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401B1 -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401B1
KR101764401B1 KR1020130165845A KR20130165845A KR101764401B1 KR 101764401 B1 KR101764401 B1 KR 101764401B1 KR 1020130165845 A KR1020130165845 A KR 1020130165845A KR 20130165845 A KR20130165845 A KR 20130165845A KR 101764401 B1 KR101764401 B1 KR 10176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negative pressure
piston
cylind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7029A (ko
Inventor
임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16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401B1/ko
Priority to DE102014009128.7A priority patent/DE102014009128B4/de
Priority to US14/308,505 priority patent/US9221444B2/en
Priority to CN201410749166.3A priority patent/CN104742882B/zh
Publication of KR2015007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5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03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in combination with other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responsive to speed and another condition or to plural spe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모터를 통해 제어하여 유압라인내 유체를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여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부압에 의해 캘리퍼내 피스톤이 강제로 후퇴되어 드래그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가 저장되는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 상기 가압 실린더 내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이 제동상황인지 또는 주행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주행상황인 경우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되면 부압이 유지되도록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제동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BREAKING SYSTEM HAVING DRAG REDUC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모터를 통해 제어하여 유압라인내 유체를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여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부압에 의해 캘리퍼내 피스톤이 강제로 후퇴되어 드래그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중 필요에 따라 차속을 선택적으로 감속시키거나 차체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Brake System)을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통상 마찰력을 이용하여 주행 중 자동차가 갖고 있는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를 대기 중으로 방열시킴으로써 제동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보통 드럼 브레이크 시스템과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작용되는 캘리퍼가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쪽에서 가압시킴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전술된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때를 감지하여 어큐뮬레이터에 축적된 압력을 바퀴 실린더로 보내서 무효 스트로크를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운전자가 답력에 의한 유압이 어큐뮬레이터에 축적된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어큐뮬레이터는 축적한 압력을 바퀴로 보내지 못하고 오히려 운전자의 답력에 의한 유압이 축적되어 무효 스트로크가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어큐뮬레이터의 압력이 월등히 높다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때 그 압력이 그대로 전해져서 제동 조작감 저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25286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제동 시,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을 형성한다. 이 마찰력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으로 형성된 유압의 영향으로 밀려난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생성되며, 제동이 끝난 후에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Knock Back 현상과 캘리퍼 피스톤 씰의 복원력(Roll Back 현상)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를 분리시켜 마찰력을 제거한다.
그러나, 위의 방법으로는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드래그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불필요한 마찰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 수명이 단축되고 출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술된 드래그 현상을 저감하기 위하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를 완전히 분리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25286호(2011.11.21) "디스크 브레이크"
본 발명의 목적은,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모터를 통해 제어하여 유압라인내 유체를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여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부압에 의해 캘리퍼내 피스톤이 강제로 후퇴되어 드래그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가 저장되는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 상기 가압 실린더 내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이 제동상황인지 또는 주행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주행상황인 경우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되면 부압이 유지되도록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제동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부압형성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닫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유압라인 내 유체를 상기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압유지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다시 열고, 각 바퀴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열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바퀴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를 만나기 전까지 상기 가압 실린더 내의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후퇴시켜 부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바퀴 속도센서, 압력센서, 가속 페달 위치 센서 및 제동 페달 위치 센서로부터 각각 측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 페달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제동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 중 가속 페달정보와 바퀴 속도를 바탕으로 제동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한 후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거나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보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상기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거나 또는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대기압이었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위치하는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가 저장되는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 실린더 내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이 제동상황인지 또는 주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주행상황인 경우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되면 부압이 유지되도록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부압형성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닫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유압라인 내 유체를 상기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압유지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다시 열고, 각 바퀴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열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바퀴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를 만나기 전까지 상기 가압 실린더 내의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후퇴시켜 부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한 후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보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대기압이었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위치하는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모터를 통해 제어하여 유압라인내 유체를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여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부압에 의해 캘리퍼내 피스톤이 강제로 후퇴되어 드래그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노멀모드로의 동작이 요청된 경우 부압형성모드를 중단하고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보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고,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노멀모드로의 동작이 요청된 경우 대기압이었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위치하는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을 수행함으로써 제동 응답성과 제동 조작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동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부압형성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그리고
도 5는 부압유지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동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이 주행 상황인 경우 가압 실린더 내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동시켜 유압라인 내부의 유체를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여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되면 형성된 부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제동제어유닛(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부압형성모드 및 부압유지모드를 거침에 따라 각 바퀴에 설치된 캘리퍼 내 피스톤을 후퇴시킬 수 있어 브레이크와 디스크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드래그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제동제어유닛(50)은 바퀴 속도 센서(10), 압력센서(20), 가속 페달 위치 센서(30) 및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퀴 속도 센서(10), 압력센서(20), 가속 페달 위치 센서(30) 및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40)로부터 측정된 바퀴 속도, 압력, 가속 페달 위치 및 브레이크 페달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동제어유닛(50)은 캔(CAN)을 통하여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센서(20)는 가압 실린더에서 나오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동제어유닛(50)은 상술된 각종 센서를 통하여 수신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제동 상황인지 또는 주행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제동 상황인 경우 일반적인 제동모드를 수행한다. 일반적인 제동모드는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 캘리퍼내 피스톤이 전진하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가 상호 접촉된 상태가 되어 마찰에 의해 제동을 수행하게 된다.
