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813B1 - 토크모터 - Google Patents
토크모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5813B1 KR101765813B1 KR1020160131607A KR20160131607A KR101765813B1 KR 101765813 B1 KR101765813 B1 KR 101765813B1 KR 1020160131607 A KR1020160131607 A KR 1020160131607A KR 20160131607 A KR20160131607 A KR 20160131607A KR 101765813 B1 KR101765813 B1 KR 101765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zed
- stator
- metal
- floater
- torque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4—Pivoting armatures
- H01F7/145—Rotary electromagnets with variable ga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6/00—Machines adapted to function as torque motors, i.e. to exert a torque when sta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Servomotor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노즐플래퍼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공압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에 설치되어 제어밸브의 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토크모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모터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반대의 극으로 자화된 한 쌍의 자화금속, 양단부가 각각 자화금속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유동자, 및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동자를 자화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되, 유동자는 고정자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선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모터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반대의 극으로 자화된 한 쌍의 자화금속, 양단부가 각각 자화금속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유동자, 및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동자를 자화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되, 유동자는 고정자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선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류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노즐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한 토크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플래퍼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공압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용 위치제어기에 설치되어 제어밸브의 작동을 미세 전류로 제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토크모터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 제어장치 또는 공기식 조절계에 있어서,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공기압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이 이용된다. 노즐(nozzle)과 노즐에 면하여 설치된 플래퍼(flapper)의 간격을, 전기적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플래퍼의 변위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를 이용하여 노즐의 개폐를 조절하는 원리이다. 즉,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고 전류가 흐르면, 전류는 플래퍼와 같은 제어장치의 기계적 회전력으로 전환되어 공기압 신호로 변환되는 것이다. 종래의 전류-공기압 변환장치로 플래퍼로 작용하는 유동자의 회전을 이용하는 기술이 존재하나, 이는 유동자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유동자의 일측 하단에 배치된 영구자석에 의해 형성되므로, 유동자와 영구자석의 강한 인력으로 인해 유동자를 고정하는 힌지에 불필요한 비틀림이 발생하고 시간에 따라 힌지가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에 의해 전류-공기압 변환장치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유동자의 초기 위치 설정에도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각 서로 반대의 극으로 자화된 한 쌍의 자화금속을 유동자 양 끝 상, 하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영구자석에 의한 유동자 비틀림을 없애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유동자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안정적으로 발생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 토크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크모터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반대의 극으로 자화된 한 쌍의 자화금속;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자화금속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유동자; 및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유동자를 자화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자는 상기 고정자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자는 서로 반대의 극을 이루는 양끝단부가 각각 상기 유동자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양끝단부가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으로 분지(分枝)되고, 상기 유동자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금속판과 상기 제2 금속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양끝단부가 각각 상기 자화금속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자화금속은 각각 영구자석의 반대극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유동자는 일측에 노즐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자화금속과 상기 고정자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비틀림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자와 상기 고정자 또는 상기 자화금속 사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자화금속 보다 보자력이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모터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자화금속 사이에 유동자를 배치하여, 유동자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 토크모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유동자의 양단부 사이에 비틀림탄성을 갖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유동자를 유동시켜 노즐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크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토크모터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작동과정을 전류 방향에 따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크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토크모터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작동과정을 전류 방향에 따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모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토크모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토크모터를 A-A'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1)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반대의 극으로 자화된 한 쌍의 자화금속(10), 양단부가 각각 자화금속(10)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유동자(30), 및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동자(30)를 자화시키는 고정자(21)를 포함하되, 유동자(30)는 고정자(21)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선 상에 배치된다.
한 쌍의 자화금속(1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유동자(30), 및 고정자(21)는 자화금속(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점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점대칭 배열에 의해, 유동자(30)와 고정자(21)가 자화금속(10)이 형성하는 자기장으로부터 균일한 자기력을 받게 된다. 특히, 유동자(30)는 유동자(30)를 형성하는 면이 전체적으로 자화금속(1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자화금속(10)에 의한 자기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유동자(30)의 특정 방향에만 자화금속(10)의 자기력이 쏠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유동자(30)의 초기 평형값 설정에 효과적이고, 유동자(30)를 포함한 토크모터(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자화금속(10)은 각각 영구자석(M)의 반대극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화금속(10) 사이에 위치한 영구자석에 의해 자화금속(10)은 각각 다른 극으로 자화될 수 있으며, 완전히 자화된 자화금속(10) 사이에는 유동자(30)와 고정자(21)가 배치될 수 있다.
