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814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814B1
KR100622814B1 KR1020050042152A KR20050042152A KR100622814B1 KR 100622814 B1 KR100622814 B1 KR 100622814B1 KR 1020050042152 A KR1020050042152 A KR 1020050042152A KR 20050042152 A KR20050042152 A KR 20050042152A KR 100622814 B1 KR100622814 B1 KR 10062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ood waste
intake valve
contro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김영우
장재영
전세균
장기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 동작이 시작되면 팬 및 히터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여는 단계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는 단계 및 상기 개방된 도어가 기준시간 내에 닫히면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여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흡기밸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아 개방된 도어로부터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건조, 팬, 히터, 흡기밸브, 경고수단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Intake Valve Control Method and System on Opening Door of Food Garbage Dehydra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의 상세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감지수단 11 : 도어개방감지센서
12 : 감지신호출력회로부 20 : 팬
20a : 팬 구동회로부 30 : 히터
30a : 히터 구동회로부 40 : 흡기밸브
40a : 밸브 구동회로부 50 : 제어수단
51 : 도어개방 판단부 52 : 제어부
53 : 시간판단부 60 : 경고수단
60a : 경고수단 구동회로부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아 개방된 도어로부터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신속한 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매립 시 침출수를 생성하게 되어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건조처리방식과 발효처리방식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건조처리방식의 경우 비교적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상기 발효처리방식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많은 대규모 식당 등에서 사용 되고 있다.
상기 건조처리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히터 등의 발열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상기 증발된 수분은 송풍팬을 이용하여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히터와 송풍팬 및 흡기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와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처리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발효처리방식에 비해 단시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처리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고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건조처리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에 설치된 발열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되는 바, 상기 발효처리방식에 비해 처리시간이 짧다 하더라도 수 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따라서 가정에서 상기 건조처리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될 경우, 매 식사마다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처리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빈번히 개폐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먼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 는 도중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개방하게 될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악취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아 개방된 도어로부터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 동작이 시작되면 팬 및 히터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여는 단계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는 단계 및 상기 개방된 도어가 기준시간 내에 닫히면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여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및 외부 공기를 교환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팬과,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양을 조절하기 위한 흡기밸브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흡기밸브를 닫음과 동시에 기준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및 기준시간의 경과여부에 따라 제어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기준시간이 경과될 경우 출력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구동회로부와,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터구동회로부와,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구동회로부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경고수단구동회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 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은 후,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 동작을 선택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에 설치된 팬 및 히터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 및 배기구를 열고(S101),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 동작 중에, 다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됨을 감지하고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게 된다(S102).
따라서 상기 팬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흡기구가 닫히면,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개방된 도어를 통해 흡입되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라장치에서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상기 도어를 통해 실내로 유출되지 못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다른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넣은 후, 상기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열고(S103) 건조동작을 재개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완전히 닫지 못하게 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가 열린상태로 기준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이러한 상태를 오류로 판정하고 히터의 작동을 중지(S104)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히터의 작동이 중지되면, 경고수단을 작동(S105)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을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시간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기 경고수단은 부저를 이용한 경고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은 후,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설치된 건조 모드 선택 버튼을 누르게 되면(S201),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건조 동작을 시작(S202)하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건조 모드의 선택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팬 및 히터를 작동(S203)(S204)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 및 배기구를 열고(S205),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가 다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개방(S206)하게 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게 된다(S207).
상기 도어가 기준시간 내에 닫히게 되면(S209), 상기 흡기밸브가 작동되어 흡기구를 열게 되며(S210), 건조 동작이 종료될 때(S216)까지 건조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상기 도어가 기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닫히지 않게 되면(S208), 경고수단을 통해 경고음 등을 발생(S211)하게 되며,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지(S212)하면서 건조 동작을 중지(S213)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경고음을 듣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완전히 닫게 되면(S214),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중지된 건조 동작을 재개(S215)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실내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식믈 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하는 경우,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장치의 블록도로서, 감지수단(10), 팬(20), 히터(30), 흡기밸브(40), 제어수단(50), 경고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10)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도어개방감지센서(11) 및 감지신호출력회로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개방감지센서(11)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여 온 또는 오프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감지신호출력회로부(12)는 상기 도어개방감지센서(11)에 의해 감지된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신호출력회로부(12)의 회로 구성 및 구성 소자에 대해서는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 팬(2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및 외부 공기를 교환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것이고, 상기 히터(30)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팬(20) 및 히터(30)의 구성과 동작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흡기밸브(4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기밸브(40)는 솔래노이드밸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흡기밸브(40)를 닫음과 동시에 기준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및 기준시간의 경과여부에 따라 제어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개방판단부(51)와 제어부(52) 및 시간판단부(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개방판단부(51)는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도어개방판단부(51)에서 판별된 도어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팬(20), 히터(30), 흡기밸브(40), 경고수단(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신호 및 경고신호의 종류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시간판단부(53)는 상기 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준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기준시간을 상기 제어부(52)로 전송하는 것으로, 555타이머 또는 카운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고수단(60)은 상기 제어수단(50)으로부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기준시간이 경과될 경우 출력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스피커 등을 이용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엘씨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다.
