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707B1 -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 Google Patents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707B1
KR102007707B1 KR1020180122488A KR20180122488A KR102007707B1 KR 102007707 B1 KR102007707 B1 KR 102007707B1 KR 1020180122488 A KR1020180122488 A KR 1020180122488A KR 20180122488 A KR20180122488 A KR 20180122488A KR 102007707 B1 KR102007707 B1 KR 10200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tension
bridge
torque mo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형규
차의규
Original Assignee
차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규 filed Critical 차형규
Priority to KR102018012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토크모터 바디(10); 자력이 발생되는 코일부(22)와, 상기 코일부(22)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된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가 구비되어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장착된 전자석부(20);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가 구비되어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상기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가 결합된 텐션 와이어(30); 상기 텐션 와이어(30)에 결합되어 기단부측 양면이 상기 제1극성부(24)와 상기 제2극성부(26) 사이의 이격된 스페이스(SP)에 배치된 노즐 플랩퍼(40); 상기 제1극성부(24)와 동일 극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플랩퍼(40)에 구비된 자성체(50);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되어 노즐(60)홀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측 양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노즐(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Torque motor utilizing magnetization method}
본 발명은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 플랩퍼(아마추어)의 표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노즐 플랩퍼 자력부의 자화에 의한 노즐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강화된 자화방식 토크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지셔너(positioner)는 밸브 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밸브 위치 자동제어기인데, 상기 포지셔너는 밸브 시스템의 여러 인자가 변화하는 경우 그와 비례하여 온도조절장치와 동작조절장치의 불규칙한 동작을 제어하고, 압력조절장치의 작동이 정밀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포지셔너는 각종 계측제어 시스템에 설치되어, 포지셔너에 결합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트롤러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제어 시그날을 공압으로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밸브를 동작시키게 된다. 보통 포지셔너는 크게 제어부와 토크모터 및 파일럿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포텐쇼미터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토크모터에 제공하고, 상기 토크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비례하여 공압공급기에서 액츄에이터 챔버로 공급되는 공기압력을 제어하여 파일럿밸브에 구비된 밸브스템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한다.
상기 공압공급기로부터 액츄에이터챔버까지 연결된 공압라인 상의 공기압력을 토크모터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비례하여 가변시키는데, 상기 공압라인 액츄에이터챔버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증대시키기 위한 부스터 기능을 하는 파일럿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포지셔너의 토크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챔버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비례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정밀한 밸브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토크모터에 구비된 아마추어의 끝부분을 공압 라인에 연결된 노즐에 인접 배치하여, 아마추어가 노즐의 선단부에 인접되는 거리에 따라 공압 라인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공압라인에 연결된 밸브(파일럿밸브)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아마추어 자화방식에 의해 아마추어를 노즐의 선단부(선단부 노즐홀)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작동시키는데, 이러한 종래의 아마추어 자화방식은 아마추어 끝부분 자화방식 등이 있으나,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노즐 플랩퍼가 민감하게 유동되면서 밸브의 오작동 등을 발생할 여지가 많다는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노즐의 끝단 부분과 노즐 플랩퍼가 자화가 일어나지 않고 작동을 멈춘 상태에서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지만,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노즐 플랩퍼가 미세하게 유동하면서 노즐의 끝단 부분을 막았다 열었다 하는 오작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밸브가 의도하지 않게 열렸다 닫혔다 하는 밸브 오작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5-0006292호(1995.03.20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303509호(2001.07.11 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6-011546호(1996.04.15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842856호(2008.06.25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에 인접 배치된 노즐 플랩퍼(아마추어)의 표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노즐 플랩퍼 자력부의 자화에 의한 노즐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파일럿 밸브와 같은 여러 가지 밸브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밸브의 정밀 제어를 위한 노즐 플랩퍼 자력부의 구성은 기존에 비하여 더 간소화시키고, 나아가 외부의 진동 등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의 방지 기능을 보다 강화시킨 새로운 구성의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모터 바디(10); 자력이 발생되는 코일부(22)와, 상기 코일부(22)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된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가 구비되어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장착된 전자석부(20);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가 구비되어 상기 토크모터 바디에 상기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가 결합된 텐션 와이어(30); 상기 텐션 와이어(30)에 결합되어 기단부측 양면이 상기 제1극성부(24)와 상기 제2극성부(26) 사이의 이격된 스페이스(SP)에 배치된 노즐 플랩퍼(40); 상기 제1극성부(24)와 동일 극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플랩퍼(40)에 구비된 자성체(50);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되어 노즐홀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측 양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노즐(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가 제공된다.