제동제어유닛(50)은 주행 상황인 경우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되면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 형성이 완료된 경우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지만,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으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유지모드로 동작 중에 노멀모드로의 동작이 요청되면 부압유지모드의 동작을 중단하고 대기압이었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위치하는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유지모드로 동작중에 노멀모드로의 동작이 요청된 경우 설정된 원점위치인 대기압 기준 위치에서 노멀모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형성모드로 동작 중에 노멀모드로의 동작이 요청되면 현재의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형성모드로 동작중에 노멀모드로의 동작이 요청된 경우 설정된 가압 피스톤의 현재 위치에서 노멀 모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동제어유닛(50)은 가압 피스톤이 부압 형성을 위한 공간 확보 동작이 시작되는 위치로 돌아왔을 때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가압 피스톤의 위치는 가입 실린더와 연결된 모터내 홀 센서(Hall sensor)에 의해 측정된 회전각에 기반하여 계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동제어유닛(50)은 수신부(51), 판단부(52), 부압형성부(53) 및 부압유지부(5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51)는 상술된 센서로부터 측정된 브레이크 페달정보, 페달 압력 정보, 가속 페달정보 및 바퀴 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51)는 인터페이스부(예를 들면, CAN)를 통해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판단부(52)는 수신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하여 차량이 제동 상황인지 또는 주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52)의 판단결과 차량이 제동상황인 경우 제동제어유닛(50)은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 캘리퍼내 피스톤이 전진하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가 상호 접촉되어 제동을 수행하는 노멀모드로 동작한다.
판단부(52)의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상황인 경우 부압형성부(53)는 부압형성성모드를 수행한다. 즉, 부압형성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닫고 유체가 저장되는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의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키도록 모터를 구동시킨다. 더 자세하게 부압형성모드는 가압 피스톤의 전진으로 인해 유압라인 내부의 유체가 리저브 탱크에 공급되어 유압라인내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압형성부(53)는 각 바퀴(FL, RR, RL, FR)의 노멀 오픈 밸브(306)를 닫고, 모터(307)를 구동시켜 가압 실린더(303)의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모터(307)의 구동을 통해 가압 실린더(303)의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킴에 따라 역으로 리저브 탱크(RE)에 유체가 공급된다.
부압유지부(54)는 부압형성부(53)에 의해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된 경우 가압 실린더(303)의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후퇴시켜 부압을 유지시키는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한다.
부압유지부(54)는 부압형성부(53)에 의해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가입 실린더 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부압 유지부(54)는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노멀모드로의 요청이 수신되면 부압유지모드의 동작을 중단하고 대기압이었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한다. 이후 설정된 원점위치인 대기압 기준 위치에서 노멀모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압유지부(54)는 각 바퀴(FL, RR, RL, FR)의 노멀 오픈 밸브(306)를 다시 열고, 각 바퀴(FL, RR, RL, FR)과 가압 실린더(303)를 연결하는 밸브(302)를 열고, 리저브 탱크(RE)와 바퀴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301)를 닫고, 리저브 탱크(RE)와 가압 실린더(303)를 연결하는 밸브(304)를 닫고, 리저브 탱크(RE)와 가압 실린더(303)를 연결하는 유로(305)를 만나기 전까지 가압 실린더(303)내의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후퇴시키도록 모터(307)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유압라인내 부압이 유지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가 완전히 분리되어 드래그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동제어유닛(50)은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한다(S11). 즉, 제동제어유닛(50)은 바퀴 속도 센서(10), 압력 센서(20), 가속 페달 위치 센서(30) 및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4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신한다.
