정하며, 생물 화학 물질이 방 밖으로 누출되거나 밖으로부터의 불순물 등이 실내에 유입되거나 하지 않도록 방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이다(특허문헌 1 참조). 도 4는 종래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풍량 제어 시스템은, 방(100) 내에 설치된 흄 후드(101-1, 101-2)와, 흄 후드(101-1, 101-2)에 접속된 국소 배기 덕트(102-1, 102-2)와, 방(100)에 급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103)와, 방(100)의 공기를 배기하는 일반 배기 덕트(104)와, 국소 배기 덕트(102-1, 102-2)의 풍량을 조정하는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와, 급기 덕트(103)의 풍량을 조정하는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덕트(104)의 풍량을 조정하는 일반 배기 밸브(GEX)와,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5-1, 105-2)와, 급기 밸브(MAV)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6)와, 일반 배기 밸브(GEX)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7)와, 각 컨트롤러(105-1, 105-2, 106, 107)를 서로 접속하는 통신선(108)으로 구성된다.
흄 후드(101-1, 101-2)는, 샷시(111-1, 111-2)와, 검지 범위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사람 검지 센서(112-1, 112-2)와, 흄 후드(101-1, 101-2)를 사용하는 작업자에게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흄 후드 모니터(113-1, 113-2)와, 샷시(111-1, 111-2)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샷시 센서(114-1, 114-2)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풍량 제어 시스템에서는, 급기 덕트(103)의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덕트(104)의 배기 풍량과 국소 배기 덕트(102-1, 102-2)의 국소 배기 풍량이, 「급기 풍량=일반 배기 풍량+국소 배기 풍량+오프셋 풍량」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밸브(GEX)와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의 개방도의 제어, 즉 풍량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37527호 공보
도 4에 나타낸 풍량 제어 시스템에서는, 풍량 밸런스 제어를 담당하는 마스터 밸브[예컨대 급기 밸브(MAV)]와 이 밸브로부터 설정 풍량을 받아 동작하는 슬레이브 밸브[예컨대 일반 배기 밸브(GEX)]가 있었던 경우, 마스터 밸브가 슬레이브 밸브의 고장을 검지하지 못하고 마스터/슬래이브 양 밸브의 풍량 변경을 행하기 때문에, 실내의 풍량 밸런스가 무너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즉, 슬레이브 밸브가 고장나 있어 개폐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스터 밸브만이 밸브 개폐를 하여 버림).
예컨대, 실내를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에서, 야간에 환기 횟수를 떨어뜨려 운전하였을 때의 급기 풍량, 배기 풍량이, 급기 풍량=1500 ㎥/h, 일반 배기 풍량=2000 ㎥/h였다고 한다(국소 배기 풍량은 0 ㎥/h로 함).
대낮에 환기 횟수를 올려 운전하려고 하였을 때에, 일반 배기 밸브의 고장으로 풍량의 증감을 할 수 없으면, 급기 풍량=3000 ㎥/h, 일반 배기 풍량=2000 ㎥/h가 되고, 정상적인 일반 배기 풍량=3500 ㎥/h에 대하여 배기 풍량이 부족해져, 실내가 극단적인 양압으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급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라도, 실압이 극단적인 양압이나 극단적인 음압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풍량 제어 시스템은, 대상 시설에 분출하는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급기 밸브와, 대상 시설로부터 흡출하는 배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일반 배기 밸브와,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과,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한쪽을 마스터 밸브로 하고, 다른쪽을 슬레이브 밸브로 하였을 때에,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마스터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마스터 밸브를 제어하는 마스터 밸브 제어 수단과,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슬레이브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슬레이브 밸브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밸브 제어 수단과,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밸브 감시 수단과,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에 대하여 풍량 변경의 지시를 내는 풍량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은, 상기 풍량 변경 수단으로부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는, 상기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풍량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1구성예는, 상기 대상 시설에 설치된 국소 배기 장치와, 이 국소 배기 장치의 배기 풍량을 조절하는 국소 배기 밸브와,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면의 면 풍속이 규정값이 되도록 상기 국소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국소 배기 밸브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은,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국소 배기 밸브 및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1구성예는,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급기 밸브 또는 일반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하는 밸브 상태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1구성예는,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하는 샷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1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감시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밸브 상태 통지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1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감시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샷시 