상기 노즐 플랩퍼(40)는 양면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측 일면이 상기 노즐(60)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일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텐션판(32)과, 상기 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는 비틀려 있는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60)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의 선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의 선단부 사이에 노즐 스페이스(NS)가 확보되고, 상기 노즐 플랩퍼(40)는 상기 텐션 와이어 상기 텐션판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의 선단부측 양면이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의 선단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에는 내측단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노즐 결합블록과 제2노즐 결합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1노즐 결합블록과 상기 제2노즐 결합블록의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노즐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노줄 결합홀은 상기 노즐 결합블록의 내측단과 외측단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노즐의 나사부와 상기 제2노즐의 나사부가 상기 제1노즐 결합블록과 상기 제2노즐 결합블록의 노즐 결합홀에 구비된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이 상기 노즐 플랩퍼의 양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 와이어는 스프링강에 의해 상기 텐션판과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 및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연결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연결되어 상기 바텀부(12)의 저면에 배치된 베이스 픽스바아(18);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상기 바텀부(1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테이퍼부(13T)가 상기 베이스 픽스바의 기단부측 일면에 접촉된 컨트롤 스크류(13); 상기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측을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 스크류(13)의 상기 테이퍼부(13T)에 밀착되도록 탄지하는 탄성체(EM);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텐션 와이어 연결부에 상기 텐션 와이어의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가 연결되고,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에 상기 텐션 와이어의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는 연결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고리가 각각 상기 텐션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에 결합된 연결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가 상기 토크모터 바디의 상기 텐션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 와이어는 상기 노즐 플랩퍼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1텐션 와이어와 제2텐션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텐션 와이어(30)는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일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제1텐션판(32)과, 상기 제1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제1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제1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고, 상기 제2텐션 와이어(30)는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다른 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제2텐션판(32)과, 상기 제2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제2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제2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상기 제2상부 텐션 브릿지 및 상기 제1하부 텐션 브릿지(36)와 상기 제2하부 텐션 브릿지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는 상기 텐션판을 기준으로 트위스트된 방향(비틀어진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결합부의 선단부에는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구비되고, 상기 토크모터 바디의 바텀부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에 하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과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아마추어 자화방식은 아마추어 끝부분 자화방식, 아마추어와 영구자석의 근접 이격 방식 등이 있으나 기존에는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노즐 플랩퍼가 민감하게 유동되면서 밸브의 오작동 등을 발생할 여지가 많다는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노즐의 끝단 부분과 노즐 플랩퍼가 자화가 일어나지 않고 작동을 멈춘 상태에서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노즐 플랩퍼가 미세하게 유동하면서 노즐의 끝단 부분을 막았다 열었다 하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며, 이러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밸브가 의도하지 않게 열렸다 닫혔다 하는 밸브 오작동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크모터 바디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토크모터 바디에 지지되는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노즐 플랩퍼와 텐션 와이어와 자성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노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일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주요부인 노즐 플랩퍼와 텐션 와이어와 자성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주요부를 채용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는 공압 공급부(Supply)와 밸브(주로 파일럿밸브) 사이의 공압라인에 연결되는 포지셔너용 토크모터로 주로 채용된다. 본 발명은 주로 공압공급기의 공압을 밸브와 같은 공압 작동기기에 제공하는 공압라인 상에 연통되어 공압라인의 압력이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비례하여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공압 작동기기의 작동을 정밀제어하는 토크모터이다. 본 발명의 토크모터는 토크모터 바디(10), 전자석부(20), 텐션 와이어(30), 노즐 플랩퍼(40), 자성체(50) 및 노즐(60)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노즐 플랩퍼(40)는 아마추어이고 자성체(50)는 영구자석이고, 텐션 와이어(30)는 아마추어의 회동 지지부인 힌지부라 할 수 있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10)는 바텀부(12)와 서포트 레그(14) 및 노즐 서포트 레그(16)를 구비한다.
상기 바텀부(12)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텀부(12)의 후단부와 인접한 저면에는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이 구비된다.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의 내부에는 스크류홀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홀은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의 상기 스크류홀에는 컨트롤 스크류(13)가 결합된다. 스크류홀 내주면의 나사부에 컨트롤 스크류(13) 외주면의 나사부가 결합된다.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의 스크류홀에 컨트롤 스크류(13)가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컨트롤 스크류(13)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컨트롤 스크류(13)의 선단부측 일부에는 테이퍼부(13T)가 구비된다. 테이퍼부(13T)는 외경이 컨트롤 스크류(13)의 후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는 구조이다. 상기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 내부의 컨트롤 스크류 결합홀을 기준으로 컨트롤 스크류(13)를 돌려주면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서 컨트롤 스크류(13)가 전후진된다. 즉, 토크모터 바디(10)의 전단부와 후단부 영역에서 컨트롤 스크류(13)가 전후진 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의 한쪽 측단부에는 바텀부(12)의 전단부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탄성체 지지블록(15)이 구비된다. 바텀부(12)의 전단부에서 볼 때에 탄성제 지지블록은 컨트롤 스크류 결합블록(15SB)의 우측단부에 구비된다. 탄성체 지지블록(15)의 안쪽면에는 탄성체 지지홈(15G)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레그(14)의 하단부는 바텀부(12)의 후단부에 인접한 상면에 연결된다. 서포트 레그(14)는 바텀부(1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서포트 레그(14)는 바텀부(12)의 전단부 쪽에서 볼 때에 좌측 서포트 레그(14)와 우측 서포트 레그(14)로 구성된다. 바텀부(12)의 상면에 좌우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가 구비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좌측 서포트 레그(14)와 우측 서포트 레그(14)를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한 쌍의 좌측 서포트 레그(14)와 우측 서포트 레그(14)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는 각각 제1극성부 결합홈과 제2극성부 결합홈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에는 셋트볼트 결합홀(14H)이 구비된다. 각각의 셋트볼트 결합홀(14H)은 서포트 레그(14)의 외측면에서 제1극성부 결합홈과 제2극성부 결합홈으로 연통되어 있다. 셋트볼트 결합홀(14H)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로 구성된다. 셋트볼트 결합홀(14H)에 셋트볼트(14BT)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노즐 서포트 레그(16)의 하단부는 바텀부(12)의 전단부에 인접한 상면에 연결된다. 노즐 서포트 레그(16)는 바텀부(1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노즐 서포트 레그(16)는 바텀부(12)의 전단부 쪽에서 볼 때에 좌측 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우측 노즐 서포트 레그(16)로 구성된다. 바텀부(12)의 상면에 좌우 한 쌍의 노즐 서포트 레그(16)가 구비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좌측 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우측 노즐 서포트 레그(16)를 각각 제1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로 칭하는 경우가 있고, 한 쌍의 노즐 서포트 레그(16)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좌측과 우측의 제1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1노즐 결합블록(16NB)과 제2노즐 결합블록(16NB)이 구비된다. 