제동제어유닛(50)은 수신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제동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제동 상황인 경우, 즉 브레이크 페달 조작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페달 압력 정보가 수신되거나, 이들이 모두 수신되는 경우 제동제어유닛(50)은 노멀 모드(Normal Mode)를 수행한다(S14). 노멀 모드는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압이 공급되어 캘리퍼 내 피스톤이 전진하여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가 상호 접촉된 상태가 되어 제동을 수행한다.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제동 상황이 아닌 경우 제동제어유닛(50)은 차량이 주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상기 S15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 상황이 아닌 경우, 제동제어유닛(50)은 상술된 S14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노멀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S15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 상황인 경우,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한다(S17). 부압형성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306)를 닫고, 모터(307)의 구동을 통해 가압 실린더(303) 내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유압라인내 유체가 리저브 탱크(RE)에 공급되도록 하여 부압을 형성한다.
이후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이때 제동제어유닛(50)은 가압 실린더(303) 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근거로 하여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압 피스톤의 위치는 모터(307) 내 홀 센서를 통해 측정된 회전각을 통해 계산된다. 즉, 제동제어유닛(50)은 가압 피스톤의 위치가 부압 형성을 위한 공간 확보 동작이 시작되는 위치로 돌아왔을때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동제어유닛(50)은 가압 실린더(303) 내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강제로 복원시키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한다(S20).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부압 형성이 완료된 경우 제동제어유닛(50)은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한다(S21). 부압유지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바퀴(FL, RR, RL, FR)의 노멀 오픈 밸브(306)를 다시 열고, 각 바퀴(FL, RR, RL, FR)과 가압 실린더(303)를 연결하는 밸브(302)를 열고, 리저브 탱크(RE)와 바퀴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301)를 닫고, 리저브 탱크(RE)와 가압 실린더(303)를 연결하는 밸브(304)를 닫고, 리저브 탱크(RE)와 가압 실린더(303)를 연결하는 유로(305)를 만나기 전까지 가압 실린더(303)내의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후퇴시키도록 모터(307)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리저브 탱크(RE)와 바퀴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301)에서 바퀴 실린더까지 부압이 유지되어 캘리퍼내 피스톤의 위치가 후진되어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드래그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바퀴 속도 센서 20 : 압력센서
30 : 가속 페달 위치 센서 40 :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
50 : 제동제어유닛 51 : 수신부
52 : 판단부 53 : 부압형성부
54 : 부압유지부

Claims (11)

  1. 유체가 저장되는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
    상기 가압 실린더 내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이 제동상황인지 또는 주행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주행상황인 경우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되면 부압이 유지되도록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제동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부압유지모드는 밸브 제어를 통해 상기 가압 실린더와 각 바퀴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압형성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닫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유압라인 내 유체를 상기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압유지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다시 열고, 각 바퀴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열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바퀴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를 만나기 전까지 상기 가압 실린더 내의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후퇴시켜 부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바퀴 속도센서, 압력센서, 가속 페달 위치 센서 및 제동 페달 위치 센서로부터 각각 측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 중 브레이크 페달 조작, 페달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제동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 중 가속 페달정보와 바퀴 속도를 바탕으로 제동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한 후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거나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보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상기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거나 또는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대기압이었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위치하는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7. 유체가 저장되는 리저브 탱크와 연결된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 실린더 내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이 제동상황인지 또는 주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주행상황인 경우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고, 부압 형성이 완료되면 부압이 유지되도록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압유지모드는 밸브 제어를 통해 상기 가압 실린더와 각 바퀴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압형성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닫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을 전진시켜 유압라인 내 유체를 상기 리저브 탱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압유지모드는 각 바퀴의 노멀 오픈 밸브를 다시 열고, 각 바퀴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열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바퀴 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실린더를 연결하는 밸브를 닫고, 상기 리저브 탱크와 상기 가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를 만나기 전까지 상기 가압 실린더 내의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후퇴시켜 부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한 후 부압 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부압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보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압형성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상기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부압유지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 