팬구동회로부(20a)는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고, 히터구동회로부(30a)는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밸브구동회로부(40a)는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밸브(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고, 경고수단구동회로부(60a)는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6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그 회로의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 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다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감지수단(10)의 도어개방감지센서(11)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출력회로부(12)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신호출력회로부(12)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그에 따라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제어수단(50)의 도어개방판단부(51)로 전송된다.
상기 도어개방판단부(51)는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52)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밸브구동회로부(40a)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밸브구동회로부(40a)는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밸브(40)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게 되며, 상기 팬구동회로부(20a) 및 히터구동회로부(30a)는 상기 제어부(52)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딸 상기 팬(20) 및 히터(30)의 동작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시간판단부(53)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시간판단부(53)로 하여금 기준시간을 측정하게 하며, 상기 시간판단부(53)는 상기 기준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52)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2)는 전송된 측정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흡기밸브(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게 될 경우, 상기 경고수단구동회로부(60a)로 경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경고수단구동회로부(60a)는 수신된 경고신호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6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경고수단(60)의 작동을 확인하여, 사후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도중에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아 개방된 도어로부터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을 경우, 상기 음식믈 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하는 경우,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 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 동작이 시작되면 팬 및 히터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여는 단계(S101)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닫는 단계(S102) 및
    상기 개방된 도어가 기준시간 내에 닫히면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여는 단계(S1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기준시간이 경과되면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S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작동이 중지되면,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S10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 브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이 발생된 이후,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흡기밸브를 작동시켜 흡기구를 열고, 상기 히터의 작동을 재개하여 건조 동작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방법.
  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10)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및 외부 공기를 교환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팬(20)과,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30)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양을 조절하기 위한 흡기밸브(40)와,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흡기밸브(40)를 닫음과 동시에 기준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및 기준시간의 경과여부에 따라 제어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50)과,
    상기 제어수단(50)으로부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기준시간이 경과될 경우 출력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수단(60)과,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구동회로부(20a)와,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터구동회로부(30a)와,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밸브(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구동회로부(40a) 및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출력되는 경고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60)을 작동시키는 경고수단구동회로부(6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별하는 도어개방판단부(51)와,
    상기 도어개방판단부(51)에서 판별된 도어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팬(20), 히터(30), 흡기밸브(40), 경고수단(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2) 및
    상기 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준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기준시간을 상기 제어부(52)로 전송하는 시간판단부(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방감지센서(11)와,
    상기 도어개방감지센서(11)에 의해 감지된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신호출력회로부(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 장치.
KR1020050042152A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2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52A KR100622814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52A KR100622814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814B1 true KR100622814B1 (ko) 2006-09-19

Family

ID=3763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152A KR100622814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768B1 (ko) 2014-07-15 2017-08-16 아즈빌주식회사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768B1 (ko) 2014-07-15 2017-08-16 아즈빌주식회사 풍량 제어 시스템 및 풍량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2609A (ko) 자동 손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25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228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3269763A (ja) 局所排気装置
KR100669181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살균보관방법
KR101018875B1 (ko) 하이브리드형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포터블 음식물 처리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KR10070947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6012034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급속 및 표준 건조 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16348B1 (ko) 의류건조기
KR20110045798A (ko) 가정용 절전 자동화 후드 제어시스템
KR100576142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KR1006222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기관 막힘 검지 및 이물질제거 방법과 그 장치
KR10109324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과열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06007305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히터 작동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046450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2682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발효조 내부 수분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6007305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팬 동작 상태에 의한 히터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9006578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970020065A (ko) 자외선 살균건조기의 제어장치
JP3508639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2584077B2 (ja) 脱臭装置
KR10052078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2236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KR960007114B1 (ko) 전자렌지의 조리실 배기제어방법
CN118119795A (zh) 用于灶具的烟气抽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