제1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는 바텀부(12)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노즐 결합블록(16NB)과 제2노즐 결합블록(16NB)은 각각 제1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노즐 서포트 레그(16)의 노즐 결합블록(16NB)를 제1노즐 결합블록(16NB)라 하고,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의 노즐 결합블록(16NB)를 제2노즐 결합블록(16NB)라 하면, 상기 제1노즐 결합블록(16NB)와 제2노즐 결합블록(16NB)는 바텀부(12)와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노즐 결합블록(16NB)와 제2노즐 결합블록(16NB)의 내부에는 양단부로 연통된 제1노즐 결합홀과 제2노즐 결합홀이 구비된다. 제1노즐 결합홀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고, 제2노즐 결합홀의 내주면에도 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바텀부(12)에 전단부측 상면에 한 쌍의 제1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가 구비되고, 바텀부(12)의 후단부측 상면에 한 쌍의 제1서포트 레그(14)와 제2서포트 레그(14)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제1노즐 서포트 레그(16)와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 중에서 하나의 노즐 서포트 레그(16)에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가 구비된다.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가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의 상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의 후면에 연결 블록부가 구비되고, 연결 블록부에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가 연결되어, 제2노즐 서포트 레그(16)의 상부에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은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와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의 내부에는 탄성 와이어 픽싱볼트 결합홀이 구비된다. 탄성 와이어 픽싱볼트 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이다. 결국, 토크모터 바디(10)에 상기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상기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의 선단부에는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구비된다.
상기 바텀부(12)에는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이 구비된다.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은 바텀부(12)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와 한 쌍의 노즐 서포트 레그(16) 사이에 배치되도록 바텀부(12)에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이 구비된다.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은 원형홀 구조이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는 원형 바아 형상이고 상기 바텀부(12)의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도 원형홀 형상이어서,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에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가 결합되어, 상기 바텀부(12)의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을 기준으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가 회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는 걸림 단턱부가 구비된다. 바텀부(12)의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에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가 결합되었을 때에 걸림 단턱부가 바텀부(12)의 상면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상부에는 일정 체적 잘려진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연결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지지편에는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이 구비된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30) 결합부의 선단부에는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구비되고,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연결 지지편에는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과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상부에서 볼 때에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과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의 경사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이다. 토크모터 바디(10)의 위에서 볼 때에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상기 텐션 와이어(30) 결합부의 기단부 방향으로 더 들어가도록 경사지고,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은 상기 텐션 와이어(30) 결합부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위에서 볼 때에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상기 텐션 와이어(30) 결합부의 기단부 방향으로 더 들어가도록 경사지고,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은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텐션판(32)의 전후단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위에서 볼 때에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은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고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는 텐션 브릿지 결합편의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에서부터 내부로 연장된 하부 텐션 브릿지(36) 하부 고정홀(17H)을 구비한다. 하부 텐션 브릿지(36) 하부 고정홀(17H)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이다. 또한,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일부는 바텀부(12)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다.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하단부측 외주면에는 하부 단턱부가 구비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는 베이스 픽스바아(18)가 연결되고, 베이스 픽스바아(18)는 바텀부(12)의 저면에 배치된다. 베이스 픽스바아(18)에는 길이 방향의 절개홀에 의해 한 쌍의 그립편이 구비되고, 한 쌍의 그립편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반원형 홀(반절 홀)이 구비되어, 상기 반원형 홀에 의해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 그립홀(19H)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 그립홀(19H)에 상기 바텀부(12)의 저면 아래로 돌출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한 쌍의 그립편에는 볼트(BT)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볼트(BT)에는 너트(NT)가 체결되어,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19H)에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T)에 결합된 너트(NT)를 조여주면 상기 한 쌍의 그립편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한 쌍의 그립편에 의해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그립하며, 이로 인하여 베이스 픽스바아(18)가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의 저면 아래에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와 연결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하부 단턱부는 베이스 픽스바아(18)의 저면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조여주었던 너트(NT)를 풀어주면, 상기 한 쌍의 그립편이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물고 있는 힘(그립력)이 해제된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가 베이스 픽스바아(18)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측 일측면이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기준으로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에 밀착되도록 탄지하는 탄성체(EM)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EM)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탄성체(EM)의 일단부가 토크모터 바디(10)를 구성하는 베이스 저면의 탄성체 지지블록(15)의 탄성체 지지홈(15G)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EM)의 타단부는 베이스 픽스바아(18)의 타측면, 다시 말해,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와 접촉되는 일측면과 반대되는 면에 접촉되어, 탄성체(EM)의 탄성력으로 상기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에 베이스 픽스바아(18)의 일측면이 탄성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픽스바아(18)는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결합되고,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는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형성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체(EM)가 탄성력으로 베이스 픽스바아(18)를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밀어서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에 탄성적으로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측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에서 위로 돌출된 상향 블록부는 상기 바텀부(12) 저면의 상향 오목홈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상기 바텀부(12)의 단면적은 베이스 픽스바아(18)의 상향 블록부의 단면적보다 더 크므로, 베이스 픽스바아(18)의 상향 블록부가 바텀부(12)의 상향 오목홈 안에서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부(20)는 토크모터 바디(10)에 장착된다. 전자석부(20)는 자력이 발생되는 코일부(22)와, 이 코일부(22)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된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전자석부(20)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자력이 발생되는 코일부(22)와, 상기 코일부(2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이한 극성의 자력이 전달되도록 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를 구비한다.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 사이의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공간부를 스페이스(SP)라 한다.