대기압이었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위치하는 가압 피스톤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오프셋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30165845A 2013-12-27 2013-12-27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6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45A KR101764401B1 (ko) 2013-12-27 2013-12-27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E102014009128.7A DE102014009128B4 (de) 2013-12-27 2014-06-18 Bremssystem mit einer Schleifverringerungsfunktion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US14/308,505 US9221444B2 (en) 2013-12-27 2014-06-18 Brake system having drag reduction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749166.3A CN104742882B (zh) 2013-12-27 2014-12-10 具有减阻功能的制动系统以及控制该制动系统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45A KR101764401B1 (ko) 2013-12-27 2013-12-27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29A KR20150077029A (ko) 2015-07-07
KR101764401B1 true KR101764401B1 (ko) 2017-08-14

Family

ID=5337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845A KR101764401B1 (ko) 2013-12-27 2013-12-27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21444B2 (ko)
KR (1) KR101764401B1 (ko)
CN (1) CN104742882B (ko)
DE (1) DE10201400912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9835B1 (en) 2016-08-05 2018-0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brake retraction system with vacuum reservoir
DE102016216820A1 (de) 2016-09-06 2018-03-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ellgetriebe
US10144404B2 (en) 2016-12-08 2018-12-04 Robert Bosch Gmbh Vehicle having brak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KR102390258B1 (ko) * 2017-09-29 202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의 오프셋 보정 장치 및 방법
US10870419B2 (en) * 2018-07-20 2020-12-2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EPB low residual torque software function
JP7424165B2 (ja) * 2020-03-30 2024-01-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制動装置
CN115352421B (zh) * 2022-09-07 2023-05-23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负压控制制动回路
CN117325832B (zh) * 2023-12-01 2024-03-01 上海同驭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制动液压力泄除方法及电子液压制动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9265A (ja) * 2007-07-27 2009-02-12 Hitachi Ltd 液圧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1116A1 (de) * 1980-06-04 1981-12-1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r vortriebsregelung bei einem kraftfahrzeug mit blockierschutzsystem
GB2111149B (en) * 1981-09-18 1985-06-26 Daimler Benz Ag Charging a pressure accumulator in anti-skid and anti-spin brake system
DE3619487A1 (de) * 1986-06-10 1987-12-17 Teves Gmbh Alfred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bremsanlage
EP2225132B1 (de) * 2007-12-21 2011-09-14 Ipgate Ag Bremsanlage mit mindestens einer förderungseinrichtung zum nachfördern von bremsflüssigkeit in die arbeitsräume eines bremskraftverstärkers
US8075066B2 (en) * 2009-04-02 2011-1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ering check valve for active brake pads retraction system
US8579386B2 (en) * 2009-06-12 2013-11-12 Honda Motor Co., Ltd. Vehicle brake device
KR101518880B1 (ko) 2009-08-26 2015-05-1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드래그 저감장치의 제어방법
JP5582289B2 (ja) * 2010-03-03 2014-09-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KR20110125286A (ko)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DE102011084206A1 (de) * 2010-10-12 2012-04-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KR101316874B1 (ko) * 2012-06-12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유압 보상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9265A (ja) * 2007-07-27 2009-02-12 Hitachi Ltd 液圧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009128B4 (de) 2022-11-17
US20150183412A1 (en) 2015-07-02
CN104742882A (zh) 2015-07-01
KR20150077029A (ko) 2015-07-07
US9221444B2 (en) 2015-12-29
CN104742882B (zh) 2017-08-25
DE102014009128A1 (de)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401B1 (ko) 드래그 저감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9132819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5636357B2 (ja) 車両制御装置
US11148652B2 (en) Method for providing a brake force in a vehicle
US9061672B2 (en) Vehicle brak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brake device
JP6018183B2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JP4797934B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制御装置
JPWO2010128652A1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9173082A (ja) ブレーキ装置
JP2014015200A (ja) 車両用制動装置
KR101518880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드래그 저감장치의 제어방법
JP6235351B2 (ja) 車両用制動装置
US11046297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braking force in a vehicle
JP2008179272A (ja) 摩擦係合部の温度に基づいて前後輪間摩擦制動力配分を変更する車輌
JP6409189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6594002B2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4039215B2 (ja) 車両の回生制御装置
JP2012245975A (ja) ブレーキ装置
KR102487781B1 (ko) 차량용 회생 제동 시스템 및 차량의 회생 제동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5948816B2 (ja) 電動バキュームポンプ制御装置
KR101813965B1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디스크 패드 간극 제어 방법
CN110816496B (zh) 车辆用制动系统
KR101444955B1 (ko) 자동차 브레이크용 마스터실린더의 자유간극 자동조절장치
KR20230128760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3144890A (ja) 車両用の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