제어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방법은,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와,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한쪽을 마스터 밸브로 하고, 다른쪽을 슬레이브 밸브로 하였을 때에,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에서 결정한, 상기 마스터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마스터 밸브를 제어하는 마스터 밸브 제어 단계와,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에서 결정한, 상기 슬레이브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슬레이브 밸브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밸브 제어 단계와,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밸브 감시 단계와,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풍량 변경의 지시를 내는 풍량 변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는, 상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는, 상기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풍량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량 변경 수단으로부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급기 밸브와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는,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풍량을 변경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상 시설의 실압을 유지할 수 있어, 실압이 극단적인 양압이나 극단적인 음압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급기 밸브와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급기 밸브 또는 일반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를 개폐하지 않도록 촉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급기 밸브와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를 개방하여 국소 배기 풍량을 늘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를 개폐하지 않도록 촉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를 개방하여 국소 배기 풍량을 늘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풍량 제어 시스템의 풍량 밸런스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풍량 제어 시스템의 풍량 변경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풍량 제어 시스템의 전체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기 때문에, 도 4의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마스터 밸브[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밸브(MAV)] 및 슬레이브 밸브[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 배기 밸브(GEX)]를 제어하는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106)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106)는,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마다 설치된 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2-1, 2-2)와, 급기 밸브(MAV)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 및 일반 배기 밸브(GEX)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급기 밸브(MAV)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밸브(GEX)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밸런스 결정부(3)와, 마스터 밸브를 제어하는 마스터 밸브 제어부(4)와, 급기 밸브(MAV), 일반 배기 밸브(GEX) 및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의 상태를 감시하는 밸브 감시부(5)와, 국소 배기 장치인 흄 후드(101-1, 101-2)마다 마련되며, 샷시(111-1, 111-2)의 개방도 정보를 취득하는 샷시 개방도 정보 취득부(6-1, 6-2)와,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풍량 밸런스 결정부(3)에 대하여 풍량 변경의 지시를 내는 풍량 변경부(7)와, 흄 후드(101-1, 101-2)의 사용자에게 밸브의 고장을 통지하는 밸브 상태 통지부(8)와, 흄 후드(101-1, 101-2)의 샷시(111-1, 111-2)의 개폐를 제어하는 샷시 제어부(9)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풍량 제어 시스템의 풍량 밸런스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풍량 밸런스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덕트(103)로부터 분출하는 급기의 풍량을 Vmav, 일반 배기 덕트(104)에서 흡출하는 배기의 풍량을 Vgex, 국소 배기 덕트(102-1, 102-2)에서 흡출하는 배기의 풍량을 Vexv1, Vexv2로 한다.
샷시 개방도 정보 취득부(6-1, 6-2)는, 각각 대응하는 흄 후드(101-1, 101-2)의 샷시 센서(114-1, 114-2)로부터 샷시(111-1, 111-2)의 개방도 정보를 취득한다(도 2 단계 S1).
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2-1)는, 흄 후드(101-1)의 샷시 개구 면적에 기초하여, 샷시면의 면 풍속이 규정값(통상 0.5 m/s)이 되도록 국소 배기 풍량(Vexv1)을 정하고, 국소 배기 덕트(102-1)의 배기 풍량이 Vexv1이 되도록 컨트롤러(106-1)를 통해 국소 배기 밸브(EXV1)의 개방도를 제어한다(도 2 단계 S2). 마찬가지로, 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2-2)는, 흄 후드(101-2)의 샷시 개구 면적에 기초하여, 샷시면의 면 풍속이 상기 규정값이 되도록 국소 배기 풍량(Vexv2)을 정하고, 국소 배기 덕트(102-2)의 배기 풍량이 Vexv2가 되도록 컨트롤러(106-2)를 통해 국소 배기 밸브(EXV2)의 개방도를 제어한다(도 2 단계 S2). 또한, 흄 후드(101-1, 101-2)의 샷시 개구 면적은, 샷시 개방도 정보 취득부(6-1, 6-2)가 취득한 샷시 개방도 정보로부터 구할 수 있는 샷시(111-1, 111-2)의 개구부 높이와, 기지의 샷시 폭의 곱셈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풍량 밸런스 결정부(3)는, 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2-1, 2-2)에 의해 산출된 국소 배기 풍량(Vexv1, Vexv2)에 따라, 급기 풍량(Vmav)과 배기 풍량(Vgex+Vexv1+Vexv2)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α)에 일치하도록, 급기 풍량(Vmav)과 일반 배기 풍량(Vgex)을 결정한다(도 2 단계 S3).