상기 코일부(22)는 철심에 코일이 감겨지는 통상의 전자석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코일에 제어부의 제어신호(예를 들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철심이 자화되어 철심의 감긴 방향과 전류공급방향에 따라 어느 일단은 N극이 되고 타단은 S극이 된다. 이처럼 양단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코일부(22)의 일단부에는 제1극성부(24)가 연결되고 코일부(22)의 타단부에는 제2극성부(26)가 연결되어, 상기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자화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 사이에 스페이스(SP)가 확보되어 있다. 제1극성부(24)의 기단부와 제2극성부(26)의 기단부가 각각 코일부(22)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결되고, 제1극성부(24)의 선단부와 제2극성부(26)의 선단부 사이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극성부(24)의 선단부와 제2극성부(26)의 선단부 사이에 스페이스(SP)가 확보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전자석부(20)가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에 고정되어, 토크모터 바디(10)에 전자석부(20)가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토크모터 바디(10)의 후단부측 상면에 전자석부(20)가 장착된다.
상기 코일부(22)와 제1극성부(24) 및 제2극성부(26)로 구성된 전자석부(20)이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에 구비된 셋트볼트 결합홀(14H)에는 셋트볼트(14BT)가 결합된다. 셋트볼트 결합홀(14H)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셋트볼트(14BT) 외주면의 나사부가 결합된다. 한 쌍의 셋트볼트(14BT)가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에 형성된 셋트볼트 결합홀(14H)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한 쌍의 셋트볼트(14BT)의 선단부가 전자석부(20)의 양쪽 단부로 일부가 나와 있는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셋트볼트(14BT)에 의해 전자석이 토크모터 바디(10)의 한 쌍의 서포트 레그(14)에 고정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후술하는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텐션판(32)과, 이 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띠 형상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한다.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단면 일자형의 얇은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에는 체결구홀 포밍편(35)이 구비되고, 체결구홀 포밍편(35)에 양면으로 연통된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체결구홀 포밍편(35)은 텐션 와이어(30)의 일면에서 볼 때에 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텐션 와이어(30)는 일측면에서 볼 때에 상하 폭에 비하여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이 더 큰 기다란 판형상의 텐션판(32)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텐션판(32)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의 상하 방향 중심선이 텐션판(32)의 상하 방향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상에 배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자체 탄성이 있는 금속제로 구성된다. 텐션 와이어(30)는 자체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강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탄성 와이어(30)에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가 구비된 것에서 특징이 나온다.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판형상의 텐션판(32)과, 상기 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는 비틀려 있는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텐션 브릿지(34)가 비틀려진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는 상하 방향으로 따라 갈 때에 비틀려진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로 구성되고,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갈 때에 직선형 텐션 와이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는 물론 하부 텐션 브릿지(36)도 비틀려진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상기 텐션판(32)을 기준으로 트위스트된 방향(비틀어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텐션판(32)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자성체(50) 삽입홀(Magnet hole)이 구비된다. 자성체(50) 삽입홀은 사각홀 형상이다. 또한, 상기 텐션판(32)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자성체(50) 삽입홀은 텐션판(32)의 기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 결합홀은 자성체(50) 삽입홀과 텐션판(32)의 선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노즐 플랩퍼(40)는 옆에서 볼 때에 상하 폭에 비하여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폭이 더 큰 기다란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노즐 플랩퍼(40)가 텐션 와이어(30)의 텐션판(32)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노즐 플랩퍼(40)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플랩퍼 고정홀이 구비되고, 플랩퍼 고정홀은 상기 텐션판(32)의 체결구 결합홀과 만나도록 정렬된다. 상기 노즐 플랩퍼(40)에 형성된 플랩퍼 고정홀과 텐션판(32)의 체결구 결합홀에 동시에 체결구, 구체적으로, 볼트(BT)를 결합하고, 상기 볼트(BT)에 너트(NT)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상기 텐션판(32)이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즉, 텐션 와이어(30)가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에 고정된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 플랩퍼(40)에는 텐션 와이어(30)의 자성체(50) 삽입홀과 만나는 자성체(50) 통과홀이 구비된다. 자성체(50) 통과홀은 노즐 플랩퍼(40)의 양면으로 연통된다. 자성체(50) 통과홀은 자성체(50) 삽입홀과 마찬가지로 사각홀 형상이다.