양단부가 각각 자화금속(10) 사이에 위치하는 유동자(30)와, 유동자(30)를 자화시키는 고정자(21)는 자화금속(10)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동자(30)와 고정자(21) 각각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자(21)는 양단에 코일결합부(50)가 연결되어 있어, 코일결합부(50)의 일부분에 감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이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으로 유동자(30)를 자화시키게 된다. 고정자(21)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양 끝단부가 서로 반대의 극을 이룬다. 고정자(21)의 양 끝단부는 유동자(30)의 양단부에 각각 일부가 중첩되어 있으며, 유동자(30)는 고정자(21)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선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자(21)에 발생한 자기장은 유동자(30)로 전달되어 유동자(30)를 자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자화금속(10)은 영구자석에 의해 자화되어 자화극성이 정해지고, 유동자(30)는 고정자(21)의 자기력선을 따라 자화될 수 있으므로, 고정자(21)와 연결된 코일결합부(50)의 전류 방향 전환을 통해 유동자(30) 자화극성의 방향을 전환시켜 유동자(30)의 회전 변위를 유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자(21)는 양끝단부가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21b)으로 분지(分枝)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고정자(21)를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21b)으로 분지(分枝)시킴으로써, 자기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동자(3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유동자(30)는 양단부가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21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금속판(21a)을 통해 전달받은 자기장이 유동자(30)를 통과하여 제2 금속판(21b)을 향해 이동하여 온전한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자(21)가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21b)로 분지(分枝)되어 유동자(30)를 감싸듯 배치됨에 따라, 유동자(30)로의 자기장의 이동이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21b)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자기장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유동자(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동자(30)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40)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다. 유동자(30)는 일측에 노즐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31)를 포함할 수 있어, 유동자(30)가 회전하면 돌기부(31)가 자화금속(10)의 상측면으로 돌출되며 노즐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돌기부(31)는 자화금속(10)과 고정자(21)를 관통하여 자화금속(10)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될 수 있으며, 돌기부(31)의 노출 또는 돌출에 의해 돌기부(31)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는 노즐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자화금속(10)과 고정자(21)의 일부를 절단하여 유동자(30)의 내부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대한 도면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자(30)가 초기평형에 있는 상태에서는, 돌기부(31)는 자화금속(10)과 고정자(21)를 관통하여, 돌기부(31)의 상면과 자화금속(10)의 상면이 동일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유동자(30)는 고정자(21)를 이루는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21b)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이러한 유동자(30)는 상면에 결합한 힌지축(4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 유동자(30)를 고정하고 있는 구조는 힌지축(40) 하나에 불과하므로, 유동자(30)의 움직임은 힌지축(40)의 움직임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힌지축(40)은 일단부가 유동자(30)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힌지축결합부(41)에 부착되어, 고정자(21) 또는 자화금속(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힌지축(40)은 유동자(30), 고정자(21), 또는 자화금속(10) 그 어느 것과도 결합하지 않은 목(42) 부분이 형성되는데, 자기력선 상에 배치된 유동자(30)의 회전 시, 힌지축(40)에서 목(42) 부분의 비틀림이 일어나고, 이 비틀림에 의해 힌지축결합부(41)가 고정자(21) 또는 자화금속(1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유동자(3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힌지축(40) 자체가 비틀림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운동이 일어난 유동자(30)에 복원력을 가하여 초기 평형상태로 되돌릴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크모터의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작동과정을 전류 방향에 따라 도시한 작동도이다.
토크모터(1)는 코일결합부(50)에 걸리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유동자(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코일결합부(50)에 감는 코일(C)의 방향 또는 전류 방향에 따라, 코일결합부(50) 및 고정자(21)의 자기장 방향을 선택할 수 있고, 이 자기장 방향에 의해, 유동자(30)의 돌기부(31)가 돌출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판(21a)과 제2 금속판(21b) 사이에는 유동자(30)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정도 만큼의 공간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유동자(30)는 이러한 공간부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유동자(30)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40)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화살표 방향으로 코일결합부(50)의 자기장이 형성되면, 이 자기장 방향에 따라 유동자(30)에도 자기장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자화금속(10)은 영구자석(M)에 의해 영구자석의 반대극으로 자화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자화금속(10) 중 상단에 위치한 자화금속(10)은 N극, 하단에 위치한 자화금속(10)은 S극을 형성한 상태이다. 