Vmav=Vgex+Vexv1+Vexv2+α ···(1)
식 (1)에 있어서의 설정값(α)은, 대상 시설[도 4의 방(100)]로부터 빠져나가는 풍량을 결정하며, 방(100)을 정압으로 할지 부압으로 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오프셋 풍량이다. 단, 풍량 밸런스 결정부(3)는, 방(100)의 최저 환기 풍량을 만족시키도록, 적어도 최저 풍량을 항상 분출하도록 급기 풍량(Vmav)을 결정한다.
마스터 밸브 제어부(4)는, 급기 덕트(103)의 풍량이 풍량 밸런스 결정부(3)에 의해 결정된 풍량(Vmav)이 되도록 마스터 밸브[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밸브(MAV)]의 개방도를 제어한다(도 2 단계 S4).
슬레이브 밸브 제어 수단이 되는 컨트롤러(107)는, 일반 배기 덕트(104)의 배기 풍량이 풍량 밸런스 결정부(3)에 의해 결정된 풍량(Vgex)이 되도록 슬레이브 밸브[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 배기 밸브(GEX)]의 개방도를 제어한다(도 2 단계 S5).
이렇게 하여,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풍량 제어가 종료할 때까지(도 2 단계 S6에 있어서 YES), 단계 S1∼S5의 처리가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상의 풍량 밸런스 제어 동작에 따르면, 흄 후드(101-1, 101-2)의 샷시(111-1, 111-2)의 개폐에 따라 국소 배기 풍량(Vexv1, Vexv2)이 변경되었을 때에, 이 변경에 따라 급기 풍량(Vmav)과 배기 풍량(Vgex)이 변경되게 된다.
급기 풍량(Vmav)과 배기 풍량(Vgex)이 변경되는 별도의 예로서는, 작업을 행하지 않는 야간이나 휴일 등의 사람이 없는 시간대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을 위해, 실내외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급기 풍량(Vmav)과 배기 풍량(Vgex)을 내리는 풍량 변경 제어 동작이 있다. 이 풍량 변경은, 평일은 매일 행해진다. 낮에서 밤으로의 전환의 예에서는, 급기 풍량(Vmav)와 배기 풍량(Vgex)을 함께 서서히 줄이고, 밤에서 낮으로의 전환의 예에서는, 급기 풍량(Vmav)과 배기 풍량(Vgex)을 함께 서서히 늘린다. 또한, 방(100)의 온도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풍량 변경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풍량 변경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풍량 변경부(7)는,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풍량을 변경하는 경우(예컨대 낮에서 밤의 시간대로 전환하는 경우 혹은 밤에서 낮의 시간대로 전환하는 경우), 또는 외부로부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은 경우(도 3 단계 S10에 있어서 YES), 풍량 밸런스 결정부(3)에 대하여 급기 풍량(Vmav)을 변경하도록 지시를 낸다(도 3 단계 S11).