또한,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타측면에는 자성체(50) 고정편(54)이 결합된다. 자성체(50) 고정편(54)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자성체 고정홀이 구비된다. 자성체 고정홀은 노즐 플랩퍼(40)의 플랩퍼 고정홀과 만나도록 정렬된다. 따라서, 노즐 플랩퍼(40)에 형성된 플랩퍼 고정홀과 텐션판(32)의 체결구 결합홀 및 자성체(50) 고정편(54)의 자성체 고정홀에 동시에 볼트(BT)를 결합하고, 상기 볼트(BT)에 너트(NT)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노즐 플랩퍼(40)의 타측면에 자성체(50) 고정편(54)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50) 고정편(54)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자성체 고정홀이 구비된다. 자성체 고정홀은 노즐 플랩퍼(40)의 자성체(50) 통과홀과 만나도록 정렬된다. 자성체 고정홀은 노즐 플랩퍼(40)의 자성체(50) 통과홀과 마찬가지로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 고정홀의 사이즈는 노즐 플랩퍼(40)의 자성체(50) 통과홀의 사이즈보다 더 작다.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양측면에 각각 텐션 와이어(30)와 자성체(50) 고정편(54)이 결합된 것을 노즐 플랩퍼(40) 조립체라 할 수 있다. 노즐 플랩퍼(40) 조립체의 옆에서 볼 때에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노즐 플랩퍼(40) 조립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텐션판(32)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 조립체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심선 상에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배치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회동 무게 중심(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로 이루어진 힌지부)이 노즐 플랩퍼(40) 조립체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에서 볼 때에 노즐 플랩퍼(40)가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기준으로 한쪽 측방향 또는 다른 쪽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무게 중심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심선 상에 있게 된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텐션 와이어(30)가 구비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노즐 플랩퍼(40)의 일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텐션판(32)과, 상기 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띠 형상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토크모터 바디(10)에 지지된다.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에 구비된 체결구홀에 체결구(이하, 편의상 볼트(BT)라 함)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BT)를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에 볼트(BT)를 체결하여,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를 토크모터 바디(10)의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에 형성된 체결구홀에 볼트(BT)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BT)를 토크모터 바디(10)의 하부측 바텀부(12)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하부 텐션 브릿지(36) 하부 고정홀(17H)에 체결하여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 상단부의 체결구홀 포밍편(35)의 양면이 볼트(BT)의 헤드와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에 일정 면적의 면으로 가압 접촉되고, 하부 텐션 브릿지(36) 상단부의 체결구홀 포밍편(35)의 양면은 볼트(BT)의 헤드와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형성된 연결 지지편의 평탄면(수직 방향 평탄면)에 가압 접촉된다. 이처럼,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각각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와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텐션 와이어(30)를 토크모터 바디(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와이어(30)를 토크모터 바디(10)에 고정함으로써 노즐 플랩퍼(40)가 토크모터 바디(1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플랩퍼(40)는 텐션 와이어(30)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토크모터 바디(10)에 고정되므로, 상기 노즐 플랩퍼(40)가 텐션 와이어(30)를 매개로 토크모터 바디(10)에 장착된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기단부는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 사이의 이격된 스페이스(SP)에 배치되고 선단부는 후술하는 노즐(60) 선단부에 인접 배치된다. 노즐(60)의 선단부로 연통된 노즐(60)홀에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가 인접 배치된다.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기단부측에는 자성체(5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자성체(50)는 상기 텐션 와이어(30)에 형성된 자성체(50) 삽입홀과 노즐 플랩퍼(40)에 형성된 자성체(50) 통과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50) 고정편(54)의 자성체 고정홀에 결합됨으로써 노즐 플랩퍼(40)에 자성체(50)가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성체(50)는 단면 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자성체(50) 삽입홀과 자성체(50) 통과홀을 통과하여 자성체 고정홀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체(50)는 접착제에 의해 자성체(50) 고정편(54)의 자성체 고정홀에 고정된다. 상기 자성체(50)는 제1극성부(24)와 동일한 극성이다. 상기 자성체(50)는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에 돌출됨과 동시에 제1극성부(24)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노즐(60)은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60)이 두 개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노즐(60)은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을 포함한다. 물론, 토크모터 바디(10)에 노즐(60)이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노즐(60)은 토크모터 바디(10)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을 포함한다.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제1노즐(60) 외주면의 나사부가 제1노즐 결합블록(16NB) 내부에 구비된 제1노즐 결합홀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되고, 제2노즐(62) 외주면의 나사부가 제2노즐 결합블록(16NB) 내부에 구비된 제2노즐 결합홀 내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이 각각 제1노즐 결합블록(16NB)와 제2노즐 결합블록(16NB)에 나사 결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은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선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선단부 사이에 노즐(60) 스페이스(NS)가 확보된다. 제1노즐(60)과 제2노즐(62) 선단부의 노즐(60)홀들을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위에서 볼 때에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 사이의 스페이스(SP)는 뒤쪽에 배치되고,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선단부 사이의 노즐(60) 스페이스(NS)는 앞쪽에 배치된다. 