이렇게 영구자석에 의해 자화금속(10)의 극성이 정해진 상태에서, 코일(C)에 전류가 흘러 코일결합부(50)를 포함한 고정자(21)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이 자기장에 의해 유동자(30)의 양단에 자기장이 전달되고, 상반된 극성끼리 끌어당기는 전기적 특성에 의해, N극을 띈 자화금속(10)은 S극을 띈 유동자(30)의 일단부를 끌어당기고, S극을 띈 자화금속(10)은 N극을 띈 유동자(30)의 타단부를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N극을 띈 상단에 위치한 자화금속(10)은 S극을 띈 유동자의 일단부를 당겨 유동자(30)의 돌기부(31)를 자화금속(10)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유동자(30)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40)에서 비틀림이 일어나며 유동자(30)를 회전시킨다. 힌지축(40)의 비틀림이 일어나며 유동자(30)가 회전되면, 유동자(30)의 일단부는 제2 금속판(21b)과 가까워지고 유동자(30)의 타단부는 제1 금속판(21a)과 가까워진다. 이 때, 전기저항의 특성상, 유동자(30)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고정자(20)를 통해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고, 자기장 형성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코일결합부(50)에 감는 코일의 방향 또는 전류 방향을 반대로 바꿔 유동자(30)의 회전을 반대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코일(C)을 반대로 감거나, 전류를 반대로 걸어주면 코일결합부(50)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도 5의 (a)에서와는 반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자(21)의 자화 극성도 도 5의 (a)에서와는 반대로 선택된다. 따라서, 고정자(21)의 자기장을 전달받아 자화되는 유동자(30) 역시 도 5의 (a)의 경우와는 반대의 극성으로 자화된다. 반면, 자화금속(10)의 경우, 영구자석에 의해 자화되므로 영구자석의 N/S극을 바꾸지 않는 한 자화금속(10)에 형성된 극성은 그대로 유지되며, 따라서, 자화금속(10)은 도 5의 (a)와 같은 극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렇듯, 한 쌍의 자화금속(10) 중 상단에 위치한 자화금속(10)은 N극, 하단에 위치한 자화금속(10)은 S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코일의 방향 또는 전류 방향만 바꾸어 유동자(30)의 자기장 방향을 바꾸어주게 되면, 유동자(30)는 자화금속(10)의 극에 맞춰 도 5의 (a)의 경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S극의 자기장이 형성된 유동자의 우측 돌기부(31)가 N극을 띈 상단의 자화금속(10) 쪽으로 끌려가서 자화금속(1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 때, 고정자(21)는 자화금속(10)에 비해 보자력이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코일결합부(50)에 걸리는 자기장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유동자(30)의 자기장을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유동자(30)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자화현상이 일어날 때, 자화된 잔류 자기가 상쇄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장의 세기를 필요로 하는데, 이 자장의 세기를 일컫는 보자력이 자화금속(10)에 비해 낮은 금속으로 고정자(21)를 이룸에 따라, 고정자(21)에 형성된 자기장을 상쇄하고 새로운 전류로 새로운 자기장을 형성시키기에 매우 용이하다.
자화된 잔류 자기에 의해,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가 같더라도 자성체에 형성되는 자속 밀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작용하는 자력의 세기가 증가할 때의 자속밀도와 자력의 세기가 감소할 때의 자속밀도 변화는 서로 다른 경로로 형성되고, 이러한 경로 차이를 히스테리시스라고 하는데, 히스테리시스가 큰 재질인 경우 자화된 잔류 자기가 증가하게 되므로, 미세한 전기적 신호에 따른 자기장의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유동자(30)는 히스테리시스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이전에 유동자(30)에 형성된 자화상태에 의해 받게 되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듯, 유동자(30)의 비례제어가 용이하고,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된 자화금속(10)이 균형을 이루며 배치됨에 따라, 유동자(30)에 불필요하게 가해지는 힘이 발생하지 않아, 토크모터(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적의 상태에서 유동자(30)의 평형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모터(1-1)는 고정자(21)의 구조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1-1)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1-1)의 내용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와 동일성 범위에서 적용되며, 고정자(21) 구조를 제외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고정자(21)의 형태적 차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크모터(1-1)는 고정자(21)의 양끝단부가 각각 자화금속(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자(21)는 하나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어, 한 쌍의 자화금속(10) 중 아래쪽에 위치한 자화금속(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자화금속(10) 배열시, 고정자(21)가 상/하부로 분지(分枝)되어 형성될 때 요구되던 자화금속(10) 각각의 이격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자화금속(10)의 거리를 보다 가깝게 함에 따라, 자화금속(10)의 자기장을 보다 강하게 형성할 수 있어, 유동자(30)에 발생하는 토크를 보다 강하게 하여, 유동자(30)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21)는 한 쌍의 자화금속(10) 중 위쪽에 위치한 자화금속(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역시, 자화금속(10)의 거리를 보다 가깝게 할 수 있어 자화금속(10)의 자기장을 보다 강하게 형성할 수 있고, 유동자(30)의 토크를 보다 강하게 하여 유동자(30)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유동자(30)의 회전을 유도하여 돌기부(31)의 돌출을 통해 노즐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토크모터
10: 자화금속 21: 고정자
21a: 제1 금속판 21b: 제2 금속판
30: 유동자 31: 돌기부
40: 힌지축 41: 힌지축결합부
42: 목 50: 코일결합부
C: 코일 M: 영구자석
10: 자화금속 21: 고정자
21a: 제1 금속판 21b: 제2 금속판
30: 유동자 31: 돌기부
40: 힌지축 41: 힌지축결합부
42: 목 50: 코일결합부
C: 코일 M: 영구자석
Claims (9)