풍량 변경부(7)로부터의 지시를 받은 풍량 밸런스 결정부(3)는,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밸브(GEX)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밸브 감시부(5)를 통하여 확인한다(도 3 단계 S12). 밸브 감시부(5)는,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밸브(GEX)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풍량 밸런스 결정부(3)는,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밸브(GEX)가 정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2에 있어서 YES), 급기 풍량(Vmav)을 서서히 변경한다(도 3 단계 S13). 이때, 풍량 밸런스 결정부(3)는, 급기 풍량(Vmav)의 변경에 따라 배기 풍량(Vgex)도 변경하는데, 풍량 변경 후도 식 (1)이 성립하도록 배기 풍량(Vgex)을 결정한다.
마스터 밸브 제어부(4)는, 급기 덕트(103)의 풍량이 풍량 밸런스 결정부(3)에 의해 결정된 풍량(Vmav)이 되도록 마스터 밸브[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밸브(MAV)]의 개방도를 제어한다(도 3 단계 S14).
슬레이브 밸브 제어 수단이 되는 컨트롤러(107)는, 일반 배기 덕트(104)의 배기 풍량이 풍량 밸런스 결정부(3)에 의해 결정된 풍량(Vgex)이 되도록 슬레이브 밸브[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 배기 밸브(GEX)]의 개방도를 제어한다(도 3 단계 S15).
이렇게 하여, 급기 풍량(Vmav)이 스케줄에서 미리 설정된 풍량값 또는 외부로부터 지정된 풍량값에 달할 때까지(도 3 단계 S16에 있어서 YES), 단계 S12∼S15의 처리가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행해진다. 풍량 변경 후의 풍량 밸런스 제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풍량 밸런스 결정부(3)는,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밸브(GEX)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나 있어 움직이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2에 있어서 NO), 풍량 변경을 하지 않고, 현재의 급기 풍량(Vmav)과 배기 풍량(Vgex)을 유지함으로써, 실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도 3 단계 S17).
밸브 상태 통지부(8)는,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밸브(GEX)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 흄 후드(101-1, 101-2)의 사용자에 대하여, 급기 밸브(MAV), 일반 배기 밸브(GEX)가 고장난 것을 흄 후드 모니터(113-1, 113-2)를 통해 통지한다(도 3 단계 S18).
또한, 샷시(111-1, 111-2)의 개폐를 금지하는 개폐 금지 기구가 흄 후드(101-1, 101-2)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샷시 제어부(9)는, 이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샷시(111-1, 111-2)의 개폐를 할 수 없도록 한다(도 3 단계 S19).
급기 밸브(MAV)나 일반 배기 밸브(GEX)가 고장나 있어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 샷시(111-1, 111-2)를 개방하여 국소 배기 풍량(Vexv1, Vexv2)을 늘려 버리면, 실내가 극단적으로 음압이 되어 버린다. 이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 급기 밸브(MAV)나 일반 배기 밸브(GEX)가 고장난 경우는, 흄 후드 모니터(113-1, 113-2)로부터, 예컨대 「급기 밸브가 고장이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혹은 「일반 배기 밸브가 고장이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라고 하는 등의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흄 후드(101-1, 101-2)의 사용자에게 샷시(111-1, 111-2)를 개폐하지 않도록 촉구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금지 기구가 흄 후드(101-1, 101-2)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샷시(111-1, 111-2)의 개폐를 금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밸브(MAV)와 일반 배기 밸브(GEX)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는, 급기 풍량(Vmav)과 배기 풍량(Vgex)을 변경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상 시설의 실압을 유지할 수 있어, 실압이 극단적인 양압이나 극단적인 음압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밸브(MAV)나 일반 배기 밸브(GEX)가 고장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가 고장난 경우에 대해서도, 고장 통지와 샷시(111-1, 111-2)의 개폐 금지가 가능하다.