적어도, 제2노즐(62)의 선단부와 노즐 플랩퍼(40)의 양면 사이에는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될 수 있다. 노즐 플랩퍼(40)의 양쪽 측면부가 제1노즐(60)의 선단부와 제2노즐(62)의 선단부에 마주하는데, 노즐 플랩퍼(40)의 양쪽 측면부와 제1노즐(60)의 선단부 및 제2노즐(62)의 선단부 사이에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될 수 있다. 노즐(60)이 제1노즐(60)과 제2노즐(62) 두 개인 경우 적어도 제2노즐(62)의 선단부와 노즐 플랩퍼(40)의 타측면 사이에 일정 거리 스페이스가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60)은 공압공급기에서 액츄에이터챔버까지(파일럿밸브와 같은 밸브가 있는 경우에는 공압공급기에서 밸브까지) 연결하는 공압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에 소정압력을 갖는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이 제1노즐(60)의 선단부에 인접 배치되므로, 제1노즐(60)에서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 쪽으로 소정 압력을 갖는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2노즐(62)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제2노즐(62) 역시 공압공급기에서 액츄에이터챔버까지(파일럿밸브와 같은 밸브가 있는 경우에는 공압공급기에서 밸브까지) 연결하는 공압라인과 연통되어, 제2노즐(62)에서 노즐 플랩퍼(40)의 타측면 쪽(다른 측면 쪽)으로 소정 압력을 갖는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노즐(60)은 공압공급기에서 밸브까지 연결하는 공압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노즐(62)도 공압공급기에서 밸브까지 연결하는 공압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노즐(60)은 어느 한쪽의 공압공급기에서 밸브까지 연결하는 한쪽의 공압라인에 연결되고, 제2노즐(62)은 공압공급기에서 다른 별도의 밸브까지 연결하는 다른 별도의 공압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노즐(60)은 토크모터 바디(10)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가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선단부의 서로 이격된 공간부인 노즐(60) 스페이스(NS)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측 양면(즉,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선단부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는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 상부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30) 연결부에 고정된다. 텐션 와이어(30) 연결부는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 텐션 와이어 연결블록(16WB)이다. 또한,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방향 조절유닛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방향 조절유닛은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와 베이스 픽스바아(18)와 컨트롤 스크류(13) 및 탄성체(EM)를 포함한다.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와 베이스 픽스바아(18)와 컨트롤 스크류(13) 및 탄성체(EM)의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지만,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와 베이스 픽스바아(18)와 컨트롤 스크류(13) 및 탄성체(EM)의 구조를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는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픽스바아는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연결되어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의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 컨트롤 스크류(13)는 테이퍼부(13T)를 구비하며,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는 픽스바의 기단부측 일면에 접촉된다. 상기 탄성체(EM)는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측을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기준으로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에 밀착되도록 탄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모터는 토크모터 바디(10), 전자석부(20), 영구자석, 텐션 와이어(30), 노즐 플랩퍼(40)를 포함하며, 전자석부(20)의 코일부(22)에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4~20mA)의 크기에 따라 제1극성부(24) 및 제2극성부(26)에 자력이 생기는데, 상기 제1극성부(24)와 같은 극성의 자성체(50)(영구자석)을 노즐 플랩퍼(40)에 부착하여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 사이에 위치시킨 구성으로서, 제1극성부(24)와 자성체(50)(영구자석)이 같은 극성이기 때문에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의 자력이 발생하면, 제1극성부(24)와 영구자석 사이에서는 척력이 발생하고, 제2극성부(26)와 영구자석의 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제2극성부(26)와 영구자석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한다.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회동 기준부인 힌지부로는 탄성이 있는 텐션 와이어(30)를 사용함으로써 노즐 플랩퍼(40)를 지지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안정적으로 노즐 플랩퍼(40)가 회동할 수 있게 해준다.
제어신호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의 차이가 발생하여 노즐 플랩퍼(40) 끝부분에 노즐(60)부와의 접촉부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어신호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제2극성부(26)와 자성체(50) 사이의 인력 및 제1극성부(24)와 자성체(50) 사이의 척력의 차이가 발생하여, 노즐 플랩퍼(40) 선단부의 측면과 노즐(60)의 선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격 거리가 멀어지면 공기의 누출이 크게 되어 밸브(주로 PILOT VALVE)에 연결된 압력을 낮게 함으로써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신호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의 차이에 의해 제1노즐(60)의 선단부로 연통된 노즐(60)홀과 노즐 플랩퍼(40)의 일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데, 이격 거리가 멀어지면 공기의 누출이 크게 되어 밸브(주로 PILOT VALVE)에 연결된 압력을 낮게 함으로써 밸브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노즐(62)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제어신호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의 차이에 의해 제2노즐(62)의 선단부로 연통된 노즐(60)홀과 노즐 플랩퍼(40)의 타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데, 제2노즐(62)의 선단부측 노즐(60)홀과 노즐 플랩퍼(4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면 공기의 누출이 크게 되어 밸브(주로 PILOT VALVE)에 연결된 압력을 낮게 함으로써 역시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토크모터 바디(10)에 연결되어 있는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가 비틀려져 있어서 텐션 와이어(30)가 정위치를 유지하는 탄성 유지력을 더 강화시켜놓은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텐션 와이어(30)에 연결된 노즐 플랩퍼(40)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민감하게 유동되는 경우가 없어서 밸브의 오작동 등을 발생할 여지를 미연에 방지한다. 