-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반대의 극으로 자화된 한 쌍의 자화금속;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자화금속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유동자; 및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유동자를 자화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자는 상기 고정자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는 서로 반대의 극을 이루는 양끝단부가 각각 상기 유동자의 상기 양단부에 각각 중첩되며,
상기 힌지축은 비틀림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자와 상기 고정자 또는 상기 자화금속 사이를 고정하는 토크모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양끝단부가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으로 분지(分枝)되고, 상기 유동자의 상기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 금속판과 상기 제2 금속판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모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양끝단부가 각각 상기 자화금속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모터. -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자화금속은 각각 영구자석의 반대극에 접하는 토크모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자는 일측에 노즐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토크모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자화금속과 상기 고정자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토크모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자화금속보다 보자력이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토크모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1607A KR101765813B1 (ko) | 2016-10-11 | 2016-10-11 | 토크모터 |
CN201611056703.1A CN107919780B (zh) | 2016-10-11 | 2016-11-25 | 用于阀门定位器的力矩马达装置 |
CN201621277382.3U CN206673807U (zh) | 2016-10-11 | 2016-11-25 | 用于阀门定位器的力矩马达装置 |
JP2017171332A JP6363778B2 (ja) | 2016-10-11 | 2017-09-06 | トルクモータ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1607A KR101765813B1 (ko) | 2016-10-11 | 2016-10-11 | 토크모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5813B1 true KR101765813B1 (ko) | 2017-08-11 |
Family
ID=5965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1607A KR101765813B1 (ko) | 2016-10-11 | 2016-10-11 | 토크모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363778B2 (ko) |
KR (1) | KR101765813B1 (ko) |
CN (2) | CN10791978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7707B1 (ko) * | 2018-10-15 | 2019-10-22 | 차형규 |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76022B2 (ja) * | 1993-10-15 | 2003-12-10 | 横河電機株式会社 | 電気/空気圧変換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92911U (ko) * | 1972-12-02 | 1974-08-12 |
-
2016
- 2016-10-11 KR KR1020160131607A patent/KR1017658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25 CN CN201611056703.1A patent/CN107919780B/zh active Active
- 2016-11-25 CN CN201621277382.3U patent/CN206673807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
- 2017-09-06 JP JP2017171332A patent/JP6363778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76022B2 (ja) * | 1993-10-15 | 2003-12-10 | 横河電機株式会社 | 電気/空気圧変換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064443A (ja) | 2018-04-19 |
CN107919780A (zh) | 2018-04-17 |
CN206673807U (zh) | 2017-11-24 |
JP6363778B2 (ja) | 2018-07-25 |
CN107919780B (zh) | 2020-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76702B2 (ja) |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 |
US20170254438A1 (en) |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valve | |
US4638830A (en) | High sensitivity magnetic actuator | |
KR101765813B1 (ko) | 토크모터 | |
GB2342504A (en) | A bistable and monostable electromagnetic drive arrangement | |
KR101107612B1 (ko) | 포지셔너용 토크모터 장치 | |
JP3426160B2 (ja) | 流量調節弁 | |
CN109519549B (zh) | 电磁气体阀、气体调节阀以及燃气烹饪用具 | |
JP6097185B2 (ja) | 遮断弁 | |
WO2004104462A1 (en) | Pivoting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integrated actuator and fluid flow control valve | |
RU2243441C1 (ru) |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клапан | |
JP6106031B2 (ja) | ラッチングリレー | |
KR101337287B1 (ko) | 낮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진 전공변환기 | |
JP2017182148A (ja) | 操作装置 | |
JP6307421B2 (ja) | 双安定移動装置 | |
JPS6022806B2 (ja) | 釈放型電磁石装置 | |
JP3251085B2 (ja) | 電磁弁 | |
JP7406223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S6046307B2 (ja) | 流体流量制御弁 | |
EP3693987A1 (en) | Reed switch assembly having a customizable length of activation | |
JP3044851B2 (ja) | 永久磁石を用いた双安定機構 | |
JPH07158763A (ja) | 回転式電磁弁 | |
US921794A (en) | Polarized magnet. | |
JP2004015997A (ja) | 電磁制御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 |
JPH06224033A (ja) | 電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