즉, 밸브 상태 통지부(8)는,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가 고장난 경우, 흄 후드 모니터(113-1, 113-2)로부터, 예컨대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이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라고 하는 등의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흄 후드(101-1, 101-2)의 사용자에게 샷시(111-1, 111-2)를 개폐하지 않도록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샷시 제어부(9)는, 흄 후드(101-1, 101-2)의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샷시(111-1, 111-2)의 개폐를 할 수 없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컨트롤러(105, 106, 107)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억 장치 및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들의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시킬 수 있다. 각 컨트롤러(105, 106, 107)의 CPU는, 각 컨트롤러의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의 고장을 음성으로 통지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LED의 점등이나 버저의 명동에 의해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2-1, 2-2)와 샷시 개방도 정보 취득부(6-1, 6-2)를 컨트롤러(106)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들을 컨트롤러(105-1, 105-2)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국소 배기 장치의 하나로서 흄 후드를 나타내었지만, 안전 캐비닛 등, 흄 후드와 동일한 역할을 달성하는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흄 후드(101-1, 101-2)(국소 배기 장치)와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와 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2-1, 2-2)가 마련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흄 후드(101-1, 101-2)와 국소 배기 밸브(EXV1, EXV2)와 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2-1, 2-2)가 없는 구성(Vexv1=Vexv2=0)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풍량 제어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2-1, 2-2…국소 배기 밸브 제어부, 3…풍량 밸런스 결정부, 4…마스터 밸브 제어부, 5…밸브 감시부, 6-1, 6-2…샷시 개방도 정보 취득부, 7…풍량 변경부, 8…밸브 상태 통지부, 9…샷시 제어부, 100…방, 101-1, 101-2…흄 후드, 102-1, 102-2…국소 배기 덕트, 103…급기 덕트, 104…일반 배기 덕트, 105∼106…컨트롤러, 111-1, 111-2…샷시, 113-1, 113-2…흄 후드 모니터, EXV1, EXV2…국소 배기 밸브, MAV…급기 밸브, GEX…일반 배기 밸브.

Claims (12)

  1. 대상 시설에 분출하는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급기 밸브와,
    대상 시설로부터 흡출하는 배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일반 배기 밸브와,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과,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한쪽을 마스터 밸브로 하고, 다른쪽을 슬레이브 밸브로 하였을 때에,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마스터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마스터 밸브를 제어하는 마스터 밸브 제어 수단과,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슬레이브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슬레이브 밸브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밸브 제어 수단과,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밸브 감시 수단과,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에 대하여 풍량 변경의 지시를 내는 풍량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은, 상기 풍량 변경 수단으로부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는, 상기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풍량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대상 시설에 설치된 국소 배기 장치와,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배기 풍량을 조절하는 국소 배기 밸브와,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면의 면 풍속이 규정값이 되도록 상기 국소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국소 배기 밸브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수단은,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국소 배기 밸브 및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것이며,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하는 샷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급기 밸브 또는 일반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하는 밸브 상태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감시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밸브 상태 통지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감시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샷시 제어 수단은,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시스템.
  7.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와,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한쪽을 마스터 밸브로 하고, 다른쪽을 슬레이브 밸브로 하였을 때에,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에서 결정한, 상기 마스터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마스터 밸브를 제어하는 마스터 밸브 제어 단계와,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에서 결정한, 상기 슬레이브 밸브에 대응하는 풍량이 얻어지도록 상기 슬레이브 밸브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밸브 제어 단계와,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밸브 감시 단계와,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풍량 변경의 지시를 내는 풍량 변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는, 상기 풍량 변경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는, 상기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풍량을 변경하지 않으며,
    대상 시설에 설치된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면의 면 풍속이 규정값이 되도록 국소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국소 배기 밸브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밸런스 결정 단계는,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국소 배기 밸브 및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배기 풍량의 차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급기 풍량과 상기 일반 배기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일반 배기 풍량을 결정하는 것이며,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하는 샷시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밸브와 상기 일반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급기 밸브 또는 일반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하는 밸브 상태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감시 단계는, 상기 국소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상태 통지 단계는,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것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감시 단계는, 상기 국소 배기 밸브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샷시 제어 단계는, 상기 국소 배기 밸브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개폐 금지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국소 배기 장치의 샷시의 개폐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제어 방법.