노즐(60)의 끝단 부분과 노즐 플랩퍼(40)가 자화가 일어나지 않고 작동을 멈춘 상태에서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텐션 와이어(30)에서 토크모터 바디(10)에 연결된 주요부인 텐션 브릿지가 비틀려져 있어서 텐션 와이어(30)가 정위치를 유지하는 탄성 유지력을 미리 강화시켜 놓은 것이어서,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노즐 플랩퍼(40)가 미세하게 유동하면서 노즐(60)의 끝단 부분을 막았다 열었다 하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는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이러한 오작동 방지로 인하여 밸브가 의도하지 않게 열렸다 닫혔다 하는 밸브 오작동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노즐 플랩퍼(40)의 양쪽면에 한 쌍의 텐션 와이어(30)가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텐션 와이어(30)의 텐션판(32)에 각각 구비된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토크모터 바디(10)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양쪽면에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양쪽면에 한 쌍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구비된다. 한 쌍의 텐션 와이어(30)를 토크모터 바디(10)에 고정하는 방식은 전술한 고정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노즐 플랩퍼(40)의 양쪽면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텐션 와이어(30)가 결합된 경우에는 노즐 플랩퍼(40)의 양쪽 측면에 모두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구비되어, 한 쌍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노즐 플랩퍼(40)의 양쪽 측면에서 노즐 플랩퍼(40)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가 되고, 한 쌍의 텐션 와이어(30)의 한 쌍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가 비틀려 있어서 텐션 와이어(30)를 하나만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한 쌍의 비틀려 있는 텐션 브릿지에 의해서 텐션 와이어(30)가 정위치를 유지하는 탄성 유지력을 두 배 이상 강화시켜놓은 상태가 되어서, 노즐 플랩퍼(40)가 전단부에서 볼 때에 좌우 양쪽으로 요동되는 현상을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하고, 노즐 플랩퍼(40)가 좌우 양쪽으로 요동하는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노즐 플랩퍼(40)가 제1노즐(60) 및 제2노즐(62)의 선단부측 배출구를 원하지 않게 막았다 열었다 하는 노즐(60) 오작동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고, 이처럼 노즐(60) 오작동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함으로 인하여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에 연결된 밸브들의 정밀한 제어에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탄성 와이어는 노즐 플랩퍼(40)의 적어도 일측면에 볼트(BT)와 너트(NT)에 의해 고정되므로, 탄성 와이어에 노즐 플랩퍼(40)를 결합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측 일측면이 탄성체(EM)에 의해 가압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 스크류(13)를 돌려주면, 컨트롤 스크류(13)의 테이퍼부(13T)가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측 일측면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면서 상기 베이스 픽스바아(18)와 이에 연결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토크모터 바디(10)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의 회전에 따라 텐션 와이어(30)와 이에 연결된 노즐 플랩퍼(40)가 상기 전자석부(20)의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 사이의 스페이스(SP)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방향이 조절되므로,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방향을 방향 조절유닛의 컨트롤 스크류(13)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하면, 상기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선단부와 노즐 플랩퍼(40) 사이의 간격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상기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의 선단부에서 노즐 플랩퍼(40) 쪽으로 토출되는 공압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공압의 정밀 제어에 의해 밸브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에서 볼 때에 노즐 플랩퍼(40)가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기준으로 한쪽 측방향 또는 다른 쪽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무게 중심이 노즐 플랩퍼(4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중심선 상에 있게 되므로, 노즐 플랩퍼(40)가 옆에서 볼 때에 전단부와 후단부 방향으로 요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노즐 플랩퍼(40)의 정밀한 작동 제어와 밸브의 제어 동작에 있어서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노즐 플랩퍼(40)의 일부를 한쪽 측면에서 다른 쪽 측면으로 펀칭하여 따내진 고정 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지지편의 기단부는 노즐 플랩퍼(40)에 고정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지지편에 상기 텐션 와이어(30)를 삽입하여 고정 지지편을 노즐 플랩퍼(40) 쪽으로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면, 상기 텐션 와이어(30)를 노즐 플랩퍼(4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텐션 와이어(30)와 노즐 플랩퍼(40)를 별도의 볼트(BT)홀 가공과 볼트(BT) 및 너트(NT)의 결합이 없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노즐 플랩퍼(40)(아마추어)와 텐션 와이어(30)의 결합 구조를 가장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 모두를 비틀린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텐션판(32)을 기준으로 트위스트된 방향(비틀어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모두 비틀려져 있고 그 비틀려진 방향이 반대이면,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 모두에 의한 비틀림력에 의해 텐션 와이어(30)가 정위치를 유지하는 탄성 유지력을 최대한 강화시켜 놓은 상태가 되므로, 노즐 플랩퍼(40)가 좌우 양쪽으로 요동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함으로써 노즐 플랩퍼(40)가 제1노즐(60) 및 제2노즐(62)의 선단부측 배출구를 원하지 않게 막았다 열었다 하는 노즐(60) 오작동 현상을 완전히 방지하고, 이처럼 노즐(60) 오작동 현상을 완전히 방지함으로 인하여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에 연결된 밸브들의 정밀한 제어에 있어서 가장 확실하게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30) 결합부의 선단부에는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구비되고,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과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 결합면은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상기와 같이 토크모터 바디(10)의 텐션 브릿지 결합블록과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각각 체결구에 의해 연결하면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는 자동적으로 트위스트된 상태(비틀린 상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를 트위스트시키는 구성을 구현하기가 보다 쉽게 된다.