KR1020150100385A 2014-07-15 2015-07-15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 KR101768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4740A JP6310349B2 (ja) 2014-07-15 2014-07-15 風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風量制御方法
JPJP-P-2014-144740 2014-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91A KR20160008991A (ko) 2016-01-25
KR101768768B1 true KR101768768B1 (ko) 2017-08-16

Family

ID=5507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385A KR101768768B1 (ko) 2014-07-15 2015-07-15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3125B2 (ko)
JP (1) JP6310349B2 (ko)
KR (1) KR101768768B1 (ko)
CN (1) CN105318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9974B (zh) * 2016-04-20 2018-07-20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管路负压的调试方法
JP2018146152A (ja) * 2017-03-03 2018-09-20 アズビル株式会社 環境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794605B2 (en) * 2017-03-10 2020-10-06 Siemens Schweiz Ag Laboratory ventilation integration
US11168916B2 (en) * 2018-06-11 2021-11-09 Broan-Nutone Llc Ventilation system with automatic flow balancing derived from a neural network and methods of use
CN109945503B (zh) * 2019-02-21 2021-06-15 广东万和热能科技有限公司 燃气具的风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燃气具
CN112774740A (zh) * 2020-12-24 2021-05-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移动式生化实验室及其空气调节方法
CN113589852B (zh) * 2021-07-02 2024-05-03 深圳中广核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楼层防烟控制方法
CN113757917B (zh) * 2021-09-06 2022-12-23 江苏苏净工程建设有限公司 三级及以上生物安全实验室送风机故障的检测控制方法及其系统
CN113983658B (zh) * 2021-10-18 2022-12-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负压环境下主备用排风机切换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4603A (ja) 2002-10-25 2004-06-10 Misawa Homes Co Ltd 建物の警備装置
KR100601221B1 (ko) * 2005-06-02 2006-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0622814B1 (ko) 2005-05-19 2006-09-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98721B1 (ko) 2011-05-13 2014-05-27 아즈빌주식회사 실압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3768B2 (ja) * 2008-03-28 2013-06-05 アズビル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2154596A (ja) * 2011-01-28 2012-08-16 Azbil Corp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5681553B2 (ja) * 2011-04-22 2015-03-11 アズビル株式会社 室圧制御システム
JP5718162B2 (ja) * 2011-06-03 2015-05-13 アズビル株式会社 室圧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4603A (ja) 2002-10-25 2004-06-10 Misawa Homes Co Ltd 建物の警備装置
KR100622814B1 (ko) 2005-05-19 2006-09-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01221B1 (ko) * 2005-06-02 2006-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1398721B1 (ko) 2011-05-13 2014-05-27 아즈빌주식회사 실압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8121A1 (en) 2016-01-21
US10203125B2 (en) 2019-02-12
JP2016020772A (ja) 2016-02-04
CN105318476B (zh) 2018-05-11
JP6310349B2 (ja) 2018-04-11
KR20160008991A (ko) 2016-01-25
CN105318476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768B1 (ko)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
KR101274304B1 (ko) 실압 제어 시스템
US9182143B2 (en) Room pressure controlling system
US9945571B2 (en) Room pressure control system and room pressure control method
KR101574682B1 (ko) 실내 급배기 연계 실험실용 흄 후드 시스템
JP2012251730A (ja) 室圧制御システム
KR20160008956A (ko) 실압 제어 시스템 및 실압 제어 방법
CA2876815C (en) Control means of central flow system and central flow system
US201800562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contaminants within laboratory containment devices
CN112429188B (zh) 一种用于船舶舱室的空气正压和负压状态控制的实验室
JP5718162B2 (ja) 室圧制御システム
JP6294779B2 (ja) 風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風量制御方法
KR101504620B1 (ko) 원전 주제어실 화재시 가변 역류 환기제어 방법
KR20180101192A (ko)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84184B1 (ko) 실내 압력유지를 위한 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027377B2 (ja) 室圧制御システムおよび一斉シャットオフ制御方法
JP6212333B2 (ja) 風量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2486467B1 (ko) 제연설비 스마트 제어 시스템
JPH05203207A (ja) 建屋換気システム
JPH01256743A (ja) 複数室用室圧調整装置
JP6097212B2 (ja) 風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風量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