한편,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30) 결합부의 선단부에는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이 구비되고,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 결합면과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 결합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상기와 같이 토크모터 바디(10)의 텐션 브릿지 결합블록과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각각 체결구에 의해 연결하면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모두 반대 방향으로 트위스트된 상태(비틀린 상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도 트위스트시키는 구성을 구현하기가 보다 쉽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토크모터 바디 20. 전자석부
30. 텐션 와이어 34,36.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
40. 노즐 플랩퍼 50. 자성체
60. 제1노즐 62. 제2노즐

Claims (9)

  1. 토크모터 바디(10);
    자력이 발생되는 코일부(22)와, 상기 코일부(22)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된 제1극성부(24)와 제2극성부(26)가 구비되어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장착된 전자석부(20);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가 구비되어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상기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가 결합된 텐션 와이어(30);
    상기 텐션 와이어(30)에 결합되어 기단부측 양면이 상기 제1극성부(24)와 상기 제2극성부(26) 사이의 이격된 스페이스(SP)에 배치된 노즐 플랩퍼(40);
    상기 제1극성부(24)와 동일 극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플랩퍼(40)에 구비된 자성체(50);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되어 노즐(60)홀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측 양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노즐(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즐 플랩퍼(40)는 양면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측 일면이 상기 노즐(60)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상기 노즐 플랩퍼(40)에 결합된 판형상의 텐션판(32)과, 상기 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브릿지는 비틀려 있는 트위스트 텐션 브릿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60)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노즐(60)과 제2노즐(6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의 선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의 선단부 사이에 노즐(60) 스페이스(NS)가 확보되고, 상기 노즐 플랩퍼(40)는 상기 텐션 와이어(30) 상기 텐션판(32)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선단부측 양면이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의 선단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는 내측단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노즐 결합블록과 제2노즐 결합블록(16NB)이 구비되고, 상기 제1노즐 결합블록과 상기 제2노즐 결합블록(16NB)의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노즐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 결합홀은 상기 노즐 결합블록의 내측단과 외측단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노즐(60)의 나사부와 상기 제2노즐(62)의 나사부가 상기 제1노즐 결합블록과 상기 제2노즐 결합블록(16NB)의 노즐 결합홀에 구비된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노즐(60)과 상기 제2노즐(62)이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양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스프링강에 의해 상기 텐션판(32)과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 및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구비된 텐션 와이어(30) 연결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바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연결되어 상기 바텀부(12)의 저면에 배치된 베이스 픽스바아(18);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상기 바텀부(1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테이퍼부(13T)가 상기 베이스 픽스바의 기단부측 일면에 접촉된 컨트롤 스크류(13);
    상기 베이스 픽스바아(18)의 기단부측을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를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 스크류(13)의 상기 테이퍼부(13T)에 밀착되도록 탄지하는 탄성체(EM);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텐션 와이어(30) 연결부에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가 연결되고,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상기 텐션 와이어(30)의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는 연결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고리가 각각 상기 텐션 와이어(30) 연결부와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결합된 연결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상기 하부 텐션 브릿지(36)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의 상기 텐션 와이어(30) 연결부와 상기 텐션 와이어 픽스바아(17)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와이어(30)는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1텐션 와이어(30)와 제2텐션 와이어(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션 와이어(30)는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일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제1텐션판(32)과, 상기 제1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제1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제1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고, 상기 제2텐션 와이어(30)는 상기 노즐 플랩퍼(40)의 다른 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제2텐션판(32)과, 상기 제2텐션판(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연장된 제2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제2하부 텐션 브릿지(36)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텐션 브릿지(34)와 상기 제2상부 텐션 브릿지(34) 및 상기 제1하부 텐션 브릿지(36)와 상기 제2하부 텐션 브릿지(36)가 상기 토크모터 바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KR1020180122488A 2018-10-15 2018-10-15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KR10200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88A KR102007707B1 (ko) 2018-10-15 2018-10-15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88A KR102007707B1 (ko) 2018-10-15 2018-10-15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07B1 true KR102007707B1 (ko) 2019-10-22

Family

ID=6842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488A KR102007707B1 (ko) 2018-10-15 2018-10-15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92A (ko) 1993-08-17 1995-03-20 미츠이 고헤이 유압 파일럿 밸브
KR960011546U (ko) 1994-09-06 1996-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서보밸브의 노즐플래퍼형 토크모터 센터링 장치
KR100303509B1 (ko) 1997-08-30 2001-11-22 이계안 파일럿서보밸브시스템
KR100842856B1 (ko) 2006-11-03 2008-07-02 한국전력공사 모터 구동밸브의 토크 스위치 밸런서 작동방법
JP6363778B2 (ja) * 2016-10-11 2018-07-25 株式会社チシン トルクモータ
KR101899573B1 (ko) * 2016-12-23 2018-09-18 차형규 자화 방식을 이용한 토크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92A (ko) 1993-08-17 1995-03-20 미츠이 고헤이 유압 파일럿 밸브
KR960011546U (ko) 1994-09-06 1996-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서보밸브의 노즐플래퍼형 토크모터 센터링 장치
KR100303509B1 (ko) 1997-08-30 2001-11-22 이계안 파일럿서보밸브시스템
KR100842856B1 (ko) 2006-11-03 2008-07-02 한국전력공사 모터 구동밸브의 토크 스위치 밸런서 작동방법
JP6363778B2 (ja) * 2016-10-11 2018-07-25 株式会社チシン トルクモータ
KR101899573B1 (ko) * 2016-12-23 2018-09-18 차형규 자화 방식을 이용한 토크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49230A1 (en) Magnetic armature
KR102007707B1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강화한 자화방식 토크모터
US20210291127A1 (en) Fluid mixer
US5070898A (en) Metering valve
KR101899573B1 (ko) 자화 방식을 이용한 토크모터
JP2010519489A (ja) 弁棒を弁部材に接続するための装置
JP3927043B2 (ja) フィードバック機構およびバルブポジショナ
US8985551B2 (en) Oil immersed solenoid
US6073908A (en) Solenoid valve
US20140178141A1 (en) Adjustable drill guide for wooden model cars
CN109519549B (zh) 电磁气体阀、气体调节阀以及燃气烹饪用具
KR20110121523A (ko)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JPH0345245B2 (ko)
US20190280580A1 (en) Servovalve with adjustable air gaps
KR101314494B1 (ko) 밸브너트 록킹장치
CN208358300U (zh) 一种喷嘴体镗孔夹具
WO2011111827A1 (ja) フィードバック機構およびバルブポジショナ
CN214946525U (zh) 一种气动阀信号反馈装置
JPH11193872A (ja) 逆止弁
KR200388450Y1 (ko) 밸브개도 제어기의 스템레버 및 피드레버 연결장치
CN204187098U (zh) 一种电磁调节阀
CN2662026Y (zh) 三通导向阀门
US20080029723A1 (en) Electromagnetically Driven Valve
JP2564515Y2 (ja) 電磁弁用ソレノイド
DE345275C (de) Relais, das mit Wechselstrom oder pulsierendem Gleichstrom betrieben wi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